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03A - 패널 고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패널 고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03A
KR20190001903A KR1020180054026A KR20180054026A KR20190001903A KR 20190001903 A KR20190001903 A KR 20190001903A KR 1020180054026 A KR1020180054026 A KR 1020180054026A KR 20180054026 A KR20180054026 A KR 20180054026A KR 20190001903 A KR20190001903 A KR 2019000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clip
support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102B1 (ko
Inventor
민 황보
Original Assignee
민 황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황보 filed Critical 민 황보
Priority to KR102018005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1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건축용 패널을 고정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나사나 볼트 등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건축용 패널을 손쉽게 벽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축용 패널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구조가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건축용 패널의 부착 또는 분리 작업을 쉽게 하므로, 건축용 패널의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고정 어셈블리{PANEL FIXING ASSEMBLY}
본 발명은 패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건축용 패널을 고정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를 구성하는 슬라브의 내측에는 각종 전기배선이나 환기용 공조덕트, 소방파이프 등이 설치된다. 이들 설비가 실내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한편 천장이나 벽체를 평평하게 미장 마감하기 위하여 합판재, 석고보드재, 석재, 철판재 등의 건축용 패널들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건축용 패널은 천장 또는 벽면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일정 크기의 패널로 제작된다. 건축용 패널에 의한 천장 또는 벽면의 마감 시공 시, 복수의 건축용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앵커를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을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종래의 건축용 패널 시공 방법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에 건축용 패널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건축용 패널들을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용 패널을 분리하기 위해 체결부재를 전부 분리하여야 하므로, 건축용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서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분리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용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건축용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패널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 본체의 양단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 고정홈을 구비하는 패널;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밀착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밀착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클립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패널의 클립 고 상기 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패널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패널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나사나 볼트 등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건축용 패널을 손쉽게 벽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축용 패널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구조가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건축용 패널의 부착 또는 분리 작업을 쉽게 하므로, 건축용 패널의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과 패널(200)과 복수의 고정 클립(300)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 본체(110)와 프레임 삽입홈(120)과 후크 돌기(130)를 포함한다. 하나의 패널(200)이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 프레임(100)은 한 쌍이 마련된다.
지지 프레임 본체(110)는 패널(200)이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건물의 내벽과 외벽 및 천장 등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건물의 내벽과 외벽 및 천장 등에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한 뒤, 그 위에 지지 프레임 본체(1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본체(110)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 프레임 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 본체(110)의 단면은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면이 삼각형인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방향 꼭지점에는 패널(200)을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120)이 존재한다. 이 프레임 삽입홈(120)은 지지 프레임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프레임 삽입홈(120)은 프레임 삽입홈(120)에서 지지 프레임 본체(110)가 서로 만나서 서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후크 돌기(130)는 지지 프레임(100)의 한쪽 면의 하단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후크 돌기(130)는 고정 클립(300)이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패널(200)은 패널 본체(210)와 프레임 삽입부(220)와 복수의 클립 고정홈(230)과 클립 걸림부(240)와 클립 걸림 보조부(250)를 포함한다.
패널 본체(210)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된다. 이 판재는 건축물의 내, 외벽을 구성하거나 천장을 구성하는 건축용 자재이다. 건물의 종류와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패널(200)은 다양한 재질과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 본체(210)는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패널(200)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패널 본체(210)는 패널 본체(210)의 양 가장자리 후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에 배치된다.
프레임 삽입부(220)는 패널 본체(210)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패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프레임 삽입부(220)는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삽입홈(120)에 삽입된다. 프레임 삽입부(220)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프레임 고정 돌기(221)가 형성된다. 이 프레임 고정 돌기(221)에 의해 프레임 삽입부(220)는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삽입홈(12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널(200)의 복수의 클립 고정홈(230)은 패널 본체(210) 후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클립 고정홈(230)은 패널 본체(210) 후면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0)의 양단에 형성된다. 즉, 패널(200) 하나당 클립 고정홈(230)은 총 4개가 패널(200)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다. 이 복수의 클립 고정홈(230)은 후면이 개방되고, 지지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으로도 일부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개방된 클립 고정홈(230)에 복수의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삽입되어 끼워진다.
클립 걸림부(240)는 패널 본체(210) 후면에 형성된다. 클립 걸림부(240)는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된 고정 클립(300)이 걸리도록 지지한다. 클립 걸림 보조부(250) 역시 패널 본체(210) 후면에 형성된다. 클립 걸림 보조부(250)는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된 고정 클립(300)을 사이에 두고 상술한 클립 걸림부(240)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고정 클립(300)은 각각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와 연장부(320)와 패널 결합부(330)와 후크(340)를 구비한다.
고정 클립(300)은 판상의 재료가 수 차례 절곡되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 클립(300)의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에서 연장부(320) 사이와 연장부(320)에서 패널 결합부(330) 사이가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고정 클립(300)은 탄성력이 있어 가압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고정 클립(300)은 판 스프링처럼 작용하여 가해진 힘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다.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는 지지 프레임(100) 후면 즉, 지지 프레임 본체(110) 하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후크(340)는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후크(340)는 상술한 지지 프레임(100)의 후크 돌기(130)에 걸리도록 지지 프레임(100)의 후크 돌기(130)와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고정 클립(300)은 상술한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와 후크(340)를 통해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연장부(320)는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에서 연장되어 지지 프레임 밀착부(310)와 패널 결합부(330) 사이를 연결한다. 연장부(320)는 상술한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된다. 패널 결합부(330)는 패널(2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패널 결합부(330)의 하면은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에 의해 지지된다. 즉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되고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의 하면이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 클립(300)과 패널(200)이 결합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패널(200)을 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지지 프레임(100)에 패널(200)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 본체(110)의 하면이 패널(200)이 시공되는 위치에 고정되므로, 작업자는 지지 프레임(100)을 설치하기 전에 필요한 수의 고정 클립(300)을 미리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클립(300)의 후크(340)가 지지 프레임(100)의 후크 돌기(130)에 걸림으로써 고정 클립(300)이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고정 클립(300)의 후크(340)를 지지 프레임(100)의 후크 돌기(130)에 거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00)의 끝 단에서 고정 클립(300)을 밀어 넣어 후크(340)를 후크 돌기(130)에 끼울 수 있다. 또한, 먼저 고정 클립(300)의 후크(340)를 지지 프레임(100)의 후크 돌기(130)에 끼운 뒤, 고정 클립(300)을 잡아당겨 고정 클립(300)의 프레임 밀착부(310)와 지지 프레임 본체(110) 하면이 서로 맞닿도록 할 수 있다. 고정 클립(300)의 프레임 밀착부(310)와 후크(340) 사이에는 탄성력이 존재한다. 작업자는 고정 클립(300)을 잡아당겨 고정 클립(300)을 변형시킴으로써 지지 프레임 본체(110) 하면과 고정 클립(300)의 프레임 밀착부(310)가 맞닿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 클립(300)의 프레임 밀착부(310)가 지지 프레임 본체(110) 하면에 밀착되면, 작업자는 고정 클립(300)을 놓는다. 고정 클립(300)의 탄성력 때문에 고정 클립(300)이 복원되며 고정 클립(300)이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이렇게 지지 프레임(100)에 후크 돌기(130)에 끼워진 고정 클립(300)은 지지 프레임(100)에 대해 전방이나 후방으로는 쉽게 이탈되지 않지만 지지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으로는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된 고정 클립(300)의 위치를 지지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 클립(300)을 결합시킨 뒤, 작업자는 패널(200)을 시공하려는 위치에 지지 프레임(100)을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패널(200) 당 지지 프레임(100)이 한 쌍 필요하므로 작업자는 패널(200)의 개수와 설치 형태를 고려하여 지지 프레임(100)을 다양하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이 시공하려는 위치에 고정되면,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 설치한다. 먼저, 작업자는 패널(200)의 프레임 삽입부(220)를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삽입홈(120)에 삽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삽입홈(120)은 지지 프레임 본체(110)가 마주보며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 삽입부(22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 돌기(221)가 삽입되면 서로 마주보며 가압하는 지지 프레임 본체(110) 사이가 벌어지고 프레임 삽입홈(120)의 너비가 넓어진다. 프레임 삽입부(22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 돌기(221)가 프레임 삽입홈(120)을 통과하면 서로 마주보며 가압하는 지지 프레임 본체(110) 사이가 다시 좁아지고 프레임 삽입홈(120)의 너비가 좁아진다. 프레임 삽입부(220)는 프레임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지지 프레임 본체(110)에 의해 가압되고, 프레임 삽입부(22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 돌기(221)의 구조로 인해 전방 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는다. 다만, 프레임 삽입부(220)만 삽입된 상태의 패널(200)은 지지 프레임(100)에 대하여 지지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작업자는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패널(200)이 설치될 위치로 이동시킨다.
패널(200)이 고정될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고정 클립(300)을 슬라이딩시켜 고정클립의 연장부(320)를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시킨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은 지지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고정 클립(300)이 지지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되면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가 패널(200)의 클림 걸림부(240)와 클립 걸림 보조부(250)사이에 배치된다. 즉, 고정 클립(300)이 슬라이딩 되면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는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되고,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는 패널의 클립 걸림부(24)와 클립 걸림 보조부(250)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의 길이 때문에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바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를 지지 프레임(100) 방향으로 밀면서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클립(300)은 탄성력이 있어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00)의 단면이 삼각형이므로 지지 프레임(100)과 고정 클립(300) 사이의 여유 공간이 존재한다. 작업자가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를 지지 프레임(100) 방향으로 밀면,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가 지지 프레임(100)에 접근하여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삽입된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는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와 클립 걸림 보조부(25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는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와 클립 걸림 보조부(250) 사이에서 고정된다. 패널(200)이 받는 하중을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에서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로 작용하는 수직항력으로 상쇄하고 패널(200)의 클립 걸림 보조부(250)는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되고,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가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와 클립 걸림 보조부(25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 클립(300)과 패널(200)이 결합되면, 작업자는 다른 패널(200)로 위 과정을 반복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 프레임(100)에 패널(20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별도의 작업도구 없이 쉽게 패널(200)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작업 과정에서 고정 클립(300)과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 대해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용이한 효과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패널(200)은 고정 클립(300)에 의해 지지 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가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의 하면을 지지한다. 패널(200)의 클립 걸림부(240)에서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로 작용하는 수직항력은 패널(200)이 받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해준다. 패널(200) 당 4개의 클립 걸림부(240)가 존재하므로 패널(200)이 받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립 걸림 보조부(250)는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의 상면을 지지하여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설치된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패널(200)의 바깥쪽 클립 고정홈(230)에 삽입된 고정 클립(300)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클립(300)은 지지 프레임(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클립 고정홈(230)의 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고정 클립(300)을 슬라이딩시켜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를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바깥쪽 클립 고정홈(230)에서 고정 클립(300)이 모두 제거되면, 작업자는 위에서 고정 클립(300) 슬라이딩 시킨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분리할 패널(200)을 슬라이딩시킨다. 패널(200)이 슬라이딩 되면 안쪽에 위치한 클립 고정홈(230)에서 고정 클립(300)이 제거된다. 고정 클립(300)이 제거되면 패널(200)과 지지 프레임(100)은 패널(200)의 프레임 삽입부(220)와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삽입홈(120)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된다. 패널(200)의 프레임 삽입부(220)와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삽입홈(120)의 체결은 전방에서 당겨지는 강한 힘을 버티지 못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패널(200)을 잡아당겨 패널(200)과 지지 프레임(1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모든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 대해 분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빠르게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패널(200)을 잡고 전방으로 강하게 당긴다. 패널(200)의 전방에서 당기는 힘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고정 클립(300)의 패널 결합부(330)가 휘어지게 되고 고정 클립(300)의 연장부(320)가 패널(200)의 클립 고정홈(2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모든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 대해 더욱 빠르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 어셈블리는 단순한 구조의 고정 클립(300)을 이용하여 패널(200)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 없이 패널(2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패널(200)의 분리 과정이 단순하여 빠르게 패널(200)을 지지 프레임(100)에 대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분리 과정이 쉽고 단순하기 때문에, 패널(200)의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는 고정 클립(300)의 후크(340)를 지지 프레임(100)에 후크 돌기(130)에 끼워 고정 클립(300)을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 클립이 후크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 클립의 후크에 대응하는 지지 프레임의 후크 돌기가 지지 프레임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클립(300)을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클립과 지지 프레임을 나사 결합하여 고정 클립을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고정 클립)의 지지 프레임 밀착부에 나사가 경유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위 구성으로 고정 클립을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면, 패널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는 지지 프레임(100)을 설치하여 고정하기 전에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 클립(300)을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지지 프레임(100)을 설치한 뒤 고정 클립(300)을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00)이 별도로 마련된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경우라면, 지지 프레임(100) 후면에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 프레임(100)을 설치한 뒤라도 고정 클립(300)을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는 지지 프레임(100)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지지 프레임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지지 프레임 110: 지지 프레임 본체
120: 프레임 삽입홈 130: 후크 돌기
200: 패널 210: 패널 본체
220: 프레임 삽입부 221: 프레임 고정 돌기
230: 클립 고정홈 240: 클립 걸림부
250: 클립 걸림 보조부 300: 고정 클립
310: 지지 프레임 밀착부 320: 연장부
330: 패널 결합부 340: 후크

Claims (9)

  1. 한 쌍의 지지 프레임;
    패널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 본체의 양단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 고정홈을 구비하는 패널;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밀착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밀착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클립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패널의 클립 고 상기 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패널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패널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복수의 클립 고정홈은,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의 연장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의 연장부가 상기 복수의 클립 고정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의 패널 결합부의 후면과 접하도록 상기 패널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클립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의 연장부가 상기 복수의 클립 고정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의 패널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립 걸림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패널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클립 걸림 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이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패널 본체에 대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에 전방에서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은, 건물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본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프레임 삽입부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프레임 삽입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프레임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방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에 돌출된 프레임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삽입홈에서 상기 패널의 프레임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본체가 서로 마주보며 상기 패널의 프레임 삽입부를 가압하여 상기 프레임 삽입홈에 대해 삽입된 상기 패널의 프레임 삽입부를 고정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 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에 대한 결합을 보조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 밀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후크 돌기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클립의 지지 프레임 밀착부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지지 프레임 밀착부를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가 경유할 수 있는 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는 패널 고정 어셈블리.
KR1020180054026A 2018-05-11 2018-05-11 패널 고정 어셈블리 KR10198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26A KR101983102B1 (ko) 2018-05-11 2018-05-11 패널 고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26A KR101983102B1 (ko) 2018-05-11 2018-05-11 패널 고정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57 Division 2017-06-28 2017-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03A true KR20190001903A (ko) 2019-01-07
KR101983102B1 KR101983102B1 (ko) 2019-05-31

Family

ID=6501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026A KR101983102B1 (ko) 2018-05-11 2018-05-11 패널 고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1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51Y1 (ko) * 2008-08-27 2009-10-22 주식회사 세보메탈 외장패널용 고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외장패널 조립체
KR101161112B1 (ko) * 2011-09-23 2012-06-28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패널조립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51Y1 (ko) * 2008-08-27 2009-10-22 주식회사 세보메탈 외장패널용 고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외장패널 조립체
KR101161112B1 (ko) * 2011-09-23 2012-06-28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패널조립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102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27B1 (ko) 건축용 마감패널 조립체
US7472521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WO201721427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electrical devices for building wall constructions
KR20160019719A (ko)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EP3744306B1 (en) Spa cabinet attachment
KR101983102B1 (ko) 패널 고정 어셈블리
US6421961B1 (en) Modular organizer
US6418689B1 (en) Removable wall system
CN111065783B (zh) 面板固定组件
US5303892A (en) Panel for recessed mounting of a housing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AU2006228079B2 (en) Mount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power outlet or alike
US20160053478A1 (en) Interlocking Clip System
AU2010101412A4 (en) Fixing clip
JP3281170B2 (ja) 壁材取付構造
KR20170119498A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JP4621986B2 (ja) 取付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手摺構造物
KR101783798B1 (ko) 건축물 천장판넬 설치부재
CN213806310U (zh) 一种快速安装的可拆卸铝板组件
KR101489127B1 (ko) 몰딩부재 고정용 브라켓
JP2019094650A (ja) 天井下地構造
KR20080081136A (ko) 원터치 클릭형 인테리어용 조립 판넬
JP2549801B2 (ja) 天井取り付け方法
JP2021088902A (ja) 天井ルーバー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CN116057243A (zh) 薄板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