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464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464A
KR20180137464A KR1020180164465A KR20180164465A KR20180137464A KR 20180137464 A KR20180137464 A KR 20180137464A KR 1020180164465 A KR1020180164465 A KR 1020180164465A KR 20180164465 A KR20180164465 A KR 20180164465A KR 20180137464 A KR20180137464 A KR 20180137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transmission
ind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409B1 (ko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riority to KR102018016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40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수행할 사용자 단말에게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Dynamical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상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가 다중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손실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오류검출 방식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또한, 송수신되는 정보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보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게 송수신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을 요구하게 되었다. 특히,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거나, 다양한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많아짐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들의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 역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수신하여 제어 정보가 보다 효율적으로 장치간에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환경에 따라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말 및 기지국과 이들 장치들이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수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수행할 사용자 단말에게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수행할 사용자 단말에게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를 다중 송신하는 송신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에 지시 정보를 추가하여 PUCCH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1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2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 DCI 포맷의 특정 비트를 이용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 DCI 포맷의 특정 비트를 이용하여 다중 PUCCH 전송 방식을 상세히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를 통하여 송신하게 되는 신호의 특정 비트가 다중 PUCCH 전송 또는 단일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가 특정하게 스크램블되어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다중 PUCCH 전송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 계층의 상위 계층에서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를 통하여 송신하게 되는 신호의 특정 비트가 다중 PUCCH 전송 또는 단일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가 특정하게 스크램블되어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다중 PUCCH 전송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다중 PUCCH의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업링크(Uplink, UL, 또는 상향링크)는 단말(10)에 의해 기지국(20)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다운링크(Downlink, DL, 또는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 의해 단말(1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LTE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LTE-A에서는 LTE에서 단일 반송파에 의한 규격이 기본을 이루고, 20MHz보다 작은 대역을 가진 몇 개의 대역의 결합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는 반면에 20MHz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성분 반송파 대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LTE-A에서 다중 반송파 집합화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LTE의 기본규격을 근거로 백워드 컴패터빌러티(Backward Compatibility)를 최대한 고려해 이루어지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는 최대 5개의 반송파를 고려되고 있다. 물론, 상기 5개의 반송파는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LTE-A에서 반송파 집합화의 경우, 요소 반송파의 개수가 복수이기 때문에, 업링크의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양이 요소 반송파의 개수만큼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정보가 다수 증가하여도, 이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면, 제어 정보의 전송에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 정보의 동시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어 정보의 동시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지 않을 경우, 제어 정보가 급격이 증가할 경우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의 이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 정보로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PUCCH을 중심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다중 PUCCH 전송(Multiple PUCCH transmission)을 제어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하 기지국은 eNB를 중심으로, 사용자 단말은 UE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소 반송파 집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한다)에 적용될 수 있다. CA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들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은 서로 인접하여 존재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게 주파수 대역이 이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그 수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는 하나 이상의 주요 요소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와 PCC가 아닌 요소 반송파(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가 존재할 수 있다. PCC를 통하여 주요 측정 신호 또는 제어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으며, PCC를 통하여 SCC를 할당할 수 있다.
둘 이상의 PUCCH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eNB가 UE에게 알리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PDCCH를 이용하는 방안이다. 이하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하며, DCI는 그 포맷(format)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다르다. 이하 PDCCH, PDSCH, PUCCH, PUSCH와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각각 PDCCH, PDSCH, PUCCH, PUSCH 송수신 또는 전송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에 지시 정보를 추가하여 PUCCH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다중 PUCCH 전송은 PDCCH내에 지시 정보인 트리거링 비트(triggering bit)를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 여부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즉, UE 특이적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내에 있는 DCI 포맷들에 1bit 또는 2bits를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트리거링 비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DCI 포맷 전체에 적용 가능하다. 물론, DL 할당에 필요한 DCI 포맷이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PUCCH 다중 전송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다양한 DCI 포맷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PDCCH와 PUCCH의 전송을 표시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SCH와 PUSCH는 도면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eNB와 UE의 전송 환경 및 필요에 따라 당연히 PDSCH와 PUSCH는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eNB(210)는 212와 같이 PDCCH를 전송한다. 이때, PDSCH는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212에는 다중 PUCCH를 지시하는 트리거링 비트가 On으로 되어 있다. 트리거링 비트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고자 한다. 트리거링 비트가 On으로 되어 있으므로, UE(220)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222와 같이 다중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NB(210)이 214와 같이 다중 PUCCH 트리거링 비트를 Off로 하여 PDCCH를 전송하게 되면 UE(220)는 224와 같이 하나의 PUCCH만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UE(220)가 212의 PDCCH를 수신하여 222의 PUCCH를 송신하기까지의 시간 간격 및 214의 PDCCH를 수신하여 224의 PUCCH를 송신하기까지의 시간 간격은 전송 방식이 FDD인지, TDD인지에 따라 다르다. 즉, 서브프레임 n에서 UE가 PDCCH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PUCCH의 송신 시점은 서브프레임 n+k에서 이루어지며, k는 FDD에서는 4이고, TDD의 경우 TDD UL/DL 설정에 따라 표 1과 같이 설정된다.
[표 1]
Figure pat00001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1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이를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지시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다중 PUCCH의 전송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i) PCC에서 다중으로 PUCCH를 전송하는 경우, ii) PCC와 SCC들에서 다중으로 PUCCH를 전송하는 경우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표 2는 하나의 UL PCC에서 다중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트리거링 비트 1bi 정보의 구성을 보여준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의 구성에 따라 동작되는 예는 도 3의 Case A이다. eNB(311)에서 PDCCH에 추가된 1 bit 트리거링 비트를 312와 같이 '0'으로 설정하면 표 2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되지 않은 상태(no triggering)이므로, UE(321)는 322와 같이 하나의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NB(311)에서 PDCCH에 추가된 1 bit 트리거링 비트를 314와 같이 '1'로 설정하면 표 2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된다. 따라서 324와 같이 두 개의 PUCCH가 UL PCC에서 다중으로 전송된다. 물론, 트리거링 비트가 '1'이 되는 경우, 이전에 eNB(311)와 UE(321)이 RRC 등 상향 링크 시그널링 과정에서 설정된 방식을 따라 다중으로 PUCCH가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RRC 설정(RRC configuration)에 따라 다중으로 PUCCH를 전송한다는 의미는, RRC를 통하여 어떤 CC에서 몇 개의 PUCCH 전송이 이루어 질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eNB와 UE 간에 공유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CC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트리거링 비트의 길이가 증가할 경우, 하나 이상의 다중 PUCCH 전송 환경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가지 방식의 다중 PUCCH 전송을 RRC로 설정한 경우, 제 1의 RRC 설정에서는 CC1에서 K개의 PUCCH를 보내는 방식이 설정될 수 있고, 제 2의 RRC 설정에서는 CC1 및 CC에서 각각 N개 및 M개의 PUCCH 전송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RRC 설정이 아니어도 트리거링 비트가 지시하는 다중 PUCCH 전송방식을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표 2와 달리 표 3의 설정도 가능하며 이는 Case B에 그 동작과정이 설명되어 있다.
[표 3]
Figure pat00003
Case B에서 eNB(361)에서 PDCCH에 추가된 1 bit 트리거링 비트가 362와 같이 '0'으로 설정되면, 표 3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되지 않은 상태(no triggering)이므로, UE(371)는 372와 같이 하나의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NB(361)에서 PDCCH에 추가된 1 bit 트리거링 비트가 364와 같이 '1'로 설정되면 표 3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된다. 따라서 374와 같이 두 개의 PUCCH가 다중으로 전송된다. Case A와 달리, 1개의 PUCCH 전송이 UL PCC에서 이루어지고 1개의 PUCCH 전송이 UL SCC에서 이루어진다. 물론, 트리거링 비트가 '1'이 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RRC 등 상향 링크 시그널링 과정에서 설정된 방식을 따라 다중으로 PUCCH가 전송될 수 있다.
1 비트의 트리거링 비트를 이용하는 방식은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표 2,3과 같이 PCC 또는 SCC에서의 PUCCH 다중 전송뿐만 아니라, PCC, SCC1, SCC2 등 다수의 SCC에서도 PUCCH를 송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2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표 2, 3과 달리, 두 비트로 PUCCH의 전송을 제어하게 되므로, 세 가지로 다양화된 방식으로 PUCCH 다중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트리거링 비트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는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pat00004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eNB(4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412와 같이 '00'으로 설정하면 표 4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되지 않은 상태(no triggering)이므로, UE(421)는 422와 같이 하나의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NB(4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414와 같이 '01'로 설정하면 표 4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된다. 따라서 424와 같이 두 개의 PUCCH가 UL PCC에서 다중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eNB(4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416와 같이 '10'으로 설정하면 표 4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세 개의 PUCCH가 UL PCC에서 다중으로 전송된다(426). 또한, eNB(4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가 418과 같이 '11'로 설정되면 표 4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네 개의 PUCCH가 UL PCC에서 다중으로 전송된다(428).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PUCCH 전송의 세부적인 전송은 트리거링 비트가 지시하는 정보가 표 4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전송 사항은 RRC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bit를 DCI 포맷에 추가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두 비트로 PUCCH의 전송을 제어하게 되며, 도 4 및 표 4와 달리 다수의 CC에서 전송되도록 제어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트리거링 비트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는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pat00005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eNB(5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512와 같이 '00'으로 설정하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되지 않은 상태(no triggering)이므로, UE(521)는 522와 같이 하나의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NB(5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514와 같이 '01'로 설정하면 표 5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다중 PUCCH의 전송이 트리거링 된다. 따라서 524와 같이 UL PCC에서 하나의 PUCCH, UL SCC1에서 PUCCH, 총 2개의 PUCCH 전송이 다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eNB(5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516와 같이 '10'으로 설정하면 표 5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세 개의 PUCCH가 다중으로 전송된다. 즉 526과 같이 UL PCC에서 하나의 PUCCH, UL SCC1에서 PUCCH, UL SCC2에서 PUCCH 총 3개의 PUCCH 전송이 다중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eNB(511)에서 PDCCH에 추가된 2 bit 트리거링 비트를 518와 같이 '11'로 설정하면 표 5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네 개의 PUCCH가 다중으로 전송된다. 즉 528과 같이 UL PCC에서 하나의 PUCCH, UL SCC1에서 PUCCH, UL SCC2에서 PUCCH, UL SCC3에서 PUCCH 총 4개의 PUCCH 전송이 다중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PUCCH 전송의 세부적인 전송은 트리거링 비트가 지시하는 정보가 표 5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전송 사항은 RRC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2, 3, 4, 5와 같이, PDCCH내에 추가적인 트리거링 비트를 추가함 으로써 동적으로 다중 PUCCH 전송을 eNB가 제어할 수 있어 시스템 환경에 따라 다운링크 트래픽(traffic)이 많은 특정 UE에게 다수의 PUCCH 전송을 허락할 수 있으며, 해당 UE의 다운링크 쓰루풋(DL throughput) 성능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업링크상으로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L PUCCH 자원들은 eNB에 의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반 정적으로(semi-static) 특정 수의 다중 PUCCH를 전송하는 방법보다는 채널환경이나 전체 네트워크의 로딩측면을 eNB에 의해서 보다 유연하게(flexible) PUCCH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PUCCH 자원의 오버헤드(resource overhead)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중 PUCCH가 전송되는 UL CC에 대한 정보 또한 RRC 설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2, 3, 4, 5의 방식은 PDCCH의 DCI 포맷에 1 또는 2 비트를 트리거링 비트로 추가하여, 동적으로 다중 PUCCH의 전송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3, 4, 5는 매 PDCCH마다 다중 PUCCH의 전송을 지시하는 방식이나, 이후 설명하는 방식은 PUCCH의 다중 전송을 활성화(enable 또는 activate) 시키고, 계속 PUCCH가 다중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이후 다중 전송을 비활성화(disable, 또는 release) 시키는 방식이다. 이는 다중 PUCCH 전송을 위한 'PUCCH C-RNTI'(PUCCH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값을 정의하고 PDCCH 내에 미리 정의된 특정 비트들을 다중 PUCCH 전송을 위한 비트들로 설정하여 트리거링 시킬 수 있다. 한번 활성화되면 비활성화 될 때까지 어느 UL 서브프레임에서나 다중 PUCCH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 시키는 PDCCH에 대한 A/N(Ack/No Ack) 전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리하면, A/N 전송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PDSCH with PDCCH
- SPS release in PDCCH
- multiple PUCCH transmission release in PDCCH
eNB는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기 위해 PDCCH를 PDCCH C-RNTI값으로 스크램블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다중 PUCCH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PDCCH의 특정 필드들을 표 6과 같이 설정하고, 다중 PUCCH를 비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PDCCH의 특정 필드들을 표 7과 같이 설정한다.
표 6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PDCCH DCI 포맷 별로 구성되는 필드의 값을 의미한다.
[표 6]
Figure pat00006
표 7은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PDCCH DCI 포맷 별로 구성되는 필드의 값을 의미한다.
[표 7]
Figure pat00007
표 6 및 표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필드들의 값이 설정된 PDCCH DCI 포맷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UE는 다중 PUCCH 전송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 된 것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 DCI 포맷의 특정 비트를 이용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12와 같이, eNB(611)에서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의 DCI 포맷이 0이며, 표 6의 설정에 따라, 'TPC command for scheduled PUSCH' 필드(TPC_PUSCH)가 '00'이고, 'Cyclic shift DM RS' 필드(CS-DMRS)가 '000'으로 설정되면, UE(621)는 수신된 PDCCH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확인하고, 이후 622, 624 와 같이 다중 PUCCH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다중 PUCCH 전송 방식은 하나의 PUCCH를 PCC 및 SCC에서 각각 전송하는 것이며, 이는 이전에 RRC 등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다중 PUCCH 전송이 충분히 이루어진 이후, eNB(611)는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 시켜, 하나의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eNB(611)는 표 7의 설정에 따라 616과 같이,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의 DCI 포맷이 0이며, 'TPC command for scheduled PUSCH' 필드(TPC_PUSCH)가 '00'이고, 'Cyclic shift DM RS' 필드(CS-DMRS)가 '000', 그리고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nd redundancy version(MCS-RV)' 필드가 '11111'이며, '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RBA & hopping RA)'가 모두 '1'로 설정된 PDCCH 포맷 0을 전송하게 되며, UE(621)는 수신한 PDCCH가 다중 PUCCH의 전송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확인하게 되며, 이후 626, 628과 같이 하나의 PUCCH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에서는 표 6, 7의 설정 중 DCI 포맷 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DCI 포맷 1/1A, DCI 포맷 2/2A/2B/2C 등의 'HARQ process number' 필드(FDD인 경우)를 '000'으로 설정한 PDCCH가 612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도 UE(621)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는 지시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TDD인 경우, DCI 포맷 1/1A, DCI 포맷 2/2A/2B/2C 등의 HARQ process number' 필드(TDD인 경우)를 '0000'으로 설정한 PDCCH가 612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도 UE(621)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는 지시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PDCCH DCI 포맷 1A의 'HARQ process number' 필드,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필드, 'Redundancy version', 그리고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의 값이 표 7과 같이 설정된 경우에도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 시키는 지시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를 다중 PUCCH 전송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로 파악하며, 각 PDCCH 포맷의 필드들의 값이 표 6 또는 표 7에 해당하는 경우,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게 된다. 다중 PUCCH 전송 방식은 RRC 시그널링과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표 6, 7의 설정 방식은 일 실시예이며, 다른 필드 또는 다른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표 6, 7에서 나타난 방식과 앞서 도 2 내지 5 및 표 2 내지 5를 결합하여, 다중 PUCCH 전송 방식과 활성화를 동시에 지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 DCI 포맷의 특정 비트를 이용하여 다중 PUCCH 전송 방식을 상세히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표 5 및 표 6을 결합하여 다음 표 8을 이용할 수 있다.
[표 8]
Figure pat00008
표 8은 PDCCH가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경우 적용할 수 있다. 이는 UE가 eNB가 송신하는 PDCCH를 'PUCCH C-RNTI'로 디스크램블이 될 경우, 해당 PDCCH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 지시 정보인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PDCCH의 특정 필드가 각 포맷 별로 표 8과 같이 설정된 경우, PUCCH를 다중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전송하지 않게 된다. DCI Format 0은 표 8에 도시된 DCI format들과 달리, PUCCH 다중 전송을 활성화 또는 해제할 경우에 적용가능하며, 어떤 CC에서 몇 개의 PUCCH가 전송되는지는 미리 RRC로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712와 같이, eNB(711)에서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의 DCI 포맷이 1이며, 표 8의 설정에 따라, '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 필드(TPC_PUCCH)가 '01'인 경우, UE(721)는 수신된 PDCCH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며, 또한, PUCCH 전송 방식은 1개의 PUCCH는 UL PCC, 1개의 PUCCH는 UL SCC1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이후 722, 724 와 같이 다중 PUCCH 전송을 수행한다. 이후, 다중 PUCCH의 전송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eNB(711)는 716과 같이 'PUCCH C-RNTI'로 스크램블 되었으며, PDCCH의 DCI 포맷이 1A이며, 표 8의 설정에 따라, '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 필드(TPC_PUCCH)가 '10'이 되도록 설정하여 PDCCH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UE(721)는 수신된 PDCCH가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시키며, 또한, PUCCH 전송 방식은 1개의 PUCCH는 UL PCC, 1개의 PUCCH는 UL SCC1, 1개의 PUCCH는 UL SCC2 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이후 726, 728 과 같이 다중 PUCCH 전송을 수행한다. 이후, eNB(711)는 UE(721)의 다중 PUCCH 전송이 이루어 지면,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 시켜, 하나의 PUCCH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eNB(711)는 표 8의 설정에 따라 730과 같이,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의 DCI 포맷이 2A이며, '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 필드(TPC_PUCCH)가 '00'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730을 수신한 UE(721)는 다중 PUCCH 전송이 비활성화 됨을 확인하고, 732와 같이 하나의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도 2 내지 7 및 표 2 내지 8은 PDCCH에 1 또는 2 bit를 추가하여 이를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로 하거나, 특정한 필드를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로 사용하는 예를 살펴보았다. PDCCH와 같이 물리 제어 채널을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도, PDCCH 상위 계층에서 다중 PUCCH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2 계층(L2 layer)의 MAC CE 시그널링(MAC CE)으로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MAC CE 시그널링은 PDCCH보다는 동적으로 작동하지 않지만 RRC 시그널링보다 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RRC 시그널링 보다는 신뢰도(reliability) 측면에서는 더 낮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RRC 시그널링보다 더 빠른 시그널링이 가능하므로, 다중 PUCCH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MAC CE는 PDSCH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므로, UE는 수신한 PDSCH의 MAC CE가 다중 PUCCH 전송을 시작 또는 중지할 것을 지시하거나, 매 순간 트리거링 시키는 경우, 그러한 지시 정보에 따라 PUCCH 전송을 시작 또는 중지하거나, 트리거링 할 수 있다.
또한, RRC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하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MultiplePUCCHTrigger'라는 RRC 파라미터를 새로 만들어서 다중 PUCCH 전송에 대한 트리거링 RRC 파라미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 RRC 파라미터는 디폴트 값(default value)으로 턴-오프(turn off)값을 가지고 UE-특이적인 파라미터의 특성을 지니도록 구현한다. eNB에 의해 전송된 'MultiplePUCCHTrigger'를 UE가 수신하게 된다면 턴-온(turn on) 상태로 전환되고 해당 UE는 다중 PUCCH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중 PUCCH 또는 단일 PUCCH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수행할 사용자 단말에게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 또는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약속된 방식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또는 단일로 수신하게 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를 통하여 송신하게 되는 신호의 특정 비트가 다중 PUCCH 전송 또는 단일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의 PUCCH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S810). 그리고, 전송 방식이 다중 PUCCH 전송인지, 혹은 단일 PUCCH 전송인지에 따라(S820) 사용자 단말에게 PDCCH를 통하여 송신할 신호(PDCCH 전송)을 S830 또는 S840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의 PUCCH 전송 방식이 단일 전송인 경우, PDCCH를 통하여 송신할 신호의 다중 PUCCH 트리거링 비트를 단일 PUCCH 전송으로 설정한다(S830). 앞서 표 2 내지 표 5에서 특정 1 또는 2 비트를 미리 약속된 정보(예를 들어 '0' 또는 '00')로 설정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 단말의 PUCCH 전송 방식이 다중 전송인 경우, PDCCH를 통하여 송신할 신호의 다중 PUCCH 트리거링 비트를 다중 PUCCH 전송으로 설정한다(S840). 역시, 표 2 내지 표 5에서 1 또는 2 비트를 미리 약속된 정보(예를 들어 '1', '01', '10', '11')로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신호는 PDCCH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된다(S850). 이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S830 또는 S840의 설정에 따라 단일 PUCCH 또는 다중 PUCCH를 수신하게 된다(S860).
다중 PUCCH 송신 방식, 즉 CC에서 어느 정도의 다중 PUCCH 전송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는 RRC로 주어질 수도 있고, 상기 설정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가 특정하게 스크램블되어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다중 PUCCH 전송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과 단일 PUCCH 전송을 수행한다(S910). 사용자 단말이 PUCCH를 통한 전송할 신호량이 증가하거나, 빠른 신호 전송을 필요로 하는 등, 다중 PUCCH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의 다중 PUCCH 전송을 결정한다(S920). 그리고, 전송할 PDCCH의 포맷을 결정하고, 다중 PUCCH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결정된 PDCCH 포맷의 특정 필드의 값을 설정한다(S930). 이는 앞서 표 6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그리고, 특정 필드의 값을 설정한 PDCCH를 PUCCH C-RNTI로 스크램블하여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S940).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다중 PUCCH 전송이 지시된 것을 확인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중 PUCCH를 수신하게 된다(S950). 이후, 다중 PUCCH 전송이 필요한지 확인하여(S960), 다중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전송할 PDCCH의 포맷을 결정하고, 다중 PUCCH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결정된 PDCCH 포맷의 특정 필드의 값을 설정한다(S970). 이는 앞서 표 7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그리고 PDCCH를 PUCCH C-RNTI로 스크램블하여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 후(S980),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일 PUCCH를 수신하게 된다(S990).
물론, 표 8 및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활성화뿐만 아니라, 다중 PUCCH 전송 방식까지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PDCCH 이외에도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다중 PUCCH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앞에서 살펴보았다. 기지국은 도 10과 같이 동작하여 다중 PDCCH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 계층의 상위 계층에서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과 단일 PUCCH 전송을 수행한다(S1010). 사용자 단말이 PUCCH를 통한 전송할 신호량이 증가하거나, 빠른 신호 전송을 필요로 하는 등, 다중 PUCCH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의 다중 PUCCH 전송을 결정한다(S1020). 그리고, 다중 PUCCH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MAC CE 또는 RRC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1030). 그리고, 설정된 MAC CE/RRC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에 시그널링한다(S1040). 상기 시그널링되는 MAC CE/RRC 파라미터는 PDSCH에 실려서 전송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다중 PUCCH 전송이 지시된 것을 확인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중 PUCCH 수신하게 된다(S1050). 이후, 다중 PUCCH 전송이 필요한지 확인하여(S1060), 다중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다중 PUCCH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MAC CE 또는 RRC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1070). 그리고, 설정된 MAC CE/RRC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에 시그널링한 후(S1080),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일 PUCCH를 수신하게 된다(S1090).
도 2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중 PUCCH 또는 단일 PUCCH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 또는 RRC 시그널링으로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신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를 통하여 송신하게 되는 신호의 특정 비트가 다중 PUCCH 전송 또는 단일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물론, 다중 PUCCH 전송을 위하여 PDCCH에 1 또는 2 bit를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기존의 DCI 포맷의 필드들(TPC in DL grant, DAI 등등)을 재활용하여 다중 PUCCH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의 다중 PUCCH 트리거링 비트를 추출한다(S1110). 상기 트리거링 비트가 다중 PUCCH 전송을 지시하는지 확인한다(S1120). 상기 트리거링 비트는 앞서 표 2 내지 표 5에서 특정 1 또는 2 비트를 미리 약속된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링 비트가 단일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단일 PUCCH를 전송한다(S1130). 반면, 트리거링 비트가 다중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다중 PUCCH를 전송한다(S1140).
다중 PUCCH 송신 방식, 즉 CC에서 어느 정도의 다중 PUCCH 전송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는 RRC로 주어질 수도 있고, 상기 설정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CCH가 특정하게 스크램블되어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다중 PUCCH 전송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한다(S1210). 그리고, PDCCH를 PUCCH C-RNTI로 디스크램블 시도하여(S1220), 디스크램블이 성공한 경우(S1230), 수신한 PDCCH의 특정 필드의 값이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시키는지 확인한다(S1240). 이는 표 6, 7을 참고할 수 있다. 표 6의 구성과 같이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과 약속된 방식으로 다중 PUCCH를 전송한다(S1260). 그리고 별도의 비활성화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계속 다중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반면, 표 7의 구성과 같이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의 수신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고(S1245), 다중 PUCCH 전송을 중단하고, 단일 PUCCH 전송을 수행한다(S1250).
물론, 표 8 및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크램블이 성공한 PDCCH의 특정 필드는 PUCCH의 다중 전송 여부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중 PUCCH 전송 방식까지 지시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다중 PUCCH의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DSCH를 수신한다(S1310). 수신한 PDSCH가 다중 PUCCH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기 위한 MAC CE 또는 RRC 파라미터의 시그널링인지 확인한다(S1320). 확인 결과 다중 PUCCH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경우, 수신한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이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시키는지 확인한다(S1340). 확인 결과, 다중 PUCCH 전송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과 약속된 방식으로 다중 PUCCH를 전송한다(S1360). 그리고 별도의 비활성화 지시 정보를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으로 확인하기 전까지 계속 다중 PUCCH를 전송하게 된다. 반면, 다중 PUCCH 전송을 비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다중 PUCCH 전송을 중단하고, 단일 PUCCH 전송을 수행한다(S1350).
도 8 내지 도 10은 기지국의 동작 과정이 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4와 같다.
도 14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체 구성은 제어부(1420), 송신부(1410), 수신부(1430)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420)는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수행할 사용자 단말에게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송신부(1410)는 상기 생성된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 또는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며, 수신부(1430)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수신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도 8의 경우를 적용하면, 상기 지시 정보가 물리 채널에서 송신되는 경우, 상기 물리 채널은 PDCCH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DCCH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1 또는 2 비트에 해당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PUCCH를 통하여 다중으로 제어 정보가 송신되도록 트리거링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경우를 적용하면, 상기 지시 정보가 물리 채널에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필드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PUCCH를 통하여 다중으로 상기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의 경우를 적용하면, 상기 지시 정보는 MAC CE/ RRC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MAC CE/ RRC 파라미터는 PDSCH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사용자 단말의 동작 과정이 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5와 같다.
도 15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송수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체 구성은 제어부(1520), 송신부(1510), 수신부(1530)으로 구성된다.
송신부(1510)는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를 다중 송신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PUCCH 동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1530)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의 다중 송신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물리 채널을 통하여 또는 상기 물리 채널의 상위 계층인 MAC 또는 RRC 시그널링으로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520)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중 송신을 지시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다중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도 11의 경우를 적용하면, 상기 지시 정보가 물리 채널에서 송신되는 경우, 상기 물리 채널은 PDCCH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PDCCH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1 또는 2 비트를 트리거링 비트로 파악하여 PUCCH를 통하여 다중으로 혹은 단일로 제어 정보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경우를 적용하면, 상기 지시 정보가 물리 채널에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PUCCH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의 필드가 된다. 따라서, 수신한 PDCCH를 PUCCH C-RNTI로 디스크램블 하여, 디스크램블이 성공할 경우, 활성화/비활성화 지시 정보에 따라 PUCCH를 통하여 다중으로 상기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의 경우를 적용하면, 상기 지시 정보는 MAC CE/ RRC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MAC CE/ RRC 파라미터는 PDSCH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PDSCH를 수신하여 포함된 정보가 다중 PUCCH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파악하여 PUCCH를 통하여 다중으로 상기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다중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다중 PUCCH 전송효율과 시스템 쓰루풋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즉, 다중 PUCCH의 전송을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UL UCI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중 PUCCH 전송을 기존 시스템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 트리거링 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eNB가 UE에서 시그널링하며, 전체 시스템 성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UE)로부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제1 PUCCH 구성(PUCCH configuration)에 따라 제1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1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송신 내의 제1 MAC(Medium Access Control) CE (Control Element) 시그널링 내에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의 활성화를 지시함 - ;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다수의 PUCCH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2 PDSCH 송신 내의 제2 MAC CE 시그널링 내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의 중단(stopping)을 지시함 - ;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상기 제1 PUCCH 구성에 따라 제3 PUCCH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수의 PUCCH는 ACK 또는 NACK 송신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 시그널링은 스크램블된(scrambled),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송신을 릴리스(release)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PUCCH 송신이 요구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6.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제1 PUCCH 구성에 따라 제1 PUCCH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PDSCH 송신 내의 제1 MAC CE 시그널링 내에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의 활성화를 지시함 - ;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다수의 PUCCH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PDSCH 송신 내의 제2 MAC CE 시그널링 내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의 중단을 지시함 - ;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상기 제1 PUCCH 구성에 따라 제3 PUCCH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수의 PUCCH는 ACK 또는 NACK 송신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 시그널링은 스크램블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SPS 송신을 릴리스하는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송신 유닛;
    수신 유닛;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 유닛 및 상기 수신 유닛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제1 PUCCH 구성에 따라 제1 PUCCH 송신을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PDSCH 송신 내의 제1 MAC CE 시그널링 내에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의 활성화를 지시함 - ,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다수의 PUCCH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PDSCH 송신 내의 제2 MAC CE 시그널링 내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의 중단을 지시함 - ,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주요 요소 반송파 상에서 상기 제1 PUCCH 구성에 따라 제3 PUCCH 송신을 송신하는 것을 유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수의 PUCCH는 ACK 또는 NACK 송신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 시그널링은 스크램블된,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SPS 송신을 릴리스하는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 유닛 및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PUCCH 송신을 중단하는 것을 유발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80164465A 2018-12-18 2018-12-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65A KR101971409B1 (ko) 2018-12-18 2018-12-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65A KR101971409B1 (ko) 2018-12-18 2018-12-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536A Division KR20120120775A (ko) 2011-04-25 2011-04-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619A Division KR102049691B1 (ko) 2019-04-15 2019-04-1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464A true KR20180137464A (ko) 2018-12-27
KR101971409B1 KR101971409B1 (ko) 2019-04-22

Family

ID=6495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465A KR101971409B1 (ko) 2018-12-18 2018-12-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461A (ko) * 2008-08-27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KR20100096035A (ko) * 2009-02-23 201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24677A (ko) * 2009-05-19 2010-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461A (ko) * 2008-08-27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KR20100096035A (ko) * 2009-02-23 201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24677A (ko) * 2009-05-19 2010-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409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279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uplink transmission device
KR1022399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다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608051B2 (ja) 非免許帯域及びキャリア結合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バースト送信方法及び装置
KR2012012077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27813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无线信号的方法及其设备
JP5844743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使用する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送信電力制御シグナリング
JP602727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9432984B2 (en) Method of send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CA2898097C (en) Dynamic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using dci
US9100952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104118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8526928A (ja) 非免許帯域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マルチキャリア上でlbt過程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2018509028A (ja) 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使用者器機、並びに上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WO201411607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20004470A (ko) 반송파 병합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884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40149A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737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97140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4969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8474B1 (ko) 상향링크 확인응답 정보 및 주기적 채널상태정보를 동시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14101B1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5985A (ko) 비주기적 기준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51123B1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18547A (ko)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수신 데이터의 응답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