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71U - 프리캐스트 암거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71U
KR20190000071U KR2020170003381U KR20170003381U KR20190000071U KR 20190000071 U KR20190000071 U KR 20190000071U KR 2020170003381 U KR2020170003381 U KR 2020170003381U KR 20170003381 U KR20170003381 U KR 20170003381U KR 20190000071 U KR20190000071 U KR 201900000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wire
fixing
steel
anch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마
Priority to KR2020170003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071U/ko
Publication of KR20190000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암거는, 상부벽, 하부벽, 좌측벽, 우측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의 바닥면은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암거{Pre-Cast Culvert}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암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는 지중으로 우수나 오수 또는 농공업용수가 흐르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구조물로서, 예전에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방법으로 암거의 시공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공사기간 단축 및 경제적 시공을 위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는 시공속도가 빠르며 시공 후 즉시 되메우기를 할 수 있어 시공기간이 짧고, 철저한 품질관리에 의해 공장에서 생산되므로 품질이 균일하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관로의 수밀성과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암거는 수로, 통로, 통신구, 전력구, 공동구 등 토목, 건축 분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수로용 암거의 바닥면은 수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면에 물이 고이게 되어 유속이 느려지게 되고 벌레가 서식할 수 있으며 겨울에 고인 물이 얼거나 고인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암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암거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고이지 않고 유속을 높일 수 있는 프리캐스트 암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암거는, 상부벽, 하부벽, 좌측벽, 우측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의 바닥면은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면의 경사는 2~10% 경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거는 암거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와이어 홀에 삽입되는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함으로써 다른 암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PS(Pre-Stressed)강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S강봉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상기 암거에 형성된 정착홈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 및 상기 PS강봉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구는 2개의 PS강봉의 각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PS(Pre-Stressed)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S강선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상기 암거에 형성된 정착홈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 상기 PS강선 주위에 상기 앵커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PS강선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암거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암거의 바닥면을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암거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고이지 않고 유속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암거의 바닥면에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고인 물이 얼거나 오염되는 문제가 없고 고인 물에 벌레가 서식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암거의 와이어 홀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착구로 와이어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암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암거 중간에 있는 정착홈에서 정착구를 이용하여 두 와이어를 연결하여 고정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암거 중간에 있는 정착홈에서 정착구를 이용하여 두 와이어를 각각 당겨서 고정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암거의 일단부에 형성된 정착홈에서 정착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 고정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Pre-Cast) 암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프리캐스트(Pre-Cast) 암거(100)는 PC 암거라고 줄여서 말할 수 있고,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몰드 성형시 내부에 철근이 매립될 수 있다.
PC 암거(100)는 상부벽(110), 하부벽(120), 좌측벽(130), 우측벽(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PC 암거(100)는 내부에 중공부(150)가 형성되는데, 이 중공부(150)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부(150)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 부위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모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 암거(100)의 바닥면(160)은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60)의 경사(θ)는 2~10%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면(160)의 경사(θ)가 2%보다 작은 경우에는 바닥면(160)이 거의 수평면에 가까워서 바닥면(160)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면(160)으로 흐르는 물의 유속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다.
바닥면(160)의 경사(θ)가 10%보다 큰 경우에는 사람이 중공부(150)에 들어가서 청소 작업을 할 때 미끄러지기 쉬워서 작업이 어렵게 된다.
% 경사는 직각삼각형에서 이웃변(가로)에 대한 대변(세로)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2% 경사의 각도는 약 1.15도이고, 10% 경사의 각도는 약 5.72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암거(100)의 후방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70)가 형성되고, PC 암거(100)의 전방면에는 돌출부(170)에 대응하는 형태로 오목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80)에는 다음에 위치되는 PC 암거(100)의 돌출부(170)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어지는 PC 암거끼리 접합하는 부위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결합 부위의 수밀성을 더 높이기 위해, 오목부(180)와 돌출부(170)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형 링을 배치하여 압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PC 암거(100)는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와이어 홀(190)에 삽입되는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함으로써 다른 암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홀(190)은 사각형의 네 꼭지점 가까이에 4군데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PC 암거(100)를 돌출부(170)와 오목부(180)가 서로 결합하도록 배치한 다음, 와이어를 와이어 홀(190)에 각각 삽입하여 와이어의 양 끝단을 잡아당겨서 고정한다.
와이어는 2개의 암거를 서로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암거를 한꺼번에 밀착시키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런 후, 두 PC 암거(100)의 접합면 틈을 코킹(caulking)하는 방수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4에는 와이어(210)로 여러 개의 암거를 한꺼번에 밀착 고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PC 암거(100)의 중공부(150) 내면에는 길이방향 중간부에 와이어(210)를 고정하기 위한 정착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정착홈(200)은 암거(100)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 부근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정착홈(200)은 와이어(21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정착구를 체결하는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도 4에서 정착홈(200)이 형성된 PC 암거는 "100A"로 표시되고 정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PC 암거는 "100B"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측면도에서 수평한 점선은 중공부(150)의 상면과 하면을 나타낸다. 와이어 홀(190)은 중공부(150)의 경사진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므로, 중공부(150)의 상면은 위쪽 와이어(210)보다 위에 배치되고, 중공부(150)의 하면은 아래쪽 와이어(210)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210)는 PS(Pre-Stressed)강봉 또는 PS(Pre-Stressed)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S강봉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금속 봉의 형태로서 그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PS강선은 복수의 금속 와이어를 서로 꼬아서 만든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려우나, PS강봉에 비해 더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인장력이 우수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10)는 PS(Pre-Stressed)강봉으로 이루어지고, PS강봉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암거(100A)에 형성된 정착홈(2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220), 및 PS강봉(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PS강봉(210)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240)를 삽입하여 체결하고, 앵커플레이트(220)에 대고 너트(240)를 더 조여줌으로써 PS강봉(210)을 당겨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앵커플레이트(220)와 너트(240) 사이에는 와셔(230)가 구비되어, 너트를 체결할 때 앵커플레이트에 대해 조일 때 너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너트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착구는 2개의 PS강봉(100)의 각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커플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커플러(250)는 두 PS강봉(100)을 그 단부끼리 당겨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10)는 PS(Pre-Stressed)강선으로 이루어지고, PS강선(210)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암거(100A)에 형성된 정착홈(2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220), PS강선(210) 주위에 앵커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슬리브(260), 및 슬리브와 PS강선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 작업시 와이어(210)의 단부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쐐기(270)를 슬리브(260)로 밀어넣으면, 쐐기(270)가 슬리브(260)와 와이어(210) 사이에 압착되면서 와이어(210)가 슬리브(2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는 와이어(210)로 여러 개의 암거를 한꺼번에 밀착 고정하는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경우, 도 4의 경우와 달리, 정착홈(200)이 암거(100C)의 중간이 아니라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정착홈(200)도 암거(100C)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 부근에 각각 형성되는 것은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공부(150)의 각 꼭지점 부위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여서, 위쪽 와이어(210)가 중공부(150)의 상면(상측의 수평 점선)보다 위에 배치되고 아래쪽 와이어(210)가 중공부(150)의 하면(하측의 수평 점선)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암거(100C)의 일단부에 정착홈(200)이 형성된 경우에 정착구를 이용하여 와이어(210)를 고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210)는 PS(Pre-Stressed)강봉으로 이루어지고, PS강봉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암거(100C)에 형성된 정착홈(2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220), PS강봉(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240) 및 앵커플레이트(220)와 너트(240)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210)는 다른 와이어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도 8의 경우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두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플러가 없다.
물론, 도 8의 실시예에서도 다음의 암거들이 이어서 배치되는 경우라면, 이어지는 두 와이어를 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암거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암거의 바닥면을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암거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고이지 않고 유속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암거의 바닥면에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고인 물이 얼거나 오염되는 문제가 없고 고인 물에 벌레가 서식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암거의 와이어 홀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착구로 와이어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프리캐스트 암거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프리캐스트 암거 110: 상부벽
120: 하부벽 130: 좌측벽
140: 우측벽 150: 중공부
160: 바닥면 170: 돌출부
180: 오목부 190: 와이어 홀
200: 정착홈 210: 와이어
220: 앵커플레이트 230: 와셔
240: 너트 250: 커플러
260: 슬리브 270: 쐐기

Claims (6)

  1. 상부벽, 하부벽, 좌측벽, 우측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의 바닥면은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암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경사는 2~10% 경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암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는 암거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와이어 홀에 삽입되는 와이어를 당겨서 고정함으로써 다른 암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암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PS(Pre-Stressed)강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S강봉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상기 암거에 형성된 정착홈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 및
    상기 PS강봉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암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2개의 PS강봉의 각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암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PS(Pre-Stressed)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S강선을 고정하는 정착구는,
    상기 암거에 형성된 정착홈의 측면에 밀착되는 앵커플레이트,
    상기 PS강선 주위에 상기 앵커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PS강선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암거.
KR2020170003381U 2017-06-29 2017-06-29 프리캐스트 암거 KR201900000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81U KR20190000071U (ko) 2017-06-29 2017-06-29 프리캐스트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81U KR20190000071U (ko) 2017-06-29 2017-06-29 프리캐스트 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71U true KR20190000071U (ko) 2019-01-08

Family

ID=6501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81U KR20190000071U (ko) 2017-06-29 2017-06-29 프리캐스트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0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80B1 (ko) 2020-11-18 2021-06-23 신을호 플레이트 체결형 조립식 pc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80B1 (ko) 2020-11-18 2021-06-23 신을호 플레이트 체결형 조립식 pc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009B1 (ko)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CN102383530A (zh) 装配式建筑用预制钢筋砼结构柱
CN101356318B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100517312B1 (ko) 조립식암거 및 그 결합방법
KR20190000071U (ko) 프리캐스트 암거
KR102058301B1 (ko) 원형수로관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101012307B1 (ko)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
KR101806326B1 (ko)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180008206A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CN202220403U (zh) 装配式建筑用预制钢筋砼结构柱
KR20070106410A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KR10135763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CN208137131U (zh) 一种钢结构梁柱节点
KR200216305Y1 (ko) 암거설비
KR200235128Y1 (ko) 암거설비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2081166B1 (ko) 케이블 곡선 인장장치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20100014034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유니트의 접속 장치 및 접속시공 방법과, 이중 접속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박스 유니트
JP7450417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セグメント
KR101621338B1 (ko) 세트화된 골조유닛을 적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CN211037390U (zh) 建筑物及墙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