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69U -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 Google Patents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69U
KR20190001969U KR2020190000243U KR20190000243U KR20190001969U KR 20190001969 U KR20190001969 U KR 20190001969U KR 2020190000243 U KR2020190000243 U KR 2020190000243U KR 20190000243 U KR20190000243 U KR 20190000243U KR 20190001969 U KR20190001969 U KR 201900019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toothbrush
teeth
lengt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인
박명희
최관락
Original Assignee
오세인
최관락
박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인, 최관락, 박명희 filed Critical 오세인
Publication of KR20190001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69U/en
Priority to KR2020220001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99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치실이 필요없도록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이 개시된다. 상기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치아 내측에서 치아 사이로 삽입시키면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치아 사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종단부의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뒤측으로 진입하고, 가로 방향으로 양치하면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의 상단,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번에 감쌀 수 있다. A toothbrush having bristles of different lengths is disclosed so that no dental floss is needed. The toothbrush includes a toothbrush head and a support connected to the toothbrush head, and a toothbrush head having first and second bristles formed on the support. Wherein the second bristles are bristles on the inside of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s are outermost bristl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less than 70%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eth, and the first bristles at the end of the first bristles enter the back of the molar, The first bristles are inserted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and the first bristles can wrap the top,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all at once.

Description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Toothbrush with different length of bristles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본 고안은 길이가 다른 칫소모들을 가지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toothbrushes of different lengths.

일반적으로, 칫솔의 칫솔모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를 가진다. 이 경우, 양치시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어느 정도는 제거할 수 있으나, 치아 사이에 꽉 낀 이물질 등은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즉,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힘들다. Generally,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have the same or similar length. In this case, a foreign body placed between the teeth can be removed to some extent, but foreign substances tightly caught between the teeth are hardly removed. That i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foreign matter.

또한, 상기 칫솔은 내측의 칫솔모가 외측의 칫솔모의 동작을 방해하므로,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에 생기는 치석을 제거할 수가 없어서 풍치가 생길 확률이 높다. In addition, the toothbrush is because the inner bristles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outer bristles,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the tartar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eeth and gum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appearance.

결과적으로, 치실 등을 별도로 사용하여야 했고, 양치를 하더라도 충치 예방이 어려웠으며, 따라서 충치로 인하여 고가의 치과 치료를 자주 받아야만 한다. As a result, dental floss should be used separately, and prevention of tooth decay is difficult even if tooth brushing is done, and therefore expensive dental treatment must be frequently received due to tooth decay.

게다가, 양치 후 이물질 및 치약이 칫솔모들 사이에 끼는 경우가 많으며, 칫솔을 물로 씻더라도 이러한 이물질 및 치약이 잘 제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칫솔이 오염되게 되며, 따라서 오염된 칫솔을 사용함에 따라 잇몸 등이 상할 수 있었다. Moreover,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are often caught between the bristles after brushing, and even if the toothbrush is washed with water, these foreign substances and toothpaste are not removed well. As a result, the toothbrush becomes contaminated over time and, as a result, the use of contaminated toothbrushes could damage the gums.

KRKR 10-2017-008272510-2017-0082725 AA

본 고안은 치실이 필요없도록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having bristles of different lengths so that no dental floss is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치아 내측에서 치아 사이로 삽입시키면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치아 사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종단부의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뒤측으로 진입하고, 가로 방향으로 양치하면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의 상단,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번에 감쌀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othbrush bar; And a toothbrush head having first bristles and second bristles formed on the support. Wherein the second bristles are bristles on the inside of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s are outermost bristl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less than 70%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eth, and the first bristles at the end of the first bristles enter the back of the molar, The first bristles are inserted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and the first bristles can wrap the top,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all at onc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치아 내측에서 치아 사이로 삽입시키면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치아 사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종단부의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뒤측으로 진입하고, 가로 방향으로 양치하면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의 상단,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번에 감쌀 수 있다.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And first bristles and second bristles formed on the support. Wherein the second bristles are bristles on the inside of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s are outermost bristl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less than 70%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eth, and the first bristles at the end of the first bristles enter the back of the molar, The first bristles are inserted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and the first bristles can wrap the top,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all at once.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제 2 칫솔모의 길이가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며, 그 결과 양치시 상기 제 1 칫솔모가 실질적으로 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상기 제 1 칫솔모가 휘어지고, 그런 후 휘어진 힘을 가지고 제 1 칫솔모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양치를 하면 치아에 이물질이 남지 않으며, 따라서 효율적인 충치 예방이 가능하다.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7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and as a result, the first bristles can be substantially wiped out when brushing teeth. Specifically, the first bristles are bent at the time of brushing, and then the first bristles are pushed against th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with the bent force, or inserted between the teeth to remove foreign matter. Therefore, toothbrushing does not leave any foreign matter on the tooth, so effective tooth decay prevention is possible.

또한, 제 2 칫솔모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 1 칫솔모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석이 생기지 않아서 풍치가 예방되고, 그 결과 잇몸이 튼튼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bristles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because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short, no tartar is formed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and the taste can be prevented. .

게다가, 상기 제 2 칫솔모들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양치후 칫솔모들 사이에 삽입된 이물질 및 치약을 용이하게 잘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칫솔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short,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inserted between the bristles after tooth brushing. As a result, contamination of the toothbrush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A 부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칫솔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칫솔모의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칫솔대는 생략하였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칫솔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outermost brush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mparative structure (part A) of the outermost bristles and the inner bris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foreign material removal process using the toothbrush.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secon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structure between the outermost bristles and the inner bris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oothbrush bars are omitted.
12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the bristle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ing ",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he terms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고안은 치실이 필요없고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며 풍치를 예방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which does not need dental floss and can complet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eeth and prevent the appearance.

치실이 필요없다고 광고하는 기존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어느 정도 제거하기는 하나 양치 후에도 치아 사이에 이물질이 많이 남는다. Existing toothbrushes that advertise that they do not need floss do remove some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teeth, but there is a lot of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even after tooth brushing.

또한, 칫솔모들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칫솔모가 주변 칫솔모들에 의해 방해받기 때문에 칫솔모가 쓸어지지 않아서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거의 제거할 수가 없다. 결과적으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이물질이 남아 풍치가 발생하며, 그 결과 잇몸이 약해지게 된다. Further, since the bristles have the same length, the bristles are not wiped off because the bristles are disturbed by the surrounding bristles, so that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can hardly be removed. As a result, foreign matter remains between the teeth and gums, resulting in weakness of the gums.

게다가, 양치한 후 칫솔을 물로 세척할지라도, 칫솔모들 사이로 침투하여 칫솔 헤드의 바닥에 쌓인 침투한 이물질 및 치약이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칫솔 자체가 오염되기 쉬워서 칫솔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치아 및 잇몸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toothbrush is washed with water after brushing, infiltrated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that have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toothbrush head are penetrated through the bristles, and the toothpaste is hardly removed. As a result, the toothbrush itself is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and continued use of the toothbrush can adversely affect the teeth and gums.

반면에, 본 고안의 칫솔은 실질적으로 쓸어질 수 있는 칫솔모를 가지며, 그 결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칫솔은 치아 사이에 강하게 낀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실이 필요없고 별도로 치간 칫솔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istles that can be wiped substantially, as a result can complet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which was confirmed through the actual experiment. Particularly, the toothbrush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strongly stuck between the teeth. As a result, no floss is needed and there is no need to use an interdental toothbrush separately.

또한, 내측의 칫솔모의 길이가 최외각 칫솔모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기 때문에, 최외각 칫솔모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내측의 칫솔모가 방해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최외각 칫솔모를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잘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이물질이 남지 않아서 풍치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최외각 칫솔모가 쓸어지기 때문에 잇몸에 걸쳐서 양치를 하더라도 잇몸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bristles on the inside is muc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outermost bristles, the bristles on the inside are not disturbed when the outermost bristles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As a result, the outermost bristles can be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and as a result, no foreign matter remains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so that the tast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outermost bristles are swept away, even if brushing over the gums, the gums may not be scratched.

게다가, 양치 후 칫솔 자체를 세척하면, 일부 칫솔모의 길이가 상당히 짧아서 칫솔모들 사이로 침투한 이물질 및 치약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며, 칫솔 자체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toothbrush itself is cleaned after tooth brushing, the length of some bristles is considerably short, so that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that have penetrated through the bristles are almost completely removed, and contamination of the toothbrush itself can be prevented.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A 부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칫솔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칫솔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outermost brush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orm of. 4 is a view showing a comparative structure (part A) of the outermost bristle and the inner bris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foreign matter using the toothbrush. 15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100) 및 칫솔 헤드(102)를 포함한다. 칫솔대(100)의 형상은 도 1의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기존의 칫솔대를 채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othbrush 100 and a toothbrush head 102. The shape of the toothbrush holder 10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1,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a conventional toothbrush holder may be employed.

칫솔 헤드(102)는 지지부(110), 제 1 칫솔모들(120) 및 제 2 칫솔모들(122)을 포함한다. The toothbrush head 102 includes a support 110, first bristles 120, and second bristles 122.

제 1 칫솔모들(120)은 예를 들어 타원 형상을 가지고 지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칫솔모들(120)은 지지부(110)의 홀들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bristles 12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for example, and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110. For example, the first bristles 12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es of the support 1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칫솔모들(120)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일반 칫솔의 칫솔모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bristles 120 are the outermost bristles, and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length as the bristles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제 2 칫솔모들(122)은 제 1 칫솔모들(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칫솔모들이며, 일반 칫솔의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bristles 122 are bristles located within the first bristles 120 and may have a length less than the bristles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즉, 본 고안의 칫솔에서, 내부 칫솔모인 제 2 칫솔모들(122)은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칫솔모들(12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제 2 칫솔모들(122)의 길이를 제 1 칫솔모들(1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양치시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칫솔모들(120)이 큰 복원력을 가지고 쓸어지도록 동작시키기 위해서이다. That is, 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ristles 122 which are internal bristles may have a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bristles 120 which are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120 in order to operate the first bristles 120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during brushing to sweep away with a large restoring force to b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는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약 7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최적으로는 42%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can be about 70% or less, preferably 50% or less, and most preferably 42% or less of the length h1 of the first bristles 120. [ ≪ / RTI >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를 초과하면, 양치시 제 1 칫솔모(120)가 쓸어지더라도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가 어렵다. 이는 제 1 칫솔모(120)가 충분한 복원력(탄성력)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릴 수 없고 제 1 칫솔모(120)가 치아 사이의 공간으로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If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exceeds 70% of the length h1 of the first bristles 120, even if the first bristles 120 are wiped out,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can be sufficiently removed Is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 first bristles 120 can not strike foreign objects between teeth with sufficient restoring force (elastic force) and the first bristles 120 can not be inserted properly into the space between the teeth.

물론,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약 70% 내지 50%일 때에는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약 50% 이하일 때에 비하여 쓸어지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파고드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나,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를 초과할 때에 비하여 효과가 높으며, 충분한 정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Of course, when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about 70% to 50% of the length h1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greater than the length h2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may be less than the length h2 of the first bristles 120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less than about 50% of the length h1 of the first bristles 120. However, , The effect is higher than that when the length h1 is more than 70% of the length h1, and a sufficient degree of foreign matter can be removed.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를 초과하면, 제 1 칫솔모(120)가 치아를 쓸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파고드는 효과가 실질적으로 미미하다. 즉, 칫솔모들이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약간의 길이 차이를 가지는 칫솔은 실질적으로 쓸어지도록 동작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가 없으며, 특히 강하게 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거의 제거하기가 불가능하다. If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exceeds 70% of the length h1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first bristles 120 may be used to sweep the teeth or to move between the teeth or between the teeth and gums The padding effect is practically insignificant. That is, toothbrushes that all have the same length or have a slight difference in length do not operate to substantially sweep away. As a result,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can not be sufficiently removed, an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strongly-wetted teeth.

반면에,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면, 양치시 제 1 칫솔모(120)가 충분히 쓸면서 치아를 닦아나가며, 그 결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제 2 칫솔모들(122)은 치아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긴 제 1 칫솔모들(120)이 치아를 쓸게 된다. 결과적으로, 휘어진 제 1 칫솔모(120)가 높은 복원력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게 되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 h2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70% or less,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length h1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first bristles 120 So that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can be almost completely removed. Specifically, when brushing, the second bristles 122 do not touch the tooth surface so that the first long bristles 120 sweep the teeth. As a result, the bent first bristle 120 has a high restoring force to hit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can be sufficiently removed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또한, 제 2 칫솔모(122)의 길이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에 비하여 상당히 짧기 때문에,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칫솔모(122)를 치아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시킬 경우 제 2 칫솔모(122)가 치아를 관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칫솔모(122)가 치실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Further,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considerab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second bristles 122 are inser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ooth as shown in Fig. 15 (A) The second bristles 122 can penetrate through the teeth. As a result, the second bristles 122 can function as a dental floss,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floss or interdental toothbrush.

이러한 칫솔의 동작은 칫솔의 구조를 더 살펴본 후 상술하겠다. The operation of such a toothbrush will be described after further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 toothbrush.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칫솔모(120)와 제 2 칫솔모(122)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bristles 120 and the second bristles 122 may have the same width,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만, 제 1 칫솔모(120)의 쓰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 1 칫솔모(120)는 부드러운 솔들 또는 극세사 솔들로 이루어질 지는 반면에, 제 2 칫솔모(122)는 제 1 칫솔모(120)보다 강한 솔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즉, 제 2 칫솔모(122)의 강도가 제 1 칫솔모(120)의 강도보다 높을 수 있다.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first bristles 120 are made of soft bristles or microfibers, while the second bristles 122 are made of stronger bristles than the first bristles 120, The str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may be higher than the strength of the first bristles 120. [

또한, 쓰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제 1 칫솔모(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삼각형 형태로 된 제 1 솔들(300) 및 제 1 솔(30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제 2 솔들(302)로 이루어진 이중모일 수 있다. In order to maximize the writing effect, the first bristles 120 include first bristles 300 having a triangular end shape and second bristles 300 having a smaller length than the first bristles 300, (302). ≪ / RTI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는 제 1 칫솔모(120)의 제 1 솔(300)의 길이의 약 42%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솔(302)의 길이의 약 5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솔(300)은 1.2㎝이고, 제 2 솔(302)은 1㎝이며, 제 2 칫솔모(120)는 0.5㎝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bristles 122 may have a length of less than or equal to about 42%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300 of the first bristles 120, And may have a length of 50% or less. For example, the first brush 300 may be 1.2 cm, the second brush 302 may be 1 cm, and the second bristles 120 may be 0.5 cm.

칫솔모들의 전체적인 배열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102)의 폭 방향으로 최대 5개 이상의 칫솔모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일반 칫솔의 경우 세로로 4개의 칫솔모들이 배열된다. 이렇게 기존 칫솔보다 1개 이상의 칫솔모를 더 배열하는 것은 제 2 칫솔모들(122)의 공간이 넓어지면 제 1 칫솔모들(120)의 쓰는 효과가 더 높아지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Looking at the overall arrangement of the bristles, up to five or more bristles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othbrush head 102,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a general toothbrush, four bristles are arranged vertically. The arrangement of one or more bristles more tha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further increases the effect of the first bristles 120 when the space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wider and facilitates removal of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Because.

한편, 위에서는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2)의 길이만을 길게 형성하였으나 최외각 바로 안쪽의 칫솔모들의 길이도 길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쓰는 효과가 있긴 하나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치아 사이의 이물질 제거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only the outermost first bristles 122 are long, the length of the bristles just inside the outermost periphery may be long. In this case, although it has the effect of being used, it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refore, the effect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may be deteriorated.

또한, 외각의 칫솔모들을 짧게 하고 내측의 칫솔모들을 길게 구현할 수도 있으나, 쓸어지는 칫솔모들의 면적이 작아지면서 최외각 칫솔모들을 길게 하였을 때에 비하여 이물질 제거 효과가 떨어지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bristles on the outer side are shortened and the bristles on the inner side are long, the area of the bristles to be wiped is small,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oreign substance is lower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 is lowered do.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칫솔 헤드(102)의 폭 방향으로 최대 5개의 이상의 칫솔모들을 배열하면서, 내부의 제 2 칫솔모들(122)의 길이를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0)의 길이의 50% 이하로 구현하는 것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이다. The total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within the first bristles 12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50%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120 in the outermost Is effective i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의 제 2 칫솔모들은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되, 외각, 특히 최외각에는 제 1 칫솔모들 외에도 제 3 칫솔모들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최외각에는 길이가 다른 제 1 칫솔모와 제 3 칫솔모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칫솔모들의 쓰는 효과가 더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칫솔모는 상기 제 2 칫솔모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second bristles have a length of less than about 70% of the first outermost bristles, and the outer bristles, in particular the outermost bristles, may be arranged in addition to the first bristles. The third bristles may have a length of 70% or less,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The third bristles may have a circular, elliptical, or rectangular shape with the first bristles and may alternate with the first bristles Lt; / RTI > That is, the first bristles and the third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In this case, the writing effect of the first bristles can be further increased. Meanwhile, the third bristles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bristles or may have different lengths.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에서는, 긴 칫솔모들 내측 또는 외측에 짧은 칫솔모들이 배열되며, 쓰는 효과를 위하여 짧은 칫솔모의 길이는 긴 칫솔모의 길이의 약 70% 이하일 수 있다. In short, in the toothbrush of this embodiment, short bristles are arranged inside or outside the long bristles, and the length of the short bristles may be less than about 70% of the length of the long bristles for a writing effect.

다른 관점에서는, 쓰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긴 칫솔모에 이웃하는 칫솔모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칫솔모를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의 이웃하는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긴 칫솔모에 이웃하는 칫솔모가 긴 칫솔모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한, 칫솔모들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bristles adjacent to the long bristles may have short lengths to maximize the writing effect. For example, at least one, preferably all, of the neighboring bristles in the north, south, east, and south directions relative to the long bristles may have a short length. That is, as long as the bristles adjacent to the long bristles have a length of about 7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bristles, the structure of the bristles can be variously modified.

또 다른 관점에서는, 긴 칫솔모들 사이에 짧은 칫솔모가 배열되지 않고 빈 공간이 배열될 수 있다. 즉, 짧은 칫솔모를 빈 공간이 대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쓰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In yet another aspect, the void space may be arranged without short bristles arranged between the long bristles. That is, short bristles can be replaced by empty spaces. As a result, the writing effect can be maximiz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5, 도 6 및 도 15를 참조하여 양치시의 칫솔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othbrush during tooth brush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6, and 15. FIG.

기존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양치시 칫솔모들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인다. 즉, 내측의 칫솔모들로 인하여 칫솔모들이 치아를 쓸거나 치아 사이의 공간으로 거의 삽입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잘 제거할 수가 없었다. 특히, 상기 칫솔은 치아 사이에 꽉 낀 이물질을 거의 제거할 수가 없다. 전체적으로 볼 때, 기존 칫솔은 단순 평면만을 닦을 수 있을 뿐이어서 복잡하고 요철 굴곡이 심한 치아를 양치하는데는 부적합하다. When an existing toothbrush is used, the bristles move as shown in Fig. 5 (C) when brushing the toothbrush. That is, due to the inner bristles, the bristles do not sweep the teeth or are hardly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eeth. As a result, the toothbrush could not remove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well. Particularly, the toothbrush can hardly remove foreign substances tightly caught between the teeth. Overall, existing toothbrushes can only clean simple planes, making them unsuitable for brushing teeth that are complex and severely curved.

또한, 기존 칫솔은 도 5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공간(510)으로 칫솔모가 삽입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칫솔은 치아와 잇몸 사이를 실질적으로 양치할 수 없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the bristles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space 510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as shown in FIGS. 5 (D) and 5 (E). As a result, existing toothbrushes can not substantially brush between tooth and gum.

반면에, 본 고안의 칫솔의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칫솔모들(120)이 휘어지면서 치아(500)를 쓸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5, the first bristles 120 are bent to use the tooth 500.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휘어졌던 제 1 칫솔모(120a)가 칫솔의 이동에 따라 큰 복원력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제 1 칫솔모(120b)가 치아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치아의 외측으로 튀어 제거되거나 내측으로 밀려 제거된다. 즉, 본 고안의 칫솔은 복잡하고 요철 굴곡이 심한 치아를 양치하는데 적합하다. Specifically, the first bristles 120a bent at the time of toothbrushing have a large restoring force to hit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with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or the first bristles 120b ar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eeth.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teeth and removed or pushed inward. That is,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brushing teeth with complicated and uneven curv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의 길이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기 때문에, 제 1 칫솔모(120)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되고, 특히 30도 이상(α), 예를 들어 70도 이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제 1 칫솔모들(120) 중 적어도 하나는 양치시 70도 이상 휘어지며, 그 결과 제 1 칫솔모들(120)은 칫솔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휘어진 힘(복원력)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를 파고들어 간다. 칫솔모들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길이를 가졌던 기존의 칫솔들에서는 불가능한 구조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first bristles 120 are bent as shown in Figure 5 (B) Particularly, more than 30 degrees (?), For example, 70 degrees or more.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120 is warped by more than 70 degrees when brushing, and as a result, the first bristles 120 hit the foreign material between teeth with the bent force (restoring force) as the toothbrush moves I dig in between the teeth. It is a structure that is not possible with conventional toothbrushes in which the bristles have the same or nearly similar length.

또한, 상기 칫솔은 가운데가 파진 구조이므로, 가로 방향으로 양치를 하면 도 5의 (F) 및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칫솔모들(122)이 벌어지면서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로 파고들어간다. 결과적으로,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에 낀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어서 풍치가 예방될 수 있다. 치과 의사는 가로 방향으로 양치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데 이는 기존 칫솔로는 가로 방향 양치시 치아면이 닳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칫솔은 짧은 제 2 칫솔모(122)가 치아면에 닿지 않기 때문에, 즉 긴 제 1 칫솔모(120)만 치아면에 닿기 때문에, 가로 방향 양치를 하더라도 치아면이 거의 닳지 않는다. 따라서, 가로 방향 양치도 가능할 수 있다. 5 (F) and FIG. 15 (B), when the second bristles 122 are opened, the teeth 500 and the bristles And digs into the gums (502). As a result, the foreign matter trapped between the tooth 500 and the gum 502 can be removed, so that the taste can be prevented. The dentist does not recommend brushing in the lateral direction because the tooth surface is worn out when the toothbrush is br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However, 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short bristle 122 does not touch the tooth surface, that is, only the long first bristle 120 touches the tooth surface, the tooth surface is hardly worn even when transversely brushed. Therefore, lateral tooth brushing can also be possible.

또한, 제 1 칫솔모(120)가 잇몸 영역(C)에 직접적으로 닿더라도 양치시 제 1 칫솔모(120)가 잇몸을 쓸면서 마사지하므로 잇몸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칫솔은 잇몸 마사지를 하면서 동시에 양치도 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칫솔에서는 칫솔모들이 휘어지지 못한 채로 잇몸에 닿으므로 잇몸에 상처를 주기 쉬웠다. 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bristles 120 directly contact the gum area C, since the first bristles 120 massage the gums while brushing the teeth, scratches do not occur on the gums. In other words,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rush teeth while massaging the gums.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since the bristles touch the gums without bending, it is easy to damage the gums.

또한,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0)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치아 사이 공간 중 공간이 작은 잇몸(502) 근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bristles 120 of the outermost tooth are long, foreign substances in the vicinity of the gum 502 having a small space in the inter-tooth space can be easily removed.

가로 방향 양치와 세로 방향 양치로 구분하면, 가로 방향 양치의 경우에는 제 1 칫솔모들(120)이 치아와 잇몸(502) 사이를 파고들어 치아와 잇몸(502)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하며, 가로 방향 양치와 세로 방향 양치 모두 긴 제 1 칫솔모들(120)이 치아 사이를 파고들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려주므로 치아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The first bristles 120 pierce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502 in the case of the transversely bristles, and are excellent i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502. In the case of transverse bristles, The first bristles 120 having long teeth in both the direction brushing teeth and the brushing tee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ke a break between the teeth and strike a foreign body between the teeth, so that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is excell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가 제 1 칫솔모(120)보다 상당히 짧기 때문에,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내측에서 제 2 칫솔모(122)를 치아 사이로 삽입시키면 제 2 칫솔모(122)가 치아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제 2 칫솔모(122)가 치실 기능을 수행하며, 그 결과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치간 이물질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양치만으로 스케일링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the second bristles 122 are considerably shorter than the first bristles 120, when the second bristles 122 are inserted into the teeth from the inside of the teeth as shown in Fig. 15 (A) The second bristles 122 can penetrate between the teeth. That is, the second bristles 122 perform a dental function, and as a result, foreign matter in the interdental spaces can be easily and reliably removed without separately using a toothbrush or an interdental toothbrush. In addition,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that obtained by scaling only with brushing.

한편, 가운데에 배열된 제 2 칫솔모(122)가 제 1 칫솔모(120)에 비하여 길이가 상당히 짧음에 따라 가운데가 파진 구조를 형성하므로, 제 1 칫솔모들(120)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500)를 감쌀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아(500)의 3면 양치(치아 상단, 내측면 및 외측면 양치)가 한번에 가능할 수 있다. 기존 칫솔에서는 불가능하다. Since the second bristles 122 arranged in the center are formed to have a middle structure as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is considerably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bristles 120, The teeth 500 may be wrapped as shown. As a result, three tooth follicles (teeth upper, inner and outer flank teeth) of the tooth 500 may be possible at a time. It is impossible with existing toothbrushes.

또한, 3면 양치 상태로 칫솔을 어금니(500a)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도 6의 (D) 및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칫솔모들(120) 중 끝단의 제 1 칫솔모가 어금니(500a) 뒷측(내측)으로 진입할 수가 있어서 어금니(500a) 뒷측의 양치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랑니의 양치도 가능하다. 물론, 본 고안의 칫솔은 어금니(500a) 뒤측 뿐만 아니라 어금니(500a) 주변의 양치도 가능하다. 반면에, 기존 칫솔은 3면 양치도 불가능할뿐만 아니라 칫솔을 어금니 방향으로 넣더라도 칫솔모가 어금니 뒷측으로 진입할 수가 없어서 어금니 뒤측 양치가 불가능하다. 6 (D) and 15 (C), when the toothbrush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molar teeth 500a in the three-tooth furrow state, the first bristles at the ends of the first bristles 120 It is possible to enter the rear side (inside) of the molar teeth 500a, so that it is possible to brush the teeth on the back side of the molar teeth 500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rush the wisdom tooth. Of course,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ossible to brush teeth around the molar (500a) as well as the back of the molar (500a). On the other hand, existing toothbrushes are not only incapable of toothbrushing on three sides, but even when the toothbrush is inserted in the molar direction, the bristles can not enter the rear side of the molar teeth, and toothbrushing on the back side is impossible.

정리하면, 본 고안의 칫솔은 가로 방향 양치, 세로 방향 양치, 3면 양치, 어금니 양치, 치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칫솔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all-in-one 칫솔이다. In summary,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verse brushing, longitudinal brushing, three-sided brushing, molar brushing, dental floss. That is, the toothbrush is an all-in-one toothbrush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일반적으로 충치는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일반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이 치아에 남고 칫솔 자체가 오염원으로 동작하므로, 충치 발생 확률이 높다. 따라서, 양치를 많이 하더라도 충치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고가의 치과 치료를 받아야만 하며, 그 결과 치과 치료 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다. Generally, tooth decay occurs because foreign substances are not properly removed. When using a general toothbrush, foreign substances remain in the tooth and the toothbrush itself acts as a pollutant, so the probability of caries is high. Therefore, even if toothbrushing is performed a lot, tooth decay easily occurs and expensive dental treatment is required, resulting in a high cost for dental treatment.

반면에, 본 고안의 칫솔을 사용하면 이물질이 거의 완벽히 제거되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할 확률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양치만 잘해도 충치를 방지할 수가 있어서 치과 치료 횟수가 적어지고 치과 치료로 인한 비용이 상당히 절감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se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completely removed, it is possible to innovatively improve the probability of tooth decay. In other words, even if the toothbrush is well-dressed, it can prevent tooth decay, reducing the number of dental treatments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of dental treatment.

한편, 위에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칫솔 헤드와 칫솔대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칫솔 헤드만 교체하여 칫솔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mentioned above, the toothbrush head and the toothbrush handle may be detachable. Therefore, the toothbrush can be used by replacing only the toothbrush head if necessary.

칫솔 세척을 살펴보면, 제 1 칫솔모(120) 내측의 제 2 칫솔모(122)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양치 후 이물질 및 치약이 제 2 칫솔모들(122) 위에 놓이더라도 물로 용이하게 이물질 및 치약을 제거할 수가 있다. 즉, 양치하더라도 칫솔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the toothbrush cleaning,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 on the inside of the first bristles 120 is short, even if foreign substances and toothpaste are placed on the second bristles 122,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can be easily removed with water There is a number. That is, the toothbrush can be hygienically managed even if it is toothbrushing.

반면에, 종래의 칫솔은, 세척하더라도 칫솔모들 사이에 이물질 및 치약이 많이 남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 및 치약이 잘 제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당히 비위생적이고 잇몸을 상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even if the toothbrush is washed, much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are left between the bristles, and such foreign matter and toothpaste are not removed well. As a result, it is quite unsanitary and causes gums.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칫솔모의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second brist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칫솔모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제 2 칫솔모들(122a, 122b 및 122c)은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곡선(C)을 형성하도록 제 2 칫솔모들(122a, 122b 및 122c)이 배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bristles 122a, 122b, and 122c having a length of less than about 70% of the first bristle may have different lengths, for example, 122a, 122b and 122c may be arrang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선(C)의 곡률은 치아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치시 제 2 칫솔모들이 치아를 더 밀착하여 감쌀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urvature of the curve C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urvature of the tooth. As a result, the second bristles can wrap the teeth more closely when brushing teeth.

한편, 제 2 칫솔모들(122a, 122b 및 122c)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제 2 칫솔모(122a)의 길이가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22a having the longest length among the second bristles 122a, 122b, and 122c is 7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800), 지지부(810) 및 칫솔모들(820)을 포함한다. 8, the toothbrush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toothbrush 800, a support 810, and bristles 820. As shown in FI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칫솔은 전동 칫솔일 수 있으며, 지지부(810)와 칫솔대(800)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oothbrush may be a powered toothbrush, and the support 810 and the toothbrush 800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예를 들어, 칫솔대(800)의 상단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지지부(810)의 일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칫솔대(800)와 지지부(810)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모터에 의해 지지부(810)가 회전할 수 있다. For example, 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holder 800, and a male screw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support 810 to separate the toothbrush holder 800 and the support 810 from each other. Of course, the support portion 810 can be rotated by the motor.

다른 예로, 지지부(810)가 전동 방식이 아니더라도 수동으로 칫솔대(8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법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어느 기술이든 적용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8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othbrush 800 manually, even if not electrically powered. Various techniques exist for this combination method, and any technique is applicable.

칫솔모들(8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칫솔모들(820)은 일반 전동 칫솔의 최외각 칫솔모들에 해당할 수 있다. The bristles 820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elliptical or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Here, the bristles 820 may correspond to the outermost bristles of a conventional powered toothbrus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외각 칫솔모들 내부에 다른 칫솔모들이 존재하는 일반 전동 칫솔과 달리, 본 실시예의 칫솔에서는 칫솔모들(820)의 내측 공간(e)에는 어떤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것은 양치시 지지부(81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므로, 내부에 칫솔모들이 없더라도 양호한 양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is no bristles in the inner space e of the bristles 820 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a general powered toothbrush in which there are other bristles within the outermost bristles. This is because the supporting portion 810 rotates as shown in Fig. 8 when brushing the tooth, so that good brushing is possible even without bristles inside.

지지부(810)가 회전하는 칫솔도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칫솔모들(820)이 치아를 쓸게 된다. 특히, 칫솔모들(820)이 상당히 휘어지고 휘어진 힘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밀어내므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bristles 820 sweep teeth as the supporting portion 810 rotates. Particularly, since the bristles 820 are significantly bent and hit the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teeth with the bent force or inserted between the teeth to push the foreign matter,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can be completely removed.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structure of the outermost brush head and the inner brush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예를 들어 전동 칫솔로서, 칫솔대(900), 지지부(910), 제 1 칫솔모들(920) 및 제 2 칫솔모들(922)을 포함한다. 9, the toothbrush of this embodiment is, for example, a powered toothbrush, including a toothbrush 900, a support 910, first bristles 920 and second bristles 922.

제 1 칫솔모들(920)은 최외각 칫솔모들이고, 제 2 칫솔모들(922)은 제 1 칫솔모들(920) 내측의 칫솔모들이다. The first bristles 920 are the outermost bristles and the second bristles 922 are the bristles inside the first bristles 920.

제 2 치솔모(922)의 길이(h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칫솔모(920)의 길이(h3)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일 수 있다. The length h4 of the second toothbrush bristle 922 may be 70% or less,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length h3 of the first bristles 920 as shown in FIG.

칫솔의 동작 및 효과는 위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toothbrush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칫솔대는 생략하였다. 11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oothbrush was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지지부(1110), 제 1 칫솔모들(1120) 및 제 2 칫솔모들(1122)를 포함한다. 11, the toothbrush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portion 1110, first bristles 1120, and second bristles 1122. As shown in FIG.

제 1 칫솔모들(1120)은 긴 칫솔모로서 지지부(1110)의 외측에 배열된다. 여기서, 제 1 칫솔모들(1120)의 내부 공간에는 어떠한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bristles 1120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1110 as long bristles. Here, no bristles may be present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ristles 1120.

제 1 칫솔모들(1120)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칫솔모들(1120) 사이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122)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칫솔모(1122)는 제 1 칫솔모(1120)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bristles 1120 may be arranged, for example,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the second bristles 1122 of short length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bristles 1120. Here, the second bristles 1122 may have a length of 70% or less,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1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칫솔모들(1120)과 제 2 칫솔모들(1122)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bristles 1120 and the second bristles 1122 can be alternately arrang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제 1 칫솔모들과 1개의 제 2 칫솔모가 교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즉,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와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가 교대로 배열되는 한, 칫솔모들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wo first bristles and one second bristl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That is, as long as the first bristles of the long length and the second bristles of the short length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arrangement of the bristles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 지지부(1210), 제 1 칫솔모들(1220), 제 2 칫솔모들(1222) 및 제 3 칫솔모들(1224)를 포함할 수 있다. 12,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othbrush handle, a support 1210, first bristles 1220, second bristles 1222 and third bristles 1224.

제 1 칫솔모들(1220)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면서 배열되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bristles 1220 are arranged with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may have a long length.

제 2 칫솔모들(1222)은 제 1 칫솔모들(1220) 내측에 배열되며, 제 1 칫솔모(1220)의 약 70% 이하, 예를 들어 5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bristles 1222 are arranged within the first bristles 1220 and may have a length of less than about 70%, e.g., less than 50%, of the first bristles 1220.

제 3 칫솔모들(1224)은 제 1 칫솔모들(1220)과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칫솔모들(1220)과 교대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칫솔모(1220)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third bristles 1224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bristles 1220 having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with the first bristles 1220, It can have a length.

즉,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들(1220)의 내측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222)이 배열되고, 긴 제 1 칫솔모(1220)와 짧은 길이의 제 3 칫솔모(1224)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형성하면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bristles 1222 of short length are arranged inside the first bristles 1220 of the long length, and the first bristles 1220 and the third bristles 1224 of the short length are arranged in a circular or elliptic shape Can be alternately arranged while forming a shape.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13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 지지부(1310), 제 1 칫솔모들(1320) 및 제 2 칫솔모들(1322)을 포함할 수 있다. 13,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othbrush handle, a support portion 1310, first bristles 1320, and second bristles 1322.

제 1 칫솔모들(1320)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면서 배열되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bristles 1320 are arranged with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may have a long length.

제 2 칫솔모들(1322)은 제 1 칫솔모들(1320) 내측에 배열되며, 제 1 칫솔모(1320)의 약 70% 이하, 예를 들어 5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bristles 1322 are arranged inside the first bristles 1320 and may have a length of less than about 70%, e.g., less than 50%, of the first bristles 1320.

제 1 칫솔모들과 교대로 짧은 길이의 제 3 칫솔모들이 교대로 배열되었던 도 12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칫솔모 대신 빈 공간이 형성되며, 즉 제 1 칫솔모(1320)와 빈 공간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빈 공간에 해당하는 종 방향 가상의 라인 상에는 제 2 칫솔모(1322)가 존재할 수 있다. 12, in which the first bristles 1320 and the third bristles alternately arranged alternately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mpty space is formed instead of the third bristles, that is, the first bristles 1320 and the empty space are alternately arranged Lt; / RTI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ristles 1322 may exist on the longitudinal imaginary line corresponding to the empty space.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14 is a view showing the bristle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A)는 도 1의 구조로서,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들(120) 내부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22)이 존재할 수 있다. Fig. 14 (A) shows the structure of Fig. 1, in which the second bristles 122 having a short length may exist inside the first bristles 120 having a long length.

도 14의 (B)를 참조하면,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들(1420) 내부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422)이 존재하고, 제 2 칫솔모들(1422)의 내부에 빈 공간(1430)이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B, there are short bridged second bristles 1422 inside the first bristles 1420 having a long length, and hollow spaces 1430 ) May exist.

폭 방향 가상의 라인 관점에서 보면, 예를 들어 BL5 및 BL6를 보면,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1420),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1422) 및 빈 공간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In view of the widthwise imaginary lines, for example, in view of BL5 and BL6, a long first bristle 1420, a short second bristle 1422, and an empty space may coexist.

위에서는, 칫솔 헤드가 원형 형상을 가졌으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다른 구조, 예를 들어 뱀 머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칫솔 헤드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상에는 도 1 내지 도 14의 칫솔모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Above, the toothbrush head has a circular shape, but can have a different structure, for example, a snake head shap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toothbrush head can be variously modified. On this head, the bristle structures of FIGS. 1 to 14 can be applied.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 및 빈 공간이 적절히 배열되어 양치시 제 1 칫솔모가 실질적으로 치아를 쓸고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As a whole, the first bristles of a long length, the second bristles of a short length, and the empty space are properly arranged to allow the first bristles to substantially sweep the teeth and dig between the teeth o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to remove foreign matter have.

공정을 살펴보면,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을 직접적으로 지지부의 홀에 심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칫솔 제조 방법은 지지부에 제 2 칫솔모들에 해당하는 홀에 긴 길이의 칫솔모들을 심는 단계, 상기 심어진 칫솔모들을 절단하여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칫솔모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해당 홀에 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긴 칫솔모를 심은 상태에서 절단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As for the process, it is difficult to directly plant the second bristles having short lengths in the holes of the support. Therefore, the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planting long bristles in the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istle in the support, cutting the planted bristles to form the second bristle, and the second bristle is formed In may include planting the first bristles in the hole. That is, it is possible to use a step of cutting the long bristles in a planted state to form the second bristles.

위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칫솔대의 종단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에 향기 물질(예를 들어, 고체)이 채워질 수 있되, 상기 홈 중 개방된 부분은 상기 칫솔대 제조시 상기 향기 물질이 채워진 후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과 상기 칫솔대의 표면 사이에 미세 크기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치할 동안 좋은 향기가 날 수 있다. 이러한 향기 효과는 개운하게 양치시키는 위의 실시예들의 칫솔 구조와 결합하여 최상의 기분좋은 양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oothbrush body and the groove may be filled with a perfume material (e.g., solid), wherein the open portion of the groove is formed after the perfume material is filled Can be sealed. Further, a fine-sized hole may be formed between the groove and the surface of the toothbrush holder. As a result, a good smell can be produced during brushing. This aroma effect can be combined with the toothbrush structure of the above embodiments to make the toothbrush bristle brush provide the best pleasant brushing effect.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칫솔대 102 : 칫솔 헤드
110 : 지지부 120 : 제 1 칫솔모
122 : 제 2 칫솔모
100: toothbrush stand 102: toothbrush head
110: support portion 120: first bristles
122: second brush head

Claims (5)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치아 내측에서 치아 사이로 삽입시키면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치아 사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종단부의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뒤측으로 진입하고, 가로 방향으로 양치하면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의 상단,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번에 감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oothbrush rod; And
A toothbrush head having a support connected to the toothbrush pole, and first bristles and second bristles formed on the support,
The second bristles are bristles inside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s are outermost bristl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less than 70%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and the first bristles When inserted between the teeth from the inside of the tooth,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penetrates between the teeth and protrudes outward, and the first bristles of the end of the first bristles enter the rear of the molar teeth and brus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bristle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gums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and gums, the first bris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rush can wrap the upper,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ooth at a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칫솔모의 동서남북 방향 모두에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50% 이하인 칫솔모들만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only at least one of the bristles that is 5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is arranged in both the east, south, north, and south direction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칫솔 헤드의 지지부 상에 제 3 칫솔모들을 심는 단계;
상기 심은 제 3 칫솔모들을 절단하여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칫솔모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지지부 상에 심는 단계를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ristle and the second bristle
Planting third bristles on the support of the toothbrush head;
The shim cutting third bristles to form second bristles; And
Toothbrush formed by planting the first bristles on the support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bristles ar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의 종단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과 상기 칫솔대의 표면 사이에 미세 홀이 형성되되,
상기 홈 내에 향기 물질이 채워지고, 상기 홈 중 개방된 부분은 상기 칫솔대 제조시 상기 향기 물질이 상기 홈으로 채워진 후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oothbrush rod and a fine hole is formed between the groove and the surface of the toothbrush rod,
The toothbrush is filled with a fragrance material in the groove, wherein the open portion of the groove is sealed after the fragrance material is filled with the groove during manufacture of the toothbrush stand.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고,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치아 내측에서 치아 사이로 삽입시키면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치아 사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종단부의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뒤측으로 진입하고, 가로 방향으로 양치하면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치아의 상단,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번에 감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A support; And
Including first bristles and second bristles formed on the support,
The second bristles are bristles inside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s are outermost bristles,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s is less than 70% of the length of the first bristles, and the first bristles When inserted between the teeth from the inside of the tooth,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stles penetrates between the teeth and protrudes outward, and the first bristles of the end of the first bristles enter the rear of the molar teeth and brus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bristle is inserted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the first bris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rush can wrap the upper,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ooth at a time.
KR2020190000243U 2018-01-25 2019-01-17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19000196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827U KR20220001995U (en) 2018-01-25 2022-07-27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81 2018-01-25
KR20180000381 2018-01-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827U Division KR20220001995U (en) 2018-01-25 2022-07-27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69U true KR20190001969U (en) 2019-08-02

Family

ID=6758577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55U KR20190001966U (en) 2018-01-25 2018-03-22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20190000243U KR20190001969U (en) 2018-01-25 2019-01-17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20220001827U KR20220001995U (en) 2018-01-25 2022-07-27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20230002131U KR20230002073U (en) 2018-01-25 2023-10-19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20230002618U KR20240000076U (en) 2018-01-25 2023-12-19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55U KR20190001966U (en) 2018-01-25 2018-03-22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827U KR20220001995U (en) 2018-01-25 2022-07-27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20230002131U KR20230002073U (en) 2018-01-25 2023-10-19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20230002618U KR20240000076U (en) 2018-01-25 2023-12-19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90001966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725A (en) 2016-01-07 2017-07-17 김재찬 Replaceable toothbrush bristle p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725A (en) 2016-01-07 2017-07-17 김재찬 Replaceable toothbrush bristle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95U (en) 2022-08-16
KR20190001966U (en) 2019-08-02
KR20230002073U (en) 2023-10-30
KR20240000076U (en)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5843B (en) Toothbrush
WO2003075711A1 (en) Toothbrush
KR101857103B1 (en) Toothbrush for gingival sulcus
KR20190090704A (en)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190001969U (en) 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KR200468044Y1 (en) Toothbrush having brushing and mopping function
KR20190001970U (en) Toothbrush where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are alternately disposed
KR20190090705A (en) Toothbrush where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are alternately disposed
KR101570934B1 (en) Interdental tooth brush
KR101290259B1 (en) Toothbrush
KR200469882Y1 (en) Tooth brush
US20210100347A1 (en) Toothbrush comprising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KR20070014921A (en) A toothbrush
KR100781884B1 (en) Roller type electronic toothbrush
KR100592088B1 (en) Toothbrush head
KR200306545Y1 (en) a hair transplant structure of tooth brush hair
KR100753008B1 (en) Tooth brush for reforming a tooth brushing habit
KR20070001312U (en) Toothbrush with instruments brushing by wrapping teeth in bristles
KR200293917Y1 (en) Toothbrush that teeth washing is easy
BE553224A (en)
JP3113431U (en) Mouthwash
JP5466330B1 (en) Toothbrush cleaning brush
KR200271077Y1 (en) A toothbrush
CN115715624A (en) Arc toothbrush head and toothbrush
JP2002360341A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38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3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727

Effective date: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