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41U -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 Google Patents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41U
KR20190000541U KR2020170004418U KR20170004418U KR20190000541U KR 20190000541 U KR20190000541 U KR 20190000541U KR 2020170004418 U KR2020170004418 U KR 2020170004418U KR 20170004418 U KR20170004418 U KR 20170004418U KR 20190000541 U KR20190000541 U KR 20190000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billiard
practice
roll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송식
Original Assignee
오송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송식 filed Critical 오송식
Priority to KR2020170004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541U/ko
Publication of KR2019000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당구공이 수용되는 평평한 구름 영역이 마련된 스트로크 연습본체와,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구름 영역을 차단하도록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당구공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를 포함하며, 구름 통로에는 당구대의 나사지가 배치되되,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타단부에는, 당구공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는 정지 턱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좁은 공간에서 큐를 갖고 스트로크를 연습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당구공에 대해 스트로크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전에서와 같은 동일한 큐 감각을 익힐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BILLIARD PRACTICE APPARATUS}
본 고안은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큐로 당구 스트로크를 연습하기 위한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구대(billiard table) 위에서 적ㆍ백색 공을 큐(cue stick)로 쳐서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이다.
당구에는 여러 가지 종목이 있는데 크게 나누어 캐럼 게임(4구ㆍ보크라인ㆍ스리쿠션 등)과 포켓 게임(로테이션ㆍ에이트볼ㆍ나인볼ㆍ14-1 라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에서 보급된 것은 주로 4구 경기로서 적ㆍ백 2개씩의 공을 써서 승부를 겨누는 것이다. 4구 경기는 당구의 모든 기본기(基本技)를 포함한 종목이다.
한국에서는 하지 않으나 미국과 일본 등지에서는 흔히 하는 보크라인 경기는 적색공 1개, 백색공 2개로 한다. 보크라인은 대면에 제한 테두리를 그려놓고 그 테두리 안에서의 1회 치기, 2회 치기의 제한이 과해진다. 제한 라인을 긋는 방식에 따라 47-1(및 2), 71-2 등으로 종류가 나누어진다.
스리쿠션 경기는 적색공 1개, 백색공 2개로 하는데, 결국 2개의 표적공에 맞히기 전에 내공(자기가 치는 공)이 3회 이상 쿠션에 맞아야 득점이 된다.
포켓 게임은 미국식과 영국식이 있는데, 영국식은 현재 거의 경기를 하지 않는다. 대면의 네 구석과 긴 쿠션 중앙에 2개, 합계 6개의 구멍(포켓)이 있는 당구대를 사용하며 1개의 흰공(내공)과 1에서 15까지 번호를 붙인 공의 합계 16개로 경기를 한다. 1에서 번호순으로 포켓에 떨어뜨리는 로테이션 경기가 가장 일반적이다.
당구는 먼저 발의 위치, 눈의 위치, 큐걸이 방법, 큐를 잡는 법 그리고 공의 위치에 따른 자세와 같은 기본자세를 습득하여 배우게 된다. 기본자세의 습득 다음으로, 스트로크(타격) 연습을 한다.
특히 스트로크의 강약에 따라서 수구에 회전을 줄 때에는 수구가 곡선을 그리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원하는 지점에 수구를 보내기 위해서는(또는 원하는 적구의 두께에 맞추기 위해) 상당한 연습을 통해 감을 익혀야 한다.
이처럼 당구는 스트로크의 정확성 즉, 큐대의 직선운동 및 큐의 직진거리의 정확성이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등록특허 제10-522636 호에는, 큐를 갖고 스트로크를 연습할 수 있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등록특허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을 위한 하나의 종래기술로서, 지지대의 양단에 타점이 있는 탄성부재가 기립 배치된 것이다. 사용자는 큐를 갖고 탄성부재의 타점을 타격하여 두 개의 탄성부재의 타점에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스트로크를 연습할 수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좁은 연습 공간에서 큐를 갖고 순차적으로 타점함으로써 스트로크를 연습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격 배치된 탄성부재를 통해 움직임이 가능한 둥근 당구공에 대한 타점 감각을 익히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반복적인 연습 시에는 탄성부재가 영구 변형되어 타점 정렬이 어긋날 수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좁은 공간에서 큐를 갖고 스트로크를 연습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당구공에 대해 스트로크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전에서와 같은 동일한 큐 감각을 익힐 수 있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스트로크의 반복적인 연습에서 타점 정렬이 유지되어 큐의 충분한 직선 스트로크 감각을 얻을 수 있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당구공이 수용되어 안내되는 평평한 구름 영역이 마련된 스트로크 연습본체; 및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구름 영역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당구공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름 통로에는 당구대의 나사지가 배치되되,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타단부에는, 당구고의 정지 턱이 마련된다.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는, 상기 나사지가 배치되는 평평한 중앙 다이부; 및 상기 중앙 다이부의 양쪽에 기립 배치되어 당구공의 이탈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당구공이 수용되는 평평한 구름 경로가 마련된 스트로크 연습본체; 및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구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당구공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는 하나의 당구공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으로 마련된 스트로크 가이드부; 및 상기 스트로크 가이드부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구름 경로에서 이탈하는 당구공을 수용 가능한 홈 형상의 구름 통로가 마련된 한 쌍의 사이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좁은 공간에서 큐를 갖고 스트로크를 연습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당구공에 대해 스트로크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전에서와 같은 동일한 큐 감각을 익힐 수 있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스트로크의 반복적인 연습에서 타점 정렬이 유지되어 장기간 반복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 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 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당구공(10)이 수용되어 안내되는 평평한 구름 영역(101)이 마련된 스트로크 연습본체(100), 스트로크 연습본체(100)의 구름 영역(101)을 차단하도록 스트로크 연습본체(100)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당구공(10)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110)를 포함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름 영역(101)에는 당구대의 나사지(103)가 배치되며, 스트로크 연습본체(100)의 타단부에는, 당구공(10)의 정지 턱(105)이 마련된다. 정지 턱(105)은 스트로크 전에 당구공(10)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외부 이탈을 차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크 연습본체(100)는, 나사지(103)가 배치되는 평평한 중앙 다이부(106), 중앙 다이부(106)의 양쪽에 기립 배치되어 당구공(10)의 이탈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벽(108)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평평한 중앙 다이부(106)에서 당구공(10)의 스트로크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는 중앙 다이부(106)의 한쪽에 배치되는 충격흡수 차단부(110)와 그 양쪽에 배치되는 차단벽(108)에 의해 당구공(10)의 이탈을 충분히 차단하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차단벽(108)은 당구공(10)의 지름보다 높은 높이로 마련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중앙 다이부(106)에 당구공(10)을 놓고, 밀어 치기, 당겨 치기, 빗겨 치기와 같은 스트로크 연습을 반복적으로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중앙 다이부(106)는 횡 방향으로 20cm~30cm 폭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당구공(10)이 수용 가능한 구름 영역(101)이 마련되므로, 당구공(10)을 3개 배치하고 4구 연습과 같은 기초 연습이 가능하다. 이때는 당구공(10)의 두께 및 회전 조절을 위한 연습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다이부(106)의 차단벽(108)들 사이에는 폼,고무, 플라스틱, 고무와 같은 재질의 정지 턱(205)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당구공(10)의 외부 이탈을 차단할 수 있으며, 당구공(10)을 정지 턱(205)에 정지시킨 후 스트로크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충격흡수 차단부(110)는 실제의 당구대에서처럼 반발력을 높이기 위한 쿠션과 동일한 것으로 마련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차단벽(208)도 충격흡수가 가능한 재질이나 구조로 마련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당구공(10)이 수용되어 안내되는 평평한 구름 경로(201)가 마련되며 나사지(203)가 배치되며 정지 턱(205)이 있는 스트로크 연습본체(200), 스트로크 연습본체(200)의 구름 경로(201)를 차단하도록 스트로크 연습본체(200)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당구공(10)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210)를 포함한다.
상기의 스트로크 연습본체(200)는 하나의 당구공(10)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으로 마련된 스트로크 가이드부(206), 스트로크 가이드부(206)의 양쪽에 배치되며, 구름 경로(201)에서 이탈하는 당구공(10)을 수용 가능한 홈 형상의 구름 통로(209)가 마련된 한 쌍의 사이드 수용부(2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는, 스트로크 가이드부(206)에서 당구공(10)이 이탈하면, 사이드 수용부(208)에 당구공(1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당구공(10)의 스트로크가 흔들리거나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구공(10)이 스트로크 가이드부(206)의 구름 경로(201)에서 이탈되므로, 사용자는 스트로크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정신을 집중하면서 연습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트로크의 정확성을 높이는 연습을 반복하게 되므로, 스트로크에서 집중과 매번 거의 같은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이드 수용부(208)의 홈 형상의 구름 통로(209)에도 나사지를 배치함으로써 당구공(10)을 놓고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수용부(208)의 한쪽은 충격흡수 차단부(210)에 의해 막히게 되며, 다른 한쪽에는 정지 턱이 배치됨으로써 당구공(10)이 정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당구공 20: 큐
100: 스트로크 연습본체 101: 구름 영역
103: 나사지 105: 정지 턱
107: 중앙 다이부 108: 차단벽
110: 충격흡수 차단부 120: 원판
121: 곡선 돌기 200: 스트로크 연습본체
201: 구름 경로 203: 나사지
205: 정지 턱 206: 스트로크 가이드부
208: 사이드 수용부 209: 구름 통로
210: 충격흡수 차단부

Claims (3)

  1. 당구공이 수용되는 평평한 구름 영역이 마련된 스트로크 연습본체; 및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구름 영역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당구공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름 통로에는 당구대의 나사지가 배치되되,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타단부에는, 당구공의 정지 턱이 마련되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는,
    상기 나사지가 배치되는 평평한 중앙 다이부; 및
    상기 중앙 다이부의 양쪽에 기립 배치되어 당구공의 이탈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3. 당구공이 수용되는 평평한 구름 경로가 마련된 스트로크 연습본체; 및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구름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당구공의 구름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크 연습본체는 하나의 당구공의 지름에 대응하는 폭으로 마련된 스트로크 가이드부; 및
    상기 스트로크 가이드부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구름 경로에서 이탈하는 당구공을 수용 가능한 홈 형상의 구름 통로가 마련된 한 쌍의 사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KR2020170004418U 2017-08-21 2017-08-21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KR201900005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18U KR20190000541U (ko) 2017-08-21 2017-08-21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18U KR20190000541U (ko) 2017-08-21 2017-08-21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41U true KR20190000541U (ko) 2019-03-04

Family

ID=6572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18U KR20190000541U (ko) 2017-08-21 2017-08-21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5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251B1 (ko) 2022-10-14 2024-01-29 주식회사 스마일스퀘어 당구 학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251B1 (ko) 2022-10-14 2024-01-29 주식회사 스마일스퀘어 당구 학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912B2 (en) Soccer training device
KR101779838B1 (ko) 휴대용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US11779832B2 (en) Billiard training device to control the cue ball after impacting a target ball
KR20190000541U (ko)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US8915793B2 (en) Golf club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0488593Y1 (ko)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US4865330A (en) Soccer kick-training device
Sahan et al. The effect of the tennis technical training on coordination characterictics
KR102603884B1 (ko) 당구볼의 두께 타격 연습장치
KR100723578B1 (ko) 라켓 스트링 교정구
US9802111B2 (en) Stroker's a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3814432A (en) Tubular track marble game apparatus
CN202538319U (zh) 一种篮/足球桌
KR102371760B1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을 이용한 놀이기구
US20170043229A1 (en) Hurricane Ball and Method of Play
Kroeger Volleyball drills
KR20230001905U (ko)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구
KR20180102777A (ko) 당구 스트로크 훈련장치
WO2017095336A1 (en) Method for eye-member coordination training, preferably eye-hand coordination training, and apparatus for eye-member coordination training, preferably eye- hand coordination training
Ghani et al. Squash Backhand Stroke Analyses for Three Different Playing Levels in Malaysia
JP3029943U (ja) スティックとボールを使ったゲーム装置
KR101831835B1 (ko) 롤 앤드 바운스 볼 운동구
KR101882872B1 (ko) 실전 야구 게임 놀이기구
KR20220109806A (ko) 타격 게임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220097684A (ko) 복합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