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48A - 푸쉬형 칫솔 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형 칫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48A
KR20190000248A KR1020170079351A KR20170079351A KR20190000248A KR 20190000248 A KR20190000248 A KR 20190000248A KR 1020170079351 A KR1020170079351 A KR 1020170079351A KR 20170079351 A KR20170079351 A KR 20170079351A KR 20190000248 A KR20190000248 A KR 2019000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istles
axis
push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677B1 (ko
Inventor
이정화
허경용
최훈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로부터 연장된 넥부; 및 칫솔모를 구비하고 상기 칫솔모가 사용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되도록 왕복 운동하며 상기 넥부에 연결된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쉬형 칫솔 장치{PUSH TYPE TOOTHBRUSH DEVICE}
본 발명은 칫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면 칫솔질 외에도 치간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칫솔모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푸쉬형 칫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치아 관리법은 칫솔을 사용하는 양치질이다. 칫솔은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에 치약을 묻혀 치아의 치면과 함께 치간을 깨끗하게 양치하는 수단이다.
일반 칫솔은 치아의 외측 표면과 교합면을 청결히 닦아줄 수 있지만 치간 사이를 세척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최근 전동칫솔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고, 그 작동방법도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왕복운동, 좌우운동, 1/4회전형 등 다양한 칫솔모의 운동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최근의 추세는 진동모터 및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후 혹은 좌우 진동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그 작동범위가 좁아 실제로 치석제거나 치간의 이물질 제거에 효율적이지 못해 전동칫솔 사용 후 치실이나 워터픽 등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KR 10-0931012 B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으로 권장되는 방법으로 치간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로부터 연장된 넥부; 및 칫솔모를 구비하고 상기 칫솔모가 사용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되도록 왕복 운동하며 상기 넥부에 연결된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의 푸쉬형 칫솔 장치의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넥부의 길이 방향의 제1 축과 수직한 제2 축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브러쉬부는 전진 운동 시 상기 제2 축 상에서 곡선을 그리며 전진 운동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넥부로부터 제1 길이로 전진운동 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제1 길이로 전진운동 후 제2 길이로 전진운동하며 상기 제1 길이로 전진 운동 시 상기 제2 축과의 수직 거리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 운동하고, 상기 제2 길이로 전진 운동 시 상기 제2 축과의 수직 거리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 운동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핸들부에 설치된 메인콘트롤러; 상기 메인콘트롤러의 제어하여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브러쉬부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메인구동계; 및 상기 메인구동계와 연결되고 상기 넥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브러쉬부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칫솔모의 적어도 일부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고, 상기 브러쉬부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브러쉬부를 상기 넥부에 연결시키는 브러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브러쉬부는, 제1 내지 제3 칫솔모; 상기 제1 칫솔모가 관통하는 제1 홀과 상기 제2 칫솔모가 관통하는 제2 홀이 형성된 칫솔모가이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축상에 왕복 운동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브러쉬부가 미세 진동이 아닌 전 후 왕복 운동함으로써 치간 사이에 칫솔모가 자동으로 삽입될 수 있어 간편하게 치간 칫솔질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브러쉬부가 소정의 곡선을 그리며 전 후 왕복 운동하도록 하여 치아와 잇몸의 경계면에서부터 치아의 교합면 부위를 향하여 칫솔모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올바른 치간 칫솔질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는 칫솔모 중 일부 칫솔모, 예를 들어 한 줄의 칫솔모를 전방으로 전진 시킴으로써 치간 칫솔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브러쉬부의 이동에 따른 치간 칫솔질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푸쉬형 칫솔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메인구동계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우측 도면은 제1 칫솔모가 상승한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서로 결합한 브러쉬부와 브러쉬제어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의 우측 도면은 제1 칫솔모가 상승한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예로써 칫솔모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브러쉬부의 이동에 따른 치간 칫솔질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10)는 핸들부(100), 넥부(300) 그리고 브러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00)는 가상의 제1 축(21)을 따라 연장되고 사람이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핸들부(100)는 한 손에 잡힐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골조를 이루게 된다. 도면 상으로 핸들부(10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파지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넥부(300)는 핸들부(100)의 제1 축(21)을 따라 핸들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넥부(300)는 핸들부(100)의 제1 축(21)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핸들부(100)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넥부(300)는 핸들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핸들부(100)와 서로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500)는 넥부(300)의 끝 단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브러쉬부(500)는 넥부(300)로부터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러쉬부(500)를 제1 축(21)과 수직한 가상의 제2 축(22)과 평행한 방향 브러쉬부(500)를 움직여 넥부(300)에 장착하거나 넥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쉬부(500)는 넥부(300)로부터 제2 축(22)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의 왕복 운동은 브러쉬부(500)가 제2 축(22)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브러쉬부(500)가 제2 축(22)을 따라 일 예로 타원형, 원형 또는 소정의 곡선을 그리면서 전체적으로 제2 축(22)을 따라 이동하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세하게는, 브러쉬부(500)는 넥부(300)로부터 제2 축(22)을 따라 전방 및 하방을 향해 소정의 곡선을 그리면서 치아(31)와 잇몸(33)의 경계영역을 향해 전진하고, 브러쉬부(500)의 칫솔모가 치간사이(32)에 삽입되면서 전진 및 상방을 향해 소정의 곡선을 그리면서 치아(31)의 교합면을 향해 전진하고, 다시 전진 시의 곡선 운동에 대응하여 후진하며 되돌아 오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부(500)는 왕복 운동할 때 브러쉬부(500)에 설치된 칫솔모가 치간 사이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핸들부(100)에는 입력부(101)와 출력부(102)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버튼 및/또는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핸들부(100)의 모션 인식이나 사용자의 음성 인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가 명령 신호를 입력하면 미리 정해진 실시예는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명령 신호는 브러쉬부(500)의 왕복 운동 구동 개시와 구동 정지 그리고 후술할 칫솔모 위치 조절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사용자 명령 신호,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구동 상태, 현재 구동 모드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광원 장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푸쉬형 칫솔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메인구동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푸쉬형 칫솔 장치(10)는 메인콘트롤러(110), 모터부(120) 그리고 메인구동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 메인콘트롤러(110) 및 모터부(120)는 핸들부(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메인구동계(130)는 핸들부(100)와 넥부(300)에 걸쳐 이들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들의 위치 관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사이즈나 실시예의 전체적인 형상과 사이즈 메인구동계(130)의 구동원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메인콘트롤러(110)는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부(120)는 메인구동계(130)를 구동하여 브러쉬부(500)가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구동계(130)는 복수의 기어와 북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연결부(139)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부(120)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브러쉬부(500)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39)는 넥부(300)로부터 인출되어 브러쉬부(500)와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139)의 왕복운동에 따라 브러쉬부(500)가 왕복운동할 수 있다.
또한, 메인구동계(130)는 예를 들어 제1 축(21) 기어(131), 크랭크(132), 섹터기어(133) 결합유지기어(134) 그리고 랙기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21) 기어(131)는 일 측이 모터부(120)에 연결되고 타 측이 크랭크(132)에 연결되고 제1 축(21)을 따라 배치되며 모터부(120)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 제자리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크랭크(132)는 일 측은 제1 축(21) 기어(131)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랙기어(135)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축(21) 기어(131)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제1 축(21)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고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섹터기어(133)는 랙기어(135)와 맞물려 제2 축(22)을 따라 소정의 호의 길이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 즉 편심 축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유지기어(134)는 섹터기어(133)와 랙기어(135)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랙기어(135)는 제2 축(22)을 따라 왕복운동 하되 전방으로 진행할 때는 제2 축(22)과의 수직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전환하는 경로에서는 제2 축(22)과 빠르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후 후방으로 진행할 때는 제2 축(22)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물방울 형상을 그리면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9)는 랙기어(135)의 끝 단에 연결되어 랙기어(135)의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넥부(3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브러쉬부(50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따른 메인 구동계는 일 예인 것이고, 다양한 기어들로 메인 구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부(500)는 칫솔모(510)와 칫솔모가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에는 칫솔모(510)가 설치될 수 있고, 후면에는 연결부(139)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단면도이며, 도 7의 우측 도면은 제1 칫솔모가 상승한 일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서로 결합한 브러쉬부와 브러쉬제어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의 우측 도면은 제1 칫솔모가 상승한 일 예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일 예로써 칫솔모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칫솔 장치(10)는 핸들부(100), 넥부(300), 브러쉬부(500) 그리고 브러쉬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500)는 칫솔모(510)와 칫솔모가이드부(520) 그리고 이송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모(510)는 제1 칫솔모(511), 제2 칫솔모(512) 및 제3 칫솔모(513)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모가이드부(520)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측벽(529)과 후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지지부(5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은 제1 내지 제3 영역(521, 522, 523)을 포함하고, 제1 영역(521)에는 제1 칫솔모(511)가 설치되는 영역으로써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의 일 측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영역(522)은 제1 영역(521)과 이격되고 제2 칫솔모(512)가 설치되며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의 타 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3 영역(523)은 제3 칫솔모(513)가 설치되고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의 영역 중 제1 영역(521)과 제2 영역(523)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송장치(530)는 제1 이송부(531) 및 제2 이송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28)는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 중앙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후면의 영역 중 제3 영역(523)과 마주하는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531)는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 중앙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후면의 영역 중 제1 영역(521)과 마주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측벽(529)과 지지부(528)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532)는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 중앙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후면의 영역 중 제2 영역(522)과 마주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측벽(529)과 지지부(528)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송부(531, 532)는 측벽(529)과 지지부(528) 사이에서 칫솔모가이드부(52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이송부(531)의 전면과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 사이에는 탄성체(533)가 설치될 수 있고,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2 이송부(532)의 전면과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 사이에는 탄성체(533)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533)는 제1 및 제2 이송부(531, 532)가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전방으로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물리적인 힘의 전달이 중단되면 제1 및 제2 이송부(531, 532)가 뒤로 밀려나 원 위치가 되도록 한다.
제1 영역(521)에는 복수의 제1 홀(5211)이 형성되고 제1 칫솔모(511)는 제1 홀(5211)에 삽입되어 제1 이송부(531)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2 영역(522)에는 복수의 제2 홀(5222)이 형성되며 제2 칫솔모(512)는 제2 홀(5211)에 삽입되어 제2 이송부(53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5211)은 서로 이격되어 제1 영역(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홀(5222)은 서로 이격되어 제2 영역(5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홀(5211)이 제1 영역(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로 형성된 경우 제1 영역(521)에는 1줄 모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홀(5211)이 제1 영역(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줄로 형성된 경우 제1 영역(521)에는 2줄 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5222)이 제2 영역(5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로 형성된 경우 제2 영역(522)에는 1줄 모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홀(5222)이 제2 영역(5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줄로 형성된 경우 제2 영역(522)에는 2줄 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칫솔모(511, 512)의 일부 영역은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되고 나머지 영역은 칫솔모가이드부(520)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되며, 제1 및 제2 이송부(531, 532)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된 제1 및 제2 칫솔모(511, 512)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된 제1 및 제2 칫솔모(511, 512)의 길이가 증가하면, 인출된 길이는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된 제3 칫솔모(513)의 길이보다 길고,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된 제1 및 제2 칫솔모(511, 512)의 길이가 감소하면, 인출된 길이는 칫솔모가이드부(52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된 제3 칫솔모(513)의 길이와 같거나 거의 비슷할 수 있다.
브러쉬제어부(700)는 넥결합부(710)와 제1 및 제2 칫솔모위치제어부(720, 730) 그리고 칫솔모위치콘트롤러(740)를 포함할 수 있다.
넥결합부(710)는 전면 방향에서 브러쉬부(500)와 체결되고, 후면 방향에서 넥부(300)와 체결된다.
제1 칫솔모위치제어부(720)는 넥결합부(710)의 전면의 영역 중 제1 이송부(531)와 마주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칫솔모위치제어부(730)는 넥결합부(710)의 전면의 영역 중 제2 이송부(532)와 마주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칫솔모위치콘트롤러(740)는 와 제1 및 제2 칫솔모위치제어부(720, 73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칫솔모위치제어부(720, 730)를 콘트롤 할 수 있다.
제1 칫솔모위치제어부(720)는 제1 플레이트(721)와 제1 플레이트구동부(722)를 포함하고, 제2 칫솔모위치제어부(730)는 제2 플레이트(731)와 제2 플레이트구동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721)는 제1 플레이트구동부(722)의 제어 하에 제2 축(22)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721)가 전진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721)와 맞닿는 제1 이송부(531)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1 이송부(531)는 제2 축(22)을 따라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731)는 제2 플레이트구동부(732)의 제어 하에 제2 축(22)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731)가 전진함에 따라 제2 플레이트(731)와 맞닿는 제2 이송부(532)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2 이송부(532)는 제2 축(22)을 따라 전진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구동부(731, 732) 각각은 모터를 구비할 수 있고, 구비한 모터는 칫솔모위치콘트롤러(740)의 제어 하에 구동할 수 있다.
칫솔모위치콘트롤러(740)는 브러쉬제어부통신부(741) 및 브러쉬제어부프로세서(742)를 포함할 수 있고, 브러쉬제어부프로세서(742)가 브러쉬제어부통신부(741)를 통해 메인콘트롤러(110)로부터 제1 칫솔모(511)와 제2 칫솔모(512)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제1 플레이트구동부(731)와 제2 플레이트구동부(73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푸쉬형 칫솔 장치(10)는 핸들부(100), 브러쉬제어부(700) 내의 전자장치나 모터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선으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푸쉬형 칫솔 장치(10), 제1 축(21), 제2 축(22)
치아(31), 치간사이(32), 잇몸(33)
핸들부(100), 입력부(101), 출력부(102)
메인콘트롤러(110), 모터부(120), 메인구동계(130)
제1 축 기어(131), 크랭크(132), 섹터기어(133)
결합유지기어(134), 랙기어(135), 연결부(139)
넥부(300), 브러쉬부(500)
칫솔모(510), 제1 칫솔모(511), 제2 칫솔모(512), 제3 칫솔모(513)
칫솔모가이드부(520), 제1 영역(521), 제1 홀(5211)
제2 영역(522), 제2 홀(5222), 제3 영역(523)
지지부(528), 측벽(529)
이송장치(530), 제1 이송부(531), 제2 이송부(532)
탄성체(533), 브러쉬제어부(700), 넥결합부(710)
제1 칫솔모위치제어부(720), 제1 플레이트(721)
제1 플레이트구동부(722), 제2 칫솔모위치제어부(730)
제2 플레이트(731), 제2 플레이트구동부(732)
칫솔모위치콘트롤러(740), 브러쉬제어부통신부(741)
브러쉬제어부프로세서(742)

Claims (8)

  1. 핸들부;
    상기 핸들부로부터 연장된 넥부; 및
    칫솔모를 구비하고 상기 칫솔모가 사용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되도록 왕복 운동하며 상기 넥부에 연결된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넥부의 길이 방향의 제1 축과 수직한 제2 축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전진 운동 시 상기 제2 축 상에서 곡선을 그리며 전진 운동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넥부로부터 제1 길이로 전진운동 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제1 길이로 전진운동 후 제2 길이로 전진운동하며
    상기 제1 길이로 전진 운동 시 상기 제2 축과의 수직 거리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 운동하고, 상기 제2 길이로 전진 운동 시 상기 제2 축과의 수직 거리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 운동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설치된 메인콘트롤러;
    상기 메인콘트롤러의 제어하여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브러쉬부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메인구동계; 및
    상기 메인구동계와 연결되고 상기 넥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브러쉬부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의 적어도 일부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고, 상기 브러쉬부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브러쉬부를 상기 넥부에 연결시키는 브러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제1 내지 제3 칫솔모;
    상기 제1 칫솔모가 관통하는 제1 홀과 상기 제2 칫솔모가 관통하는 제2 홀이 형성된 칫솔모가이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축상에 왕복 운동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8. 핸들부;
    상기 핸들부로부터 연장된 넥부; 및
    칫솔모를 구비하고 상기 칫솔모가 사용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곡선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넥부에 연결된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푸쉬형 칫솔 장치.
KR1020170079351A 2017-06-22 2017-06-22 푸쉬형 칫솔 장치 KR10201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51A KR102011677B1 (ko) 2017-06-22 2017-06-22 푸쉬형 칫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51A KR102011677B1 (ko) 2017-06-22 2017-06-22 푸쉬형 칫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48A true KR20190000248A (ko) 2019-01-02
KR102011677B1 KR102011677B1 (ko) 2019-10-21

Family

ID=6502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51A KR102011677B1 (ko) 2017-06-22 2017-06-22 푸쉬형 칫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917A (ja) * 1992-01-28 1993-08-10 Hideo Teruuchi 電動歯ブラシ
US5974615A (en) * 1996-07-10 1999-11-02 Braun Aktiengesellschaft Rotary electric toothbrush with stroke-type bristle movement
KR100677660B1 (ko) * 2001-11-06 2007-02-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 운동 칫솔
KR100931012B1 (ko) 2009-07-09 2009-12-10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전후 운동 및 좌우진동의 복합운동이 가능한 전동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917A (ja) * 1992-01-28 1993-08-10 Hideo Teruuchi 電動歯ブラシ
US5974615A (en) * 1996-07-10 1999-11-02 Braun Aktiengesellschaft Rotary electric toothbrush with stroke-type bristle movement
KR100677660B1 (ko) * 2001-11-06 2007-02-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 운동 칫솔
KR100931012B1 (ko) 2009-07-09 2009-12-10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전후 운동 및 좌우진동의 복합운동이 가능한 전동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77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3415B (zh) 牙齿卫生器具
EP0688518B1 (en) Tooth-brushing machine
CN1154650A (zh) 具有两个转动刷系统的牙刷
KR101384656B1 (ko) 전동칫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152604B1 (ja) 複数の可動ブラシ束を個別に運動させる電動歯ブラシ。
JP2646426B2 (ja) 電動歯ブラシ
JPH05146313A (ja) 電動歯ブラシ器の歯ブラシ
JP2006520218A (ja) 歯ブラシ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92857B1 (ko) 치관 및 잇몸 세정용 전동칫솔
EP3257471A1 (en) Electric toothbrush and vertical-brushing-type electric toothbrush
WO2017094004A1 (en) Self-propelled dental device
CN104665949A (zh) 摆动式电动牙刷
CN104039264A (zh) 牙齿保健用品
KR20190000248A (ko) 푸쉬형 칫솔 장치
KR200464635Y1 (ko) 전동 칫솔
EP2853230B1 (en) Oral hygiene implement and oral hygiene device comprising an oral hygiene implement
KR101586283B1 (ko) 잇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전동칫솔
KR100843694B1 (ko) 전동 칫솔
JP2663213B2 (ja) 歯磨き器
KR100697940B1 (ko) 전동칫솔
US20190117355A1 (en) Mouth-containing toothbrush
KR200394926Y1 (ko) 전동칫솔
JP6675733B2 (ja) 口腔ケア装置
KR102431338B1 (ko) 전동 칫솔
KR100486971B1 (ko) 칫솔의 브러시 회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