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31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312A
KR20180136312A KR1020170075103A KR20170075103A KR20180136312A KR 20180136312 A KR20180136312 A KR 20180136312A KR 1020170075103 A KR1020170075103 A KR 1020170075103A KR 20170075103 A KR20170075103 A KR 20170075103A KR 20180136312 A KR20180136312 A KR 20180136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dispenser housing
guide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628B1 (ko
Inventor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2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B67D2001/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워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진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디스펜서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8340호에는, 냉장고용 음료 취출 장치의 배관구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는, 디스펜서 케이스의 일측에 홀더 튜브가 고정되고, 홀더 튜브의 일측에 급수 튜브가 연결되고, 타측에 취출구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튜브 및 취출구는 상기 홀더 튜브 각각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홀더 튜브의 양측에서 급수 튜브 및 취출구를 각각 분리 또는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튜브의 일부는 도어 내부에 존재하므로, 사용자가 도어 내부에 위치되는 홀더 튜브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급수 튜브 및 취출구 각각을 상기 홀더 튜브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홀더 튜브 연결 과정, 또는 연결된 후에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홀더 튜브는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홀더 튜브의 교체가 어려워 홀더 튜브 내의 위생상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물 배출구와 워터 튜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워터 튜브의 교체 과정에서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 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교체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워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관통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물 배출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서포터에 설치된 상기 물 배출구의 일부도 상기 관통부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상기 냉장고 도어 내의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한 가이드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튜브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튜브 가이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통과하는 튜브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며, 발포액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커넥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구비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안내부를 지난 상기 워터 튜브는 상기 밸브의 튜브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기구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급수 튜브와, 상기 급수 튜브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을 상기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급수 튜브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한 커넥터에 물 배출구가 고정되고, 물 배출부에 워터 튜브가 결합되므로, 물 배출구와 워터 튜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워터 튜브의 교체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수기구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를 분해하지 않고도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급수관 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가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 튜브 가이드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제빙실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기구에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10A)과 냉동실(10B)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0A)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캐비닛(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10B)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냉장실(10A)이 냉동실(10B)의 상방에 위치되는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냉장실 도어(12)와 제2냉장실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2)와 제2냉장실 도어(13) 중 하나 이상에는 물 및/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1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냉동실 도어(15)와 제2냉동실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냉동실 도어(14)가 상기 냉동실(10B)을 개폐하거나, 복수의 냉동실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냉동실(10B)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의 후측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제빙실(1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13)에는 제빙장치(3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31)는 자동으로 급수되어 얼음을 만들고 이빙시키는 제빙기(32)와, 상기 제빙기(32)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빙기(32)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제빙실(113)을 개폐하는 제빙실 도어(11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후술할 워터 탱크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수용부(115)를 커버하는 커버(116)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부(115)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를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20)는, 디스펜서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은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이 형성하는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얼음 배출구(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배출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이 형성하는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얼음 배출구(22)가 상기 디스펜싱 공간(201)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는 물 및/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푸시 패드(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물 배출구(22)를 지지하는 서포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에 상기 물 배출구(22)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에는 물이 유동하는 워터 튜브(2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에 상기 워터 튜브(24)가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서포터(23)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서포터(23)와 함께 상기 물 배출구(22)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배출구(22)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 배출구(22)와 함께 상기 워터 튜브(24)가 상기 냉장실 도어(1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튜브(24)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을 통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1)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전방을 향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가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 가이드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23)는, 상기 물 배출구(22)를 둘러싼 상태로 상기 물 배출구(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는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23)는 절곡된 상기 물 배출구(2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는, 상기 물 배출구(2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바디(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물 배출구(22)는 상기 바디(2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 배출구(22)를 상기 서포터(23)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물 배출구(22)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물 배출구(22)를 상기 서포터(23)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23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는 외력에 의해서 서로 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 각각에는 후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23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는 상기 서포터(23)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23)의 한 쌍의 결합부(232) 및 상기 물 배출구(22)의 일부가 상기 관통부(202)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23)의 한 쌍의 결합부(232)는 상기 관통부(202)의 전방(냉장고 도어의 전방임)에서 상기 관통부(20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상기 관통부(202)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관통부(202)를 완전하게 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면(203)에 걸리게 된다.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걸림면(203)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각 결합부(2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배출구(22)의 일부는 상기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 배출구(22)에는 상기 워터 튜브(24)가 직접 연결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과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도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워터 튜브(24)의 교체가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워터 튜브(24)가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에는 상기 워터 튜브(24)를 둘러싸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튜브 가이드(25)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형성되는 수용부(115)에 결합되는 제2튜브 가이드(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 가이드(25)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결합부(252)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에서 연장되며 상기 워터 튜브(24)가 통과하는 튜브 안내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관통부(202)를 관통한 상기 커넥터(23)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결합된다.
즉,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의 둘레를 감싼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의 둘레를 감싸게 되면, 단열재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액을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부로 충진하는 과정에서 발포액이 상기 관통부(202)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튜브 안내부(254)는 상기 워터 튜브(24)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경이 상기 워터 튜브(24)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에는 상기 튜브 안내부(254)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용부(115)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 안내부(254)를 통과한 워터 튜브(24)는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115)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수용부(115)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워터 탱크(40)와, 상기 워터 탱크(40)와 연결되는 밸브(42)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 탱크(40)와 상기 밸브(42)는 상기 커버(116)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116)가 상기 도어 라이너(112)와 결합되면, 상기 워터 탱크(40) 및 상기 밸브(42)가 상기 수용부(115)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워터 탱크(40) 및 상기 밸브(42)가 상기 수용부(115)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밸브(42)에는 상기 워터 튜브(24)가 연결되는 튜브 커넥터(4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워터 튜브(24)의 일단은 상기 물 배출구(22)와 직접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튜브 커넥터(44)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워터 튜브(24)의 교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워터 튜브(24)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6)를 상기 냉장실 도어(11)에 분리한 후에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밸브(42)의 튜브 커넥터(44)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서포터(23)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터(23)의 한 쌍의 결합부(23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 걸림면(203)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23)를 잡아당기면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관통부(202)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서포터(23)에 상기 물 배출구(22)가 결합되고, 상기 물 배출구(22)에 상기 워터 튜브(24)가 결합되므로,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되면, 상기 물 배출구(22) 및 상기 워터 튜브(24)가 함께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 다음,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물 배출구(2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물 배출구(22)를 청소하거나 상기 물 배출구(22)에 새로운 워터 튜브(24)를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냉장고 도어(20) 내부로 인입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 배출구(22)와 연결된 워터 튜브(24)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관통부(202)를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관통부(202)를 통과한 상기 워터 튜브(24)는 상기 제1튜브 가이드(25) 및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를 통과한 후에 상기 수용부(115) 내로 인입된다.
그 다음,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밸브(42)의 튜브 커넥터(44)에 연결하고, 상기 서포터(23)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시키면, 상기 워터 튜브(24)의 설치가 완료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물 배출구와 워터 튜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느므로, 상기 워터 튜브의 교체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제빙실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기구에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급수기구는 정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빙기(3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기구는, 안내 튜브(53)와, 상기 안내 튜브(53)에 연결되는 커넥터(52)와, 상기 커넥터(52)에 연결되는 급수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튜브(53)와 상기 급수관(51)은 일 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52)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급수관(51)은 상기 커넥터(5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2) 및 상기 안내 튜브(53) 중 하나 이상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54)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히터(54)는 상기 안내 튜브(53)의 일 지점에서 상기 커넥터(52)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3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급수관(51)의 출구는 상기 제빙기(3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빙실(113) 내로 노출될 수 있다.
급수기구에서 공기와 노출되는 부분이 오염 정도가 제일 크다. 즉, 상기 급수관(51)은 상기 제빙실(113) 내로 노출되므로, 상기 급수관(51)은 공기와 접촉할 수 있어, 오염 가능성이 높다.
상기 급수관(51)의 청결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관(51)을 교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급수관(51)은 상기 커넥터(5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커넥터(52) 및 상기 안내 튜브(53)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54)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급수관(51)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급수관(51) 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51)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51)이 상기 커넥터(52)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52)에 히터(54)가 접촉하므로,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급수관(51)으로 전달될 수 있어, 상기 급수관(51)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펜서가 냉장실 도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디스펜서가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워터 튜브의 교체 구조 및 급수관 교체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밝혀둔다.
20: 디스펜서 22: 물 배출구
23: 서포터 24: 워터 튜브
25, 26: 튜브 가이드 42: 밸브
51: 급수관 52: 커넥터
53: 안내 튜브 54: 히터

Claims (12)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워터 튜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서포터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 설치된 상기 물 배출구의 일부도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물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각 결합부의 후크가 걸리기 위한 걸림면이 구비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상기 냉장고 도어 내의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한 가이드 기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튜브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튜브 가이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통과하는 튜브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커넥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구비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안내부를 지난 상기 워터 튜브는 상기 밸브의 튜브 커넥터에 연결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밸브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통과하는 제2튜브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기구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급수 튜브와,
    상기 급수 튜브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을 상기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급수 튜브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70075103A 2017-06-14 2017-06-14 냉장고 KR10247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03A KR102470628B1 (ko) 2017-06-14 2017-06-1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03A KR102470628B1 (ko) 2017-06-14 2017-06-1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12A true KR20180136312A (ko) 2018-12-24
KR102470628B1 KR102470628B1 (ko) 2022-11-25

Family

ID=6501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103A KR102470628B1 (ko) 2017-06-14 2017-06-1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30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1450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워터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1450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워터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30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628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7492B (zh) 冰箱
US1050247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KR10181068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워터탱크 어셈블리
US9170040B2 (en) Refrigerator having water feed system
KR101548263B1 (ko) 냉장고
US20100251748A1 (en) Refrigerator
KR20110026602A (ko) 냉장고
KR20080046848A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00074500A (ko) 냉장고
KR20180129259A (ko) 냉장고
KR20120007202A (ko) 냉장고
KR20110103523A (ko) 냉장고
US20240053093A1 (en) Refrigerator
KR20180136312A (ko) 냉장고
KR101639442B1 (ko) 냉장고
KR101584888B1 (ko) 냉장고
US20140196493A1 (en) Refrigerator appliance
KR101621660B1 (ko) 냉장고
KR100568203B1 (ko) 냉장고
JP4269548B2 (ja) 冷蔵庫
KR20190010310A (ko) 냉장고
KR101361361B1 (ko) 냉장고 워터공급라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085599B1 (ko) 냉장고
KR100846902B1 (ko) 냉장고 도어
KR100907259B1 (ko) 냉장고의 물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