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072A -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 Google Patents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072A
KR20180137072A KR1020170076142A KR20170076142A KR20180137072A KR 20180137072 A KR20180137072 A KR 20180137072A KR 1020170076142 A KR1020170076142 A KR 1020170076142A KR 20170076142 A KR20170076142 A KR 20170076142A KR 20180137072 A KR20180137072 A KR 20180137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vehicle
vo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7007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072A/en
Publication of KR2018013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0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interlocked with on-board diagnostics (OB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by comprising: a sound wave inputting unit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 sound wave outputting unit outputting the sound wave signal; a short range wireless unit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ng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interactive vehicle device interlocked with OBD comprises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 OBD interlocking unit, a voice recognizing unit, a voice outputting unit, and a control processing unit.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communicates with an operating server designat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ng unit. The OBD interlocking unit obtains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 vehicle OBD by perform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n OBD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sel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server from the obtained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operat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The voice recognizing unit reads the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range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ting unit, and performs a process for recognizing voice of a user. The voice outputting unit performs a process for outputting the voice with the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voice of the audible frequency range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ting unit. The control processing unit processes a function for confirm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server based on voice recognizing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zing unit, and transmitting network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a function for confirming voice outputting information to be outputted by the voice through network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controlling voice to be outputted through the voice output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ractively provide various services.

Description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과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와 대화하고,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를 주기적/실시간 획득하며,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여 동작하는 대화형 차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for interfacing with a vehicle OBD (On-Board Diagnostics) by provid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user and a voice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voice to a user, OBJECTS AND METHODS FOR OBTAINING OBJECTIVE OBJECTS AND METHODS FOR OBTAINING OBJECTS OF OBTAINED OBTAINED OBJECTIVES,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는 기관제어시스템에 집적되어 있는 차량 진단/감시 시스템이다. OBD는 전 운전영역에 걸쳐 차량 내부의 모든 시스템을 감시하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OBD스캐너와 연결되어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한편 OBD는 차량 진단/감시 중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내역을 ECU에 저장하며, OBD스캐너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를 조회할 수 있다.OBD (On-Board Diagnostics) of a vehicle is a vehicle diagnostic / monitoring system integrated in an engine control system. The OBD monitors all systems in the vehicle throughout the entire operating range and interfaces with the OBD scanner through a standard interface for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the OBD stores the fault history in the ECU when a fault occurs in the vehicle diagnosis / monitoring, and the OBD scanner can inquire the standard interface.

한편 주지의 OBD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진단/감시 조회 서비스 이외에, 최근 블루투스 기능과 표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OBD 어댑터를 차량 OBD의 표준 인터페이스 연결하여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응급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하여 광대역망의 단말장치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13379호(2011년10월17일))이 공지된 바 있다. In addition to the vehicle diagnosis / surveillance inquiry service using a well-known OBD scanner, an OBD adapter having a Bluetooth function and a standard interface is connected to a standard interface of a vehicle OBD to extract vehicle status information, extracts an emergency signal,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a terminal device of a broadband networ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bridge has been know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13379 (October 17, 2011)).

그러나 종래에 OBD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진단/감시 조회 서비스 이외에 차량 OBD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OBD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설사 이동통신 단말기 대신에 별도의 장치를 통해 차량 OBD와 연동하더라도 결국 통신 연결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 차량 OBD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원이 지속적으로 점유 이용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예컨대, 전화통화, 인터넷 등)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in the past, in addition to the vehicle diagnosis / surveillance inquiry service using the OBD scanner, the service provided using the vehicle OBD uses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by interlock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vehicle OBD. In pl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since the re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tinuously occupied to provide the service using the vehicle OB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elephone calls, the Internet, etc.) are limi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과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와 대화하고,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를 주기적/실시간 획득하며,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여 동작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대화형 차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user and a voice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voice to a user, ),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that interlocks with an OBD to acquir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periodically / in real time from the vehicle OBD, and ha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to connect to a communication network, Type vehicl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연결하는 무선망 통신부를 포함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 상의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처리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OBD 연동부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운영서버로 전송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정보를 포함하는 망전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망수신정보를 통해 음성 출력할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징으로 한다.An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interworking with an aud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 short range wireless unit for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communicating with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an OBD module connected to a vehicle OBD via a short range wireless unit, And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selects driv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mong the obtained driv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o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the user and performing a procedur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including a voice of an audio frequency band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A function of confirm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recognized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function of checking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의 제어 기능 중 둘 이상의 제어 기능을 연동하거나 조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rvice unit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by linking or combining two or more control functions among the control functions of the control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processor confirms th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And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the operation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interworking with an obad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supplied with vehicle power.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일정 기간 이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may store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confirm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stored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comparing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previously stored driving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at least one information that is nonlinearly changed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s included,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regardless of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abov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confirm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stored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comparing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previously stored drivin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that is changed in excess of a threshold value,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d information exceeding the specified threshold valu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to the operation server irrespective of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is changed in excess of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일정 기간 이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로 전송할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may compare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previously stored state information, and store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nd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change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tored status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change And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를 판독하여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reads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rror are included,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when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ar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reads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recognizes the speech uttered by the user, and generates the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지정된 인식서버나 운영서버로 상기 추출된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extracts spee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ech uttered by a user from an acoustic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voice information to a recognition server or an operation server specified through a processing unit so as to be recognized.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문자정보 기반의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음성출력정보의 문자정보를 지정된 음성신호 형태로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utput unit confirms voice output information based on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character information of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through a sound output unit to a voice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image data.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음성신호 형태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unit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firming audio output information in the form of voice signals and outputting voic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획득된 운행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획득된 상태정보를 판독하여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의 잡음 증가율을 판독하여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차량의 문과 창문 미개방 상태의 기본 신호강도보다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unit may read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And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windows is open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or reads out the noise increase rate of the sound signal inputt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to check whether the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When the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the vehicle runn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ound of the audio frequency band is amplified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han the basic signal strength of the door and the windowless state of the vehicle .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음성 인식부와 음성 출력부와 통신 처리부 중 둘 이상의 구성부 사이의 정보 흐름 구조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코드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와 통신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정보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keywords to be confirm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starting or processing a specific service,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flow structure between two or more constituent units of the speech out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on a program code, When the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is confirmed, controlling the information flow for the specific service us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차량장치를 통해 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경우, 차량장치를 통해 제공 가능한 둘 이상의 서비스 중 어느 한 특정 서비스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키워드 및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정보 흐름 구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코드 상에 유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identifies any one of two or mor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apparatus, when the two or more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apparatus And a function of storing the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keyword to be identifi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service and the information flow structure for the specific service, and stor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on the program code .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워드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이용한 정보 흐름 제어 중에 상기 특정 키워드와 매칭된 서비스 관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할 망전송정보에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pecific keyword among one or more keywords to be identifi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service,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checking service-related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specific keyword during information flow control us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network-rel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a function of including service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운영서버나 지정된 결제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a user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a specific keyword for a payment service, And identification key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a specific keyword to identify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in the operating server or the media of the designated payment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거래대상의 거래대상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위해 운영서버나 지정된 금융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거래대상의 거래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transaction target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a specific keyword for a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And identification key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a specific keyword to identify transaction target information of a transaction registered in an operation server or a medium of a designated financial server for a service.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과 차량 OBD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과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과 사용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한 차량장치를 차량 내에 구비하여 대화형으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device hav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for interlocking with a vehicle OBD,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user's utteranc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intera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대화형 차량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대화형 차량장치(1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hrough the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을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으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In other words, the following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specific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or functions implemented in specific configurations may be referred to as specific configurations Embodiments in which functions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configuration, embodiments in which the operation sequenc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is changed, and the like are not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bination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subdivided based on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대화형 차량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interactive vehic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과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와 대화하고,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를 주기적/실시간 획득하며,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지정된 운영서버(220)와 통신하여 동작하는 대화형 차량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대화형 차량장치(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1 shows an OBD interlock function for interfacing with a vehicle OBD (On-Board Diagnostic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user, and a voice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a voice to a user, And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20 to provide a functional communication function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S), or alternatively, or in combin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such contemplated embodiments, Only an exemplary method illustrated in figure 1 shall not be limited to that technical feature.

본 도면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제어부(105)와 메모리부(140)를 구비하고,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10),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1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120), 광역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연결하는 무선망 통신부(125)를 구비하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차량장치(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부(135)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근거리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연결하는 근거리망 통신부(130)를 더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각종 동작 상태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도시생략)을 더 구비할 수 있다.1, the vehicle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5 and a memory unit 140, and includes a sound wave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sound wave signals, a sound wave output unit 110 for outputting sound wave signals, A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for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via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power. Meanwhile, the vehicle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locating unit 135 for locat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 or a short 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a short- 130),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and / or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various operation states and information .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차량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및/또는 각종 칩이나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량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차량장치(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차량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은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을 본 제어부(1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05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pparatus 10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 or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chips or control circuits, And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apparatus 100 through a bus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5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vehicle device 100 through the processor and loads the program code into the execution memory,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To thereb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evice 100. [0050]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 or in the form of a chip or a control circuit,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차량장치(1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차량장치(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차량장치(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기능적 구성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40 is a generic name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vehicle device 1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05 and at least one Save and maintain the dataset. The memory unit 140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vehicle apparatus 1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vehicle apparatus 100, A program code and a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

상기 전원 공급부는 차량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포함하는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차량장치(100)의 내부 구성부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차량 전원(또는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내장(예컨대, 차량의 전장에 탑재)되거나 또는 차량 시가잭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is a collective term of a component that receiv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vehicle apparatus 100, and preferably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apparatus 100 can be manufactured in a stationary state in which the vehicle apparatus 100 is mounted in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can receive vehicle power from the vehicle cigar jack.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preferably converts the vehicle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cigar jack into an operating power including a specified voltage and an amount of current, and applies the power to an internal constituent part of the vehicle apparatus 100.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harging unit (not shown) for charging the vehicle power supply (or an operation power supply). In this case, the vehicle 100 is powered off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evice 100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n a structure that can be supplied with power of the vehicle without being built in (e.g., mounted on the vehicle's entire length)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can receive the vehicle power.

상기 음파 입력부(110)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입력되는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음파입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입력부(110)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예컨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엔코드 규격에 따라 상기 입력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파 입력부(110)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음은 물론 비가청 주파수 대역(예컨대, 초음파)의 음파신호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도 지정된 엔코드 규격에 따라 엔코딩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할 수 있다.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is a collective term of a sound wave signal receiving unit, and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sound wave input module for digitizing the sound wave signal. Preferably, 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receives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o frequency band (for example,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receives the input audio frequency Band sound wav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5. The control unit 105 generates the sound wave data by encoding the sound wave signal. Meanwhile, 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through the microphone and can also receive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non-audible frequency band (e.g., ultrasonic wa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sound wave signal in the non-audible frequency band, which is generated by encoding according to the designated encoding standard, to the control unit 105.

상기 음파 출력부(115)는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음파신호를 음파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와 출력품질을 제어하는 음파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출력부(115)는 상기 제어부(105)를 통해 음파 출력하도록 요청된 음파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생성되는 음파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파 출력하되, 상기 음파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제어하여 음파 출력(예컨대, 차량 외부로 도달하지 않게 제어된 신호강도로 음파 출력, 또는 차량 주행 중에 창문이 열려 있어 바람에 의해 잡음이 지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차량의 구성품 중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변 잡음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증폭하여 음파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파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출력품질(예컨대, Fs. Qts, Vas 등의 스피커 파라미터)을 제어하여 최대한 음파 왜곡을 차단하거나 억제하여 음파 출력(예컨대, 스피커의 공진에 의한 음파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성신호의 경우 가청도(또는 청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음성신호 상의 분절음에 대응하는 음파 성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파신호에 비트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경우 비트 열이 부호화되는 주파수나 신호강도의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wave output unit 115 is a collective term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nd includes at least one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sound wave output module for controlling signal intensity and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 Preferably, the sound wave output unit 115 outputs a sound wave, which is generated by decoding the sound wave data requested to output sound waves through the control unit 105, through the speaker, (For example, a sound output with a signal intensity that is controlled not to reach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a window that is open during a vehicle running,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pecified by the noise by the wind, (For example, Fs. Qts (Qs)) of a sound wave signal outputted by the sound wave output by amplifying a signal intensity of a sound wave signal by a certain ratio and outputting a sound wave when the ambient noise exceeds a reference value due to an abnormality in some of the components. , Vas, etc.) to block or suppress the sound distortion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sound output (for example, by resonance of the speaker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is controlled so as to block / suppress the wave distortion so that the sound wav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sound on the sound signal is clearly classified so that the audibility (or audibility) Output quality of a sound wave is controlled to be output, or when a bit string is encoded and output to a sound wave signal,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is controlled so as to block / suppress the distortion of the frequency or the signal strength at which the bit stream is encoded).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는 상기 차량 내에서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구성이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블루투스 이외에 다양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예컨대, 와이파이 규격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지그비(ZigBee) 규격에 따른 지그비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UWB 규격에 따른 UWB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현존하거나 미래의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is a collective term of a component for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pecified standard in the vehicle and may preferably include a Bluetooth component for processing Bluetooth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Bluetooth standard . However,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configur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is not limited to the Bluetooth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and it is possible to us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various standards besides Bluetooth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Wi-Fi-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Wi-Fi standard, ZigBee-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ZigBee standard, and UWB-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UWB standard. Availabl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processes Bluetooth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차량은 운전석 근처에 OBD(On-Board Diagnostics)-II 이후 규격에 따른 차량 OBD에 연결하기 위한 OBD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OBD모듈(210)과 셋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OBD모듈(210)은 상기 차량의 OBD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OBD포트로부터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상기 OBD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OBD로부터 지정된 OBD 규격에 따른 OBD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OBD모듈(210)은 상기 차량장치(100)의 근거리 무선부(120)와 페어링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100)와 합의된 통신프로콜에 따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를 상기 차량장치(100)로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has an OBD port for connecting to the vehicle OBD according to the on-board diagnostics (OBD) -II standard after the driver's seat. The OBD modul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OBD module 210 of the OBD module 210. The OBD modul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OBD module 210. The OBD module 210 may include an OBD module 210 having a function of processing short- OB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ed OBD standard is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BD port. The OBD module 210 has a short range wireless module that is paired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of the vehicle 100 to proces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grees with the vehicle 1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And transmits the OB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o the vehicle device 100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protocol.

본 발명의 제1 OBD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모듈(210)은 상기 OBD포트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를 그대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210)로부터 상기 OBD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정보나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OBD interwork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module 210 can transmit the OBD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port to the vehicle device 100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vehicle device 100 may receive the OBD information from the OBD module 210 through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selectively obtain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or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condition.

본 발명의 제2 OBD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모듈(210)은 상기 OBD포트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 중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정보와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21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나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OBD interlock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module 210 selects the OB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OBD through the OBD port and th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status, In this case, the vehicle device 100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OBD module 21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의 OBD 연동 실시예에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OBD정보의 용도나 기능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하는 명칭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 중 사용자의 운전 행위에 의하거나 차량의 운행 중에 시시각각 변경되는 정보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태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 중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집합이다. 따라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정보 중 어느 한 정보는 운행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BD interlock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re names for convenience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use or function of the OBD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cludes a set of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by the user's driving behavior or changed instantaneously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s the set of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the state of Therefore, any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may be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r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랴장치와 OBD모듈(2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시점에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OBD모듈(210)은 상기 키 값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OBD모듈(210)을 통해 암호화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상기 OBD모듈(210)과 차량장치(1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up device and the OBD module 210 store a key value for encrypted communication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exchange a key value for encrypted communication at a time of connecting short- The OBD module 210 encrypts and transmits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key value, and the vehicle device 100 receives the encrypted information through the OBD module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OBD module 210 and the vehicle device 1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장치(100)의 근거리 무선부(120)와 OBD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모듈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또는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 이상)에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OBD모듈(210)과 차량장치(1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가 차량 외부에서 탐지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0 of the vehicle 10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module of the OBD module 210 operate using vehicle power,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short-range wireless signals at a signal intensity set not to reach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rom outside the vehicle) to provid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by the distance between the OBD module 210 and the vehicle apparatus 100 To prevent the information exchanged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being detected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을 확장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는 지정된 코드(예컨대, 차량장치(100)에 고유 할당된 코드와 차량장치(100)에서 생성한 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를 포함하며 미리 페어링되지 않은 수신장치에서도 수신하여 상기 코드를 인식 가능한 근거리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의 BLE 기반 무선신호)를 단방향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단방향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드를 포함하여 단방향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는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까지 도달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 이내에 구비된 수신장치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를 인식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de (for example, a code unique to the vehicle apparatus 100 and a code generated by the vehicle apparatus 100, (For example, a BLE-based wireless signal of the Bluetooth 4.0 standard or later) capable of receiving the code and recognizing the code can also be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0 transmit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to the designated signal so that the short-distanc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can reach a certain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In this case, the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short range wireless signal reaches a certain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and can be received by a receiving device provid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e receiving apparatus can recognize a code included in the near-field radio signal and perform a procedure of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는 상기 차량장치(100)를 기지국을 경유하는 광역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unit that connects the vehicle 100 to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designated frequency band,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5 to transmit oper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05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receives data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105, and performs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를 통해 접속하는 무선망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는 이동통신망 이외의 다른 광역 무선망(예컨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상기 차량장치(100)를 무선망 상의 셀 기반 기지국을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acces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t least on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may perform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g., portable Internet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provides the packet data communication bas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via the cell-based base station on the wireless network regardless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wireless section, the typ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protocol It is a generic term for the components that connect to the data network.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30)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 이내, 또는 30m 이내 등)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예컨대, 무선AP 등)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100)를 상기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망 통신, 블루투스 근거리망 통신, 지그비 기반 근거리망 통신, UWB 기반 근거리망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와 상기 차량장치(1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장치(100)를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30)는 상기 차량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이 이동하여 특정한 망접속장치의 무선 주파수 신호의 도달 범위에 진입하여 상기 망접속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이 구현된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를 상기 근거리 무선망의 망접속장치를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이하, 편의상 차량장치(100)의 망 통신 기능은 무선망 통신부(125)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망 통신부(130)를 이용한 망 통신 기능도 제공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a network access device (e.g., a wireless AP, etc.) located near by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within 10 m or within 30 m)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vehicle device 100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network access device is connec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for connecting the session, preferably a WiFi-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a Bluetooth short-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he vehicle device 100 and a network access device provided at a short distance through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UWB-based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and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and the vehicle device 100 is connected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network connection apparatus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moves the vehicle having the vehicle 100 to reach a range of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network access device, When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is implemented, the vehicle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for provi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via a network connection device of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Hereinafter,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using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the short- Is also provided.

상기 위치 측위부(135)는 상기 차량장치(100)(또는 차량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위 기술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측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측위부(135)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신호를 차량장치(100)가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방식,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측위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position locating unit 135 is a collective term for lo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pparatus 100 (or the vehicle including the vehicle apparatus 100), preferably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100 can be positioned. For example, the position locator 135 may be an A-GPS (Assisted-GPS) system in which the vehicle 100 reads a position signal from a GPS satellite and notifies the base station of the position signal, And a DGPS (Differential GPS) method that corrects an error of a posi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device 100.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100 can be located by positio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100 But is not limited by the method.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이나 근거리망 통신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하여 통신망 상의 지정된 운영서버(220)와 통신하는 통신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1, the vehicle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of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or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and communicates with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20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차량장치(100)를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이나 근거리망 통신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하는 절차, 운영서버(220)를 포함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절차,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와 지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is a collective term for a function configuration unit that implement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he vehicle 1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program code form and a chip or a control circuit form A procedure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of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or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a procedur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signate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가 광역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등) 상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를 통해 광역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2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와 지정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장치(100)에 근거리망 통신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30)가 근거리의 망접속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30)를 통해 근거리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2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와 지정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n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transmit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via the wide area wireless network May connect a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 / receive specified information to / from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Meanwhile, when the near-field communication unit 130 is provided in the vehicle 100 and the near-field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hort-range network access device,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transmits the short- To the operation server 22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an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designat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125)이나 근거리망 통신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 이외에 다른 서버(예컨대,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서버,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금융서버 등)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와 지정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other servers other than the operating server 220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of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or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A service serve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 payment server providing a payment service, a financial server providing financial transaction, etc.), and transmit and receive specifie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OBD 연동부(155)를 구비한다.1, the vehicle apparatus 10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210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to obtai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And an OBD interlocking unit (not shown) for selecting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mo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155).

상기 OBD 연동부(155)는 차량 OBD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is a collective term for a functional unit that implements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that interlocks with a vehicle OBD and is implemented in a form of at least one of a program code form and a chip or a control circuit form or a combination of both,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BD module 210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via the vehicle OBD 120 to obtain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a function of selecting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일정 기간 이상 저장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확인된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stor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the dr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mong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ransmitting the confirmed driving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have.

본 발명의 제1 운행정보 전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driv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본 발명의 제2 운행정보 전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운행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운행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로 즉시 전송할 운행정보로 결정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즉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may transmit dr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driv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one or more driv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confirm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50 And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information that is non-linearly changed is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If one or more pieces of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may change the nonlinearly changed driving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immediately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3 운행정보 전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운행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운행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로 즉시 전송할 운행정보로 결정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즉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one or more driv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confirm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50 And checks whether or not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that is changed in excess of the threshold value specifi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is included. If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hat are changed in excess of a threshold value specifi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are included,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may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220 determin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d information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as operation information to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via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nd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장치(100)에 위치 측위부(135)를 구비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위치 측위부(13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운행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운행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position determining unit 135 is provided in the vehicle apparatus 100,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confirms th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locating unit 135 And transmits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or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So that the transmission can be process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2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일정 기간 이상 저장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확인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ich is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120,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more, And a function of check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ransmitting the confirmed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have.

본 발명의 제1 상태정보 전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되,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상태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상태정보로 결정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stores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stores state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One or more pieces of stat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heck whether the state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includ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If the state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transmit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change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50. [

본 발명의 제1 상태정보 전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되, 상기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되는 상태정보와 정상 상태의 상태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상태정보로 결정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stores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stores state information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state information The state information is compared and read to check wheth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If the stored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nomaly,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omaly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occurrence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장치(100)에 위치 측위부(135)를 구비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55)는 상기 위치 측위부(13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상태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position determining unit 135 is provided in the vehicle apparatus 100,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confirms th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locating unit 135 And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50 to transmit the confirmed position information or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o be transmitted.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음파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160)와, 상기 음파 출력부(115)를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출력부(165)를 구비한다. 1, the vehicle apparatus 100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user by reading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And a sound output unit 165 for performing a sound output process of the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ound of the audio frequency band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115.

상기 음성 인식부(16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음파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음성인식 절차를 수행한다.The speech recognition unit 160 is a collective term of a functional unit that implements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a speech uttered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in a form of at least one of a program code form and a chip or a control circuit form, 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digitizes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and reads out the generated sound wave data to perform a sound recognition procedure for recognizing the sound utte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제1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인식부(160)는 상기 음파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화된 음성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peech recogni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160 confirms the sound wave data obtained by digitizing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o frequency band among the sound wave signals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And analyzing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recognition algorithm to recognize the speech uttered by the user, thereby generat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speech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2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인식 과정은 상기 차량장치(1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220)(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음성 인식부(160)는 상기 음파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고, 음성인식을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인식서버(도시생략)나 운영서버(220)로 상기 추출된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220)로 상기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음성을 인식하도록 처리한 경우,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220)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화한 음성인식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부(160)는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22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화된 음성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장치(100) 내에서 인식된 음성인식정보인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서버에서 상기 음성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인식서버는 상기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나 특정 서비스서버로 제공하여 서비스 절차에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운영서버(220)에서 상기 음성을 인식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220)는 상기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서비스 절차에 이용하거나 별도의 서비스서버로 제공하여 서비스 절차에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speech recogni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n operation server 220 (or a separate speech recognition server (not shown)) i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device 100, In this case,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identifies the sound wave data obtained by digitizing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among the sound wave signals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110, Extracts the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xtracted voice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server (not shown) or the operation server 220 designated to process the voice recognition to process the voice recognized by the user. In the case where the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ognition server or the operation server 220 to recognize the voice and when the recognition server or the operation server 220 recognizes the voice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recognizes the voice of the user from the recognition server or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uses it as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vehicle 100 .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gnition server recognizes the voice, the recognition server provides the recognized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or a specific service server, Or if the operating server 220 recognizes the voice, the operating server 220 may use the recognized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n a service procedure or provide it as a separate service server to be used in a service proced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3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인식부(160)는 상기 제1 및 제2 음성인식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ㅇ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third speech recogni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160 performs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speech uttered by the user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peech recognition embodiments are at least partially combin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는 기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위해 구비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으로, 편의상 상기 제1 음성인식 실시예를 기준으로 차량장치(100)가 음성인식정보를 직접 인식하는 것처럼 기재하더라도, 이는 실제로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160 performs functions provided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peech recognition embodiments , Although the vehicle apparatus 100 may be described as recognizing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directly on the basis of the first voice recognition embodim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t may actuall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voice recognition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it is.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음파 출력부(115)를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에컨대, 가청 주파수 대역의 분절음에 대응하는 음파 성분)에 대응하는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음파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The voice output unit 165 is a collective term for a function configuration unit that implements a voice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voice to a user and is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program code form and a chip or a control circuit form,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a sound of an audio frequency band (for example, a sound wave component corresponding to a segmented sound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s output through the sound processor 115.

본 발명의 제1 음성출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문자정보 기반의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문자정보 기반의 음성출력정보를 분절음에 대응하는 음파 성분을 지닌 음성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음파 출력부(115)를 통해 발화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udio outpu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unit 165 confirms the audio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outputs the audio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 information to the audio signal having the sound wav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sound And outputting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115. [0031]

본 발명의 제2 음성출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분절음에 대응하는 음파 성분을 지닌 음성신호 형태 음성출력정보(예컨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음파 출력부(115)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 형태 음성출력정보를 재생하여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udio outpu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unit 165 confirms audio signal type audio output information (for example, sound wave data including audio signals) having a sound wav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sound, And a function of playing back the audio signal form audio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115 and outputting the sound.

본 발명의 제3 음성출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음성출력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음성을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ㅇ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third sound outpu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165 can perform a procedure of outputting sounds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embodiments are at least partially combined ,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출력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음성출력 시, 상기 OBD 연동부(155)를 통해 획득된 운행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지 확인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상기 OBD 연동부(155)를 통해 획득된 상태정보를 판독하여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음파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의 잡음 증가율을 판독하여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주변 잡읍이 증가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의 확인 과정을 통해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주변 잡음이 증가된 상태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차량 정지 상태나 창문 미개방 상태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기본 신호강도보다 일정 비율 이상(예컨대, 차량 정지 상태나 창문 미개방 상태에서 잡음이 증가한 비율에 비례하는 비율) 증폭한 신호강도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열려 주변 잡읍이 증가한 상태에서도 음성 출력되는 음파신호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가청도(또는 청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unit 165 may output the audio data obtained through the OBD interlock unit 155 during audio out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third audio output embodiments Information is read to confirm that the vehicle is running. The audio output unit 165 reads out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155 and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or inputs the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10 And the at least one window is opened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to check whether the surrounding jig is in an increased state. If at least one window is opened and the ambient noise is detected to be increased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rough the above checking process, the voice output unit 165 outputs voice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 the vehicle stop state or the non-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udio of an audio frequency band with a signal intensity amplified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han a basic signal intensity set for outputting a signal (for example, a ratio proportional to a rate of increase of noise in a vehicle stop state or a window open state) . ≪ / RTI > Accordingly, the audio output unit 165 can maintain a degree of audibility (or audibility)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sound wave signal that is audibly output even when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jig increases.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음성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정보를 포함하는 망전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부터 수신되는 망수신정보를 통해 음성 출력할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165)를 통해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어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 처리부(17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처리부(170)의 제어 기능 중 둘 이상의 제어 기능을 연동하거나 조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부(175)를 구비한다.1, the vehicle apparatus 100 confirm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 function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voice transmiss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via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ntrol functions among the functions for checking outpu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5, And a service unit 175 that provides a specific service by linking or combining two or more control functions.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통신 처리부(150)와 OBD 연동부(155)와 음성 인식부(160)와 음성 출력부(165) 중 둘 이상의 구성부 간 정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controls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nd the OBD linking unit 155 and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nd the voice output unit 165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program code type and a chip or a control circuit type or a combination of both.

본 발명의 제1 제어 기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음성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정보를 포함하는 망전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망전송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은 상기 음성 인식부(160), 서비스부(175), 제어 처리부(170), 통신 처리부(150) 중 어느 기능 구성부를 통해 처리하더라도 무방하며, 특정 기능 구성부를 이용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func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confirm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nd to transmit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network 150. [ Here,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the service unit 175,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using the part.

상기 제1 제어 기능 실시예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성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는 지정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명령 키워드, 서비스의 개시나 중지 또는 종료 등의 지시를 처리하는 지시 키워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 중에 사용자의 동의나 승인 또는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인증 키워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할 정보에 해당하는 입력 키워드 중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인식정보의 키워드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20)를 통해 처리되는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인식된 음성인식정보 또는 상기 음성인식정보의 키워드를 지정된 정보구조에 포함시킨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control function embodiment,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is used to process instruction keywords corresponding to designated instruction words, instructions for starting, stopping or ending a service An instruction keyword, an authentication keyword for processing a consent or approval or authentication of a user dur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nd an input keyword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to be input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Meanwhile, when a procedure fo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keyword of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2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processor 170 determines the keyword of the recognized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or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

한편 상기 제1 제어 기능 실시예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성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가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관련정보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음성인식정보의 키워드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20)를 통해 처리되는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지정된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음성인식정보의 키워드와 매칭 저장된 서비스 관련정보를 확인(또는 추출)하고, 상기 확인(또는 추출)된 서비스 관련정보를 지정된 정보구조에 포함시킨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control function embodiment,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re matched with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processing a specific service, When a procedure of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keyword of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2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processor 170 reads the keyword of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r extracts)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match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information structure, and configures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confirmed (or extracted) is included in the designated information structure so that the operation server 220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제1 제어 기능 실시예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성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에 포함된 키워드 중 일부 키워드는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관련정보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다른 일부 키워드는 서비스 관련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며, 상기 음성인식정보의 키워드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20)를 통해 처리되는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지정된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음성인식정보의 일부 키워드와 매칭 저장된 서비스 관련정보를 확인(또는 추출)하고, 상기 확인(또는 추출)된 서비스 관련정보와 상기 음성인식정보에 포함된 다른 일부 키워드를 지정된 정보구조에 포함시킨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control function, some of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re matched with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ing a specific service When a procedure fo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keyword of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2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processor 170 (Or extracts) service related information stored and matched with some keywords of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stores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and the other keywords included i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 It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장치(100)에 위치 측위부(135)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위치 측위부(135)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제어 기능 실시예에 따라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운영서버(220)로 망전송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는 망전송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망전송정보를 수신한 운영서버(220)에서 서비스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위치정보를 확인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절차를 위해 위치정보를 생략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position determining unit 135 is provided in the vehicle apparatus 100,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confirms th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locating unit 135, The first control function transmits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nd transmits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Meanwhile, when the operating server 220 receiving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while performing the service procedure or if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mitted for the service procedure, the control processor 170 May not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2 제어 기능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부터 수신되는 망수신정보를 통해 음성 출력할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165)를 통해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기능은 상기 음성 출력부(165), 서비스부(175), 제어 처리부(170) 중 어느 기능 구성부를 통해 처리하더라도 무방하며, 특정 기능 구성부를 이용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checks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nd a control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5 can be processed. Here, the function of outputting the audio outpu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audio output unit 165, the service unit 175, and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상기 제2 제어 기능 실시예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 기능 실시예에 따라 차량장치(100)가 음성 인식한 음성인식정보에 근거하여 구성된 망전송정보를 운영서버(220)로 전송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220)는 상기 망전송정보를 근거로 특정 서비스를 위한 지정된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로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차량장치(100)로 수신될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부터 상기 망수신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망수신정보에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 출력할 음성출력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상기 망수신정보에 음성출력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165)를 통해 상기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control function embodiment,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configured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vehic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function embodiment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220 performs a designated service procedure for a specific service based on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configures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to be received by the vehicle device 100 for the specific ser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processor 170 controls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50 to receive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220, and transmits the received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70 And outputs the audio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5 whe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audio output information. .

한편 상기 제2 제어 기능 실시예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망 상의 지정된 서버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운영서버(220)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220)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를 근거로 특정 서비스를 위한 지정된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로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차량장치(100)로 수신될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20)로부터 상기 망수신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망수신정보에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 출력할 음성출력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상기 망수신정보에 음성출력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165)를 통해 상기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control function embodiment, when the service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operation server 220, In this case, the control processor 170 may transmit and receiv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to be received by the vehicle device 100 for the specific service after performing a designated service procedure for the specific service based on the request information, Receives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and checks whether or not voice output information to output voice for the specific service is included in the received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And to output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165 when voice outpu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상기 음성 인식부(160)와 음성 출력부(165)와 통신 처리부(150) 중 둘 이상의 구성부 사이의 정보 흐름 구조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코드 상에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인식부(160)와 통신 처리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정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6 제어 기능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연동하거나 조합하는 형태로 정보 흐름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includes one or more keywords to be confirm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n order to start or process a specific service, and communication with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nd the voice output unit 165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flow structure between two or more constituent units of the processing unit 150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may be maintained on a program code. At least one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160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When the information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is confirmed through the one, the information flow for the specific service can be controlled us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Preferably,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flow in a manner of linking or combining two or more of the first to sixth control function embodiments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한편 상기 차량장치(100)를 통해 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차량장치(100)를 통해 제공 가능한 둘 이상의 서비스 중 어느 한 특정 서비스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키워드 및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정보 흐름 구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코드 상에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각 서비스 별 서비스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내지 제6 제어 기능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연동하거나 조합하는 형태로 정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device 100, the control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any one of the two or more services available through the vehicle device 100,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keyword to be identifi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flow structure for the specific service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r maintained on the program code for the ser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processor 170 may perform an information flow in a form of linking or combining two or more embodiments among the first to sixth control function embodiments based on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 처리부(170)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워드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이용한 정보 흐름 제어 중에 상기 특정 키워드와 매칭된 서비스 관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망전송정보에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or 170 matches at least one specific keyword among at least one keyword to be identifi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service with service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specific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specific keyword during information flow control us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etwork-rel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0 Service-related information can be included and transmit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운영서버(220)나 지정된 결제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정 키워드는 '결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는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3만원 결제'라고 발화한 경우, 제어 처리부(170)는 '결제'라는 키워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가 결제 서비스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결제'라는 키워드와 매칭된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확인하고,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어정보에 따라 정보 흐름을 제어하여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망전송정보에 상기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망전송정보를 수신한 운영서버(220)나 결제서버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으로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통해 '3만원'을 결제하는 결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a user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a specific keyword for a payment service, And identification key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a specific keyword to identify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in the medium of For example, the specific keyword includes' payment ', the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when the user utters' payment of 30,000 wo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70 transmits' Payment ', it is confirmed that the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s the payment ser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matched with the keyword' payment 'is checked and the information flow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yment service And to transmit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20 by including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a payment service for paying '30,000 won' throug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merchant identifi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20 or the payment server receiving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거래대상(예컨대, 송금거래의 수취인, 입금대상자 등)의 거래대상정보(예컨대, 수취인 계좌정보, 입금대상 계좌정보 등)를 포함하거나, 또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위해 운영서버(220)나 지정된 금융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거래대상의 거래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정 키워드는 '어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대상의 거래대상정보는 어머니의 계좌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머니께 10만원 송금'이라고 발화한 경우, 제어 처리부(170)는 '송금'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가 송금거래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어머니'라는 특정 키워드와 매칭된 어머니의 계좌정보를 확인한 후, 송금거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어정보에 따라 정보 흐름을 제어하여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망전송정보에 상기 어머니의 계좌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망전송정보를 수신한 운영서버(220)나 금융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기 등록된 기본출금계좌로부터 '10만원'을 출금하여 '어머니'라는 특정 키워드와 매칭된 어머니의 계좌정보로 송금하는 송금거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action-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recipient information of a recipient, recipient of a remittance transaction, etc.)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to specify the transac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traded registered in the medium of the operation server 220 or the specified financial server for the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Lt; RTI ID = 0.0 > area. ≪ / RTI > For example, the specific keyword includes 'mother', and the transaction object information of the transaction target may include mother's account information. When the user utters 'transfer money of 100,000 won to mother', the control processor 170 Confirms that the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s a remittance transaction service, confirms the mother's account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specific keyword 'mother',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mittance transaction service And control the flow to include the mother's account information in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 In this case, '10 million won 'is withdrawn from the pre-registered default withdrawal account of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20 or the financial server which receives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remitted to the mother's account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specific keyword' mother ' A remittance transaction service may be provided.

상기 서비스부(175)는 차량장치(100)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6 제어 기능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제어 기능 실시예를 연동하거나 조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서비스부(175)는 상기 제1 내지 제6 제어 기능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제어 기능 실시예를 연동하거나 조합하여 결제 서비스, 금융거래 서비스, OBD 기반의 각종 알림 서비스, OBD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 기반의 각종 알림 서비스, 차량관리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부(175)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service unit 175 is a collective term of a functional unit that implements a specific service through the vehicle device 100. The service unit 17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and at least one of a chip and a control circui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by linking or combining two or more control function embodiments among the first to sixth control function embodiments. For example, the service unit 175 can connect two or more of the control function embodiments of the first to sixth control function embodiments to a payment service, a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various OBD-based notification services, OBD And various types of notified services based on the collected big data and a vehicle management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and number of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unit 175.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대화형 차량장치(1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hrough the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과 차량 OBD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과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과 사용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한 대화형 차량장치(100)를 차량 내에 구비하여 상기 OBD연동 기능을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망 통신 기능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20)로 제공하여 저장하고 분석하는 중에, 상기 망 통신 기능과 OBD 연동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장치(100)로 유입된 정보를 통해 특정 서비스가 개시된 경우 상기 망 통신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과 음성출력 기능 중 둘 이상의 지정된 기능을 연동하거나 조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대화형 차량장치(1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2 shows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nteractive vehicle device ") hav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interlocked with a vehicle OBD,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user's utterance, 1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function is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specifi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nd stored and analyzed.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voice output function when the specific service is star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vehicle apparatus 1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OBD interlock function and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it is a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ways of practic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through the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subdivided, or alterna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시스템은, 망 통신 기능과 OBD연동 기능과 음성인식 기능과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대화형 차량장치(100)와, 상기 차량의 OBD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OBD모듈(210)과, 상기 차량장치(100)의 망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1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provided with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voice output function, and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connected to the OBD of the vehicle, And an operation server 220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device 100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vehicle device 100. [

상기 대화형 차량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되어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동작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OBD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과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과 사용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음성출력 기능을 구비한다.The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is a general term of an apparatus that is provided in a vehicle and operates through a conversation with a user. The interactive vehicle device 100 include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 OBD interlocking function for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OBD through short-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speech and an audio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speech to the user.

상기 OBD모듈(210)은 상기 차량의 OBD포트에 연결되는 OBD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OBD연결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OBD정보를 스캔하여 획득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획득한 OBD정보(또는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상기 차량장치(100)로 제공한다.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21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신(또는 획득)할 수 있다.The OBD module 210 has an OBD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OBD port of the vehicle. The OBD module 210 scans and acquires OBD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connection unit, and acquires OBD inform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100. [ The vehicle device 100 may receive (or obtain)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OBD module 21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운영서버(220)는 상기 차량장치(100)의 망 통신 기능을 통해 차량장치(100)와 통신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장치(100)에서 OBD연동 기능을 통해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망 통신 기능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차량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220 is a collective term of a server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1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vehicle 100 and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OBD interworking function to obtain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to receive and store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device 100. [

본 발명의 제1 서비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20)는 상기 차량장치(100)로부터 수신 내지 저장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차량장치(1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지 판단하며,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음성출력정보를 포함하는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차량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망수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림 서비스를 위해 차량장치(100)의 OBD연동 기능과 망 통신 기능 및 음성출력 기능이 지정된 정보 흐름 구조에 따라 연동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servic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220 reads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or stored from the vehicle device 100, and provides notification service to the vehicle device 100 And if it is determined to provide the notification servic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including voice output information for the notification service may be configure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device 100, And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can be output by receiv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BD interlock function,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voice output function of the vehicle device 100 are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information flow structure for the notification service.

본 발명의 제2 서비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에서 상기 차량장치(100)를 이용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220)로 전송하거나 또는 통신망 상의 지정된 서버에서 상기 운영서버(220)로 상기 차량장치(100)를 이용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영서버(220)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지 여부를 질의하는 음성출력정보를 포함하는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차량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망수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서비스를 동의하거나 승인 또는 인증하는 분절음을 발화한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요청하기 위한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망 통신 기능을 통해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망전송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요청받은 운영서버(220)는 지정된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대응하는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차량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ervic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ice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specific service using the vehicle device 100 is configured in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and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A specific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request a specific service using the vehicle device 100 from the operation server 220.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220 can output voice output information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specific service And transmits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100. The vehicle device 100 may receive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and output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by voice. If the user has uttered the segmentation tones for agreeing or approving or authenticating the specific service, the vehicle device 100 recognizes the user's utterance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recognizes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The operation server 220, which receives the specific service through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100 and / or configures the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to configure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o your app.

한편 상기 제2 서비스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망수신정보가 상기 차량장치(100)로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망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여 서비스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절차가 더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망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여 다음 서비스 절차를 동의하거나 승인 또는 인증하는 분절음의 발화를 요청한 후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다음 서비스 절차를 위한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망전송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요청받은 운영서버(220)는 다음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대응하는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차량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service embodiment, whe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is received by the vehicle device 100, the vehicle device 100 transmits voice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And the service procedure can be completed. If the service procedure is to be further performed for the specific service,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is output by voice, and then the voice service is requested to consent or approval or authentication of the next service procedure, And may transmit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for the next service procedure to the operation server 220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tterance of the user, and may transmit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220, which has requested the service, performs the next service procedure, and configures and transmits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vehicle device 100 and / or the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And transmit it to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한편 상기 제2 서비스 실시예의 과정들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이나 지정된 서버로부터 운영서버(220)로 요청된 특정 서비스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서비스의 완료는 상기 차량장치(100)의 음성출력 기능을 이용한 음성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rocesses of the second service embodiment may be repeated until the specific service requested from the application or the designated server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voice output to the user through voice output using the voice outpu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본 발명의 제3 서비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요청하도록 설정된 분절음을 포함하는 발화를 한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요청하기 위한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망 통신 기능을 통해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망전송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요청받은 운영서버(220)는 지정된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대응하는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차량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ervic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akes an utterance containing segmentation sounds set to start or request a specific service, the vehicle apparatus 100 recognizes the utterance of the use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may transmit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for starting or requesting the specific service based on the recognized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fter receiving the service procedure, the received operation server 220 configures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vehicle device 100 and / or configures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To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한편 상기 제3 서비스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망수신정보가 상기 차량장치(100)로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장치(100)는 상기 망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여 서비스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절차가 더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망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출력정보를 음성 출력하여 다음 서비스 절차를 동의하거나 승인 또는 인증하는 분절음의 발화를 요청한 후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다음 서비스 절차를 위한 망전송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망전송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요청받은 운영서버(220)는 다음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대응하는 망수신정보를 구성하여 차량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service embodiment, whe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is received by the vehicle device 100, the vehicle device 100 transmits voice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And the service procedure can be completed. If the service procedure is to be further performed for the specific service,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is output by voice, and then the voice service is requested to consent or approval or authentication of the next service procedure, And may transmit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for the next service procedure to the operation server 220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tterance of the user, and may transmit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220 through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220, which has requested the service, performs the next service procedure, and configures and transmits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vehicle device 100 and / or the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And transmit it to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또는 상기 제3 서비스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 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은 상기 서비스 처리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화면 출력하여 서비스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Or the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cedure in the third service embodiment is received by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included in the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So that the service procedure can be completed.

한편 상기 제3 서비스 실시예의 과정들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이나 지정된 서버로부터 운영서버(220)로 요청된 특정 서비스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서비스의 완료는 상기 차량장치(100)의 음성출력 기능을 이용한 음성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rocesses of the third service embodiment may be repeated until the specific service requested from the application or the designated server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200 is completed to the operation server 220,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voice output to the user through voice output using the voice outpu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100 : 차량장치 105 : 제어부
110 : 음파 입력부 115 : 음파 출력부
120 : 근거리 무선부 125 : 무선망 통신부
130 : 근러리망 통신부 135 : 위치 측위부
140 : 메모리부 145 : 전원 공급부
150 : 통신 처리부 155 : OBD 연동부
160 : 음성 인식부 165 : 음성 출력부
170 : 제어 처리부 175 : 서비스부
200 : 무선단말 210 : ODB모듈
220 : 운영서버
100: vehicle device 105: control unit
110: sound wave input unit 115: sound wave output unit
120: short range wireless unit 125: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near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position positioning unit
140: memory unit 145: power supply unit
150: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55: OBD interlocking unit
160: Voice recognition unit 165: Audio output unit
170: control processor 175:
200: wireless terminal 210: ODB module
220: Operational server

Claims (20)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 무선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연결하는 무선망 통신부를 포함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 상의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처리부;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OBD 연동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인식정보를 근거로 운영서버로 전송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정보를 포함하는 망전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망수신정보를 통해 음성 출력할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 short range wireless unit for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via a wireless network, ,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BD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On-Board Diagnostics) through the near-field wireless unit to obtai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and transmit the obtained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An OBD interlocking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ading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and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the user;
A voice output unit performing a procedure of voice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ound of an audio frequency band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rm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processor for controlling voice output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voic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의 제어 기능 중 둘 이상의 제어 기능을 연동하거나 조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unit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by linking or combining two or more control functions among the control functions of the control process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locator for locating posi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confirming th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loca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일정 기간 이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Stor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dr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mong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oper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stored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Comparing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previously stored drivin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at least one information that is nonlinearly changed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s included and storing at least one information that is nonlinearly changed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regardless of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non- Type vehicle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 중 일정 시간 간격마다 운영서버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일정 시간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oper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stored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Comparing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previously stored drivin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that is changed in excess of a threshold value specified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d information exceeding the designated threshold valu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to the operation server regardless of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changed one or more information is included Interactive vehicle device interlocked with an audiovisual fe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일정 기간 이상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 중 운영서버로 전송할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Stor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longer,
And a function of checking statu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among the stored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Comparing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previously stored stat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and storing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in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change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the status informa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BD 연동부는,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를 판독하여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Reads out the stored status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rror are included, and if the stored status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a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user by reading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지정된 인식서버나 운영서버로 상기 추출된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Extracts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oice uttered by a user from an acoustic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extracted voice information to a recognition server or an operation server specified by th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문자정보 기반의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음성출력정보의 문자정보를 지정된 음성신호 형태로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sound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voice output information based on character information and outputting voice information of the voice outpu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esignated voic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음성신호 형태 음성출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sound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the voice signal type voice output information and outputting voice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획득된 운행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획득된 상태정보를 판독하여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의 잡음 증가율을 판독하여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차량 주행 중에 적어도 하나의 창문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차량의 문과 창문 미개방 상태의 기본 신호강도보다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sound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OBD interlocking unit reads out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OBD interlocking unit to confirm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and reads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to check whether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noise increase rate of the sound wav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read, and it is confirmed whether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When the at least one window is open during the vehicle runn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sound of the audio frequency band is amplified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han the basic signal strength of the door and the windowless state of the vehicle And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interlocked with an audiovisual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음성 인식부와 음성 출력부와 통신 처리부 중 둘 이상의 구성부 사이의 정보 흐름 구조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코드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와 통신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정보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keywords to be confirm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starting or processing a specific service and a service control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flow structure between two or more constituent units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r kept on the program code,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information flow for the specific service us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when information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is confi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 interactive vehicle device that interacts with an obadi.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차량장치를 통해 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경우,
차량장치를 통해 제공 가능한 둘 이상의 서비스 중 어느 한 특정 서비스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키워드 및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정보 흐름 구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코드 상에 유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If more than one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device,
Linking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pecific service among two or mor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apparatus, service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 keyword to be identifi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service and an information flow structure for the specific service And storing the program code in a storage area or a program cod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음성인식정보로부터 확인될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워드와 상기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정보를 이용한 정보 흐름 제어 중에 상기 특정 키워드와 매칭된 서비스 관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할 망전송정보에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Matching the at least one specific keyword among the at least one keyword to be identified from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service with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specific service,
Checking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specific keyword during the information flow control using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o the network transmiss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Wherein the vehicle is an automobil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운영서버나 지정된 결제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1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Includes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a user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a specific keyword for a payment service, or
And identification key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the specific keyword to identify the payment means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media server of the designated payment server for the payment service. Interactive vehicle devic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정보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거래대상의 거래대상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금융거래 서비스를 위해 운영서버나 지정된 금융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거래대상의 거래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와 매칭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디와 연동하는 대화형 차량장치.
1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The transaction targe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with the specific keyword for the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or
And an identification key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atching the specific keyword in order to identify transaction target information of a transaction registered in an operating server or a medium of a designated financial server for a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Interactive vehicle device interlocking.
KR1020170076142A 2017-06-15 2017-06-15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KR201801370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142A KR20180137072A (en) 2017-06-15 2017-06-15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142A KR20180137072A (en) 2017-06-15 2017-06-15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072A true KR20180137072A (en) 2018-12-27

Family

ID=6495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142A KR20180137072A (en) 2017-06-15 2017-06-15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07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879B1 (en) 2019-01-22 2020-05-15 김대유 Vehicl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879B1 (en) 2019-01-22 2020-05-15 김대유 Vehicl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7072A (en)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Operating with OBD
KR20180137086A (en)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Based on Sound Wave
KR20180137081A (en) Method for Providing Refueling Payment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102401896B1 (en) Sound Wave Device for Vehicles and Operating Method
KR20180137082A (en)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Mode Parking Payment Based on Mobile Device
KR20180137091A (en)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in-Vehicle
KR20180137094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Vehicles Based on Voice Recognition
KR20190014148A (en)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ayment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90014147A (en)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ayment by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between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KR20190014192A (en) In-vehicle Sound Wave Device for Providing Door Locking/Unlocking Service
KR20180137079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Car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80137085A (en)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Payment in Car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90014153A (en)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Payment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KR20180137078A (en)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Mode Service in Car
KR20190014165A (en)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Payment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80137073A (en) Method for Register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90014137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between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KR20180137087A (en) Method for Register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Based on Sound Wave
KR20190014139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KR20190014138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80137088A (en) Method for Interworking Sound Wave between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in-Vehicle
KR20180137083A (en)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ayment in Car by using Conversational Mode Device for Vehicles
KR20180137077A (en) Method for Registering Payment Means for Conversational Mode Payment in Car
KR20190014167A (en) Method for Registering Payment Means for Conversational Mode Payment
KR20180137093A (en)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Service Based on User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