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902U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902U
KR20190000902U KR2020197000015U KR20197000015U KR20190000902U KR 20190000902 U KR20190000902 U KR 20190000902U KR 2020197000015 U KR2020197000015 U KR 2020197000015U KR 20197000015 U KR20197000015 U KR 20197000015U KR 20190000902 U KR20190000902 U KR 201900009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pressing
absorbent article
pressing portion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70000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시 호소카와
료타 가와모리
다카시 노모토
히사타카 나나우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0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0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apertures, e.g. in a predefined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서, 압착 홈의 위치가 폭 방향으로 틀어져 있었다고 해도 그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4), 이면 시트(5) 및 흡수체(3)를 구비하고,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을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은, 한 쌍의 압착 홈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한쪽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폭 방향(W)을 따라서 늘어선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를 구비한다. 제1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제1 패턴의 무게중심(G21)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한다. 제2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패턴과는 다른 제2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제2 패턴의 무게중심(G22)은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한다.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는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다.
Provided is an absorbent article which can make it difficult for a consumer to perceive a displacement of a position of a compression groov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s distort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causing a decrease in absorption performance.
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 topsheet 4, a backsheet 5 and an absorbent body 3 and includes a pair of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The absorbent article has a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22 which are arrang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towar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 The first pressing part includes a groove forming a first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G21 of the first pattern is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second pressing part includes a groove forming a second pattern different from the first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G22 of the second patter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접합하는 한 쌍의 압착 홈을 갖춘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압착 홈은 흡수 성능의 향상이나 변형 성능의 개선 등을 위해서 형성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의 사이에 흡수 요소를 갖춘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은, 흡수 요소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의 양측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대칭으로, 길이 방향의 중심선 측으로 향하여 볼록형으로 형성한 한 쌍의 제1 엠보스와, 흡수 요소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의 양측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대칭으로, 길이 방향의 중심선 측에서 흡수 요소의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볼록형으로 형성한 한 쌍의 제2 엠보스를 마련하고 있다. 중심선에 대하여 제2 엠보스가 제1 엠보스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As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there is know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ir of pressing grooves for bonding a top sheet to an absorbent body. The compression grooves are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absorbing performance and the deformation performanc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element between a liquid-pervious top sheet and a liquid-impervious back sheet. This absorbent article has a pair of first embossmen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absorbent element in a substantially symmetric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side, A pair of second embossmen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in a substantially symmetrical manner and form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ing element at the center li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embossme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embossmen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2-12079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12-120792

특허문헌 1의 엠보스와 같은 한 쌍의 압착 홈은, 흡수 성능 향상 등의 관점에서, 이들의 위치나 형상이 흡수체(흡수 요소)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비자가 의식하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장착 시에 주로 다음 (1)∼(3) 중 어느 방법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위치(대칭성을 포함한다)를 확인하고 있다. 즉, (1)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와 그것에 대향하는 한쪽의 압착 홈의 거리와, 흡수체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와 그것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압착 홈의 거리를 비교한다. (2)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압착 홈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의 중심 위치를 비교한다. (3)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압착 홈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의 거리와, 한 쌍의 압착 홈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의 거리를 비교한다. A pair of compression grooves such as the emboss of Patent Document 1 are formed such that their positions and shapes are line-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body (absorbent element) from the standpoint of improvement of absorption performance and the lik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sumer is conscious or not, the position (including symmetry) of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is confirmed mainly by any of the following methods (1) to (3) at the time of mounting. That is, (1)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of the absorber and one of the pressing grooves opposite to the other end edg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edge of the absorber and the other pressing groove facing the other end edge are compared . (2)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is compared with the center position of the absorber. (3)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edge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do.

이 때, 제조상의 이유에서, 제품에 있어서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가 설계에 있어서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에서 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소비자는 상기 (1)∼(3)에 대응하여 주로 다음 (a)∼(c) 중 어느 한 사실에 의해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한다. 즉, (a) 상기 (1)의 2개의 거리 사이에 차가 생긴다. (b) 상기 (2)의 2개의 중심 위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긴다. (c) 상기 (3)의 2개의 거리 사이에 차가 생긴다. 그 결과, 소비자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압착 홈의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틀어져 있다고 인식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 성능에는 문제가 없고 양품(良品)이었다고 해도, 소비자는 압착 홈의 위치가 원래와 다르므로 그 흡수성 물품을 불량품이라고 인식할 우려가 있다. At this time, for reasons of manufacturing,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n the product may be shifted from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n design. In this case, the consumer recognizes the positional shif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s mainly by any one of the following (a) to (c) in correspondence with the above (1) to (3). That is, (a) a difference arises between the two distances of (1). (b) a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two center positions of (2). (c) a difference arises between the two distances of (3). As a result, the consumer recognizes that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n the absorbent article is distorted.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in the absorbing performance, and even if the product is good, the consumer may perceive the absorbent article as a defective product because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groove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그렇다고 해서, 불량품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즉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한 쌍의 압착 홈을 없애는 것은, 배설액의 바깥쪽으로의 누설이나 무질서한 변형을 일으키기 쉽게 되어,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Nevertheless, eliminating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so as not to be recognized as defective products, that is,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is liable to cause outward leakage of the excreted liquid and disordered deformation, Which is undesirable.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서, 압착 홈의 위치가 폭 방향으로 틀어져 있었다고 해도 그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which can make it difficult for a consumer to recognize a positional devia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queeze groove is distort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causing deterioration of the absorb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서 양측의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 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늘어선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압착 홈,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접합하고, 상기 제1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의 무게중심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패턴과는 다른 제2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턴의 무게중심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흡수성 물품. (1)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and having a top sheet, a back sheet, and an absorbent body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essing grooves in a region where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article are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towar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the first compression portion, and the second compression portion join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body, and the first compression portion has a first compressed portion and a second compressed portion lined up,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pattern is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Wherein the second pattern has a center of gravity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patter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has at least one of a position and a slop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패턴을 갖는 제1 압착부와 별도의 제2 패턴을 갖는 제2 압착부가, 각각 길이 방향 중심선의 일측 및 타측에 상대적인 위치, 기울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slope, and a size relative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lin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mpressed portion having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compressed portion having the second pattern different from the first compressed portion Respectively.

이러한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는, 그 패턴의 형상이나 상대적인 위치 또는 기울기 등에 있어서,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니고, 각각 흡수체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 및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도 등거리가 아니다. 따라서, 이들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를 본 소비자는, 이들과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 및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를 의식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폭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와 제1 압착부의 거리와, 흡수체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와 제2 압착부의 거리가 같지 않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되기 어렵게 된다.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의 중심 위치의 위치가 틀어져 있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되기 어렵게 된다.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의 거리와,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의 거리가 같지 않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되기 어렵게 된다. The first squeezing portion and the second squeezing portion are not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in the shape of the pattern,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inclination, and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body to the other end edge, Distance is not equidistant. Therefore, the consumer who has viewed thes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does not becom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end edge and the other end edg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of the absorber and the first squeezed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edge of the absorber and the second squeezed portion are not the sam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at the position is deviated.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sition of the absorbent body are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at the positional deviation is cause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of the absorb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edge of the absorber are not equal It is hardly recognized as a positional deviation.

그와 같은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의 시각적인 효과는,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압착 홈에도 미쳐, 그 한 쌍의 압착 홈에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소비자는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즉, 한 쌍의 압착 홈에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The visual effect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are such that they are applied to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adjacent to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if the positional deviation occurs,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shif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이 때,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접합하고, 표면 시트의 표면에서부터 흡수체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액을 흡수체 내부로 유도할 수 있고, 배설액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압착 홈은 제거되지 않고서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접합하고, 표면 시트의 표면에서부터 흡수체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액을 흡수체 내부로 유도할 수 있어, 배설액의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와 한 쌍의 압착 홈의 상승 효과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흡수 성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re joined to the absorbent body by the surface sheet and extend from the surface of the topsheet to the inside of the absorbent body, the excreted liquid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bsorbent bod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ovement to the outside of th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are not removed and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body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extend from the surface of the topsheet to the inside of the absorbent body, the excreted liquid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bsorbent body, Can be suppressed.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maintained and improved by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first and second squeezing portions and the pair of squeezing grooves.

따라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비자가 흡수체를 불량이라고 생각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이 양품이라는 느낌을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absorbent articl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think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defective while maintaining the absorbing performance, so that the feeling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good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2)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크기의 1/10 이상 3/4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2) the size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s not less than 1/10 and not more than 3/4 of the size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1).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각 압착부의 폭 방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의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압착부의 폭 방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으면 소비자의 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없고, 크면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이 눈에 띄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ze of each of the presse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is in the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for the consumer not to b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pressing portions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nt body. This makes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visual effect. However, if the size of the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range, it can not affect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and if the crimping portion is larg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rimping portion becomes conspicuous.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3)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는, 다른 쪽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의 25% 이상 40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3) The size of one of the first press portion and the second press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not less than 25% and not more than 400% of the size of the other width direction 1) or (2).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 사이의 폭 방향 크기의 관계가 상기 소정의 범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양 압착부 사이의 폭 방향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으면 소비자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없고, 크면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이 눈에 띄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since the relationship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ress portion and the second press portion has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range, the consumer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ess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nt body, You can not. This makes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visual effect. However, if the relative relationship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crimping portions is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range, it is not possible to influence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and if it is large, the position displacement of the crimping portion becomes conspicuous.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4)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제1 기준선과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1 각도 및 상기 제2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제2 기준선과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2 각도는 30°이상150°이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4) a first angle formed by a first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ress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line, a second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press portio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wherei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directional center line is not less than 30 degrees and not more than 150 degrees.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각도와 제2 각도가 각각 상기 소정의 범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압착부의 제1, 제2 각도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더라도 또 크더라도, 제1, 제2 압착부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이 눈에 띄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each have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for the consumer not to b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ess-contact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is makes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visual effect. However, even if the magnitude of the first and second angles of the crimping portion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rimping portion becomes conspicuous, Can not do i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5)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의 각도차는 0°이상 40°이하인 상기 (4)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5)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4), wherein an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s not less than 0 degrees and not more than 40 degrees.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각도차가 상기 소정의 범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압착부의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각도차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더라도 또 크더라도, 길이 방향 중심선의 일측 또는 타측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지나치게 많아져,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위치 어긋남으로 인식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장착 시에 불균등한 변형이 생겨 흡수 성능이 저하하여, 장착자가 위화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since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s in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for the consumer not to b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ess-contact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nt body. This makes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visual effect. However, even if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of the press-contact portion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line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even if the positional deviation does not occur, There is a fear that it will be recognized as. In addition, uneven deformation occurs at the time of mounting, so that the absorbing performance is lower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earer feels discomfor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6)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6)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임으로써, 소비자의 의식을 그 복수의 압착부로 향하게 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onsumer's consciousness can be directed to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It is possible to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less conscious.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7)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늘어선 제3 압착부 및 제4 압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3 압착부 및 상기 제4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접합하고, 상기 제3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3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패턴의 무게중심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체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에 면해 있고, 상기 제4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3 패턴과는 다른 제4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패턴의 무게중심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체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에 면해 있고, 상기 제3 압착부와 상기 제4 압착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7)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region where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article are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is arrang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third pressing part and the fourth pressing part join the surface sheet and the absorbent body, and the third pressing part has a groove for forming a third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Wherein a center of gravity of the third pattern is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faces one end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fourth squeeze portion is different from the third pattern when viewed in a plane Wherein a center of gravity of the fourth patter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the other end of the absorbent body (1) to (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has at least one of a position and a slop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good.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한 쌍의 압착 홈의 길이 방향의 일측뿐만 아니라 타측에도 압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의식을 제1, 제2 압착부 및 제3, 제4 압착부로 향하게 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 및 제3, 제4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s well as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the consumer's consciousness can be dir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and the third and fourth pressing portions, It is possible for the consumer to be less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rimping portions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r the edge of the absorbent bod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ke it more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shift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and the positional shifts of the third and fourth pressing portions.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positional shift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It can make the consumer more difficult to recognize.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8) 상기 한쪽의 외측의 상기 복수의 압착부의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1 각도 및 제2 각도와, 상기 다른 쪽의 외측의 상기 복수의 압착부의 상기 제3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3 각도 및 제4 각도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3 각도는 상이하고, 상기 제2 각도와 상기 제4 각도는 상이한 상기 (7)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8)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8) a first angle and a second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the first cri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on the outer side, Wherein the first angle and the third ang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a third angle and a fourth angle formed by the third squeezed portion and the second squeeze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queezed portions outside the first squeezed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bsorbent article described in (7) above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angle and the fourth angle.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와 상기 제3 각도 및 제4 각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한 쌍의 압착 홈에 대하여 길이 방향 양측의 압착부의 배치 상태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의 배치 상태가 전체적으로 보다 불균등하게 되어,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since the first angle, the second angle, the third angle and the fourth ang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ressed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r of pressed grooves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refore,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are made more uneven overall, and the consumer can be less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press-bonding portions and the longitudinal edge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r. This makes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more difficult to recognize by the visual effect have.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9) 상기 제1 각도, 상기 제2 각도, 상기 제3 각도 및 상기 제4 각도는 서로 상이한 상기 (8)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9)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8), wherein the first angle, the second angle, the third angle and the fourth ang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각도∼제4 각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한 쌍의 압착 홈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양측 압착부의 배치 상태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폭 방향으로 늘어선 압착부의 배치 상태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의 배치 상태가 전체적으로 보다 불균등하게 되어,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 모두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since the first to fourth angl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both side crimping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rimping portions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are made more uneven overall, and the consumer can be less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pressing portions and the longitudinal edge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ke it mor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visual effect, .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0)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와, 상기 제2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와, 상기 제3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와, 상기 제4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상기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10)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0) the size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size of the second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size of the third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9), wherein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한 쌍의 압착 홈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양측 압착부의 배치 상태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폭 방향으로 늘어선 압착부의 배치 상태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의 배치 상태가 전체적으로 보다 불균등하게 되어, 소비자가 각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제4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 모두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since the width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rrangement of the side pressing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Further, the arrangement of the crimping portion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are made more uneven overall, and the consumer can be less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pressing portions and the longitudinal edge center line or the end edge of the absor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ke it mor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visual effect, .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1)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 사이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고, 상기 제3 압착부와 상기 제4 압착부 사이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는 상기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1) th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ri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becomes larger as it approaches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and the third crimping portion and the fourth crimping portio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0) above, wherein th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ortions becomes larger as it approaches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와,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와, 제3 압착부 및 제4 압착부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육각형이 형성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는 이 육각형을 의식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품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다. 여기서, 이 육각형이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준이 애매하게 되므로, 실제로 한 쌍의 압착 홈의 위치가 폭 방향으로 틀어져 있더라도, 소비자에 대하여 그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배설액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소정의 배치 상태에 있는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 및 제4 압착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설액의 길이 방향의 확산이 억제되어 누설이 저감되고, 이에 따라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a virtual hexagon is formed to connect the first squeeze portion and the second squeeze portion, the both end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third squeeze portion and the fourth squeeze portion. In such a case, the consumer perceives the hexagon and grasp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roduct based on the hexagon. Here, since this hexagon is not line-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the reference becomes ambiguous, so that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actually deviates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excreted liqu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by the first and second squeezing portions and the third squeezing portion and the fourth squeezing portion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tate. As a result, diffusion of the excreted liqu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ressed to reduce leakage, thereby improving the absorp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2)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 단 가장자리는,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를 갖는 볼록 만곡 영역과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대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를 갖는 오목 만곡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연속된 형상을 갖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12)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2) the both side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body are convexly curved regions having convexly curved outer edges with respect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any one of (1) to (11) above, wherein the concave curved region having curved outer edges has a shape alternately continuou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가, 폭 방향의 외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와 오목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가 교대로 연속된 형상, 즉 물결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와 한 쌍의 압착 홈과의 거리를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는 한 쌍의 압착 홈의 위치가 폭 방향으로 틀어져 있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즉, 한 쌍의 압착 홈에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이 양품이라는 느낌을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is absorbent article, the end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that is convexly curv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uter edge that is concavely curved are alternately continuous, that is, a wavy shape. Therefore, it become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edge of the absorber and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In such a case,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are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that the displacement is the position displacement.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displacemen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so that the feeling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good is not hindered.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서, 압착 홈의 위치가 폭 방향으로 틀어져 있었다고 해도 그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which can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s distort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causing deterioration of the absorbing performance.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흡수체의 압착 홈의 위치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1∼제4 압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of the absorber.
3 is a view showing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생리용 냅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그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예컨대 팬티라이너, 경실금 패드를 들 수 있다.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sanitary napkin as an example. However, the kind and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other absorbent article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 a panty liner and a light incontinence pad.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며, 흡수성 물품(1)을 전개한 상태에서의 정상면도를 도시한다.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가지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본체부(2a)와, 길이 방향(L)의 대략 중앙부에 폭 방향(W)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랩부(2b, 2b)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한 쌍의 플랩부(2b, 2b)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을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마주보고서 상측이 흡수성 물품(1)의 전방이고, 마주보고서 하측이 흡수성 물품(1)의 후방이다.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과 후술하는 흡수성 물품(1)의 각 자재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일치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 및 그 각 자재에 공통으로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이용한다. 「평면에서 봤을 때」란, 전개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상면 측에서 두께 방향(T)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피부 측」 및 「비피부 측」이란, 흡수성 물품(1)의 장착 시, 두께 방향(T)에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을 각각 의미한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폭 방향(W)의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한다. 폭 방향 중심선(CW)으로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한다. 이들 정의도 흡수성 물품(1)의 각 자재에 공통으로 이용한다. First,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article, and shows a normal shave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1 is deployed. 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 main body 2a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L, a width direction W and a thickness direction T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pair of flap portions 2b and 2b extending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flap portion 2b. 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longitudinal center line C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eyon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 longitudinal center line C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pair of flap portions 2b, And a widthwise center line CW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beyond the center line CW. 1, the upper side of the opposing report is the front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lower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is the rear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e lengthwise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material of the absorbent article 1 described later coincide with each other, (L),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thickness direction (T) are commonly used for the material (1) and each of the materials. The term " when viewed in a plane " refers to viewing the absorbent article 1 in a deployed st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from the upper surface side. Skin side " and " non-skin side " refer to the side closer to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and the far side, respective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when the absorbent article 1 is mounted. The direction toward and away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re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width direction W, respectively. The direction toward and away from the widthwise center line CW is defined as the inside and outside direction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respectively. These definitions are also commonly used for each material of the absorbent article 1.

본체부(2a)는, 코너가 둥근 장방형, 세로로 긴 타원형 또는 엽전형 형상을 가지고, 본체부(2a)의 길이 방향(L)의 양단 가장자리부의 단 가장자리(2T1, 2T2)는 대략 반원형 또는 주발(椀)형의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2a)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4)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5)와, 표면 시트(4)와 이면 시트(5)의 사이에 배치된 액흡수성 및 액유지성의 흡수체(3)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4)는 흡수성 코어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랩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4)의 비피부 측의 면과 흡수체(3)의 피부 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고, 흡수체(3)의 비피부 측의 면과 이면 시트(5)의 피부 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표면 시트(4)의 비피부 측의 면의 가장자리와 이면 시트(5)의 피부 측의 면의 가장자리는 접착제로 접합된다. 본체부(2a)의 표면 시트(4)와 흡수체(3)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는 영역에는,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전방 부근에서 폭 방향(W)의 중앙에, 장착 시에 배설구에 맞닿는 영역, 즉 배설구 접촉 영역(STA)이 설정된다. 플랩부(2b)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한 쌍의 플랩부(2b, 2b)의 양 단부(밑동아리) 및 중앙부의 위치가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양 단부 및 중앙부의 위치와 거의 겹치도록 형성된다. The main body portion 2a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rounded corner, a longitudinally elongated elliptical shape or a warp shape, and the end edges 2T1 and 2T2 of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re substantially semi- And has a bowl shape. The body 2a is made up of a liquid permeable topsheet 4, a liquid-permeable backsheet 5 and a liquid-absorbent and liquid-retaining absorbent body 5 disposed between the top- and backsheets 4, (3). The topsheet 4 may include an absorbent core and a core wrap covering the absorbent core. The surface on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body 3 and the surface on the skin side of the absorbent body 3 are join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Adhesive or the like. The edge of the non-skin side surface of the topsheet 4 and the edge of the skin side of the backsheet 5 are bonded with an adhesive. In a region where the topsheet 4 of the main body portion 2a and the absorbent body 3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and slightly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region abutting the excretion hole, that is, the excretion hole contact region STA is set. The flap portion 2b has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and has a pair of flap portions 2b and 2b at both ends and a central portion in the lengthwise direction L, STA) at both ends and a central portion.

본체부(2a)는, 배설구 접촉 영역(STA) 내부 및 그 주위에, 표면 시트(4)와 흡수체(3)를 표면 시트(4) 측에서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 홈 및 압착부를 구비한다. 압착 홈 및 압착부는 표면 시트(4)와 흡수체(3)를 접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서 그 양측의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이 형성된다. 그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은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폭 방향(W)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길이 방향(L)의 전방, 즉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일측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압착부(13)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길이 방향(L)의 후방, 즉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타측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압착부(14)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과 압착부(13) 및 압착부(14)는 동시에 형성되며, 폭 방향(W)의 중심이 서로 일치한다. 압착부(13, 14)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로 배설구 접촉 영역(STA) 내에 지그재그 배치로 복수의 도트형 중앙 압착부(12)가 형성된다. The main body portion 2a has a pressing groove and a pressed portion formed by pressing the topsheet 4 and the absorbent body 3 on the topsheet 4 side in and around the percolation area STA. The pressing groove and the pressing portion join the topsheet (4) and the absorbent body (3).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which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re formed.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are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discharging port contact area STA. The pressed portion 13 is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excretion mouth contact area STA, that is,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towar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sure bonding portion 11A is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perforation contact area STA, that is,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14)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the pressing portion 13, and the pressing portion 14 are 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centers of the width directions W coincide with each other. Details of the crimping portions 13 and 14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dot-shaped central crimping portions 12 are further formed in a zigzag arrangement in the excretion port contact area STA.

흡수성 물품(1)의 본체부(2a) 및 한 쌍의 플랩부(2b, 2b)는, 흡수성 물품(1)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도시되지 않음)를 이면 시트(5)의 피부면측에 구비한다. 복수의 고정부는 박리 시트(도시되지 않음)에 피복된다. 본체부(2a)의 복수의 고정부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으로 단책(短冊)형으로 연장되고,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4)와 흡수체(3)의 사이에 액체의 확산을 보조하는 보조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좋다. The main body portion 2a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pair of flap portions 2b and 2b are fixed to the backsheet 5 by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not shown)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 to the garment,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are coated on a release sheet (not shown). The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2a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1. [ The absorbent article 1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heet (not shown) for assisting the diffusion of the liquid between the topsheet 4 and the absorbent body 3.

표면 시트(4), 흡수체(3), 이면 시트(5), 보조 시트, 고정부 및 박리 시트의 재료로서는 흡수성 물품(1)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4)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부직포, 직포,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천연 섬유, 재생 섬유, 무기 섬유, 합성수지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3)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펄프 섬유, 합성 섬유, 흡수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면 시트(5)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합성수지 필름, 부직포와 합성수지 필름과의 복합 시트, SMS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보조 시트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부직포, 펄프 섬유,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고정부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박리 시트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종이나 수지 시트의 기재에 실리콘 수지계의 박리재를 도공한 것을 들 수 있다. 각 자재 사이의 접합용 접착제로서는 흡수성 물품(1)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topsheet 4, the absorbent body 3, the backsheet 5, the auxiliary sheet, the fixing portion and the release sheet, known materials generally used in the absorbent article 1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topsheet 4 include nonwoven fabrics, woven fabrics, synthetic resin films formed with liquid through holes, and composite sheets of these. Examples of the nonwoven fabric include natural fibers, regenerated fibers, inorganic fibers, and synthetic resin fibers.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absorbent body 3 include pulp fibers, synthetic fibers and water absorbent polymers.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backsheet 5 include a waterproofed nonwoven fabric, a synthetic resin film, a composite sheet of a nonwoven fabric and a synthetic resin film, and an SMS nonwoven fabric.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sheet include nonwoven fabric, pulp fiber, and synthetic fiber.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fixing portion includ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styrene-butadiene copolymer.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release sheet include those coated with a release agent of a silicone resin system on a substrate of a paper or a resin sheet. A known material used in the absorbent article 1 may be used as the adhesive for bonding between the respective materials, for example, a thermoplastic adhesive.

그런데, 상기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은, 폭 방향(W)의 어느 쪽으로 배설액이 확산되더라도 그 확산을 억제하고, 흡수체(3)에 흡수시켜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들의 위치나 형상이 흡수체(3)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의식하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장착 시에 주로 다음 (1)∼(3) 중 어느 방법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위치(대칭성을 포함한다)를 확인하고 있다. 도 2는 흡수체의 압착 홈의 위치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체(3)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와 그것에 대향하는 한쪽의 압착 홈(11a)의 거리(d11)와, 흡수체(3)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와 그것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압착 홈(11b)의 거리(d12)를 비교한다. (2)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압착 홈(11a, 11b) 사이의 중심 위치(CP2)와, 흡수체(3)의 중심 위치(CP1)를 비교한다. (3)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압착 홈(11a, 11b) 사이의 중심 위치(CP2)와 흡수체(3)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의 거리(d21)와,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사이의 중심 위치(CP2)와 흡수체(3)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의 거리(d22)를 비교한다.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are formed in order to suppress the diffusion of the excreted liquid in any of the widthwise directions W and to absorb the absorbed liquid into the absorber 3 to improve the absorption performance. Therefore, their positions and shapes are formed so as to be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of the absorber 3.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user is conscious, the user confirms the position (including symmetry)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by any of the following methods (1) to (3) hav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of the absorber. 2, (1) a distance d11 between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r 3 and one of the pressing grooves 11a opposed thereto in the width direction W, 3 is compared with the distance d12 between the other end edge 3b and the other pressing groove 11b facing the other end edge 3b. (2) The center position CP2 between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is compared with the center position CP1 of the absorber 3. (3) The distance d21 between the center position CP2 between the pair of squeeze grooves 11a and 11b and the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nt body 3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center position CP2 between the pair of squeeze grooves 11a and 11b and the distance d22 between the other end edge 3b of the absorber 3 are compared.

이 때, 제조상의 이유에서, 제품에 있어서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가 설계에 있어서의 압착 홈의 폭 방향의 위치에서 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소비자는, 상기 (1)∼(3)에 대응하여, 주로 다음 (a)∼(c) 중 어느 사실에 의해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한다. 즉 (a) 상기 (1)의 2개의 거리(d11, d12)의 사이에 차가 생긴다. (b) 상기 (2)의 2개의 중심 위치(CP1, CP2)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긴다. (c) 상기 (3)의 2개의 거리(d21, d22)의 사이에 차가 생긴다. 그 결과 소비자는,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에서의 위치가 틀어져 있다고 인식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 성능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소비자는 압착 홈(11a, 11b)의 위치가 원래와 다르므로, 그 흡수성 물품(1)을 불량품이라고 인식할 우려가 있다. At this time, for reasons of manufacturing,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n the product may be shifted from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 in design. In this case,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1) to (3), the consumer recognizes the positional dev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mainly by any of the following (a) to (c) do. That is, (a) a difference arises between the two distances d11 and d12 of (1) above. (b) between the two center positions (CP1, CP2) of (2). (c) a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two distances d21 and d22 in the above (3). As a result, the consumer recognizes that the positions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article 1 are distorted. Therefore, even though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absorbing performance, the consumer may recognize that the absorbent article 1 is a defective product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osition.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에 압착 홈(11a, 11b)과는 별도로 상기한 것과 같이 압착부(13)를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서 압착부(14)를 형성함으로써, 흡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서, 압착 홈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그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이하, 압착부(13, 14)에 관해서 추가로 설명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13 is formed in the absorbent article 1 separately from the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and as a more preferable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14 is formed, Even if a displacement occurs in the compression groove,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displacement. Hereinafter, the crimping portions 13 and 14 will be further described.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이란 선이나 곡선에 의한 도형이며, 예컨대 원, 타원, 다각형, 별 모양, 하트 모양, 꽃 모양, 잎 모양, 생물 형태 또는 캐릭터 형태 혹은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모양을 들 수 있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로 닮은 모양, 즉 크기가 상이한 경우도 다른 패턴으로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 " pattern " is a figure drawn by a line or a curve. For example, the pattern may be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 star, a heart, a flower, a leaf, Shape, and the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ddition, patterns that resemble each other, that is, siz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턴의 「무게중심」이란, 평면에서 봤을 때의 패턴(이차원 도형)을, 가상적으로 두께 방향(T)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 상의 물체라고 보았을 때, 그 물체의 무게중심(물체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력이 작용한다고 생각되는 점)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er of gravity" of a pattern means a pattern (two-dimensional figure) viewed in a plane as a planar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center of grav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ant force of gravity acting on each part of the object act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착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이하 「상대적인 위치」라고도 말한다.)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폭 방향(W)의 거리(절대치)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수선을 그었을 때의, 길이 방향 중심선(CL) 상의 위치(=폭 방향 중심선(CW)으로부터의 거리)로 특정되는 압착부(패턴)의 무게중심의 위치로 한다.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relative position ") of the pressed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the distance (absolute value) of the width direction W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Pattern) specified by the position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 the distance from the widthwise center line CW) when the waterline is drawn o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착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기」(이하 「상대적인 기울기」라고도 한다.)란, 압착부의 패턴을 가상적으로 둘러싸는 최소의 직사각형에 있어서,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하측(또는 상측)의 한 변을 기선(基線)으로 하여, 그 기선 또는 그 기선과 평행하며 또한 무게중심을 지나는 무게중심선으로서의 기준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이루는 각으로 한다.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relative inclination ") of the pressed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the relativ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e smallest rectangle which virtually surrounds the pattern of the crimping portion, (Or upper side) of the rectangle at the lower side (or upper side) of the rectangle is defined as a base line, and a reference line as a center line parallel to the base line or the base line thereof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with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

도 3은 흡수성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에 관해서 압착부(13, 14)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압착부(13)는 폭 방향(W)을 따라서 늘어선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를 포함한다. 제1 압착부(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패턴(예시: 리본; 대)을 형성하는 홈(21M)을 포함하고, 제1 패턴의 무게중심(G21)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2 압착부(2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패턴과는 다른 제2 패턴(예시: 리본; 소)을 형성하는 홈(22M)을 포함하고, 제2 패턴의 무게중심(G22)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한다.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다. 압착부(14)는 폭 방향(W)을 따라서 늘어선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를 포함한다. 제3 압착부(2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3 패턴(예시: 나비; 대)을 형성하는 홈(23M)을 포함하고, 제3 패턴의 무게중심(G23)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4 압착부(24)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3 패턴과는 다른 제4 패턴(예시: 나비; 소)을 형성하는 홈(24M)을 포함하고, 제4 패턴의 무게중심(G24)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한다.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다. 제1 압착부(21) 및 제3 압착부(23)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에, 제2 압착부(22) 및 제4 압착부(24)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에 각각 다른 압착 홈 등을 통하지 않고서 면해 있다.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bsorbent article, and shows the crimping portions 13 and 14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crimping portion 13 includes a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a second crimping portion 22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includes a groove 21M forming a first pattern (for example, a ribbon) in a plan view and a center of gravity G21 of the first pattern is form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s shown in FI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includes a groove 22M for forming a second pattern (for example, ribbon: small) different from the first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G22 of the second patter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crimping portion 14 includes a third crimping portion 23 and a fourth crimping portion 24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includes a groove 23M forming a third pattern (for example, a bow) on the pl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G23 of the third pattern is form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s shown in FIG.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includes a groove 24M for forming a fourth pattern (for example, a butterfly) different from the third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G24 of the fourth patter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re provided on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nt 3 in the width direction W with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Face the other end edge 3b of the absorbent body 3 in the width direction W without passing through different compression grooves or the like.

도 4는 제1∼제4 압착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는 제1, 제2 압착부를 도시하고, 도 4(b)는 제3, 제4 압착부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압착부(21)(좌측)의 패턴은 큰 리본 형태이고, 제2 압착부(22)(우측)의 패턴은 작은 리본 형태이다. 즉, 제1 압착부(21)는, 홈(21M)에 의한 리본 형태를 갖고 있고, 세로 TU21×가로 WU21의 최소한의 직사각형(R21)에 수습되는 크기를 갖는다. 한편, 제2 압착부(22)는 홈(22M)에 의한 리본 형태를 갖고 있고, 세로 TU22×가로 WU22의 최소한의 직사각형(R22)에 수습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3 압착부(23)(좌측)의 패턴은 큰 나비 형태이고(단, 상하 거꾸로), 제4 압착부(우측)의 패턴은 작은 나비 형태이다. 즉, 제3 압착부(23)는 홈(23M)에 의한 나비 형태를 갖고 있고, 세로 TU23×가로 WU23의 최소한의 직사각형(R23)에 수습되는 크기를 갖는다. 한편, 제4 압착부(24)는 홈(24M)에 의한 리본 형태를 갖고 있고, 세로 TU24×가로 WU24의 최소한의 직사각형(R24)에 수습되는 크기를 갖는다.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o fourth squeezed portions, wherein Fig. 4 (a) shows the first and second squeezed portions, and Fig. 4 (b) shows the third and fourth squeezed portion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 the pattern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left side) is of a large ribbon shape and the pattern of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right side) is of a small ribbon shape. That is,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has a ribbon shape by the groove 21M and has a size that can be repaired to the minimum rectangle R21 of the length TU21 × width WU21.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has a ribbon shape formed by the groove 22M and has a size that can be repaired to the minimum rectangle R22 of the length TU22 × width WU2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b), the pattern of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left side) is a large butterfly shape (upside down), and the pattern of the fourth crimping portion . That is,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has a shape of a butterfly shape by the groove 23M and has a size that is wetted by the smallest rectangle R23 of the vertical TU23 × horizontal WU23. On the other h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has a ribbon shape by the groove 24M, and has a size that can be held in a minimum rectangular R24 of the length TU24 × width WU24.

또한 도 4(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압착부(21)의 무게중심은 G21이며,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일측(좌측)에 위치하고, 제2 압착부(22)의 무게중심은 G22이며,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타측(우측)에 위치한다. 즉,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는 각각의 무게중심(G21, G22)이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서 양측으로 나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3 압착부(23)의 무게중심은 G23이며,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일측(좌측)에 위치하고, 제4 압착부(24)의 무게중심은 G24이며,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타측(우측)에 위치한다. 즉,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는 각각의 무게중심(G23, G24)이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서 양측으로 나뉘도록 배치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A,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press portion 21 is G21,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press portion 22 The center is G22, a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at is,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disposed such that the respective center of gravity G21 and G22 are divided into two sides with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therebetwee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b),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is G23,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center of gravity is G24,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at is,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disposed such that the respective center of gravity G23 and G24 are divided into two sides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rebetween.

또한 도 4(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압착부(21)의 상대적인 위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폭 방향(W)의 거리(X21)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수선을 그었을 때의 위치(Y21)로 특정되는 위치(X21, Y21)이고, 제2 압착부(22)의 상대적인 위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폭 방향(W)의 거리(X22)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수선을 그었을 때의 위치(Y22)로 특정되는 위치(X22, Y22)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3 압착부(23)의 상대적인 위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폭 방향(W)의 거리(X23)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수선을 그었을 때의 위치(Y23)로 특정되는 위치(X23, Y23)이고, 제4 압착부(24)의 상대적인 위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폭 방향(W)의 거리(X24)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수선을 그었을 때의 위치(Y24)로 특정되는 위치(X24, Y24)이다. 4A,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X21 in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distance X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line CL,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is a position X21 or Y21 defined by the position Y21 at the time of repetition of the distance L2 in the width direction W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 And a position (X22, Y22) specified by a position Y22 when a waterline is drawn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b),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X23 in the width direction W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is a position X23 or Y23 defined by the position Y23 at the time of repetition of the distance X24 And a position (X24, Y24) specified by the position Y24 when the waterline is drawn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압착부(21)의 상대적인 기울기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하측의 한 변을 제1 기선(BL21)으로 하여, 그 제1 기선(BL21)과 평행하면서 또한 무게중심(G21)을 지나는 제1 무게중심선(GL21)(제1 기준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이루는 제1 각도(α1)이다. 제2 압착부(22)의 상대적인 기울기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하측의 한 변을 제2 기선(BL22)으로 하여, 그 제2 기선(BL22)과 평행하면서 또한 무게중심(G22)을 지나는 제2 무게중심선(GL22)(제2 기준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이루는 제2 각도(β1)이다. 또한, 제3 압착부(23)의 상대적인 기울기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하측의 한 변을 제3 기선(BL23)으로 하여, 그 제3 기선(BL23)과 평행하면서 또한 무게중심(G23)을 지나는 제3 무게중심선(GL23)(제3 기준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이루는 제3 각도(α2)이다. 제4 압착부(24)의 상대적인 기울기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하측의 한 변을 제4 기선(BL24)으로 하여, 그 제4 기선(BL24)과 평행하면서 또한 무게중심(G24)을 지나는 제4 무게중심선(GL24)(제4 기준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이루는 제4 각도(β2)이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first press portion 21 is set such th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ect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the first base line BL21, And a first center line GL21 (first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G21 an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CL21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is set such th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ect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defined as the second base line BL22 and the center of gravity (Second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and the second centerline GL22 (second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is set such th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ect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referred to as a third base line BL23 and parallel to the third base line BL23, And a third angle alpha 2 that the third center line GL23 (third bas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G23 makes with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fourth crushing portion 24 is set such th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ect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the fourth base line BL24 and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fourth centerline BL24 is parallel to the fourth base line BL24, (Fourth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line GL and the fourth centerline GL24 (fourth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line CL.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리본이라는 형태는 같다. 그러나 TU21≠TU22, WU21≠WU22로, 크기가 상이하기(제1 압착부(21)>제2 압착부(22)) 때문에 별도의 패턴이다. 즉,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패턴이 상이하다. 또한, 제1 압착부(21)의 상대적인 위치(X21, Y21)와 제2 압착부(22)의 상대적인 위치(X22, Y22)이다. 그리고 X21≠X22, Y21≠Y22로,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압착부(21)의 상대적인 기울기(α1)와 제2 압착부(22)의 상대적인 기울기(β1)에 있어서 α1≠β1이며,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 3, and 4, the shapes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the same. However, TU21? TU22 and WU21? WU22 are different patterns because of their different sizes (first crimping portion 21> second crimping portion 22). That is,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have different patterns. The relative positions X21 and Y21 of the first press portion 21 and the relative positions X22 and Y22 of the second press portion 22 are. X21? X22 and Y21? Y22,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lative tilt? 1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relative tilt? 1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1?? 1 and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arranged with different relative slop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패턴이 상이하며 또한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가 상이하다. 이와 같이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이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have different patterns and different positions and slopes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Sinc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s described above,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xhibit the following operation effects.

도 5는 흡수성 물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는 압착 홈의 위치 어긋남이 없는 경우, 도 5(b)는 압착 홈의 위치 어긋남이 있는 경우, 도 5(c)는 압착 홈의 위치 어긋남이 있으면서 또한 제1∼제4 압착부가 없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5 (a) and 5 (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absorbent article. Fig. 5 (a)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no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press- Shows a cas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ompression grooves is shifted and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are not respectively shown.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는, 그 패턴의 형상이나 상대적인 위치 또는 기울기 등에 있어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니다. 이에 더하여,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와 제1 압착부(21)(의 패턴의 단부)의 거리 및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와 제2 압착부(22)(의 패턴의 단부)의 거리도 등거리가 아니다. 따라서 이들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를 본 소비자는, 이들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나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 및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의 관계, 특히 선대칭인지 여부를 의식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3)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와 제1 압착부(21)의 거리와, 흡수체(3)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와 제2 압착부(22)의 거리가 같지 않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3)의 중심 위치의 위치가 틀어져 있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아울러,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3)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의 거리와,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 사이의 중심 위치와 흡수체(3)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의 거리가 같지 않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그와 같은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의 시각적인 효과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와 길이 방향(L)에 인접하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도 미친다. 그것은, 예컨대 도 5(b)와 도 5(c)를 비교했을 때,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를 마련한 도 5(b)의 예가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를 마련하지 않은 도 5(c)의 예보다도,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일견했을 때 알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분명하다. 즉,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와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소비자는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즉,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n the shape of the pattern,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inclination, no.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nt body 3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end portion of the pattern of the first pressed portion 21 and the widthwise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core 3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edge 3b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2 and the end portion of the pattern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is not equidistant. The consumer viewing thes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21 and 22 is able to detect the longitudinal edge CL and the one end edge 3a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body 3, It is unnecessary to be aware of the relationship of the other end edge 3b,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it is line-symmetrical. 5 (b),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r 3 and the first press portion 21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r 3 and the absorber 3 in the width direction W,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edge 3b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is not the same. Further,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press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 portion 22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sition of the absorber 3 are misaligne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at the position is misaligne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edge 3a of the absorbent 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center portion 22 and the other end edge 3b of the absorber 3 is not the same, The visual effect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is such that the pair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11b. 5 (b) in which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are provided is compared with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5 (c)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22 and 22 are not provided. That is, even if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width direction W occurs in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21 and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t becomes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displacement of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이 때,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는, 표면 시트(4)와 흡수체(3)를 표면 시트(4) 측에서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부이며, 표면 시트(4)의 표면에서부터 흡수체(3)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액을 흡수체(3) 내부로 유도할 수 있고, 배설액이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서 길이 방향(L)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은,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4)와 흡수체(3)를 표면 시트(4) 측에서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 홈이며, 표면 시트의 표면에서부터 흡수체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액을 흡수체(3) 내부로 유도할 수 있고, 배설액이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서 폭 방향(W)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성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pressed portions formed by pressing the topsheet 4 and the absorbent body 3 on the side of the topsheet 4, and the topsheet 4 The excreted liquid can be guided into the absorber 3 and the excreted liquid can move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e excretory port contact area STA . Similarly,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is a compression groove formed by pressing the topsheet 4 and the absorbent body 3 on the side of the topsheet 4 in the same manner, The excreted liquid can be guided into the absorber 3 and movement of the excreted liqui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excretory port contact area STA can be suppressed.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absorbent article 1 can be maintained and improved by their synergistic effect.

이상과 같이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비자가 흡수체(3)를 불량이라고 생각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이 양품이라는 느낌을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absorbent articl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think that the absorbent article 3 is defective while maintaining the absorbent performance, so that the feeling that the absorbent article 1 is good articl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길이 방향(L)의 일측(전방 측)뿐만 아니라 타측(후방 측)에도 압착부, 즉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는 나비라는 형태는 같다. 그러나 TU23≠TU24, 가로 WU23≠WU24로, 크기가 상이하기(제3 압착부(23)>제4 압착부(24))기 때문에, 별도의 패턴이다. 즉, 제3 압착부(23)의 패턴과 제4 압착부(24)의 패턴은 상이하다. 또한, 제3 압착부(23)의 상대적인 위치(X23, Y23)와 제4 압착부(24)의 상대적인 위치(X24, Y24)이다. 그리고 X23≠X24, Y23≠Y24로,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압착부(23)의 상대적인 기울기(α2)와 제4 압착부(24)의 상대적인 기울기(β2)에 있어서 α2≠β2로,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 preferred form, a pressing portion, that is, a third pressing portion 23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front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as well as on the other side And a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further provided.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 3 and 4, the shape of the third pressed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ed portion 24 are the same as that of the butterfly. However, since TU23? TU24 and transverse WU23? WU24 are different in size (third crimping portion 23> fourth crimping portion 24), they are different patterns. That is, the pattern of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and the pattern of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are different. The relative positions X23 and Y23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relative positions X24 and Y24 of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X23? X24 and Y23? Y24, and the positions of the third pressing part 23 and the fourth pressing part 24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lative pressures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 portion 24 are set at? 2? 2 at the relative inclination? 2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and the relative inclination? 2 of the fourth press portion 24, Are arranged with different relative slop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이 경우, 소비자의 의식을 제1, 제2 압착부(21, 22)뿐만 아니라 제3, 제4 압착부(23, 24)에도 향하게 할 수 있다. 그 때, 이들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가 상이하다. 그 때문에, 이들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를 본 소비자는, 이들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나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3a) 및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3b)의 관계, 특히 선대칭인지 여부를 의식하지 않게 된다. 즉, 소비자가 각 압착부(23, 24)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이나 흡수체(3)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압착부(21, 22)의 위치 어긋남 및 제3, 제4 압착부(23, 24)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양쪽이 상이하지만,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어느 한쪽이 상이하면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can be directed not only to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but also to the third and fourth crimping portions 23 and 24. At this time,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different in position an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refore, the consumer who sees these third press portion 23 and fourth press portion 24 is able to grasp one end edge 3a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article 3, And the other end edge 3b, in particular, line symmetry. That is, the consumer can be less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end edge of the absorber 3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crimping portions 23, 24.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it more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and the positional shift of the third and fourth crimping portions 23 and 24.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shift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difficult to be recognized by the consumer. Although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different in position an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s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When either one of the slopes is different, the above effect can be exhibi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양쪽이 상이하지만,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어느 한쪽이 상이하면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Although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different in position an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s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When either one of the slopes is different, the above effect can be exhibited. The same applies to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는 서로 닮은 도형이지만, 쌍방이 전혀 다른 도형이라도 좋다.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압착부(21), 제2 압착부(22),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가 서로 닮은 도형이라도 좋다. Although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y may be of different shapes. The same applies to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may be similar to each other.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크기(Wx21, Wx22)(도 4(a) 참조)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크기(d0)(도 3 참조)의 1/10 이상 3/4 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Wx21, Wx22는 d0의 1/5 이상 3/5 이하이다. 도 3의 예에서는, Wx21, Wx22는 각각 d0의 1/2, 1/4이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 압착부(21, 22)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제1, 제2 압착부(21, 22)의 폭 방향(W)의 크기(Wx21, Wx22)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으면 소비자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없고, 크면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이 눈에 띄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4 (a)) of the width direction W in each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absorbent body 3 is not less than 1/10 and not more than 3/4 of the size d0 of the absorbent body 3 in the width direction W (see Fig. 3). More preferably, Wx21 and Wx22 are 1/5 or more and 3/5 or less of d0. In the example of Fig. 3, Wx21 and Wx22 are 1/2 and 1/4 of d0, respectively. In this case as well,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so that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and 11b Can be made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However, if the size (Wx21, Wx22)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22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it can not affect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discrepancy becomes conspicuous.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크기(Wx23, Wx24)(도 4(b) 참조)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크기(d0)(도 3 참조)의 1/10 이상 3/4 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Wx21, Wx22는 d0의 1/5 이상 3/5 이하이다. 도 3의 예에서는, Wx23, Wx24는 각각 d0의 2/5, 3/10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4 (b)) of the width direction W in each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absorbent body 3 is not less than 1/10 and not more than 3/4 of the size d0 of the absorbent body 3 in the width direction W (see Fig. 3). More preferably, Wx21 and Wx22 are 1/5 or more and 3/5 or less of d0. In the example of Fig. 3, Wx23 and Wx24 are 2/5 and 3/10 of d0, respectively.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shift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에 있어서의 한쪽의 폭 방향(W)의 크기(Wx21 또는 Wx22)(도 4(a) 참조)는, 다른 쪽의 폭 방향(W)의 크기(Wx22 또는 Wx21)(도 4(a) 참조)의 25% 이상 400% 이하로 하고 있다. 예컨대, 제1 압착부(21)의 폭 방향(W)의 크기(Wx21)는, 제2 압착부(22)의 폭 방향(W)의 크기(Wx22)의 25% 이상 400% 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Wx21 또는 Wx22는 Wx22 또는 Wx21의 50% 이상 200% 이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Wx21은 Wx22의 200%이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 압착부(21, 22)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제1, 제2 압착부(21, 22) 사이의 폭 방향(W)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으면 소비자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없고, 크면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이 눈에 띄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Wx21 or Wx22) (see Fig. 4 (a)) of the width direction W of one side in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 Is set to 25% or more and 400% or less of the size (Wx22 or Wx21) (see Fig. 4 (a)) of the other width direction W. For example, the size Wx21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press portion 21 is not less than 25% and not more than 400% of the size Wx22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econd press portion 22 . More preferably, Wx21 or Wx22 is 50% or more and 200% or less of Wx22 or Wx21. In the example of Fig. 4, Wx21 is 200% of Wx22. In this case as well,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so that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and 11b Can be made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However, if the relative relationship of the size of the width direction 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it can not affect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and if it is large,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becomes noticeable.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에 있어서의 한쪽의 폭 방향(W)의 크기(Wx23 또는 Wx24)(도 4(b) 참조)는, 다른 쪽의 폭 방향(W)의 크기(Wx23 또는 Wx24)(도 4(b) 참조)의 25% 이상 400% 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Wx21 또는 Wx22는 Wx22 또는 Wx21의 50% 이상 200% 이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Wx23은 Wx24의 133%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Wx23 or Wx24) (see Fig. 4 (b)) in one of the width directions W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 portion 24 is And 25% to 400% of the size (Wx23 or Wx24) (see Fig. 4 (b))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other side. More preferably, Wx21 or Wx22 is 50% or more and 200% or less of Wx22 or Wx21. In the example of FIG. 4, Wx23 is 133% of Wx24.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shift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les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압착부(21)의 폭 방향(W)을 따른 제1 무게중심선(GL21)(제1 기준선)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이루는 제1 각도(α1) 및 제2 압착부(22)의 폭 방향(W)을 따른 제2 무게중심선(GL22)(제2 기준선)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이루는 제2 각도(β1)는 모두 30°이상 150° 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이상 135°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상 90°이하이다. 도 3의 예에서는, α1 은 70°, β1은 70°이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 압착부(21, 22)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제1, 제2 각도(α1, β1)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더라도 또 크더라도, 제1, 제2 압착부(21, 22)는 길이 방향(L)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압착부의 위치 어긋남이 눈에 띄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enter line GL21 (first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press portion 21 and the first center line CL the second angle beta 1 formed by the second center line GL22 (second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econd press portion 22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s 30 DEG Or more and 150 DEG or le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45 ° and not more than 135 °, and still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60 ° and not more than 90 °. In the example of Fig. 3,? 1 is 70 ° and? 1 is 70 °. In this case as well,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so that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and 11b Can be made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However,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angles? 1 and? 1 are smaller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have a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pressed portion becomes conspicuous, which is not preferable.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3 압착부(23)의 폭 방향(W)을 따른 제3 무게중심선(GL23)(제3 기준선)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이루는 제3 각도(α2) 및 제4 압착부(24)의 폭 방향(W)을 따른 제4 무게중심선(GL24)(제4 기준선)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이루는 제4 각도(β2)는 30°이상 150°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이상 135°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상 90°이하이다. 도 3의 예에서는, α2는 75°, β2는 65°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hird angle? L between the third center line GL23 (third bas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fourth angle? 2 formed by the fourth center line GL24 (fourth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ourth press portion 24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s at least 30 degrees 150 DEG or le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45 ° and not more than 135 °, and still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60 ° and not more than 90 °. In the example of Fig. 3,? 2 is 75 占 and? 2 is 65 占.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shift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각도(α1)와 제2 각도(β1)의 각도차는 0°이상 40°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이상 30°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이상 20°이하이다. 도 3의 예에서는 각도차는 0°이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 압착부(21, 22)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단, 제1 각도(α1)와 제2 각도(β1)의 각도차가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 작더라도 또 크더라도, 길이 방향 중심선(CL)의 일측 또는 타측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지나치게 많아져,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장착 시에 불균등한 변형이 생겨 흡수 성능이 저하하여 장착자가 위화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Fur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1 and the second angle? 1 is set to be not less than 0 ° and not more than 40 °.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 DEG and not more than 30 DEG, and still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3 DEG and not more than 20 DEG. In the example of FIG. 3, the angle difference is 0 DEG. In this case as well,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so that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and 11b Can be made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However, even if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1 and the second angle? 1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becomes excessively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ven if a shift does not occur, the shift may be recognized as a position shift. In addition, uneven deformation occurs at the time of mounting, and absorp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which may cause a wearer to feel discomfort.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마찬가지로 제3 각도(α2)와 제4 각도(β2)의 각도차는 0°이상 40°이하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이상 30°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이상 20°이하이다. 도 3의 예에서는 각도차는 10°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a more preferable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ngle? 2 and the fourth angle? 2 is set to be not less than 0 ° and not more than 40 °.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 DEG and not more than 30 DEG, and still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3 DEG and not more than 20 DEG. In the example of FIG. 3, the angle difference is 10 degrees.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shift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in the width direction W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각도(α1)와 제3 각도(α2)는 상이하고, 제2 각도(β1)와 제4 각도(β2)는 상이하다. 이 경우,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대하여 길이 방향(L) 양측의 제1, 제2 압착부(21, 22)의 배치 상태, 즉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기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의 배치 상태가 전체적으로 보다 불균등하게 되어, 소비자가 각 압착부(21, 22, 23, 24)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이나 흡수체(3)의 단 가장자리(3a, 3b)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gle? 1 and the third angle? 2 are different, and the second angle? 1 and the fourth angle? 2 are different.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22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line CL with respect to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is made more uneven as a whole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grasp the lengthwise center line CL and the absorber portion 21, 22, 23, 3 and the end edges 3a, 3b of the end portions 3a, 3b can be made less consciou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shift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Therefore,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widths of the pair of the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wafer W more easil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각도(α1), 제2 각도(β1), 제3 각도(α2) 및 제4 각도(β2)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대하여 길이 방향(L) 양측의 각 압착부(21, 22, 23, 24)의 배치 상태를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고, 또한, 폭 방향(W)으로 늘어선 제1, 제2 압착부(21, 22)의 배치 상태/제3, 제4 압착부(23, 24)의 배치 상태를 각각 서로 보다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의 배치 상태가 전체적으로 보다 불균등하게 되어,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gle? 1, the second angle? 1, the third angle? 2 and the fourth angle?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respective crimping portions 21, 22, 23, 24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11b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W of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and fourth crimping portions 23 and 24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are made more uneven overall,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 deviation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deviation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harder to be recognized by the consumer due to the visual effect.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1 압착부(21)의 폭 방향(W)의 크기(Wx21)와, 제2 압착부(22)의 폭 방향(W)의 크기(Wx22)와, 제3 압착부(23)의 폭 방향(W)의 크기(Wx23)와, 제4 압착부(24)의 폭 방향(W)의 크기(Wx24)는 서로 상이하다. 그 경우에도,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의 배치 상태가 전체적으로 보다 불균등하게 되어,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Wx21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rst press portion 21, the width Wx22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econd press portion 22, The size Wx23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hird press portion 23 and the size Wx24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ourth press portion 2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as well,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are made more uneven overall,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is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deviation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harder to be recognized by the consumer because of the visual effect.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1 압착부(21)와 제2 압착부(22) 사이의 폭 방향(W)의 거리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고, 제3 압착부(23)와 제4 압착부(24) 사이의 폭 방향(W)의 거리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근접함에 따라 커진다. 다시 말해서,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 보다 떨어지게 배치되며, 따라서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서 봤을 때 대략 역V자형(대략 ハ자형)으로 배치된다.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 보다 떨어지게 배치되며, 따라서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서 봤을 때 대략 역V자형(대략 ハ자형)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와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3a, 3b)와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육각형이 형성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는 이 육각형을 의식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품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다. 여기서, 이 육각형이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의 위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이 애매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위치가 폭 방향(W)으로 틀어져 있더라도, 소비자에 대하여 그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배설액의 길이 방향(L)의 이동을, 소정의 배치 상태에 있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와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로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설액의 길이 방향(L)의 확산이 억제되어, 누설이 저감되고, 이로써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비자가 흡수체(3)를 불량이라고 생각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이 양품이라는 느낌을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W between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and 11b , And th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W) between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In other words,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y approach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11a and 11b, And is arranged in an inverted V-shape (substantially C-shaped). The third pressing part 23 and the fourth pressing part 24 are arranged to be closer to each other as they are closer to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and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excretion accessory area STA, (Substantially crest-shaped). In this case, both ends 3a and 3b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body 3 and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21 and 22, the third and fourth pressing portions 23 and 23, And a virtual hexag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4 are formed. In such a case, the consumer perceives the hexagon and grasp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roduct based on the hexagon. Here, since this hexagon is not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the criterion for grasp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roduct becomes ambiguous.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are actually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W,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excreted liqu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per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21 and 22 in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state,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s a result, diffusion of the excreted liqu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suppressed, and leakage is reduced, whereby the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absorbent articl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think that the absorbent article 3 is defective while maintaining the absorbent performance, so that the feeling that the absorbent article 1 is good articl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흡수체(3)는, 길이 방향(L)의 단 가장자리(3T1, 3T2)가, 각각 대략 폭 방향(W)을 따라서,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대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오목 만곡선과,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볼록 만곡선과,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대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다른 오목 만곡선에 가장자리를 잡고 있다. 이 때, 단 가장자리(3T1, 3T2)는, 각각 볼록 만곡선의 길이 방향(L) 외측의 정점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일치하여,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된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흡수체(3)의 단 가장자리(3T1, 3T2)는 오목 형상, 볼록 형상 및 오목 형상이 이 순서로 서로 연결된 대략 물결형의 곡선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때문에, 소비자는 단 가장자리(3T1, 3T2)를 연속적인 형상이라고 인식하여,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중심을 의식하기 어렵게 된다. 이 효과와 상기한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소비자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그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The absorber 3 is formed such that the end edges 3T1 and 3T2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extend along the substantially width direction W an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respectively A convex curved line convexly curve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nother concave curved line curved concavely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 At this time, the edges 3T1 and 3T2 each have a line-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with the vertex at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convex curved line coinciding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end edges 3T1 and 3T2 of the absorber 3 can be regarded as curved lines of concave, convex, concave, and concave waves connected in this order. Therefore, the consumer perceives the edges 3T1 and 3T2 as continuous shapes, and it become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r 3. This effect and the effects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synergistically act so tha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can be further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As a result,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are changed,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hardly recogniz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설계상, 상기한 흡수체(3)의 길이 방향(L)의 단 가장자리(3T1, 3T2)는, 본체부(2a)의 길이 방향(L)의 단 가장자리(2T1, 2T2)와의 거리는 폭 방향(W)을 따라서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흡수체(3)의 길이 방향(L)의 단부 형상은 본체부(2a)의 길이 방향(L)의 단부 형상과 서로 닮지 않았다. 여기서, 본체부(2a)의 길이 방향(L)의 단부는 표면 시트(4) 및 이면 시트(5)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수체(3)의 단부와 표면 시트(4) 및 이면 시트(5)의 단부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고, 양자의 단부 형상은 서로 닮지 않았다. 이에 따라, 흡수체(3)의 길이 방향(L) 단부의 꼭대기부와 본체부(2a)의 길이 방향(L) 단부의 꼭대기부가 서로 폭 방향(W)으로 틀어졌다(길이 방향(L)에서 봤을 때 틀어졌다)고 하여도, 그 위치 어긋남을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효과와 상기한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소비자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그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The end edges 3T1 and 3T2 of the absorbent core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core 3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 edges 3T1 and 3T2 of the absorbent core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body portion 2a (2T1, 2T2) is not constant along the width direction (W). The end shape of the absorbe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does not resemble that of th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main body 2a. Here,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formed by the topsheet 4 and the backsheet 5.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core 3 and the end portion of the topsheet 4 and the backsheet 5 is not constant, and the end shapes of both are not similar to each other. The top portion of th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absorber 3 and the top portion in th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main portion 2a are mutually twisted in the width direction W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on deviation more difficult to recognize. The effect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effect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cts synergistically so tha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can be prevented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As a result,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are changed,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hardly recognized.

이어서,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제조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조 장치(300)는, 제1 형성 공정을 실행하는 제1 형성 유닛(300A)과, 제2 형성 공정을 실행하는 제2 형성 유닛(300B)과, 제3 형성 공정을 실행하는 제3 형성 유닛(300C)과, 제4 형성 공정을 실행하는 제4 형성 유닛(300D)을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제1 형성 공정 내지 제4 형성 공정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이 반송 방향(MD)으로 되게 하여 각 자재가 형성되어 반송된다. 그 경우, 흡수체(3)의 폭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및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폭 방향(W) 즉 반송 방향(MD)으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및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구성이 매우 유효하게 된다. 단,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이 반송 방향(MD)으로 되게 하여 각 자재가 형성되어 반송되더라도 좋다. Next,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1 will be described.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300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includes a first forming unit 300A for performing a first forming process, a second forming unit 300B for executing a second forming process, a third forming unit 300B for executing a third forming process, A second forming unit 300C, and a fourth forming unit 300D that performs a fourth forming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first forming step to a fourth forming step. In this example, each material is formed and transported such that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nt article 1 is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In this case, since the width of the absorber 3 is relatively short, in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to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nd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to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nd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11a and 11b are liable to be displac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W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very effective. However, each material may be formed and transport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1 is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제1 형성 공정에서는, 적섬(積纖) 장치(110)의 회전 드럼(111)이 회전되어, 재료 공급기(113)로부터 공급된 적섬 재료가 패턴 플레이트(112)의 부압실(111N)에 연통된 홈 내에 퇴적되어, 홈 내에 적섬체(積纖體)(AB)가 형성된다. 이어서, 패턴 플레이트(112)가 적섬체(AB)와 함께 정압실(111P)에 도달하면, 적섬체(AB)가 패턴 플레이트(112)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연속 시트형의 상층 티슈 시트(UT)가 롤(WR1)로부터 반송 벨트(115)에 공급된다. 상층 티슈 시트(U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1)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적섬체(AB)는 반송 벨트(115) 상의 상층 티슈 시트(UT)의 한쪽의 면 위에 꽉 눌린다. 이에 따라 제1 반제품(P1)이 형성된다. 제1 반제품(P1)은 흡입 장치(116)로 흡인되어 반송 벨트(115)로 반송된다. 이어서, 연속 시트형의 하층 티슈 시트(LT)가 롤(WR2)로부터 반송 벨트(115)에 공급된다. 하층 티슈 시트(L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2)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하층 티슈 시트(LT)의 한쪽의 면이 반송 벨트(115) 상의 제1 반제품(P1)에 꽉 눌린다. 이에 따라 제2 반제품(P2)이 형성된다. 이어서, 제2 반제품(P2)은 압박 장치(120)로 압박되고, 절단 장치(130)로 흡수체(3)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이에 따라 흡수체(3)인 제3 반제품(P3)이 형성된다. 제3 반제품(P3)은 반송 롤(141)에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3)에서는, 적섬체가 흡수성 코어이고, 상층 및 하층 티슈 시트가 코어 랩이다. In the first forming step, the rotating drum 111 of the stacking unit 110 is rotated so that the accumulated material supplied from the material supplying unit 113 is communicated with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11N of the pattern plate 112 And is deposited in the groove, thereby forming a laminate AB in the groove. Subsequently, when the pattern plate 112 reaches the static pressure chamber 111P together with the enemy line body AB, the enemy line body AB is released from the pattern plate 112. [ On the other hand, an upper layer tissue sheet UT of a continuous sheet type is fed from the roll WR1 to the conveyor belt 115. [ On one side of the upper layer tissue sheet UT, a hot-melt adhesive is applied by a coating device 301. Then, the full sheet AB is pressed on one side of the upper-layer tissue sheet UT on the conveying belt 115. Thus, the first semi-finished product P1 is formed. The first semi-finished product P1 is sucked by the suction device 116 and conveyed to the conveyance belt 115. [ Then, the lower layer tissue sheet LT in the form of a continuous sheet is fed from the roll WR2 to the conveyor belt 115. [ On one side of the lower layer tissue sheet LT, a hot-melt adhesive is applied by a coating device 302. [ One side of the lower layer tissue sheet LT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semi-finished product P1 on the conveying belt 115. [ Thus, the second semi-finished product P2 is formed. Subsequently, the second semi-finished product P2 is pressed by the pressing device 120, and is cut into the shape of the absorber 3 by the cutting device 130. Thus, the third semi-finished product P3 as the absorber 3 is formed. And the third semi-finished product P3 is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roll 141. [ In the absorbent article 3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sorbent core is an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 tissue sheets are core wraps.

이어서, 제2 형성 공정에서는, 연속 시트형의 표면 시트(TS)가 롤(WR3)로부터 반송 벨트(140)에 공급된다. 표면 시트(TS)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3)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다. 반송 롤(141)로부터 공급되는 제3 반제품(P3)은, 표면 시트(TS)의 한쪽의 면에 꽉 눌린다. 이에 따라 제4 반제품(P4)이 형성된다. 이어서, 제4 반제품(P4)이 표면 시트(TS) 측에서 압착 장치(150)로 압착되고,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및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이 동시에 형성되어(동시가 아니라 서로 별도의 공정(별도의 압착 장치)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5 반제품(P5)이 형성된다. 제5 반제품(P5)은 반송 롤(160)에 전달된다. Then, in the second forming step, a continuous sheet-like topsheet TS is fed from the roll WR3 to the conveyor belt 140. Then, A hot-melt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topsheet TS by a coating device 303. The third semi-finished product P3 fed from the conveying roll 141 is pressed against one surface of the topsheet TS. Thus, the fourth semi-finished product P4 is formed. Then, the fourth semi-finished product P4 is pressed on the topsheet TS side by the compression bonding device 150 and the first to fourth compression bonding portions 21 to 24 and the pair of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Are formed at the same time (not separately, but may be formed by separate processes (separate compression devices)) to form a fifth semi-finished product P5. The fifth semi-finished product P5 is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roll 160. [

이어서, 제3 형성 공정에서는, 연속 시트형의 이면 시트(BS)가 롤(WR4)로부터 반송 롤(161)에 공급된다. 이면 시트(BS)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4)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다. 반송 롤(161)로부터 공급되는 이면 시트(BS)는 제5 반제품(P5)의 한쪽의 면에 반송 롤(160) 상에서 꽉 눌린다. 이에 따라 제6 반제품(P6)이 형성된다. 제6 반제품(P6)은 반송 롤(170)에 전달된다. Then, in the third forming step, the back sheet BS of the continuous sheet type is fed from the roll WR4 to the conveying roll 161. [ On one side of the backsheet BS, a hot-melt adhesive is applied by a coating device 304. The backsheet B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roll 161 is pressed on the conveying roll 160 on one surface of the fifth semi-finished product P5. Thus, a sixth semi-finished product P6 is formed. The sixth semi-finished product P6 is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roll 170. [

이어서, 제4 형성 공정에서는, 연속 시트형의 박리 시트(CT)가 롤(WR5)로부터 이면 고정부 형성 장치(171)에 공급된다. 박리 시트(C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5)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다. 박리 시트(CT)는 이면 고정부 형성 장치(171)로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이에 따라 박리 시트(CT)는 개개의 박리 시트가 되고, 핫멜트 접착제는 고정부가 된다. 그리고, 본체부(2a)용의 고정부 부착 개개의 박리 시트가 제6 반제품(P6)에 꽉 눌린다. 이에 따라 제7 반제품(P7)이 형성된다. 이어서, 제7 반제품(P7)은 주위 밀봉 장치(180)에 의해 주위 부분이 가열되고 열 시일로 가장자리가 잡힌다. 이에 따라 제8 반제품(P8)이 형성된다. 제8 반제품(P8)은 반송 롤(190)에 반송된다. 이어서, 연속 시트형의 박리 시트(FT)가 롤(WR6)로부터 플랩 고정부 형성 장치(191)에 공급된다. 박리 시트(F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6)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다. 박리 시트(FT)는 플랩 고정부 형성 장치(191)로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이에 따라 박리 시트(FT)는 개개의 박리 시트가 되고, 핫멜트 접착제는 고정부가 된다. 그리고 플랩부(2b)용의 고정부 부착 개개의 박리 시트가 제8 반제품(P8)에 꽉 눌린다. 이에 따라 제9 반제품(P9)이 형성된다. 이어서, 제9 반제품(P9)은 주위 절단 장치(200)에 의해 주위 부분이 절단되어 흡수성 물품(1)의 형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10 반제품(P10)이 형성된다. 제10 반제품(P10)은 전사 롤(210)에 전달된다. 이어서, 연속 시트형의 포장 시트(WT)가 롤(WR7)로부터 전사 롤(210)에 공급된다. 포장 시트(W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7)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소정의 형상으로 도포된다. 포장 시트(WT)는, 전사 롤(210)의 외주면에 흡인되어 반송되는 제10 반제품(P10) 상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적층된다. 이에 따라, 포장 시트(WT)가 적층된 흡수성 물품(1)이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1)은 포장 공정으로 반송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행해지는 포장 공정에 관해서는 기재를 생략한다.Then, in the fourth forming step, a continuous sheet-like release sheet CT is fed from the roll WR5 to the back side fixing unit 171. [ On one side of the release sheet CT, a hot-melt adhesive is applied by a coating device 305. The release sheet CT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the back side fixing unit forming apparatus 171. [ Thus, the release sheet CT becomes an individual release sheet, and the hot-melt adhesive becomes a fixing portion. Then, the individual release sheets with the fixing portions for the main body 2a are pressed to the sixth semi-finished product P6. Thus, the seventh semi-finished product P7 is formed. Subsequentl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eventh semi-finished product P7 is heated by the peripheral sealing device 180 and the edge is caught by the heat seal. Thus, the eighth semi-finished product P8 is formed. The eighth semi-finished product P8 is conveyed to the conveying roll 190. [ Then, a continuous sheet type peeling sheet FT is fed from the roll WR6 to the flap fixing portion forming device 191. [ On one side of the release sheet FT, a hot melt adhesive is applied by a coating device 306. [ The release sheet FT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the flap fixing portion forming device 191. [ As a result, the release sheet FT becomes an individual release sheet, and the hot-melt adhesive becomes a fixing portion. And the individual release sheets with the fixing portions for the flap portion 2b are pressed against the eighth semi-finished product P8. Thus, the ninth semi-finished product P9 is formed. Then, the ninth semi-finished product P9 is cut in the peripheral portion by the peripheral cutting device 200 and separated into the shape of the absorbent article 1. Thus, a tenth semi-finished product P10 is formed. The tenth semi-finished product P10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roll 210. [ Then, a continuous sheet type package sheet WT is fed from the roll WR7 to the transfer roll 210. [ On one side of the package sheet WT, a hot melt adhesive is applied in a predetermined shape by a coating device 307. [ The wrapping sheet WT is laminated on the tenth semi-finished product P10 sucked and convey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roll 210 through a hot-melt adhesive. Thus, the absorbent article 1 in which the wrapping sheet WT is laminated is formed. The absorbent article 1 is returned to the packaging process. The description of the packaging process performed by a known method is omitted.

이상과 같이 하여 포장된 흡수성 물품(1)이 제조된다.The packaged absorbent article 1 is produced as described above.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 상이한 점에 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7은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과 비교하면,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의 구성이 상이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7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article. Compared to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compressed section 21 and the second compressed section 22 in construction. 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s of the third crimping section 23 and the fourth crimping section 24 are differ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가 각각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는 각각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압착부의 형상은 전부 원형이다. 즉, 제1 압착부(21)는 원형의 2개의 압착부(21a, 21b)로 구성되고, 제2 압착부(22)는 원형의 3개의 압착부(22a, 22b, 22c)로 구성되고, 제3 압착부(23)는 원형의 3개의 압착부(23a, 23b, 23c)로 구성되고, 제4 압착부(24)는 원형의 2개의 압착부(24a, 24b)로 구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are all circular. That is,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is composed of two circular crimping portions 21a and 21b,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is composed of three circular crimping portions 22a, 22b and 22c,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is composed of three circular crimping portions 23a, 23b and 23c and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is composed of two circular crimping portions 24a and 24b.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이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는 경우, 그 복수의 압착부 각각의 무게중심끼리를 일직선으로 이은 무게중심선을 기준선으로 한다. 그리고 그 기준선과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교차하는 각도를 가지고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기울기」라고 한다. 또한 복수의 압착부가 3개 이상의 압착부이고, 무게중심끼리가 하나의 직선으로 연결되지 않을 때는, 최소제곱법으로 최적의 직선을 구한다. Whe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grav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is set as a reference line. Quot; relative slope "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with an angle at which the baseline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intersect with each other. Further, when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are not less than three pressing portions and the centers of gravity are not connected by a single straight line, the optimal straight line is obtained by the least squares method.

또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이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는 경우, 2개의 압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2개의 압착부의 무게중심의 중간 위치를 2개의 압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로 하고, 3개 이상의 압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압착부의 무게중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3개 이상의 압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로 한다. In the case where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rimping portions 21 to 24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and when the two crimping portions are constituted by two crimping portions, Quot; relative position ", and when constituted by three or more crimp portion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lygon ha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se crimp portions as the apex is defined a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hree or more crimp portions.

즉, 제1 압착부(21)에서는, 압착부(21a)의 무게중심(G21a)과 압착부(21b)의 무게중심(G21b)을 잇는 제1 무게중심선(GL21)을 제1 기준선으로 한다. 제1 각도(α1)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제1 기준선이 이루는 각이다. 제2 압착부(22)에서는, 압착부(22a)의 무게중심(G22a)과 압착부(22b)의 무게중심(G22b)과 압착부(22c)의 무게중심(G22c)을 잇는 제2 무게중심선(GL22)을 제2 기준선으로 한다. 제2 각도(β1)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제2 기준선이 이루는 각이다. 제3 압착부(23)에서는, 압착부(23a)의 무게중심(G23a)과 압착부(23b)의 무게중심(G23b)을 잇는 제3 무게중심선(GL23)을 제3 기준선으로 한다. 제3 각도(α2)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제3 기준선이 이루는 각이다. 제4 압착부(24)에서는, 압착부(24a)의 무게중심(G24a)과 압착부(24b)의 무게중심(G24b)과 압착부(24c)의 무게중심(G24c)을 잇는 제4 무게중심선(GL24)을 제4 기준선으로 한다. 제4 각도(β2)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제4 기준선이 이루는 각이다. That is, in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the first center line GL21 connecting the center of gravity G21a of the pressing portion 21a and the center of gravity G21b of the pressing portion 21b is set as a first reference line. The first angle alpha 1 is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 second center line G22a connecting the center of gravity G22a of the crimping portion 22a and the center of gravity G22b of the crimping portion 22b and the center of gravity G22c of the crimping portion 22c, (GL22) as a second reference line. The second angle? 1 is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In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the third center line GL23 connecting the center of gravity G23a of the pressing portion 23a to the center of gravity G23b of the pressing portion 23b is set as a third reference line. The third angle alpha 2 is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third reference line.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fourth center line G24a connecting the center of gravity G24a of the pressing portion 24a and the center of gravity G24b of the pressing portion 24b and the center of gravity G24c of the pressing portion 24c, (GL24) is set as a fourth reference line. The fourth angle? 2 is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fourth reference line.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가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됨으로써, 소비자의 의식을 그 복수의 압착부(21a, 21b, 22a, 22b, 22c)로 향하게 할 수 있어, 소비자가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이나 흡수체(3)의 단 가장자리(3a, 3b)의 관계 등을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exhibited in this embodiment. 21b, 22a, 22b, and 22c, the consumer's consciousness can be reduced by the plurality of the crimping portions 21a, 21b, 22a, 22b, and 22c by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in this embodiment, So that the consumer is mor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and the edges 3a and 3b of the absorbent body 3 with the first and second press portions 21 and 22 You can do it.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displacement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can be made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가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됨으로써, 소비자의 의식을 더욱 그 복수의 압착부(23a, 23b, 24a, 24b, 24c)로 향하게 할 수 있어, 소비자가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와 길이 방향 중심선(CL)이나 흡수체(3)의 단 가장자리(3a, 3b)의 관계 등을 더욱 보다 의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더욱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hird press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24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 is further sealed by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23a, 23b, 24a, 24b, 24c The consumer can more closely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and the end edges 3a and 3b of the absorbent body 3 with the first and second press portions 21 and 22. [ You can make it unconscious. By virtue of the visual effect, the displacement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can be made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erceiv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21) 및 제2 압착부(22) 또는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의 어느 것이나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압착부(21), 제2 압착부(22), 제3 압착부(23) 및 제4 압착부(24)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압착부 각각의 패턴의 기울기(기울기의 정의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복수의 압착부 중 다른 압착부와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으며, 기준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라도 좋고, 다른 기울기라도 좋다. 동일한 경우에는 모양이 인식하기 쉽게 되어 압착부에 소비자의 주의가 향하고, 다른 경우에는 압착부와 길이 방향 중심선이나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의 관계를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되어, 어느 경우에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rimping portions 21 and 22 or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and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The same effect can be achiev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inclination (the definition of the inclin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atter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And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lope of the reference lin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in any case,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itional deviation in any case. can do.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흡수성 물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흡수성 물품(1)과 비교하여, 제1 압착부(21)∼제2 압착부(22)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착부의 형상은 전부 하트 모양이고, 제3 압착부(23)∼제4 압착부(24)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착부의 형상은 전부 꽃 모양인 점에서 상이하며, 제2 압착부(22) 및 제3 압착부(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착부의 수가 둘로 감소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Next, modified examples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bsorbent article. Compared with the absorbent article 1 of Fig. 7,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21 to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2 are all heart-shaped, and the shapes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s 23 to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four crimping portions 2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are all flower-shaped,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second crimping portion 22 and the third crimping portion 23 is reduced to two .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착부의 패턴의 수나 종류나 조합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따라서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에 있어서 패턴의 수나 종류나 조합이 서로 다르더라도 좋다. 혹은 제1 압착부(21)∼제4 압착부(24)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압착부에 있어서 패턴의 수나 종류나 조합이 서로 다르더라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도 7의 흡수성 물품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types, and combinations of th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constituting each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to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fore, the numbers, types, and combinations of the patter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21 to 24. Or the number of patterns, types and combinations of the patter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constituting each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21 to the fourth crimping portion 24. [ Even in such a case, the same action and effect as the absorbent article of Fig. 7 can be achiev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 상이한 점에 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9는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과 비교하면,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3a, 3b)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9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article. Compared with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bsorbent arti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opposite side edges 3a, 3b of the absorbent body 3 in the width direction W.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의 폭 방향(W) 양측의 단 가장자리(3a, 3b)는, 폭 방향(W) 외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를 갖는 볼록 만곡 영역(30)과 폭 방향(W) 외측에 대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를 갖는 오목 만곡 영역(31)이 길이 방향(L)을 따라서 교대로 연속된 형상, 즉 물결형의 형상을 갖는다. 단, 이 물결형 형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The end edges 3a and 3b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r 3 are formed by the convex curved region 30 having the outer edge curved convexly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concave curved regions 31 having concave curved outer edges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direction W have alternately continuous shap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at is, wavy shapes.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to this wave shape.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exhibited in this embodiment.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의 양단 가장자리(3a, 3b)가 폭 방향(W) 외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와 오목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가 교대로 연속된 형상, 즉 물결형의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흡수체의 단 가장자리(3a, 3b)와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거리를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그와 같은 경우, 소비자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의 위치가 폭 방향(W)으로 틀어져 있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라고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즉, 한 쌍의 압착 홈(11a, 11b)에 폭 방향(W)의 위치 어긋남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이 양품이라는 느낌을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단 가장자리(3a, 3b)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선대칭이라도 좋고, 비선대칭이라도 좋다. 선대칭인 경우에는 미관이 향상되어 물결형 곡선에 소비자의 주의가 향하고, 비선대칭인 경우에는 한 쌍의 압착 홈(11a, 11b)과의 거리를 보다 인식하기 어렵게 되어, 어느 경우에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3, which is curved convexly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outer edge curved concavely are alternately continuous,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edges 3a and 3b of the absorber and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and 11b.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at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squeeze grooves 11a and 11b are misaligned even if they are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W.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recognize the displacement of the widthwise direction W in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thereby preventing the absorbent article 1 from being damaged. The edges 3a and 3b may be line-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or may be non-line-symmetrical. In the case of the line symmetry, the aesthetics are improved to pay attention to the wavy curve, and in the case of non-line symmetry, it become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istance from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11a, 11b, Can be made difficul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형태끼리 조합하거나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흡수성 물품, 3: 흡수체, 4: 표면 시트, 5: 이면 시트, 11a, 11b: 압착 홈, 21: 제1 압착부, 22: 제2 압착부, G21, G22: 무게중심1: absorbent article, 3: absorber, 4: top sheet, 5: back sheet, 11a, 11b: compression groove, 21: first pressing portion, 22: second pressing portion, G21,

Claims (12)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서 양측의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 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늘어선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압착 홈,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접합하고,
상기 제1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의 무게중심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패턴과는 다른 제2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턴의 무게중심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흡수성 물품.
And an absorbent body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wherein the topsheet, the backsheet, and the absorbent bod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es:
And a first squeezing portion and a second squeezing portion that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positions away from the pair of squeezing grooves towar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egion where the topsheet and the absorber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
Wherein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join the surface sheet and the absorbent body,
Wherein the first press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ing a first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pattern is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Wherei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ing a second pattern different from the first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pattern be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Wherein the first squeezing portion and the second squeezing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a relative position and a slo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크기의 1/10 이상 3/4 이하인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s not less than 1/10 and not more than 3/4 of the widthwise dimension of the absorbent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는 다른 쪽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의 25% 이상 400% 이하인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wherein a size of one of the first press portion and the second press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not less than 25% and not more than 400% of a size of the other width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제1 기준선과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1 각도 및 상기 제2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제2 기준선과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2 각도는 30°이상 150°이하인 흡수성 물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irst angle formed by a first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line, a second referenc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crimping portion, And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directional center line is not less than 30 DEG and not more than 150 DE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의 각도차는 0°이상 40° 이하인 흡수성 물품. 5.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4, wherein an angle difference between said first angle and said second angle is not less than 0 degrees and not more than 40 degre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은 복수의 압착부로 구성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wherein one or both of said first pressing portion and said second pressing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늘어선 제3 압착부 및 제4 압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3 압착부 및 상기 제4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접합하고,
상기 제3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3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패턴의 무게중심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체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에 면해 있고,
상기 제4 압착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3 패턴과는 다른 제4 패턴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패턴의 무게중심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체의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에 면해 있고,
상기 제3 압착부와 상기 제4 압착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absorbent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air of the compression grooves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egion where the absorbent member and the topsheet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3 crimping portion and a fourth crimping portion,
The third pressing portion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join the surface sheet and the absorbent body,
Wherein the third press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ing a third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hird pattern being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facing one edge of the absorbent body,
Wherein the fourth press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ing a fourth pattern different from the third pattern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urth patter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Facing the edge of the sid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ird pressing portion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is different in position an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외측의 복수의 압착부의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1 각도 및 제2 각도와, 상기 다른 쪽의 외측의 복수의 압착부의 상기 제3 압착부 및 상기 제4 압착부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제3 각도 및 제4 각도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3 각도는 상이하고, 상기 제2 각도와 상기 제4 각도는 상이한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irst angle and a second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line and the first cri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on the outer side, The first angle and the third ang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a third angle and a fourth angle formed by the third press portion and the fourth press portion of the press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4.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angle is differ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상기 제2 각도, 상기 제3 각도 및 상기 제4 각도는 서로 상이한 흡수성 물품. 9.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ngle, the second angle, the third angle and the fourth ang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와, 상기 제2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와, 상기 제3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와, 상기 제4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흡수성 물품. The press-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size of the first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size of the second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size of the third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iz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 사이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고,
상기 제3 압착부와 상기 제4 압착부 사이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압착 홈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는 흡수성 물품.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rimping portion an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becomes larger as it approaches the pair of crimping grooves,
And th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hird pressing portion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 becomes larger as it approaches the pair of pressing groov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 양측의 단 가장자리는, 상기 폭 방향 외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를 갖는 볼록 만곡 영역과, 상기 폭 방향 외측에 대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바깥 가장자리를 갖는 오목 만곡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연속된 형상을 갖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idthwise end edges of the absorbent body include convex curved areas having outer edges curved convexly with respect to the widthwise outer sides, and convex curved areas having concave curved Wherein the concave curved regions having the outer edges of the concave curved regions have alternately continuous shap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2020197000015U 2016-09-30 2016-09-30 Absorbent article KR20190000902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9178 WO2018061218A1 (en) 2016-09-30 2016-09-30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02U true KR20190000902U (en) 2019-04-10

Family

ID=6175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7000015U KR20190000902U (en) 2016-09-30 2016-09-30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0870B2 (en)
KR (1) KR20190000902U (en)
CN (1) CN210124915U (en)
WO (1) WO20180612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8272B2 (en) * 2019-11-06 2023-11-13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7291668B2 (en) * 2020-06-12 2023-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0792A (en) 2010-12-10 2012-06-28 Daio Paper Corp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7958C2 (en) * 1993-09-13 1998-08-03 Moelnlycke Ab Absorbent body suitable for use in sanitary napkins and methods for its preparation
US8277429B2 (en) * 2008-06-17 2012-10-02 The Procto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product having a miniature model
JP5503988B2 (en) * 2010-01-29 2014-05-28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12115343A (en) * 2010-11-29 2012-06-21 Uni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package therefor
JP5270776B2 (en) * 2012-03-30 2013-08-21 大王製紙株式会社 Sanitary napkin
JP6219573B2 (en) * 2013-01-31 2017-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021779B2 (en) * 2013-10-04 2016-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0792A (en) 2010-12-10 2012-06-28 Daio Paper Corp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0870B2 (en) 2018-12-19
WO2018061218A1 (en) 2018-04-05
CN210124915U (en) 2020-03-06
JPWO2018061218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6042B2 (en) Absorbent articles
JP5503867B2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085464A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WO201718777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WO2015129367A1 (en) Production method for absorbent body
KR20190000902U (en) Absorbent article
US868519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688409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s
JP613890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61313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2008043444A (en) Absorbent art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715588B (en) Individual package of absorbent articles
WO2017115535A1 (e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6271111B1 (en) Absor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TWM593248U (en) Absorbent article
JP61292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6737106B2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