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75A - Manual type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Manual type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375A
KR20180138375A KR1020170078520A KR20170078520A KR20180138375A KR 20180138375 A KR20180138375 A KR 20180138375A KR 1020170078520 A KR1020170078520 A KR 1020170078520A KR 20170078520 A KR20170078520 A KR 20170078520A KR 20180138375 A KR20180138375 A KR 2018013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ng
center
washing machine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17007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375A/en
Publication of KR2018013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10Covers; Hand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manual wash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ating part which is opened at an upper part thereof to receive laundry therein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to rotate; a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rotating part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part by rotating the handle connected to a gear combina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 part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inner wall and the rotating part accommodated therein, and a body part for allowing washing water so as to rotate, while the rotating part rotates, while forming a wave height of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projecting part. Therefore, enhancing a cleaning force by forming a height difference of the washing water by a gap between the water tank and an inner wall of a water tank while rotating the washing container.

Description

수동형 세탁장치{MANUAL TYPE WASHING MACHINE}MANUAL TYPE WASHING MACHINE [0001]

본 발명은 수동형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세탁통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iv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manually rotating a washing machine.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조의 회전 또는 회전판의 회전 등의 물리적 작용과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화학적 작용을 이용해 섬유조직 내에 침투한 이물질을 탈락시키거나 얼룩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세탁기는 유럽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드럼식(cylinder type)과, 아메리카주 지역의 교반식(agitator type), 그리고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와권식(pulsator type)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Generally, a washing machine refers to a devic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or removes foreign matter that has penetrated into a fiber structure by using a physical action such as a rotation of a washing tub or rotation of a rotating plate, and a chemical action such as a detergent or a fabric softener. Washing machin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ylinder type used in Europe, agitator type used in America, and pulsator type us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Japan.

그러나, 현대 생활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세탁기는 그 크기가 대형화되어 세탁물이 적은 경우에는 물낭비가 심하게 된다. 또한, 세탁기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 전기의 소모가 심하므로 속옷이나 양말과 같은 세탁물은 손세탁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저개발 국가의 경우에는 수도시설이나 전기시설의 부족으로 전동식 세탁기를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a washing machine, which is a necessity of modern life, becomes large in size, and when the laundry is small, water is wasted. In addition, when the washing machine is frequently used, the laundry is often hand washed, such as underwear or socks, because the electricity is consumed. Especially, in the case of underdeveloped countries, there is a limitation that electric washing machine can not be used due to lack of water facilities or electric facilities.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6643호(2011.08.12 공고)는 소형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속옷류와 같은 비교적 작은 경량 세탁물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를 기존의 세탁기에 대비하여 소형으로 제작하되, 소형인 사이즈를 고려하여 세탁물을 세탁조에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세탁조를 전방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세탁조의 상단부에 세탁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진동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세탁조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6643 (published on Aug. 12, 2011) discloses a compact washing machine, which can be used for a relatively small lightweight laundry such as underwear, And a vibration preven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washing tub in a rotatable manner at the upper end of the washing tub so that the laundry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ashing tub in consideration of the small size,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의 기술도 전동식이라는 점에서 정전시나 전기시설이 미비한 국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s also of electric typ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country where electricity is not available or electric facilities are insufficien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동으로 세탁통을 회전시켜 무전원으로 세탁을 할 수 있으며, 세탁통이 회전하면서 수조 내벽과의 간격 차이로 세탁용수의 파고를 형성하여 세척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기어조합으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안정적으로 세탁통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형 세탁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assive washing apparatus in which a user can stably rotate the washing tub with a smal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고,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와, 기어조합에 연결된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개구된 상부와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내부에 상기 회전부를 수용하고, 내벽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세탁용수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기 설정된 높이의 파고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A passive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able rotating part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receiving laundry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being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wherein the washing water is circulated by the protrusions to the washing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body portion for rotating while forming a cres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중심부에 서로 맞물려서 배열되는 상기 기어조합과, 상기 기어조합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조합 중 일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기어조합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조합 중 일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의 상부와 맞물리는 가압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lid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s a handle formed thereon, a gear combination that is meshed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And a handle rotatab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gear combination and engag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plate to rotate .

또한, 상기 기어조합은,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중심기어와, 상기 중심기어의 일측에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1 보조기어와, 상기 중심기어의 타측에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2 보조기어와, 상부에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제1 보조기어 및 상기 제2 보조기어의 외측과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ar combination may include a center gear that rotates about a central axis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a first auxiliary gear that rotates while meshing with one side of the center gear, and a second auxiliary gear that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gear. And a ring gear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at an upper portion and which rotates while meshing with an oute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gear and the second auxiliary gear.

또한,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기 핸들까지의 높이와, 상기 핸들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중심기어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1 : 2.5 내지 3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from the rotating plate to the handle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andle to the center of the center gear may be in a range of 1: 2.5 to 3.

또한, 상기 회전부는, 바닥면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에 탈착되며, 내부에 세라믹볼을 수용하는 세라믹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ceramic cylinde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suppor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ccommodates a ceramic ball therein.

이에 따라, 수동으로 세탁통을 회전시켜 무전원으로 세탁을 할 수 있다. 또한, 세탁통이 회전하면서 수조 내벽과의 간격 차이로 세탁용수의 파고를 형성하여 세척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어조합으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안정적으로 세탁통을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washing machine can be washed by the non-power source by rotating the washing tub manually.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can be strengthened by forming the peaks of the washing water by the gap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while rotating the washing tub. Further, the user can stably rotate the washing tub with a small force by a plurality of gear combin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의 사시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구동부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회전부와 가압판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구동부의 핸들과 기어조합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몸체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passive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ssiv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unit of the passiv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ry part and the pressure plate in the passiv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FIG. 1. FIG.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handle and a gear combination of a driving part of the passiv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FIG. 1;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art of the passive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precedent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의 사시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구동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회전부와 가압판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구동부의 핸들과 기어조합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 중 몸체부의 단면 구성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ssive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passive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rotary part and a pressure plate in the passiv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art of the passive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100)는 회전부(110), 구동부(120) 및 몸체부(130)를 포함한다.1 to 6, a passiv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unit 110, a driving unit 120, and a body unit 130.

회전부(11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세탁물을 수용한다. 이 경우, 회전부(110)는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부측의 둘레와 하부측의 둘레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회전부(1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ry part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upper part to receive the laundry. In this case, the rotation unit 11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in two stages.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id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otat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구체적으로, 회전부(110)는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111)과 굴곡부(112)가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공(111)을 통해 세탁용수가 회전부(110)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된다. 굴곡부(112)는 회전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돌출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112)는 회전부(110)가 회전시 회전부(110) 내측의 세탁용수에 파고를 유도하여 물살에 의해 세척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Specifically, the rotation part 11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and a curved part 112 on a side surface thereof.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rotary part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or flows out to the outside. The bent portions 112 may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portion 110 and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bending part 112 induces a wave to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rotary part 110 when the rotary part 110 rotates, thereby enhancing the cleaning force by the water.

또한, 회전부(11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3)는 후술하는 몸체부(130)의 중심돌출부(133)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중심돌출부(133)의 상단에는 돌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수용부(113)와 점접촉을 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part 110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part 113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The receiving portion 113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center projecting portion 133 of the body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projection 133 to make point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3,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

또한, 회전부(1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면에 내측걸림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걸림부(114)는 회전부(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구동부(120)의 가압판(124)의 외측걸림부(124-1)와 걸려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가압판(124)의 외측걸림부(124-1)가 회전부(110)의 내측걸림부(114)에 걸려지면서 회전부(110)가 회전하게 된다.4, the rotation part 110 may have an inner engagement part 1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 inner engaging portion 114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engaging portion 124-1 of the pressing plate 124 of the driving portion 120 described later. In other words, the outer engaging portion 124-1 of the pressure plate 124 is caught by the inner engaging portion 114 of the rotating portion 110, and the rotating portion 110 is rotated.

구동부(120)는 기어조합(122)에 연결된 핸들(125)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부(110)의 개구된 상부와 맞물리면서 회전부(110)를 회전시킨다. 다시 말해, 구동부(1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120)는 덮개(121), 기어조합(122), 회전판(123), 가압판(124) 및 핸들(125)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120 rotates the handle 125 connected to the gear combination 122 and rotates the rotating unit 110 while engaging with the opened top of the rotating unit 110. In other words, the driving unit 120 allows the user to manually rotate the rotation unit 110. [ The driving unit 120 includes a lid 121, a gear combination 122, a rotating plate 123, a pressing plate 124, and a handle 125.

덮개(121)는 몸체부(13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면서 몸체부(130)의 내부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덮개(121)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덮개(121)의 상부에는 손잡이(121-1)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21-1)는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121)의 중앙에는 기어조합(122)이 위치하고, 덮개(121)의 하부에는 가압판(124)이 위치한다.The lid 121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30 and fixed to the body part 130 to close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30. The lid 121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handle 12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21. The handle 121-1 protrudes in a semicircular shape and can be formed to be easy to grasp by the user. A gear combination 12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id 121 and a pressure plate 124 is located below the lid 121.

기어조합(122)은 복수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기어조합(122)는 덮개(121)의 중심부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기어조합(122)은 중심기어(122-1), 제1 보조기어(122-2), 제2 보조기어(122-3), 링기어(122-4)를 포함한다.The gear combination 122 is form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gears mesh with each other. The gear combination 122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lid 121. Specifically, the gear combination 122 includes a center gear 122-1, a first auxiliary gear 122-2, a second auxiliary gear 122-3, and a ring gear 122-4.

중심기어(122-1)는 중심축(122-11)을 회전시킨다. 이 경우, 중심축(122-11)의 일측에는 가압판(124)이 연결된다. 다시 말해, 중심기어(122-1)가 회전하면서 이와 연결된 중심축(122-11)이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판(124)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The center gear 122-1 rotates the center shaft 122-11. In this case, a pressure plate 12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axis 122-11. In other words, as the center gear 122-1 rotates, the central shaft 122-11 connected to the center gear 122-1 rotates together, and the pressure plate 124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제1 보조기어(122-2)는 중심기어(122-1)의 일측에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제1 보조기어(122-2)는 제1 보조축(122-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보조기어(122-2)는 일측이 중심기어(122-1)와 접촉하여 맞물리고, 타측이 후술하는 링기어(122-4)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rotates while engaging with one side of the center gear 122-1. 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rotates around the first auxiliary shaft 122-21. One side of 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gear 122-1 and is engaged while the other side thereof is engaged with the later-described ring gear 122-4.

제2 보조기어(122-3)는 중심기어(122-1)의 타측에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제2 보조기어(122-3)는 제2 보조축(122-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보조기어(122-3)는 일측이 중심기어(122-1)와 접촉하여 맞물리고, 타측이 후술하는 링기어(122-4)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The second auxiliary gear 122-3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gear 122-1. And the second auxiliary gear 122-3 rotates about the second auxiliary shaft 122-31. One side of the first auxiliary gear 122-3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gear 122-1 and is engaged while the other side thereof is engaged with the later-described ring gear 122-4.

링기어(122-4)는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기어이다. 링기어(122-4)는 내측에 상술한 중심기어(122-1), 제1 보조기어(122-2) 및 제2 보조기어(122-3)가 위치한다. 이 경우, 중심기어(122-1), 제1 보조기어(122-2), 제2 보조기어(122-3) 및 링기어(122-4)는 수평면 상에 배열된다. 링기어(122-4)의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홈(122-41)이 형성된다. 결합홈(122-41)은 회전판(123)의 결합돌기(123-1)에 의해 결합한다. 이는 회전판(123)과 링기어(122-4)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ing gear 122-4 is a ring-shaped gear having an inner gear teeth. The center gear 122-1, 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and the second auxiliary gear 122-3 described above are located inside the ring gear 122-4. In this case, the center gear 122-1, 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the second auxiliary gear 122-3, and the ring gear 122-4 are arranged on the horizontal plane.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122-41 are formed on the ring gear 122-4. The engaging grooves 122-41 are engaged by the engaging protrusions 123-1 of the rotating plate 123. This is to allow the rotary plate 123 and the ring gear 122-4 to rotate together.

회전판(123)은 기어조합(122)의 상부에 위치하여 기어조합(122) 중 링기어(122-4)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이 경우, 링기어(122-4)가 회전하면 제1 보조기어(122-2) 및 제2 보조기어(122-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중심기어(122-1)가 제1 보조기어(122-2) 및 제2 보조기어(122-3)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123)의 상부 일측에는 핸들(125)이 연결된다. 핸들(125)을 통해 회전판(123)은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123)의 하부에는 결합돌기(123-1)가 형성되며, 결합돌기(123-1)는 링기어(122-4)의 결합홈(122-41)과 연결된다.The rotating plate 12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ear combination 122 and is connected to the ring gear 122-4 of the gear combination 122 and rotates. In this case, when the ring gear 122-4 rotates, 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and the second auxiliary gear 122-3 are rotated, so that the center gear 122-1 is rotated by the first auxiliary gear 122-1, And is rotated by the first auxiliary gear 122-2 and the second auxiliary gear 122-3. A handle 125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p of the rotating plate 123. The rotating plate 123 is rotated through the handle 125. [ A coupling protrusion 123-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otary plate 12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3-1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122-41 of the ring gear 122-4.

가압판(124)은 기어조합(122)의 하부에 위치하여 기어조합(122) 중 중심기어(122-1)의 중심축(122-11)과 연결되어 회전한다. 가압판(124)은 회전부(110)의 상부와 맞물리면서 가압한다. 가압판(124)의 외측돌기(124-1)가 회전부(110)의 내측돌기(114)와 맞물리면서 회전시키게 된다. 가압판(124)은 반구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sure plate 124 is positioned below the gear combination 122 and connected to the center shaft 122-11 of the center gear 122-1 of the gear combination 122 to rotate. The pressure plate 124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unit 110 and presses them. The outer protrusion 124-1 of the pressure plate 124 is rot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inner protrusion 114 of the rotary part 110. [ The pressure plate 124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핸들(125)는 회전판(123)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한다. 핸들(125)은 사용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자전하면서, 그와 연결된 회전판(123)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핸들(125)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핸들(125)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회전판(123)의 일측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andle 12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123 and rotates. The handle 125 rotates as the user rotates, allowing the rotating plate 123 connected thereto to rotate in conjunction therewith. The shape of the handle 125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Further, the handle 125 may be formed to be folded to one side of the rotary plate 123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20) 중 중심축(122-11)과 핸들(125) 간에는 기 설정된 비율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123)으로부터 핸들(125)까지의 높이(T)와, 핸들(125)의 중심부로부터 중심축(122-11)까지의 거리(R)는 1 : 2.5 내지 3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최소한의 힘으로 회전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5, the center axis 122-11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handle 125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ratios. For example, the height T from the rotating plate 123 to the handle 125 and the distance R from the center of the handle 125 to the center axis 122-11 are in a ratio of 1: 2.5 to 3 .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rotary part 110 with a minimum force.

몸체부(130)는 내부에 회전부를 수용하는 수조이다. 몸체부(13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회전부(110)가 회전하면서 세탁용수가 기 설정된 높이의 파고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몸체부(130)와 회전부(110) 사이에 위치하는 세탁용수는 돌출부(131)에 의해 파고가 형성되어 높이차가 발생한다. 위로 올라간 세탁용수는 아래로 내려오면서 세탁물을 접촉하면서 세탁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돌출부(131)는 수평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30 is a wa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portion therein. The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30. The projecting portion 131 is configure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form a wave height of predetermined height while the rotating portion 110 rotates. The washing water located between the body part 130 and the rotary part 110 is crushed by the protruding part 131 and a height difference is generated. The washing water that has climbed upwards moves downward, thereby enhancing the washing power while contacting laundry. In this case, the projecting portion 131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horizontal section.

또한, 몸체부(130)의 하부 일측에는 배수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32)는 마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된다. 몸체부(130)의 바닥면에는 중심돌출부(133)가 형성된다. 중심돌출부(133)는 회전부(110)의 수용홈(113)과 맞닿으며, 회전부(110)가 회전시 무게 중심을 잡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중심돌출부(133)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수용홈(113)과 점접촉이 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 drain port 132 may b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30. The drain port 132 is opened and closed by a cap (not shown). A center protrusion 13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30. The central projecting portion 133 abuts the receiving recess 113 of the rotating portion 110 and serves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when the rotating portion 110 rotates. In this cas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central projection 133 to make point contact with the receiving recess 113,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세탁장치(100)는 세라믹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통(140)은 회전부(110)의 수용홈(113)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다. 세라믹통(140)에는 세라믹 성분의 물질이 수용된다. 회전부(110)가 회전하면서 물에 이온화를 촉진시켜 친환경적으로 빨래를 세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세라믹통(140)은 수용홈(113)과 탈착구조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assiv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eramic cylinder 140. The ceramic cylinder 140 can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3 of the rotary part 110. A ceramic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ceramic cylinder (140). So that the rotating part 110 rotates to promote ionization of water to clean the laundry environmentally. The ceramic cylinder 140 is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with the receiving recess 113, and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a descrip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수동형 세탁장치
110 : 회전부
111 : 관통공
112 : 굴곡부
113 : 수용부
114 : 내측걸림부
120 : 구동부
121 : 덮개
121-1 : 손잡이
122 : 기어조합
122-1 : 중심기어
122-11 : 중심축
122-2 : 제1 보조기어
122-21 : 제1 보조축
122-3 : 제2 보조기어
122-31 : 제2 보조축
122-4 : 링기어
122-41 : 결합홈
123 : 회전판
123-1 : 결합돌기
124 : 가압판
124-1 : 외측걸림부
125 : 핸들
130 : 몸체부
131 : 돌출부
132 : 배수구
133 : 중심돌출부
140 : 세라믹통
100: Passive washing machine
110:
111: Through hole
112: bend
113:
114:
120:
121: Cover
121-1: Handle
122: gear combination
122-1: center gear
122-11: center axis
122-2: First auxiliary gear
122-21: 1st auxiliary axis
122-3: Second auxiliary gear
122-31: Second auxiliary axis
122-4: ring gear
122-41: Coupling groove
123: Spindle plate
123-1:
124: pressure plate
124-1:
125: Handle
130:
131: protrusion
132: drain
133: central protrusion
140: ceramic trough

Claims (5)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고,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기어조합에 연결된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개구된 상부와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내부에 상기 회전부를 수용하고, 내벽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세탁용수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기 설정된 높이의 파고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수동형 세탁장치.
A rotary part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receive laundry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side surface thereof and rotated;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tation unit while engag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unit by rotating the handle connected to the gear combination; And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laundry,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중심부에 서로 맞물려서 배열되는 상기 기어조합;
상기 기어조합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조합 중 일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기어조합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조합 중 일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의 상부와 맞물리는 가압판; 및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수동형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ver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handle formed thereon;
The gear combination arranged in meshing engagement with the center of the cover;
A rotating plate disposed on the gear combination and connected to and rotating with a part of the gear combination;
A pressing plate which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ear combination and rotates in connection with a part of the gear combination, and engages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portion; And
And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rota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조합은,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는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의 일측에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1 보조기어;
상기 중심기어의 타측에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2 보조기어; 및
상부에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제1 보조기어 및 상기 제2 보조기어의 외측과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수동형 세탁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gear combination,
A center gear for rotating a central shaft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A first auxiliary gear rotatably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center gear;
A second auxiliary gear which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gear; And
And a ring gear which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at an upper portion and which rotates while meshing with an oute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gear and the second auxiliary ge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기 핸들까지의 높이와, 상기 핸들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중심기어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1 : 2.5 내지 3의 비율로 형성되는 수동형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height from the rotation plate to the handle and a distance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to a center portion of the center gear are formed in a ratio of 1: 2.5 to 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수용홈에 탈착되며, 내부에 세라믹볼을 수용하는 세라믹통을 더 포함하는 수동형 세탁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ceramic cylinder detachably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center of a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part and containing a ceramic ball therein.
KR1020170078520A 2017-06-21 2017-06-21 Manual type washing machine KR201801383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20A KR20180138375A (en) 2017-06-21 2017-06-21 Manual type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20A KR20180138375A (en) 2017-06-21 2017-06-21 Manual type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75A true KR20180138375A (en) 2018-12-31

Family

ID=6495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520A KR20180138375A (en) 2017-06-21 2017-06-21 Manual type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3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0267B2 (en) Tool for cleaning vessels
KR101954197B1 (en) Washing machine
US9328450B2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US20220235513A1 (en) Fabric treating appliance comprising a scrubbing tool
EP2562303A2 (en) Water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569058B1 (en) Washing machine for motorized wet mop cleaner
KR20150077264A (en) Washing Machine
JP2007082784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BR102013015672A2 (en)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for household appliances
US2119918A (en) Fabric cleansing machine
JP5931384B2 (en) Washing machine
KR850001645B1 (en) Washing machine available dehydration
KR20180138375A (en) Manual type washing machine
KR20140070010A (en) Detachable washing tub
JP2017189529A (en) Washing machine
CN206337407U (en) Washing ball and the washing machine with washing ball
CN107723993A (en) Degerming ball
KR20180055326A (en) Manual type washing machine composed of ceramic ball
KR101787844B1 (en) Manual type washing machine
JP3212457U7 (en)
EP2133457A1 (en)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with a multifunction detergent dispenser, and relative operating method
KR200292035Y1 (en) washing machine for mounting/separating washing container
KR200330083Y1 (en) Scrub brush
CN113493971A (en) Shoe washing machine
KR20120004199U (en) Manual washing and dehyd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