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08A -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08A
KR20190001108A KR1020170080567A KR20170080567A KR20190001108A KR 20190001108 A KR20190001108 A KR 20190001108A KR 1020170080567 A KR1020170080567 A KR 1020170080567A KR 20170080567 A KR20170080567 A KR 20170080567A KR 20190001108 A KR20190001108 A KR 2019000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screen
touch panel
touch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Original Assignee
김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현 filed Critical 김병현
Priority to KR102017008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108A/ko
Publication of KR2019000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65Particular recording light; Beam shape or geome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을 스크린으로 조사시키는 복수개의 빔프로젝터; 상기 빔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입체 영상을 투영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스크린;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대한 영상 제어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터치받는 투명 패널로서,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터치 정보를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로 전송하는 터치 패널; 및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이 저장되어 있어 입체 영상을 상기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며,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Floating hologram touching system}
본 발명은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으로서, 플로팅 홀로그램을 터칭 제어할 수 있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래피란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홀로그램이란 '완전함' 혹은 '전체'라는 뜻의 'holo'와, '메시지', '정보'라는 뜻의 'gram'이 합쳐진 말이다. 홀로그램은 실제 물체를 보는 듯한 3D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차세대 영상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홀로그램을 기록하고 재생 및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빛의 회절·간섭이 이루어질 정도의 작은 광소자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용화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에는 '페퍼스 고스트'라고 알려진 착시 효과를 이용하여 실제 인물이 무대에 등장하여 공연을 하는 듯한 연출을 하는 홀로그램 극장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모든 매질은 반사율과 투과율을 갖는데, '페퍼스 고스트'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빛투과율이 높은 소재에 반사율을 높이도록 광택 코딩을 하여 소재 뒷면의 투과 빛과, 소재 앞면의 반사 빛을 동시 볼 수 있도록 하고, 소재 앞면의 이미지가 마치 뒷 배경과 공간 상에 함께 존재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소재는 바닥 스크린에 대해 45도 기울어진 평면 형태로 설치가 되고, 빛의 반사법칙에 따라 바닥 이미지는 반사소재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가 형성되므로 관객이 볼 때는 무대상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기법을 공간상에 물체(가상 이미지)가 떠있는 효과를 제공한다고 하여 유사 홀로그램의 한 방식으로 플로팅 홀로그램(Floating Hologram)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플로팅 홀로그램의 경우, 이미 촬영된 입체 영상을 스크린에 구현하는 방식으로서 사용자(관람자)는 스크린상의 입체 영상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관람자)는 다른 영상을 선택하거나, 검색하거나 또한 사용자(관람자) 원하는 어떤 액션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플로팅 홀로그램 응용 및 적용분야가 한정적인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7713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플로팅 홀로그램을 터칭 제어할 수 있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을 스크린으로 조사시키는 복수개의 빔프로젝터; 상기 빔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입체 영상을 투영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스크린;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대한 영상 제어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터치받는 투명 패널로서,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터치 정보를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로 전송하는 터치 패널; 및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이 저장되어 있어 입체 영상을 상기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며,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는, 상기 빔프로젝터 및 터치 패널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입체 영상이 저장된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입체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빔프로젝터로 제공하며,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부터 터치되는 패널면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에 따라서 입체 영상을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서 터치 패널면 상에 가상 홀로그램을 표시한 터치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상기 터치 가상 화면에 적용하여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과 터치 가상 화면의 면적비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 크기와 터치 가상 화면에 표시될 가상 홀로그램 크기의 비율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은, 관람자가 바라보는 터치 패널면을 촬영하여 터치 패널 영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 영상 화면에 적용하여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관람자가 바라보는 스크린의 전면에 접하여 결합된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통해 관람자가 터칭하여 능동적으로 입체 영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제품은 고가의 기술이며 제어 정확도가 본 발명의 터치 방식 대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가격 경제력 및 제어 방법에 있어 관람자에게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을 인위적으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빔프로젝터가 입체 영상을 조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스크린과 터치 패널이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스크린과 터치 패널이 일체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가상 화면의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빔프로젝터가 입체 영상을 조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스크린과 터치 패널이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스크린과 터치 패널이 일체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가상 화면의 예시 그림이다.
기존의 제품은 모션을 감지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즉, 기존에는 플로팅 홀로그램 앞 허공에 어떤 모션을 취하면 모션 데이터는 제어기기(PC, 노트북 및 모바일 등)에 전송되며, 해독 소프트웨어(알고리즘)을 통해 역할(모션)에 맞는 결과를 플로팅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단점은 정밀도가 떨어져 불편한 사례가 자주 발생하며, 또한 소프트웨어 및 감지 셋트를 구성하는데 비용이 많이 발생되며 제어 정밀도가 높아질수록 비용또한 비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플로팅 홀로그램을 제어함에 있어서 투명 터치 패널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틀로팅 홀로극램 터칭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프로젝터(200), 스크린(300), 터치 패널(400), 및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빔프로젝터(20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을 스크린(300)으로 조사시키는 빔 조사 모듈이다.
스크린(300)은, 빔프로젝터(200)에서 조사되는 입체 영상을 투영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막이다.
플로팅 홀로그램(floating hologram)은, 홀로그래피에 의해 생성된 3차원 사진이 투명 포일에 투영되어 마치 허공에 떠 있는 것과 같은 홀로그램이다. 무대 위에 설치된 빔프로젝터(200)가 무대 바닥에 설치된 반사판에 영상을 투사하면 반사된 영상이 무대 위에 45도 기울기로 설치된 스크린(300)에 투영되어 마치 허공에 떠 있는 것과 같은 홀로그램 영상이 무대 뒤편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플로팅 홀로그램이라 한다.
두 개의 빔프로젝터(200)를 이용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예를 도 2와 함께 상술하면, 제1빔프로젝터(200a)는 가상 이미지1, 가상 이미지2가 형성되는 플로팅 홀로그램 공간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다. 제1빔프로젝터(200a)는 제1반사판(201b)을 향하여 제1디스플레이 영상을 출력한다. 제2빔프로젝터(200b)는 홀로그램 공간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다. 제2빔프로젝터(200b)는 제2반사판(201a)를 향하여 제2디스플레이 영상을 출력한다. 제1반사판(201b)은 제1빔프로젝터(200a)와 대각선 방향으로 플로팅 홀로그램 공간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다. 제1반사판(201b)은 제1빔프로젝터(200a)가 출력한 디스플레이 이미지1을 반사시킨다.
제2반사판(201a)는 제2빔프로젝터(200b)와 대각선 방향으로 플로팅 홀로그램 공간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다. 제2반사판(201a)는 제2빔프로젝터(200b)가 출력한 디스플레이 이미지2를 반사시킨다. 이때, 제1반사판(201b) 및 제2반사판(201a)은 스크린(300)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현되어 있지만 가상 이미지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대각선 방향 또는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는, 두 개의 빔프로젝터(200a,200b)를 이용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두 개 이상의 더 많은 개수의 빔프로젝터들을 이용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널(400)은, 스크린(300)에서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대한 영상 제어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터치받는 투명 패널로서,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터치 정보를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터치 패널(400)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400)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패널(400)은 투명한 패널로서, 현재는 24인치까지 주로 사용괴고 있으나 대형 투명 터치 패널의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존의 플로팅 홀로그램의 경우, 이미 촬영된 입체 영상을 스크린(300)에 구현하는 방식으로서 관람자는 스크린(300)상의 입체 영상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크린(300)의 전면에 대향시켜 투명의 터치 패널(400)을 구비하여, 터치 패널(400)을 통하여 관람객의 터치를 입력받아 터치 정보를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터치 패널(400)은, 사용자부터 터치되는 패널면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 등을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람자는 직접 다른 영상을 선택하거나, 검색하거나 또한 사용자(관람자) 원하는 영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터치 패널(400)과 스크린(300)은 이격 배치되어 제작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400)은, 스크린(300)의 전면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터치 패널(400)과 스크린(300)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400)은, 관람자가 바라보는 스크린(300)의 전면에 접하여 결합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밖에 터치 패널(400)과 스크린(300)간의 간격이나 배치 위치, 터치 패널(400)의 크기 등은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며, 간격, 배치 위치, 크기 등에 제한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이 저장되어 있어 입체 영상을 빔프로젝터(200)에 제공하는 연산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는, 도면에서는 데스크탑 PC(desktop PC)를 예로 도시하였지만, 데스크탑 PC 이외에도,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네트워크 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4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200)에 제공한다. 즉, 터치 패널(400)로부터 수신되는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에 따라서 입체 영상을 제어하여 빔프로젝터(200)에 제공한다. 따라서 관람자는 직접 다른 영상을 선택하거나, 검색하거나 또한 사용자(관람자) 원하는 영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부(210),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210)는, 빔프로젝터(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처리하며, 또한 터치 패널(400)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 방식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220)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입체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이다. 이러한 입체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와 같이 연산 처리가 가능한 유닛으로서, 프로세서 연산이 가능한 유닛이다. 제어부(230)는,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입체 영상을 추출하여 유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빔프로젝터(200)로 제공하며, 터치 패널(4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200)에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터치 패널(4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의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에 따라서 입체 영상을 제어하여 빔프로젝터(200)에 제공한다.
따라서 플로팅 홀로그램을 관람하는 관람자의 터치 패널(400)에 대한 터치 조작에 대응되도록 입체 영상을 제어하여 빔프로젝터(200)로 제공하여, 결국, 관람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을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관람자가 터치 패널(400) 상에서 터치할 시에 제어되도록 감지하는 영역은 플로팅 홀로그램의 영상 영역만으로 제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플로팅 홀로그램이 시연되고 있는 상태에서, 관람자는 스크린(300)의 플로팅 홀로그램되고 있는 '자동차'의 영역 부분에 해당하는 터치 패널(400) 영역만을 터치하여 영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차' 영역이 아닌 바탕 배경은 터치 조작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어부(230)는 스크린(300)의 전체 면적에서 플로팅 홀로그램이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역이, 터치 패널(400)의 전체 면적에서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30)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스크린(300)에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서 터치 패널(400)면 상에 가상 홀로그램을 표시한 터치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터치 패널(4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터치 가상 화면에 적용하여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다만, 플로팅 홀로그램이 터치 패널(400)에 표시되는 크기에 대한 정보는, 스크린(300)과 터치 가상 화면의 면적비를 활용한다. 즉, 스크린(300)과 터치 가상 화면의 면적비에 대응하여 스크린(300)에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 크기와 터치 가상 화면에 표시될 가상 홀로그램 크기의 비율이 결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300)과 터치 패널(400)이 동일 크기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스크린(300)에 표시되느 플로팅 홀로그램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서 터치 가상 화면에 표현된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터치 가상 화면상에서 터치되는 지점을 파악하게 된다.
만약,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400)이 스크린(300)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다면, 해당 면적비를 가지도록 플로팅 홀로그램이 확대되어 터치 가상 화면에 표현된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터치 가상 화면상에서 터치되는 지점을 파악하게 된다.
다른 두 번째 방식은, 관람자가 바라보는 터치 패널(400)면을 촬영하여 터치 패널(400) 영상 화면을 생성하여 제어부(230)로 전송하며 카메라(미도시)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터치 패널(4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400) 영상 화면에 적용하여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별도의 가상의 터치 가상 화면을 이용하지 않고 카메라를 통해서 터치 패널(400)에서 실제로 보이는 화면을 대상으로 터치 지점을 파악함으로써, 빠른 연산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
200:빔프로젝터
300:스크린
400:터치 패널

Claims (8)

  1.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을 스크린으로 조사시키는 복수개의 빔프로젝터;
    상기 빔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입체 영상을 투영하여 플로팅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스크린;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에 대한 영상 제어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터치받는 투명 패널로서,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터치 정보를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로 전송하는 터치 패널; 및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입체 영상이 저장되어 있어 입체 영상을 상기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며,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
    를 포함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는,
    상기 빔프로젝터 및 터치 패널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플로팅 홀로그램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입체 영상이 저장된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 영상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입체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빔프로젝터로 제공하며,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 연동시켜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부터 터치되는 패널면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입체 영상 제공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X,Y좌표 정보, 드래깅 정보에 따라서 입체 영상을 제어하여 빔프로젝터에 제공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서 터치 패널면 상에 가상 홀로그램을 표시한 터치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상기 터치 가상 화면에 적용하여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과 터치 가상 화면의 면적비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홀로그램 크기와 터치 가상 화면에 표시될 가상 홀로그램 크기의 비율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은,
    관람자가 바라보는 터치 패널면을 촬영하여 터치 패널 영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 영상 화면에 적용하여 입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관람자가 바라보는 스크린의 전면에 접하여 결합된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KR1020170080567A 2017-06-26 2017-06-26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KR20190001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567A KR20190001108A (ko) 2017-06-26 2017-06-26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567A KR20190001108A (ko) 2017-06-26 2017-06-26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08A true KR20190001108A (ko) 2019-01-04

Family

ID=6501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567A KR20190001108A (ko) 2017-06-26 2017-06-26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67B1 (ko) * 2019-09-05 2021-02-23 주식회사 지티티 3차원 공간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91329A (ko) * 2021-12-16 2023-06-23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홀로그램을 이용한 격투 트레이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67B1 (ko) * 2019-09-05 2021-02-23 주식회사 지티티 3차원 공간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91329A (ko) * 2021-12-16 2023-06-23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홀로그램을 이용한 격투 트레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8543B1 (en) Gesture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US10373381B2 (en) Virtual object manipulation within physical environment
US8319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communication with an image manipulator
US8502816B2 (en) Tabletop display providing multiple views to users
US20130207962A1 (en) User interactive kiosk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TWI526875B (zh) 互動式顯示
Steimle et al. Flexpad: highly flexible bending interactions for projected handheld displays
RU25248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рендеринга и отображения
EP2201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olographic user interface
US7535463B2 (en) Optical flow-based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US9041691B1 (en) Projection surface with reflective elements for non-visible light
JP6825087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方法
US200901026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with a user interface system
US20140111479A1 (en)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Ens et al. Spatial constancy of surface-embedded layouts across multiple environments
CN104999666A (zh) 三维扫描打印装置
US11354879B1 (en) Shape-based edge detection
KR20190001108A (ko) 플로팅 홀로그램 터칭 시스템
FR3025917A1 (fr) Dispositif et procede d'orchestration de surfaces d'affichage, de dispositifs de projection et de dispositifs d'interaction spatialises 2d et 3d pour la creation d'environnements interactifs
US10481733B2 (en) Transforming received touch input
CN111766949B (zh) 三维图像显示设备、显示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087914B1 (ko) 3d 데이터를 활용한 홀로그램 화면분할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101932972B1 (ko) 게임용 다중 레이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US9551922B1 (en) Foreground analysis on parametric background surfaces
KR20180107817A (ko) 게임용 홀로그램 영상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