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416U - Safety straw - Google Patents

Safety stra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416U
KR20190000416U KR2020170004156U KR20170004156U KR20190000416U KR 20190000416 U KR20190000416 U KR 20190000416U KR 2020170004156 U KR2020170004156 U KR 2020170004156U KR 20170004156 U KR20170004156 U KR 20170004156U KR 20190000416 U KR20190000416 U KR 20190000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erforation
straw
present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1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정숙
Original Assignee
허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숙 filed Critical 허정숙
Priority to KR2020170004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416U/en
Publication of KR20190000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1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5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안전 빨대에 관한 것으로,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천공부; 상기 천공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입으로 물었을 때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변형부;를 마련하여 천공부와 달리 변형부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천공부와 변형부가 분리, 결합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며, 천공부의 선단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에 보다 쉽게 꽂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traw, which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rigidity for piercing a container, and has a slanting end formed to pierce the container; And a deformation part integrally formed from the perforation and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deformed freely when it is bitten by the mouth, so that the deformation part is made of silicon material and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 The perforated part and the deformed part are separated and joined togeth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teeth can be formed at the tip of the perforation so that the perforated par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Description

안전 빨대{SAFETY STRAW}Safety straw {SAFETY STRAW}

본 고안은 안전 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 등을 섭취할 때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수 등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traw,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straw capable of consuming drinks and the like using a safe straw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en consuming beverages.

일반적으로 빨대는 우유와 청량음료 등과 같은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straws can easily drink beverages such as milk and soft drinks.

즉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음료수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보조해 주며, 음료용기 내에 넣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다.That is, it assists children and elderly people to drink beverages easily, and is us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in a beverage container.

이와 같은 빨대(straw)는 입구와 출구가 있으며, 이들 사이에 소정 길이의 이송관이 형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송관 중에 벨로우즈(또는 주름관, 자바라)를 형성하여 빨대를 구부려도 그 이송관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음료수를 종전대로 빠르게 유통시키도록 한 빨대도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Such a straw has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conveying pi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therebetween. In recent years, straws have been developed to form a bellows (or a corrugated pipe, bellows) in a conveying pipe so that the shape of the conveying pip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straw is bended and the beverage can be rapidly circulated.

용기에 입을 대고 마실 경우에는 자칫 음료수가 흘러 옷을 적시거나 입가에 음료수가 묻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고, 입을 대는 부위가 비위생적일 경우에 병원균에 감염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case of drinking with a container, it is disadvantageous because the drink is flowing, the clothes are wetted, or the drink is in the mouth, and the infection is infectious when the mouth is unsanitary.

하지만 빨대를 이용할 경우에는 빨대를 통해 올라온 음료수를 마심으로써, 음료수를 외부로 흘리거나 입가에 음료수가 묻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However, when using a straw, drinking the water from the straw can help to overcome the problems such as shedding of the drink or drinking water at the mouth.

또한 빨대를 위생적인 비닐팩 속에 보관해 둠으로써, 세균 등에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음료수를 입 속 깊숙이 빨아들여 마심으로써, 충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By storing the straws in a hygienic plastic bag,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ection of bacteria and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avities, especially by drinking the drinking water deep into the mouth.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빨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straw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1)는 내부가 빈 형태의 긴 실린더의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straw 1 has a structure of an elongated cylinder having an inner shape.

이와 같은 빨대(1)는 초기에 직선(Straight)형이지만, 점차 다양하게 개발되어 길이 중간부가 잘 절곡될 수 있도록 벨로우즈 구조를 갖는 빨대가 있는가 하면, 빨대의 단부를 넓게 개방하여 개방된 부위로 음료 외에 고체상태의 음식물을 떠먹을 수 있게 개발된 것도 있다.Such a straw (1) is initially of a straight type, but it has been developed variously so that there is a straw having a bellows structure so that the middle portion of the length can be bended well, In addition to being developed to be able to eat solid food.

그러나 종래의 빨대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유아나 어린이 등이 사용시 부주의로 인해 빨대 끝부분에 얼굴, 눈, 입안, 목구멍 등이 찔릴 위험이 따를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인체에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straws are made of synthetic resins such as plastics and are formed as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infants and children are inadvertently at risk of stabbing the face, eyes, mouth, throat, There is a problem that harmfu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to the human body.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빨대'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straw"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빨대에는 음료수를 빨아 마시는 빨대로서, 음료수를 이송하는 빨대본체, 상기 빨대본체의 내부에 밀착 설치되는 중공의 개폐관, 상기 개폐관의 중공부 상측을 개폐하는 개폐볼, 상기 개폐볼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개폐관과 이격 설치되어 상기 개폐볼의 상측부를 지지하고 하측에 다수의 홈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개폐볼의 둘레면으로 흐르는 음료수를 상측으로 흐르게 하는 중공의 지지관으로 이루어진다.The straw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straw main body for sucking drinking water, a straw main body for conveying the beverage, a hollow open-close pipe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raw main body, A hollow support pipe spaced apart from the open-close pipe and spaced apart from the open-close ball to support an upper portion of the open-and-close ball and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to allow the beverage water flowing i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

하기 특허문헌 2에는 '3단 빨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 three-stage straw structure ".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3단 빨대 구조에는 꺽임 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보다 외경이 작고, 상기 제 1부재의 하부에 삽입되는 제 2부재, 상기 제 2부재보다 외경이 작고,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부재 하부에 삽입되는 제 3부재를 포함한다.A three-stage straw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has a first member formed with a foldable wrinkle portion, a second member smaller in outer diameter than the first member an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a third member which is formed in a lowered pointed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부재 사이에는 제 1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부재와 상기 제 3부재 사이에는 제 2연결부가 형성된다.A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member and the third member.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6819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6819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25352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5352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2698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6989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에게 보다 무해한 위생적인 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straw that can use sanitary straws that are harmless to infant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 어린이 등이 빨대의 끝부분에 찔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straw to prevent infants, children, etc. from being stuck at the end of the straw.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천공부; 상기 천공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입에 물었을 때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rigidity for piercing a container, and has a slanting end formed to be able to pierce the container. And a deformation part integrally formed from the perforation and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deformed freely when the material is bitten by the mouth.

상기 천공부에는 용기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eeth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drilling of the container can be smoothly performed.

상기 변형부는 상기 천공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의 일단에는 상기 천공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formed portion is formed to be detachable and engageable with the perforation, and one end of the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so as to be coupled to the perfo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빨대에 의하면, 천공부와 달리 변형부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천공부와 변형부가 분리, 결합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며, 천공부의 선단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에 보다 쉽게 꽂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formation part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unlike the perforation, it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and safely, and the perforation and deformation parts are separated and combine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container into th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입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천공부(10), 상기 천공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입에 물었을 때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변형부(20)를 포함한다.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rigidity for piercing a container and includes a perforation 10 having an inclined end for piercing the container, And a deformation portion 20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deformed freely when the mouth is bit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음료 용기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의 단부에 얼굴, 눈, 입안, 목구멍 등이 찔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연성(부드러운 재질)이면서, 빨대를 주로 사용하는 유아가 입게 물게 되더라도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져 유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빨대를 제공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straw is soft (soft material) so as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face, eyes, mouth, throat and the like are stuck to the end of the straw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made of a harmless material even if it is bitten, and it is provided with a straw which free movement is made so that the infant can move freely.

<제1 실시 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우유, 요구르트, 컵 등의 용기에 꽂히는 천공부(10)와 상기 천공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자유롭게 변형되는 변형부(2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ation 10 to be inserted into a container such as milk, yogurt, cup, etc., And deforms freely and deformed.

상기 천공부(1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우유팩, 요구르트, 음료 용기 등에 꽂을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즉, 천공부의 일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단한 경사면(11)이 형성된다.The perforation 10 has a hollow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one end thereof is sharpened so as to be inserted into a milk pack, yogurt, beverage container, or the like. That is, one end of the perfora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11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pointed.

아울러 천공부(10)는 우유팩 등의 용기에 꽂아질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즉, 천공부(10)는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erforation 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rigidity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 container such as a milk pack. That is, the perforation 10 is mad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or polystyrene having rigidity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pierced.

폴리프로필렌은 -(CH2-CHCH3)n-으로 되는 구조식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로써, 비중이 0.90으로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가벼운 부류에 속한다. 기계적 성형, 강성, 내반복 피로특성, 내약품성, 내유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 압축성형, 취입성형, 진공성형, 분말성형 및 연신 필름성형 등과 광범위한 가공법이 사용된다.Polypropylene is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tructural formula of - (CH 2 -CHCH 3 ) n -, and has a specific gravity of 0.90, which is the lightest among the plastics. Extensive processing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compression molding, blow molding, vacuum molding, powder molding and stretch film molding are used as the plastic with excellent mechanical formability, rigidity, repeated fatigue characteristics, chemical resistance and oil resistance.

또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함유량이 50% 이상의 에틸렌 중합물로써, 고압에서 중합 제조한 것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성형 가공이 용이하며, 내수성, 투명성이 좋고, 신장성이 우수하다.The polyethylene is an ethylene polymer having an ethylene content of 50% or more. The polymer produced at a high pressure is a low-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easy to be molded, has good water resistance, transparency and excellent extensibility.

또한 폴리스타이렌은 비점 145℃, 비중 0.9의 무색 투명한 액체이고 비점 이하의 온도에서 용이하게 열 중합을 한다. 이 단위체를 중합하는 방법에는 괴상중합법과 현탁중합법이 있다. Polystyrene is a colorless transparent liquid having a boiling point of 145 캜 and a specific gravity of 0.9 and easily thermally polymerizes at a temperature below the boiling point. There are two methods of polymerizing the monomer: bulk polymerizat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폴리스타이렌은 비중이 1.05의 경량으로 경질이고, 내수성,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무미, 무취의 열가소성이다. 폴리스타이렌은 가공하기가 매우 쉬워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압공성형의 적성이 좋고 또한 열 안정성도 좋다.Polystyrene is lightweight and lightweight with a specific gravity of 1.05,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cid resistance and alkali resistance, and is tasteless and odorless. Polystyrenes are very easy to process and are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extrusion molding, vacuum molding, and air-molding, and also have good thermal stability.

또한 결정성중합체가 아니기 때문에 성형품의 치수안정성도 좋고 경시 변화도 적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a crystalline polymer,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molded article is good and the change with time is small.

즉, 천공부(10)는 용기에 꽂을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에 용이하게 꽂을 수 있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That is, the perforation 10 may be made of any one of rigid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olystyren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end is sharpened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상기 천공부(10)의 타측에는 변형부(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변형부(20)는 천공부(1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side of the perforation (10), the deformation portion (20) is integrally formed. The deformed portion 20 has a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perforation 10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 freely deformed.

상기 변형부(20)는 입으로 물었을 때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변형부(20)의 위치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짐은 물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The deformation part 20 is deformed freely when it is bitten by the mouth, and is deformed free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formation part 20, and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즉, 변형부(20)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입술로 물었을 때 입술에 안정되게 물리도록 변형이 이루어지며, 용기에 꽂아진 상태에서 입술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변형부(20)가 원호상으로 만곡되게 변형된다.That is, the deformation part 20 is made of a soft silicone material and is deformed so as to be stably stuck on the lips when the user touches his or her lips. When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ips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ntainer, Is deformed to be curved on the arc.

한편 실리콘은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반응성이 거의 없고 생체 독성이 거의 없으며 물이나 산화나 열에도 강하고 좋은 절연체에 열전도도 낮은 성질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licon is chemically stable, has little reactivity, has little biotoxicity, is resistant to water, oxidation, and heat, and has a good insulator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또 종류에 따라 기름같은 실리콘 오일, 뻑뻑한 실리콘 구리스, 실란트 등으로 쓰는 반고체 실리콘, 말랑말랑한 실리콘 고무, 딱딱한 실리콘 수지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Depending on the type, it has various shapes such as silicone oil such as oil, semi-solid silicone used for stiff silicone grease, sealant, soft silicone rubber, and hard silicone resin.

실리콘의 화학적인 구조는 규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교대로 길게 옆으로 손을 잡고 있는 형상이고 손이 4개인 규소의 남은 손 두자리에 알킬기나 수소가 결합한 형태이다.The chemical structure of silicon is a shape in which silicon atoms and oxygen atoms are alternately long side-by-side, and an alkyl group or hydrogen is bonded to two of the remaining silicon atoms in the hand.

이렇게 마치 손에 손잡고 나란히 옆으로 길게 서있는 형상이니 고무처럼 잘 늘어나고 줄어드는 뛰어난 탄력성을 가지게 된다.This shape is like standing in a hand side by side in a hand, so it has an excellent resilience that stretches and shrinks like a rubber.

또한, 상기 변형부(20)는 연질의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 가능하며,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함유량이 50% 이상의 에틸렌 중합물로써, 고압에서 중합 제조한 것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성형 가공이 용이하며, 내수성, 투명성이 좋고, 신장성이 우수하다.The deformed portion 20 can be formed of a soft polyethylene material. The polyethylene is an ethylene polymeric material having an ethylene content of 50% or more. It is a low density polyethylene produced by polymerization at a high pressure. It is easy to mold and process, Good and excellent in extensibility.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connection relation of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며, 변형부(20)는 천공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1 and 2, the perforation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eformation portion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rforator 10.

상기 천공부(10)에는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하는데, 이는 용기에 용이하게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erforations 10 are formed with sharp ends so that they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아울러 천공부(10)는 용기에 꽂을 수 있는 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한다.In addition, the perforation 10 is formed of any one of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olystyrene having rigidity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상기 변형부(20)는 형태적인 변형이 쉬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천공부(2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한다.The deformed portion 20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which is easily deformed morphologically,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perforation 20.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천공부(10)를 잡고서 용기를 향해 힘을 가하여 투입하게 된다. 이때 천공부(11)의 경사면(11)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면(11)의 첨단이 용기를 뚫게 되고, 천공부(10)를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음에 따라 천공부(10) 및 변형부(20)가 용기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perforation 10 and applies force to the container.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urface 11 of the perforation 1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tip of the inclined surface 11 pierces the container. As the perforation 10 is pushed into the container, 10 and the deformed portion 20 enter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이와 같이 천공부(10) 및 변형부(20)가 용기 내부에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변형부(20)의 상단을 입으로 물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perforated part 10 and the deformed part 20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he upper end of the deformed part 20 is buried by the user.

상기 변형부(20)는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술에 물게 되면, 입술의 형상이나 모양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Since the deformable portion 20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hat is easy to deform, when the user is bitten by the lips, the deformation portion 20 is natur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lips.

이렇게 빨대를 입에 물고 있는 상태에서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빨아들여 섭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ile holding the straw in the mouth,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can be sucked in.

한편 변형부(20)는 사용자의 입술과 용기와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됨에 따라 변형부(20)가 원호상으로 자연스럽게 변형되어 빨대를 이용한 음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lips of the user and the container is narrowed or distanced, the deformation part 20 is naturally deformed in an arc shape to facilitate drinking with the straw.

<제2 실시 예>&Lt; Embodiment 2 >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used to refer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용기에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천공부(10)와 상기 천공부(10)로부터 연장되는 변형부(20)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천공부(10)와 변형부(20)는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3 and 4,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ation 10 formed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a container, a deformation portion 20 extending from the perforation 10, The perforations 10 and the deformable portions 20 are formed so as to be separable and engageable with each other.

상기 천공부(10)는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경사면(11)이 형성된다.The perforations (10)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11) so that one end is pointed.

아울러 변형부(20)는 천공부(1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변형부(20)는 천공부(10)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단턱(21)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21)에는 천공부(10)에 끼움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된다.The deformed portion 20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perforation 10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deformed portion 20 is formed with a step 21 at one end to be coupled to the perforation 10 and an engaging portion 22 extending to be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10 is formed at the step 21 .

즉, 결합부(22)의 외경은 천공부(1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결합부(22)와 천공부(10)는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된다.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22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perforation 10, and the engaging portion 22 and the perforation 10 are coupled in a forced fit manner.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변형부(20)의 결합부(22)를 천공부(10)에 끼워 결합하고, 천공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용기에 꽂게 된다.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gages the engaging portion 22 of the deformation portion 20 with the perforated portion 10 and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while holding the perforated portion 10.

상기 천공부(10)에는 경사면(11)에 의해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천공부(10)는 용기에 꽂아지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변형부(20)를 입에 물고서 흡입하게 됨에 따라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perforation 10 is formed with a pointed end by the inclined surface 11, the perforation 1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he user then sucks the deformable portion 20 into the mouth and sucks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as it is inhaled.

<제3 실시 예>&Lt; Third Embodiment >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술한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5,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separated and joine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천공부(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톱니(12)가 형성된다.The perforations 10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formed with teeth 12 which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t one end.

이러한 톱니(12)는 경사면(11)에 형성되어 용기에 꽂을 때 보다 손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eeth 12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1 so that they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when they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즉, 뾰족하게 형성된 다수의 톱니(12)는 각각의 톱니(12)가 용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용기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는 경사면(11)에 의한 천공보다 각각의 톱니(12)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용기에 보다 쉽게 꽂을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lurality of sharply-formed teeth 12 force the container in the state that the respective teeth 12 are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ainer is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teeth 12,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제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straw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빨대는 우유, 요구르트, 컵 등의 용기에 꽂히는 천공부(10)와 상기 천공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자유롭게 변형되는 변형부(20) 및 상기 천공부(10)와 상기 변형부(20) 사이에 형성되어 꺽임 가능한 주름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afety straw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ation 10 which is inserted into a container such as milk, yogurt, cup, etc., And a foldable portion 30 formed between the perforated portion 10 and the deformable portion 20 to be folded.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천공부 11: 경사면
12: 톱니
20: 변형부 21: 단턱
22: 결합부 30: 주름부
10: Slit 11: Slope
12: toothed
20: Deformation portion 21:
22: engaging portion 30:

Claims (3)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용기를 뚫을 수 있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천공부;
상기 천공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입으로 물었을 때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빨대.
A perforation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rigidity for piercing the container and having an end inclined so as to pierce the container;
And a deformation part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perforation and being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deformed freely when it is bitten by the mou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에는 용기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eth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uch that the perforation of the container is smoothly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천공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의 일단에는 상기 천공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ing portion is formed to be detachable and engageable with the perforation, and one end of the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so as to be coupled to the perforation.
KR2020170004156U 2017-08-04 2017-08-04 Safety straw KR2019000041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56U KR20190000416U (en) 2017-08-04 2017-08-04 Safety str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56U KR20190000416U (en) 2017-08-04 2017-08-04 Safety stra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16U true KR20190000416U (en) 2019-02-13

Family

ID=6536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156U KR20190000416U (en) 2017-08-04 2017-08-04 Safety stra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416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352Y1 (en) 2003-06-10 2003-09-03 매일유업주식회사 Three layered straw
KR200386819Y1 (en) 2005-03-17 2005-06-16 김병수 Straw
KR20170026989A (en) 2015-09-01 2017-03-09 강규진 sanitary stra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352Y1 (en) 2003-06-10 2003-09-03 매일유업주식회사 Three layered straw
KR200386819Y1 (en) 2005-03-17 2005-06-16 김병수 Straw
KR20170026989A (en) 2015-09-01 2017-03-09 강규진 sanitary stra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1662A1 (en) Apparatus for oral delivery of fluids and semi-solid foods
RU2450800C2 (en) Nonspill drinking device
US20040065635A1 (en) Anti-tipping container for liquids and semi-solid foods
CA2688951A1 (en) Bottle assembly
US9452109B2 (en) Food and liquid delivery system for pacifier—kids food serving solution in home and on the go by
CN104905629A (en) Infant trainer cup with straw lid
CN203815154U (en) Tableware
US20060006184A1 (en) Unitary sippy container
KR20190000416U (en) Safety straw
US9901517B2 (en) Feeding device and a feeding apparatus with such feeding device
CN107847060A (en) Hand-held device with directional guide handle
US20220306351A1 (e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Manufacturing Thermoformed Disposable Lid for a Drinking Cup with Integrated Straw Mouthpiece Portion and Multi-Level Punch
JP5713384B2 (en) Eating and drinking utensils
KR10114506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vity straw and gravity straw thereof
US20210322281A1 (en) Pacifier cover and teether
KR101511486B1 (en) Nursing Bottle Body and Nursing Bottle
US20210007522A1 (en) Surface suctioning receptacle for container
US11534370B2 (en) Drug-filled synthetic resin ampule and synthetic resin ampule body used for same
GB2434968A (en) Child feeding utensil with mouth guard
EP3932262A1 (en) Drop-proof and easy-to-detach double-layer bowl
CN202891447U (en) Fruit fork for child
KR20140005688U (en) baby spoon
CN214104078U (en) Full-biodegradable plastic straw
US2022008745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Feeding or Medicating Infants
CN201020041Y (en) Soup drinking equipment for i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0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7

Effective date: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