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20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20A
KR20190000620A KR1020170079832A KR20170079832A KR20190000620A KR 20190000620 A KR20190000620 A KR 20190000620A KR 1020170079832 A KR1020170079832 A KR 1020170079832A KR 20170079832 A KR20170079832 A KR 20170079832A KR 20190000620 A KR20190000620 A KR 2019000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suction
main body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991B1 (ko
Inventor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9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 모터의 앞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상기 흡입부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프리 필터에 장착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가 상기 흡입 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의 장착에 의해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실링 부재의 분리에 의해 차단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질을 공기와 같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을 분리한 후 공기만 배출시키고 먼지나 이물질은 집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청소기는 수동 청소기와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수동 청소기는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디 타입, 스틱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동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기반으로 청소를 수행한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흡입관과, 기류 생성기, 원심 분리 장치,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류 생성기는 모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모터 및 팬 어셈블리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모터 앞쪽에 프리모터 필터가 구비되고, 모터 뒤쪽에 포스트모터 필터가 구비된다.
프리모터 필터가 모터의 앞쪽에 구비되는 이유는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모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원심 분리 장치에 의해 공기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기는 하지만, 이른바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100% 분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프리모터 필터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모터의 앞에 배치되므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로부터 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청소기의 작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프리모터 필터에 누적되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의 양은 점차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프리모터 필터는 주기적으로 청소기로부터 분리되어 세척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일 프리모터 필터의 세척 등을 위해 프리모터 필터가 청소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원심 분리 장치에 의해 미처 공기로부터 분리되지 못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는 모터로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 모터의 손상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배기 필터가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에 의해 막히게 된다.
본 발명은 프리 필터의 미 장착 시 모터나 배기 필터 등을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 필터의 장착 여부에 유로가 변경되거나 프리 필터의 장착 여부에 따라 개구가 개폐되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나 배기 필터를 보호하는 구조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청소기의 정상적인 청소 성능에는 영향이 없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부를 구비하는 본체;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와는 별도로 본체의 내측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흡입 모터의 앞에 배치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프리 필터에 장착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실링 부재의 장착 여부에 따라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 여부가 결정된다.
흡입 모터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프리 필터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 부재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가 상기 흡입 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의 장착에 의해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실링 부재의 분리에 의해 차단이 해제된다.
청소기는 먼지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분리부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 모터의 앞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청소기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리 필터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면,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프리 필터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실링 부재도 상기 프리 필터와 함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면, 공기가 상기 흡입부, 상기 먼지 분리부, 상기 프리 필터,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먼지 분리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면, 외기가 상기 외기 유입구,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흡입 모터 보호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모터 보호 유로는 상기 먼지 분리 유로보다 짧다.
상기 흡입 모터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직접적인 연결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은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밀착된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프리 필터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상기 프리 필터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밀착 부위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 위에 상기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모터 하우징의 테두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메쉬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상측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밀착 부위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는 상기 여과부의 테두리에 결합된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로 안내하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유동 가이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유로; 및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필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필터 기구에 형성된다.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프리 필터의 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기구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리 필터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실링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필터 기구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 기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프리 필터가 노출된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기구의 내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 기구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가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을 때는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먼지 분리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본체의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며, 먼지 분리부에 의해 먼지와 공기는 서로 분리된다. 먼지로부터 분리된 공기만 흡입 모터로 유입된다.
반면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가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는 외기 유입구로부터 흡입 모터로 이어지는 흡입 모터 보호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모터 보호 유로를 따라 외기가 유입된다. 외기 유입구는 바닥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에 노출되므로,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는 미량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만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량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만 흡입 모터로 유입될 뿐이어서 흡입 모터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로부터 보호 될 수 있다.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가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도 본체의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흡입 모터 보호 유로는 먼지 분리 유로보다 짧기 때문에 흡입 모터의 흡입력은 대부분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미친다.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미치는 흡입력에 비해 본체의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미치는 흡입력은 작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 필터에 실링 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프리 필터의 장착과 분리만으로 실링 부재를 본체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본체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다. 실링 부재의 장착과 분리만으로 유로의 변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적용된 청소기의 정상적인 청소 성능에는 영향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측을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의 필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필터 기구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필터 커버에 인너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과 제2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의 단면도.
도 21은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가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는 프리 필터와 실링 부재가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는 직접 결합되거나 중간의 매개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5)의 중앙부가 대략적으로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10)가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10, 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제1바디(10)의 하측을 개폐하는 바디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1바디(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 내에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 커버(16)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1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1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2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고,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와 상기 제1바디(10) 사이 공간이 제1먼지 저장부(121)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상기 제1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2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1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8)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2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샤프트(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200)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 모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의 연장선(임펠러(200)의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상기 제1바디(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분리부의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모터 하우징(26, 27)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바디(12)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외주면은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유동 가이드(22)가 제1공기 유로(232)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하고, 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공기 유로(232)는 흡입 유로 역할을 하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1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연장부(310)와, 상기 제1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제1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1연장부(310)에서 상기 흡입부(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2연장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상기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은 사용자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핸들(30)은 조작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제2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를 통하여 청소기(흡입 모터)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상기 조작부(326)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조작부(326)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조작부(326)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20)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한 표시부(32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배터리(40)의 잔량, 흡입 모터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부는 상기 제2연장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은 상기 제1연장부(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의 하방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의 후면과 상기 제1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과 상기 제1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2)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일 예로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다수의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522)는 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제2바디(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제2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22)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 필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프리 필터(29)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프리 필터(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 필터(29)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리 필터(29)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측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필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필터 기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임펠러(200)를 커버하도록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 필터(29)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프리 필터(29)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손잡이(29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프리 필터(29)의 손잡이(29a)를 잡고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560)와, 상기 필터(560)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60)는 일 예로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필터(56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6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며, 상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프리 필터(29)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6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둘러싼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제2바디(12)와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인너 프레임(501)과, 인너 프레임(501)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외주면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내주면은 이격되며,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사이에 상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560)의 상측을 커버하는 배기 그릴(520)과, 상기 필터(560)의 하측을 커버하는 필터 커버(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면부(502)와, 상기 상면부(502)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둘레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503)는, 제1부분(503a)과, 상기 제1부분(50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부분(503a)의 직경 보다 직경이 큰 제2부분(50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503a)과 상기 제2부분(503b)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1부분(503a)과 상기 제2부분(503b) 사이에는 상기 배기 그릴(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5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06)는 상기 상면부(502)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둘레부(5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안착부(506)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기 그릴(52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경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06)의 외경 및 상기 제2부분(503b)의 외경은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상면부(502) 및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이 상기 배기 그릴(52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안착부(50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인너 데코부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에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512)가 구비된다.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는 상기 후크(51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홀(5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결합홀(508)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에는 상기 후크(512)를 상기 후크 결합홀(508)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50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0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가 상기 안내홈(507)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과 정렬되면 상기 후크(512)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안착부(50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2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안내홈(507) 및 상기 배기 그릴(520)의 안내홈(5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는 상기 배기 그릴(5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기 그릴(520)을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 고정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은 상기 배기 그릴(5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은 상기 배기 그릴(52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 예로 융착에 의해서 상기 배기 그릴(5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 그릴(520)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고정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이 상기 배기 그릴(5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는 상기 배기 그릴(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5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이 상기 배기 그릴(520)과 고정되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인너 프레임의 둘레부(503) 사이에 필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수용 공간에 상기 필터(56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560)가 상기 필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560)는 상기 공기 배출구(52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되는 아우터 데코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배기 그릴(520)의 둘레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상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하단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5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5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54)가 수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5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552)는 일 예로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일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의 미끄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부(552)가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57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 사이에 수용된 필터(56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하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및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일 예로 융착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530, 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부재(530, 58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공기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구비되는 후크 결합홀(508)을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너 실링부재(530)(또는 제1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상면부(502)에서 하방으로 실링 리브(50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504)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504)는 상기 상면부(502)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 리브(504)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사이에는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의 일부는 상기 공간에 끼워진다.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하면, 상기 제2부분(503b)의 내주면 및 실링 리브(504)의 하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너 실링부재(230)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하면, 상기 제2부분(503b)의 내주면 및 실링 리브(504)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되므로,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너 실링부재(230)에 의해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 기구(50)의 외면과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새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30, 580)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필터(56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바디(12) 사이 틈새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우터 실링부재(580)(또는 제2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에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커버(570)와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가 지지되기 위한 지지면(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25)은 상기 제2바디(12)의 일부분의 두께가 커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가 상기 지지면(125)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 사이 틈새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본체(2)의 제2바디(12)의 상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560)의 일부는 상기 본체(2)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가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도 상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56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필터(560)의 면적이 증가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필터 커버에 인너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커버(570)는, 인너 바디(571)와, 상기 인너 바디(571)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572)와, 상기 인너 바디(571)와 상기 아우터 바디(572)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5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571)와 상기 아우터 바디(572)는 각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573)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5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571)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 프레임의 하면(509)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 지지리브(5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 지지리브(575)는 상기 인너 바디(57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571)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의 결합을 위한 리브 결합부(5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바디(571)는 연장부(5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76)는 상기 인너 바디(57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576)에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브 결합부(577)는 상기 프레임 지지리브(575)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하향 경사지는 이유는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회전 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필터 기구(50)가 분리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결합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필터 기구(50)에 회전력이 가해져야 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결합부(577)는 후술할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돌기(229)가 수용되는 슬롯(5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578)은 홈이거나 홀일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509)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50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09a)는 상기 필터 커버(570)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리브(575)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형성된 고정 리브(228)가 수용되기 위한 리브 수용부(579)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50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501)이 상기 필터 커버(5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509b)는 상기 고정 리브(228)의 상방에서 상기 고정 리브(228)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및 하강 과정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8)가 상기 함몰부(509b)와 상기 리브 결합부(577) 사이의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509b)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브 수용부(579)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리브 수용부(579)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필터 커버(570) 사이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8)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필터 커버(57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는 가이드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220)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벽(222)은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유로 형성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부에 상기 흡입 모터(20)가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2)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으면, 공기 유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돌출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의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공기 유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부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으면서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필터 기구(50)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로 형성벽(222)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상측부 외경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때,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부가 상기 필터 기구(50)에 수용되어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일부가 상기 필터 기구(50)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프리 필터(29)의 하단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지지부(225)는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내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하단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26, 27)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체결부(226)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S1)가 상방에서 상기 체결부(22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S1)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및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관통한 후에 상기 배출 가이드(28)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적은 개수를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구조 및 조립 방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필터 기구(5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 리브(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고정 리브(228)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8)의 하면에 고정 돌기(22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는 보강 리브(2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과 이격된다.
상기 보강 리브(227)는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서 상기 제2바디(1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바디(12)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향하여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보강 리브(227)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바디(1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보강 리브(22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2바디(12)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보강 리브(227)가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 리브(227)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하측 일부를 상기 제2바디(12)에 수용시킨다.
그러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리브 수용부(579)와 상기 고정 리브(228)가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용이하게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리브 수용부(579)의 높이는 상기 고정 리브(228)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228)가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8)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돌기(229)가 상기 리브 결합부(577)의 슬롯(578)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 즉, 유동 가이드(22)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8)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8)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서 빠지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과 제2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제2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는 상기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사이에는 제1실러(2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에는 제2실러(2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도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관통홀(273)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청소기(1)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흡입 모터(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로 유동된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로 유동된 공기는 재차 먼지와 분리된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에 저장된다. 반면,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되어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상승한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관통홀(273)을 통과한 후에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 유로(232)의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다.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내의 흡입 모터(20)를 통과한다. 공기는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20)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272)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560)를 지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19는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의 사시도다. 도 20은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의 단면도다.
프리 필터(29)는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프리 필터(29)는 덮개부(29b), 여과부(29c) 및 손잡이(29a)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다.
덮개부(29b)는 흡입 모터(20)의 상부와 모터 하우징(26, 27)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공기의 유동을 위해 덮개부(29b)는 흡입 모터(20)의 상부나 모터 하우징(26, 27)의 상부로부터 이격된다.
덮개부(29b)는 평평할 수도 있으나, 흡입 모터(20)와 모터 하우징(26, 27)을 향해 완만하게 돌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9b)의 중앙이 가장 많이 돌출되며, 중앙과 테두리를 연결하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9b)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이유는 후술하게 될 손잡이(29a)의 배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덮개부(29b)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또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29b)의 소재가 반드시 어느 하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과부(29c)는 덮개부(29b)의 테두리에서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다. 여과부(29c)는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의 형상을 갖는다. 여과부(29c)는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과부(29c)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여과부(29c)는 메쉬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프리 필터(29)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먼지 분리부(110, 130)와 흡입 모터(20) 사이에 배치되며, 메쉬 필터는 먼지 분리부(110, 130)와 흡입 모터(20)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110, 130)에 의해 먼지로부터 분리된 공기는 유동 가이드(22)에 의해 안내되어 프리 필터(29)를 통과하게 된다. 여과부(29c)는 메쉬 필터를 구비하므로, 공기는 메쉬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여과부(29c)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가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므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로부터 흡입 모터(20)가 보호될 수 있다.
프리 필터(29)와 모터 하우징(26, 27)은 테두리를 따라 서로 밀착된다. 테두리를 따라 서로 밀착된다는 것은 프리 필터(29)의 테두리와 모터 하우징(26, 27)의 테두리가 서로 밀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여과부(29c)의 내주면은 모터 하우징(26, 27)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프리 필터(29)에는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실링 부재(62)가 결합될 수 있다. 실링 부재(62)가 결합되는 위치는 프리 필터(29)와 모터 하우징(26, 27)의 밀착 부위다. 도 19와 도 20에서 밀착 부위는 여과부(29c)의 하단이므로, 실링 부재(62)는 여과부(29c)의 하단에 결합된다. 실링 부재(62)에 의해 프리 필터(29)와 모터 하우징(26, 27)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29)의 여과부(29c)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 모터(20)로만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링 부재(62)와 후술하게 될 실링 부재(61)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제1 또는 제2 등의 서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한 실링 부재(62)는 제2 실링 부재(62)라고 명명하고, 후술하게 될 실링 부재(61)는 제1 실링 부재(61)라고 명명될 수 있다.
프리 필터(29)의 손잡이(29a)는 덮개부(29b)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손잡이(29a)는 덮개부(29b)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29b)의 중앙이 모터 하우징(26, 27)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손잡이(29a)의 과도한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만일 덮개부(29b)가 평평하다면 손잡이(29a)가 덮개부(29b)로부터 과도하게 돌출되고, 본체(2)의 높이는 필요 이상으로 높아질 것이다.
프리 필터(29)는 본체(2)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 기구(50)는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리 필터(29)는 필터 기구(5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필터 기구(50)가 본체(2)로부터 분리되면 본체(2)의 내측에 배치된 프리 필터(29)가 노출된다.
프리 필터(29)는 본체(2)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2)의 내주면는 단차(2a)가 형성되며, 프리 필터(29)는 상기 단차(2a)에 안착된다. 다만 단차(2a)는 본체(2)의 내주면에 형성되지 않고, 모터 하우징(26, 27)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링 부재(61)는 프리 필터(29)에 장착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링 부재(61)는 제1 실링 부재(61)를 의미한다.
실링 부재(61)는 프리 필터(29)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프리 필터(29)는 원통형이므로, 실링 부재(61)는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61)는 프리 필터(29)에 장착되므로, 실링 부재(61)는 프리 필터(29)와 함께 본체(2)의 내측에 장착되거나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된다.
실링 부재(61)의 역할에 대하여는 도 21과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다. 도 22는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2)는 흡입부(5)를 구비한다. 흡입 모터(20)가 작동하면 공기가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된다.
본 발명의 청소기(1)는 흡입부(5)와는 별도로 본체(2)의 내측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 개구는 외기 유입구(505)로 명명된다.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모두 흡입 모터(20)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모두 흡입 모터(20)를 통과하게 된다. 흡입 모터(20)를 통과한 공기나 외기는 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청소기(1)는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나 외기를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 개구는 공기 배출구(522)로 명명된다. 공기 배출구(522)는 앞서 도 3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 있다.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는 필터 기구(50)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기구(50)는 프리 필터(29)의 위를 덮도록 배치된다. 앞서 필터 기구(50)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고, 필터 프레임은 인너 프레임(501), 아우터 프레임(540) 및 배기 그릴(5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된 바 있다. 외기 유입구(505)는 인너 프레임(501) 및/또는 아우터 프레임(540)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522)는 배기 그릴(5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는 본체(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링 부재(61)는 상기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외기가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61)는 필터 기구(50)의 내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필터 기구(5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필터 기구(50)의 내주면이란 인너 프레임(501)의 내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외기 유입구(505)는 인너 프레임(50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기 유입구(505)는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29)가 본체(2)의 내측에 장착되면, 상기 프리 필터(29)에 결합된 실링 부재(61)는 외기 유입구(505)로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실링 부재(61)는 필터 기구(50)와 접촉되도록 프리 필터(29)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61)가 프리 필터(29)와 함께 본체(2)의 내측에 장착되면, 상기 외기 유입구(505)를 통한 외기 유입이 차단된다. 실링 부재(61)가 프리 필터(29)의 외주면과 인너 프레임(50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외기 유입구(505)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막기 때문이다.
실링 부재(61)는 인너 프레임(50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설계에 따라 본체(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리 필터(29)는 외기 유입구(505)를 직접 막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의 장착 여부에 따라 외기 유입구(505)의 개폐가 결정된다.
실링 부재(61)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인너 프레임(501)의 테두리에 밀착되면, 실링 부재(61)의 적어도 일부는 프리 필터(29)와 인너 프레임(501)에 의해 압축된다. 이에 따라 인너 프레임(501)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입 모터(20)가 작동하면, 흡입부(5)를 통해 공기가 본체(2)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반면,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서는 외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반대로 프리 필터(29)가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면, 실링 부재(61)도 프리 필터(29)와 함께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 모터(20)가 작동하면, 흡입 모터(20)는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공기 배출구(522)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외기가 본체(2)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핸디형 청소기(1)의 본체(2)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진 채로 작동하기 때문에, 본체(2)는 바닥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비해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양의 먼지나 이물질만 포함되어 있다.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의 착탈에 따라 외기 유입구(505)를 통한 외기의 유입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프리 필터(29)의 세척 등을 위해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외기가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 모터(20)가 작동하더라도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흡입 모터(20)로 유입될 뿐 바닥의 먼지가 흡입되는 것은 아니므로, 흡입 모터(20)가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프리 필터(29)의 장착 여부에 따른 공기 유동을 유로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한다.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에 장착되면, 공기가 흡입부(5), 먼지 분리부(110, 130), 프리 필터(29), 흡입 모터(20) 및 공기 배출구(5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먼지 분리 유로(A)가 형성된다.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0)가 작동하면, 공기가 흡입부(5)를 통해 본체(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본체(2)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 분리부(110, 130)를 통과하면서 먼지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프리 필터(29)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로부터 분리된다. 프리 필터(29)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 모터(20)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구(522)로 배출된다.
앞서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 유로를 설명한 바 있다. 먼지 분리 유로(A)는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제1공기 유로와 제2공기 유로로 구분된다.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흡입 모터(20)의 앞은 제1공기 유로에 해당한다. 그리고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흡입 모터(20)의 뒤는 제2공기 유로에 해당한다.
반대로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면, 외기가 외기 유입구(505), 흡입 모터(20) 및 공기 배출구(5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흡입 모터 보호 유로(B)가 형성된다.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0)가 작동하면, 외기가 외기 유입구(505)를 통해 본체(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흡입 모터(20)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본체(2)의 내측으로 유입된 외기는 흡입 모터(20)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구(522)로 배출된다.
프리 필터(29)와 실링 부재(61)가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흡입 모터 보호 유로(B)가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먼지 분리 유로(A)가 차단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흡입 모터 보호 유로(B)의 끝과 먼지 분리 유로(A)의 끝은 공기 배출구(522)로 동일하며, 흡입 모터 보호 유로(B)는 먼지 분리 유로(A)보다 짧다. 따라서 흡입 모터(2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은 대부분 흡입 모터 보호 유로(B)에 미치므로,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는 극미량에 불과하다.
프리 필터(29)와 모터 하우징(26, 27)은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의 직접적인 연결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의 직접적인 연결이란 흡입 모터(20)를 경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의 직접적인 연결이 차단되지 않으면, 흡입 모터(20)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공기 배출구(522)에도 미칠 우려가 있다. 외기 유입구(505)와 공기 배출구(522)의 직접적인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앞서 프리 필터(29)에 제2 실링 부재(62)가 결합되어 모터 하우징(26, 27)의 테두리에 밀착됨을 설명한 바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청소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흡입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 모터의 앞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상기 흡입부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프리 필터에 장착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가 상기 흡입 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의 장착에 의해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실링 부재의 분리에 의해 차단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면,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실링 부재도 상기 프리 필터와 함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면, 공기가 상기 흡입부, 상기 먼지 분리부, 상기 프리 필터,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먼지 분리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면, 외기가 상기 외기 유입구, 상기 흡입 모터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흡입 모터 보호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 보호 유로는 상기 먼지 분리 유로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직접적인 연결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은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프리 필터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상기 프리 필터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밀착 부위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 위에 상기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모터 하우징의 테두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메쉬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상측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밀착 부위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는 상기 여과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로 안내하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유동 가이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유로; 및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필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필터 기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프리 필터의 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기구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리 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필터 기구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 기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프리 필터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기구의 내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 기구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70079832A 2017-06-23 2017-06-23 청소기 KR10229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32A KR102292991B1 (ko) 2017-06-23 2017-06-23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32A KR102292991B1 (ko) 2017-06-23 2017-06-23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20A true KR20190000620A (ko) 2019-01-03
KR102292991B1 KR102292991B1 (ko) 2021-08-24

Family

ID=6502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32A KR102292991B1 (ko) 2017-06-23 2017-06-23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817A (ko) 2022-03-04 202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5325B2 (en) * 2011-10-12 2015-04-14 Black & Decker Inc.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KR20160034041A (ko) * 2014-09-19 2016-03-29 최상훈 핸디형 청소기
CN106618374A (zh) * 2017-02-24 2017-05-1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5325B2 (en) * 2011-10-12 2015-04-14 Black & Decker Inc.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KR20160034041A (ko) * 2014-09-19 2016-03-29 최상훈 핸디형 청소기
CN106618374A (zh) * 2017-02-24 2017-05-1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991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6519B2 (ja) 掃除機
KR102584210B1 (ko) 청소기
KR20180078199A (ko) 청소기
KR20190000620A (ko) 청소기
KR20180078201A (ko) 청소기
KR20180077135A (ko) 청소기
KR102558087B1 (ko) 청소기
KR102123680B1 (ko) 청소기
KR20180023275A (ko) 청소기
KR102123682B1 (ko) 청소기
JP6555705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