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766A -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766A
KR20180136766A KR1020170075938A KR20170075938A KR20180136766A KR 20180136766 A KR20180136766 A KR 20180136766A KR 1020170075938 A KR1020170075938 A KR 1020170075938A KR 20170075938 A KR20170075938 A KR 20170075938A KR 20180136766 A KR20180136766 A KR 2018013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ise
holes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928B1 (ko
KR101976928B9 (ko
Inventor
이해랑
Original Assignee
이해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랑 filed Critical 이해랑
Priority to KR102017007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2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28B1/ko
Publication of KR10197692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2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사각 철판재가 덧대어져 있고, 내부에 와이어 매쉬(Wire mesh) 및 보일러 관을 삽설한 후 시멘트 몰탈로 시공한 바닥면이 포함되며 벽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부 및 바닥 슬라브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통공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진 층들로 음파를 감쇄시키는 흡음재가 형성된 흡음재층과,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의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브 상에 본드로 결합 되는 다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가 결합 되고 본체의 통공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소음충격 흡수부재와, 일측은 평판 형상이고 타측은 반구 형상으로서 평판 형상의 일측이 벽체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면 테두리가 반구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다수의 먼지유입 보호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직접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소음과 바닥공간을 통하여 발생 되는 공명소음 등을 흡수함으로써 슬라브 층간에서 다양하게 발생 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슬라브를 통한 층간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하고 흡음재가 부착되어 있어 단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편리성에 의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The sound-proof an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inter layer}
본 발명은 아파트 및 다층 건물에서 층간 슬라브로 전달되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층간 소음방지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의 실정에 맞게 층간 소음방지와 충격 흡수를 위한 구조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층간 소음을 차단하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고, 슬라브 층간에서 다양하게 발생 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슬라브를 통한 층간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슬라브를 시공할 때에는 수평을 잡아 거푸집 공사를 하고, 그 위에 철근 배근 작업을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그 위에 발포폴리스틸렌, 바닥 완충부재, 필름, 경량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메쉬(Mesh)를 깔고 그 상부에 난방 배관을 하고 시멘트 몰탈을 하여 마감한다.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 층 내부에서 발생 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라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 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 되는 고체 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을 물론 공기 전달음으로 전화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특히 요즘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그 건축물의 차음성의 향상은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종래에는 따뜻하고 안락한 건축물, 여름과 겨울을 지나며 자연스럽게 발생 되는 난방비 등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단열성과 내열성을 가진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이 공동으로 집단적인 거주가 일반화된 대한민국의 경우, 층간소음으로 인하여 고통받는 거주자들이 늘고 있기에 차음 시설의 완비가 더욱 필요한 시공 사항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수의 가구가 공동 또는 집단적인 삶을 하나의 건물 내에서 유지하고 있을 때, 각 가정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등학생이 있는 가구, 거주자의 직업이 드러머인 가구, 아주 시끄럽고 부잡스런 아이들이 있는 가구 등은 다른 가구에 비하여 소음의 발생 정도가 높다. 이러한 가구나 가정이 거주하는 층의 상부나 하부 또는 측방은 시끄러운 소음에 노출되어 사실상 편안하고 안락한 거주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도 층간 소음의 방지를 위한 차음시설을 설치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 되어 정부에서는 층간소음 유발행위에 대해 경범죄처벌법의 인근 소란죄를 적용하여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심지어 층간소음으로 이웃 간에 난투극이 벌어지는 사회문제로 대두 되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되어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 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배관과 마감용 몰탈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 장식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의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유발된 소음과 진동은 곧자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건물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된다.
특히, 요즘의 아파트 건축은 일정한 충격 강도에 따라 일정한 데시벨 이하의 소음만이 발생되어야만 준공을 허락하는 형태로 규제가 이루어진다. 사실상 요즘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차음시설을 설비하지 못하면 건축이 불가능한 정도로까지 규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러한 차음시설의 설비를 위해서 다양한 착상들이 개발되고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별도의 방진패드를 깔아 그 흡음의 기능도 추가하는 형태로 발전하고는 있지만 이는 차음의 효과는 물론 시공 단가가 높아 사실상 문제점을 낳는다. 방진패드 가격도 고가이고, 상부로 깔리게 될 모래나 골재도 고가이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상당히 많이 든다. 또한 방진패드의 고탄력성으로 인하여 그 상부로 안착하게 될 보일러 배관시설의 시공이 어려운 공정이 될 소지가 있다.
또한, 더 큰 문제는 층간의 소음은 상기 방진패드와 골재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막아줄 소지가 있지만 가구 내에서 발생 되는 소음 즉, 측벽을 사이에 두고 한 가구 내에서 발생 되는 소음에 대해서는 고려함이 없었기에 문제가 많다.
상기 건 외에도 층간의 소음에만 치중되었던 종래의 기술들은 측 벽면을 사이에 두고 발생되는 소음은 고려함이 없었기에 개발도 미미한 상황이다. 물론 특별한 경우로 음악감상실, 음악학원 등에서 항상 발생 되는 소음의 차단을 위해서는 측벽에 차음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음악감상실의 경우도 이미 성형된 측벽의 내측에 계란을 보관하는 알플레이트를 체결하여 공간의 내측에서 발진되는 소리가 벽면에 부딪치면 이를 감쇄시키는 아주 단순한 형태의 차음시설을 한 것이 대부분이다.
측면을 통해서 타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어느 정도 차단한다고 하더라도, 측면을 바라보는 거주자는 울퉁불퉁한 벽면을 보면서 그리 안락한 거주를 만끽하기는 힘들다. 즉, 소음이 내 외부에서 감쇄되는 청각적 안정감은 갖출 수 있었지만, 시각적인 심미감을 잃어버린 측벽은 거주자에게 거주생활의 안정을 가져다준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그 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도 매우 종류가 많고 다양하지만 소음 차단효과가 크지 않다.
따라서, 아파트 및 다층 건물에서 층간 슬라브로 전달되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청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2061호, 2013년 06월 12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094호, 2015년 03월 25일 공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현장의 실정에 맞게 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는 직접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소음과 바닥공간을 통하여 발생 되는 공명소음 등을 흡수함으로써 슬라브 층간에서 다양하게 발생 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슬라브를 통한 층간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사각철판재가 덧대어져 있고, 내부에 와이어 매쉬(Wire mesh) 및 보일러 관을 삽설한 후 시멘트 몰탈로 시공한 바닥면이 포함되며 벽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부 및 바닥 슬라브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통공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진 층들로 음파를 감쇄시키는 흡음재가 형성된 흡음재층과,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의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브 상에 본드로 결합 되는 다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가 결합 되고 본체의 통공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소음충격 흡수부재와, 일측은 평판 형상이고 타측은 반구 형상으로서 평판 형상의 일측이 벽체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면 테두리가 반구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다수의 먼지 유입 보호구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접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소음과 바닥공간을 통하여 발생 되는 공명소음 등을 흡수함으로써 슬라브 층간에서 다양하게 발생 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슬라브를 통한 층간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하고 흡음재가 부착되어 있어 단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편리성에 의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 충격 흡수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는 본체(100)와, 흡음재층(200)과, 다수의 지지편(300)과 소음충격 흡수부재(400)와 다수의 먼지유입 보호구(5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공(110)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사각 철판재(120)가 덧대어져 있고, 내부에 와이어 매쉬(Wire mesh) 및 보일러 관(130)을 삽설한 후 시멘트 몰탈(140)로 시공한 바닥면(150)이 포함되며 벽체(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사각 철판재(120)는 본체(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본체(100)의 외곽틀은 철재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사각 철판재(120)는 용접에 의해 상기 본체(100)이 결합된다. 상기 통공(110)은 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원통형상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소음충격 흡수부재(40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등으로 교체 가능하다. 상기 본체의 외곽틀과 벽체 간의 거리는 본 발명이 시공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2cm가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 내부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 대신에 우레폼이나 화산재, 숯, 황토, 질석보드, 합성수지류, 돌, 목재 등이 모두 가능하며 위에서 열거한 재료들을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흡음재층(200)은 상기 본체(100)의 저면부(160) 및 바닥 슬라브(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통공(11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진 층들로 음파를 감쇄시키는 흡음재(220)가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층(200)은 사용되는 흡음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흡음재층의 두께는 2~5cm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편(300)은 상기 흡음재층(200)에 형성된 관통공(210)의 수량과 동일하여,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200)의 관통공(210)이 형성된 슬라브(20)상에 본드로 결합 된다. 상기 본드는 접착제의 일반적인 통칭으로써 반드시 본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철재의 지지편(300)이 슬라브(20)에 강력하게 접착되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소음충격 흡수부재(400)는 상기 지지편(300)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410)가 결합 되고 본체(100)의 통공(110)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 소음충격 흡수부재(400)는 스프링 쇼바, 에어쇼바, 오일쇼바, 우레탄 쇼바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먼지유입 보호구(500)는 일측은 평판 형상이고 타측은 반구 형상으로서 평판 형상의 일측이 벽체(10)에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면 테두리(170)가 반구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유입 보호구(50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벽체에 다수 개의 먼지유입 보호구(500)를 고정한다. 상기 먼지유입 보호구(500)는 먼지나 다른 이물질 들이 상기 본체(100)와 벽체(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는 본체(100)와, 흡음재층(200)(201)과, 다수의 지지편(300)과 소음충격 흡수부재(400)와 다수의 먼지유입 보호구(500)와 철재 지지판(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공(110)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사각 철판재(120)가 덧대어져 있고, 내부에 와이어 매쉬(Wire mesh) 및 보일러 관(130)을 삽설한 후 시멘트 몰탈(140)로 시공한 바닥면(150)이 포함되며 벽체(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사각 철판재(120)는 본체(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본체(100)의 외곽틀은 철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110)은 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원통형상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소음충격흡수부재(40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등으로 교체 가능하다. 상기 본체의 외곽틀과 벽체 간의 거리는 본 발명이 시공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2cm가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재층(200)은 상기 본체(100)의 저면부(160) 및 바닥 슬라브(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통공(11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진 층들로 음파를 감쇄시키는 흡음재(22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와 벽체 외주면 사이에도 흡음재(221)가 형성된 흡음재층(201)이 형성된다. 상기 흡음재층(201)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 충격시 상하의 왕복운동에 의해 벽체(10)에 본체(100)가 충돌이 있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이 있는 경우 측방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방지하고자 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편(300)은 상기 흡음재층(200)에 형성된 관통공(210)의 수량과 동일하여,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200)의 관통공(210)이 형성된 슬라브(20)상에 본드로 결합 된다. 상기 본드는 접착제의 일반적인 통칭으로써 반드시 본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철재의 지지편(300)이 슬라브(20)에 강력하게 접착되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소음충격 흡수부재(400)는 상기 지지편(300)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410)가 결합 되고 본체(100)의 통공(110)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 소음충격 흡수부재(400)는 스프링 쇼바, 에어쇼바, 오일쇼바, 우레탄 쇼바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먼지유입 보호구(500)는 일측은 평판 형상이고 타측은 반구 형상으로서 평판 형상의 일측이 벽체(10)에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면테두리(170)가 반구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유입 보호구(50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벽체에 다수 개의 먼지유입 보호구(500)를 고정한다. 상기 먼지유입 보호구(500)는 먼지나 다른 이물질 들이 상기 본체(100)와 벽체(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철재 지지판(600)은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설되는 보일러 관(130)의 측면에 맞대어져 와이어로 고정되며, 장착 후 시멘트 몰탈(140)로 시공된다. 상기 철재 지지판(600)은 상기 보일러 관(130)의 유동성을 방지하고 상기 사각 철판재(120)와 함께 상기 본체(10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용접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결합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는 본체(100)와, 흡음재층(200)(201)과, 다수의 지지편(300)(301)과 소음충격 흡수부재(400)(401)와 다수의 먼지유입 보호구(500)와 철재 지지판(6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는 제 2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구조에서 상기 본체(100)는 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층(201)에 상기 통공(111)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201)의 관통공(211)이 형성된 벽체(10)에 본드로 결합 되는 다수의 지지편(301)과, 상기 지지편(301)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411)가 결합되고 본체(100)의 통공(111)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좌우로 운동하는 소음충격 흡수부재(401)가 더 포함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구조는 본체(100)가 측면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에 의해 발생 되는 소음이 측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0)가 충격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면서 측면의 벽체(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측면으로 발생되는 충격 또한 방지하고자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직접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소음과 바닥공간을 통하여 발생 되는 공명소음 등을 흡수함으로써 슬라브 층간에서 다양하게 발생 되는 진동 및 충격소음의 슬라브를 통한 층간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하고 흡음재가 부착되어 있어 단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편리성에 의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 벽체 20 : 슬라브
30 : 고정부재 100 : 본체
110, 111 : 통공 120 : 철판재
130 : 보일러 관 140 : 시멘트 몰탈
150 : 바닥면 160 : 저면부
170 : 상측면 테두리 200, 201 : 흡음재층
210, 211 : 관통공 220, 221 : 흡음재
300, 301 : 지지편 400, 401 : 소음충격 흡수부재
410, 411 : 와셔 500 : 먼지유입 보호구
600 : 철재 지지판

Claims (3)

  1.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통공(110)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사각 철판재(120)가 덧대어져 있고, 내부에 와이어 매쉬(Wire mesh) 및 보일러 관(130)을 삽설한 후 시멘트 몰탈(140)로 시공한 바닥면(150)이 포함되며 벽체(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저면부(160) 및 바닥 슬라브(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통공(11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진 층들로 음파를 감쇄시키는 흡음재(220)가 형성된 흡음재층(200);과,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200)의 관통공(210)이 형성된 슬라브(20) 상에 본드로 결합 되는 다수의 지지편(300);과,
    상기 지지편(300)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410)가 결합 되고 본체(100)의 통공(110)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소음충격 흡수부재(400);와,
    일측은 평판 형상이고 타측은 반구 형상으로서 평판 형상의 일측이 벽체(10)에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면 테두리(170)가 반구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다수의 먼지유입 보호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설되는 보일러 관(130)의 측면에는 맞대어져 와이어로 고정된 후 시멘트 몰탈(140)로 시공되는 평판 형상의 철재 지지판(600);과,
    상기 본체(100)와 벽체 외주면 사이에 음파를 감쇄시키는 흡음재(221)가 형성된 흡음재층(201);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층(201)에 상기 통공(111)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흡음재층(201)의 관통공(211)이 형성된 벽체(10)에 본드로 결합 되는 다수의 지지편(301);과,
    상기 지지편(301) 상에 배치되며 양측 단에 각각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411)가 결합 되고 본체(100)의 통공(111)에 끼워져 탄성력 있게 좌우로 운동하는 소음 충격 흡수부재(40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 및 충격 흡수구조
KR1020170075938A 2017-06-15 2017-06-15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197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38A KR101976928B1 (ko) 2017-06-15 2017-06-15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38A KR101976928B1 (ko) 2017-06-15 2017-06-15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766A true KR20180136766A (ko) 2018-12-26
KR101976928B1 KR101976928B1 (ko) 2019-05-09
KR101976928B9 KR101976928B9 (ko) 2022-11-14

Family

ID=6500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38A KR101976928B1 (ko) 2017-06-15 2017-06-15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59B1 (ko) * 2020-09-14 2021-06-04 허만철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바닥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4010417A1 (ko) * 2022-07-08 2024-01-11 정태영 복합소재로 제작된 경량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902B1 (ko) 2022-04-07 2023-01-10 (주)더블에스코리아 층간 소음 방지 기능을 구비한 건물 슬래브 시공용 플레이트
KR102529155B1 (ko) * 2022-10-04 2023-05-08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Uhpc를 이용한 pc 라멘 모듈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61B1 (ko) 2011-07-06 2013-06-12 유인섭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101438569B1 (ko) * 2013-05-02 2014-09-22 박대호 층간소음 방지부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132325A (ko) * 2014-10-28 2014-11-17 이해랑 층간 소음충격 흡수구와 그 시공방법
KR101505094B1 (ko) 2014-12-04 2015-03-25 이서영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89514A (ko) * 2014-01-28 2015-08-05 김경중 충격 진동 흡수 블록
KR101639555B1 (ko) * 2016-02-24 2016-07-22 이방열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61B1 (ko) 2011-07-06 2013-06-12 유인섭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101438569B1 (ko) * 2013-05-02 2014-09-22 박대호 층간소음 방지부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089514A (ko) * 2014-01-28 2015-08-05 김경중 충격 진동 흡수 블록
KR20140132325A (ko) * 2014-10-28 2014-11-17 이해랑 층간 소음충격 흡수구와 그 시공방법
KR101505094B1 (ko) 2014-12-04 2015-03-25 이서영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39555B1 (ko) * 2016-02-24 2016-07-22 이방열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59B1 (ko) * 2020-09-14 2021-06-04 허만철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바닥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4010417A1 (ko) * 2022-07-08 2024-01-11 정태영 복합소재로 제작된 경량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28B1 (ko) 2019-05-09
KR101976928B9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928B1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061573B1 (ko)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101698572B1 (ko) 층간소음방지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시공방법
KR101794095B1 (ko) 방음 및 완충을 위한 층간구조
KR20190076174A (ko)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2028754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및 공법
KR101000406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1505094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53900B1 (ko) 공동주택 층간 방음구조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75573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101583433B1 (ko) 층간 소음충격 흡수구의 시공방법
KR101351755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20200018884A (ko) 주택 건축물의 층간소음 바닥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70534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
KR100634178B1 (ko)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0766410B1 (ko) 공동주택용 바닥충격음 차단판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