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80A -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80A
KR20180138080A KR1020170078204A KR20170078204A KR20180138080A KR 20180138080 A KR20180138080 A KR 20180138080A KR 1020170078204 A KR1020170078204 A KR 1020170078204A KR 20170078204 A KR20170078204 A KR 20170078204A KR 20180138080 A KR20180138080 A KR 2018013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e shaft
motor
pin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984B1 (ko
Inventor
서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9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입되는 서랍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치 및 서랍창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drawer and refrigerator with drawer }
본 발명은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내 공간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은 야채 과일 등 분리 보관이 필요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출입 조작에 의해 서랍 내부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이 고내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서랍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숙여야 하며, 인출입 조작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3332호에는 자동으로 인출입 될 수 있는 서랍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04-0093111호에는 자동으로 승강이 가능한 서랍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인출과 승강구조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의 인출과 승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의 인출과 승강이 한번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되는 서랍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치 및 서랍창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측에 인출입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인출입 가이드;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바닥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인출입 가이드 및 상기 내부 수납부와 결합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인출입 가이드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인출입 가이드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수납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수납부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서랍에는 상기 내부 수납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출입 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외부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되는 피니언;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와 상기 내부 수납부를 연결하며,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 상태에서 클러치에 권취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 1 구동축; 상기 제 1 구동축과 동일 연장선상에서 이격되며, 상기 피니언과 연결되는 제 2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1 구동축과 제 2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 2 구동축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구동축은 상기 클러치 내측의 나사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축은, 상기 제 2 구동축의 단부에서 상기 클러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클러치와 결합되지 않는 비결합부와; 상기 비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을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2 나사산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 1 구동측에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의 내측에 비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구동축은 상기 클러치 내측의 나사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축은, 상기 제 2 구동축의 단부에서 상기 클러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클러치와 결합되지 않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클러치 단부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 1 구동측에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의 내측에 회전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구동축은, 상기 클러치 내측의 나사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나사산과; 상기 제 1 구동축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축은 상기 구속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속부재와 선택적으로 구속 결합되는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구속부에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구속부재와 접하도록 이동되어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구속부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 기어; 상기 모터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되는 피니언; 상기 구동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의 일측에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에 구비되는 자석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이동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기어는 상기 모터의 축 상에 이격 배치되는 제 1 모터기어와 제 2 모터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축 상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 2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기어는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결합되고, 제 2 모터기어는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은,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함께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기어 및 클러치가 상기 구동축과 독립적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석은 상기 외부 수납부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인출입 가이드의 일 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석은 전자석으로,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내부 수납부가 하강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자력을 소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기어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원래의 결합 위치로 복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서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인출입 가이드;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바닥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인출입 가이드 및 상기 내부 수납부와 결합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인출입 가이드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인출입 가이드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와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를 차폐하는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출입 가이드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 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출입 가이드는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 벽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서랍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된 후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장치가 하부에 배치된 경우 상기 서랍장치에 식품을 수납하게 될 때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거나 수납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어 사용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서랍장치는 한번의 조작을 통해 고외 측으로 인출된 후 상승될 수 있으며, 다시 조작을 통해 하강된 후 인입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장치는 외부 수납부재는 인출입 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수납부재는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수납 장치 전체가 인출입 및 승강되지 않으면서 상기 서랍장치 내부의 식품은 인출입 및 승강 가능하게 됨으로써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과 승강을 위한 구동어셈블리는 간결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구동어셈블리를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 및 승강이 모두 가능하게 되어 제조 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결한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저장장치의 수납 공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하나의 모터를 통해서 동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클러치를 통해 피니언으로의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부 수납부재의 승강 또한 가능하게 되어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는 동력 연결의 선택적인 전환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의 인출이 완료된 후에 상기 내부 수납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순차적인 동작이 간결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승강 또는 인출입 도중 발생되는 안전 사고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승강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서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랍장치의 주요 구성이 클러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도이다.
도 7은 상기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서랍장치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서랍장치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 및 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 및 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도이다.
도 14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도이다.
도 16은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냉장고의 수납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수납부재의 인출된 모습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은 상부 저장공간 또는 하부 저장공간 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슬라이딩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부 도어 그리고 냉동실 도어(30)는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도 1에서 좌측)의 냉장실 도어(20)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1)가 구비된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배면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 제빙실(22)이 형성될 수 있다. 살기 제빙실(22)은 상기 냉장실(12)과 독립된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1)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3)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31)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으로 구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다른 일측(도 1에서 우측)의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 후방의 공간이 투시될 수 있는 투시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24)는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 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보의 표시와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며 중앙의 개구에 보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도어(201)와, 상기 메인 도어(201)의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투시부(24)가 형성되는 서브 도어(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201)와 서브 도어(20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납부재(31)와 일체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상기 수납부재(31)를 포함하여, 인출입되는 구성 전체를 서랍장치라 부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분리되어 상기 수납부재(31)만을 지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동실(13)의 내측 상단에는 상부 바스켓(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스켓(131)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개방 후 독립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승강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납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은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인출입 조작을 위한 핸들(3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32)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및/또는 승강 조작을 위한 핸들 조작부(3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작부(321)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위한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재(31)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제공되는 프레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3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 및 승강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 및 승강 동작은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의 조작 형태에 따라 인출, 상승, 인입 하강이 독립적으로 하나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출 후 상승, 하강 후 인입 또는 인출, 상승, 하강, 인입의 동작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에는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33)은 고외측으로 인출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수납부재(31)의 인출입을 위한 것으로, 다단으로 인출되는 금속 레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33)이 고정되는 드로워 가이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가이드(132)에 상기 레일(33)의 일단이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33)은 다단을 연장되어 상기 수납부재(31)의 전체 혹은 대부분이 상기 냉동실(13)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가이드(132)는 상기 서랍장치가 인출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의 자동 인출입을 위한 랙 파트(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 파트(133)는 렉기어와 같은 구조로 상기 드로워 가이드(132)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로워 가이드(132)와 상기 랙 파트(133)는 별도의 구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냉동실 내부의 좌우 양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랙 파트(133)는 상기 피니언(42)과의 결합 구조가 아닌 다른 구조로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입을 안내 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랙 파트(133)는 인출입 가이드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31)에는 모터(41)와 피니언(42)을 포함하는 구동어셈블리(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조작부(231) 또는 상기 핸들 조작부(321)의 입력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입과 상기 수납부재(31) 내측의 내부 수납부(34)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결합된 외부 수납부와 내부 수납부(3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수납부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고, 내부 수납부(34)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은 상기 구동어셈블리(4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수납부재(31)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42)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42)은 수납부재(3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랙 파트(133)에 기어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42)은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서랍장치 즉, 상기 수납부재(31)와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후 방향으로 자동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동에 의해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는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 후 상기 수납부재(31) 내부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되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4 와 같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고도 상기 내부 수납부(34)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수납부재(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31)의 내측 바닥면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수납부재(31)의 내측 바닥면 외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의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31)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311)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311)를 따라서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승강 가이드(311)의 내측은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시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서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수납부재(31)와 상기 수납부재(31)에 장착되는 구동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31)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수납부재(31)의 둘레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이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 내부에 수용된 식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3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폭은 상기 수납부재(31)의 내부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수납부재(31)의 내측면에 수용되는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하면에는 수납부 프레임(3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방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은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하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에 식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의 양측에는 프레임 결합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342)는 상기 승강 가이드(311)와 대응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가이드(3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34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 풀리(4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풀리(462)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와이어(43)에 의해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을 승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은 플라스틱 소재의 내부 수납부와 달리 강도가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은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는다면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면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면에 배치된 구동어셈블리(40)를 차폐하는 수납부재 커버(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 커버(312)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면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 커버(312)가 장착된 상태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40) 중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면에 장착된 구성들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31)의 후면에는 상기 모터(41)와 클러치(44) 및 피니언(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수납부재(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5)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45)은 상기 모터(41)와 연결되는 제 1 구동축(451)과 상기 피니언(42)과 연결되는 제 2 구동축(4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서로 단부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의 사이를 연결하는 클러치(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의 동작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러치(44)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이 서로 동력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상기 제 1 구동축(451)만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 1 구동축(451)은 상기 모터(41)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42)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의 사이에 상기 클러치(44)가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1 구동축(451) 및 제 2 구동축(45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피니언(42)의 중심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42)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4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42)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와 기어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모터(41)와 제 1 구동축(451), 제 2 구동축(452), 클러치(44) 및 피니언(42)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44)에는 상기 와이어(4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3)는 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인과 같은 다수 구성의 연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와 풀리(46)들을 연결하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상기 클러치(44)에 권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3)와 상기 클러치(44) 및 풀리(46)들은 다양한 연결 방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풀리(46)는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에 결합되는 하부 풀리(462)와, 상기 하부 풀리(462)와 상기 클러치(44)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풀리(46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와 상기 상부 풀리(461) 및 하부 풀리(46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풀리(461)와 하부 풀리(462)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43)가 경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풀리(462)는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3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풀리(461)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풀리(461)는 상기 하부 풀리(462)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에서 상기 상부 풀리(461)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풀리(462)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물론, 상기 와이어(43)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승강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풀리(461)와 하부 풀리(462) 외에 추가의 풀리 또는 풀리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풀리(461)와 하부 풀리(462)의 위치 또한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상부 풀리(461)와 하부 풀리(462) 및 와이어(43)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 커버(312)가 상기 수납부재(3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풀리(461)와 하부 풀리(462) 및 와이어(4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서랍장치의 주요 구성이 클러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도이다.
도시된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들만 도시한 것으로, 배치 방향만 대칭될 뿐 결합구조와 동작은 동일하므로 양측 중 일측의 구조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모터(41)와 제 1 구동축(451), 클러치(44), 제 2 구동축(452), 피니언(42)은 동일 연장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장치의 내부 수납부(34)가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수납부재(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에 결합된 제 1 구동축(451)은 상기 랙 파트(133)가 형성된 드로워 가이드(132)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구동축(451)에는 상기 클러치(44) 내부의 나사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1 나사부(4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나사부(451a)는 상기 나사 결합부(44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4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44)의 다른 일측에는 제 2 구동축(45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클러치(44)에서 상기 랙 파트(133)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4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랙 파트(133)와 대응하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외주면에는 제 2 나사부(45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나사부(452a)는 상기 클러치(44)의 나사 결합부(44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2 나사부(452a)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 2 구동축(452)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모터(41)측과 가장 가까이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의 중공 내측으로는 삽입되되 상기 나사 결합부(442)와는 결합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 상기 모터(41)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클러치(44)를 향하여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클러치(44)의 단부까지 상기 제 2 나사부(452a)가 형성되지 않은 비결합부(452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결합부(452b)에서 상기 피니언(42)까지는 상기 제 2 나사부(45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44)의 나사 결합부(442)가 상기 제 2 나사부(452a)를 지나 상기 비결합부(452b)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클러치(44)와 함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클러치(44)는 양측단을 관통하는 중공(441)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44)의 양단으로 노출된 개구로 상기 제 1 구동축(451) 및 제 2 구동축(452)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 사이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44)에 의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의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함몰된 권취부(4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443)에는 상기 와이어(4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피니언(42)의 선택적인 회전은 물론, 상기 와이어(43)의 권취가 가능하도록 선택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동작을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서랍장치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서랍장치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서랍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수납부재(31)가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44)는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을 연결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클러치(44)의 중공 내측으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이 삽입되며, 상기 제 1 나사부(451a)와 제 2 나사부(452a) 모두 상기 클러치(44)의 나사 결합부(442)와 나사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를 조작하여, 상기 서랍장치의 자동 인출입 및 승강 조작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조작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1)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모터(41)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2 구동축(452)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42) 또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은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의 (a)에서 상기 모터(41)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가 정방향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42)는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 상기 서랍장치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서랍장치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31)가 고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는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할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451b)의 위치 및 상기 제 1 나사부(451a)의 길이는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도 6의 (b)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의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상기 클러치(44)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구동축(45)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에 감겨질 수 없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최저 높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6의 (b)와 같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나사부(452a)와 상기 나사 결합부(442) 간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클러치(44)의 중공(441) 내측에는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비결합부(452b)가 위치된다.
즉,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가 구동되더라도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회전되지 않게 되며, 상기 피니언(42) 또한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서랍장치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이 걸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41)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와이어(43)를 감아올릴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헛돌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부(443)에는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되어 도 6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모터(41)는 지속적으로 정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44)만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43)를 권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하부 풀리(462)를 당겨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은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43)가 상기 권취부(443)에 완전히 권취될 때까지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311)를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 상승지점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최대한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식품을 들어올리지 않고 수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식품 수납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조작부(231) 또는 상기 핸들 조작부(321)를 조작하여, 상기 서랍장치가 하강하고 인입될 수 있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31) 또는 상기 핸들 조작부(321)를 통한 상기 모터(41)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4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41)는 상기 서랍장치가 인출될 때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41)의 역방향 회전으로 인해 상기 클러치(44)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4)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부(443)에 권취되었던 상기 와이어(43)는 다시 풀려지게 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풀려짐에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재(31)는 하방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제 2 나사부(425a)와 결합되기 전가지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 회전이 전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도6의 (d)상태가 될 때까지 와이어(43)가 지속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6의 (d)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완전히 하강하여 하강이 완료되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41)가 역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44)의 나사 결합부(442)와 상기 제 2 나사부(425a)는 서로 결합되기 시작한다.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피니언(42)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다시 연결된 상태가 되어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42)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서랍장치는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41)의 역회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도 6의 (e)에 도시된 상태까지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피니언(42)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입되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수납부재(31)는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서를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13)로부터 인출된 후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될 수 있으며, 식품의 수납을 완료한 후에는 다시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하강된 후 상기 냉동실(13) 내측으로 인입되어 식품의 수납을 위한 조작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즉, 상기 서랍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 인출 후 상승될 수 있으며, 다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강 후 인입되는 연속동작을 수행하여 식품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 및 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는 수납부재(31)와, 내부에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내부 수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구동어셈블리(40')의 동작에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 내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승강 가이드(311)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에는 수납부재 커버(31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어셈블리(40')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하나의 모터(40')와, 상기 모터(40') 양측에 한쌍씩 제공되는 클러치(44)와, 피니언(42) 및 구동축(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2)은 고내측에 배치되는 랙 파트(133)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모터(40')는 상기 수납부재(31)의 후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0')의 양측으로 한쌍의 제 1 구동축(45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40')에 의해 상기 구동축(45')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에는 제 1 나사산(451a)이 형성되되 상기 모터(40')의 정회전시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클러치(4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상기 모터(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모터(40')의 역회전시 상기 클러치(4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피니언(4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에는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모터(40')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토퍼(45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의 다른 일측에는 제 2 구동축(45')이 연결되며, 상기 제 2 구동축(45')의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에는 제 2 나사산(452a)과 비결합부(45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제 2 나사산(452a)과 결합되거나 비결합부(452b)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44)와 상기 제 1 구동축(451') 및 제 2 구동축(45')의 결합관계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에는 와이어(4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31) 양측면에 구비되는 풀리(46)에 상기 와이어(4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풀리(46)는 상기 내부 수납부(34)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와이어(43)를 감아 올리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승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가 역회전하여 감겨진 상기 와이어(43)를 풀게 되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풀리(46) 및 와이어(43)의 배치 및 결합관계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도시는 생략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4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연결된 제 2 구동축(45')과 피니언(4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랙파트(133)를 따라서 상기 피니언(42)이 이동되어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클러치(44)는 스토퍼(451b)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함께 상기 클러치(44)는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43)를 감아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승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40')가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44)에 감겨진 와이어(43)가 풀리면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하강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제 2 구동축(45')과 다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이 다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40')의 지속적인 역회전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31)는 고내측에 완전히 인입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 및 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는 수납부재(31)와, 내부에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내부 수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1)는 구동어셈블리(40'')의 동작에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 프레임(3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1)는 상기 수납부재(31) 내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승강 가이드(311)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31)의 양측면 상단에는 랙 파트(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 파트(313)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피니언(42)이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에 장착되는 제 1 구동축(451), 상기 랙 파트(313)에 안착되는 피니언(42)과, 상기 피니언(42)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축(452),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을 연결하는 클러치(44)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43)를 안내하는 상부 풀리(461)와 하부 풀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고내 벽면의 좌우 양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42) 및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의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피니언(42)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모터(41)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구동축(452)과 연결히 해제된 상태에서는 제 1 구동축(451)만이 회전되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와이어(43)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42)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모터(41)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랙 파트(313)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어 상기 수납부재(31)는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31)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제 2 구동축(452)과의 연결히 해제되며, 상기 클러치(44)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 수납부(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클러치(44)의 동작 방식과, 상기 피니언(42)의 회전 방식 그리고 상기 와이어(43)의 권취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상기 모터(41)의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모터(41)와 제 1 구동축(451), 클러치(44), 제 2 구동축(452), 피니언(42)은 동일 연장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장치의 내부 수납부(34)가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수납부재(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에 결합된 제 1 구동축(451)은 상기 랙 파트(133)가 형성된 드로워 가이드(132)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구동축(451)에는 상기 클러치(44) 내부의 나사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1 나사부(4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나사부(451a)는 상기 나사 결합부(44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4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44)의 다른 일측에는 제 2 구동축(45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클러치(44)에서 상기 랙 파트(133)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4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랙 파트(133)와 대응하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길이방향으로 회전부(452b)와 연결부(4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52b)는 상기 클러치(44)의 중공(441)으로 삽입 가능한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일단에서 소정 거리까지 연장된다. 상기 회전부(452b)의 길이는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모터(41) 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클러치(44)의 중공(44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52a)는 상기 회전부(452b)의 일단에서 상기 피니언(42)까지 연장 형성되며,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52b)는 상기 클러치(44)의 중공(441)의 개구(441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개구(441b)에 상기 연결부(452a)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와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부(452a)는 다각형 형상이 아니라 동력 전달이 가능한 키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452a) 및 상기 회전부(452b)의 길이는 상기 클러치(44)의 스트로크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클러치(44)는 양측단을 관통하는 중공(441)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44)의 양단으로 노출된 개구로 상기 제 1 구동축(451) 및 제 2 구동축(452)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축(451)이 삽입되는 일측의 개구(441a)는 상기 제 1 구동축(452)과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2 구동축(452)이 삽입되는 다른 일측의 개구(441b)는 상기 제 2 구동축(452)과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 사이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44)에 의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의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함몰된 권취부(4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443)에는 상기 와이어(4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피니언(42)의 선택적인 회전은 물론, 상기 와이어(43)의 권취가 가능하도록 선택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동작을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클러치의 동작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수납부재(31)가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44)는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44)의 중공 내측으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나사부(451a)는 상기 나사 결합부(442)와 나사 결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클러치(44)의 개구(441b)에 상기 연결부(452a)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1)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모터(41)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2 구동축(452)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42) 또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은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4의 (a)에서 상기 모터(41)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가 정방향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는 도 14의 (b)와 같이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할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상기 클러치(44)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구동축(45)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에 감겨질 수 없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최저 높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14의 (b)와 같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1b)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452a)와 상기 개구(441b)간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클러치(44)의 중공(441) 내측 즉, 상기 개구(441b)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부(452b)가 위치된다.
즉,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가 구동되더라도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상기 피니언(42) 또한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서랍장치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14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상기 클러치(44)가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이 걸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41)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와이어(43)를 감아올릴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헛돌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부(443)에는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되어 도 14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모터(41)는 지속적으로 정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44)만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43)를 권취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와이어(43)가 상기 권취부(443)에 완전히 권취될 때까지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최대 상승지점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최대한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식품을 들어올리지 않고 수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하강시키고 상기 수납부재(31)를 인입하기 위한 상기 모터(41)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4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41)의 역방향 회전으로 인해 상기 클러치(44)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4)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부(443)에 권취되었던 상기 와이어(43)는 다시 풀려지게 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풀려짐에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재(31)는 하방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연결부(452a)와 결합되기 전가지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 회전이 전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도14의 (d)상태가 될 때까지 와이어(43)가 지속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14의 (d)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완전히 하강하여 하강이 완료되며 상기 모터(41)가 역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44)의 개구(441b) 내측으로 상기 연결부(452a)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기 시작한다.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피니언(42)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다시 연결된 상태가 되어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42)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서랍장치는 다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모터(41)와 제 1 구동축(451), 클러치(44), 제 2 구동축(452), 피니언(42)은 동일 연장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장치의 내부 수납부(34)가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수납부재(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에 결합된 제 1 구동축(451)은 상기 랙 파트(133)가 형성된 드로워 가이드(132)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구동축(451)에는 상기 클러치(44) 내부의 나사 결합부(442)와 결합되는 제 1 나사부(4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나사부(451a)는 상기 나사 결합부(44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4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나사부(451a)의 외측에는 스토퍼(4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55)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피니언(4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55)를 지나 연장된 상기 제 1 구동축(451)에는 구속부재(4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456)는 힌지 장치(45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구동축(45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456)는 상기 스토퍼(455)를 넘어 연장되는 접촉부(456a)와 상기 제 2 구동축(452)에 형성된 구속부(452c)에 삽입되는 삽입부(45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56a)는 상기 클러치(44)의 이동시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눌려질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상기 구속부재(456)는 상기 힌지 장치(457)를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속부재(4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456b)는 상기 구속부(452c)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속부재(456)는 회전에 의해 상기 구속부(452c)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452c)와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456b)의 일측과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4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58)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456)는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구속부(452c)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장치(457)는 댐핑힌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456)가 상기 구속부(452c)로부터 분리된 후,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구속부(452c)로 다시 삽입될 때 소정의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43)가 모두 풀려져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하강 완료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이격된 일측에는 제 2 구동축(45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은 상기 랙 파트(133)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4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랙 파트(133)와 대응하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구동축(452) 상에는 상기 구속부재(456)가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는 구속부(45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452c)는 상기 삽입부(456b)와 대응하는 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456)가 회전될 경우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동력이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이 관통되는 중공(441)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44)의 양단으로 노출된 개구로 상기 제 1 구동축(451)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함몰된 권취부(4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443)에는 상기 와이어(4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피니언(42)의 선택적인 회전은 물론, 상기 와이어(43)의 권취가 가능하도록 선택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의 동작을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클러치의 동작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수납부재(31)가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44)는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구동축(451)의 상기 제 1 나사부(451a)의 단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부재(456)의 삽입부(456b)가 상기 구속부(452c)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58)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456)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구속부(452c)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1)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모터(41)는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456)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2 구동축(452)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축(45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42) 또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은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6의 (a)에서 상기 모터(41)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가 정방향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44)는 도 16의 (b)와 같이 상기 스토퍼(455)에 접할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상기 클러치(44)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 1 구동축(4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에 감겨질 수 없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최저 높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16의 (b)와 같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5)까지 이동될 때에는 상기 스토퍼(455)를 넘어 연장된 상기 구속부재(456)의 접촉부(456a)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5)까지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부(456a)는 완전히 눌려지게 되며, 상기 구속부재(456)는 회전되어 상기 구속부(452c)로부터 상기 삽입부(456b)가 빠져나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452c)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가 구동되더라도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상기 피니언(42) 또한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서랍장치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1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접촉부(456a)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부재(456)가 상기 구속부(452c)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접촉부(456a) 및 스토퍼(455)에 의해 더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상기 클러치(44)가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이 걸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41)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와이어(43)를 감아올릴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44)가 상기 스토퍼(451b)에 접하여 상기 와이어(43)를 통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헛돌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부(443)에는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되어 도 16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모터(41)는 지속적으로 정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44)만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43)를 권취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4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와이어(43)가 상기 권취부(443)에 완전히 권취될 때까지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최대 상승지점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최대한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식품을 들어올리지 않고 수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하강시키고 상기 수납부재(31)를 인입하기 위한 상기 모터(41)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4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41)의 역방향 회전으로 인해 상기 클러치(44)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4)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부(443)에 권취되었던 상기 와이어(43)는 다시 풀려지게 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풀려짐에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재(31)는 하방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4)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모터(41)측으로 일부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구속부재(456)의 접촉부(456a)와 상기 클러치(44)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힌지 장치(457)의 댐핑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456)는 천천히 회전하게 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완전히 하강될 수 있는 시간이 경과 한 후에야 상기 구속부재(456)의 삽입부(456b)가 상기 구속부(452c)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456)가 상기 제 2 구동축(452)의 구속부(452c)에 구속되기 전까지 상기 제 2 구동축(452)으로 회전이 전달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수납부재(31)는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6의 (d)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완전히 하강하여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부재(456)의 삽입부(456b)는 상기 구속부(452c)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456)가 상기 구속부(452c)에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서는 상기 제 1 구동축(451)과 제 2 구동축(452)은 도 16의 (e)와 같이 다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42)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서랍장치는 다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40)는, 모터(41)와, 모터기어(47), 구동축(453), 구동기어(48), 클러치(49), 피니언(42)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모터(41)는 상기 수납부재(31)에 장착되며,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입 및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1)의 모터축(411)에는 모터기어(47)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함께 회전된다.
상기 모터기어(47)는 제 1 모터기어(471)와 제 2 모터기어(47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제 2 모터기어(472)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제 2 모터기어(472)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각각 성형된 후 상기 모터축(411) 상에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터기어(471)는 상기 제 2 모터기어(47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모터(41)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453)은 상기 모터축(4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고내 측벽에 형성된 랙 파트(13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453)에는 상기 구동기어(48)와 클러치(49) 그리고 피니언(42)이 모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453)은 단일 축 구조로 형성되지만, 단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축(453)은 상기 모터(41)와 가까운 일단에서 연장되며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1 구동부(453a)와, 상기 제 1 구동부(453a)에서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연장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는 제 2 구동부(453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부(453a)에 장착된 제 1 구동기어(481)는 상기 구동축(453)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부(453b)에 장착된 제 2 구동기어(482) 및 클러치(49)는 상기 구동축(453)을 축으로 상기 구동축(453)과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48)는 제 1 구동기어(481)와 제 2 구동기어(4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제 2 구동기어(482)는 서로 이격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의 직경이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48) 즉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구동축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구동기어(481)는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상기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제 2 모터기어(472)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구동축(45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 2 모터기어(472)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구동기어(481)는 상기 제 1 구동부(453a)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단면 A-A'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의 중앙은 상기 제 1 구동부(453a)의 단면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동축(453)의 회전시 상기 제 1 구동기어(481)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제 1 모터기어(471)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상기 구동축(453)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453)을 통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부(453a)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동기어(481)가 상기 구동축(453)을 따라서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선택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42)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연결부(48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기어(482)가 장착되는 제 2 연결부(482a)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구동축(453)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제 2 구동부(453b)에 장착되는 상기 제 2 연결부(482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482a)는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단면 B-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원형 단면의 상기 제 2 구동부(453b)에 장착되므로, 상기 제 2 구동부(453b)를 축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41)측을 향하는 상기 제 2 연결부(482a)의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부(481a)와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상기 제 2 구동기어(482)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481a)와 제 2 연결부(482a)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기어(481) 및 제 2 구동기어(482)는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2)측을 향하는 상기 제 2 연결부(482a)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연결부(482a)의 단부에는 클러치(49)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482a)와 상기 클러치(49)는 상기 구동축(453)을 따라서 함께 슬라이딩 및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제 2 연결부(482a)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구동기어(481)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의 직경은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제 2 모터기어(472)와 맞물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연결부(482a)의 내측에는 구동축 슬리브(4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 슬리브(454)는 상기 구동축(453)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453)은 상기 구동축 슬리브(454)의 내측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 슬리브(454)는 마찰이 적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453)상에 배치되는 제 2 구동기어(482) 및 클러치(49)의 슬라이딩 및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 슬리브(454)는 상기 제 1 연결부(481a)의 내측에서 상기 클러치(49)의 중공(491)을 관통하여 상기 클러치(49)의 일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9)는 제 2 연결부(482a)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 2 연결부(482a)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와 제 2 연결부(482a) 및 상기 클러치(4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와 제 2 연결부(482a) 및 상기 클러치(49)가 정역회전 할 때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49)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된 권취부(4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492)에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승강을 위한 와이어(46)가 권취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49)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46)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31)는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9)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4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93)는 상기 클러치(49)를 지지할 수 있으며, 베어링(494)에 의한 회전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49)는 상기 스토퍼(49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93)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493)의 적어도 일부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93)는 상기 피니언(42)이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랙 파트(133)의 단부 즉, 상기 수납부재(31)가 완전히 인출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랙 파트(133)에 제공되는 자석(133a)에 붙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재(31)가 인출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493)는 상기 랙 파트(133)와 이격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수납부재(31)가 완전히 인출되는 순간 상기 스토퍼(493)는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랙 파트(133) 측으로 이동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493)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축(453)상의 구동기어(48)와 클러치(49) 모두 상기 구동축(453)을 따라서 상기 랙 파트(133)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때 상기 모터기어(47) 및 구동기어(48) 사이의 연결관계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133a)은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493)의 수평 이동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기어(47)와 구동기어(48)의 연결관계의 전환이 필요한 때에 상기 자석(133a)에서 자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스토퍼(493)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93)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4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56)는 상기 스토퍼(493)가 상기 자석(133a)과 떨어져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456)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493)와 접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구동축(453)상에 고정된 탄성부재 지지부(421)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421)는 별도의 소재로 상기 구동축(453)상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피니언(42)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453)의 단부에는 피니언(4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구동축(45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453)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 파트(133)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랙 파트(133)의 기어이(133b)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어셈블리(4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조작 전 상기 수납부재(31)가 고내 공간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 1 모터기어(471)는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랍장치 인출 및 상승 조작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모터(41)가 구동되고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제 1 구동기어(481)에 의해 상기 구동축(453)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453)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구동축(453)에 연결된 상기 피니언(42)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부재(31)의 전방 인출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기어(482)는 상기 제 2 모터기어(472)와 연결되지 않는 상태이며,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와 상기 클러치(49)는 상기 제 2 구동부(453b)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축(453)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6)의 권취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 동작만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31)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되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의 단부 또는 상기 랙 파트(133)의 특정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 파트(133)에는 자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133a)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자석(133a)의 자력 발생을 위해 전원은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이 시작되면 인가될 수도 있고, 상기 피니언(42)이 특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인가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133a)에서 자력이 발생되면, 상기 스토퍼(493)는 자력에 의해 상기 랙 파트(133)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49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493)를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456)는 압축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482a) 및 상기 제 2 연결부(482a)와 연결된 상기 제 1 구동기어(481)와 상기 클러치(49)는 모두 상기 피니언(42)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493)의 이동과 함께 상기 구동축(453) 상의 구동기어(48)와 클러치(49)가 모두 피니언(42)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기어(47)와 구동기어(48)는 상기 제 2 모터기어(472)와 제 2 구동기어(482)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41)는 회전 방향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모터기어(47)와 구동기어(48)의 연결의 전환 순간에도 지속적인 회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41)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까지 연속된 회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회전 중에 상기 클러치(49)의 이동에 의해 상기 모터기어(47)와 구동기어(48)의 연결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모터(41)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기어(482)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구동기어(482)와 연결된 상기 클러치(49)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9)의 정방향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46)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46)의 권취로 상기 수납부재(31)의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승 완료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고 보다 편안한 자세로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랍장치의 하강 및 인입 조작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모터(41)는 구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41)는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출 및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상승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구동기어(48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클러치(49)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49)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클러치(49)에 감겨있는 상기 와이어(46)는 다시 풀려지게 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모터(41)는 구동 시간 제어 또는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설정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되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구동기어(482) 및 상기 클러치(49)는 모두 상기 구동축(453)의 제 2 구동부(453b)상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53)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기 구동축(453)으로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6)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승강하는 과정 중에는 상기 피니언(42)은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수납부재(31)는 인출된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재(31)가 하강 완료되어 상기 클러치(49)에 감겨있는 와이어(46)가 완전히 풀려지게 되는 순간에는 상기 자석(133a)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끊어지게 되며, 상기 자석(133a)에서 자력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46)가 완전히 풀려진 상태의 판단은 모터(41)의 구동 시간 또는 모터의 부하,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위치 감지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자석(133a)을 통해 자력이 제공되지 않게 되면, 상기 스토퍼(493)는 구속력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45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9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클러치(49)와 구동기어(48)가 상기 구동축(45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제 1 클러치(49)가 상기 모터(4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48) 또한 상기 모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상기 제 1 구동기어(481)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모터기어(471)와 제 1 구동기어(481)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모터(4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구동기어(481)는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축(453)에 연결된 상기 피니언(42) 또한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42)은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31)는 고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31)의 인입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41)는 구동을 정지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41)의 구동 완료는 상기 모터(41)의 구동시간 제어 또는 상기 수납부재(31)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2)는 베리어(5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상부 저장공간(52)과 하부 저장공간(53)이 형성되는 캐비닛(50)과, 상기 상부 저장공간(52)과 하부 저장공간(53)을 각각 개폐하는 상부 도어(61) 및 하부 도어(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61)는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상부 도어(61)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5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상부 도어(61)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공간(52)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저장공간(53)은 세로 벽(531)에 의해 좌우 양측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62)는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하부 도어(62)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5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62)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53)의 구획된 좌측과 우측의 공간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61)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고(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6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11)에는 상기 냉장고(2)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12)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62)의 자동 개폐가 가능할 것이며, 상기 하부 도어(62)의 자동 개폐와 연결하여 상기 하부 저장공간(53)에 배치된 수납부재(70)의 자동 인출 및 상기 수납부재(70) 내부의 내부 수납부(71)의 승강이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612)는 상기 하부 도어(62)의 개폐와, 상기 수납부재(70)의 인출,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승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공간(53)의 내측에는 상기 수납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재(70)는 서랍 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70)의 인출입 및 상기 수납부재(70) 내부의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승강을 위해서 상기 수납부재(70)의 후방에는 구동어셈블리(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25는 상기 냉장고의 수납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수납부재의 인출된 모습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수납부재(70) 및 상기 구동어셈블리(4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부 저장공간(53)의 내부에는 수납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70)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과 같은 구조로 상면이 개구되는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70)는 내부에 승강될 수 있는 내부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 또한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와 내부 수납부를 포함하여 서랍장치라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장치는 외부 수납부와 내부 수납부(7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수납부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고, 내부 수납부(71)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승강은 상기 구동어셈블리(4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71)는 상기 수납부재(7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외측면이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높이는 상기 수납부재(70)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71)는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재(7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가이드(711)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 가이드(711)를 관통하여 하부 풀리(462)가 상기 내부 수납부(7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풀리(462)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부(71)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71)는 상기 수납부재(7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승강시 고내의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70)의 인출입을 위해 상기 하부 저장공간(53)의 좌우 양측 벽면에는 랙 파트(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 파트(133)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피니언(42)이 상기 랙 파트(133)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수납부재(70)가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수납부재(70)에 구비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42) 그리고, 상기 클러치(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4)는 상기 피니언(42)으로 상기 모터(41)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43)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43)를 권취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3)는 상기 클러치(44)와 상기 상부 풀리(461) 그리고 하부 풀리(46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44)의 회전에 의한 상기 와이어(43)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내부 수납부(71)가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612)를 통한 조작 입력시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70)는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70)의 인출이 완료되면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71)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된 상태의 상기 내부 수납부(71)에 식품을 수납한 후 다시 상기 조작부(612)를 통한 조작 입력시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70)는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71)는 하강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71)의 하강이 완료되면 연속하여 상기 수납부재(70)가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7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도어(62)가 닫혀 고내 공간 및 상기 수납부재(70)를 차폐할 수 있다.

Claims (20)

  1.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측에 인출입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인출입 가이드;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바닥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인출입 가이드 및 상기 내부 수납부와 결합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인출입 가이드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인출입 가이드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부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랍에는 상기 내부 수납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 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외부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되는 피니언;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와 상기 내부 수납부를 연결하며,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 상태에서 클러치에 권취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 1 구동축;
    상기 제 1 구동축과 동일 연장선상에서 이격되며, 상기 피니언과 연결되는 제 2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1 구동축과 제 2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 2 구동축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축은 상기 클러치 내측의 나사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축은,
    상기 제 2 구동축의 단부에서 상기 클러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클러치와 결합되지 않는 비결합부와;
    상기 비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을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2 나사산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 1 구동측에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의 내측에 비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축은 상기 클러치 내측의 나사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축은,
    상기 제 2 구동축의 단부에서 상기 클러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클러치와 결합되지 않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클러치 단부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 1 구동측에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의 내측에 회전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축은,
    상기 클러치 내측의 나사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나사산과;
    상기 제 1 구동축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축은 상기 구속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속부재와 선택적으로 구속 결합되는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구속부에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구속부재와 접하도록 이동되어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구속부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니언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 기어;
    상기 모터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되는 피니언;
    상기 구동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의 일측에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에 구비되는 자석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이동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기어는 상기 모터의 축 상에 이격 배치되는 제 1 모터기어와 제 2 모터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축 상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 2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기어는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결합되고, 제 2 모터기어는 상기 제 2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구동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함께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기어 및 클러치가 상기 구동축과 독립적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외부 수납부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인출입 가이드의 일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으로,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내부 수납부가 하강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자력을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기어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원래의 결합 위치로 복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장치.
  16.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서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인출입 가이드;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바닥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인출입 가이드 및 상기 내부 수납부와 결합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인출입 가이드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인출입 가이드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와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를 차폐하는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 가이드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 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 가이드는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면 벽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170078204A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304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04A KR102304984B1 (ko)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04A KR102304984B1 (ko)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80A true KR20180138080A (ko) 2018-12-28
KR102304984B1 KR102304984B1 (ko) 2021-09-27

Family

ID=6500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04A KR102304984B1 (ko)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98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313Y1 (ko) * 2005-03-18 2005-06-10 (주)우리기술 정지위치 감지가 가능한 주방용기기의 승강장치
KR20050081344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60110144A (ko) * 2005-04-19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43150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101334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85256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KR20160144813A (ko) * 2015-06-09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44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386313Y1 (ko) * 2005-03-18 2005-06-10 (주)우리기술 정지위치 감지가 가능한 주방용기기의 승강장치
KR20060110144A (ko) * 2005-04-19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43150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101334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85256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KR20160144813A (ko) * 2015-06-09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984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8083A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309154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11486634B2 (en) Refrigerator
US10935306B2 (en) Refrigerator
KR20180138082A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640808B1 (ko) 냉장고
US11047618B2 (en) Refrigerator
KR20110003911A (ko) 냉장고
KR20190081331A (ko) 냉장고
CN112867902B (zh) 冰箱
CN112639381B (zh) 冰箱
KR20180138081A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090020024A (ko) 냉장고
KR20180138080A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639448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KR10261768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