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225U -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Google Patents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1225U KR20190001225U KR2020170005851U KR20170005851U KR20190001225U KR 20190001225 U KR20190001225 U KR 20190001225U KR 2020170005851 U KR2020170005851 U KR 2020170005851U KR 20170005851 U KR20170005851 U KR 20170005851U KR 20190001225 U KR20190001225 U KR 2019000122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main body
- present
- do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에 관한 것으로, 지갑의 수납공간 및 포켓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 표면에 형성되는 돔형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포켓의 표면 중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눌러 밀어내 상기 본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카드 표면 중 일부에 돔형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포켓에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포켓 표면 중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를 눌러 밀어내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첩이나 지갑 등에 구비된 포켓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교통카드 등과 같은 카드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교통카드 등과 같은 카드류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카드는 사용자의 수첩이나 지갑 등에 구비된 포켓에 수납된다.
이때, 포켓은 카드 한 장만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카드가 삽입되는 깊이는 카드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카드가 임의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타이트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교통카드의 경우 수첩이나 지갑의 포켓에서 꺼내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결제용 카드인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경우, 사용자가 대금을 결제하기 위해서 수첩이나 지갑 등에 타이트하게 수납된 카드를 꺼내어 결제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를 해야 한다.
하지만, 수첩이나 지갑 등에 타이트하게 수납된 카드는 쉽게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포켓의 깊이가 카드의 크기보다 큰 경우, 카드가 포켓 안에 완전히 인입되어 사용자가 카드를 인출할 때 카드 쉽게 꺼내지지 않는 큰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첩이나 지갑 등에 구비된 포켓에 삽입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는, 지갑의 수납공간 및 포켓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 표면에 형성되는 돔형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포켓의 표면 중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눌러 밀어내 상기 본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클립 또는 스티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일측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에 의한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에 따르면, 카드 표면 중 일부에 돔형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포켓에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포켓 표면 중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를 눌러 밀어내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돔형 돌기의 일측 하부에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카드의 길이보다 긴 깊이의 포켓에 카드가 삽입될 때, 삽입홈을 통해 포켓의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카드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고안은 수첩이나 지갑 등에 구비된 수첩에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100)는 본체(110), 겹합수단(120) 및 돌기(13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교통카드와 같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수첩이나 지갑(W)에 구비된 포켓(P)에 수납되는 카드류이다.
상기 결합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표면 중 가로 방향의 상측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20)은 클립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돌기(130)는 상기 결합수단(120)의 표면 중앙에 돔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첩이나 지갑(W) 등에 구비된 포켓(P) 중 상기 본체(1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가 완전히 인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131)을 걸어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110)가 뒤집혀 삽입되면 상기 삽입홈(131)에 걸리지 않아 상기 본체(110)가 상기 포켓(P)에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포켓(P)의 표면 중 상기 돌기(130)와 대응되는 지점을 손가락으로 눌러 밀어내면 밀리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110) 표면 중에 상기 돌기(130)가 돌출됨에 따라 상기 포켓(P)의 내부의 마찰력이 상쇄함은 물론, 상기 돌기(130)의 상면이 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포켓(P)의 내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어서 인출이 용이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200)는 본체(210), 접착제(220), 스티커(230) 및 후크(2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교통카드와 같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수첩이나 지갑(W)에 구비된 포켓(P)에 수납되는 카드류이다.
상기 결합수단(220)은 상기 본체(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210)의 표면 중 가로 방향의 상측에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220)는 상기 스티커(230)가 상기 본체(210)에 부착되도록 상기 스티커(230)의 하면에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220)는 상기 스티커(230)의 하면 중 타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체(210)에 부착된 상기 스티커(230)를 제거할 시, 상기 스티커(230)의 타측 부분에 상기 접착제(220)가 도포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스티커(230)의 타측 부분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240)는 상기 스티커(230)의 상면 중 일측에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걸리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후크(240)는 상기 스티커(230)의 상면 중 중앙 또는 타측 어느 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240)의 걸리는 폭의 크기는 상기 포켓(P)의 일측면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체(210)가 수첩이나 지갑(W) 등에 구비된 포켓(P)에 삽입될 때, 상기 본체(210)의 일부분만 인입되고, 상기 수첩의 상단부에 상기 후크(240)가 걸려 더 이상 인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접착제(220), 스티커(230) 및 후크(240)는 별도로 소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제(220)의 상면에는 상기 스티커(230)가 결합되고, 상기 스티커(230)의 상면에는 후크(2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220)의 하면에는 별도의 종이류(미도시)가 부착된 상태로 소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접착제(220)를 상기 본체(210)에 부착할 때에는 상기 종이류를 떼어 낸 후 상기 본체(210)에 부착하면 된다.
한편, 상기 후크(240)는 상면이 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수첩이나 지갑(W) 등에 구비된 포켓(P) 중 상기 본체(2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210)가 완전히 인입되는 경우, 상기 후크(240)를 걸어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210)가 뒤집혀 삽입되면 상기 후크(240)에 걸리지 않아 상기 본체(210)가 상기 포켓(P)에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포켓(P)의 표면 중 상기 후크(240)와 대응되는 지점을 손가락으로 눌러 밀어내면 밀리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210) 표면 중에 상기 후크(240)가 돌출됨에 따라 상기 포켓(P)의 내부의 마찰력이 상쇄함은 물론, 상기 후크(240)의 상면이 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포켓(P)의 내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어서 인출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스티커의 원단 구조는 금형조각롤으로 형압하여 엠보싱층이 압입되는 PET 원단층과, 상기 금형조각롤으로 형압하여 엠보싱층이 압입되는 PET 원단층 상부에 PET 투명원단층이 적층되도록 접착시키는 접착제코팅층과, 상기 접착제코팅층 상부에 금형조각롤으로 형압하여 엠보싱층이 압입되는 PET 원단층과 접착되어 합지되는 PET 투명원단층과, 상기 금형조각롤으로 형압하여 엠보싱층이 압입되는 PET 원단층과 PET 투명원단층을 접착제로 합지한 후 동판 위에서 코팅되는 대전지층과, 상기 PET 투명원단층 상부에 이형력(Release force)이 증가되도록 실리콘 처리하여 적층되는 실리콘코팅층과, 상기 실리콘코팅층 상부에 콤마코팅 인쇄 방식으로 적층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수지계열 또는 아크릴계열의 점착제층과; 실리콘으로 이형처리된 양면 PET 원단층 상부에 콤마코팅 인쇄 방식으로 적층되는 우레탄과 아크릴이 혼합된 코팅층과, 상기 혼합된 코팅층과 상기 점착제층이 합지되는 실크 인쇄 코팅층과, 상기 실크 인쇄 코팅층 상부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고체물질 형태로 표면에 부착되거나, 매립된 약결합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액체 형태로 분산되어 시각적인 외관을 향상시키는 글리터층과, 상기 글리터층 상부에 잉크가 UV 코팅, 우레탄 코팅 중에서 어느 하나로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적층되어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는 실크 인쇄 코팅층과, 상기 실크 인쇄 코팅층 상부에 적층되어 문자, 그림, 무늬모양을 단수 또는 복수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와 시각적인 외관을 향상시키는 입체형성 블링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스티커는 정전기 방지와 정교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이나 향기의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고안에 의한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에 따르면, 카드 표면 중 일부에 돔형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포켓에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포켓 표면 중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를 눌러 밀어내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돔형 돌기의 일측 하부에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카드의 길이보다 긴 깊이의 포켓에 카드가 삽입될 때, 삽입홈을 통해 포켓의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카드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카드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드
110: 본체
120: 접착제 130: 스티커
140: 후크 W: 지갑
P: 포켓
120: 접착제 130: 스티커
140: 후크 W: 지갑
P: 포켓
Claims (3)
- 지갑의 수납공간 및 포켓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 표면에 형성되는 돔형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포켓의 표면 중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눌러 밀어내 상기 본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클립 또는 스티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일측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5851U KR20190001225U (ko) | 2017-11-15 | 2017-11-15 |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5851U KR20190001225U (ko) | 2017-11-15 | 2017-11-15 |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225U true KR20190001225U (ko) | 2019-05-23 |
Family
ID=6665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5851U KR20190001225U (ko) | 2017-11-15 | 2017-11-15 |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1225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3988A (ko) * | 2020-05-21 | 2021-11-30 | 남재성 | 인출이 용이한 카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9122U (ko) | 1997-11-17 | 1999-06-05 | 정몽규 | 속도감응형 에어백 인플레이터 |
-
2017
- 2017-11-15 KR KR2020170005851U patent/KR20190001225U/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9122U (ko) | 1997-11-17 | 1999-06-05 | 정몽규 | 속도감응형 에어백 인플레이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3988A (ko) * | 2020-05-21 | 2021-11-30 | 남재성 | 인출이 용이한 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877513S1 (en) | Wallet money clip | |
CN203041032U (zh) | 手机保护套 | |
KR20190001225U (ko) | 돔형 돌기가 갖춰진 카드 | |
EP2892381A2 (en) |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 |
US20140034227A1 (en) | Adhesive retrieval tab for removal of credit card style item | |
US20050174656A1 (en) | One piece clear plastic cardholder, cardholder shaped fresnel magnifying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JP3075755U (ja) | 入退場識別標識体、および入退場識別標識体用バッジ | |
KR20120006058U (ko) |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명함 케이스 | |
USD585643S1 (en) | Card and currency carrying device | |
US20160176226A1 (en) | Writing Instrument With Holder Element | |
KR101185350B1 (ko) | 전파식별태그를 내장한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 |
CN206711488U (zh) | 一种具有防伪易碎功能的标签 | |
CN208126735U (zh) | 一种具有凹凸字体的服饰商标吊牌 | |
US20100025474A1 (en) | System and method of card adornment | |
CN208126736U (zh) | 一种纸袋式服饰商标吊牌 | |
US10293468B2 (en) | Card extraction devices | |
JP3208395U (ja) | シール付カード | |
KR200446196Y1 (ko) | 카드형 유에스비 장치 | |
KR102244962B1 (ko) | 종이명함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449889Y1 (ko) | 수납기능을 가지는 펜홀더 | |
KR20190001795U (ko) | 카드 인출 수단을 구비한 카드 지갑 | |
JP3190558U (ja) | 着脱式収納部材 | |
US20170280843A1 (en) | Portable electronics device case with utility recess | |
EP3646156A1 (en) | Embedded trace capacitive signet stamp | |
JP3094524U (ja) | お守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