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07U - A pet door assembly - Google Patents

A pet do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07U
KR20190000507U KR2020170004339U KR20170004339U KR20190000507U KR 20190000507 U KR20190000507 U KR 20190000507U KR 2020170004339 U KR2020170004339 U KR 2020170004339U KR 20170004339 U KR20170004339 U KR 20170004339U KR 20190000507 U KR20190000507 U KR 20190000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access hole
pet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춘
Original Assignee
이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춘 filed Critical 이종춘
Priority to KR2020170004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507U/en
Publication of KR20190000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0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실내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미닫이 창문에 설치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창문에 설치 가능한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access door assembly installed in a sliding window for distinguishing an interior space for allowing a pet to enter and provides a pet access door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window.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A PET DOOR ASSEMBLY}A PET DOOR ASSEMBLY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실내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미닫이 창문에 설치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access do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access door assembly mounted on a sliding window to distinguish an interior space for access by a pet.

요즘은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많이 늘고 있다.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에는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 하부에 애완 동물용 출입문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Nowadays, there are many households that raise pets indoors. Domestic pets are often equipped with pet doors at the bottom of doors to allow pets to enter and exit freely.

이때, 종래의 실내용 도어에는 애완동물용 출입문이 없으므로 사람이 직접 애완동물이 출입할 때마다 열어주고 닫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해 항상 문을 열고 있으면 실내 냉난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In this case, since the conventional indoor door does not have a door for a pet, it is inconvenient for a person to open and close the door whenever the pet enters or exits. If the door is always open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pet, happened.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20-2010-0007869호에 애완 동물용 출입문이 개시되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pet door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7869.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애완동물용 출입문은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별도의 크기 조절이 불가하고, 기존의 문에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 훼손되거나, 문을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et door is fixed in size, so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pet door. In addition, the pet door is damaged by forming a hole for accessing the pet, .

또한, 애완동물이 성장하거나 애완동물의 종류가 달라짐에 따라 새로운 애완동물용 출입문을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생기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s a pet grows or a kind of a pet changes, a new pet door must be purchased, so that there is an economic burden.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869호(2010.08.06. 자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7869 (Published on Aug. 6, 2010)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기존의 창문에 설치 가능한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door assembly for a pet which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window.

또한,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크기에 맞추어 출입문 구멍의 높이를 교체해서 설치할 수 있으며, 창문의 다양한 높이에도 맞춤식으로 설치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t access door assembly which can be installed by replacing the height of a door opening according to the size of a pet, and can be adjusted so as to be customized to various heights of a window.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는 미닫이식 창문틀;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창문; 및 상기 창문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고,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형성되는 출입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t access door assembly comprising: a sliding window frame; At least two window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nd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in the window frame; And a door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d having a door for accessing the pet.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고, 상기 출입문플레이트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창문틀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plate is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door plate. And a height adjusting plate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coupled to the fixing plate to correspond to various heights of the window frame.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는 미닫이식 창문틀;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창문; 상기 창문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도록 일정높이를 가지고,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형성되는 출입문플레이트; 및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과 높이를 맞추기 위한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t access door assembly includes a sliding window frame; At least two window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nd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in the window frame; A door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engaged with the window frame, And a control plate installed on the door plat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indow plat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고, 상기 출입문플레이트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창문틀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plate is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door plate. And a height adjusting plate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coupled to the fixing plate to correspond to various heights of the window fram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를 상기 창문틀에 밀착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 각각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de frame coupled to an edge of each of the door plate and the adjustment plate for closely fitting the door plate and the adjustment plate to the window fram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는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레일 또는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과 높이조절구멍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late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hole and a rail or a height adjusti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상기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하여 일정크기 천공되는 출입구멍; 상기 출입구멍을 덮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멍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출입구멍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door includes an access hole through which the pet is perforated to a predetermined size for accessing the pet; And an access hole cover connected to an edge of the access hole to cover the access hol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멍 덮개는 상기 출입구멍의 가장자리에 서로 대응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링 결합되거나, 경첩을 통한 힌지 결합 또는 지퍼를 이용한 지퍼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구멍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hole cover may be formed by forming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access hole and ring-joining, or by using at least one of a hinge connection through a hinge or a zipper using a zipper so as to cover the access hole .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멍 덮개를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멍의 가장자리 중 상기 출입구멍 덮개와 결합이 안되어 있으면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일측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ix the access hole cover to the access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magnet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ile being not connected to the access hole cover among the edges of the access hole .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멍 덮개는 외짝 여닫이문 또는 두짝 여닫이문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문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ess hole cov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ne of the outer door or the double door or the revolving door rotating about the central axis.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플레이트는 상기 출입구멍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입구멍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plate includes an access ho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access hole.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pet access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의 창문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여 기존의 창문을 훼손하거나 교체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isting window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an existing window, so that an existing window is not damaged or replaced, which is economical.

또한, 본 고안은 사이드프레임을 통해 창문틀에 밀착되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heat loss by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through the side frame.

또한,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주인이 매번 직접 문을 열어주거나 닫아주거나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et owner opening or closing the door each time.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출입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입구멍 조절부재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 pet door for a p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pet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n access ho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size of a door of a door for a pe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et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onfiguration of a pet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et access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는 미닫이식 창문틀(R) 상기 창문틀(R)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R)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창문(D); 및 상기 창문(D)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창문틀(R)과 결합되고,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120)이 형성되는 출입문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pet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et access do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window frame R, at least two movable window frames R that are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R, Window (D); And a door plate 100 locat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D and coupled to the window frame R to form a door 120 for accessing and exiting the pet.

출입문플레이트(100)는 애완동물의 출입 위한 구성으로서, 현관문 또는 실내의 출입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출입문플레이트(100)가 미답이식 창문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문플레이트(100)는 창문틀(R)에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사이드프레임(110)이 결합된다.The door plate 100 may be provided for entrance and exit of a pet, and may be provided at an entrance door or an entrance door of a room. In this embodiment, the door plate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ntouched window. Referring to FIG. 2, the side frame 110 is coupled to an edge of the door plate 100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R. Referring to FIG.

사이드프레임(110)은 출입문플레이트(100)가 창문틀(R)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출입문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The side frame 110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door plate 100 so that the door plate 10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R. [

계속해서, 출입문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출입문(120)은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하여 일정크기 천공되는 출입구멍(121)과 출입구멍(121)을 덮기 위하여 출입구멍(12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출입구멍 덮개(122)를 포함하는 The access door 120 formed on the door plate 100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access hole 121 to cover the access hole 121 and the access hole 121 which are perforat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includes an access hole cover 122

한편, 출입문(120)은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맞추어 교체 가능하다. 도 3은 출입문(12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입구멍 조절부재(130)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구멍(121)의 크기는 출입구멍 조절부재(130)의 부착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출입구멍 조절부재(130)는 출입구멍(121)의 일면에 부착되어 출입구멍(121)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120 is a part where the pet can enter and exit,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t. 3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the access hole adjusting member 130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door 120. As shown in FIG. 3, the size of the access hole 121 can be adjusted through attachment of the access hole regulating member 13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ccess hole regulating member 13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access hole 121 to selectively control the size of the access hole 121.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 출입구멍 조절부재(130)는 제1크기를 가지는 제1출입구멍(131)과 제2크기를 가지는 제2출입구멍(132)으로 크기 변경이 가능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hole regulating member 130 can be resized into a first access hole 131 having a first size and a second access hole 132 having a second size .

제2출입구멍(132)은 측면 가장자리가 출입구멍 조절부재(130)의 내측에서 지퍼(130a)로 연결되고, 제1출입구멍(131)은 측면 가장자리가 제2출입구멍(132)의 내측에서 지퍼(130a)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출입구멍 조절부재(130)는 출입구멍(12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접착부재(130b)를 통해 출입문플레이트(100)에 부착될 수 있다.The side edge of the second access hole 132 is connected to the zipper 130a from the inside of the access hole regulating member 130 and the side edge of the first access hole 131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access hole 132 And can be integrally formed by being connected by a zipper 130a. The access hole regulating member 1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attached to the access door plate 100 through the adhesive member 130b provided at the edge of the access hole 121.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출입구멍(131)과 제2출입구멍(132)은 각각 분리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출입구멍(12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access holes 131 and 132 may be detachably detachable, and may be deformed in any form capable of changing the size of the access hole 121 Preferably.

계속해서, 출입구멍(121)을 덮기 위한 출입구멍 덮개(122)는 덮개 연결부재(140)를 통해 출입문플레이트(100)에 설치될 수 있다.The access hole cover 122 for covering the access hole 121 can be installed in the access door plate 100 through the cover connecting member 140. [

덮개 연결부재(140)는 애완동물이 출입구멍 덮개(122)를 밀어서 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구멍 덮개(122)가 내측과, 외측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덮개 연결부재(140)를 링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양방향 경첩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The lid connecting member 14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lid cover 122 can move inward and outward so that the pet can push the lid 122 to move inside and outside. Although the cover connecting member 140 is shown in the form of a 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 bidirectional hinge may be used instead.

또한, 출입구멍 덮개(122)는 상부 일측이 고정되어 하부가 스윙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출입구멍 덮개(122)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한 쪽이 고정되어 좌측, 우측, 또는 가운데를 밀어서 열 수 있는 여닫이형태를 가질 수 있다.However,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cess hole cover 122 is fixed so that the left, right, or center of the access hole cover 122 is opened It can have a hinged shape that can be.

즉, 출입구멍 덮개(122)는 외짝 여닫이문 또는 두짝 여닫이문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문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ccess hole cover 12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of a wicket door or a twin-door and a revolving door rotating about a central axis.

한편, 출입구멍 덮개(122)의 재질은 딱딱한 판재가 아니라 커튼으로 대체할 수 있는데 출입구멍 덮개(122)가 커튼형식으로 구성될 때, 커튼의 연결 방식은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출입문(120)을 계속 막는 형태로 할 수도 있고, 레일식으로 구성되어 출입문(120)의 막음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When the access hole cover 122 is formed in a curtain shape, the connecting method of the curtain is fixed, so that the door 120 is continuously opened and closed. The door 120 can be selectively closed,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그리고 출입구멍 덮개(122)는 출입문플레이트(1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자석(150)을 통해 부착되어 출입문(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출입문(120)과 출입구멍 덮개(122)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부재(150a, 150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cess hole cover 1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not connected to the access door plate 100 is attached through the magnet 150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access door 1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120 and the access hole cover 122 are provided with magnet members 150a and 150b having different polarities.

이어서, 도 4와 도 5를 통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pet door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et door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이듯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는 도 2와 대별되는 차이점으로 출입문플레이트(200)가 상부, 하부로 나뉘어지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pet access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at of FIG. 2 in that the access door plate 200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미닫이식 창문틀(R),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R)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창문(D); 상기 창문틀(R)에 설치되며,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220)이 형성되는 출입문플레이트(200); 및 상기 출입문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창문틀(R)과 높이를 맞추기 위한 조절플레이트(20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at least two windows (D) are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R), and the window frame (R) is reciprocal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door plate (200)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R) and having a door (220) for entrance and exit of a pet; And an adjusting plate 202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plate 20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R. [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출입문플레이트(200)가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로 분리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plate 200 is separated into the entrance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ment plate 202.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에는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2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창문틀(R)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일정높이를 가진다.The access hole plate 201 has a door 220 for entry and exit of a pet, and has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R. [

출입구멍 플레이트(201)는 설치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출입문(220)의 크기 변경을 위해 출입문플레이트(200)에서 출입구멍 플레이트(201)만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다. 한편, 출입구멍 플레이트(201)는 애완동물용 울타리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access hole plate 201 can be replaced by removing only the access hole plate 201 from the access door plate 200 to change the size of the access door 220 in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peration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the access hole plate 201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et fence.

조절플레이트(202)는 출입구멍 플레이트(201)가 설치된 후 창문틀(R)에 남겨진 공간을 채우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조절플레이트(202)는 창문틀(R)과 결합되고, 출입구멍 플레이트(201)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202a); 및 고정플레이트(202a)에 결합되고 창문틀(R)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02a)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202b)를 포함한다.The adjustment plate 202 is configured to fill a space left in the window frame R after the access hole plate 201 is installed. On the other hand, the adjusting plate 202 is coupled to the window frame R and has a fixing plate 202a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trance hole plate 201; And a height adjusting plate 202b coupled to the fixing plate 202a and coupled to the fixing plate 202a to correspond to various heights of the window frame R. [

고정플레이트(202a)는 후술할 높이조절플레이트(202b)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높이조절플레이트(202b)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plate 202a serves as a support for the height adjustment plate 202b to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the height adjustment plate 202b to move.

높이조절플레이트(202b)는 고정플레이트(202a)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고정플레이트(202a)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일정 높이를 가지는 고정플레이트(202a)가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에 연결되어도 창문틀(R)의 빈공간을 다 채울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02a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ixing plate 202a so that the fixing plate 202a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connected to the access hole plate 201 It can be used when the empty space of the window frame R can not be filled.

계속해서 상기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를 창문틀(R)에 밀착 설치하기 위하여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 각각의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frame 210 is fitted to the edge of each of the entrance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ment plate 202 to closely attach the entrance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ment plate 202 to the window frame R, As shown in FIG.

사이드프레임(210)이 위치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에서는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의 가장자리 중에서 조절플레이트(202)과 맞닿지 않는 좌측, 우측, 및 하측 각각에 결합되는 출입구멍 플레이트 좌측프레임(211a), 출입구멍 플레이트 우측프레임(211b), 및 출입구멍 플레이트 하측프레임(211c)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ntrance and exit plate 201 is provided with a side plate 210 and a side plate 210. The side plate 21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plate 210, A hole frame left frame 211a, an entry hole plate right frame 211b, and an entrance hole plate lower frame 211c.

그리고, 조절플레이트(202)에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210)은 고정플레이트(202a)와 높이조절플레이트(202b) 각각의 가장자리 설치되도록 구성된다.The side frame 210 installed on the adjustment plate 202 is configured to have the edge of each of the fixed plate 202a and the height adjustment plate 202b.

즉, 고정플레이트(202a)에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210)의 경우 고정플레이트(202a)의 가장자리 중에서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높이조절플레이트(202b)에 맞닿지 않는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플레이트 좌측프레임(212a)과 고정플레이트 우측프레임(2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side frame 210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202a,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late 202a,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access hole plate 201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And a frame 212a and a fixed plate right frame 212b.

그리고 높이조절플레이트(202b)에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210)의 경우 높이조절플레이트(202b)의 가장자리 중에서 창문틀(R)과 맞닿는 높이조절플레이트 코너 측면프레임(213a)과 상측프레임(213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ide frame 210 installed on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is composed of a height adjusting plate corner side frame 213a and an upper side frame 213b which abut the window frame R from the edge of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

이때, 상측프레임(213b)은 높이조절플레이트(202b)가 고정플레이트(202a)에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고정플레이트(202a)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rame 213b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late 202a when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is not fastened to the fixing plate 202a.

도 5에서는 각각의 프레임의 형태를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대응하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In FIG. 5, the shape of each frame is shown to have a fixe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upled plat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hape of each frame can be modified to a length-adjustable form.

이와 같은 사이드프레임(210)의 구성을 통해 출입문플레이트(200)가 창문틀(R)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The door frame 200 can be firml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R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side frame 210. [

한편,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에 형성되는 출입문은 출입구멍(220)을 막기 위한 출입구멍 덮개(230)를 가질 수 있으며, 덮개 연결부재(240)를 통해 출입문플레이트(200)에 연결된다.The access door formed in the access hole plate 201 may have an access hole cover 230 for blocking the access hole 220 and is connected to the access door plate 200 through the cover connecting member 240.

또한, 출입구멍 덮개(230)는 출입구멍(22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출입구멍(220)과 출입구멍 덮개(230) 각각에 극성이 다른 자석부재(250a, 250b)로 구성되는 자석(25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access hole cover 230 is provided with a magnet 250 composed of magnet members 250a and 250b having different polarities in the access hole 220 and the access hole cover 230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access hole 220 Lt; / RTI >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의 출입문과 관련된 연계 구성들은 도 2의 일 실시 예를 통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structures related to the door of the pet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do.

계속해서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는 결합부재(26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260)는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구멍(261)과 조절플레이트(202)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구멍(262)의 표면에 덧대어져서 각각의 결합구멍(261, 262)을 함께 고정하여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outlet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ing plate 2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60. The engaging member 26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ower engaging hole 261 formed in the access hole plate 201 and the upper engaging hole 262 formed in the regulating plate 202 to form the engaging holes 261 and 262 Are fixed together so that the access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ing plate 20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결합부재(260)는 각각의 결합구멍(261, 262)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 표면에 덧대어지는 판재와 구멍들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engaging member 260 is formed with holes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holes 261 and 262, and the plate and the plate that are punch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201 and the plate 202, .

결합부재(26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가 맞닿는 면 중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260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f the surfaces of the fitting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ing plate 202 may be deformed into a structure in which a projection is formed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또한, 결합부재(260)의 형태는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가이드레일과 이에 대응하는 레일구조 등 출입구멍 플레이트(201)와 조절플레이트(202)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260 is such that the inlet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ment plate 202 are coupled such that the inlet hole plate 201 and the adjustment plate 202 are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rail and the corresponding rail structure It is evident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that can be made.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02a)와 높이조절플레이트(202b)는 체결부재(27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270)는 고정플레이트(202a)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레일(270a)과 높이조절플레이트(202b)에 형성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 레일(270b)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71a)와 체결볼트(271a)에 결합되는 체결너트(271b)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plate 202a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are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mber 270. The fastening member 270 includes a fastening plate rail 270a formed on the fastening plate 202a and a fastening bolt 271a passing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plate rail 270b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and fastening bolts 271a And a fastening nut 271b which is coupled to the fastening nut 271b.

따라서, 체결부재(270)는 간단한 조임과 풀림 동작을 통해서 높이조절플레이트(202b)가 레일(270a, 270b)의 길이범위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높이조절플레이트(202b)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270 can be fixed at any position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rails 270a and 270b through the simple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late 202b Can be finely adjusted.

한편, 고정플레이트 레일(270a)과 높이조절플레이트 레일(270b)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높이조절구멍으로 변형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xing plate rail 270a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rail 270b may be deformed into a height adjusti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또 다른 변형으로는 창문틀(R)의 상부 내측에 출입문플레이트(100)의 상단부가 맞닿을 수 있도록 출입문플레이트(200)의 출입구멍 플레이트(201) 상부에는 슬라이드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딩플레이트(미도시)가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때문에 다양한 창문틀(R)의 높이에 적용될 수 있어 효율적이다.In another modification, a plurality of sliding plates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trance hole plate 201 of the door plate 20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oor plate 100 can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frame R, (Not shown) may overlap each other. This is effective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the height of various window frames (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can readily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 창문틀
D: 창문
100, 200: 출입문플레이트
110, 210: 사이드프레임
120: 출입문
121, 220: 출입구멍
122, 230: 출입구멍 덮개
130: 출입구멍 조절부재
140, 240: 덮개 연결부재
150, 250: 자석
260: 결합부재
270: 체결부재
R: Window frame
D: Window
100, 200: door plate
110, 210: Side frame
120: Entrance
121, 220: access hole
122, 230: access hole cover
130: access hole adjusting member
140, 240: lid connecting member
150, 250: magnet
260:
270: fastening member

Claims (11)

미닫이식 창문틀;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창문; 및
상기 창문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고,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형성되는 출입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Sliding window frame;
At least two window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nd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in the window frame; And
And a door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to be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d having a door for accessing /
Pet door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플레이트를 상기 창문틀에 밀착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de frame coupled to an edge of the door plate for closely fitting the door plate to the window frame
Pet door assembly.
미닫이식 창문틀;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 내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창문;
상기 창문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도록 일정높이를 가지고,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형성되는 출입문플레이트; 및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틀과 높이를 맞추기 위한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Sliding window frame;
At least two window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nd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in the window frame;
A door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engaged with the window frame, And
And a control plate installed on the door plat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indow plate
Pet door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창문틀과 결합되고, 상기 출입문플레이트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창문틀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The adjustment plate
A fixing plate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d fixedly disposed on the door plate; And
And a height adjusting plate coupled to the stationary plate and coupled to the stationary plate to correspond to various heights of the window frame
Pet door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를 상기 창문틀에 밀착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 각각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ide frame coupled to an edge of each of the door plate and the adjuster plate to closely attach the door plate and the adjuster plate to the window frame
Pet door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는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레일 또는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과 높이조절구멍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plate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each have a rail or a height adjusti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rail and the height adjusting hole
Pet door assembly.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상기 애완동물의 출입을 위하여 일정크기 천공되는 출입구멍;
상기 출입구멍을 덮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멍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출입구멍 덮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oor
An access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for accessing the pet;
And an access hole cover connected to an edge of the access hole to cover the access hole
Pet door assemb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멍 덮개는
상기 출입구멍의 가장자리에 서로 대응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링 결합되거나, 경첩을 통한 힌지 결합 또는 지퍼를 이용한 지퍼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구멍을 덮도록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ccess hole cover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access hole by using at least one of a ring-shaped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access hole and a zipper coupling using a hinge or a zipper
Pet door assemb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멍 덮개를 상기 출입문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멍의 가장자리 중 상기 출입구멍 덮개와 결합이 안되어 있으면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일측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을 구비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magnet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t one side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rein the magnet is not engaged with the access hole cover of the edge of the access hole so as to fix the access hole cover to the access door plate
Pet door assemb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멍 덮개는
외짝 여닫이문 또는 두짝 여닫이문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문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ccess hole cover
And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of a single door or a twin-door or a revolving door rotating about a central axis
Pet door assemb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플레이트는
상기 출입구멍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입구멍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oor plate
And an access ho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access hole
Pet door assembly.
KR2020170004339U 2017-08-16 2017-08-16 A pet door assembly KR2019000050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39U KR20190000507U (en) 2017-08-16 2017-08-16 A pet do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39U KR20190000507U (en) 2017-08-16 2017-08-16 A pet do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07U true KR20190000507U (en) 2019-02-26

Family

ID=6551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39U KR20190000507U (en) 2017-08-16 2017-08-16 A pet do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507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97Y1 (en) * 2019-06-13 2019-11-20 김영삼 Variable pet door
KR102278365B1 (en) * 2020-07-16 2021-07-15 이종춘 Pet door system
KR102361337B1 (en) * 2021-11-04 2022-02-14 주식회사 펫스커 Panel assembly for pets and its assembly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97Y1 (en) * 2019-06-13 2019-11-20 김영삼 Variable pet door
KR102278365B1 (en) * 2020-07-16 2021-07-15 이종춘 Pet door system
KR102361337B1 (en) * 2021-11-04 2022-02-14 주식회사 펫스커 Panel assembly for pets and its assembly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507U (en) A pet door assembly
CN210370444U (en) Door sill
DE102013224658B4 (en) Tenter frame for an insect screen or the like reticulated fabric
US20110214348A1 (en) Multipurpose window
CN109138812A (en) Screen window suitable for convertible window and the window with the screen window
KR101871475B1 (en) A Indoor interior room door for construction
KR101533442B1 (en) Mothproof screen apparatus of hinged door and window be opened within
KR101761003B1 (en) Sliding door assembly
EP3444424B1 (en) Housing for a ventilation device and/or a screen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a housing
KR200459970Y1 (en) Ventilation device for a structure
JP3962037B2 (en) Screen door equipment
KR200395349Y1 (en) Absorbing device for strening door
SK5920Y1 (en) Hinge, especially for doors
KR20160120633A (en) Window system
KR101390363B1 (en) Sliding door apparatus
KR100985753B1 (en) Explosion-proof window of window system with anti-separation structure
KR101774003B1 (en) Insulation composite window with sun interception system
ITMI20040083U1 (en) SECURITY WINDOW WITH SLIDING ARMOR ON THE DOOR FOR WINDOWS DOORS OR SIMILAR
JP5420291B2 (en) Building opening screen device
KR101939680B1 (en) Device for dust screen window with Linked window
KR20130004159U (en) Windows
JP6647927B2 (en) Joinery
KR20210025370A (en) Double window with blinds
KR100632994B1 (en) A Sliding Window Assembly for Prevention of Falling
KR20190062810A (en) Gasket assembling structure for smooth drainage and draft protection of the door frame with sliding door op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