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67A - 유사 약리활성 그룹 화합물들의 조각구조 특성 연관규칙을 기반으로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사 약리활성 그룹 화합물들의 조각구조 특성 연관규칙을 기반으로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167A KR20190000167A KR1020170079166A KR20170079166A KR20190000167A KR 20190000167 A KR20190000167 A KR 20190000167A KR 1020170079166 A KR1020170079166 A KR 1020170079166A KR 20170079166 A KR20170079166 A KR 20170079166A KR 20190000167 A KR20190000167 A KR 20190000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s
- compound
- pharmacological activity
- fragment
- candid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19/704—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30—Prediction of properties of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or mixtures
-
- G06F19/707—
-
- G06F19/709—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70—Machine learning, data mining or chemometric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90—Programming languages; Computing architectures; Database systems; Data ware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선도물질 예측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리활성 유사 화합물 발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선도물질 후보로 제공할 조각구조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선도물질 예측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약리활성N1 | 그 외의 약리활성 | 계 | |
화합물 M1 | 빈도수 a | 빈도수 c | a+c |
그 외의 화합물 | 빈도수 b | 빈도수 d | b+d |
계 | a+b | c+d | a+b+c+d |
순번(number) | 항목(items) |
1 | 조각구조1, 화합물2 |
2 | 조각구조1, 조각구조2, 화합물1 |
3 | 조각구조1, 화합물3 |
4 | 조각구조1, 화합물2, 화합물3 |
5 | 조각구조2, 화합물2 |
조각구조1 | 조각구조2 | 화합물1 | 화합물2 | 화합물3 | |
조각구조1 | 4 | 1 | 1 | 2 | 2 |
조각구조2 | 1 | 2 | 1 | 1 | 0 |
화합물1 | 1 | 1 | 1 | 0 | 0 |
화합물2 | 2 | 1 | 0 | 3 | 1 |
화합물3 | 2 | 0 | 0 | 1 | 2 |
Claims (15)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시스템이 신규 선도물질 후보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약리활성의 정보 및 개별 약리활성을 갖는 화합물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개별 약리활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된 화합물들을 발굴하여, 약리활성 별로 그룹핑하는 단계,
유사 약리활성 그룹 내 화합물들을 최소 화학적 기능 단위로 조각화하여, 화합물 별로 조각구조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그룹 내 화합물들에서 공통으로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상기 그룹 내 화합물들의 약리활성에 대한 신규 선도물질 후보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모든 화합물의 개별 약리활성에 대한 빈도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화합물과 약리활성 간의 승산비(odds ratio)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나타내는 유의 확률에 기초하여, 약리활성이 유사한 화합물들을 발굴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2항에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승산비에 기초하여 약리활성 별로 해당 약리활성을 갖는 화합물들의 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순위가 선정된 화합물들 중에서 상기 유의 확률이 0.05 이하 이하인 화합물들을 해당 약리활성이 유사한 화합물로 발굴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내 모든 화합물과, 조각화를 통해 도출된 조각구조들 간에 발생 빈도수를 이용하여 특정 화합물과 특정 조각구조 간에 연관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연관도 점수가 기준값을 충족하는 조각구조와 화합물 쌍을 선정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4항에서,
상기 연관도 점수는,
상기 그룹 내 모든 화합물과, 상기 모든 화합물로부터 도출된 조각구조들의 모든 발생 빈도 중에서 특정 조각구조와 특정 화합물이 동시에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지지도,
특정 조각구조가 발생할 때, 특정 화합물이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신뢰도, 그리고
상기 지지도와 신뢰도의 비율인 향상도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도와 상기 신뢰도가 기준값을 충족하는 조각구조와 화합물 쌍 중에서 상기 향상도를 기준으로 특정 조각구조가 특정 화합물에 대해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지 평가하여,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구조와 화합물 쌍으로부터 공통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구조를 선정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5항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향상도가 1보다 큰 조각구조와 화합물 쌍은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고 평가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5항에서,
상기 향상도는,
특정 약리활성에 대한 신규 선도물질 후보의 예측 점수로 사용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시스템이 신규 선도물질 후보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이 있는 약리활성을 가지는 화합물들을 최소 화학적 기능 단위로 조각화하여, 화합물 별로 조각구조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화합물들로부터 공통으로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상기 약리활성에 대한 신규 선도물질 후보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8항에서,
상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이 있는 약리활성을 가지는 화합물들은,
온라인 상의 공개 데이터베이스 및 공신력이 있는 자료들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들로부터 다양한 약리활성과, 개별 약리활성을 가지는 화합물들로부터, 특정 약리활성과 특정 화합물간의 발생 빈도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승산비와, 피셔의 정확 검증(fisher exact test)에 따른 유의 확률에 기초하여 선정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8항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특정 화합물과 특정 조각구조 간에 발생 빈도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연관도 점수가 기준값을 충족하는 화합물과 조각구조 쌍들에 공통으로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선정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제10항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약리활성을 가지는 모든 화합물들과 모든 조각구조들의 발생 빈도수와 특정 화합물과 특정 조각구조가 동시에 발생할 확률인 지지도와, 특정 조각구조가 발생할 때 특정 화합물이 발생할 확률인 신뢰도가 모두 기준값을 충족하고,
상기 지지도와 상기 신뢰도의 비율인 향상도가 기 정의된 유의미한 척도를 만족하는 각각의 조각구조와 화합물 쌍들로부터 공통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구조를 선정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방법.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신규 선도물질 후보를 예측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 공개 자료 및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로부터 수집한 다양한 약리활성의 정보 및 개별 약리활성을 갖는 화합물들로부터 상기 개별 약리활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된 화합물들을 발굴하여, 약리활성 별로 그룹핑하는 약리활성 유사 화합물 발굴부,
유사 약리활성 그룹 내 화합물들을 최소 화학적 기능 단위로 조각화하여, 화합물 별로 조각구조들을 도출하는 화합물 조각화부,
상기 그룹 내 화합물들에서 공통으로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선정하는 조각구조 발굴부, 그리고
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각구조를 상기 그룹 내 화합물들의 약리활성에 대한 신규 선도물질 후보로 예측하는 선도물질 후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시스템. - 제12항에서,
상기 약리활성 유사 화합물 발굴부는,
모든 화합물의 개별 약리활성에 대한 빈도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화합물과 약리활성 간의 승산비(odds ratio)를 기준으로 약리활성 별로 해당 약리활성을 갖는 화합물들의 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순위가 선정된 화합물들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나타내는 유의 확률(p-value)이 기준값 이하인 화합물들을 선별하며,
선별된 화합물들을 약리활성이 유사한 화합물들로 발굴하여, 그룹핑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시스템. - 제12항에서,
상기 조각구조 발굴부는,
유사 약리활성 그룹 내 모든 화합물과, 상기 모든 화합물로부터 도출된 조각구조들 간에 동시 발생 빈도수에 기초하여 중요성의 척도로 사용되는 지지도, 신뢰성의 척도로 사용되는 신뢰도, 및 지지도와 신뢰도의 비율로 산출되는 향상도를 산출하고,
상기 지지도, 상기 신뢰도 및 상기 향상도가 유의미한지 평가하여, 유의미한 조각구조와 화합물 쌍으로부터 공통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구조를 발굴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시스템. - 제12항에서,
상기 조각구조 발굴부가 출력하는 상기 공통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구조와 화합물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조각구조-화합물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조각구조-화합물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단말에게 상기 조각구조-화합물 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을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신규 선도물질 후보 예측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166A KR101995511B1 (ko) | 2017-06-22 | 2017-06-22 | 유사 약리활성 그룹 화합물들의 조각구조 특성 연관규칙을 기반으로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166A KR101995511B1 (ko) | 2017-06-22 | 2017-06-22 | 유사 약리활성 그룹 화합물들의 조각구조 특성 연관규칙을 기반으로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167A true KR20190000167A (ko) | 2019-01-02 |
KR101995511B1 KR101995511B1 (ko) | 2019-07-02 |
Family
ID=6502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9166A Active KR101995511B1 (ko) | 2017-06-22 | 2017-06-22 | 유사 약리활성 그룹 화합물들의 조각구조 특성 연관규칙을 기반으로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551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6541A (ko)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에일론 | 호몰로지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타겟 단백질의 화합물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10026543A (ko)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에일론 | 복수의 인공신경망 모델 기반 단백질 결합 화합물의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10026301A (ko) | 2019-08-29 | 2021-03-10 | (주)비아이매트릭스 | 딥러닝 기반 농산물 물동량 분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KR20210026542A (ko)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에일론 | 기하학적 이미지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단백질 결합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10027668A (ko) | 2019-08-30 | 2021-03-11 | 주식회사 에일론 | 푸리에 디스크립터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타겟 단백질에 대한 화합물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20107413A (ko) | 2021-01-25 | 2022-08-02 | 주식회사 카이팜 | 화합물 활성 데이터 기반 약물 정보 추출 방법, 약물 탐색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 및 분석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6757A (ko) | 2023-03-07 | 2024-09-19 | 한국화학연구원 | 웹 기반 유기태양전지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8925A (ko) * | 2002-01-08 | 2002-04-17 | 신환철 | 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분자 설계방법 |
WO2005038618A2 (en) * | 2003-10-14 | 2005-04-28 | Verseon | Lead molecule cross-reaction prediction and optimization system |
US20110282910A1 (en) * | 2010-01-29 | 2011-11-17 | Cramer Richard D | Template Constrained Fragment Alignment Used To Identify Fragments Of Similar Shape and Activity In Drug Development |
-
2017
- 2017-06-22 KR KR1020170079166A patent/KR10199551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8925A (ko) * | 2002-01-08 | 2002-04-17 | 신환철 | 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분자 설계방법 |
WO2005038618A2 (en) * | 2003-10-14 | 2005-04-28 | Verseon | Lead molecule cross-reaction prediction and optimization system |
US20110282910A1 (en) * | 2010-01-29 | 2011-11-17 | Cramer Richard D | Template Constrained Fragment Alignment Used To Identify Fragments Of Similar Shape and Activity In Drug Developmen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정보과학회지 31(8), 이지영 외 3명. 컴퓨터를 이용한 신약개발, 향후 기술 전망. (2013.08.)* *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6301A (ko) | 2019-08-29 | 2021-03-10 | (주)비아이매트릭스 | 딥러닝 기반 농산물 물동량 분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KR20210026541A (ko)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에일론 | 호몰로지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타겟 단백질의 화합물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10026543A (ko)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에일론 | 복수의 인공신경망 모델 기반 단백질 결합 화합물의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10026542A (ko)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에일론 | 기하학적 이미지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단백질 결합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10027668A (ko) | 2019-08-30 | 2021-03-11 | 주식회사 에일론 | 푸리에 디스크립터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타겟 단백질에 대한 화합물 활성 예측 시스템 |
KR20220107413A (ko) | 2021-01-25 | 2022-08-02 | 주식회사 카이팜 | 화합물 활성 데이터 기반 약물 정보 추출 방법, 약물 탐색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 및 분석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5511B1 (ko) | 2019-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5511B1 (ko) | 유사 약리활성 그룹 화합물들의 조각구조 특성 연관규칙을 기반으로 신규 선도물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
Dreiman et al. | Changing the HTS paradigm: AI-driven iterative screening for hit finding | |
Hofmarcher et al. | Large-scale ligand-based virtual screening for SARS-CoV-2 inhibitors using deep neural networks | |
Heikamp et al. | The future of virtual compound screening | |
Willett | Similarity-based virtual screening using 2D fingerprints | |
Budowski-Tal et al. | FragBag,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protein structure, retrieves structural neighbors from the entire PDB quickly and accurately | |
Micheletti et al. | Recurrent oligomers in proteins: an optimal scheme reconciling accurate and concise backbone representations in automated folding and design studies | |
Vogt et al. | Scaffold hopping using two-dimensional fingerprints: true potential, black magic, or a hopeless endeavor? Guidelines for virtual screening | |
Yan et al. | Chemical structure similarity search for ligand-based virtual screening: methods and computational resources | |
Hu et al. | Exploring compound promiscuity patterns and multi-target activity spaces | |
Cockroft et al. | STarFish: a stacked ensemble target fishing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o natural products | |
Steindl et al. | High-throughput structure-based pharmacophore modelling as a basis for successful parallel virtual screening | |
Green | Virtual screening of virtual libraries | |
Wu et al. | DeepCancerMap: a versatile deep learning platform for target-and cell-based anticancer drug discovery | |
US20070156343A1 (en) | Stochastic method to determine, in silico, the drug like character of molecules | |
Shanmugasundaram et al. | Hit-directed nearest-neighbor searching | |
Ciriaco et al. | Quantitative polypharmacology profiling based on a multifingerprint similarity predictive approach | |
Medina‐Franco | Interrogating novel areas of chemical space for drug discovery using chemoinformatics | |
Hao et al. | Web search and data mining of natural products and their bioactivities in PubChem | |
He et al. | PIMD: an integrative approach for drug repositioning using multiple characterization fusion | |
Langer et al. | Virtual combinatorial chemistry and in silico screening: Efficient tools for lead structure discovery? | |
US2006010654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functions of compound | |
Namasivayam et al. | Prediction of individual compounds forming activity cliffs using emerging chemical patterns | |
US1206161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hemical compound data using and applying a virtual landscape | |
Passaro et al. | Boltz-2: Towards Accurate and Efficient Binding Affinity Predi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