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71U -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71U
KR20190000171U KR2020170003579U KR20170003579U KR20190000171U KR 20190000171 U KR20190000171 U KR 20190000171U KR 2020170003579 U KR2020170003579 U KR 2020170003579U KR 20170003579 U KR20170003579 U KR 20170003579U KR 20190000171 U KR20190000171 U KR 20190000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astening
fastening device
abutme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0420Y1 (en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riority to KR2020170003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20Y1/en
Publication of KR20190000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7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2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결합된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될 때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 및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astening devic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n the engaged stat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engaged, A fixing unit for generating a frictional force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is locat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an engag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fixing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by at least one project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from being loosened.

Description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device having an anti-loosening structure and a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fastening device.

본 고안은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체결할 때 쓰이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고, 체결 후 분리가 용이한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ing device used for fastening a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To an engaging device having an unlocking structure.

종래에는, 별도의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체결할 때 강한 결합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로 이를 결합하였고, 간단하게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결합할 때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여왔다. 이와 같은 볼트나 나사를 이용할 경우, 제1체결부재나 제2체결부재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이를 따라 볼트나 나사를 결합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Conventionally, when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are required to be tightly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bolt and a nut when a strong coupling force is required, and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simply combined, . When such a bolt or a screw is used, it is well known that a thread is provid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o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nd the bolt or the screw is screwed thereto.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에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킬 때 강한 결합력이 필요하여 볼트나 나사와 같은 스크류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dental implant surgery, a screw member such as a bolt or a screw is used because a strong coupling force is required when combining a fixture and an abut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F), 픽스츄어(F)에 결합되어 연결부위를 이루는 어버트먼트(A)와 어버트먼트(A)에 고정되어 인공치아의 헤드를 이루는 크라운(T)으로 구성된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includes a fixture F fixed to an alveolar bone, a fixture F fixed to the fixture F, And a crown (T) fixed to the abutment (A) and forming the head of the artificial tooth.

픽스츄어(F)는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되어 힐링기간을 거친 후, 어버트먼트(A) 및 크라운(T)을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The fixture F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rough th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fter the healing period, the abutment A and the crown T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procedure.

한편, 어버트먼트(A)는 그 자체로 픽스츄어(F)에 결합되는 경우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용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utment A itself may be coupled to the fixture F, but may be combined using a separate coupling bolt B as shown in Fig.

그런데, 종래의 임플란트 결합구조는 픽스츄어(F)와 어버트먼트(A)가 볼트(B)에 의해 단순하게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지속적인 음식물 저작에 의해 어버트먼트(A)가 유동하면서 미세하게 회전하여 픽스츄어(F)에서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ince the fixture F and the abutment A are simply fastened together by the bolts B, the conventional implant-bonded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butment A flows while finely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rotated and is released from the fixture F.

어버트먼트(A)가 풀린 상태에서 음식물을 계속 저작하게 되면 어버트먼트(A)가 손상되거나, 심한 경우 픽스츄어(F)가 손상되며 이러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크라운(T)을 분리시키거나 전체 구조물을 분리하여 재시술 해야 하는 번거로움뿐 만 아니라, 어버트먼트(A)와 픽스츄어(F)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박테리아, 세균 감염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Continuous chewing of the food while the abutment A is loosened can damage the abutment A or severely damage the fixture F. If such damage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entire structure is separated and re-operated but also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abutment A and the fixture F, thereby causing proble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l infection.

또한, 픽스츄어(F)에 결합된 어버트먼트(A)가 저작압을 과도하게 받아 결합용 볼트(B)가 파절되는 경우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abutment A coupled to the fixture F excessively receives the bending pressure, the removal bolt B is not easily removed.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sten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fastening device for engaging a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implant including a fasten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fastening device for combining a fixture and an abutmen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장치를 픽스츄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implant including a fastening device that can easily separate a fastening device coupled to a fixture from a fixture.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astening devic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결합된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disposed 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fixing part for generating a fixing part; And an engag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fixing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 RTI >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을 포함하며,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t least one project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force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from being unlocked, the projecting portion including a fixed e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 free end not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 first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in the engaged state,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가 제공된다.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each have a curved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facing each other.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ental implant,

상기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Wherein the implant includes a fixture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d a fastening device for engaging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wherein the fastening device has an anti- A dental implant is provided, the dental implant including a fastening device.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돌출부 구조는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돌출부 구조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강한 고정력이 생기므로 제1체결부제와 제2체결부재를 결합시킨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structure constituting the fastening devi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and when the protruding structure is in the closed stat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fastening device that combines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돌출부 구조는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돌출부 구조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어버트먼트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강한 고정력이 생기므로, 임플란트 시술 후 지속적인 음식물 저작에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킨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structure constituting the fastening device is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an elastic force, and is generat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when the protruding structure is in the closed state Since a strong fix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frictional forc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which combines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from being loosened even after the implant treatmen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돌출부 구조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므로,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장치를 픽스츄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truding structure constituting the fastening device includes a curved shape, the fastening device coupled to the fixtur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ture.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10은 본 고안 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n abutment and a fixture of 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ing device having an un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ing device having an un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is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placed there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cise and clear understanding of the design. However, readers with knowledge in this area can understand that this design can be used without any of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should be noted that parts of the design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sig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explaining the desig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2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1)(이하, '체결장치(1)' 라고 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체결부재에 체결장치(1)가 삽입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apparatus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stening apparatus 1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1 is inserted into a fastening member, and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support member. FIG.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1)(이하, '체결장치' 라고 함)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11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2 to 5, a fastening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stening device) having an un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engaging portion 130.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는(1), 제1체결부재(C1)의 삽입홀을 통해 제1체결부재(C1)을 통과한 후, 제2체결부재(C2)의 삽입홀을 통해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체결장치(1)는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서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녹슬지 않는 금속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녹슬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Th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Here, the fastening device 1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not corroded or rust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nd is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itaniu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that does not rust can be used.

고정부(110)는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가 결합된 결합상태(이하, '결합상태'라고 함)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이다. 고정부(110)는,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의 삽입홀을 통과하면서 제1체결부재(C1)의 내부에 위치될 때,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The fixing unit 1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astening device 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n the engaged stat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re engaged, As shown in Fig. When the fastening device 1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the fastening portion 110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Thereby generating a frictional force.

결합부(130)는 고정부(1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제2체결부재(C2)와 결합하는 영역이며, 상부영역(130a)과 하부영역(1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0 is located below the fixing portion 110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nd may be configured as an upper region 130a and a lower region 130b.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영역(130a)의 상단에는 삽입도구(예를 들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체결장치(1)를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S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삽입홈(S1)이 육각형의 일부로 나타나 있지만,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device 1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using an insertion tool (e.g., a hexagonal wrench) (Not shown). Although the insertion groove S1 is shown as a part of a hexagon in FIGS. 2 and 3, it is not limited to a hexagon, but may be embodied by including all polygons such as a triangle and a rectang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체결장치(C2)의 내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region 130b is formed with a thread 131 for engag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C2.

예를 들면,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의 결합상태에서, 상부영역(130a)은 제1체결부재(C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는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서 나사산(131)을 이용하여 제2체결부재(C2)의 내측면과 결합한다.For example, in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the upper region 130a is locat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at least part of the lower region 130b Engag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using the thread 131 insid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10)는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11)로 구성된다.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110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111 having an elastic force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1 from being unwound from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 The elastic force of the projection 111 will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11)는 결합부(130)의 상부영역(130a)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11 may be periodic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the protrusions 111 may be periodical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egion 130a of the engaging portion 130. [

다른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는 고정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110.

돌출부(111)는 결합부(130)에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단(111b), 결합부(13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111a),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111c) 및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111d)를 포함한다. The protruding portion 111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130 and has a fixed end 111b which does not move, a free end 111a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130 and is movable, And a second surface 111d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n the engaged state.

제1면(111c)과 제2면(111d)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다. 제1면(111c)의 길이와 제2면(111d)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면(111c)과 제2면(111d)은 대략 원호 형상의 곡면일 수 있으며,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마찰이 발생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제1면(111c)의 길이가 제2면(111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장치(1)를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에서 분리가 필요한 경우, 제1면(111c)과 제2면(111d)에 포함된 곡면 형상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surface 111c and the second surface 111d each have a curved shape and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111c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111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11c and the second surface 111d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substantially arc shape, and an area where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n the engaged state is formed to be wide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111c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111d. When the fastening device 1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r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urved shape included in the first face 111c and the second face 111d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10)는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11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11.

여기서, 돌출부(111)의 탄성력이란, 개방상태-고정단(110)의 돌출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이 제1체결부재(C1) 삽입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자유단(111a)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다.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111 means that the free end 111a protrudes outward so that the diameter formed by the protrusion 111 of the open state-fixed end 110 beco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t is a property to maintain the shifted state.

예를 들면 개방상태는, 결합부(130)는 제1체결부재(C1)를 경유하여 제2체결부재(C2)에 삽입되었지만, 고정부(110)은 제1체결부재(C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For example, in the opened state, the engaging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via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but the fastening portion 1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111 is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11. [

예를 들면 폐쇄상태는, 고정부(110)가 제1체결부재(C1)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1체결부재(C1)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자유단(111a)이 제1체결부재(C1)의 내부 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11)의 외측면이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이다.The close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111a is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so that the fixing portion 1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The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by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1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jecting portion 111. [

이러한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 즉, 풀림방지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astening device 1 can be firmly fix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jec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10)와 결합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1)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장치(1)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고도 고정부(110)에 형성된 풀림방지구조에 의해 체결장치(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coupling portion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loosening of the fastening device 1, the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110 prevents the fastening device 1 from being loosened Can be prevented.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1)는 통형상의 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aste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ubular support member 150.

지지부재(150)는 제1체결부재(C1)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C1)의 내부(S2)에 삽입되며, 폐쇄상태의 체결장치(1)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부(110)의 위쪽, 더욱 자세하게는 자유단(111a)의 위쪽에서 자유단(111a)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5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2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to apply pressure to the fastening apparatus 1 in the closed state A first support portion 151 that engag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free end 111a from above the free end 110a, more specifically, above the free end 111a,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151)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부재(C1)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151)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1)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1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1)가 제2체결부재(C2)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1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hread for coupling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51. [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thread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151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hread 131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region 130b of the fastening device 1.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50 is inserted are reversed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engagement from the second clutch C2.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250)는 제1지지부(251)의 아래 쪽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제2지지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5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11)에 의해 고정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폐쇄상태에서 자유단(111a)이 고정부(110)의 내부공간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이 내부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지지부(255)가 끼워지면 돌출부(111)의 제1면(111c)이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을 가압밀착 시키므로 체결장치(1)가 보다 견고하게 제1제결부재(C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부(255)의 외측면에도 돌출부(111)의 제2면(111d)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1)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1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1)가 제2체결부재(C2)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2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5, the support member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second support portion 255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51. The second support part 255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110 by at least one protrusion 111 and the free end 111a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10 So as not to move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space. The first surface 111c of the protruding portion 111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so that the fastening apparatus 1 can firmly press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Cl). ≪ / RTI > Although not shown, a thread for coupling to the second surface 111d of the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er 255, and the direction of the thread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130b of the fastener 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crew thread 131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crew threa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250 is inserted are reversed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engagement from the second clutch C2.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6은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2)(이하, '체결장치(2)' 라고 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체결장치(2)가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F1)와 픽스츄어(F1)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1)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고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fastening apparatus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stening apparatus 2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2 is used to couple the fixture F1 to be fixed in the alveolar bone to the alveolar bone and the abutment A1 to be coupled to the fixture F1 Fig. 8 and Fig.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upport member,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fixing unit.

즉, 제2실시 예와 같이 체결장치(2)는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픽스츄어(F1)와 어버트먼트(A1)를 체결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체결부재는 어버트먼트(A1)로, 제2체결부재는 픽스츄어(F1)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astening device 2 can also be applied to fastening the fixture F1 and the abutment A1 used in the implant procedur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member will be described as an abutment A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a fixture F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210), 결합부(230) 및 연결부(220)를 포함한다.6 and 7, the fastening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fixing portion 210, an engaging portion 230, and a connecting portion 220.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달리 연결부(220)를 더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other words, 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connector 220 is further included. Therefor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어버트먼트(A1)의 삽입홀을 통해 어버트먼트(A1)를 통과한 후, 픽스츄어(F1)의 삽입홀을 통해 픽스츄어(F2)의 내부에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체결장치(2)는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의 내부에서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녹슬지 않는 금속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녹슬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The fastening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fter passing through the abutment A1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abutment A1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ture F1, So that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Here, the fastening device 2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not corroded or rusted inside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titanium (rust) ). ≪ / RTI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that does not rust can be used.

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210)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 결합된 결합상태(이하, '결합상태'라고 함)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이다. 고정부(210)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의 삽입홀을 통과하면서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위치될 때,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The fixing portion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astening device 2 is fixed to the abutment A1 in the engaged state in which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are engaged As shown in Fig. The fixing portion 21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when the fastening device 2 is positioned inside the abutment A1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abutment A1, .

결합부(230)는 고정부(2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픽스츄어(F1)와 결합하는 영역이며, 상부영역(230a)과 하부영역(2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230 is located below the fixing portion 210 and is engaged with the fixture F1 and may include an upper region 230a and a lower region 230b.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에는 픽스츄어(F1)의 내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31)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region 230b is formed with a thread 231 for engag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ture F1.

예를 들면,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의 결합상태에서, 상부영역(230a)은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는 픽스츄어(F1)의 내부에서 나사산(131)을 이용하여 제2체결부재(C2)의 내측면과 결합한다.For example, in the combined state of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the upper region 230a is located inside the abutment A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region 230b is located in the fixture F1 to engag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using a thread 131. [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220)는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2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면은 고정부(210)와 연결된 면이고, 하부면은 결합부(230)에 연결된 면이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측면(2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면은 후술할 고정단(211b)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면은 결합부(230)의 상부영역(230a)에 연결된다.The connecting portion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221. The upper surface is a surface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210, the lower surface is a surface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230,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connected by a side surface 221.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fixed end 211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230a of the coupling portion 23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220)의 상부면에는 삽입도구(예를 들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체결장치(2)를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S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삽입홈(S11)이 육각형의 일부로 나타나 있지만,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stening device 2 is inserted into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using an insertion tool (for example, a hexagonal wren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20 An insertion groove S11 for facilitating insertion is formed. Although the insertion groove S11 is shown as a part of a hexagon in FIGS. 6 and 7, it is not limited to a hexagon, and may be embodied by including all polygons such as a triangle, a rectangle,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A1)에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내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A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220)의 측면(221)에는 경사면(A11)에 걸쳐짐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어버트먼트(A1)와 결합하기 위해 경사면(A11)에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butment A1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A11 for guiding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device 2 is engaged in the abutment A1. In this embodiment, the side surface 221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A11 in order to engage with the abutment A1 at an accurate position by covering the inclined surface A11.

가이드부는, 연결부(220)의 상부면의 외주부로부터 하부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1a), 제1연장부(221a)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21b) 및 제2연장부(221b)로부터 제2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3연장부(221c)를 포함한다.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221a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closer to the lower surface, a second extending portion 221b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21a in a second direction And a third extension 221c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221b in a thir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예를 들면, 제3연장부(221c)가 어버트먼트(A1) 내부의 경사면(A11)에 걸쳐짐으로써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내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extended portion 221c may extend over the inclined surface A11 of the abutment A1 to accurately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device 2 is engaged in the abutment A1 ha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210)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11)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21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protrusion 211 having an elastic force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2 from being unwound from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연결부(220)의 상부면의 외경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rotrusion 211 may be periodic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protrusions 211 may be periodical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다른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는 고정부(210) 또는 연결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at least one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210 or the connecting portion 220.

본 실시 예를 따른 돌출부(211)는,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단(211b),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211a), 결합상태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211C) 및 결합상태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211d)를 포함한다.The protrusion 2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ed end 211b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and does not move, a free end 211a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and is movable, And a second surface 211c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and a second surface 211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제1면(211c)과 제2면(211d)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다. 제1면(211c)의 길이와 제2면(211d)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면(211c)과 제2면(211d)은 대략 원호 형상의 곡면일 수 있으며, 결합상태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마찰이 발생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제1면(211c)의 길이가 제2면(211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츄어(F1)에 결합된 어버트먼트(A1)가 저작압을 과도하게 받아 체결장치(2)가 파절되는 경우, 체결장치(2)의 교체 등이 필요하고, 이 경우 제1면(111c)과 제2면(111d)에 포함된 곡면 형상에 의해 픽스츄어(F1)나 어버트먼트(A1)의 손상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체결장치(2)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surface 211c and the second surface 211d each have a curved shape and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211c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211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211c and the second surface 211d may be curved surfaces having a substantially arc shape, and an area in which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is generated in a coupled state may be formed to be wide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211c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211d. For example, when the fastening device 2 is broken due to excessive abutment pressure of the abutment A1 coupled to the fixture F1,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astening device 2,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astening device 2 with little damage to the fixture F1 or the abutment A1 by the curved shape included in the first surface 111c and the second surface 111d.

제1면(211c)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먼저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A1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볼록부(A1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볼록부(A11)는 어버트먼트(A10) 내부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10 to describe the function of the first surface 211c, a convex portion A11 is formed at least on an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 A11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abutment A10.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0)에 삽입 체결 될 때, 고정부(210)의 제1면(211c)이 어버트먼트(A10)의 내측면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볼록부(A11)에 위치하게 되면, 볼록부(A11)에 의해 제1면(211c)과 어버트먼트(A10)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면(211c)이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을 가압밀착 시키므로 체결장치(2)가 보다 견고하게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fastening device 2 is inserted into the abutment A10 and the first surface 211c of the fixing portion 210 passe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0,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urface 211c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0 is further increased by the convex portion A11. This allows the fastening device 2 to be fixed more firmly inside the abutment A1 by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against the first surface 211c.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210)는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다. 도 7(a)는 개방상태, 도 7(b)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again to FIG. 7, the fixing portion 21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7 (a) is a diagram showing an open state, and Fig. 7 (b) is a diagram showing a closed state.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돌출부(211)의 탄성력이란, 개방상태-고정단(210)의 돌출부(211)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이 어버트먼트(A1) 삽입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자유단(211a)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다.Here,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means that the free end 211a is moved outward so that the diameter formed by the protruding portion 211 of the open state-fixed end 210 beco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abutment A1 The state of being.

예를 들면 개방상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30)는 어버트먼트(A1)를 경유하여 픽스츄어(F1)에 삽입되고, 연결부(220)도 어버트먼트(A1)에 삽입되었지만, 고정부(210)는 어버트먼트(A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2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7 (a), the coupling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F1 via the abutment A1, and the coupling portion 220 is also inserted into the abutment The fixing portion 210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butment A1 and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is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

예를 들면 폐쇄상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가 어버트먼트(A1)에 완전히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자유단(211a)이 어버트먼트(A1)의 내부 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2111)의 외측면이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b), the close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2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butment A1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butment A1, Is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abutment A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1 applies pressu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

이러한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 즉, 풀림방지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및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astening device 2 can be firmly fixed to the abutment A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folding in the claw F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210), 결합부(230) 및 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장치(2)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고도 고정부(210)에 형성된 풀림방지구조에 의해 체결장치(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210, the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coupling portion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loosening of the fastening device 2, the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210 prevents the fastening device 2 from being loosened Can be prevented.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통형상의 지지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astening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ubular support member 350.

지지부재(350)는 어버트먼트(A1)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어버트먼트(A1)의 내부(S22)에 삽입되며, 폐쇄상태의 체결장치(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부(210)의 위쪽, 더욱 자세하게는 자유단(211a)의 위쪽에서 자유단(211a)에 압력을 가하면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5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butment A1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S22 of the abutment A1 to apply pressure to the fastening apparatus 2 in the closed state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351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free end 211a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10, more specifically, above the free end 211a can do.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351)의 외측면에는 어버트먼트(A1)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351)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2)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2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2)가 픽스츄어(F1)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3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및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hread for coupling to the abutment A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51. [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351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crew thread 231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region 230b of the fastening device 2.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2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F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350 is inserted are reversed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 is unfastened from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450)는 제1지지부(451)의 아래 쪽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제2지지부(4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45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11)에 의해 고정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S33)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폐쇄상태에서 자유단(211a)이 고정부(210)의 내부공간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이 내부공간(S33)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지지부(455)가 끼워지면 돌출부(211)의 제1면(211c)이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을 가압밀착 시키므로 체결장치(2)가 보다 견고하게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부(455)의 외측면에도 돌출부(211)의 제2면(211d)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2)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2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2)가 픽스츄어(F1)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4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및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upport member 4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second support portion 455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51. The second support portion 455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S33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210 by at least one protrusion 211. The second support portion 455 has a free end 211a in the closed stat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S33 so as not to be mov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door 210. [ The first surface 211c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A1 against the second surface of the abutment A1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 is firmly attached to the abutment A1. So that it can be fixed inside. Although not shown, a thread for coupling to the second surface 211d of the protruding portion 21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455, and the direction of the thread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230b of the fastener 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crew thread 231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crew threa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2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F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450 is inserted are reversed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 is unfastened from the abutment A1 and the fixture F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2: 체결장치
110, 210: 고정부
220: 연결부
130, 230: 결합부
150, 250, 350, 450: 지지부재
111, 211: 돌출부
221: 가이드부
C1: 제1체결부재
C2: 제2체결부재
A1, A10: 어버트먼트
F1, F10: 픽스츄어
1, 2: fastening device
110, 210:
220: Connection
130, and 230:
150, 250, 350, 450: support member
111, 211:
221: guide portion
C1: first fastening member
C2: second fastening member
A1, A10: abutment
F1, F10: Fixture

Claims (14)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결합된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In the fastening devic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disposed 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fixing part for generating a fixing part; And
A coupling part located below the fixing part and engaging wit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 RTI >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t least one protrusion having an elastic force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from being unwound,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ncludes a fixed end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a free end not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a first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in the engaged state, And a second surface that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each have a curved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facing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으로 구성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면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면의 외연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portion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upp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fixed end and the low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edge of the upp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측면에는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면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하부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제1연장부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제2연장부로부터 제2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The method of claim 2,
A guide portion for guiding a position at which the fastening device is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mber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closer to the lower surface from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in a thir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 RTI ID = 0.0 > 18.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상기 개방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체결부재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며,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면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이 상기 제1체결부재 삽입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상기 자유단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폐쇄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체결부재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 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ortion is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In the open state,
The fixing portion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roj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ree end is moved outward so that the diameter formed by the first surface in the open stat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insertion hole,
In the closed state,
The free end is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fixing portion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free end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y applying pressure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이 상기 볼록부에 위치될 때 마찰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when the first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convex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1체결장치 내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vex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inside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통형상의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폐쇄상태의 체결장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위쪽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tubular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nd a first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at a position above the fixing portion so as to apply pressure to the fastening device in the closed state, , A fastening device having a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의 아래 쪽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제2지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폐쇄상태에서 상기 자유단이 상기 내부공간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tubular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Wherein the inner space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fixed portion by the at least one protrusion and is fitted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free end is not moved toward the inner space in the closed state. A fastening device having a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하부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composed of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region in the engaged state engages with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periodical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의 상단에는 삽입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장치를 상기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reg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using an insertion tool. Fastening device for a branc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has a hexagonal shape.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체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In a dental implant,
The implant,
A fixture embedded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d a fastening device for engaging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Wherein the fastening device is th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15. A dental implant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having an unlocking structure.
KR2020170003579U 2017-07-10 2017-07-10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KR2004904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9U KR200490420Y1 (en) 2017-07-10 2017-07-10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9U KR200490420Y1 (en) 2017-07-10 2017-07-10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71U true KR20190000171U (en) 2019-01-18
KR200490420Y1 KR200490420Y1 (en) 2019-11-08

Family

ID=6526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79U KR200490420Y1 (en) 2017-07-10 2017-07-10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20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13Y1 (en) 2001-12-21 2002-03-18 최성기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US20090291412A1 (en) * 2007-03-06 2009-11-26 Kent Engstrom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KR20150089419A (en)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Shock Absorbing Member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60029875A (en)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Dental implant apparatus and dental member for preventing loo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13Y1 (en) 2001-12-21 2002-03-18 최성기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US20090291412A1 (en) * 2007-03-06 2009-11-26 Kent Engstrom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JP2010519995A (en) * 2007-03-06 2010-06-10 アストラ・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dental implant
KR20150089419A (en)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Shock Absorbing Member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60029875A (en)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Dental implant apparatus and dental member for preventing lo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420Y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489B1 (en) Bone fracture fixation clamp
US7235075B1 (en) Anchoring element for securing a rod on a vertebra
AU2011204541B2 (en) Vertebral attachment device
ES2704151T3 (en) Expandable collar anchor system
AU2016341736B2 (en) Surgical screw and fusion device using same
US7338242B2 (en) Quick-connect fastener assembly
JP2016539687A (en) Fixable pedicle anchor
US20120004690A1 (en) Screw fixation system
JP2012125577A (en) Fixation clamp with thumbwheel
WO2017061451A1 (en) Sensor mounting tool
KR20080112896A (en) Anti-screwloosening device for implant
US20170333093A1 (en) Self-locking screwdriver
CA2990363A1 (en) Faucet coupling structure
JPH03234908A (en) Attachment of fastener to support for soft material and fastener, support and fixture
KR20190000172U (en)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KR20190000171U (en) 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US10390909B2 (en) Prosthesis system
US8083521B2 (en) Ancho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US9841045B2 (en) Blind rivet fastener
RU2636860C2 (en) Tool holder for fixing the medical appliances to the hinged arm
KR101573520B1 (en) Dental Implant
KR20190000311U (en) Tightening apparatus for implant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0425051Y1 (en) implant for a tooth
KR200490694Y1 (en) Tightening apparatus for implant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50019314A (en) Implant for loose-screw preve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