KR20190002113A - Book marker - Google Patents

Book mar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13A
KR20190002113A KR1020170082562A KR20170082562A KR20190002113A KR 20190002113 A KR20190002113 A KR 20190002113A KR 1020170082562 A KR1020170082562 A KR 1020170082562A KR 20170082562 A KR20170082562 A KR 20170082562A KR 20190002113 A KR20190002113 A KR 20190002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ook
bookmark
pag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희
Original Assignee
이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희 filed Critical 이두희
Priority to KR102017008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113A/en
Publication of KR2019000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recognize a read page of a book in a number, thereby allowing a convenient search of the page and preventing a damage in a book.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hole which is attached to a book cover by forming a storage hole body wherein both sides and a lower side are closed, with an exception of an entrance formed at an upper surface, and an accommodating space within the storage hole body, communicating with the entrance; and a display hole which is stored in the storage hole so as to display the most recently read page in a number, thereby allowing a user to virtually identify the same.

Description

책갈피{BOOK MARKER}Bookmark {BOOK MARKER}

본 발명은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중도에 읽기 등과 같은 사용이 멈춰질 경우 다음 이용시 최종사용 페이지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표시하여주는 책갈피를 개선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ma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kmark that displays an end-use page so that the end-use page can be searched for next time when usage such as reading is stopped in the course of using a book, .

일반적으로 책갈피는 이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책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읽거나 확인한 페이지에 삽입하여 추후 해당 책을 다시 이용하는 과정에서 최종 페이지를 용이하게 찾아서 확인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a bookmark is used to allow a user to easily find a final page in a process of reusing a book after inserting the book into a page that is finally read or confirmed in the process of using various kinds of books, and to use the bookmark.

이러한 책갈피는 오래전에는 책에 일초 구비되어 책의 종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끈형태의 것에서 부터 시작하여, 별도로 구비되어 책 사이에 삽입하여 일부가 책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책을 최종적으로 사용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발전 하였다.These bookmarks are provided starting from a string of one long time ago in a book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k, and they are inserted separately between the books to expose a part of the book to the outside of the book, It was developed to be able to identify the location.

이때 책갈피는 종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판상부재를 사각형상에서부터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한 형태의 것이었으나, 단순함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디자인과 색감을 가미하고, 책갈피의 표면과 이면에 다양한 문구나 광고를 기재하는 형태의 것이 제공되었다.In this case, the bookmark is a form in which the plate-shaped member made of paper, metal, or plastic is designed in various shapes from a rectangular shape. However, in order to escape from simplicity, design and color are added to the bookmark, Type.

대표적인 책갈피의 구성을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 20 - 0248723 - 0000 호의 내용으로 살펴보면,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며 절개부(4)에 의해 본체(3)와 끼움편(5)이 탄력적으로 끼움가능하게 형성되는 통상의 클립형 책갈피(1)에 있어서;The main body 3 and the fitting piece 5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so that the cutout portion 4 can elastically deform the main body 3 and the fitting piece 5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a typical bookmark. 1. A conventional clip-type bookmark (1) which is formed to be fittable with a clip (1);

상기 끼움편(5)의 상부에는 제2절개부(6)에 의해 형성되는 제2끼움편(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nd a second fitting part 7 formed by the second cut part 6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tting part 5. [

또한 단순하게 책을 사용한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겸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으로 책과 관련된 학습에 필요한 도구를 포함하는 볼펜기능, 자, 메모, 렌즈, 돋보기 기능을 겸하도록 한 형태의 책갈피도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bookmark function that combines the necessary tools for learning about books, the bookmark that combines the notes, the memo, the lens, and the magnifier Is also provided.

최근에는 홍보와 광고를 목적으로 책이나 학습관련 업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형태가 많아지면서 책갈피에 광고내용이 삽입된 형태의 책갈피가 제공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책갈피가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there are many types of bookmarks that are provided free of charge from books and learning related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publicity and advertisement, and bookmarks in which advertisement contents are inserted in bookmarks are provided.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 20 - 0248723 - 0000 호(Document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 - 0248723 - 0000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14871 - 0000 호(Document 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 - 0314871 - 0000 (문헌 3)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33715 - 0000 호(Document 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 - 0333715 - 0000

상기와 같은 책갈피 중에서는 볼펜, 자, 렌즈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이 부여된 책갈피의 경우에는 부피 또는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책 사이에 삽입한 후 다시 해당 페이지를 펼칠 때 책갈피 부분이 부풀어 변형된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책의 사용이 끝난 후에도 책갈피 부분이 부푼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당 페이지의 책이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한다.Among such bookmarks, in the case of a bookmark having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ballpoint pen, a ruler, a lens, etc., the bookmark portion is swollen and deformed when the book is inserted again after the book is inserted, Therefore, after the use of the book is finished, the bookmark portion may remain inflated or the book of the page may be damaged.

광고 등의 문구가 인쇄된 책갈피의 경우에도 책 사이에 삽입하여 표시한 후 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해당페이를 펼쳤을 때 책갈피에 인쇄된 특정한 광고나 색인 등을 확인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책갈피에 제공되는 내용을 책을 펼치는 과정마다 시각적으로 확인되므로 이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 것이 사실이다.Even in the case of a bookmark in which a phrase such as an advertisement is printed,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check a specific advertisement or index printed on the bookmark when the page is inserted to display the bookmark after inserting it between the bookmarks. It is true that the contents provided are visually confirmed during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book, thereby providing inconvenience to the users.

그리고 여러장의 책갈피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클립의 경우에도 해당 페이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찾을 수는 있으나, 책갈피가 사용된 페이지 부분이 굴곡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하고, 이러한 훼손상태가 복원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clip that accommodates and combines several bookmarks, the page can be easily checked and found, but the page portion of the bookmark is damaged, and the damaged state is restored. This is a disadvantage that takes place.

또한 금속 등과 같이 경질의 재질로 구성된 책갈피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책갈피를 사용한 페이지의 책장이 찢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책갈피로서의 기능보다는 책을 손상됨으로서 발생하는 손해가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Also, in a process of using a bookmark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a bookmark of a page using a bookmark is frequently torn, so that a damage caused by a book is damaged rather than a function of a bookmark. In fac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면에 형성되는 입구를 제외한 양측과 하측이 막혀있는 수납구바디와, 상기 수납구바디의 내부에 입구와 연통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책의 표지에 부착되는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에 수납되어 최종 책장의 페이지를 숫자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구로 구성하여;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iving body having both a side and a lower side closed except for an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an inlet inside the receiving- A receiving port attached to the cover; And a display unit which is housed in the receiving opening and displays a page of the final bookcase in numeral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page;

이용한 책 페이지를 숫자로 인식시켜 줌으로서 해당페이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면서 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독서의 재미를 부여하면서 독서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By recognizing the pages of the book using the numbers, it is possible to easily find the page, prevent the book from being damaged, achieve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reading achievement while giving the fun of reading.

본 발명은 책의 표지 푯면 또는 표지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는 수납구에 책의 해당페이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결합하여 책을 사용한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켜 주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이 최종페이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corresponding page of a book by numerals in a receiving opening provided on a cover signpost or a cover of a book or visually confirm a page using the book, So that it can be easily found.

특히, 책갈피는 해당페이지에 삽입하는 불편 없이 이용자가 해당페이를 표시하여 둠으로서 책 사이에 삽입으로 야기될 수 있는 책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책 사이에 삽입된 책갈피의 탈락으로 인한 해당페이지를 찾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Particularly, the bookmark can prevent the book from being damaged due to insertion between the books by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page without inconvenience of inserting the bookmark into the pag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find the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의 외관의 정면을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의 외관의 배면을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kmark to which a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a front view of the appearance.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 side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 bookmark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bookmark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 bookmark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의 외관의 정면을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의 외관의 배면을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ide of the appearance of a bookmark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ide of the appearance of a bookmark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of the bookmark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 A of FIG.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책갈피(100)는, 책을 구성하는 표지(앞, 뒤표지 모두 포함,101)의 표면 또는 내면에 부착되는 수납구(105)와, 상기 수납구(105)에 수납되어 최종 책장의 페이지를 숫자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구(110)로 구성한다.The bookmark 100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receiving opening 105 to be attached to a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a cover (including front and back covers) 101 constituting a book, And a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a page of the bookcase in numeral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page.

상기 수납구(105)의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도 되고, 표지(101)와 수납구(105)에 자웅체의 벨크로 등과 같은 탈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쉽게 붙이고 이탈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형태 또는 책을 구성하는 표지(101)에 수납구(105)를 포켓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The receiving port 105 may be fixed firmly using an adhesive or may be attached to the cover 101 and the receiving port 105 by detachable means such as Velcro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receiving opening 105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pocket in the cover 101 constituting the book.

상기 수납구(105)와 표시구(110)는 종이, 코팅처리된 종이, 얇은 목재, 플라스틱재 또는 비철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수납구(105)과 표시구(110)가 두께감이 있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실제 수납구(105)와 표시구(110)의 한 면의 두께는 통상적인 책장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책갈피(100)를 책에 결합하여 사용할 때 돌출을 줄여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것이다.The receiving portion 105 and the display portion 1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aper, coated paper, thin wood, plastic material or non-ferrous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105 and the indicator 110 The thickness of one face of the receiving port 105 and the display unit 1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ordinary bookcase. This is because the bookmark 100 )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book,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protrusion to eliminate the sense of heterogeneity.

상기 수납구(105)는, 사방이 상면에 형성되는 입구(106)를 제외한 양측과 하측이 막혀있는 수납구바디(107)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구바디(107)의 내부에는 입구(106)와 연통되면서 표시구(110)의 하측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08)을 형성하여 구성한다.The receiving port 105 includes a receiving port body 107 having both sides and a lower side closed except for an inlet 106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105. The receiving port 105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06 in the receiving port body 107, And a receiving space 108 capable of receiving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10 is formed.

상기 표시구(110)는, 표면(111)과 이면(112) 사이에 슬라이딩공간(113)을 형성하여 폭과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표시구바디(114)를 구비한다.The indicator 110 has a sliding body 113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111 and the back surface 112 and has a display body 114 having a longer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width and the thickness.

상기 표시구바디(114)의 표면(111) 중간위치 횡방향으로는 2개 이상의 표시홀(115)을 형성하는 데, 상기 표시홀(115)의 수는 책의 페이지가 많을 경우에는 3자리에서 4자리 이상이 될 수 있고, 책의 페이지가 적은 경우에는 2자리 정도로도 가능할 것이다.Two or more display holes 115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rface 111 of the display ball body 114. The number of the display holes 115 is three digits when there are many pages of the book It can be more than four digits, and if the page of the book is small, it can be two digits.

상기 표시홀(115) 위치의 슬라이딩공간(113) 내부에는 긴 길이의 표시체(116)를 삽입하고, 상기 표시체(116)의 전면에는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상측에서 하측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열한다.A long display element 116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space 113 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hole 115 and numbers 0 to 9 are displayed on the front face of the display element 116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from the lower side And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표시체(116)의 배면에는 작동버턴(117)을 일체로 돌출시켜 표시구바디(114)의 이면(112)에 각각의 표시홀(115) 중앙위치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로트(118)를 통하여 노출되어 표시체(116)를 표시구바디(114)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An actuating button 117 is integrally project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body 116 so that a slot 118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sition of each display hole 115 in the back surface 112 of the display body body 114 So that the display body 116 can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of the display body 114.

상기 작동버턴(117)은 표시체(116)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데, 일직선으로 돌출시킨 후 어느 한 측방으로 접어서 구성할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도면예시와 같이 일체성형하는 형태로도 가능할 것이다.The operation button 11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body 116. The operation button 117 may be formed by projecting a straight line and then folding it to one sid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as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물론, 상기 표시홀(115)의 형상을 본원의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표시체(116)에 표시된 숫자가 노출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도 관계 없으며,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수납구(105)와 표시구(110)의 표면에는 미감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표현을 강구하여도 무방할 것이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display hole 115 is shown as a circular shape in this drawing, but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the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body 116 can be exposed. A variety of expressions may be provided so as to enhance the aesthetic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그리고, 슬라이딩공간(113)에 삽입되는 표시체(116)는 작동버턴(117)에 의하여 측방으로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이 어느정도 방지되는 데, 완벽한 방지를 위하여 격벽(119)으로 분할하여도 될 것이다.The display body 116 inserted into the sliding space 113 is prevented from being sidewardly moved or separated by the operation button 117. The partition 116 may be divided into the partition 119 for perfect prevention.

상기 격벽(119)은 표면(111)과 이면(112)을 종방향으로 열접착하여 표시구바디(114) 내부에 필요한 수 만큼 구획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되며, 이면(112)의 하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한 후 슬라이딩공간(113)과 슬로트(118)를 통하여 표시체(116)와 작동버턴(117)을 삽입한 후 하단부를 열접착 등의 방식으로 마감처리함으로서 표시체(116)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The partition wall 119 may be formed by thermally adhering the surface 111 and the back surface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artitioned as many as necessary inside the display body 114. The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112 may be opened The display body 116 and the operation button 117 are inserted through the sliding space 113 and the slot 118 and then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body 116 and the operation button 117 are finished by a method such as thermal bonding, So that it is not separated.

또한, 표시구바디(114)의 길이는 표시체(116)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슬로트(118) 또한 표시홀(115)을 통하여 표시체(116)에 표현된 숫자가 0에서 9까지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구바디(114)의 아래측에서 상측까지 형성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ength of the display body 114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isplay body 116 and the number of the characters represented by the display body 116 through the display hole 115 It is natural to form the display body 114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all of 0 to 9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100)의 각 구성품의 완성은 사출성형에 의한 조립, 다이캐스팅 성형을 통한 조립, 접철과 열접착에 의한 완성, 초음파접착 등과 같이 주지된 다양한 방식으로의 완성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설명이나 예시에 없더라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어느 하나로 한정하거나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omple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bookmark 100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accomplished in various known ways such as assembly by injection molding, assembly by die casting, completion by folding and thermal bonding, ultrasonic bonding,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precise embodiment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책갈피(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bookmark 100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below.

책갈피(100)를 구성하는 수납구(105)는 표지(101)의 표면 또는 내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수납구(105)에 표시구(110)를 수납하여 둔다.The receiving opening 105 constituting the bookmark 10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01 and the display 110 is stored in the receiving opening 105. [

이러한 상태에서 책을 이용하고, 최종적으로 이용한 페이지를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표시구(110)를 인출한 후 작동버턴(117)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겨서 표시체(116)를 표시구바디(114)에 격벽(119)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간(1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When the book is used in such a state and the last used page is to be displayed, the display element 110 is pulled out and then the operation button 117 is pushed or pulled by a finger to move the display element 116 to the display body 114, Down direction along the sliding space 113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119. [

그러면, 표시체(116)의 표면(111)에 표시된 0에서 9까지의 숫자 중 해당페이지의 숫자를 단단위에서 십단위, 백단위 또는 그 이상의 숫자가 표시구바디(114)의 표면에 형성되누 표시홀(115)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이용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age among the numbers 0 to 9 displayed on the surface 111 of the display body 116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dy 114, So that the used page can be displayed.

이와 같이 해당페이지의 표시가 완료된 후에는 표시구(110)를 수납구(105)에 수납시킨 후 책을 덮어두면 되고, 추후 해당 책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표시구(110)의 표시홀(115)에 표시된 숫자를 인식한 후 해당페이를 바로 찾아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page is completed, the display 110 may be stored in the receiving opening 105 and then covered with the book. When the user wishes to use the book, The user can recognize the number displayed on the screen and use the corresponding page immediately.

이러한 본 발명은 이용한 책 페이지를 숫자로 인식시켜 줌으로서 해당페이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면서 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책에 두 개의 책갈피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숫자로 표현할 때 현재 페이지 기록이 남게 되고 책을 읽은 후 페이지를 새로 기록하게 되므로 얼마나 많은 페이지를 읽었는지 쉽게 확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독서량에 대한 성취도를 높일 수 있고 독서량에 대한 목표를 수시로 세울 수 있어서 책 읽기에 긍정적인 재미를 부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k page used is recognized as a number, so that the page can be easily found and the boo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en two pages of bookmarks are used in one book and the pages are represented by numbers, This is because it allows you to easily check how many pages have been read since you will be able to read the book after you have read and read the book, so you can improve your reading achievement and set goals for reading volume from time to time. And the like.

100; 책갈피
105; 수납구
107; 수납구바디
110; 표시구
113; 술라이딩공간
114; 표시구바디
115; 표시홀
116; 표시체
117; 작동버턴
118; 슬로드
119; 격벽
100; bookmark
105; The receiving opening
107; Receiving body
110; Indicator
113; Sake Riding Area
114; Indicator body
115; Display hole
116; Display body
117; Operation button
118; Sled
119; septum

Claims (2)

상면에 형성되는 입구(106)를 제외한 양측과 하측이 막혀있는 수납구바디(107)와, 상기 수납구바디(107)의 내부에 입구(106)와 연통된 수용공간(108)을 형성하여 책의 표지(101)에 부착되는 수납구(105)와;
상기 수납구(105)에 수납되어 최종 책장의 페이지를 숫자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구(11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And a receiving space 108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06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 body 107. The receiving space 108 communicates with the entrance 106 of the book 106, (105) which is attached to the housing (101);
And a display unit (110) which is housed in the receiving opening (105) and displays a page of the final bookcase in numeral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bookma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110)는, 표면(111)과 이면(112) 사이에 격벽(119)으로 슬라이딩공간(113)을 형성한 표시구바디(114)와;
상기 표시구바디(114)의 표면(111) 중간위치 횡방향으로는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홀(115)과;
상기 표시홀(115) 위치의 슬라이딩공간(113) 내부에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순차적으로 종방향으로 나열하여 삽입하는 표시체(116)와;
상기 표시체(116)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작동버턴(117)과;
상기 표시구바디(114)의 이면(112)에 각각의 표시홀(115) 중앙위치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작동버턴(117)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슬로트(118)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display body 114 having a sliding space 113 formed by a partition wall 119 between a front surface 111 and a back surface 112;
At least one display hole (115)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termediate the surface (111) of the display ball body (114);
A display body 116 for sequentially inserting numbers from 0 to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liding space 113 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hole 115;
An operation button 117 integrally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body 116;
And a slot 118 formed in the rear surface 112 of the display body 114 so as to be longitudinally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each display hole 115 and capable of moving the operation button 117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the bookmark.
KR1020170082562A 2017-06-29 2017-06-29 Book marker KR201900021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62A KR20190002113A (en) 2017-06-29 2017-06-29 Book ma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62A KR20190002113A (en) 2017-06-29 2017-06-29 Book ma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13A true KR20190002113A (en) 2019-01-08

Family

ID=6502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62A KR20190002113A (en) 2017-06-29 2017-06-29 Book mar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1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367B2 (en) Combination pen holder and bookmark/placesaver
KR20190002113A (en) Book marker
US6315484B1 (en) Information handler and project manager
KR200349481Y1 (en) Book having a holding function
Lee Colophons, reception, and Chinese painting
KR200382654Y1 (en) Book which stair typed pages are binded to both direction
US20090273889A1 (en) Bookfriend electronic bookmark
KR200392923Y1 (en) Sketchbook
KR200396975Y1 (en) Word book
KR20170000718U (en) bookmark with keeping part of memo paper
KR200385256Y1 (en) Notebook with label
Drain A sense of mission: Historic churches of the Southwest
KR100561021B1 (en) ruler
KR200427472Y1 (en) Bookmark for writing materials
KR910004162Y1 (en) Keeping case for name cards
KR200341678Y1 (en) ruler
KR20080062376A (en) A between the leaves of a book to possible taking notes
KR100399407B1 (en) Notebook having funtion of electronic notebook
KR200226517Y1 (en) Notebook having funtion of electronic notebook
KR200306590Y1 (en) book marker with magnifying glass
KR20150012330A (en) Easy-tear function notebook
Nelson Memory Lands: King Philip’s War and the Place of Violence in the Northeast
KR200237790Y1 (en) Book marker
KR200273715Y1 (en) The mobile phone and telephone dictionary
KR101159225B1 (en) Book-mark having many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