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248A -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 Google Patents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248A
KR20180138248A KR1020170077542A KR20170077542A KR20180138248A KR 20180138248 A KR20180138248 A KR 20180138248A KR 1020170077542 A KR1020170077542 A KR 1020170077542A KR 20170077542 A KR20170077542 A KR 20170077542A KR 20180138248 A KR20180138248 A KR 2018013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irectional fan
discharge
air
air clean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2169B1 (en
Inventor
홍현진
강상우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69B1/en
Publication of KR2018013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individually provided with intake ports; a discharge flow path (150) communicating with each outlet of the bi-directional fans; and at least two outlets placed in the discharge flow path (150), and having a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

Description

배출 유로를 이용하는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bi-

본 발명은 배출 유로를 이용하는 다수의 양방향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having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using an exhaust passage.

공기 청정기는 팬(fan)의 회전에 의해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기하여 여과한 후 다시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기기이다.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air by sucking air containing pollutants by the rotation of a fan, filtering the air,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공기 청정기에는 단방향 팬(single-directional fan)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단방향 팬은 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중 일측에서 공기를 흡기하고 타측에서 공기를 토출하는데, 그 토출 방향이 지면을 기준으로 공기 청정기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외부 공기는 공기 청정기의 측면을 통하여 흡기되고, 여과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의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토출되어, 공기 청정기가 위치하는 공간(방, 거실 등) 전체에 걸쳐 여과된 공기가 대류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한다. A single-directional fan is commonly used for air purifiers. The unidirectional fan sucks air from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and discharges air from the other side of the fan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thereof is directed to the top of the air cleaner with reference to the ground surface,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vertically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air purifier, and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entire space (room, living room, etc.)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placed is convected to purify the air.

공기 청정기의 성능을 지칭하는 지수 중 하나는 용량이다. 풍량 또는 사용면적으로 지칭되기도 하여, 시간 당 부피 단위(예를 들어, 6.9m3/min)로 계량되거나, 또는 방 면적(예를 들어, 41.6m2)으로 계량되기도 한다. 공기 청정기의 용량이 클수록 보다 넓은 공간을 신속하게 정화한다.One of the indices referr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air cleaner is capacity. Also referred to as air volume or area of use, may be metered in volumetric units per hour (e.g., 6.9 m3 / min), or metered in area (e.g., 41.6 m < 2 >). The larger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the faster the space is cleaned.

이러한 공기 청정기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양방향 팬(bi-directional fan)을 이용하는 다수의 특허들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양방향 팬은 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모두에서 공기를 흡기하고 상측 또는 하측과 같이 다른 일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이다.A number of patents using bi-directional fan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such air cleaners are known. Here, the bidirectional fan is a fan that draws in air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and discharges air to the other side, such as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JP 2016-016340A는 1개의 양방향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JP 2016-125371A는 2개의 양방향 팬을 구비하고, 각각의 양방향 팬이 원심 원리로 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계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CN 205089654U는 2개의 양방향 팬을 구비한 수직형 에어컨을 개시하는데, 공기 흡입 원리가 공기 청정기와 공통된다. JP 2016-016340A discloses an air purifier having one bidirectional fan. JP 2016-125371A discloses an air purifier having two bidirectional fans, each bidirectional fan being designed to draw more air into the centrifugal principle. CN 205089654U discloses a vertical air conditioner with two bidirectional fans, in which the air intake principle is common to the air purifier.

그러나 위의 종래 기술들 모두 공기 청정기의 용량 확대 또는 공기 청정기가 흡입하는 공기량 증가만을 목적으로 할 뿐이다. However, all of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only aim at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air cleaner or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sucked by the air cleaner.

예를 들어, 양방향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는 단방향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와 비교하여 공기 흡입구 면적이 두 배가 되지만 공기 토출구 면적은 동일하다는 점이 중요한데, 공기 토출구 또는 그 토출 유로를 어떻게 배치하고 제어할지에 대한 고찰이 종래 기술들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양방향 팬을 적층하는 것에 불과하다.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hat the air cleaner having a bidirectional fan has an air suction port area twice that of an air purifier having a unidirectional fan, but the area of the air discharge port is the same. Is not identified in the prior art. In the prior art, merely laminating the bi-directional fan is merely performed.

양방향 팬을 단순 적층할 경우, 공기 청정기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간섭 발생시 공기는 와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대류 효과가 감소하여 오히려 공기 청정기 용량이 많이 증가하지 못하고, 팬에 의한 소음 및 소비 전력만 증가하게 된다.When the bidirectional fan is simply stacked, mutual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In case of interference, the air forms a vortex. In this case, the convection effect is reduced, so that the air cleaner capacity is not increased much, and only noise and power consumption by the fan are increased.

(특허문헌 1) JP 2016-016340A(Patent Document 1) JP 2016-016340A

(특허문헌 2) JP 2016-125371A(Patent Document 2) JP 2016-125371A

(특허문헌 3) CN 205089654U(Patent Document 3) CN 205089654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양방향 팬을 둘 이상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에서, 흡기구 및 토출구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양방향 팬에 특화된 제어 모드를 추가함으로써, 양방향 팬의 장점인 용량 증가 효과는 극대화하면서도 다양한 제어 모드를 통한 소비자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in an air cleaner using two or more bidirectional fans, by effectively arranging intake and exhaust ports and adding a control mode specific to the bidirectional fan, the capacity increase effect,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bidirectional fan, is maximized, The air purifier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 다수의 흡기구를 구비한 복수의 양방향 팬(bi-direction fan); 상기 복수의 양방향 팬의 각각의 토출구와 연통하는 배출 유로(150); 및 상기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며, 서로 상이한 배출 방향을 갖는 둘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each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ports; A discharge passage (150)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And two or more discharge ports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and having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s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복수의 양방향 팬의 토출구들은 상부에서 공기 청정기의 일 측부를 향하도록 수직 방향에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s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are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ace the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t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양방향 팬은 상부 양방향 팬(110)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는 둘 이상의 토출구는, 상부 토출구(130) 및 측부 토출구(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idirectional fan includes an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a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wo or more discharge ports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nclude an upper discharge port 130 and a side discharge port 140 .

또한, 상기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상부 토출구(130) 또는 상기 측부 토출구(14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 전환 부재(15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located in the discharge path 150 and selectively discharg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150 to either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or the side discharge port 140 .

또한, 상기 측부 토출구(140)는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각각의 토출구 정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discharge ports 140 are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discharge front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의 개수는 상기 측부 토출구(140)의 개수와 동일하여,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 각각이 상기 측부 토출구(140)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passage switching members 155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side discharge openings 140 so that each of the passage switching members 155 can close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또한,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측부 토출구(140)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상부 토출구(130)가 폐쇄되고,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상부 토출구(130)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상기 측부 토출구(140)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o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is closed and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o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is closed by the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과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may be rotatable.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과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 사이에 회전 부재(10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부재(10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과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이 회전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토출구(114)와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토출구(124)의 토출 방향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101 and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1,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14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discharge port 124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may be changed.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하우징인 좌우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preferably housed in left and right staggered positions.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은 엇갈린 좌측 토출구(114A) 및 우측 토출구(114B)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은 엇갈린 좌측 토출구(124A) 및 우측 토출구(124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has staggered left discharge ports 114A and right discharge ports 114B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has staggered left discharge ports 124A and right discharge ports 124B. .

또한, 상기 배출 유로(150)는 복수 개이며,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좌측 토출구(114A)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좌측 토출구(124A)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어느 하나의 유로(150A)로 토출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우측 토출구(114B)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우측 토출구(124B)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다른 하나의 유로(150B)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discharge port 114A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eft discharge port 124A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discharged through one of the discharge passages 120,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discharge port 114B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discharge port 124B through the right discharge port 124B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discharged to the other flow path 150B .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대류 청정 모드에서,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상기 상부 토출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ir purifier, it is preferable that, in the convection clean mode,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by the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직접 청정 모드 또는 냉각 모드에서,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상기 측부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rect air cleaning mode or the cooling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by the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RPM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RPMs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미세먼지 정화 모드에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RPM이 보다 증가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fine dust cleaning mode, the air cleaner is preferably controlled such that the RPM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큰먼지 정화 모드에서,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RPM이 보다 증가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large dust cleaning mode, the air cleaner is preferably controlled such that the RPM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가 상기 공기 청정기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과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ir inle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air inle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2 inlet port 113 and the second inlet por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cleaner.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 외측에는 각각 제습 모듈(193) 및 가습 모듈(198)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ir inle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second air inle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first air inle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dehumidifying module 193 and the humidifying module 198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air intake port 123 of the fan 120.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 외측에는 각각 유로 차단 부재(199)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ir inle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second air inle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first air inle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path blocking member 199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air inlet 123 of the fan 120. [

또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에 걸쳐 하나의 필터부가 위치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13)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에 걸쳐 다른 하나의 필터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터부들의 최외곽에만 필터 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filter sec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intake por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nd the second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frame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filter units, and the filter unit is positioned over the second intake por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본 발명에 의하여, 4개 이상의 흡기구에서 많은 공기가 흡입되고, 여과되어, 2개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바, 높은 용량의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양방향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공통된 배출 유로에 유입된 후 다양한 모드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capacity air cleaner in which a large amount of air is sucked, filtered, and discharged through two or more discharge ports at four or more suction port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leaner in which ai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flows into a common discharge passage, and then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demand according to various modes.

특히, 양방향 팬의 RPM을 독립적으로 적절하게 제어함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 모드", "큰먼지 정화 모드", "원거리 청정 모드", "근거리 청정 모드", "다인실 청정 모드", "냉각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Especially, by controlling the RPM of the bidirectional fan independently and appropriately, the "fine dust cleaning mode", the "large dust cleaning mode", the "long clean mode", the "close clean mode" &Quot; and the like.

예를 들어, 넓은 면적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정화하고자 하는 경우,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만 집중적으로 정화하고자 하는 경우,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 날씨가 더워서 선풍기의 기능까지도 동시에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등 소비자의 다양한 의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intended to purify a large area as a whole, to purify only the air around the air cleaner, when there is a lot of fine dust, when the weather is hot and the function of an electric fan is simultaneously realized, Intentions can be met.

좌우 측면에 위치한 각각 2개 이상의 흡기구를 커버하는 하나의 필터부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필터부에서 2개 이상의 흡기구를 커버함으로써, 필터의 전면적을 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대한 많은 면적의 필터를 사용하도록 하여, 필터의 상당 부분이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필터를 교체하여야 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ne filter unit may be used to cover two or more intake ports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By covering two or more intake ports in one filter section, it is possible to evenly use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thereby allowing the use of the largest possible area of the filter, so that the problem of replacing the filter even though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filter has not been used Can be solved.

좌우 측면에 위치한 각각 2개 이상의 흡기구에는 제습 모듈 및 가습 모듈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 겸용 제습기, 공기 청정기 겸용 가습기, 공기 청정기 겸용 제가습기 등 습기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 dehumidifying module and a humidifying module can be freely selected for each of the two or more inlet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ly, a dehumidifier, an air cleaner, a humidifier, and an air cleaner, both serving as an air purifier,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moisture, such as mois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설명을 위하여 배출 유로 및 제습 모듈과 가습 모듈은 도시가 생략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방향 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방향 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구비될 수 있는 제습 모듈 및 가습 모듈을 도시한다. 설명을 위하여, 제습 모듈 및 가습 모듈을 제외한 공기 청정기 본체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도 5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다양한 모드를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shows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discharge flow path and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are omitted.
Figure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bi-directional fan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bi-directional fa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FIG. 4 illustrates a dehumidifying module and a humidifying module that may be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air purifier main body except for the dehumidifying module and the humidifying module is omitted.
5 to 6 show various mode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미세먼지"는 입경 10㎛ 이하의 먼지를 의미하며, 미세먼지의 입경보다 큰 입경의 먼지를 "큰먼지"로 지칭한다. 여기서 "먼지"는 분진뿐만 아니라, 대기 중 부유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 fine dust " means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0 mu m or less, and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fine dust is referred to as " large dust ". Here, "dus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only dust but also various pollutants floating in the atmosphere.

이하에서, 팬의"RPM"은 팬의 분당 회전수(rotation per minute)을 의미하는 것으로, 팬의 RPM을 제어하는 것은 팬의 동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기타 부재를 이용하여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term " RPM " of the fan means the rotation per minute of the fan, and the RPM of the fan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fan or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by using other members .

이하에서, "상부" 또는 "상면"은,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지면을 기준으로 위쪽 또는 위쪽 면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부" 또는 "하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아래쪽 또는 아래쪽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하부를 잇는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지칭한다. Hereinafter, " upper " or " upper surface " means the upper or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which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and " lower " And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referred to as " vertical direction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공기 청정기의 설명1. Description of ai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각각 다수의 흡기구(예를 들어, 2개의 흡기구)를 구비한 복수의 양방향 팬(bi-direction fan); 복수의 양방향 팬의 각각의 흡기구와 연통하는 배출 유로(150); 및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며, 서로 상이한 배출 방향을 갖는 둘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each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ports (for example, two intake ports); A discharge passage (150) communicating with an inle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And two or more discharge ports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and having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s from each other.

도면에서는 2개의 양방향 팬(110, 120)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가 도시되나, 셋 또는 그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모든 양방향 팬에서 토출된 공기는 배출 유로(15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In the drawing, an air cleaner having two bidirectional fans 110 and 120 is shown, but three or more air cleaners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air discharged from all the bidirectional fan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50.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2개의 양방향 팬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se where two bidirectional fans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1.1 양방향 팬의 배치와 공기 청정기의 구조1.1 Layout of a bi-directional fan and structure of an air purifier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는 상부 양방향 팬(110)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ir purifier includes an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a lower bidirectional fan 120.

상부 양방향 팬(110)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의 토출구는 상부에서 일 측부를 향하도록 수직 방향에서 경사지게 위치한다. 이를 통하여 상부 양방향 팬(110) 및 하부 양방향 팬(120)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는 토출구들 전면에 위치하는 배출 유로(150)에 자연스럽게 유입된다.The discharge ports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ace one side from the upper side. The purified air from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flows naturally into the discharge passage 15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discharge ports.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양방향 팬(110)은 팬(111)과, 팬(111)의 좌우에 위치하는 제 1 흡기구(112) 및 제 2 흡기구(113)과,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4)를 포함한다. 하부 양방향 팬(120)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팬(121)과, 팬(121)의 좌우에 위치하는 제 1 흡기구(122) 및 제 2 흡기구(123)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4)를 포함한다. 토출구(114, 124)에서 토출된 공기는 배출 유로(150)로 유입된다.2,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includes a fan 111, a first air inlet 112 and a second air inlet 113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fan 111, And a discharge port 114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lso includes a fan 121, a first air inlet 122 and a second air inlet 123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of the fan 121, a discharge port 124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s (114, 124) flows into the discharge flow path (150).

공기 청정기의 토출구는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토출구(130) 및 공기 청정기의 일 측부에 위치하는 측부 토출구(140)이다. 이들은 배출 유로(150)와 연통된다.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cleaner is an upper discharge port 13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ide discharge port 140 loca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these are communicated with the discharge passage 150.

다시 말해, 배출 유로(150)에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 양방향 팬(110)의 토출구(114)와 하부 양방향 팬(120)의 토출구(124)와 연통하는 한편,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부 토출구(130)와 측부 토출구(140)가 위치한다.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passage 150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114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discharge port 124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nto which the purified air flows, while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and the side discharge port 140 are located.

배출 유로(150)에는 유로 전환 부재(155)가 위치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부 토출구(130)와 측부 토출구(140) 중 어느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될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The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is positioned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and the side discharge port 14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예에서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은 회전 가능하다.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함으로써, 양방향 팬의 RPM을 제어하지 않고서도(또는 RPM의 제어와 더불어) 배출 유로(150)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거나 유동 방향에 변화를 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rotatable.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assage 150 can be adjusted or changed in the flow direction without controlling the RPM of the bidirectional fan (or 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RPM).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은 회전은 각각에 구비된 별도의 회전 부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 사이에 1개의 회전 부재(101)를 구비시키고(도 5, 도 6 참조), 1개의 회전 부재(101)를 작동함으로써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을 한 번에 회전시킬 수 있다. The rotation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may be realized by a separate rotary member provided in each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Particularly, by providing one rotating member 101 between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see FIGS. 5 and 6) and by operating one rotating member 101,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can be rotated at a time.

한편,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양방향 팬의 하우징이 엇갈려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는 양방향 팬의 경우 팬(111)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 형상의 좌우 하우징이 체결되어 제조되는데 반하여, 도 3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한 거울 대칭 형상의 좌우 하우징이 소정의 각도만큼 엇갈려 부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양방향 팬에 2개의 토출구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A,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of the bidirectional fan is staggered. In the case of the bidirectional fan shown in FIG. 2, the left and right housings of the mirror symmetrical shape are assembled with the fan 111 as the center, while the left and right housings of the mirror symmetrical shape identical to the abov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wo discharge ports are formed in the bidirectional fan.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양방향 팬(110)은 좌측 토출구(114A) 및 우측 토출구(114B)를 구비하게 되고, 하부 양방향 팬(120) 역시 좌측 토출구(124A) 및 우측 토출구(124B)를 구비하게 된다. 흡기구에는 변화가 없다. 3,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has a left discharge port 114A and a right discharge port 114B,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lso has a left discharge port 124A and a right discharge port 114B. (124B). There is no change in intake port.

각각 2개의 토출구를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양방향 팬에서 2개의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바, 전술한 실시예에서 1개의 배출 유로(150)가 구비되었던 것과 달리,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배출 유로(150A, 150B)를 공기 청정기의 양 측부에 구비시킨다. 이에 따라, 2개의 상부 토출구(130A, 130B)와 총 4개의 측부 토출구(140A, 140B)가 구비되고, 그 제어를 위하여 총 4개의 유로 전환 부재(155)가 구비된다. Air is discharged in two directions from one bidirectional fan by constituting two discharge ports each, unlike the case where one discharge passage 150 is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B, two And the discharge passages 150A and 150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ir cleaner. Accordingly, two upper discharge ports 130A and 130B and a total of four side discharge ports 140A and 140B are provided, and a total of four flow path switching members 155 are provided for the control.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공기 청정기의 상부뿐만 아니라, 양 측부 모두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방향 팬의 좌우 하우징을 제조하여 체결 방향만 다르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바,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다.In this embodiment,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from both sides as well as the top of the air cleaner. Further, since the left and right housings of the same bidirectional fan are manufactured and the fastening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which is economical because no separate equipment is required.

1.2 유로 전환 부재1.2 Flow passage member

유로 전환 부재(155)는 배출 유로(150)에 유입된 공기를 어느 방향으로 토출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면에서는 유로 전환 부재(155)가 공기 청정기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는 플랩(flap)으로 도시되나, 유로 내에서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다른 어떠한 구조이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determines in which direc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flow path 150 is to be discharged. In the drawing,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shown as a flap that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fixed to the air cleaner,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y other structure for changing the flow direction in the flow path is of course possible.

유로 전환 부재(155)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작동한다.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operat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는 유로 전환 부재(155)가 유로(150)의 내벽에 밀착되어 유로(150) 전체를 통한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이며, 제 2 위치는 유로 전환 부재(155)가 유로(150)의 일부를 개방하는 위치이다. 5, 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low path 150 and flows through the entire flow path 150, (155) opens a part of the flow path (150).

이에 따라, 유로 전환 부재(155)가 제 1 위치인 경우(도 5), 배출 유로(150)는 상부 토출구(130)와 연통된다. 즉,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에서 토출된 공기는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측부 토출구(140)로 토출되지 않고 유로(150)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다가 공기 청정기 상부에서 상부 토출구(130)를 통하여 상방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면 넓은 공간을 대류시키기에 적절하다.Accordingly, whe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in the first position (Fig. 5),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communicated with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flows upward along the flow path 150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side discharge port 140 by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And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Thus,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it is suitable for convecting a large space.

유로 전환 부재(155)가 제 2 위치인 경우(도 6), 배출 유로(150)는 측부 토출구(14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에서 토출된 공기는 유로(150) 내에서 상방으로 유동하지 않고 공기 청정기 일 측부에서 구비된 측부 토출구(140)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 경우, 상부 토출구(130)는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측부로 공기가 토출되면 공기 청정기에 인접한 공간을 신속하게 정화시키기에 적절하다.Whe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in the second position (Fig. 6), the discharge flow passage 150 is communicated with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does not flow upward in the flow path 150 but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4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is close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side portion in this way, it is suitable for quickly cleaning the space adjacent to the air cleaner.

즉, 유로 전환 부재(155)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어 모드를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can be easily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and the control mode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by using this.

구체적인 제어 모드는 아래에서 후술한다.Specific control modes will be described below.

한편, 유로 전환 부재(155)가 측부 토출구(140) 자체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즉, 유로 전환 부재(155)가 제 1 위치인 경우, 유로(15)의 내측벽에 밀착됨은 물론, 측부 토출구(140)를 폐쇄하는 것이다(도 5 참조). 이 경우, 정화된 공기가 상부 토출구(130)를 통하여 상부로 토출되는 동안, 별도의 추가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배출 유로(150)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close the side air outlet 140 itself (see FIGS. 5 and 6). In other words, whe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in the first posi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low path 15 and closes the side air outlet 140 (see FIG. 5). In this case, while purified air is being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contaminants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passage 150 without additional members.

1.3 흡기구1.3 Intake air

복수의 양방향 팬의 양방향 흡기구들은 공기 청정기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공통되게 위치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가 공기 청정기의 일측면인 좌측면에 공통되게 위치하고,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과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가 공기 청정기의 타측면인 우측면에 공통되게 위치한다. The bidirectional air inlets of the bidirectional fans are disposed in comm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 clean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air inle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air inle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located in common on the left side, which is one side of the air cleaner, The second air intake port 113 of the air cleaner 110 and the second air intake por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positioned in common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air cleaner.

좌우 측면에 각각 2개의 흡기구가 공통되게 위치하기에, 좌우 측면에서 각각 하나의 필터부(160)만 필요하다. 즉,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에 걸쳐 하나의 필터부가 위치하고,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에 걸쳐 다른 하나의 필터부가 위치한다. Since two intake ports are positioned in comm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nly one filter section 160 is requir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one filter section is positioned over the first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intake por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nd the second intake por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second air inle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he other filter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second air inle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

이러한 필터부(160)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필터 프레임이 없도록 최외곽에만 필터 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日)자가 아닌 구(口)자로 필터 프레임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필터가 위치한다. 종래에 1개의 흡기구에 1개의 필터부가 사용되는 경우 필터 프레임에 인접한 필터는 활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가 교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나,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필터 전체 면적을 2개의 흡기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활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미사용 공간이 줄어들어서, 필터의 수명이 상승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unit 160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filter frame so that there is no filter frame crossing the center. That is, a filter frame is formed by a sphere other than a day, and a filter is located inside. When one filter unit is used in one intake port, the filter adjacent to the filter frame often is replaced in an unutilized state. However, by constructing the filter fram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nused space is reduced, and the lifetime of the filter is increased.

또한,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와 제 2 흡기구(113),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와 제 2 흡기구(123) 외측(즉, 4개의 흡기구 외측)에는 각각 제습 모듈(193) 및 가습 모듈(198)이 자유롭게 선택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air inlet 112 and the second air inle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air inlet 122 and the second air inle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he dehumidifying module 193 and the humidifying module 198 can be freely selected and position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습 모듈(193)은 제습 모듈 하우징(191)에 구비된 열교환기(192)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가습 모듈(198)은 가습 모듈 하우징(196)에 구비된 가습 필터(197)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대신 전열 모듈이 구비되거나, 가습 필터 대신 초음파 가습 장치가 구비되는 등, 다양한 제습 및 가습 모듈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4, one dehumidification module 193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192 provided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housing 191, and one humidification module 198 may include a humidification module housing 196, And a humidifying filter 197 provided in the humidifi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heat transfer module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heat exchanger, or an ultrasonic humidifying device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humidifying filter.

도 4에서는, 좌측 2개의 흡기구 상에는 제습 모듈(193)이 구비되고, 우측 2개의 흡기구 상에는 가습 모듈(198)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2개의 흡기구에 제습 모듈이 구비되고 하부 2개의 흡기구에 가습 모듈이 구비되거나,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4, a dehumidifying module 193 is provided on the left two intake ports, and a humidification module 198 is provided on the right two intake ports.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wo upper air intake ports are provided with a dehumidifying module, The two intake ports may be equipped with a humidification module or may be provid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와 제 2 흡기구(113),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와 제 2 흡기구(123) 가장 외측(즉, 4개의 흡기구 가장 외측)에는 각각 유로 차단 부재(199)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총 4개의 유로 차단 부재(199)를 제어하여 집중 공기 청정이 가능하다.1, the first air inlet 112 and the second air inle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first air inlet 122 and the second air inle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hat is, the outermost four intake ports), respectively. In this case, concentrated air cleaning is possible by controlling four flow path blocking members 199 in total.

예를 들어, 2개의 좌우측 상부 흡기구를 유로 차단 부재(199)가 차단하는 경우 하부에서의 집중 공기 청정이 가능하고, 반대로 2개의 좌우측 하부 흡기구를 유로 차단 부재(199)가 차단하는 경우 상부에서의 집중 공기 청정이 가능하다. 즉, 유로 차단 부재(199)를 이용하면, 상부 양방향 팬(110) 및 하부 양방향 팬(120)에 동력을 가하는 동력 부재의 조작 없이도, 어느 하나의 팬으로의 공기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wo left and right upper air intake ports are blocked by the air flow blocking member 199, centralized air cleaning can be performed in the lower portion. On the other hand, when two left and right lower air intake ports are blocked by the air flow blocking member 199, Centralized air cleaning is possible. That is, by using the flow path blocking member 199,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flow of air into any one of the fans without operating any of the power members for energizing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1.4 양방향 팬의 독립 제어1.4 Independent Control of Bidirectional Fans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복수의 양방향 팬의 RPM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의 RPM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는 각각의 팬에 연결된 동력 부재(미도시)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거나, 전술한 유로 차단 부재(199)를 개폐시킴으로써 가능하다.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PM of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PMs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This can be achiev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a power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each fan, or by opening and closing the above-described flow passage blocking member 199.

이를 통하여, 상부의 미세먼지를 집중 정화하거나, 하부의 큰먼지를 집중 정화하거나, 청정 공기를 보다 멀리 토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modes such as intensive purifying fine dust on the upper part, concentrating large dust on the lower part, and discharging clean air farther.

독립 제어를 통한 다양한 모드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various modes through independent control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2. 다양한 공기 청정 모드2. Various air cleaning modes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유로 전환 부재(155)의 작동, 상부 양방향 팬(110)과 하부 양방향 팬(120)의 온/오프 내지 RPM 제어, 유로 차단 부재(199)의 작동 등을 조합하여 다양한 공기 청정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the on / off control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he operation of the flow blocking member 199, So that various air cleaning mode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2.1 "대류 청정 모드"2.1 "Convection clean mode"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에서 상부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여, 대류에 의하여 공간을 전체적으로 정화한다.A general air purifier discharges purified air from an air cleaner to purify the space as a whole by convection.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유로 전환 부재(155)가 제 1 위치에 위치하여, 배출 유로(150) 내에 유입된 공기가 상부 토출구(130)를 통하여 상부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에 측부 토출구(140)는 유로 전환 부재(155) 또는 별도의 다른 부재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5, similarly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thway 150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can do. At this time, the side discharge port 140 is preferably closed by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or another separate member.

2.2 "직접 청정 모드" 및 "냉각 모드"2.2 "Direct Clean Mode" and "Cool Mode"

공기 청정기에서 측부를 통하여 직접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방식이다. And the purified air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through the side.

이 경우, 공간을 전체적으로 정화시키는 정도는, 대류 청정 모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나, 공기 청정기 근처를 대상으로 정화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토출시키기에 적합하다.In this case, the extent to which the space is entirely cleaned is relatively inadequate as compared with the convection clean mode, but it is suitabl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more quickly in the vicinity of the air cleaner.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로 전환 부재(155)가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상부 토출구(130)를 폐쇄하여, 배출 유로(150) 내에 유입된 공기가 측부 토출구(140)를 통하여 공기 청정기의 측부로 토출되게 한다.6,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is closed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flow path 150 flows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40 To be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air cleaner.

또한, 사용자를 향해 공기를 직접 분사하기에, 하절기 선풍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냉각 모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summer fan to jet air directly toward a us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 cooling mode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전환 부재(155)는 상부 양방향 팬(110)에 인접한 상부 유로 전환 부재(155A)와 하부 양방향 팬(120)에 인접한 하부 유로 전환 부재(155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2개의 유로 전환 부재(155A, 155B)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channel switching member 15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channel switching member 155A adjacent to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a lower channel switching member 155B adjacent to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he two flow path switching members 155A and 155B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예를 들어, 상부 유로 전환 부재(155A)는 제 1 위치이고, 하부 유로 전환 부재(155B)가 제 2 위치인 상태에서 상부 토출구(130)가 폐쇄되어 있으면, 공기 청정기의 측부 중 상측에서 집중적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For example, when the upper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A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is closed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B is in the second position, Air is discharged.

반대로, 상부 유로 전환 부재(155A)는 제 2 위치이고, 하부 유로 전환 부재(155B)가 제 1 위치인 상태에서 상부 토출구(130)가 폐쇄되어 있으면, 공기 청정기의 측부 중 하측에서 집중적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Conversely, when the upper passage switching member 155A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is closed with the lower passage switching member 155B in the first position, air is concentrated inthe lower side of the side portion of the air cleaner And is discharg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일한 "직접 청정 모드" 또는 "냉각 모드"에서도 2개의 유로 전환 부재(155A, 155B)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측부 중 위쪽 또는 아래쪽에서 집중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two flow path switching members 155A and 155B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in the same " direct cleaning mode " or " cooling mode " so that air can be concentratedly discharged from above or below the side.

2.3 그 외의 모드2.3 Other modes

"미세먼지 정화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Quot; Fine dust cleaning mode " can be implemented.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큰먼지보다 입경이 크기에, 지면 근처로 가라앉지 않고 일정 높이로 부유한다. 따라서, 미세먼지를 집중 정화하기 위해서는 상부 양방향 팬(110)의 RPM을 보다 높게 작동시킴으로써, "미세먼지 정화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In general, fine dust is larger in size than large dust, and floats to a certain height without sinking near the ground. Therefore, by operating the RPM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higher to concentrate the fine dust, a " fine dust cleaning mode " can be realized.

"큰먼지 정화 모드"의 구현도 가능하다. Implementation of a " large dust cleaning mode " is also possible.

미세먼지와 달리, 큰먼지는 그 입경 크기로 인하여 지면 근처에 가라앉으므로, 큰먼지를 집중 정화하기 위해서는 하부 양방향 팬(120)의 RPM을 보다 높게 작동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Unlike the fine dust, the large dust sinks near the ground due to the size of the particle. Therefore, in order to concentrate the large dust, the RPM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can be increased.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는 미세먼지 센서를 구비하고, 미세먼지의 양이 일정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전술한 "미세먼지 정화 모드"로 구현되고, 일정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큰먼지 정화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cleaner has a fine dust sensor and is implemented in the above-described " fine dust cleaning mode " when the amount of fine dust is higher than a certain reference value, .

여기서, 총 5개의 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모드들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Here, a total of five modes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various modes no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cable.

예를 들어, 유로 차단 부재(199)를 이용하여 일 측면의 흡기구만 개방하는 "좌측 공기 집중 정화 모드" 또는 "우측 공기 집중 정화 모드", 선택적 또는 자동의 "제가습 모드"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습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제습 또는 가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a "left air intensive purifying mode" or a "right air intensive purifying mode" in which only the intake port on one side is opened by using the flow passage blocking member 199, a selective or automatic "humidifying mode" . Even in this case, dehumidification or humidifica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humidity.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1: 회전 부재
110: 상부 양방향 팬
111: 팬
112: 제 1 흡기구
113: 제 2 흡기구
114(114A, 114B): 토출구(좌측 토출구, 우측 토출구)
120: 하부 양방향 팬
121: 팬
122: 제 1 흡기구
123: 제 2 흡기구
124(124A, 124B): 토출구(좌측 토출구, 우측 토출구)
130(130A, 130B): 상부 토출구
140(140A, 140B): 측부 토출구
150: 배출 유로
155: 유로 전환 부재
155A: 상부 유로 전환 부재
155B: 하부 유로 전환 부재
160: 필터부
191: 제습 모듈 하우징
192: 열교환기
193: 제습 모듈
196: 가습 모듈 하우징
197: 가습 필터
198: 가습 모듈
199: 유로 차단 부재
101: Rotating member
110: Upper bidirectional fan
111: Fan
112: first intake port
113: second intake port
114 (114A, 114B): a discharge port (left discharge port, right discharge port)
120: Lower bidirectional fan
121: Fans
122: first intake port
123: second intake port
124 (124A, 124B): Discharge port (left discharge port, right discharge port)
130 (130A, 130B): Upper discharge port
140 (140A, 140B): Side outlet
150:
155: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A: upper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B: Lower flow path switching member
160:
191: Dehumidification module housing
192: heat exchanger
193: Dehumidification module
196: Housings for humidification modules
197: Humidification filter
198: Humidification module
199:

Claims (21)

각각 다수의 흡기구를 구비한 복수의 양방향 팬(bi-direction fan);
상기 복수의 양방향 팬의 각각의 토출구와 연통하는 배출 유로(150); 및
상기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며, 서로 상이한 배출 방향을 갖는 둘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each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ports;
A discharge passage (150)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And
And two or more discharge ports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and having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s from each other,
air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방향 팬의 토출구들은 상부에서 공기 청정기의 일 측부를 향하도록 수직 방향에서 경사진,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orts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fans are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ace the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t the top,
air clean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팬은 상부 양방향 팬(110) 및 하부 양방향 팬(12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는 둘 이상의 토출구는, 상부 토출구(130) 및 측부 토출구(140)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idirectional fan includes an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a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wo or more discharge ports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nclude an upper discharge port 130 and a side discharge port 140,
air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150)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상부 토출구(130) 또는 상기 측부 토출구(14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 전환 부재(155)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further includes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5 located in the discharge path 150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150 to either the upper discharge port 130 or the side discharge port 140 doing,
air clea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토출구(140)는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각각의 토출구 정면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de discharge port 140 is located at the discharge front of each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ir clea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의 개수는 상기 측부 토출구(140)의 개수와 동일하여,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 각각이 상기 측부 토출구(140)를 폐쇄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umber of the passage switching members 155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side discharge openings 140 so that each of the passage switching members 155 can close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air clea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측부 토출구(140)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상부 토출구(130)가 폐쇄되고,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상부 토출구(130)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상기 측부 토출구(140)가 폐쇄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o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is closed,
When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o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is closed by the flow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air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과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housing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rotatable,
air clean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과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 사이에 회전 부재(10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부재(10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과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이 회전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토출구(114)와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토출구(124)의 토출 방향이 변경되는,
공기 청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rotary member 101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he operation of the rotary member 101 causes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to rotate and to discharge the discharge port 114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discharge port 114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124) is changed,
air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하우징인 좌우 엇갈리게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housed in left and right staggered positions,
air clean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은 엇갈린 좌측 토출구(114A) 및 우측 토출구(114B)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은 엇갈린 좌측 토출구(124A) 및 우측 토출구(124B)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has the staggered left discharge port 114A and the right discharge port 114B,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has a staggered left discharge port 124A and a right discharge port 124B.
air clean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150)는 복수 개이며,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좌측 토출구(114A)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좌측 토출구(124A)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어느 하나의 유로(150A)로 토출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우측 토출구(114B)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우측 토출구(124B)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다른 하나의 유로(150B)로 토출되는,
공기 청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channels 150 are provide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discharge port 114A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eft discharge port 124A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discharged to one of the flow paths 150A,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discharge port 114B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right discharge port 124B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discharged to the other flow path 150B.
air clea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대류 청정 모드에서,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상기 상부 토출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air purifier, in the convection clean mode,
Wherein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opening (130) by the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air clea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직접 청정 모드 또는 냉각 모드에서,
상기 배출 유로(150) 내의 공기가, 상기 유로 전환 부재(155)에 의하여, 상기 측부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cleaner, in the direct clean mode or the cooling mode,
The air in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opening 140 by the passage switching member 155,
air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RPM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PMs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air clean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미세먼지 정화 모드에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RPM이 보다 증가하도록 제어되는,
공기 청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cleaner, in the fine dust cleaning mode,
Wherein the RPM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is controlled to increase further,
air clean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큰먼지 정화 모드에서,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RPM이 보다 증가하도록 제어되는,
공기 청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cleaner, in the large dust cleaning mode,
Wherein the RPM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is controlled to increase further,
air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가 상기 공기 청정기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과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ir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air intake por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the second air intake port 12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second air inle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r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cleaner,
air clean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 외측에는 각각 제습 모듈(193) 및 가습 모듈(198)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second intake por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first intake por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nd a humidification module (198)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intake port (123) of the first humidifier module (120)
air clean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2 흡기구(113),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 외측에는 각각 유로 차단 부재(199)가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second intake por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the first intake por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120 are respectively located outside the second intake ports 123,
air clean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양방향 팬(110)의 제 1 흡기구(112)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1 흡기구(122)에 걸쳐 하나의 필터부가 위치하고, 상기 상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13) 및 상기 하부 양방향 팬(120)의 제 2 흡기구(123)에 걸쳐 다른 하나의 필터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터부들의 최외곽에만 필터 프레임이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One filter sec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take port 112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10 and the first intake port 122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nd the second intake port 113 of the upper bidirectional fan 120 ) And the second intake port (123) of the lower bidirectional fan (120), and the filter frame is located only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filter portions.
air cleaner.
KR1020170077542A 2017-06-19 2017-06-19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KR102522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42A KR102522169B1 (en) 2017-06-19 2017-06-19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42A KR102522169B1 (en) 2017-06-19 2017-06-19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248A true KR20180138248A (en) 2018-12-31
KR102522169B1 KR102522169B1 (en) 2023-04-17

Family

ID=6495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542A KR102522169B1 (en) 2017-06-19 2017-06-19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169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11A (en) * 2018-06-29 2020-01-0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comprising a bidirectional discharge flow path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CN111765549A (en) * 2020-07-07 2020-10-13 深圳市一品时代科技有限公司 Air humidifying, de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all-in-one machine
KR20200139652A (en) * 2018-06-29 2020-12-14 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comprising a bidirectional discharge flow path
KR102197534B1 (en) * 2020-07-15 2021-01-04 (주)블루테크 A space sterilizer having a laminar flow air-discharging function
KR20210027851A (en) * 2019-09-03 2021-03-11 차기룡 Lighting apparatus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220135640A (en) 2021-03-31 2022-10-07 (주)참건강한세상 Colonoscopy pants to prevent unnecessary exposure
KR102497376B1 (en) * 2022-09-22 2023-02-07 유지홍 Ventilation unit with back draft damper combined intake and exhaus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764A1 (en) * 2001-11-13 2004-12-23 Sung-Wook Jang Bidirectional indraft type centrifugal fan and cooling apparatus for computer
JP2008138555A (en) * 2006-11-30 200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Blowing device
KR20110057562A (en) * 2009-11-24 2011-06-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Double suction type centrifugal fan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20160045562A (en) * 2014-10-16 2016-04-2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70026830A (en) * 2015-08-28 2017-03-09 코웨이 주식회사 Centrifugal fan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20170057028A (en) * 2015-11-16 2017-05-24 코웨이 주식회사 Air blowe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764A1 (en) * 2001-11-13 2004-12-23 Sung-Wook Jang Bidirectional indraft type centrifugal fan and cooling apparatus for computer
JP2008138555A (en) * 2006-11-30 200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Blowing device
KR20110057562A (en) * 2009-11-24 2011-06-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Double suction type centrifugal fan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20160045562A (en) * 2014-10-16 2016-04-2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70026830A (en) * 2015-08-28 2017-03-09 코웨이 주식회사 Centrifugal fan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20170057028A (en) * 2015-11-16 2017-05-24 코웨이 주식회사 Air blowe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11A (en) * 2018-06-29 2020-01-0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comprising a bidirectional discharge flow path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KR20200139652A (en) * 2018-06-29 2020-12-14 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comprising a bidirectional discharge flow path
KR20210027851A (en) * 2019-09-03 2021-03-11 차기룡 Lighting apparatus with air cleaning function
CN111765549A (en) * 2020-07-07 2020-10-13 深圳市一品时代科技有限公司 Air humidifying, de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all-in-one machine
KR102197534B1 (en) * 2020-07-15 2021-01-04 (주)블루테크 A space sterilizer having a laminar flow air-discharging function
KR20220135640A (en) 2021-03-31 2022-10-07 (주)참건강한세상 Colonoscopy pants to prevent unnecessary exposure
KR102497376B1 (en) * 2022-09-22 2023-02-07 유지홍 Ventilation unit with back draft damper combined intake and exhau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169B1 (en)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8248A (en)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a discharge flow path
KR102024873B1 (en) An air purifier comprising bi-directional fans with various discharge directions
CN101451750B (e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humidifying air
KR101237259B1 (en) 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a room purifying filter and heat exchanger
CN100383464C (en) Ventilating system
KR20120016900A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JP4392310B2 (en) Blow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20180131441A (en) Blowing unit for air cleaner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101070648B1 (en) air type heat exchanger
KR101416726B1 (en) Rotary Type Heat Exchanger
JP7209843B2 (en) Air purifier including flow control member
KR20120094731A (en) Air cleaner
KR20050010363A (e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ventilating function
KR101170599B1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humidifying
KR100531087B1 (en) Air Purifier Having Ventilating Function
TWI391614B (en) At the same time into the exhaust type ventilation fans
KR102225598B1 (en) A Ventilator
KR100650108B1 (en) Air purifying device with ventilating function
KR20130029691A (e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200078042A (en) Air Clean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KR101403012B1 (en) Air path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200078041A (en) Air Clean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KR100554283B1 (en) Air Purifier Having Ventilating Function
KR20200134041A (en) Installable air purifier for fan assembly capable of assembly and detachment
JP2023167895A (en) de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