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070A -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70A
KR20190002070A KR1020170082433A KR20170082433A KR20190002070A KR 20190002070 A KR20190002070 A KR 20190002070A KR 1020170082433 A KR1020170082433 A KR 1020170082433A KR 20170082433 A KR20170082433 A KR 20170082433A KR 20190002070 A KR20190002070 A KR 2019000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connection unit
vehicle
connec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빈
Original Assignee
타입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입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입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070A/ko
Publication of KR2019000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4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후륜측 및 후륜측 서스펜션에 완충역할을 하는 제1, 2 완충부가 구비된 제1, 2 찬넬을 각각 설치하고 연결함으로써, 후륜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억제하여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후륜댐퍼{Rear damper for cargo vehicle}
본 발명은 화물차량용 후륜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11)이 구비된 차량(10)의 후륜측에 설치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서스펜션(미도시)에 결합되되, 하부에 제1 연결브라켓(111)이 형성되는 제1 찬넬(110);과,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차량(10)의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되, 하부에 제2 연결브라켓(131)이 형성되는 제2 찬넬(130);과,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유닛(140);과, 상기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을 연결하는 피스톤(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UV(Sport utility vehicle)이라함은 험한 도로에서 주행 능력이 뛰어나 각종 스포츠 활동에 적합한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을 말한다.
이와 같은 SUV는 넓은 뜻에서 레저용 차량인 RV(recreational vehicle)와 함께 다목적 차량인 MPV(multi-purpose vehicle)를 포함한다.
이러한 SUV는 어떠한 지형에서도 달릴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차량구조가 모두 사륜구동(4WD)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사륜구동이 바퀴 모두에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가속력을 분배함으로써 유효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차량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수동변속기나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것, 4기통이나 8기통 엔진을 장착한 것 등 다양한 모델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열선 내장형 가죽 시트, 리모컨 작동 시스템 따위와 같이 고급 세단에서나 발견할 수 있는 사양을 장착한 것도 있다.
한편, SUV는 뛰어난 주행 능력의 장점과 화물차량의 적재함을 결합시킨 화물용 SUV가 출시됨으로써, 사람의 이동뿐만 아니라 많은 양을 짐 또는 적재물의 이동이 가능해졌다.
한편, 이러한 화물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은 주행 중 승차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화물차용 운전석의 완충장치(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11138호)”는 운전석(100)의 하측에 시트의 완충을 위한 벨로우즈관(110)을 설치하며 상기 벨로우즈관(110)으로 에어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120)을 에어탱크(130)와 연결하여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운전석(100)이 지지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화물차용 운전석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측으로 공급관(120)이 연결되는 공급구(12)가 관통되며 상기 공급구(12)를 수직 관통되게 탄성스프링(14)에 의하여 탄지되며 작동레버(30)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공급구(12)를 연결 및 차단하는 관통 부(22) 및 하측에는 승강에 따라 배출구(16)와 일치되어 상기 배출구(16)를 개폐하는 배출공(24)이 관통되는 차단변(20)과, 상기 차단변(20)에 의하여 개폐되는 공급구(12)와 상반되게 개폐되는 배출구(16)가 일측으로 관통되고, 상기 배출구(16)가 상기 벨로우즈관(110)과 배출관(18)으로 연결되는 배출밸브(10)를 상기 에어탱크(130)에서 운전석(100) 하측의 벨로우즈관(110)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공급관(12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완충장치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압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착석시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화물차용 운전석의 완충장치”는 차량의 전륜쪽에만 완충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후륜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에 대한 완충장치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 전체적인 승차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1113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후륜측 및 후륜측 서스펜션에 완충역할을 하는 제1, 2 완충부가 구비된 제1, 2 찬넬을 각각 설치하고 연결함으로써, 후륜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억제하여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를 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는, 적재함(11)이 구비된 차량(10)의 후륜측에 설치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서스펜션(미도시)에 결합되되, 하부에 제1 연결브라켓(111)이 형성되는 제1 찬넬(110);과,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차량(10)의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되, 하부에 제2 연결브라켓(131)이 형성되는 제2 찬넬(130);과,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유닛(140);과, 상기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을 연결하는 피스톤(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유닛(12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홀더부(121)와, 상기 제1 홀더부(121)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과 볼팅결합되는 제1 완충부(122)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홀더부(141)의 내측에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과 볼팅결합되는 제2 완충부(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2 완충부(122, 142)는 우레탄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과 상기 제1 연결유닛(120) 사이에는 상기 제1 완충부(1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찬넬(110)의 내측에는 상기 서스펜션(미도시)과 상기 제1 찬넬(110)이 볼팅결합되도록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제1 볼트공(112)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후륜측 및 후륜측 서스펜션에 완충역할을 하는 제1, 2 완충부가 구비된 제1, 2 찬넬을 각각 설치하고 연결함으로써, 후륜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억제하여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의 구성 중 제1, 2 찬넬이 상,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의 구성 중 제1, 2 찬넬이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는 크게 제1 찬넬(110), 제1 연결유닛(120), 제2 찬넬(130), 제2 연결유닛(140) 및 피스톤(15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찬넬(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찬넬(11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10)의 후륜측 서스펜션(미도시)에 볼팅결합되는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찬넬(110)의 내측에는 상기 서스펜션(미도시)과 상기 제1 찬넬(110)이 볼팅결합되도록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제1 볼트공(112)이 타공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찬넬(110)의 하부에는 후술할 제1 연결유닛(120)이 상기 제1 찬넬(110)과 결합되도록 제1 연결브라켓(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의 전, 후면에는 상기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이 연결볼트(P) 및 너트(N)에 의해 볼팅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볼트(P)가 통과되는 제1 체결공(113)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찬넬(110)은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볼트(P)를 중심으로 좌, 우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서스펜션(미도시)에 상기 제1 찬넬(110) 조립시, 손쉽게 탈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1 연결유닛(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연결유닛(12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P) 및 상기 너트(N)에 의해 상기 제1 찬넬(110)과 결합되고, 후륜측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도록 완충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홀더부(121), 제1 완충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홀더부(12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원형틀로서, 후술할 제1 완충부(122)가 삽입되고, 후술할 피스톤(150)과 결합된다.
상기 제1 완충부(122)는 상기 제1 홀더부(1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차량(10)의 후륜측 부분에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의 완충자재로서, 우레탄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완충부(122)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완충부(122)가 상기 제1 홀더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찬넬(110)과 상기 제1 연결유닛(120)이 상기 연결볼트(P) 및 상기 너트(N)에 의해 볼팅결합되도록 제1 연결홀(123)이 타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과 상기 제1 연결유닛(120) 사이에는 상기 제1 완충부(1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0)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10)의 후륜측 부분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더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제2 찬넬(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찬넬(13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10)의 후륜측 프레임(미도시)에 볼팅결합되는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찬넬(110)의 좌, 우측에는 상기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제2 찬넬(130)이 볼팅결합되도록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제2 볼트공(132)이 타공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찬넬(130)의 하부에는 후술할 제2 연결유닛(140)이 상기 제2 찬넬(130)과 결합되도록 제2 연결브라켓(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의 전, 후면에는 상기 제2 연결유닛(140)과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이 연결볼트(P) 및 너트(N)에 의해 볼팅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볼트(P)가 통과되는 제2 체결공(133)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찬넬(130)은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볼트(P)를 중심으로 좌, 우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상기 제2 찬넬(130) 조립시, 손쉽게 탈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 연결유닛(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결유닛(14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P) 및 상기 너트(N)에 의해 상기 제2 찬넬(130)과 결합되고, 후륜측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도록 완충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홀더부(141), 제2 완충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홀더부(14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원형틀로서, 후술할 제2 완충부(142)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홀더부(121)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피스톤(150)과 결합된다.
상기 제2 완충부(142)는 상기 제2 홀더부(1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10)의 후륜측 부분에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의 완충자재로서, 우레탄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 완충부(142)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완충부(142)가 상기 제2 홀더부(1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찬넬(130)과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이 상기 연결볼트(P) 및 상기 너트(N)에 의해 볼팅결합되도록 제2 연결홀(143)이 타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피스톤(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을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제2 연결유닛(14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상기 차량(10)의 후륜측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해당하는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는 상기 차량(10)의 후륜측의 양쪽 바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 11: 적재함
100: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110: 제1 찬넬 111: 제1 연결브라켓
112: 제1 볼트공 113: 제1 체결공
120: 제1 연결유닛 121: 제1 홀더부
122: 제1 완충부 123: 제1 연결홀
130: 제2 찬넬 131: 제2 연결브라켓
132: 제2 볼트공 133: 제2 체결공
140: 제2 연결유닛 141: 제2 홀더부
142: 제2 완충부 143: 제2 연결홀
150: 피스톤
160: 탄성부재
P: 연결볼트 N: 너트

Claims (5)

  1. 적재함(11)이 구비된 차량(10)의 후륜측에 설치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서스펜션(미도시)에 결합되되, 하부에 제1 연결브라켓(111)이 형성되는 제1 찬넬(110);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유닛(120);
    상기 차량(10)의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되, 하부에 제2 연결브라켓(131)이 형성되는 제2 찬넬(130);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유닛(140);
    상기 제1 연결유닛(120)과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을 연결하는 피스톤(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닛(12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홀더부(121)와,
    상기 제1 홀더부(121)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과 볼팅결합되는 제1 완충부(122)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닛(14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홀더부(141)의 내측에 상기 제2 연결브라켓(131)과 볼팅결합되는 제2 완충부(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2 완충부(122, 142)는 우레탄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
  4.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브라켓(111)과 상기 제1 연결유닛(120) 사이에는 상기 제1 완충부(1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찬넬(110)의 내측에는 상기 서스펜션(미도시)과 상기 제1 찬넬(110)이 볼팅결합되도록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제1 볼트공(112)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후륜댐퍼(100).
KR1020170082433A 2017-06-29 2017-06-29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KR20190002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33A KR20190002070A (ko) 2017-06-29 2017-06-29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33A KR20190002070A (ko) 2017-06-29 2017-06-29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70A true KR20190002070A (ko) 2019-01-08

Family

ID=6502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33A KR20190002070A (ko) 2017-06-29 2017-06-29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900A (ko) * 2021-04-15 2022-10-24 김용로 차량용 전륜 듀얼 쇽업쇼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900A (ko) * 2021-04-15 2022-10-24 김용로 차량용 전륜 듀얼 쇽업쇼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1749A1 (en) Dual-rate leaf spring suspension for a vehicle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US20020038929A1 (en) Shock absorber
US10717476B2 (en) Cab mounting apparatus for commercial vehicle
US20140042776A1 (en) Vehicle with angled link cab suspension
US7625000B2 (en) Variable ratio floating suspension system
US20070267259A1 (en) Rear suspension eyelet mount shock assembly
US11298999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US6834865B1 (en) Horizontal balance control system of motor vehicle
US5823552A (en) Strut type rear suspension
US5265907A (en) Auxiliary suspension assembly for Ford "F" and "E" series trucks
KR20190002070A (ko) 화물차량용 후륜댐퍼
US10065470B2 (en) Suspension of front double-axle vehicle
KR20150113250A (ko) 판스프링타입 서스펜션장치
CN110525146A (zh) 一种轻型水陆两栖车的半承载式车架
KR101154690B1 (ko)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암 부시
US20080157565A1 (en) Vehicle Cab Suspension
US11548336B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bound control for a vehicle
KR20140019502A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100857362B1 (ko) 자동차용 리프스프링
KR100193669B1 (ko) 자동차용 센터링 웰드 너트
US10300757B2 (en) Hydraulic mount apparatus and a suspension system that utilizes the hydraulic mount apparatus
WO2023006822A1 (en) Fluid bump stop system for a multilink suspension
CN105252977A (zh) 半挂车悬置牵引装置
KR20080101525A (ko) 자동차 리어 서스펜션 레터럴 로드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