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00A -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00A
KR20190001500A KR1020180021976A KR20180021976A KR20190001500A KR 20190001500 A KR20190001500 A KR 20190001500A KR 1020180021976 A KR1020180021976 A KR 1020180021976A KR 20180021976 A KR20180021976 A KR 20180021976A KR 20190001500 A KR20190001500 A KR 2019000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cy
transaction data
encrypted currency
tax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헌
남기석
공현진
Original Assignee
김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헌 filed Critical 김준헌
Priority to KR102018002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500A/ko
Publication of KR201900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에 대한 환급 세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화폐 가치를 갖는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외국인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기 위한 임시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세관에서 상품에 대한 반출이 허락되면,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외국인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HO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AX REFUND USING BLOCKCHAIN-BASED VIRTUAL CURRENCY}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항, 호텔, 카지노, 은행, 백화점, 쇼핑몰, 면세점 등에서 사용 가능하며,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서비스, 세금 환급 서비스와 연계될 수 있으며, 가맹점의 포인트나 카지노의 콤프(COMPS : Complimentaries)등의 적립 서비스와 연계될 수 있다.
면세점이란 외화 획득이나 외국인 여행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공항 대합실이나 시중에 설치된 비과세상점을 말한다. 이러한 면세점은 duty-free shop 또는 tax-free shop 으로 불리는 사전 면세점과 tax refund shop으로 불리는 사후 면세점이 있다.
사전 면세점(공항·시내면세점)은 해외로 출국하는 내·외국인이 구매하는 가격에 세금을 모두 면세 혜택(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뿐 아니라 관세도 면제)을 주는 면세 판매장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후 면세점은 외국인이 물건을 사면 출국할 때 공항에서 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를 돌려받도록 해주는 면세 판매장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후 면세점을 통한 환급 절차는 도 1과 같은 단계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후 면세점에서 외국인에게 물품을 판매하면, 판매 물품에 대한 판매 정보는 사후 면세점에서 환급 사업자에게 전송된다(①). 그리고, 세관에서는 외국인이 구매한 물품에 대한 영수증과 여권을 확인한 후, 외국인에게 세관장의 반출 확인을 나타내는 세금 환급 전표를 발행한다. 그리고, 외국인은 세금 환급 전표를 환급 사업자에게 제출한다(②).
이 경우, 환급 사업자는 판매 금액의 10%에서 사후 면세점 수수료 및 환급 사업자의 수수료를 차감한 후 판매 금액의 약 7.5% 정도를 외국인에게 환급한다(③). 그리고, 환급 사업자는 판매 실적 및 환급 실적을 사후 면세점에 전송하며(④), 사후 면세점은 수신된 판매실적, 환급실적에 따라 국세청에 환급분에 대한 영세율을 신고한다(⑤).
위와 같은, 환급 절차는 국세를 외국인에게 면제하여 관광 소비를 진작케 하자는 취지의 제도로 사후 면세점은 이를 통한 매출 상승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환급 절차의 문제점은, 환급 사업자가 사후 면세점의 판매, 환급 및 정산 등의 운영 업무를 대행함에 따라 국세청에 제공해야 하는 데이터를 중계 수집하고 수수료를 취하는데 있다. 즉, 환급 사업자는 환급 세금의 일부(α)를 리베이트로 사후 면세점에게 제공하고 있어, 국세의 2.5%를 사후 면세점(α) + 환급사업자(β)가 편취하는 모순의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할인 효과도 떨어져 원 제도의 취지에도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환급 사업자가 수행하던 역할을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가 대체하도록 하는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은,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세금을 환급 받을 대상을 조건에 따라 다르게 지정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사후 면세점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세관을 수신자로 하는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세관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상기 외국인에게 상기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세관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으면, 국세청 또는 상기 사후 면세점에 상기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세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세관의 노드 장치에 상기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후 면세점, 상기 세관, 상기 국세청 및 상기 외국인 각각은 상기 암호화 화폐 처리를 수행하는 노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 장치는 거래에 대한 소유권을 입증할 수 있는 개인키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상기 사후 면세점의 정보, 상품 금액 정보, 환급 세액 정보 및 여권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내역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복수 주체의 서명이 상기 조건으로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거래용 데이터의 수신 측 주소 및 상기 조건이 기록된 잠금 스크립트와 상기 거래용 데이터를 보내는 측에서 개인키를 통하여 서명한 서명이 기록되는 해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스크립트는, 사후 면세점 공개키, 세관 공개키, 외국인 공개키, 국세청 공개키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인키로 서명되어야 한다는 조건값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해제 스크립트는, 상기 사후 면세점의 개인키를 통한 서명 및 상기 세관의 개인키를 통한 서명이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은,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환급 세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화폐 가치를 갖는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상기 외국인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기 위한 임시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세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반출이 허락되면, 상기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상기 외국인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반출을 불허하거나 또는 반출 기한이 만료되면, 상기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국세청 또는 상기 사후 면세점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급 사업자 수수료와 영업 리베이트가 지급되지 않아, 국세 편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국인에게 세금이 완전히 환급(기존7.5% -> 10%)되고, 판매 금액에 포함된 세금의 즉시 환급 효과가 있으므로, 면세 효과 극대화로 관광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후 면세점은 단순히 환급 코인과 같은 암호화 화폐의 제공 실적을 집계하여 국세청에 제공함으로써, 사후 면세점의 세무 신고 업무가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급 기간 내에 외국인에게 환급되지 않은 환급 코인을 국세청에서 수취함으로써, 세무 신고 누락 또는 체납으로 인한 세금 포탈의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후 면세점 구매 물품에 대한 환급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6는 도 5에 따른 환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사후 면세점(100), 외국인(200), 세관(300), 국세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후 면세점(100)은 외국인(200)이 출국할 때 공항에서 외국인(200)이 사후 면세점(100)에서 구매한 물품에 대한 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를 돌려받도록 해주는 면세 판매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국인(200)은 외국의 국적을 보유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세관(300)은 관세청에 딸려 있는 기관의 하나로, 비행장, 항만, 국경 지대에 설치되어 여행자들이 가지고 다니는 물품이나 수출입 화물에 대한 단속과 관세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국세청(400)은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로, 내국세의 부과ㆍ감면 및 징수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기존 환급 사업자가 수행하던 역할을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환급 수단으로 대체함으로써, 사후 면세점 판매 금액에 포함된 세금을 상품을 구매한 외국인에게 즉시 환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사후 면세점(100), 외국인(200), 세관(300) 및 국세청(400) 각각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 처리를 수행하는 노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 장치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일 예로,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착용형 스마트 글래스, 착용형 스마트 워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 장치는 거래에 대한 소유권을 입증할 수 있는 개인키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들은 '개인키-공개키(주소)'의 형식으로 한 쌍의 키로 되어 있다. 공개키는 은행의 계좌번호에 개인키는 비밀번호에 해당하는데, 이는 서로간에만 들어맞는 한 쌍이다.
여기서, 암호화 화폐는 지폐나 동전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없는 온라인 가상 화폐(디지털 통화)를 의미하고, 이러한 암호화 화폐는 비트코인이 대표적이며,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 등이 있다. 이러한 암호화 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 내역은 블록 체인(block chain)에 수집 보관되어 지갑에 저장되어지기 때문에,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을 통칭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로 지칭한다.
암호화 화폐 사용자에게는 '지갑'이라는 상위개념이 있고, '주소'라는 하위 개념이 있다. 하나의 지갑 안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무수히 많은 주소들을 만들 수 있고, 이러한 주소들은 해당 지갑의 패스워드 하나로 관리된다.
즉, 지갑에는 고유 주소(Public address)에 해당하는 공개키(Public key)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개인키(Private key)가 부여되며, 그 고유 주소를 기반으로 비트코인을 이용한 물품 구매가 이루어진다.
한편, 암호화 화폐를 대표하는 비트코인(BTC, Bitcoin) 시스템은 나카모토 사토시(Nakamoto Satoshi)라는 가명을 쓰는 프로그래머 개인, 혹은 집단에 의하여 2009년 개발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특정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는 P2P(pear to pear)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공개 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결제 방식을 갖는 비트코인은 신용카드 결제 시에 필요한 카드번호나 유효기간 및 CCV 번호 등의 정보 없이도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수수료도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비트코인은 파일의 형태인 전자 지갑에 저장되고, 이 전자 지갑에는 각각의 고유 주소가 부여되며, 그 주소를 기반으로 비트코인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결제특성을 갖는 비트코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트코인 이용자는 비트코인 거래소에 가입하여 전자지갑을 개설한 상태에서 금액을 원화에 해당하는 KRW를 충전한다.
이후,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매매되고 있는 비트코인의 현재 시세를 확인한 후 구매를 원하는 비트코인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하여 구매주문을 하면, 거래조건에 맞는 판매주문을 통해 거래가 성립됨으로써, 이용자는 물품 구매시 비트코인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한 개개의 사용자들의 장치를 노드 장치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노드 장치들은 비트코인 거래소측이 운영하는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 장치는 비트코인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드 장치는 비트코인 결제 시 그 비트코인 결제에 대한 인증 및 기록을 통해 비트코인 결제를 수행하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들이다.
이를 위해, 개개의 노드 장치에는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 지갑이 탑재될 수도 있으며, 블록 체인에 일반적인 비트코인 결제에 따라 생성되는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통해 비트코인 결제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가 기록되고, 노드 장치들에게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를 전파, 즉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
여기서,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의 전파는 통신규약(protocol)에 의해 약속된 것으로, 가령,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의 발생 시 1개의 노드가 지정된 8개의 노드로 전파시키며, 그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를 전송받은 8개의 노드마다 각각 지정된 8개의 노드로 반복 전파하는 피라미드식 전파를 통해 비트코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지갑이 탑재된 모든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됨으로써 완료된다. 그리고,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비트코인 결제용 거래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든 정보는 추후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위 설명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의 특성을 이용하여 외국인에게 세금을 환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0)은 외국인(200)이 사후 면세점(100)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에 대한 환급 세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화폐 가치를 갖는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외국인(200)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기 위한 임시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세관(300)에서 외국인(200)의 구매 상품에 대한 반출이 허락되면,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외국인(200)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세관(300)에서 상품에 대한 반출을 불허하거나 또는 반출 기한이 만료되면,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국세청(400)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부 암호화 화폐는 소정 조건에 따라 환급 세금의 수령인이 달라지는 암호화 화폐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국인(200)이 사후 면세점(100)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사후 면세점(100)은 해당 상품에 대한 환급 세금의 1차 수령자를 외국인(200)으로 하고, 2차 수령자를 국세청(400)으로 정의한 암호화 화폐를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화 화폐를 세관(300)에 전송할 수 있다(①).
만약, 세관(300)에 전송된 암호화 화폐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암호화 화폐에 기 정의된 조건에 따라 암호화 화폐는 국세청(400)으로부터 외국인(200)에게 지급될 수 있다(②). 여기서,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는 것은 해당 상품에 대하여 세관장이 반출을 확인한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그리고, 외국인(200)에게 암호화 화폐가 지급되면, 사후 면세점(100)은 판매실적, 환급실적에 따라 국세청(400)에 환급분에 대한 영세율을 신고할 수 있다(③).
다만, 세관(300)에 전송된 암호화 화폐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되지 않으면, 암호화 화폐에 기 정의된 조건에 따라 암호화 화폐는 국세청(400)에 귀속될 수 있다(④). 여기서,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되지 않는 것은 해당 상품에 대하여 세관장이 반출을 불허하거나 반출 기한을 만료된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에 대한 세금을 환급 받을 대상을 조건에 따라 다르게 지정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01).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복수 주체의 개인키를 이용한 서명이 상기 조건으로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2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1차 서명자는 사후 면세점(100)으로 2차 서명자는 세관(300)으로 조건이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도 4(a)와 같이, 메타 데이터(11-1), 잠금 스크립트(12-1), 해제 스크립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11-1)는 사후 면세점의 정보, 상품 금액 정보, 환급 세액 정보 및 여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후 면세점 정보는 외국인(200)에게 상품을 판매한 사후 면세점의 식별 정보를 의미하고, 상품 금액 정보는 외국인(200)이 구매한 상품의 금액의 정보를 의미하며, 환급 세액 정보는 외국인(200)이 구매한 상품의 금액 중 외국인(200)에게 환급될 세금의 금액 정보를 의미하고, 여권 정보는 외국인(200)의 여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암호화 화폐 거래시 발생하는 거래용 데이터의 OP 리턴(Operation Code [RETURN])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장치들 각각의 전자 지갑은 일반적인 암호화 화폐 결제가 아닌 사적인 정보로서 취급하고 전파하며, 제증명서 검증용 거래 정보에 OP리턴 정보가 기록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방지를판단하는 중요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노드 장치의 전자 지갑에서 암호화 화폐 결제 인증 시 거래 데이터 상에서 OP 리턴이라는 메세지를 판독하면, 그 OP 리턴이란 메시지가 기록된 정보는 암호화 화폐 거래 데이터가 아닌 임의의 40bytes 데이터값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스크립트(12-1)에는 거래용 데이터의 수신 측 주소 및 상기 조건이 기록될 수 있다.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잠금 스크립트(12-1)에는, 도 4(a)와 같이, 사후 면세점 공개키, 세관 공개키, 외국인 공개키, 국세청 공개키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인키로 서명되어야 한다는 조건값이 기록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1차 서명자는 사후 면세점(100)으로 2차 서명자는 세관(300)으로 조건이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해제 스크립트(13-1)에는 거래용 데이터를 보내는 측에서 개인키를 통하여 서명한 서명이 기록될 수 있다.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서명 전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잠금 스크립트(13-1)에는, 도 4(a)와 같이, 서명이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복수 주체의 개인키를 이용한 서명이 상기 조건으로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2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1차 서명자는 사후 면세점(100)으로 2차 서명자는 세관(300)으로 조건이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사후 면세점(100)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세관(300)을 수신자로 하는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02). 일 예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도 4(b)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11-2), 잠금 스크립트(12-2), 해제 스크립트(13-2)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해제 스크립트(13-2)에는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에 서명한 사후 면세점(100)의 서명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화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받은 주체는 잠금 스크립트(12-2)의 조건값을 기초로 세관(3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세관(300)의 노드 장치에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03). 구체적으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잠금 스크립트(12-2)에 포함된 세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세관의 노드 장치에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후 면세점(100)으로부터 세관(300)에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서명의 주체를 사후 면세점(100)으로부터 세관(30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broadcast)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그리고,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 여기서 판단하는 단계(S104)는 서명이 기입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단계 또는 기간 요건이 추가되어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이 기입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외국인(200)에게 상기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05). 일 예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도 4(c)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11-3), 잠금 스크립트(12-3), 해제 스크립트(13-3)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해제 스크립트(13-3)에는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에 서명한 세관(300)의 서명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받은 주체는 잠금 스크립트(12-3)의 조건값을 기초로 외국인(200)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할 수 있다(S106). 여기서,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하는 단계(S106)는 지정된 노드 장치들에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파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세관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으면, 국세청에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07).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생성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 잠금 스크립트, 해제 스크립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받은 주체는 잠금 스크립트(12-3)의 조건값을 기초로 국세청(400)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할 수 있다(S108). 여기서,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하는 단계(S108)는 지정된 노드 장치들에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파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S106 단계 또는 S108 단계에 따라,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전파되면, 지정된 개개의 노드 장치들은 전송받은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검증을 통해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완료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환급 사업자 수수료와 영업 리베이트가 지급되지 않아, 국세 편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에게 세금이 완전히 환급(기존7.5% -> 10%)되고, 판매 금액에 포함된 세금의 즉시 환급 효과가 있으므로, 면세 효과 극대화로 관광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후 면세점은 단순히 환급 코인과 같은 암호화 화폐의 제공 실적을 집계하여 국세청에 제공함으로써, 사후 면세점의 세무 신고 업무가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급 기간 내에 외국인에게 환급되지 않은 환급 코인을 국세청에서 수취함으로써, 세무 신고 누락 또는 체납으로 인한 세금 포탈의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세금 환급 시스템(1000)에 따르면, 국세청(400)의 기존 업무에 암호화 화폐를 다루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2000)은 기존 부가세 신고 절차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도 2의 세금 환급 시스템(1000)에 따른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2000)은 미환급 세금을 국세청이 아닌 사후 면세점에 지급한다는 점에서 도 2의 세금 환급 시스템(1000)과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2000)은 사후 면세점(100), 외국인(200), 세관(300), 국세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2000)은 외국인(200)이 사후 면세점(100)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에 대한 환급 세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화폐 가치를 갖는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외국인(200)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기 위한 임시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세관(300)에서 외국인(200)의 구매 상품에 대한 반출이 허락되면,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외국인(200)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세관(300)에서 상품에 대한 반출을 불허하거나 또는 반출 기한이 만료되면,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사후 면세점(100)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국인(200)이 사후 면세점(100)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사후 면세점(100)은 해당 상품에 대한 환급 세금의 1차 수령자를 외국인(200)으로 하고, 2차 수령자를 사후 면세점(100)으로 정의한 암호화 화폐를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화 화폐를 세관(300)에 전송할 수 있다(①).
만약, 세관(300)에 전송된 암호화 화폐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암호화 화폐에 기 정의된 조건에 따라 암호화 화폐는 외국인(200)에게 지급될 수 있다(②). 여기서,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는 것은 해당 상품에 대하여 세관장이 반출을 확인한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한편, 외국인(200)에게 암호화 화폐가 지급되면, 사후 면세점(100)은 판매실적, 환급실적에 따라 국세청(400)에 환급분에 대한 영세율을 신고할 수 있다(③).
다만, 세관(300)에 전송된 암호화 화폐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되지 않으면, 암호화 화폐에 기 정의된 조건에 따라 암호화 화폐는 사후 면세점(100)에 지급될 수 있다(④). 여기서,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되지 않는 것은 해당 상품에 대하여 세관장이 반출을 불허하거나 반출 기한을 만료된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2000)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6에 따른 세금 환급 방법은 세관의 서명이 기입되지 않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되지 않는 경우, 암호화 화폐를 지급 받는 대상이 사후 면세점(100)이라는 점에서 도 5의 세금 환급 방법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에 대한 세금을 환급 받을 대상을 조건에 따라 다르게 지정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01).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복수 주체의 개인키를 이용한 서명이 상기 조건으로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5에 따른 세금 환급 시스템(1000)은 1차 서명자는 사후 면세점(100)으로 2차 서명자는 세관(300)으로 조건이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따른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 잠금 스크립트, 해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해제 스크립트는 도 4(a)와 같을 수 있고, 잠금 스크립트에는 사후 면세점 공개키, 세관 공개키, 외국인 공개키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인키로 서명되어야 한다는 조건값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사후 면세점(100)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세관(300)을 수신자로 하는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02).
그리고,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세관(300)의 노드 장치에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203). 구체적으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잠금 스크립트(12-2)에 포함된 세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세관의 노드 장치에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후 면세점(100)으로부터 세관(300)에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서명의 주체를 사후 면세점(100)으로부터 세관(30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broadcast)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그리고,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4). 여기서 판단하는 단계(S204)는 서명이 기입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단계 또는 기간 요건이 추가되어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명이 기입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세관(300)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외국인(200)에게 상기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05).
그리고,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할 수 있다(S206).
다만,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세관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으면, 사후 면세점에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07).
그리고,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할 수 있다(S208).
여기서, S206 단계 또는 S208 단계에 따라,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전파되면, 지정된 개개의 노드 장치들은 전송받은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검증을 통해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완료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설치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후 면세점 200 : 외국인
300 : 세관 400 : 국세청

Claims (13)

  1.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에 있어서,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환급 세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화폐 가치를 갖는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상기 외국인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기 위한 임시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세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반출이 허락되면, 상기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상기 외국인의 전자 지갑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반출을 불허하거나 또는 반출 기한이 만료되면, 상기 조건부 암호화 화폐를 국세청 또는 상기 사후 면세점에 전송하는 최종 거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3.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에 있어서,
    외국인이 사후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세금을 환급 받을 대상을 조건에 따라 다르게 지정한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사후 면세점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세관을 수신자로 하는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세관의 개인키로 서명되면, 상기 외국인에게 상기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상기 세관의 개인키로 서명되지 않으면, 국세청 또는 상기 사후 면세점에 상기 암호화 화폐를 지급하기 위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세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세관의 노드 장치에 상기 제2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4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의 노드 장치들에게 전파(broadcas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면세점, 상기 세관, 상기 국세청 및 상기 외국인 각각은 상기 암호화 화폐 처리를 수행하는 노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 장치는 거래에 대한 소유권을 입증할 수 있는 개인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상기 사후 면세점의 정보, 상품 금액 정보, 환급 세액 정보 및 여권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내역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복수 주체의 서명이 상기 조건으로 설정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는,
    거래용 데이터의 수신 측 주소 및 상기 조건이 기록된 잠금 스크립트와 상기 거래용 데이터를 보내는 측에서 개인키를 통하여 서명한 서명이 기록되는 해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스크립트는,
    사후 면세점 공개키, 세관 공개키, 외국인 공개키, 국세청 공개키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인키로 서명되어야 한다는 조건값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암호화 화폐 거래용 데이터의 해제 스크립트는,
    상기 사후 면세점의 개인키를 통한 서명 및 상기 세관의 개인키를 통한 서명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기재된 세금 환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제1항 내지 제11항에 기재된 세금 환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21976A 2018-02-23 2018-02-23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01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76A KR20190001500A (ko) 2018-02-23 2018-02-23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76A KR20190001500A (ko) 2018-02-23 2018-02-23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365A Division KR101886283B1 (ko) 2017-06-27 2017-06-27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00A true KR20190001500A (ko) 2019-01-04

Family

ID=6501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76A KR20190001500A (ko) 2018-02-23 2018-02-23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5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9024A (zh) * 2019-01-23 2019-06-07 陕西优米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的税务系统共识方法
CN110458539A (zh) * 2019-07-09 2019-11-15 北京链上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加密货币自动提取方法及系统
WO2021034062A1 (ko) *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델리오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40798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브릿지코드 가상자산 거래 내역 기반의 세금 계산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9024A (zh) * 2019-01-23 2019-06-07 陕西优米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的税务系统共识方法
CN110458539A (zh) * 2019-07-09 2019-11-15 北京链上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加密货币自动提取方法及系统
CN110458539B (zh) * 2019-07-09 2021-03-23 北京链上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加密货币自动提取方法及系统
WO2021034062A1 (ko) *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델리오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40798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브릿지코드 가상자산 거래 내역 기반의 세금 계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28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90303931A1 (en) Method of, system for, data process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implementing a distributed, ledger-based processing and recording of a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US20100191622A1 (en) Distributed Transaction layer
KR101908701B1 (ko)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523495A (ja) 分散トランザクションコンセンサスネットワークのデジタル財管理
US20130179337A1 (en) Account free possession and transfer of electronic money
JP2004516578A (ja) ユーティリティ利用の対価請求の確認並びに和解及び紛争解決を含む機密化自己請求及び支払方法
KR2019000150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세금 환급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213198A1 (en) Account and server free possession and transfer of entangled electronic money
KR102022453B1 (ko) 채권자산 기반 암호화화폐 발행을 이용한 채권 회수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010690A (zh) 支付处理方法和系统
WO202022357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JP2018536953A (ja) 安全な電子取引を促進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094407A (ko) 지역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894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및 환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275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회계 관리시스템
Rajendran et al. Secure and privacy preserving digital payment
CN112970234B (zh) 账户断言
KR20200130558A (ko) 암호 화폐 거래소의 타거래소 연동거래 운영 방법
JP6853422B1 (ja) 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方法
Xhaferi et al. Online payment systems for e-banking and blockchain technology
KR20010075779A (ko) 인터넷에서의 거래 정보 관리 방법
KR102092909B1 (ko) 환율을 반영하며 시간 단위로 표현되는 통합 전자화폐 생성 시스템
CN114140251B (zh) 一种基于代理重加密的电子门票质押方法和系统
KR102645868B1 (ko)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