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67U - 가지유인장치 - Google Patents

가지유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67U
KR20190001167U KR2020170005736U KR20170005736U KR20190001167U KR 20190001167 U KR20190001167 U KR 20190001167U KR 2020170005736 U KR2020170005736 U KR 2020170005736U KR 20170005736 U KR20170005736 U KR 20170005736U KR 20190001167 U KR20190001167 U KR 201900011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nch
rod
prim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336Y1 (ko
Inventor
한승원
김광진
김재순
정나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170005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3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가지유인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는 식목의 원가지의 방향 또는 형태를 유인하기 위해 양단 사이에 굴절각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굴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굴절부들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원가지 유인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지유인장치{branch luring device}
식물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유인하는데 사용되는 식물용 가지유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재배과정에서는 식물 가지의 방향이나 형태를 유인하는 경우가 있다.
과수의 성장기에 열매가 맺는 가지를 유인하여 줌으로써, 조기착과와 수광량 증대, 또는 통풍원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그 일 예다.
또 벽면이나 펜스의 경관조성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에스펠리어(espalier) 재배시에는 3차원으로 자랄 수목의 가지를 2차원이 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특히 가지의 방향과 형태를 유인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식목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정확하게 유인할 수 있고, 식목의 가지 유인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가지유인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는 식목의 원가지의 방향 또는 형태를 유인하기 위해 양단 사이에 굴절각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굴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굴절부들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원가지 유인봉;을 포함한다.
상기 원가지 유인봉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된 신축대; 및 양단 사이에 상기 굴절부를 구비하는 굴절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대와 굴절대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지유인장치는 상기 원가지 상의 곁가지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굴절부 중 적어도 일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곁가지 지지대; 및 상기 곁가지를 상기 곁가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곁가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곁가지 지지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곁가지 고정부는, 일면과 타면이 각각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 마련되어 일단을 통해 상기 신축바에 끝단부에 결합된 벨크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지유인장치는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원가지 유인봉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봉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식목의 원줄기 주변에 세워지는 지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지유인장치는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단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벽면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고정수단은,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 및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단부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벽면부착부에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는 식목의 원가지의 방향 또는 형태를 유인하기 위한 원가지 유인봉;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고정을 위한 유인봉 고정수단; 상기 원가지를 원가지 유인봉에 고정시키기 위해 원가지 상의 곁가지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곁가지 지지대; 및 상기 곁가지를 곁가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곁가지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는 원가지 유인봉이 굴절각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굴절부를 구비함은 물론 굴절부들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식목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정확하게 유인할 수 있고, 식목의 가지 유인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지유인장치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지유인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가 가지를 유인하고자 하는 식목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원가지가 가지유인장치의 원가지 유인봉에 고정되어 유인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식목의 가지유인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장치(1)는 식목(2)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원가지(2b)의 방향 또는 형태를 유인하기 위한 원가지 유인봉(10)과, 원가지 유인봉(10)의 고정을 위한 유인봉 고정수단(20)과, 원가지(2b)를 원가지 유인봉(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원가지(2b) 상의 곁가지(2c)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곁가지 지지대(30)와, 곁가지(2c)를 곁가지 지지대(30)에 고정시키는 곁가지 고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가지 유인봉(10)은 양단 사이에 굴절각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굴절부(11)를 구비하고, 복수의 굴절부(11)들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원가지 유인봉(1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된 신축대(100)와, 양단 사이에 굴절부(11)를 구비하는 굴절대(200)를 포함하고, 신축대(100)와 굴절대(20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가지 유인봉(10)은 신축대(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가지(2b)의 구부리고자 하는 지점에 굴절부(11)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굴절부(11)의 각도를 굴절시키고자 하는 원가지(2b)의 굴절각도에 맞게 굴절시킴으로써, 원가지(2b)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원가지 유인봉(10)은 복수의 굴절부(11)를 이용하여 원가지(2b)의 다양한 지점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킴에 따라 원가지(2b)의 형태를 다양한 형태가 되도록 유인할 수 있게 된다.
신축대(100)는 양측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신축바(110)와, 한 쌍의 신축바(110)가 양측으로 연결된 제1몸통(120)을 구비할 수 있다. 신축바(110)는 안테나와 같이 접철이 가능한 막대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제1몸통(1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축대(100)는 하나의 신축바(110)를 구비하도록 마련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굴절대(200)는 한 쌍의 제2몸통(210)이 굴절부(11)를 통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굴절부(11)는 제2몸통(210)의 상호 대응하는 단부에 각각 마련된 회전편(11a)과, 상호 겹쳐진 한 쌍의 회전편(11a)에 결합하는 회전축(11b)과, 회전축(11b)에 대한 회전편(11a)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회전축(11b)에 결합하는 회전제한부재(11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b)은 볼트로 마련되고, 회전제한부재(11c)는 너트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굴절부(11)는 회전제한부재(11c)가 풀린 상태에서 한 쌍의 제2몸통(210) 사이의 회전을 허용하고, 제2몸통(210) 사이의 회전각이 결정된 상태에서 회전제한부재(11c)가 조여짐에 따라 한 쌍의 제2몸통(210) 사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식에 의해 제2몸통(210) 사이의 굴절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굴절부(11)는 제2몸통(210)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신축대(100)와 굴절대(200) 사이는 결합부(12)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12)는 신축대(100)의 신축바(100) 끝단부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12a)와, 제1결합부(12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굴절대(200)의 제2몸통(210)의 끝단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는 신축대(100)와 굴절대(200) 사이가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12a)와 제2결합부(12b) 중 어느 하나는 수나사로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수나사가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암나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바(110)의 끝단부 외주에는 제1결합부(12a)를 형성하는 수나사가 마련되고, 제2몸통(210)의 끝단부 내주에는 제2결합부(12b)를 형성하는 암나사가 마련된다.
원가지 유인봉(10)을 형성하는 신축대(100)와 굴절대(20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신축대(100)와 굴절대(200)는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대(100)와 굴절대(200)의 결합구조에서는 원가지 유인봉(10)에 마련되는 복수의 굴절부(11)의 회전방향이 상호 동일하게 되도록 하거나,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원가지 유인봉(10)의 굴절방향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고하면, 원가지 유인봉(10)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20)은 원가지 유인봉(10)의 일단을 원가지(2b)의 시작단 쪽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지주(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21)는 식목(2)의 원줄기(2a) 주변에 세워지도록 저부를 통해 식목(2)이 식재된 위치 주변의 토양에 박혀 고정될 수 있다.
지주(21)에는 원가지 유인봉(10)의 일단이 결합하도록 봉결합부(21a)가 마련되고, 봉결합부(21a)는 지주(21)의 둘레 및 길이방향으로 따라 마련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가지 유인봉(10)은 식목(2)의 복수의 원가지(2b)를 유인하도록 다수개가 동시에 지주(21)에 결합될 수 있다.
봉결합부(21a)는 신축대(100)와 굴절대(200) 간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결합부(12a,12b)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되고, 이에 따라 단부가 제1결합부(12a) 또는 제2결합부(12b)로 마감되는 원가지 유인봉(10)은 별도의 추가구조 없이 그대로 봉결합부(21a)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원가지 유인봉(10)의 단부는 제1결합부(12a)로 마련되고, 봉결합부(21a)는 제1결합부(12a)가 결합할 수 있게 제2결합부(12b) 형태가 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원가지 유인봉(10)은 지주(21)를 통해 일단부가 원가지(2b)의 시작단 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원가지(2b)를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20)은 원가지 유인봉(10)의 단부를 벽면(3)에 고정시키는 벽면고정수단(22)을 포함하고, 벽면고정수단(22)은 벽면(3)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22a) 및 원가지 유인봉(10)의 단부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벽면부착부(22a)에 고정되는 자석(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면고정수단(22)은 벽면(3)의 손상 없이도 원가지 유인봉(10)의 단부를 벽면(3)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벽면(3)이나 펜스의 경관조성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에스펠리어(espalier) 재배시의 가지의 유인효율을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벽면부착부(22a)는 벽면에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한 접착점토로 마련되고, 자석(22b)은 접착점토의 경화과정에서 접착점토에 부착된 형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원가지 유인봉(10)은 자기적 인력에 의해 자석(22b)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 또는 자성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펠리어 재배시 가지유인장치(1)는 일단이 지주(21)를 통해 원가지(2b)의 시작단 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벽면고정수단(22)을 통해 벽면(3)에 고정된 상태에서 식목(2)의 원가지(2b)를 벽면(3) 쪽으로 유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지주(21)를 삭제하고, 각각의 원가지 유인봉(10)의 양단이 한 쌍의 벽면고정수단(22)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도 에스펠리어 재배에 따른 가지의 유인작업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곁가지 지지대(30)는 복수의 상기 굴절부(11) 중 적어도 일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원가지 유인봉(10)과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곁가지 지지대(30)는 제3몸통(310)과, 제3몸통(310)의 일단에 마련되는 신축바(320)와, 굴절부(11)의 굴절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3몸통(310)의 타단에는 회전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결합부(330)는 상기 굴절부(11)의 회전축(11b)이 결합하도록 제3몸통()의 일단에 마련되는 회전편(3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결합부(330)는 굴절부(11)의 회전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굴절부(11)와 함께 회전이 허용되거나 제한되면서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곁가지 고정부(40)는 일면과 타면이 각각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 마련되고, 일단이 신축바(320)의 끝단에 결합된 벨크로 스트립(4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크로 스트립(41)으로 마련되는 곁가지 고정부는 간단한 와인딩 방식으로 곁가지(2c)를 곁가지 지지대(30)의 신축바(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가지(2a)를 원가지 유인봉(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곁가지 지지대(30) 및 곁가지 고정부(40)가 원가지 유인봉(10)과 한 몸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가지유인장치(1)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평상시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가지의 유인작업성에 있어서도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원가지 유인봉(10)에 원가지(2b)를 고정시킬 때는 곁가지 지지대(30)가 결합된 굴절부(11)의 위치를 곁가지(2c)의 위치에 맞추고, 곁가지 지지대(30)를 회전결합부(330)를 중심으로 곁가지(2c)에 지지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신축바(320)의 길이를 곁가지(2c)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곁가지(2c)를 신축바(320)에 밀착되도록 벨크로 스트립(41)을 감아 고정시킴에 따라 원가지(2b)는 원가지 유인봉(10)에 유인된 자세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가지유인장치(1)를 이용하여 에스펠리어 재배를 위해 벽면(3)에 인접하도록 식재된 식목(2)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유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는 먼지 식목(2)의 원줄기(2a)에 인접하도록 지주(21)를 세우고, 유인하고자 하는 원가지(2b)의 높이에 대응하는 지주(21)의 봉결합부(21a)에 각각 원가지 유인봉(10)의 일단을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유인하고자 하는 원가지(2b)의 유인형태를 감안하여 원가지 유인봉(10)을 굴절시킨다. 이때는 신축대(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굴절부(11)들을 원가지(2b)의 구부리고자 하는 복수의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굴절부(11)들을 원가지(2b)의 유인 방향과 각도에 맞게 굴절시키게 된다. 이때 원가지 유인봉(10)은 곁가지 지지대(30)가 결합된 굴절부(11)의 위치가 원가지(2b) 상의 곁가지(2c)의 위치로 맞춰질 수 있다.
원가지 유인봉(10)이 원가지(2b)의 유인형태로 굴절된 상태에서는 곁가지 지지대(30)를 회전결합부(330)를 중심으로 인접한 곁가지(2c)에 지지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신축바(320)의 길이를 곁가지(2c)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곁가지(2c)를 신축바(320)에 밀착되도록 벨크로 스트립(41)을 감아 고정시킴에 따라 원가지(2b)는 원가지 유인봉(10)에 유인된 자세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원가지 유인봉(10)의 끝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벽면고정수단(22)을 설치하고, 원가지 유인봉(10)의 끝단이 벽면고정수단(22)의 자석(22b)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지 유인봉(10)의 양단은 각각 지주(21)와 벽면고정수단(22)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목(2)에 마련된 다수의 원가지(2b)를 복수의 원가지 유인봉(10)을 이용하여 유인하게 되면, 도 4의 식목(2)은 도 6과 같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 또는 형태를 갖도록 유인될 수 있게 된다.
1: 가지유인장치 2: 식목
2b: 원가지 3: 벽면
10: 원가지 유인봉 11: 굴절부
12: 결합부 20: 고정수단
21: 지주 22: 벽면고정수단
22a: 벽면부착부 30: 곁가지 지지대
40: 곁가지 고정부 100: 신축대
200: 굴절대

Claims (9)

  1. 식목의 원가지의 방향 또는 형태를 유인하기 위해 양단 사이에 굴절각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굴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굴절부들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원가지 유인봉;를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지 유인봉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된 신축대; 및
    양단 사이에 상기 굴절부를 구비하는 굴절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대와 굴절대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지유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지 상의 곁가지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굴절부 중 적어도 일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곁가지 지지대; 및
    상기 곁가지를 상기 곁가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곁가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곁가지 지지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된 가지유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곁가지 고정부는,
    일면과 타면이 각각 암형 벨크로와 수형 벨크로 마련되어 일단을 통해 상기 신축바에 끝단부에 결합된 벨크로 스트립;을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원가지 유인봉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봉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식목의 원줄기 주변에 세워지는 지주;를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단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벽면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고정수단은,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부; 및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단부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벽면부착부에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9. 식목의 원가지의 방향 또는 형태를 유인하기 위한 원가지 유인봉;
    상기 원가지 유인봉의 고정을 위한 유인봉 고정수단;
    상기 원가지를 원가지 유인봉에 고정시키기 위해 원가지 상의 곁가지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곁가지 지지대; 및
    상기 곁가지를 곁가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곁가지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지유인장치.

KR2020170005736U 2017-11-08 2017-11-08 가지유인장치 KR200489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36U KR200489336Y1 (ko) 2017-11-08 2017-11-08 가지유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36U KR200489336Y1 (ko) 2017-11-08 2017-11-08 가지유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67U true KR20190001167U (ko) 2019-05-16
KR200489336Y1 KR200489336Y1 (ko) 2019-06-04

Family

ID=6665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36U KR200489336Y1 (ko) 2017-11-08 2017-11-08 가지유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9992A (zh) * 2021-04-27 2021-06-29 宁夏农林科学院枸杞科学研究所 一种枸杞主干形树形的培养方法
CN113632657A (zh) * 2021-08-30 2021-11-12 金广龙 一种园林景观树木造型固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2708A1 (fr) * 2007-06-13 2008-12-17 M. Patrick Julien Piquet métallique en forme de cornière pour le support de fil de soutien de branches d'arbr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130000229U (ko) * 2011-07-01 2013-01-09 이경룡 벽체용 넝쿨식물 안내장치
KR200466074Y1 (ko) * 2010-12-02 2013-03-27 대한민국 화분용 지주 지지대 및 그를 포함하는 화분
JP2014225977A (ja) * 2013-05-16 2014-12-04 中国電力株式会社 つる性植物の誘導装置
KR20160000797U (ko) * 2014-09-01 2016-03-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용 지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2708A1 (fr) * 2007-06-13 2008-12-17 M. Patrick Julien Piquet métallique en forme de cornière pour le support de fil de soutien de branches d'arbr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0466074Y1 (ko) * 2010-12-02 2013-03-27 대한민국 화분용 지주 지지대 및 그를 포함하는 화분
KR20130000229U (ko) * 2011-07-01 2013-01-09 이경룡 벽체용 넝쿨식물 안내장치
JP2014225977A (ja) * 2013-05-16 2014-12-04 中国電力株式会社 つる性植物の誘導装置
KR20160000797U (ko) * 2014-09-01 2016-03-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용 지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9992A (zh) * 2021-04-27 2021-06-29 宁夏农林科学院枸杞科学研究所 一种枸杞主干形树形的培养方法
CN113039992B (zh) * 2021-04-27 2022-09-27 宁夏农林科学院枸杞科学研究所 一种枸杞主干形树形的培养方法
CN113632657A (zh) * 2021-08-30 2021-11-12 金广龙 一种园林景观树木造型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36Y1 (ko)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100B2 (en) Trellis and tool system
US7774977B2 (en) Trellis and tool system
US20080028677A1 (en) Collapsible support with trellis and tool system
US10342184B2 (en) Plant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489336Y1 (ko) 가지유인장치
US20140109474A1 (en) Adjustable Plant Support Assembly
US9167753B2 (en) Plant support assembly
US20100325950A1 (en) Support for plants
US20020104261A1 (en) Collapsible plant support structure
US20150223412A1 (en) Plant Cage
US20180255715A1 (en) Modular Versatile Plant Protection System
US20170188524A1 (en) Plant support and growth dir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60286734A1 (en) Method for adjusting and stabilizing a support for a plant
US1059547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irecting plant growth
USH824H (en) Plant stem holder
US73770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nt stems
JP2003325058A (ja) 支柱留具
US20170105364A1 (en) Plant Support
KR100914255B1 (ko) 가지유인기
CN204653202U (zh) 一种猕猴桃盆栽的漏斗式栽培架
KR200268446Y1 (ko) 나무지지대
US6128851A (en) Tree support assembly
KR20180003388U (ko) 다용도 유인구
CN206283965U (zh) 一种甜瓜吊蔓栽培架
US9353891B1 (en) Garden hose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