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236A -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236A
KR20180137236A KR1020170076645A KR20170076645A KR20180137236A KR 20180137236 A KR20180137236 A KR 20180137236A KR 1020170076645 A KR1020170076645 A KR 1020170076645A KR 20170076645 A KR20170076645 A KR 20170076645A KR 20180137236 A KR20180137236 A KR 2018013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xybenzylidene
dione
composition
liver
thiazol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문형룡
정해영
김소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236A/ko
Publication of KR2018013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Y10S514/89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Z)-5-(2,4-dihydroxybenzylidene)thiazolidine-2,4-di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또는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규한 화합물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한 바,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 손상 억제 또는 보호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tecting Liver Damage Comprising (Z)-5-(2,4-dihydroxybenzylidene)thiazolidine-2,4-dione}
본 발명은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 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 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면서, 단백질 합성 및 내부 물질의 대사뿐만 아니라, 외부의 물질을 대사시킴으로써,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특히, 생체 내로 들어온 약물 및 독소 등의 물질은 먼저 간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간은 다른 장기보다 독성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다만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서 급성 간손상의 경우는 무증상이거나 간 효소 수치가 약간 증가할 뿐이고, 대부분 자가 치료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손상이 만성화될 경우에는 비가역적인 간 조직의 괴사 등으로 인해 간 기능 부전 및 간경변을 초래하게 되어 정상적인 간으로 회복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임상적으로 산업화에 따른 공해물질, 유독 물질, 다양한 약물과 독소, 곰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 외에도, 현대인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는 간 손상을 가중시켜 인체의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간질환은 초기에 자각증상이 없어 손상이 상당히 진행되어서야 임상증상이 발견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사망원인의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간 조직의 구조 및 기능을 유지하면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9959(2011.09.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간 손상 억제 또는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Z)-5-(2,4-dihydroxybenzylidene)thiazolidine-2,4-di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Z)-5-(2,4-dihydroxybenzylidene)thiazolidine-2,4-di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유도한 간 독성 마우스 모델에서 경구 투여 시에 간 독성을 유의적으로 완화하는 활성을 나타낸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 손상 보호 내지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MHY498)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HY498의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LT의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HY498의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HY498에 의한 싸이토크롬 P450 아이소자임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Z)-5-(2,4-dihydroxybenzylidene)thiazolidine-2,4-di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규 화합물의 합성
먼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화학식을 갖는 신규 화합물인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MHY498)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 아세트아미노펜 투여로 간 독성을 일으킨 생쥐 모델에서 MHY498의 간 독성 완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MHY498을 5 mg/kg, 10 mg/kg, 20 mg/kg의 용량으로 경구를 통해 생쥐에게 공급하였다. 30분 후, 300 mg/kg 용량의 아세트아미노펜을 경구투여하고 24시간이 경과한 후 간손상을 판단할 수 있는 혈액지표 및 조직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세트아미노펜 단독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액중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활성은 MHY498 5 mg/kg 용량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농도의존적인 감소 결과를 보였다.
또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중심 정맥 주변의 세포사멸이 20 mg/kg 용량의 MHY498 공급에 의해 완벽히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아세트아미노펜 투여로 간 독성을 일으킨 생쥐 모델에서 MHY498의 싸이토크롬 p450 효소활성 조절 효과 확인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의 싸이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된 후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독성물질을 생성하며, 이러한 아세트아미노펜의 대사에 기여하는 아이소자임으로 1A2, 2E1, 3A4가 알려져 있다. 이에, MHY498에 의한 간손상 억제가 싸이토크롬 p450 효소의 활성 조절에 의해 나타나는지 평가하기 위해 MHY498를 이용하여 아래의 실험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MHY498의 반응 용액은 최종 농도 0.2 mg/ml 인간 마이크로소말 단백질(human microsomal protein), 0.1 M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pH 7.4), 1 mM NADPH와 다양한 CYP 아이소폼(isoform)의 CYP 아이소폼-특이적 개별 기질의 혼합액(A set: 페나세틴(phenacetin), 쿠마린(coumarin), S-메페니토인(S-mephenytoin),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및 미다졸람(midazolam); B set: 부프로피온(bupropion), 톨부타미드(tolbutamide), 클로르족사존(chlorzoxazone) 및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에 의해 최종 부피 200 μl 로 구성되었다. 기질은 각각의 미카앨리스-멘텐상수(Michaelis-Menten constant; Km)값에 맞게 다음과 같이 농도를 설정하였다: 페나세틴 50 μM, 쿠마린 10 μM, 부프로피온 50 μM, 톨부타미드 100 μM, S-메페니토인 100 μM, 덱스트로메토르판 5 μM, 클로르족사존 50 μM, 미다졸람 5 μM, 및 테스토스테론 50 μM.
모든 실험에 사용된 기질은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계열 희석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에 포함된 아세토니트릴의 조성은 최종 1.0%(A set) 및 0.5%(B set)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45℃에서 30분간 HLM을 불활성화한 후에, 최종농도 1 mM NADPH를 가하여 반응을 시작하였다. 반응 용액은 10분간 37℃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반응하였다. 200 μl 부피의 아이스-콜드 반응 종결액(내부 표준물질로 100 nM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을 포함한 아세토니트릴)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각 반응액을 4℃,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각 샘플 반응액(A, B set)을 96 웰에 1:1로 희석하고, LC-MS/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HY498에 의해 1A2, 2C8, 2C19 2E1의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이들 중 1A2와 2E1 활성의 억제는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손상을 저해하는 데에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

  1.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Z)-5-(2,4-dihydroxybenzylidene)thiazolidine-2,4-di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또는 보호용 조성물.
KR1020170076645A 2017-06-16 2017-06-16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180137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45A KR20180137236A (ko) 2017-06-16 2017-06-16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45A KR20180137236A (ko) 2017-06-16 2017-06-16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236A true KR20180137236A (ko) 2018-12-27

Family

ID=6495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45A KR20180137236A (ko) 2017-06-16 2017-06-16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2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31A (ko) * 2018-11-05 2020-05-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아졸리딘디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31A (ko) * 2018-11-05 2020-05-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아졸리딘디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sumoto et al. Edaravone and cyclosporine A as neuroprotective agents for acute ischemic stroke
AU2003251829B2 (en) Method to inhibit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Ertracht et al. The mitochondria as a target for cardioprotection in acute myocardial ischemia
Becker et al. Generation of superoxide in cardiomyocytes during ischemia before reperfusion
Fu et al. Activation of the melanocortin‐1 receptor by NDP‐MSH attenuates oxidative stress and neuronal apoptosis through PI3K/Akt/Nrf2 pathway after intracerebral hemorrhage in mice
US202201840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dac6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tching
Goncharov et al. Protective role of exogenous recombinant peroxiredoxin 6 under ischemia-reperfusion injury of kidney
Zou et al. Protective role of α-lipoic acid in hyperuricemia-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Prieto-Moure et al. Pharmacology of Ischemia–Reperfusion. Translational Research Considerations
WO2021242912A1 (en)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 relacorilant and paclitaxel, a dual substrate of cyp2c8 and cyp3a4
KR20180137236A (ko) (z)-5-(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Goyal et al. Myocardial salvaging effect of telmisartan in experimental model of myocardial infarction
US20070287685A1 (en)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FBPase inhibitor
US963634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cetaminophen inducing hepatotoxicity containing TNP(N2-(m-Trifluorobenzyl), N6-(p-nitrobenzyl)purine) as an effective ingredient
El-Gowelli et al. PPARγ dependence of cyclosporine–isoprenaline renovascular interaction: roles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heme oxygenase
Raffaella et al. A Lipophilic Nitric Oxide Donor and a Lipophilic Antioxidant Compound Protect Rat Heart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if Given as Hybrid Molecule but Not as a Mixture
Lou et al. Xanthohumol from Humulus lupulus L. potentiates the killing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mitigates liver toxicity by the combination of isoniazid in mouse tuberculosis models
Warenits et al. Motor cortex and hippocampus display decreased Heme oxygenase activity 2 weeks after ventricular fibrillation cardiac arrest in rats
US1051791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or treating pulmonary hypertension
Ribeiro et al. Mitochondrial dysfunction on the toxic effects of anticancer agents—from lab bench to bedside
Zhang et al. Oxypeucedanin is a mechanism-based inactivator of CYP2B6 and CYP2D6
US20210369689A1 (en)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 relacorilant and cyp2c9 substrates
EP4157275A1 (en)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 relacorilant and cyp2c8 substrates
Palaparthy et al. Modulation of diaspirin crosslinked hemoglobin induced systemic and regional hemodynamic response by ethanol in normal rats
US20100280125A1 (en) Medicinal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