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903A -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 Google Patents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903A
KR20180137903A KR1020170077783A KR20170077783A KR20180137903A KR 20180137903 A KR20180137903 A KR 20180137903A KR 1020170077783 A KR1020170077783 A KR 1020170077783A KR 20170077783 A KR20170077783 A KR 20170077783A KR 20180137903 A KR20180137903 A KR 2018013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kitchen furniture
frame
pedestal
counter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수연
Original Assignee
서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연 filed Critical 서수연
Priority to KR102017007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903A/en
Publication of KR2018013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itchen furniture having a sink and a cooking stand, in particular, which can be conveniently utilized for the old and the disabled who inconveniently 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and the disabled comprises: a frame to secure an enough space for a lower body of a user to be inserted thereinto; and a sink install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ooking stand is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nk, and a support is installed to provide functions of a handle and an armrest at the same time at a front side of the sink or the cooking stand.

Description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s}

본 발명은 싱크대와 조리대를 포함하되, 특히 행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utensil including a sink and a countertop, and in particular, an elderly person who is in a state of inconvenience, or a kitchen utensil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일반적으로 주방가구는 싱크대와 조리대 및 수납가구 등을 모두 포함하게 되는데,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 중에서 싱크대(100)는 음식을 만들기 전에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이나 아니면 식사후에 설겆이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접한 위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꼭지(110)가 위치하면서 배수구(120)를 갖춘 개수대(130)를 중심으로 조립되어 가구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져 있고, 조리대(200)는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스레인지(210)와 그 상부 위치에 조리기구를 올려놓기 위한 가스레인지 받침(220)이 주로 설치된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general, kitchen furniture includes a sink, a countertop, and a storage furnitur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ink 100 is used for preparing food before preparing food or after eating And the faucet 1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adjacent position is located and is assembled in the form of furniture assembled around the counter base 130 having the drain 120. The countertop 200 heats the food, The mainstream is the gas range 210 and the gas range receiver 220 for loading the cooking unit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주방가구는 건강한 일반인을 기준으로 제작이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행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사용하기엔 아주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kitchen furniture is manufactured based on a healthy general per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for an elderly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disabled person to use it.

물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한 선행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9305호(공고일자: 2012. 07. 30.)의 "싱크대"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09280호(공개일자: 2013. 01. 23.)의 "싱크대용 받침대" 등이 알려져 있다.Of course, as a prior art that has been improved to make it easier to use for the elderly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 movements, there is disclosed a "sink" of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69305 (publication date: 2012. 07.30) No. 10-2013-0009280 (publication date: 2013. 01. 23.), and the like are known.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 싱크대의 일부 구성을 개선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한다는 데엔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사용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엔 부족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contributed a certain degree to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improving some configurations of the sink,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required for the elderly or disabled people to use fundamentally, .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9305호(공고일자: 2012. 07. 30.)1. Registra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9305 (Date of Notification: 2012. 07. 30.) 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09280호(공개일자: 2013. 01. 23.)2. Published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09280 (Published on February 23, 2013)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such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능으로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안전한 손잡이 기능과 사용할 때 손이나 팔을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팔받침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 hand grip capable of being hand held as an indispensable function for an elderly person or a handicapped who is inconvenienced by a movement and a means for having an arm rest function for allowing a hand or an arm to be used in a comfortable posture in us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conveniently and safe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방가구의 하나인 싱크대의 경우 개수대의 상부에 물빠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다용도 받침부재를 마련하되, 다용도 받침부재를 개수대의 상부 위치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확보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supporting member which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in a way that water can be drained when the sink is a kitchen furniture, So as to ensure ease of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방가구의 하나인 조리대의 경우 위에 위치하게 되는 가열기의 상부에 조리를 위한 조리기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 받침대를 설치하되, 인접한 싱크대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가열받침대를 설치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확보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 cooking utensil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oking apparatus which is one of kitchen utensils and which has a separate heating base for mounting a cooker for cooking, So as to ensure ease of us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하체가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싱크대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대와 인접한 위치에 조리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싱크대나 상기 조리대의 전면 위치에 손잡이와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cabinet including a frame for securing a sufficient space for a user's lower body and a sink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wherein a countertop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nk And a pedestal that can simultaneously have a handle and an arm-supporting function at the front surface of the sink or the countertop.

또한, 상기 프레임은 양측 가장자리의 다리프레임과 상기 다리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전면위치에 손잡이와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를 제공한다.Further, the frame includes a leg frame at both side edges and a front-rear fram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eg frame, wherein a pedestal capable of simultaneously having a handle and an arm-supporting function is provid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front- Provide kitchen furniture for the elderly or disabled.

또한, 상기 싱크대는 개수대의 상부에 물빠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다용도 받침부재를 마련하되, 다용도 받침부재를 개수대의 상부 위치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힌지부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ink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multipurpose receiving member capable of being dripp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and a hinge unit is provid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r separation of the multipurpose receiving member at an upper position of the sink Provide kitchen furniture for the elderly or disabled.

또한, 상기 힌지부를 결합한 양측 기둥 상부엔 가로대를 설치하여 다용도 걸리오 사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를 제공한다.Also, there is provided a kitchen furniture for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wherein a cross bar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illars to which the hinge part is coupled, so that a multi-purpose hanger can be used.

또한, 상기 조리대는 경우 위에 위치하게 되는 가열기의 상부에 조리를 위한 조리기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 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가열받침대는 인접한 싱크대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다리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oking cradle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ing pedestal for placing a cooking utensil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unit, the heating pedestal including a leg so as to maintain the same height as an adjacent sink or other kitchen furniture Provides kitchen furniture for the elderly or disabled with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가구의 전면 위치에 받침대를 설치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능으로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안전한 손잡이 기능과 사용할 때 손이나 팔을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주방가구의 하나인 싱크대의 경우 개수대의 상부에 물빠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다용도 받침부재를 마련하되, 다용도 받침부재를 개수대의 상부 위치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은 다용도 받침부재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일반인은 다용도 받침부재를 변위시켜 개수대를 종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으로 활용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주방가구의 하나인 조리대의 경우 위에 위치하게 되는 가열기의 상부에 조리를 위한 조리기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 받침대를 설치하되, 인접한 싱크대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가열받침대를 설치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destal is installed at the front position of kitchen furniture, and it is an essential function required for an elderly or disabled person who is inconvenient to move. It can be used as a safe handle capable of being held by hand, The kitchen utensil can be easily and safely used. Further, in the case of a kitchen sink, a separate multipurpose support member capable of being immersed in water can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ower head, It is easy to install or remove the member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sink, so that the multi-purpose support member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elderly or the handicapped who are inconvenient in the movement, and the general person can use the sink as a general purpose It is convenient to use In the case of a countertop, which is one of the kitchen furniture, a separate heating pedestal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er to store the cooker for cooking, and the same height as the adjacent countertop or other kitchen furniture can be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ase of use by installing a heating pedestal.

도 1은 종래의 주방가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방가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싱크대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리대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받침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요부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kitchen furniture,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of the sink in Fig. 2,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sto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edes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고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하체가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10)을 확보하기 위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는 싱크대(2)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대(2)와 인접한 위치에 조리대(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싱크대(2)나 상기 조리대(3)의 전면 위치에 손잡이와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받침대(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1 for securing a sufficient space 10 into which a user's lower body can be inserted and a sink 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 A pedestal 4 is provided at a posi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ink 2 and the countertop 3 so that the pedestal 4 can have both the handle and the pedestal function simultaneously .

또한, 상기 프레임(1)은 양측 가장자리의 다리프레임(12)과 상기 다리프레임(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프레임(14)을 포함하되, 상기 싱크대(2)와 조리대(3)의 전면위치로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14)의 전면위치에 손잡이와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받침대(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frame 1 includes a leg frame 12 on both side edges and a front and rear frame 14 located on the top of the leg frame 12, And a pedestal 4 is provided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frame 14 so as to have a handle and an arc-shaped function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받침대(4)는 내측에 강체 형태의 본체(40)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40)를 감싸는 형태로서 부드러운 재질의 연질부재(42)로 감싸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edestal 4 preferably includes a body 40 in the form of a rigid body,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ody 40 so as to be wrapped with a soft material 42 of sof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body 40 .

또한, 상기 싱크대(2)는 개수대(20)의 상부에 물빠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다용도 받침부재(22)를 마련하되, 다용도 받침부재(22)를 개수대(20)의 상부 위치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힌지부(24)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ink base 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ulti-purpose support member 22 capable of dropping wat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20, and the multi-purpose support member 22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20 And a hinge portion 24 is provid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r disconnection of the battery.

이때, 상기 다용도 받침부재(22)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철망이나 많은 구멍이 뚫려져 있는 다공판 등 음식물 재료나 그릇을 세척하는 경우 물이 잘 배출되면서 음식재료나 그릇 등을 올려놓고 거치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The multipurpose receiving member 22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a perforated plate having a large number of perforated holes. When the food or material is washed, Any form is acceptable.

또한, 상기 힌지부(24)를 결합한 기둥(26) 상부엔 가로대(28)를 설치하여 상기 가로대(28)를 국자, 뒤집개, 집게 등 주방용구를 걸어놓을 수 있는 다용도 걸이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A cross bar 28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26 to which the hinge part 24 is coupled so that the cross bar 28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hanger for hanging a kitchen utensil such as a ladle, .

또한, 상기 조리대(3)의 경우 위에 위치하게 되는 가열기(30)의 상부에 조리를 위한 냄비, 주전자, 팬 등의 조리기(300)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 받침대(32)를 설치하되, 상기 가열받침대(32)는 인접한 싱크대(2)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다리(3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짐이 바람직하다.A separate heating pedestal 32 for placing a cooking device 300 such as a pot, a kettle, and a fan for cooking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er 30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pot 3,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pedestal 32 is provided with a leg 34 so as to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e adjacent sink 2 or other kitchen furniture.

이때, 상기 가열받침대(32)는 그릴이나 석쇠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heating pedestal 32 is formed as a grill or a grill.

또한, 본 발명인 주방가구를 이루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싱크대(2)나 조리대(3)에 있어서, 싱크대(2)나 조리대(3)를 여러개 조합하여 구성하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 사이, 즉, 싱크대(2)와 싱크대(2) 사이 또는 싱크대(2)와 조리대(3) 사이에 기밀유지부재(5)를 설치하되, 싱크대 다리(2a)나 조리대 다리(3a) 중 서로 인접한 다리 사이에 클램프(6)를 설치하여 기밀유지부재(5)를 가압 밀착되게 설치하여 활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싱크대(2)나 조리대(3)에서 사용하게 되는 물기나 기타 이물질이 이들 구성요소 사이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깨끗하고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inks 2 and countertops 3 are combined in the sink 2 or the countertop 3 as constituent elements of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tight holding member 5 is provided between the counterweight 2 and the counterweight 2 or between the counterweight 2 and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 clamp 6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5 is installed in a press contact manner so that water or other foreign substances to be used in the countertop 2 or the countertop 3 are introduced So that it can be used both cleanly and hygienically.

물론, 주방기구의 구성요소로서 싱크대(2)나 조리대(3)의 경우 서로 인접되게 조립되는 경우 상호간 조립이나 결합을 도와주기 위한 목적으로 상호간 조립되는 요철부(50,52)를 형성하고, 그 요철부(50,52)의 형상에 맞게 기밀유지부재(5)도 구성하여 조립하게 되면 상호간 접촉면적이 넓어지면서 조립이나 기밀유지에 더욱 도움이 이루어지게 된다.Of course, when the sink 2 or the countertop 3 is assembled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components of the kitchen utensil,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50 and 52, which are assembled to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assembling or coupling, When the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5 is also construct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50 and 52,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5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is increased.

또한, 상기 가열받침대(32)의 경우 인접한 싱크대(2)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이유는 싱크대(2)에서 음식을 만들기 위하여 준비된 조리기(300)를 사용자가 들어올리지 않고도 그대로 측방으로 밀어서 조리대(3)의 가열받침대(32)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움직여 가열기(30)의 상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가열기(30)를 작동시켜 쉽게 조리를 할 수 있고, 반대로 가열받침대(32)의 상부에 있던 조리기(300)를 설겆이를 하고자 아니면 음식준비를 하고자 싱크대(2)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측방으로 밀어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인 사용자가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heating pedestal 32 in the vicinity of the adjacent sink 2 or other kitchen furniture is that the cooker 300 prepared for making food in the sink 2 can be sideways The heater 30 can be easily operated by pushing the heater 30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edestal 32 of the cooking pad 3 and positioning the heater 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edestal 32.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push the cooker 300 to the side or to move the dish to the sink 2 for preparation of food or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ease of use by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who is inconvenienced.

물론, 이 경우에 사용자는 받침대(4)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로 활용하거나 아니면 싱크대(2)나 조리대(3)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팔을 받침대(4) 위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보다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n this case, when the user holds the pedestal (4) by hand and uses it as a handle, or when working in the sink (2) or the countertop (3) Safe and convenient to use.

특히, 프레임(1)의 내측으로 공간(10)이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체를 밀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바닥에 앉거나 아니면 별도의 의자(5)를 마련하여 그 의자(5)에 앉아서 본 발명인 주방가구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space 10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1 to secure a space for push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sit on the floor or provide a separate chair 5 so as to sit on the chair 5 The kitchen furniture of the invention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가구의 전면 위치에 받침대(4)를 설치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능으로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안전한 손잡이 기능과 사용할 때 손이나 팔을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주방가구의 하나인 싱크대(2)의 경우 개수대(20)의 상부에 물빠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다용도 받침부재(22)를 마련하되, 다용도 받침부재(22)를 개수대(20)의 상부 위치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은 다용도 받침부재(22)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일반인은 다용도 받침부재(22)를 변위시켜 개수대(20)를 종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으로 활용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주방가구의 하나인 조리대(3)의 경우 위에 위치하게 되는 가열기(30)의 상부에 조리를 위한 조리기(300)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 받침대(32)를 설치하되, 인접한 싱크대(2)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가열받침대(32)를 설치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4) is provided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kitchen furniture, and it is an essential function required for an elderly person with a discomfort or a disabled person, and a safe handle function to be held by hand. (2), which is one of the kitchen furniture,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outlet (20) in a way that water can be dropped, so that it can be easily and safely used The multipurpose supporting member 22 of the multipurpose supporting member 22 can be easily installed or separat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shower head 20 so that the multipurpose supporting member 22 can be easily handled The general person can utilize the toilet 20 as a general purpose so as to be able to use the toilet 20 as a conventional one by displacing the multipurpose support member 22 And a separate heating pedestal (not shown) which can house the cooker 300 for cooking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er 30,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pot 3, which is one of the kitchen furniture The heating pedestal 32 can be installed so as to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adjacent sink 2 or other kitchen furniture,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in use.

1: 프레임, 2: 싱크대,
3: 조리대, 4: 받침대,
5: 기밀유지부재, 6: 클램프,
10: 공간, 12: 다리프레임,
14: 전후 방향 프레임, 20: 개수대,
22: 다용도 받침부재, 24: 힌지부,
26: 기둥, 28: 가로대,
30: 가열기, 32: 가열받침대,
34: 다리, 40: 본체,
42: 연질부재 50, 52: 요철부
1: frame, 2: sink,
3: a countertop, 4: a pedestal,
5: a sealing member, 6: a clamp,
10: space, 12: leg frame,
14: forward and backward frame, 20:
22: multipurpose support member, 24: hinge portion,
26: pillar, 28: crossbar,
30: heater, 32: heating pedestal,
34: leg, 40: body,
42: soft member 50, 52: concave /

Claims (8)

사용자의 하체가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10)을 확보하기 위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는 싱크대(2)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대(2)와 인접한 위치에 조리대(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싱크대(2)나 상기 조리대(3)의 전면 위치에 손잡이와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받침대(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A frame 1 for securing a sufficient space 10 into which a user's lower body can enter and a sink 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 3)
Characterized in that a pedestal (4) capable of simultaneously having a handle and an arm-supporting func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sink (2) or the countertop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양측 가장자리의 다리프레임(12)과 상기 다리프레임(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프레임(14)을 포함하되,
상기 싱크대(2)와 조리대(3)의 전면위치로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14)의 전면위치에 손잡이와 팔받침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받침대(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1 includes a leg frame 12 on both side edges and a fore and aft frame 14 positioned on top of the leg frame 12,
Characterized in that a pedestal (4) capable of simultaneously having a handle and an armrest func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frame (14) as the front position of the sink (2) and the countertop (3) Kitchen furniture for the disab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내측에 강체 형태의 본체(40)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40)를 감싸는 형태로서 부드러운 재질의 연질부재(42)로 감싸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4) has a body (40) in the form of a rigid body inside,
Wherein the body is wrapped by a flexible member (42) of a soft material to enclose the main body (40) so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kitchen furni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2)는 개수대(20)의 상부에 물빠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다용도 받침부재(22)를 마련하되,
상기 다용도 받침부재(22)를 개수대(20)의 상부 위치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힌지부(24)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nk base (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ulti-purpose support member (22) capable of dripp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20)
And a hinge portion (24) is provided to easily install or detach the multipurpose receiving member (22) at an upper position of the shower head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4)를 결합한 기둥(26) 상부엔 가로대(28)를 설치하여 상기 가로대(28)를 다용도 걸이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cross bar (28) is provided on a column (26) joining the hinge part (24) so that the cross bar (28)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3)는 위에 위치하게 되는 가열기(30)의 상부에 조리를 위한 조리기(300)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가열 받침대(32)를 설치하되,
상기 가열받침대(32)는 인접한 싱크대(2)나 다른 주방가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다리(3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er base 3 is provided with a heating pedestal 32 on the top of the heater 30 for placing the cooker 300 for cooking,
Wherein the heating pedestal (32)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leg (34) so as to maintain the same height as an adjacent sink (2) or other kitchen furniture.
제1항에 있어서,
주방가구를 이루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싱크대(2)나 조리대(3)에 있어서, 싱크대(2)나 조리대(3)를 여러개 조합하여 구성하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 즉, 싱크대(2)와 싱크대(2) 사이 또는 싱크대(2)와 조리대(3) 사이에 기밀유지부재(5)를 설치하되, 싱크대 다리(2a)나 조리대 다리(3a) 중 서로 인접한 다리 사이에 클램프(6)를 설치하여 기밀유지부재(5)를 가압 밀착되게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lurality of sinks 2 and countertops 3 are combined in the sink 2 or the counterbore 3 as constituent elements of the kitchen furniture, these components, that is, the sink 2 and the sink 2 And a clamp 6 is provided between the legs 2a and the legs 3a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provide an airtight seal between the countertop 2 and the countertop 3, And the member (5) is pressuriz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onstituting the kitchen furniture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제7항에 있어서,
주방기구의 구성요소로서 싱크대(2)나 조리대(3)엔 상호간 조립이나 결합을 도와주기 위한 요철부(50,52)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50,52)에 맞게 기밀유지부재(5)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8. The method of claim 7,
As a component of the kitchen utensil, the sink base 2 and the cooking base 3 are provid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50 and 52 for assisting assembly and assembly, and the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s 5 The kitchen furniture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KR1020170077783A 2017-06-20 2017-06-20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KR201801379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783A KR20180137903A (en) 2017-06-20 2017-06-20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783A KR20180137903A (en) 2017-06-20 2017-06-20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03A true KR20180137903A (en) 2018-12-28

Family

ID=6500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783A KR20180137903A (en) 2017-06-20 2017-06-20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90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1107A (en) * 2021-09-28 2023-03-29 The West Retail Group Ltd A worktop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1107A (en) * 2021-09-28 2023-03-29 The West Retail Group Ltd A worktop unit
GB2611107B (en) * 2021-09-28 2023-09-20 The West Retail Group Ltd A worktop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64727A1 (en) Supporting Pillow Apparatus for Relieving Pressure on Buttocks
US10820759B2 (en) Chair for personal relief
JPH05507433A (en) Monolithic commode chair
KR20170088245A (en) Bath chair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KR20180137903A (en) Kitchen furniture for the old or disabled person
CN102858299B (en) Multifunctional locomotor
JP3127618U (en) Wheelchair sink
KR20170011902A (en) One-touch spring elastic plate folding bath chair
KR101537546B1 (en) Saucepan support having spoon support
JP2008110181A (en) Portable and mobile shampoo stand
KR200326180Y1 (en) Sink table with movable chair
CN215274456U (en) Drawabl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ip bath device
JP3077784U (en) Countertop equipment
US11419402B2 (en) Device for hair washing
KR200197009Y1 (en) Multi-functional kitchen system equipped with a chair
CN201920633U (en) Toilet board
KR200187443Y1 (en) Supporter for a chamber-pot
JP3167780U (en) Shower chair
KR200233991Y1 (en) kitchen furnitures for sitting user
KR20170003259U (en) Multipurpose chair
KR20010077696A (en) Multi-functional Kitchen System Equipped with a Chair and The System Designing Method
JP3051504U (en) Table with sink
JP3553238B2 (en) Wash unit with kitchen function
KR101726386B1 (en) Functional toilet seat assembly
JP3195015U (en)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