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29A -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29A
KR20190001029A KR1020170080327A KR20170080327A KR20190001029A KR 20190001029 A KR20190001029 A KR 20190001029A KR 1020170080327 A KR1020170080327 A KR 1020170080327A KR 20170080327 A KR20170080327 A KR 20170080327A KR 20190001029 A KR20190001029 A KR 2019000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vehicle
passenger
ima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승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029A/en
Publication of KR2019000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G06K9/008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wherein the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comprises: an infrared ray (IR) image input unit receiving an IR image photographed with at least one IR camera mounted in a vehicle; a learning DB storing learning data to recognize a passenger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recognizing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by analyzing the IR image inputted through the IR image input unit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Description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탑승객을 인식하여 차량 내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탑승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탑승 여부에 따라 안전벨트(Seat Belt) 착용을 경고하거나 에어백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passenge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sseng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passenger of a passenger by recognizing a passenger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passenger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Belt ' s occupan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the wearer or controlling the airbag and the like.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 백 시스템은 챠량의 충돌 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An airbag system mounted on a vehicle is an apparatus for minimizing injury by instantaneously inflating an airbag between a driver and a steering wheel or between a passenger in a passenger seat and an instrument panel in the event of a collision.

이와 같은 에어 백 구동 장치에서 차량의 충격으로 에어백이 일단 구동되면 성인이나 어린이나 구별없이 일정한 속도와 압력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순식간에 매우 큰 충격이 승객에게 가해지기 때문에 만약 어린이가 탑승한 상태에서 에어백이 작동하게 될 경우 어린이에게는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시트의 탑승객이 성인인지 어린이인지를 감지해서 어린이가 탑승했을 때는 이를 인지하여 에어백의 크기를 줄이고 에어백의 돌출 속도를 감속시킬 필요가 있다.In such an airbag drive apparatus, once the airbag is driven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the airbag is operated at a constant speed and pressure regardless of the adult or child. Therefore, a very serious shock will be applied to passengers in a flash, so if the airbag is operated while the child is on board, a fatal accident may occur to the chi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the occupant of each seat is an adult or a child and to recognize when a child is aboard, to reduce the size of the airbag and to slow down the airbag emergence speed.

한편 탑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는 에어백에 의해서 받는 충격이 다르다. 즉,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는 차량이 충돌 등의 충격을 받아도 관성에 의해서 전방으로 치우침이 덜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객(또는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경고를 출력하거나, 충돌 시 에어백의 크기를 줄이고 에어백의 돌출 속도를 감속시킬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assenger wears a seatbelt or when he / she is not wearing a seatbelt, the impact received by the airbag is different. That is, when the passenger wears the seatbelt, even if the vehicle is impacted by a collision, the inertia causes less forward deviation. Therefore, when the passenger (or passenger) senses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has been worn, it is necessary to output a warning if the seat belt is not worn, or to reduce the size of the air bag and decelerate the air bag.

상기와 같이 차량 내 전자장치(예 : 에어백, 안전벨트 등)의 기능을 탑승객에 맞춰 제어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 탑승객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여 그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functions of the in-vehicle electronic devices (e.g., airbags, seat belts, etc.) in accordance with the passenger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assengers in the vehicle more accurately and to provide the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function- .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8-0001491호(1998.03.30. 공개, 전하 결합 소자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8-0001491 (published on Mar. 30, 1998, an air bag control apparatus using a charge coupled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의 탑승객을 인식하여 차량 내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탑승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탑승 여부에 따라 안전벨트(Seat Belt) 착용을 경고하거나 에어백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a vehicle which recognizes a passenger of a vehicle and provides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ccupan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a wear of a seat belt or controlling an airbag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Infrared Ray)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IR 영상을 입력받는 IR 영상 입력부; 차량 내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Data를 저장하는 학습DB; 및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에 기초하여 상기 IR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IR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 탑승객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ssenger recogniz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R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R image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IR (infrared ray) camera mounted in a vehicle; A learning DB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recognition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IR image input through the IR image input unit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a passenger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안전벨트 센서, 시트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a state of the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using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wherein the sensor unit detects at least one of a seat belt sensor, a seat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updates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hrough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R 영상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에 전송하여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 자료로서 제공하고,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IR 영상을 이용해 학습하여 학습Data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IR image to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to provide learning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 passenger, and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may use the received IR image And updates the learning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학습DB는, 회로에 직접 연결되는 오프라인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나,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클라우드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DB includes an offline-type database directly connected to a circuit or a cloud-based database connected online.

본 발명은,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와 통신하여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Data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에 상기 IR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to receive learning data for recognizing a passenger,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R image to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에 설치된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자체적인 기능에 따라 클러스터나 인포테인먼트(IVI) 장치를 통해 안전벨트 경고를 출력하게 하거나, 차량 충돌 시 탑승객에 맞게 에어백 전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ognized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function-specific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controls the cluster or the infotainment To output a seat belt warning through the airbag, or to control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for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학습DB는,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성인과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는 어린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을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외모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또한 자세(Pose)나 행동을 반영하여 학습된 학습Data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DB is learned by reflecting the vehicl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s learned by reflect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and distinguish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who do not use a car seat Learning i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reflecting the appearance of wearing or not wearing the object, and storing the learned learning data reflecting the pose or a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학습Data는, 상기 학습된 정보들을 앤드(AND) 논리조합 형태로 합성된 IR 영상을 이용해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된 Data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data is data learned so that a passenger can be recognized using an IR image synthesized in an AND logic combination form of the learned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비탑승객, 성인 및 어린이 탑승객, 및 유아탑승객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IR image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non-passengers, adult and child passengers, and infant passenger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뇌회로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및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by apply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은, 차량이 시동되면,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 카메라를 이용해 차량 내부의 IR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식된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의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전송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자체적인 기능에 따라 클러스터나 인포테인먼트(IVI) 장치를 통해 안전벨트 경고를 출력하게 하거나, 차량 충돌 시 탑승객에 맞게 에어백 전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gnizing a passenger in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the vehicle is started, capturing an IR image of a vehicle using at least one IR camera; Analyzing the IR image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 unit sends the recognized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function-specific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the vehicle so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utputs a seat belt warning through the cluster or infotainment (IVI) device according to its own function Or controlling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in accordance with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은, 상기 IR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IR 영상을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가 상기 전송된 IR 영상의 학습을 통해 기존 학습Data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IR imag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R image to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and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continues the existing learning data through learning of the transmitted IR im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또는 업데이트 이슈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로부터 최신 학습Data를 전송받아 학습DB의 학습Data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pdating a learning data of a learning DB,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the latest learning data from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학습DB는,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성인과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는 어린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을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외모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또한 자세(Pose)나 행동을 반영하여 학습된 학습Data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DB is learned by reflecting the vehicl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s learned by reflect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and distinguish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who do not use a car seat Learning i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reflecting the appearance of wearing or not wearing the object, and storing the learned learning data reflecting the pose or a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학습Data는, 상기 학습된 정보들을 앤드(AND) 논리조합 형태로 합성된 IR 영상을 이용해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된 Data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data is data learned so that a passenger can be recognized using an IR image synthesized in an AND logic combination form of the learned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비탑승객, 성인 및 어린이 탑승객, 및 유아탑승객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assenger,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IR image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non-passengers, adult and child passengers, and infant passengers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객을 인식하여 차량 내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탑승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탑승 여부에 따라 안전벨트(Seat Belt) 착용을 경고하거나 에어백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passenger of a vehicle and provides passenger information to a function-based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the vehicle, thereby alerting the passenger of wearing a seat belt, And so 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탑승객 인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학습Data에 반영된 차량내부환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학습Data에 반영된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학습Data에 반영된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학습Data에 반영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학습Data에 반영된 다양한 외모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9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학습Data에 반영된 다양한 자세(Pose)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configuration of a passenger recogniz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passenger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in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reflected in learning data in FIG. 1; FIG.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learning data in FIG. 1; FIG.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learning data in FIG. 1; FIG.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referenc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dults and children reflected in learning data in FIG. 1; FIG.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appearance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learning data in FIG. 1; FIG.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poses and behaviors reflected in the learning data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occupan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assenger recogniz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는, IR(Infrared ray) 영상 입력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학습DB(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1, the passenger recogniz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R (infrared ray) image input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learning DB 140, (150).

상기 IR 영상 입력부(11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IR 영상을 입력받는다.The IR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IR images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IR camera mounted in the vehicle.

상기 IR 카메라는 차량 내부의 전방이나 천장에 설치된다.The IR camera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or on the ceiling.

예컨대 상기 IR 카메라는 차량 데쉬보드, 룸미러, 및 각 시트열(예 : 1열, 2열, 3열 등) 상부의 천장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시트 등받이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IR 카메라는, 일반적인 가시광선 카메라(예 : CCD, CMOS)와 달리, 열을 감지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가령 뜨거운 곳은 빨간색으로 촬영되고 차가운 곳은 초록색으로 촬영되는 특징이 있다. For example, the IR camera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a vehicle dashboard, a room mirror, and a ceiling above each seat row (e.g., one row, two rows, three columns, etc.) Respectively. In addition, unlike a general visible light camera (e.g., CCD, CMOS), the IR camera captures an image by sensing heat. For example, the IR camera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t spot is photographed in red and a cold spot is photographed in green.

본 실시예에서 IR 카메라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야간에도 탑승객을 인식해야 되고, 또한 일반적인 가시광선 카메라(예 : CCD, CMOS)는 햇빛에 너무 민감하기 때문에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IR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적외선 필터를 가시광선 카메라(예 : CCD, CMOS)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reason for using the IR camera in this embodiment is to recognize the passenger at night, and in general, a visible light camera (e.g., CCD, CMOS) is too sensitive to sunlight, so an IR camera is used to improve stability. However, an infrared filter may be attached to a visible light camera (eg CCD, CMOS).

상기 센서부(120)는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상태를 검출한다.The sensor unit 120 detect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예컨대 상기 센서부(120)는 안전벨트 센서, 시트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하며, 편의상 본 실시예에 기재되지 않은 다른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20 includes a seat belt sensor, a seat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lik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sensors not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에 기초하여 상기 IR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IR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객을 인식한다.The control unit 130 analyzes the IR image input through the IR image input unit 110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and recognizes the passenger.

상기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예 : 러닝 서버, 학습 서버 등)(미도시)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may be updated through a server (e.g., a running server, a learning server, etc.) (not shown)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예 : 러닝 서버, 학습 서버 등)(미도시)로부터 학습Data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DB(14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learning data from a server (e.g., a running server, a learning server, etc.) (not shown)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and update the learning DB 140.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IR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IR 영상을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서버(예 : 러닝서버, 학습서버 등)(미도시)에 전송하여 학습 자료(즉,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 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버(미도시)에 전송되는 IR 영상은, 이미 상기 서버(미도시)가 이미 학습 완료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그에 관계없이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전송받은 IR 영상을 이용해 계속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학습Data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IR image input through the IR image input unit 110 to the server (e.g., a running server, a learning server, etc.) (not shown)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I. E. Learning material for passenger recognition). Of course, the IR image transmitted to the server (not show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nge already already learned by the server (not shown), but regardless of the IR image, the server (not shown) So that the updated learning data can be generated.

상기 학습DB(140)는 상기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Data를 저장한다.The learning DB 140 stores learning data for recognizing the passenger.

상기 학습DB(140)는 오프라인 방식(즉, 회로에 직접 연결된 방식)의 데이터베이스이거나, 온라인 방식(예 : 무선 클라우드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DB 140 may be a database in an offline manner (i.e., a scheme directly connected to a circuit) or a database in an online scheme (e.g., a wireless cloud scheme).

상기 통신부(150)는 무선(또는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서버(예 : 러닝서버, 학습서버 등)(미도시)와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e.g., a running server, a learning server, etc.) (not shown) connected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예 : 러닝서버, 학습서버 등)(미도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예 : 학습Data, IR 영상 등)를 송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and receiv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e.g., learning data, IR image, etc.) to the server (e.g., a running server, a learning server, etc.) (not shown) using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무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동통신(3G, 4G, 5G 등),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선 방식은 USB(Universal Serial Bus), LAN(Local Area Network), 직렬, 또는 병렬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다만 상술한 무선/유선 통신 방식은 일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 통신 방식을 한정시키기 위하여 기재된 것은 아니다. The wireless schem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using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4G, 5G, etc.), and infrared rays. The wired method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t least one of a USB (Universal Serial Bus), a LAN (Local Area Network), a serial line, and a parallel line. However, the wireless / wired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above is on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is not described for limiting the communication method.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인식한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에 설치된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160)에 전달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analyzes the IR image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function-specific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60 installed in the vehicle.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160)는 자체적인 기능에 따라 클러스터나 인포테인먼트(IVI) 장치를 통해 경고(예 : 안전벨트 경고)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 충돌 시(사고 발생 시) 탑승객(예 : 성인, 어린이, 유아 등)에 맞게 에어백 전개(돌출)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60 can output a warning (e.g., a seat belt warning) through a cluster or an infotainment (IVI) device according to its own function, (Projecting) of the airba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adult, child, infant, etc.).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의 탑승객 인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passenger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i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비탑승객 인식부(131), 성인 및 어린이 탑승객 인식부(132), 및 유아탑승객 인식부(133)를 포함한다.2,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non-passenger recognition unit 131, an adult and child passenger recognition unit 132, and an infant passenger recognition unit 133. [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입력받는다.The controller 130 receives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도 4는 상기 차량내부환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vehicl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시트를 갖는 차량에 승객이 탑승한다고 가정할 경우, ①,②,③,④,⑤는 시트(좌석)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측면에서 시트(좌석)를 바라볼 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내고, ⓑ는 측면에서 시트(좌석)를 바라볼 때 등받이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내며, ⓒ는 측면에서 시트(좌석)를 바라볼 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4, when it is assumed that a passenger is boarded on a vehicle having a two-row seat, ①, ②, ③, ④ and ⑤ show the position of the seat (seat) Ⓑ indicates the distance that the backres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when looking at the seat (seat) from the side, and ⓒ indicates the distance that the seat can be moved up and down when viewed from the side. Represents the distance.

이에 따라 도 4의 (a)에서 좌석세팅ⓐ는 시트(좌석)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를 사분할 하여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좌석세팅ⓑ는 등받이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를 사분할 하여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좌석세팅ⓒ는 시트(좌석)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를 사분할 하여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Accordingly, the seat setting a in Fig. 4 (a) indicates that the distance by which the seat (sea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s set by quadrupling, and the seat setting b is set by quadrupling the distance that the back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 And the seat setting C indicates that the distance that the seat (seat) can be moved up and down is set by quadrant.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시트(좌석)세팅은 도 4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좌석) 및 등받이를 전후 또는 상하 이동 가능한 최소거리(0%)와 최대거리(100%) 사이에서 임의세팅이 가능하며 다양한 사람의 키를 고려해서 설정될 수 있다.4 (b) and 4 (c), the seat (seat) setting is set to a minimum distance (0%) in which the seat (seat) and the back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100%), and can be set considering various persons' keys.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와 시간(예 : 오전, 정오, 저녁, 밤)에 따른 조도 상태, 주변에서 랜덤하게 승객에 비치는 빛을 고려한 조도 상태, 조도 변화 상태(예 : 밝음→어두움, 어두움→밝음, 밝음↔어두움(깜박임)), 및 카메라 흔들림 상태(예 : 차량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며 흔들림, 주행 중 흔들림, 승객의 움직임에 의해 흔들림 등, 지속적으로 1초 이내에 2번 15화소 이상 이동함)를 반영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5, the illuminance state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time (for example, morning, noon, evening, and night), the illuminance state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to the passenger at random is considered in the surroundings,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traveling, or the vehicle is moving due to movement of the passenger) continuously within 2 seconds, Or more) may be reflected.

이에 따라, 당연히 상기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된 Data이다.Accordingly,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naturally reflects various types of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and data learned by reflecting the various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to be.

또한 상기 제어부(130)(즉, 비탑승객 인식부(131))는 비탑승객(예 : 물건, 동물, 카시트 등) 인식을 위하여 물건 정보, 및 카시트 정보를 입력받는다.Also, the control unit 130 (i.e., the non-occupant recognition unit 131) receives object information and car seat information for recognizing non-passengers (e.g., objects, animals, car seats, etc.).

당연히 상기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된 Data이다.Naturally,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is data learned by reflecting various article information and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여기서 물건정보란, 가령, 박스, 가방, 동물, 및 식품 등 승객(사람)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물건정보 중 유아 탑승을 위한 카시트 정보는 다른 물건정보와 구별하여 별도로 학습에 반영된다.Here, the item information means, for example, a box, a bag, an animal, a food, and the like excluding the passenger (person). However, the car seat information for the infant on the above object information is separately reflected in the learning separately from the other object information.

한편 도 6에 도시된 카시트 규격은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r seat standard shown in Fig. 6 is exemplarily describ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30)(즉, 성인 및 어린이 인식부(132))는 탑승객(예 : 성인, 어린이로서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승객, 다만 지정된 기준에 따라 성인이라도 체형이 작으면 어린이로 분류될 수 있고, 어린이라도 체형이 크면 어른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식을 위하여 키(타입), 외모(외형), 자세 & 행동 정보를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i.e., the adult and child recognition unit 132) may be classified as a passenger (for example, an adult, a passenger who does not use a car seat as a child, (Type), appearance (appearance), posture & behavior information are input for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어부(130)(즉, 유아탑승객 인식부(133))는 탑승객(예 : 카시트를 이용하는 승객) 인식을 위하여 카시트 정보, 외모(외형),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that is, the infant occupant recognizing unit 133) inputs car seat information, appearance (external shape),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 passenger (for example, a passenger using a car seat) Receive.

이때 상기 제어부(130)가 IR 영상의 분석을 통해 탑승객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상기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인(남,여)과 어린이(카시트를 이용하지 않는 어린이)를 구분(분류)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도 8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외모(예 : 모자 착용, 물건을 이용해 얼굴 가림 등)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자세(Pose)나 행동(예 : 좌우 회전, 좌우 기울임, 젖힘이나 숙임, 핸들 돌림 동작 등)을 반영하여 학습된다.In order for the controller 130 to recognize the passeng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R imag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is various vehicl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And is learned by reflecting various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reflected by reflecting various object information and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and is classified into adult (male, female) and child 8 (a) and 8 (b), and various kinds of appearance (for example, wearing a hat, using a face, etc.) Etc.), and are learned by reflecting various poses or behaviors (for example, left-right rotation, left-right tilting, bowing or crouching, steering wheel turning operation, etc.)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학습Data에서 손발 자세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즉, 손발 자세가 탑승객을 구분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아니다). At this time, the learning data does not limit the posture of the limbs (that is, the limb posture is not a factor that greatly influences the identification of the passengers).

한편 상기 학습Data란, 상기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조건(기준)이 앤드(AND) 논리조합 형태로 합성된 IR 영상을 이용해 탑승객(예 : 비탑승객, 성인, 어린이, 유아 등)의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된 Data를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조건(기준)은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므로, 실제 학습시에는 더 다양한 조건(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data is used to recognize the passenger (for example, non-passenger, adult, child, infant, etc.) using the IR image synthesized in the AND logic combination form described in FIGS. 4 to 9 This means the data learned to be us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dition (reference) shown in FIG. 4 to FIG. 9 is exemplarily describ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more various conditions (reference) during actual learning.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에 기초하여 상기 IR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IR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객을 인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성능 향상을 위해서 뇌회로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CNN) 및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이 적용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IR image input through the IR image input unit 110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and recognizes the passeng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may apply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o improve the performan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시동되면(S101),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 카메라를 이용해 차량 내부의 IR 영상을 촬영한다(S102).As shown in FIG. 3, when the vehicle is started (S101), the control unit 130 takes an IR imag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IR camera (S102).

상기와 같이 차량 내부의 IR 영상을 촬영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학습DB(140)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S103) 탑승객을 인식한다(S104).When the IR image of the vehicle is capt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IR image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140 (S103) and recognizes the passenger (S104).

이때 상기 학습Data는, 상기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조건(기준)이 앤드(AND) 논리조합 형태로 합성된 IR 영상을 이용해 탑승객을 인식하도록 학습된 Data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IR 영상의 분석을 통해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learning data is data learned to recognize the passenger using the IR image synthesized in the AND logic combination for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The passenge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R image.

상기와 같이 차량의 탑승객이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인식된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의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160)에 전송함으로써(S105), 상기 전자제어장치(ECU)(160)는 자체적인 기능에 따라 클러스터나 인포테인먼트(IVI) 장치를 통해 경고(예 : 안전벨트 경고)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 충돌 시(사고 발생 시) 탑승객(예 : 성인, 어린이, 유아 등)에 맞게 에어백 전개(돌출)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recognized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60 in the vehicle (S105),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60 ) Can output alerts (such as seat belt warnings) via clusters or infotainment devices (IVI), depending on their capabilities, and can be used to alert passengers (eg, adults, children, infants, etc.)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ployment (projection) of the airbag accordingly.

이때 부가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IR 영상을 학습 서버(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S106) 상기 학습 서버(미도시)가 상기 전송된 IR 영상의 학습을 통해 기존 학습Data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30 may further transmit the IR image to a learning server (not shown) (S106) so that the learning server (not shown) continuously updates the existing learning data through the learning of the transmitted IR image .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주기적으로 또는 업데이트 이슈가 있을 경우, 상기 학습 서버(미도시)로부터 최신 학습Data를 전송받아 상기 학습DB(140)의 학습Data를 업데이트 한다(S107).If there is an update issue periodically,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latest learning data from the learning server (not shown) and updates the learning data of the learning DB 140 (S107).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의 탑승객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량 내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탑승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탑승 여부에 따라 안전벨트(Seat Belt) 착용을 경고하거나 에어백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more accurately recognizes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occupant information to the function-specific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the vehicle, thereby alerting the passenger of the wearing of the seat belt, So that the safe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IR 영상 입력부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131 : 비탑승객 인식부
132 : 성인 및 어린이 탑승객 인식부 133 : 유아탑승객 인식부
140 : 학습DB 150 : 통신부
160 : 전자제어장치
110: IR image input unit 120:
130: control unit 131: non-passenger recognition unit
132: Adult and Child Passenger Recognition Unit 133: Infant Passenger Recognition Unit
140: learning DB 150: communication section
160: Electronic control unit

Claims (17)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Infrared Ray)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IR 영상을 입력받는 IR 영상 입력부;
차량 내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Data를 저장하는 학습DB; 및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에 기초하여 상기 IR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IR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 탑승객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An IR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R image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IR (infrared ray) camera mounted inside the vehicle;
A learning DB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recognition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IR image input through the IR image input unit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a passenger in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안전벨트 센서, 시트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at belt sensor, a seat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is updated through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R 영상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에 전송하여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 자료로서 제공하고,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IR 영상을 이용해 학습하여 학습Data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The IR image is transmitted to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to provide learning data for recognizing a passenger,
Wherein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learns and updates the learning data using the transmitted IR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DB는,
회로에 직접 연결되는 오프라인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나,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클라우드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learning DB according to claim 1,
An offline databas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ircuit,
And a database of a cloud system connected on-line.
제 1항에 있어서,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와 통신하여 탑승객 인식을 위한 학습Data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에 상기 IR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to receive learning data for recognizing a passenger,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R image to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에 설치된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자체적인 기능에 따라 클러스터나 인포테인먼트(IVI) 장치를 통해 안전벨트 경고를 출력하게 하거나, 차량 충돌 시 탑승객에 맞게 에어백 전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ognized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function-specific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utputs the safety belt warning via the cluster or infotainment (IVI) Thereby enabling control of airbag deployment for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DB는,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성인과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는 어린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을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외모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또한
자세(Pose)나 행동을 반영하여 학습된 학습Data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learning DB according to claim 1,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learned by reflecting object information and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It is learned by reflecting standard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children who do not use adult and car seat,
They are taught to reflect the appearance of wearing or not wearing things, and
And the learned learning data is stored by reflecting a pose or an ac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Data는,
상기 학습된 정보들을 앤드(AND) 논리조합 형태로 합성된 IR 영상을 이용해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된 Data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data learned so that the passenger can be recognized by using the IR image synthesized in the AND logic combination form of the learned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비탑승객, 성인 및 어린이 탑승객, 및 유아탑승객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alyzes the IR image based on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Recognizes non-passengers, adult and child passengers, and infant passeng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뇌회로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및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applied to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vehicle.
차량이 시동되면,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 카메라를 이용해 차량 내부의 IR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식된 탑승객 정보를 차량 내의 기능별 전자제어장치(ECU)에 전송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자체적인 기능에 따라 클러스터나 인포테인먼트(IVI) 장치를 통해 안전벨트 경고를 출력하게 하거나, 차량 충돌 시 탑승객에 맞게 에어백 전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
When the vehicle is started, photographing an IR imag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using the at least one IR camera;
Analyzing the IR image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recognized passenger information to the function-specific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the vehicle so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utputs the seat belt warning through the cluster or infotainment (IVI) device according to its own function And controlling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for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IR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IR 영상을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가 상기 전송된 IR 영상의 학습을 통해 기존 학습Data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fter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IR imag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R image to a learning server or a learning server,
And allowing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to continuously update the existing learning data through learning of the transmitted IR image.
제 13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또는 업데이트 이슈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러닝 서버나 학습 서버로부터 최신 학습Data를 전송받아 학습DB의 학습Data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controller receiving the latest learning data from the learning server or the learning server and updating the learning data of the learning DB periodically or in case of an update issu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DB는,
차량내부환경 정보, 및 차량외부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정보 및 카시트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성인과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는 어린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되고,
물건을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외모를 반영하여 학습되며, 또한
자세(Pose)나 행동을 반영하여 학습된 학습Data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
13. Th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exterior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learned by reflecting object information and car seat standard information,
It is learned by reflecting standard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children who do not use adult and car seat,
They are taught to reflect the appearance of wearing or not wearing things, and
And the learned learning data is stored reflecting the pose or behavio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Data는,
상기 학습된 정보들을 앤드(AND) 논리조합 형태로 합성된 IR 영상을 이용해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된 Data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And means for recognizing the passenger using the IR image synthesized in the AND logic combination form of the learned inform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DB에 저장된 학습Data를 기초로 상기 IR 영상을 분석하여, 비탑승객, 성인 및 어린이 탑승객, 및 유아탑승객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탑승객 인식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in recognizing the passenger,
Wherein the controller analyzes the IR image based on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B to recognize non-passengers, adult and child passengers, and infant passengers.
KR1020170080327A 2017-06-26 2017-06-26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900010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27A KR20190001029A (en) 2017-06-26 2017-06-26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27A KR20190001029A (en) 2017-06-26 2017-06-26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327A Division KR20210014727A (en) 2021-02-01 2021-02-01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29A true KR20190001029A (en) 2019-01-04

Family

ID=6501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327A KR20190001029A (en) 2017-06-26 2017-06-26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0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388B1 (en) * 2022-03-29 2023-04-06 포티투닷 주식회사 In-vehicle infortainment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388B1 (en) * 2022-03-29 2023-04-06 포티투닷 주식회사 In-vehicle infortainment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636B2 (en) Neural network applications in resource constrained environments
AU784215B2 (en) Motor vehicle occupant detection system employing ellipse shape models and bayesian classification
CN107031659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or regulating travel task transfer in self-driving vehicle and system for transfer of travel task in self-driving vehicle
EP1842735B1 (en) Object detecting system, actuating device control system, vehicle, and object detecting method
EP3590772B1 (en) Monitoring system
EP1947548B1 (en) Actuation system for functions in a vehicle and vehicle
US10249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irtual reality control of movable vehicle partitions
US10086839B2 (en) Semi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
CN113071447B (en) Vehicle occupancy monitoring system
KR20160036242A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147770A (en) Driver monitoring system
US8116528B2 (en) Illumination source for an image 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and vehicle using same
KR20210014727A (en)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20065100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a vehicle occupant
KR20190001029A (en) Passenger cogni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220272302A1 (en) In-vehicle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JP2022129155A (en) In-vehicle multi-monitoring device of vehicle
WO2020179656A1 (en) Driver monitoring device
KR20130038443A (en) Control system for car safe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20272269A1 (en) Occupant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KR20200082515A (en) Vehicle information device having vision sensor
JP2005319989A (en) Recognizing and monitoring system of inside of vehicle
CN117183890A (en) Vehicle safety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ler
CN112389458A (en) Motor vehicl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042403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ze at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