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36U -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 Google Patents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36U
KR20190000336U KR2020170003941U KR20170003941U KR20190000336U KR 20190000336 U KR20190000336 U KR 20190000336U KR 2020170003941 U KR2020170003941 U KR 2020170003941U KR 20170003941 U KR20170003941 U KR 20170003941U KR 20190000336 U KR20190000336 U KR 201900003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lider
knot
outle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철
Original Assignee
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철 filed Critical 박원철
Priority to KR2020170003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336U/en
Publication of KR20190000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3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프를 조여 톤백의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로프를 풀어 개방하는 톤백에서 로프가 조여진 상태에서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시 로프의 말단을 잡아당기면 쉽게 풀릴 수 있도록 한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로, 상기 로프(100)에는 튜브 형태의 슬라이더(110)가 끼워져 이 슬라이더(110)의 이동에 의해 톤백(1)의 배출구(10)를 조여서 폐쇄하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로프(100)의 말단부에는 말단 매듭(12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말단 매듭(120)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케이블 타이(130)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조여진 상태를 이루어 배출구(10)를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더(110)를 배출구 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로프를 1회 이상 둘러서 감아주고, 슬라이더(110)의 하측에서 1회 이상의 풀매듭(140)을 하여 슬라이더(110)의 상하의 유동을 방지한 후,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을 로프(100)의 후단부 측에 상기 케이블 타이(130)의 밴드(132)로 함께 감아 결속시킴으로써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neau outlet rope for tightening a rope to close the outlet of a tonne bag or to open a rope to prevent unintentional loosening of the rope in the tonneau and to easily loosen the rope when the end of the rope is pulled, A slider 110 in the form of a tube is inserted into the rope 100 so that the outlet 10 of the tonneau 1 can be tightened and closed or loosen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110. At the distal end of the rope 100, The end knot 120 is formed to prevent the slider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ble knot 120. The cable tie 130 is tight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ner position of the end knot 120 so that the discharge port 10 is closed The rope is wound around the slider 110 at least once or more from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110 while the slider 110 is slid toward the discharge port,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connected to the cable tie 130 at the rear end side of the rope 100 after the slider 110 is prevented from flowing up and down by one or more full knots 140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not loosened arbitrarily.

Figure P2020170003941
Figure P2020170003941

Description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본 고안은 로프를 조이거나 풀어 톤백의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톤백에서 로프가 조여진 상태에서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구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로프의 말단을 잡아당기면 쉽게 매듭이 풀릴 수 있도록 한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nneau outlet for tightening or loosening a rope to prevent unwinding of the rope in a tightened state when the rope is tightened or closed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tonne bag or opening the rope when the end of the rope is pull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for fastening.

일반적으로 곡물이나 화학원료 등을 벌크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톤백은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거나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는 개폐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톤백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는 특허문헌 1,2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하방으로 길게 내려올 수 있도록 된 내부 배출구와 방사상으로 벌어진 상태를 이루며 로프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외부 배출구의 이중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Generally, a ton bag used for carrying and storing a grain or a chemical raw material in a bulk stat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jection port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r is completely opened and an outlet port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As disclosed in the documents 1 and 2, are formed in an inner discharge port which can be downwardly extended downward, and a dual shape of an outer discharge port which is radially opened and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by a rope.

한편, 내부 배출구는 조임끈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외부 배출구는 톤백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하중을 받게 되는 부분이므로 로프를 조여서 결박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 외부 배출구의 개방도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어야 하는데, 특허문헌 1,2에 사용되고 있는 배출구용 로프에는 슬라이더를 끼워서 로프를 슬라이더의 상측 및 하측에서 매듭을 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로프가 톤백 내부의 내용물 하중에 의해 내측으로 압박이 되어 로프를 잡아당기더라도 긴밀하게 조여진 매듭이 쉽게 풀리지 않게 되고, 심한 경우 풀지 못한 매듭을 칼을 사용하여 절단하여야만 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Meanwhile, the inner discharge port can be easily released using a drawstring, but since the outer discharge port receives the load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tone bag, the rope should be tightened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bound condition, The rope is knott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so that the rope is fixed to the inner side due to the content load inside the tone bag. Even if the rope is pulled out under pressure, the tightly knotted knot can not be loosened easily, and the knot which can not be loosened can be cut using a knife.

한편, 슬라이더 외에 조임식 로프 스톱퍼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내용물의 압박에 의해 스톱퍼가 과도하게 끼인 상태가 됨으로써 당김 고리를 잡아당길 경우 오히려 당김 고리가 끊어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당김 고리에 끈을 연결하여 잡아당길 경우 끈이 끊어지게 되어 직접 손가락을 고리에 걸거나 붙잡고 당기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배출구가 급격하게 열리게 되면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작업자가 뒤집어쓰게 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신체가 상해를 입게 될 우려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lider, a tightening type rope stopper is also used. However, since the stopper is excessively caught by the pushing of the contents, when the pulling loop is pulled, the pulling loop is cut off. The string is cut off and the finger is directly hooked on the collar or pulled and pull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is suddenly opened and the discharged contents are turned over by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operator's body is injured There was also concern.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0479149호(2015.12.17.등록)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0479149 (Registered on December 17, 2015) 미국등록특허 제4,143,796호(1979.03.13.등록)U.S. Patent No. 4,143,796 (registered on March 13, 1979)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톤백 배출구의 로프가 조여진 상태에서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구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로프의 말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매듭이 조여진 상태가 풀리면서 개방이 이루어지며,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rope of a tonneau outlet by arbitrarily disengaging the rope, The knot is loosened, the knot is opened, and the knot is repeatedly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톤백 배출구를 조이기 위한 로프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는 튜브 형태의 슬라이더가 끼워져 이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배출구의 로프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로프의 말단부에는 말단 매듭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말단 매듭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케이블 타이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조여진 상태를 이루어 배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배출구 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로프를 1회 이상 감고 슬라이더의 하측에서 1회 이상의 풀매듭을 하여 슬라이더의 상하의 유동을 방지한 후, 풀매듭의 루프 부분을 로프의 후단부 측에 상기 케이블 타이로 함께 감아 결속시킴으로써 풀매듭의 루프 부분이 임의로 딸려나가지 않도록 하고, 로프의 후단부를 당겨주게 되면 풀매듭의 루프 부분이 케이블 타이에서 벗겨지면서 케이블 타이가 풀리게 됨과 동시에 풀매듭이 당겨져 풀리게 됨으로써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pe for tightening a tonneau outlet; A slider in the form of a tube is inserted into the rope so that the rope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a terminal knot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pe to prevent the slider from departing, The cable tie is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tie is positionally moved so that the slider is slid toward the discharge port in order to close the discharge port, the rope is wound one or more times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and one or more full knots are made on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The loop portion of the full knot is wound arou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pe together with the cable tie so as to prevent the loop portion of the full knot from coming out arbitrarily, and wh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pe is pulled, Is loosened from the cable tie Pulrige soon as the cable ties at the same time, the full knot being pulled pulrige provides tonbaek outlet tank delegation a rope so that the outlet can be opened.

본 고안에 의하면 배출구용 로프에 튜브 형태의 슬라이더와 케이블 타이만을 부가함으로써 배출구를 조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개방시에는 로프의 말단부를 잡아당겨주게 되면 케이블 타이로 결속되어 있던 풀매듭의 루프 부분이 풀리게 되면서 슬라이더가 하부로 슬라이드 되면서 배출구가 개방되게 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한 개방이 가능하며, 케이블 타이는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톤백의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discharge port is joined by adding only the slider and the cable tie to the discharge rope, and when the end of the rope is pulled out, The slider is slid downward and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n quickly and conveniently, and the cable tie can be used repeatedly because of its low cost and excellent durability,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로프가 구비된 톤백 배출구의 폐쇄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톤백 배출구의 로프를 당겨서 케이블 타이가 풀리고 1차 풀매듭의 루프 부분이 당겨지는 상태,
도 3은 1차 풀매듭이 풀리고 2차 풀매듭의 루프 부분이 당겨지는 상태,
도 4는 2차 풀매듭이 풀리고 슬라이더 상측의 둘러 감은 부분이 풀려 배출구가 개방되기 직전의 상태,
도 5는 배출구가 완전 개방된 상태도,
도 6은 배출구의 폐쇄를 위해 로프를 조이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로프의 매듭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변형례를 도시한 통백 배출구의 폐쇄상태도이다.
1 is a closed state view of a ton back outlet provided with a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pe of the tone bag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so that the cable tie is released and the loop portion of the first pull-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ll knot is loosened and the loop portion of the second pull knot is pulle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pull knot is loosene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slider is released,
5 i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ully opened,
6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of tightening a rope for closing an outlet,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knot portion of the rope in Fig. 1,
Fig. 8 is a closed state view of the through-bore outle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로프가 구비된 톤백 하부의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배출구가 완전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는 로프가 풀리는 과정이 단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 state where the outlet of the lower part of the tone bag with the rope is closed,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fully opened, and FIGS. Is shown step by step.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100)에는 튜브 형태의 슬라이더(110)가 끼워져 이 슬라이더(110)의 이동에 의해 톤백(1)의 배출구(10)를 조여서 폐쇄하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로프(100)의 말단부에는 말단 매듭(12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말단 매듭(120)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케이블 타이(130)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조여진 상태를 이루어 배출구(10)를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더(110)를 배출구 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상측에서 로프를 1회 이상 둘러서 감아주고, 슬라이더(110)의 하측에서 1회 이상의 풀매듭(140)을 하여 슬라이더(110)의 상하의 유동을 방지한 후,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을 로프(100)의 후단부 측에 상기 케이블 타이(130)로 함께 감아 결속시킴으로써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임의로 딸려나가지 않도록 하고, 로프(100)의 후단부를 당겨주게 되면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케이블 타이(130)에서 벗겨지면서 케이블 타이(130)가 풀리게 됨과 동시에 풀매듭(140)이 당겨져 풀리게 됨으로써 배출구(10)가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 to 5, a tube-shaped slider 110 is inserted into a rope 100 for tightening a ton backing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lider 110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110, And a terminal knot 120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pe 100 to prevent the slider 110 from separating from the terminal knot 120. A cable tie 12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ner position of the terminal knot 120, The slider 110 is wound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er 110 by one or more turns while the slider 110 is slid toward the discharge port in order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0 by closing the slider 130,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rope 100 after the slope 110 is prevented from flowing up and down by one or more full knots 140 at the lower side of the rope 100. [ Tie 130 together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pulled out of the cable tie 130 wh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pe 100 is pulled so that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not arbitrarily pulled, The cable tie 130 is released and the pull knot 140 is pulled and pull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10 can be opened.

도면 중 부호 12는 배출구 내측을 덮어주는 덮개이고, 부호 14는 내부 배출구이며, 부호 16은 내부 배출구를 조여주기 위한 조임끈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lid for covering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n internal discharge port, and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tightening string for tightening the internal discharge port.

본 실시 예에서는 톤백 하면의 배출구가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배출구 형태로 이루어진 톤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po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nneau has a double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tonneau having a single outlet shap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프(100)는 배출구(10)를 형성하는 분할편의 내측에 고리 형태로 삽입되어 로프(100)를 조이게 되면 복수의 분할편이 오므라지면서 배출구가 폐쇄되고, 로프(100)를 느슨하게 해주면 복수의 분할편이 벌어지면서 배출구가 개방되는 것으로, 톤백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로프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pe 100 is inserted in the form of a ring on the inner side of the partition member forming the discharge port 10, and when the rope 100 is tightened, the discharge port is closed while a plurality of split pieces are broken, If it is loosened, a plurality of split pieces are opened to open the discharge port, and it is a known technique to use the rope to open and close the tone-bag discharge por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로프(100)는 나일론사나 폴리프로필렌사 또는 천연섬유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로프의 재질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기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섬유소재로 제조한 로프가 적합하다.The rope 100 is made of nylon yarn, polypropylene yarn, natural fiber yarn or the like. The material of the ro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a rope made of a synthetic fiber material having a smooth surface is suitab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110)는 충격에 잘 깨지지 않으며 로프와의 마찰이 적은 플라스틱(합성수지) 이나 금속 파이프를 3~5cm정도의 길이로 절단한 것인데, 이의 내경은 로프의 굵기를 감안하여 2줄의 로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별다른 저항없이 슬라이드 가능한 규격이면 적정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lider 110 is made of a plastic (synthetic resin) or a metal pipe which is not easily broken by impact and has little friction with the rope and is cut to a length of about 3 to 5 cm. It is appropriate if a standard that can slide without any resistance with two ropes inser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프(100)의 말단 매듭(120)은 로프 자체가 톤백의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 끝을 결속하는 기능과 상기 로프(100) 내부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더(110)가 로프(10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하며,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로프를 당겨줄 때 손으로 붙잡기 위한 마디(매듭)로 사용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nd knot 120 of the rope 100 has a function of binding both ends so as to prevent the rope itself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let of the tone bag, and a function of positioning the rope 100 And also serves as a knot for holding the slider 110 by hand when pulling the rope to open the discharge por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상측에서 로프를 1회 이상 둘러서 감아주는 부분(150)은 슬라이더(110)가 상측으로 더이상 조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마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슬라이더(110)의 하측에서 1회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풀매듭(140)은 슬라이더(110)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마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배출구(1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ortion 150 that winds the rope at least once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er 110 serves as a node for fixing the slider 110 so that it is not further tightened upward, The pull-on knot 140, which is formed at one or more times below the slider 110, serves as a node for preventing the slider 110 from moving downward, thereby maintaining the discharge port 10 in a closed stat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최후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은 길게 당긴 상태에서 로프(100)의 후단부 측에 상기 케이블 타이(130)로 함께 감아 결속시킴으로써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임의로 딸려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출구(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임의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loop portion 142 of the last full knot 140 is looped and bound together with the cable tie 130 at the rear end side of the rope 100 in a long pulled st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charge port 10 from being disengaged arbitrarily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0 is closed.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구 조임용 로프를 조여서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태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outlet fitting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lose the outle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0)를 폐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6, the process of closing the outlet 10 is as follows.

1) 도 6 (a) 및 (b)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10)를 배출구(10) 쪽으로 슬라이드시켜 배출구(10)를 좁게 조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상측에서 로프를 1회 이상(바람직하게는 3바퀴) 둘러서 감아줌으로써 둘러서 감은 부분(150)을 형성한다.1)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slider 110 is slid toward the discharge port 10, so that the rope is moved one or more times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er 110 3 turns) to form a wrap-around portion 150.

2) 다음으로, 도 6의 (c) 및 (d)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10)의 하측에서 1회 이상의 풀매듭(140)을 하여 슬라이더(110)의 상하의 유동을 방지한다.2) Next, as shown in FIGS. 6 (c) and 6 (d), the slider 110 is prevented from flowing up and down by one or more pull knots 140 under the slider 110.

3) 마지막으로, 도 6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을 로프(100)의 후단부 측에 상기 케이블 타이(130)로 함께 감아 결속시킴으로써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임의로 딸려나가지 않도록 하면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S. 6 (e) and 6 (f), the loop portion 142 of the final pull knot 140 is joined together with the cable tie 130 to the rear end side of the rope 100 So that the loop portion 142 of the full knot 140 does not come out arbitrarily.

도 7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로프(100)의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of the rope 100 shown in Figs. 1 and 6. Fig.

본 실시 예에서, 케이블 타이(130)는 밴드(132)가 헤드(134)에 삽입되어 조여진 상태로 로프(100)의 말단부에서 소정 위치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헤드(134)를 통과한 밴드(132) 부분이 길게 늘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이 길게 늘어진 밴드(132) 부분을 사용하여 로프(100)의 말단부분에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을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 로프 6줄을 동시에 3회정도 감은 후, 밴드(132)의 끝부분을 첫번째 고리(감긴부분)부분에 끼워서 감겨진 밴드(132)가 풀리지 않도록 하고, 배출구(10)를 개방하기 위해 로프(100)를 당기게 되면 3회정도 감긴 부분이 자체의 탄성에 의해 풀려버리면서 케이블 타이(1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자체 풀매듭에서 연쇄적으로 빠져나오게 되면서 풀매듭이 스르르 풀리게 됨으로써 톤백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의 압력(하중)에 의해 배출구가 벌어져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ble tie 13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end of the rope 100 in a state where the band 132 is inserted into the head 134 and tightened, The loop portion 142 of the loop knot 14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end portion of the rope 100 by using the long looped band portion 132 The end of the band 1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ring portion (wound portion) so that the wound band 132 is not loosened and the rope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which has been fixed by the cable tie 130 is pulled out successively from the self-pulling knot, As a result, the pull-knot is loosened, The outlet beoleojyeo is presented contents are discharged by the pressure (load) of the binary contents.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타이(130)는 로프(100)의 말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여져 있지만 로프(100)를 풀매듭하는 과정에서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 길이에 따라서 상기 케이블 타이(130)의 고정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정한 힘으로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able tie 130 is faste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tal end of the rope 100. However, in the course of pulling the rope 100,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ightened state with a proper force so as to move the fixing position of the cable tie 130 along the length of the cable tie 142.

도 8은 본 고안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첫번째 실시 예에서 슬라이더(110)의 상측에서 둘러서 감은 부분(150)을 슬라이더(110)의 하측에 형성한 점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데, 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더의 상측은 배출구를 좁게 조인 상태이므로 슬라이더가 상측으로 상승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둘러서 감은 부분(150)을 슬라이더(110)의 상측이 아닌 하측에 형성하여 슬라이더(110)가 하측으로 밀려내려오는 것(배출구가 벌어지려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8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at a portion 150, which is wound around the slider 110 from the upper side thereof,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110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upper side of the slider is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narrowly joined, the slider is not raised upward, so that the part 150 to be wound aroun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110, not on the upper 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discharge port 110 from being pushed downward (a phenomen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출구 조임용 로프는 튜브 형태의 슬라이더와 케이블 타이만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개방시에는 로프의 말단부를 잡아당겨주게 되면 케이블 타이로 결속되어 있던 풀매듭의 루프 부분이 풀리게 되면서 배출구가 개방되게 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한 개방이 가능하며, 케이블 타이는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fitting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discharge port by only attaching the tube-type slider and the cable tie, and when the rope is pulled up, The loop portion of the full knot that has been tied to the tie is loosened and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n quickly and conveniently, and the cable ti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used repeatedly because it is inexpensive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1 : 톤백
10 : 배출구
100 : 로프
110 : 슬라이더
120 : 말단 매듭
130 : 케이블 타이
132 : 밴드
134 : 헤드
140 : 풀매듭
142 : 루프 부분
150 : 둘러서 감은 부분
1: ton back
10: Outlet
100: rope
110: Slider
120: End knot
130: Cable tie
132: Band
134: Head
140: Full knot
142: loop portion
150: wrapped part

Claims (1)

톤백 배출구를 조이기 위한 로프에 있어서;
상기 로프(100)에는 튜브 형태의 슬라이더(110)가 끼워져 이 슬라이더(110)의 이동에 의해 톤백(1)의 배출구(10)를 조여서 폐쇄하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로프(100)의 말단부에는 말단 매듭(12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말단 매듭(120)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케이블 타이(130)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조여진 상태를 이루어 상기 배출구(10)를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더(110)를 배출구(10) 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로프(100)를 1회 이상 둘러서 감아주고, 슬라이더(110)의 하측에서 로프(100)를 1회 이상의 풀매듭(140)을 하여 슬라이더(110)의 상하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을 로프(100)의 후단부 측에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 로프 6줄을 동시에 상기 케이블 타이(130)의 밴드(132)로 함께 감아서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임의로 딸려나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로프(100)의 후단부를 당겨주게 되면 풀매듭(140)의 루프 부분(142)이 케이블 타이(130)에서 벗겨지면서 케이블 타이(130)가 풀리게 됨과 동시에 풀매듭(140)이 당겨져 풀리게 됨으로써 배출구(10)가 개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배출구 조임용 로프.
A rope for tightening a tonneau outlet;
A slider 110 in the form of a tube is inserted into the rope 100 so that the outlet 10 of the tonneau 1 can be tightened and closed or loosen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110. At the distal end of the rope 100, The terminal knot 120 is formed to prevent the slider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knot 120 and the cable tie 13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ner position of the terminal knot 120 so that the outlet 10 The rope 100 is wrapped around the slider 110 at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110 while the slider 110 is slid toward the discharge port 10 to close the rope 100,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arrang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ope 100.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pe 100, 6 lines of the cable tie 130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is pulled by the cable 132 so that the loop portion 142 of the pull knot 140 does not come out arbitrarily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pe 100 is pulled. The tie 130 is peeled off and the cable tie 130 is released and the pull knot 140 is pulled and pulled so that the outlet 10 can be opened.
KR2020170003941U 2017-07-27 2017-07-27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KR2019000033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41U KR20190000336U (en) 2017-07-27 2017-07-27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41U KR20190000336U (en) 2017-07-27 2017-07-27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36U true KR20190000336U (en) 2019-02-11

Family

ID=6536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41U KR20190000336U (en) 2017-07-27 2017-07-27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336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796A (en) 1977-07-07 1979-03-13 Super Sack Manufacturing Corporatio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KR200479149Y1 (en) 2014-06-16 2015-12-24 서정욱 Dual ton bag having inside vinyl sk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796A (en) 1977-07-07 1979-03-13 Super Sack Manufacturing Corporatio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KR200479149Y1 (en) 2014-06-16 2015-12-24 서정욱 Dual ton bag having inside vinyl sk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6922A1 (en) Hay Net
US20120060278A1 (en) Rope and Fastener Assembly
US5484207A (en) Discharge outlet for a bulk bag utilizing a side entry release
KR200489933Y1 (en) A Rope stopper for open and close bulkbag outlet
WO2010043912A1 (en) Hay net and method of filling a hay net
KR101834381B1 (en) One easy bundle of loose fruit and that fruit and bands stack of envelopes stack of envelopes devices
US492071A (en) Bag-fastener
KR20190000336U (en) A Rope for tightening bulkbag spout
US200601151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open decoy bags
US64602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a knot
US10364097B2 (en) Trash bag securing system
US20150321840A1 (en) Attachment Device
KR102242856B1 (en) A Rope stopper for open and close bulkbag outlet
KR102649842B1 (en) flexible container
US5735234A (en) Extensible tether apparatus and method
JP2886143B2 (en) Tightening cord adjuster for flexible container bag outl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00018055A (en) Fruit envelope
US20050167456A1 (en) Protection arrangement for a big bag outlet spout
AU772051B2 (en) Pigtail fastener
US20190127938A1 (en) Compaction rope storage and disbursement system for compactable containment boom
CN112537572A (en) Garbage bag grouping method
KR200290010Y1 (en) Mesh bag for putting watermelon in
AU2013101052A4 (en) Knot Tying Jig
US20100096387A1 (en) Container closure
JP2977485B2 (en) Large bag opening and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