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624A - Hold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Holder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624A
KR20180135624A KR1020170073876A KR20170073876A KR20180135624A KR 20180135624 A KR20180135624 A KR 20180135624A KR 1020170073876 A KR1020170073876 A KR 1020170073876A KR 20170073876 A KR20170073876 A KR 20170073876A KR 20180135624 A KR20180135624 A KR 2018013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balls
fixing
ba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6645B1 (en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102017007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45B1/en
Priority to PCT/KR2018/000792 priority patent/WO2018230802A1/en
Publication of KR2018013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6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cradle (100) provided with a holder unit (110) to insert and fixate a smart phone; and a holder body (200) provided with an attachment unit (210) selectively attached to the cradle (100) at one side, and a fixing unit (22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vehicle or fixated by adsorption power at the opposite other side. The holder body (200)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bodies for an angle to be adjusted by rotation with a ball joint means as a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of the holder body is easily adjusted to easily fixate a smart phone in a position appropriate for user′s view.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HOLDER FOR VEHICLES}{HOLD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용이하게 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 for a vehicle which is excellent in fixability and stability when a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is easy to fix the smartphone in a position suitable for the user's sight.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를 운전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Various types of car cradles have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in operation.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에 통합되어 있어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various function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 and black box have been integrated into smartphones, and the necessity of a car cradle is increasing more and more.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일단부 측에 스마트폰을 끼움 결합한 후 반대되는 타단부 측을 차량의 유리, 대시 보드 등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중량으로 인해 차량용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서 측면으로 밀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a car mount is a structure in which a smartphone is fitted to one end side and then the other end side is adsorbed to a glass or a dashboard of a vehicle. However, the above-mentioned car cradl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has a problem that the car cradl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urface due to its high weight.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smartphone while driving, the smartphone must be pushed from the car holder to the side to release the engaged state.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스마트링을 부착하고 스마트링을 차량의 송풍구에 끼워 거치하는 미니멀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of minimally adopting a smart ring attached to the back of a smart phone and a smart ring inserted into a trough of a vehicle.

이러한 스마트링은 차량에 부착이 간편하고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해 스마트링이 고정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쉬워 스마트폰을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uch a smart ring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attach to a vehicle and can be easily removed, but it is difficult to stably fix the smart phone to a vehicle because the smart ring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xed position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스마트링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작은 링 형상이므로 차량에서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거리의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mart ring is a small ring shap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 phone, the position where the smart phone can be fixed in the vehicle is limited,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fix the smart phone in a position of a distance that matches the driver's sight.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248호(2005.12.14 등록)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404248 (registered on Dec. 14, 2005)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3820(2017.05.17 공개)Patent Document 2: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7-0053820 (published on May 17, 20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거치대 본체에 볼조인트 수단을 적용하여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ll joint device that is excellent in fixability and stability when a smartphone is mounted on a vehicle and is easy to fix the smartphone in a position suitable for a user's view, And to provide a cradle for a vehic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크래들과 일측에 상기 크래들이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 또는 흡착력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회전에 의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몸체가 볼조인트 수단을 매개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including a holder for holding and fixing a smartphone, an attachment part for selectively attaching the cradle to one side, And a fixture body having a fixing portion fixed to an engaging or engaging force of the vehicle, wherein the fixture body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bodies via ball joint means so that the fixture body can be angularly adjusted by rotation.

상기 볼조인트 수단은 두 개의 볼과 상기 두 개의 볼이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볼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일측과 반대편 타측에 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볼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각 볼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볼의 회전축이 되며 상기 각 몸체에 연결되는 암과 상기 두 개의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볼고정수단을 포함한다.Wherein the ball joint means includes a ball housing having two balls and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wo balls are inserted and having a circular opening at one side and opposite side to expose portions of the two balls, And an arm connected to each of the balls through the opening and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balls, and a ball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otated state of the two balls.

상기 볼고정수단은 상기 두 개의 볼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두 볼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볼하우징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The ball fixing means is composed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balls and which have both inclined surfaces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wo balls by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are coupled to the ball housing in a threaded manner, And an oper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to move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up and down by rotation.

상기 양측 경사면은 상기 두 개의 볼이 밀착되면서 상기 두 볼을 각 개구부에 밀착시켜 상기 두 개의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한다.The two inclined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wo openings while the two ball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ixing the two balls in a rotated state.

상기 볼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두 개의 볼을 삽입할 수 있도록 두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두 몸체는 볼트로 고정된다.The ball housing is composed of two bodies so that the two balls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two bodies are fixed by bolts.

상기 크래들과 상기 부착부는 자석과 자석,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된다.The cradle and the attachment are attached with a magnet, a magnet, a magnet and a metal structure.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부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한다.The cradle body includes a length adjustable extension between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securement portion.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볼조인트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서 인출 가능하며 상기 부착부에 볼조인트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제1 몸체에 대해 인출시키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The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through ball joint means, a second body that is drawable from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through ball joint means,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pulling out the body and fixing the drawn state.

본 발명은 거치대 본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볼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상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two or more ball joint mean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radle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so that the angl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 본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fix the smart phone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user's sight by including a length adjustable extension part in the base body.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크래들을 거치대 본체와 결합시 자력에 의해 부착하고 돌기와 홈 구조를 채용하여 부착 후 유동이 방지되게 하므로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스마트폰의 사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고정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radle for fixing a smartphone is attached to a cradle body by a magnetic force, a protrusion and a groove structure are employed to prevent the cradle from moving after attaching the cradle. Bu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mart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의 송풍구에 거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후면 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이 거치대 본체에 부착되기 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이 거치대 본체의 부착부에 부착되기 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조인트 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조인트 수단을 상부 측에서 본 평면도(a)와 단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길이조절수단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uyere of a vehicl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main body of a cradle.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attachment portion of a cradle main body.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all join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of the ball joint means as seen from the uppe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의 송풍구에 거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uyere of a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10)는 크래들(100)과 거치대 본체(200)를 포함한다. 크래들(100)은 스마트폰의 상하 양단(또는 좌우 양단)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거치대 본체(200)는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크래들(100)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The car crad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100 and a cradle main body 200. The cradle 100 is for hol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mart phone (or both ends thereof), and the cradle body 200 is for fixing the cradle 100 for securing the smartphone to the vehic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00)은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부(11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cradle 100 has a holder portion 110 for holding and fixing the smartphone.

홀더부(110)는 안착면(111), 제1 파지부(113), 제2 파지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lder 110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111, a first grasp portion 113, and a second grasp portion 115.

안착면(111)에 스마트폰의 후면이 안착되며, 제1 파지부(113)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다. 제2 파지부(115)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반대편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타단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 파지부(115)는 제1 파지부(113)와 협력하여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and the first grasp portion 113 i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seating surface 111 to support one end of the smartphon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The second grip portion 115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surface 111 so as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martphone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The second gripper 115 can firmly fix the smartphon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gripper 113. [

제2 파지부(115)가 제1 파지부(113)와 협력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방법은 후술할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fixing the smartphone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gripper 113 by the second gripper 1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안착면(111), 제1 파지부(113) 및 제2 파지부(115)에서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면은 차량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로 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스마트폰과 홀더부(110)의 밀착력을 높여 스마트폰이 크래들(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111, the first grip portion 113,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martphone, may be a vibration absorbing member made of rubber so as to absorb vibration of the vehicle. The vibration absorb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o prevent slippage of the smartphone. The concavity and convexity can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holder unit 110,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fixed to the cradle 100.

크래들(100)은 거치대 본체(200)에 자석타입으로 부착된다.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에 자석타입으로 부착하면 운전 중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 cradle 100 is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cradle body 200. When the cradle 100 is attached to the cradle body 200 as a magnet type,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radle body 200 by a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smartphone by hand and pulling it toward the user during operation.

거치대 본체(200)는 일측에 크래들(100)과 자석타입으로 부착되는 부착부(210)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dle body 200 may include a cradle 100 and a mounting portion 210 to be attached to the cradle 100 in a magnet type, and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220 to be fix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vehicle by fitting.

거치대 본체(200)는 둘 이상의 몸체가 각각 볼조인트 수단(225)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The body 200 has two or more bodie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ball joint means 225 so as to be angularly adjustable by rotation.

구체적으로,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볼조인트 수단(225)으로 연결하여 부착부(210)가 고정부(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볼조인트 수단(225)은 두 개의 볼을 내부가 빈 구형상의 볼하우징 내에 삽입하여 연결한 것으로 360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의 상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ttachment portion 210 and the fixing portion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all joint means 225 so that the attachment portion 21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220. The ball joint means 225 is formed by inserting two balls into an empty sphere-shaped ball housing, and is rotatable 360 degrees freely, so that the angl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mart phone can be easily adjusted.

일 실시예에서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볼조인트 수단(225)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볼(230)과 제2 볼(240)을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attachment portion 210 and the securing portion 220 further include a first ball 230 and a second ball 240 for connection to the ball joint means 225.

제1 볼(230)은 후술할 원통 형상의 부착부(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암(Arm)(231)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제2 볼(240)은 고정부(220)에서 후술할 결합핀(221)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암(Arm)(241)과 연결되게 형성된다(도 5 참조).The first ball 230 is connected to an arm 231 extending in a rear end direction in a cylindrical attachment portion 2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ball 24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fixed portion 220, And an arm 241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in 221 is formed (see FIG. 5).

부착부(210)의 제1 볼(230)과 고정부(220)의 제2 볼(240)은 내부가 빈 구형상의 볼하우징(250) 내에 삽입되어 볼하우징(250)에 대해 제1 볼(230)이 회전 가능하고, 볼하우징(250)에 대해 제2 볼(24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착부(210)가 고정부(220)에 대해 360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The first ball 230 of the attachment portion 210 and the second ball 240 of the fixing portion 220 are inserted into the empty spherical ball housing 250 to be inserted into the ball housing 250, And the second ball 24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ll housing 250 so that the attachment portion 210 can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220 by 360 degrees.

내부가 빈 구형상의 볼하우징(250)은 두 몸체로 구성하여 내부에 두 개의 볼(230,240)을 삽입한 후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며, 두 볼(230,24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볼고정수단(260)을 더 포함한다.The ball housing 250, which is hollow and has an internal shape, is composed of two bodies, and the two balls 230 and 240 can be inserted into the ball housing 250 and fixed with bolts and nuts. And ball fixing means (260).

볼고정수단(260)은 두 개의 볼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이동부재로써 양측 경사면이 두 볼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두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The ball fixing means 260 can be fixed between the two balls in such a manner that the both sides of the ball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wo balls by means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having both inclined surfaces.

볼조인트 수단(225)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 및 도 6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all joint means 225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한편, 고정부(220)는 차량의 송풍구(P)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핀(2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핀(221)은 탄성 변형되면서 차량의 송풍구(P)에 압입식으로 끼워지고 끼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portion 220 may include a pair of engagement pins 221 that can be fitted to the air outlet P of the vehicle. The coupling pin 221 is resiliently deformed so as to be press-fitted into the air outlet P of the vehicle, and the fitted state can be firmly fixed.

고정부(220)의 형상은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결합핀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송풍구(P)에 탄성 변형에 의해 끼워지고 압입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220 has been described as a pair of resiliently deformable engaging pins,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silient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resiliently deformable portion can be fixed by press- Shape may be employed.

또한, 일 실시예의 고정부(220)의 형상은 후술할 다른 실시예와 같이 차량에 흡착에 의해 고정되는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220 of one embodiment may adopt a shape fixed to the vehicle by suction, as in another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후면 측에서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art of a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FIG. 1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크래들(100)은 후면에 부착부(210)가 부착되는 부착홈(120)을 구비하며, 크래들(100)의 부착홈(120)에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가 삽입되고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2, the cradle 100 has an attachment groove 120 to which the attachment portion 210 is attach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radle 100. The attachment groove 120 of the cradle 100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groove 120 of the cradle 100, The portion 210 is inserted and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크래들(100)과 부착부(210)는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 The cradle 100 and the attachment portion 210 may be attached with a magnet and a magnet or a metal structure.

크래들(100)의 부착홈(120) 측에 자석이 매립되고 부착부(210)에 자석이 매립되어 크래들(100)과 부착부(210)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100)의 부착홈(120) 측과 부착부(210)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이 매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으로 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A magnet is embedded in the attachment groove 120 of the cradle 100 and a magnet is embedded in the attachment portion 210 so that the cradle 100 and the attachment portion 210 can be mutually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Alternatively, the magnet may be embedded in one of the attachment groove 120 side of the cradle 100 and the attachment portion 210, and the other may be made of metal, and may be mutually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이 거치대 본체에 부착되기 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cradle body.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부착홈(120)은 크래들(100)의 후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원 형상이고, 부착부(210)는 요입된 원 형상의 부착홈(120)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된다. 3, the attachment groove 1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cradle 100, and the attachment portion 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circular attachment groove 120 .

부착부(210)와 부착홈(120)에는 상호 부착 후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돌기(121)와 고정홈(211)을 구비한다. 고정돌기(121)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홈(211)은 일자형의 고정돌기(1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방사형 홈으로 된다.The attachment part 210 and the attachment groove 120 are provided with fixing protrusions 121 and fixing grooves 211 for preventing flow after mutual adhesion. The fixing protrusions 121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the fixing grooves 211 are formed into radial grooves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121 can be selectively inserted.

일자형의 고정돌기(121)는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 형상일 수 있다. 부착부(210)에 형성된 방사형의 고정홈(211)도 고정돌기(121)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 형상일 수 있다. 고정돌기(121)의 경사와 고정홈(211)의 경사는 부착부(210)가 고정홈(211)에 삽입시 자연스러운 결합을 통한 부착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xed protrusions 121 may have a shape with a slope that decreases in height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The radial fixing groove 211 formed in the attachment portion 210 may also have a shape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121. [ The inclina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121 and the inclination of the fixing groove 211 are for inducing the attachment through the natural coupling when the fixing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1.

부착부(210)가 부착홈(120)에 삽입되면 부착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부착부(210)의 방사형인 고정홈(21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부착홈(120)에 대한 부착부(210)의 임의 회전 및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attachment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groove 120, the fixing protrusion 121 of the attachment groove 120 is inserted and fixed in any one of the radial fixing grooves 211 of the attachment portion 210, 120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and flowing arbitrarily.

부착부(210)가 부착홈(120)에 삽입되면서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와 부착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부착부(210)의 방사형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구조는 상호 작용하여 크래들(100)이 거치대 본체(20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210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groove 120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21 of the attachment groove 12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radial grooves of the attachment part 210, So that the cradle 100 can be firmly and stably fixed to the cradle body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이 거치대 본체의 부착부에 부착되기 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cradle main body.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크래들(100)은 전면에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홀더부(110)를 구비하고 후면에 부착홈(120)을 구비한다. 크래들(100)의 후면 부착홈(120)에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가 삽입되면서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radle 100 includes a holder 110 for fixing a smartphone to the front of the cradle 100 and a mounting groove 120 on the rear of the cradle 100. The attachment portion 210 of the cradl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attachment groove 120 of the cradle 100 and attached thereto by a magnetic force.

도 4에서 홀더부의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와 상호 작용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In FIG. 4, the principle that the second gripping part of the holder part interacts with the first gripping part to fix the smartphone can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파지부(113)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2 파지부(115)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반대편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타측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4, the first grip portion 113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seating surface 111 to support one end of the smartphone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15 Is protru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111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martphone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제2 파지부(115)는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마트폰을 안착면(111)에 안착시키면, 제1 파지부(11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파트폰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grip portion 115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grip portion 113 and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grip portion 113 when the smartphone is plac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111 can be fixed.

제1 파지부(113) 측에는 제2 파지부(115)를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130)이 구비된다. A button 130 for moving the second grip portion 11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grip portion 113 is provided on the first grip portion 113 side.

버튼(130)은 크래들(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 파지부(115)와 연결되어 제2 파지부(115)를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버튼(130)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력이 작용한다. The button 130 may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radle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ripper 115 to move the second gripper 11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gripper 113. [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causes the button 130 to mov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gripper 113. [

그에 따라, 제1 파지부(113) 측에 구비한 버튼(130)을 누름에 의해 버튼(130)이 제2 파지부(115)를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버튼(130)을 누른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이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2 파지부(115)가 제1 파지부(11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button 130 moves the second gripper 115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gripper 113 by pushing the button 130 provided on the first gripper 113 side,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is removed, the butt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the second gripper 115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gripper 113, It can be firmly fixed.

제1 파지부(113)와 제2 파지부(115) 사이의 간격 및 버튼(130)을 누름에 따라 제2 파지부(115)가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등은 스마트폰의 규격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p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115 and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gripping portion 115 can mov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gripping portion 113 as the button 130 is pressed, Etc. can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smartphon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조인트 수단을 보인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all join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조인트 수단(225)은 두 개의 볼(230,240), 볼하우징(250), 암(231,241), 볼고정수단(260)을 포함한다. 5, the ball joint means 225 includes two balls 230 and 240, a ball housing 250, arms 231 and 241, and ball fixing means 260.

두 개의 볼(230,240)은 부착부(210)에 연결되는 제1 볼(230)과 고정부(220)에 연결되는 제2 볼(240)일 수 있다. 볼하우징(250)은 두 개의 볼(230,240)이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공간(251)이 형성되며 두 개의 볼(230,240)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일측과 반대편 타측에 원 형상의 개구부(253,255)가 형성된다. 개구부(253, 255)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서 더 정확히 확인된다.The two balls 230 and 240 may be a first ball 230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10 and a second ball 240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220. The ball housing 250 is formed with an inner space 251 into which two balls 230 and 240 are inserted, and circular openings 253 and 255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so that a part of the two balls 230 and 240 ar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shapes of the openings 253 and 255 are more accurately confirmed in Figs.

암(231,241)은 각 볼(230,240)의 회전축이 되며 각 개구부(253,255)를 통해 부착부(210) 및 고정부(220)와 연결된다. 개구부(253,255)는 각 볼(230,2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각 볼(230,240)의 중심 외경에 비해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The arms 231 and 241 serve as rotation axes of the balls 230 and 240 and are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10 and the fixing portion 220 through the openings 253 and 255, respectively. The openings 253 and 255 are form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center outer diameters of the balls 230 and 240 so as to prevent the balls 230 and 24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볼고정수단(260)은 두 개의 볼(230,24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하이동부재(261)와 조작부재(2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fixing means 260 is for fixing the rotated state of the two balls 230 and 240 and may include a vertical moving member 261 and an operating member 263.

상하이동부재(261)는 두 개의 볼(230,240)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이동시 두 개의 볼(230,240)과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양측 경사면(261a, 261b)을 가진다. The upper and lower shim members 261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balls 230 and 240 and have both inclined surfaces 261a and 261b which can be sel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wo balls 230 and 240 simultaneously.

조작부재(263)는 볼하우징(25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단부가 상하이동부재(261)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하이동부재(261)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The operating member 263 is coupled to the ball housing 250 in a threaded manner and has an en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261 to move the movable member 261 up and down.

볼하우징(250)은 내부에 두 개의 볼(230,240)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두 몸체로 구성되고 두 몸체는 볼트(265)로 고정될 수 있다. The ball housing 250 may be formed of two bodie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two balls 230 and 240, and the two bodies may be fixed by bolts 26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조인트 수단을 상부 측에서 본 평면도(a)와 단면도(b)로서, 두 암이 90도 각도로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FIG. 6 is a plan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of the ball joint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and shows a state in which two arms ar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볼(230)과 제2 볼(24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220)에 연결된 암(231,241)과 부착부(210)에 연결된 암(231,241)이 90도 각도로 배치되고 고정부(220)와 부착부(210)가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6, the arms 231 and 241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220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ball 230 and the second ball 240 and the arms 231 and 241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10 are rotated 90 And the fixing portion 220 and the attachment portion 210 can be disposed at an angle of 90 degrees.

고정부(220)와 부착부(210)가 90도 각도로 배치된 상태는 예를 들어, 조작부재(263)를 회전시켜 상하이동부재(261)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하이동부재(261)의 양측 경사면(261a, 261b)에 두 개의 볼(230, 240)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제1 볼(230)과 제2 볼(240)을 각 개구부(231, 241)에 밀착시켜 두 개의 볼(230, 24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xing part 220 and the attaching part 210 are dispos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261 are moved upward by rotating the operating member 263, The first ball 230 and the second ball 24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spective openings 231 and 241 by bringing the two balls 230 and 24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h side inclined surfaces 261a and 261b of the first and second balls 230 and 230, And 240 can be fixed.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r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는 일 실시예와 비교시 거치대 본체(200')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성, 차량에 흡착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7, in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the car cradle 10 'of the other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cradle main body 200' can be adjusted o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radle main body 200 ' .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거치대 본체(2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ar cradle 10 'of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cradle main body 200'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bodiment.

거치대 본체(200')는 부착부(210)와 고정부(220')의 사이를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270)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부착부(210)와 연장부(270), 연장부(270)와 고정부(220)는 각각 볼조인트 수단(255)으로 연결하여 부착부(210)가 연장부(27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연장부(270)가 고정부(2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main body 200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n attachment part 210 and a fixing part 220' with an extension part 270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e attachment part 210 and the extension part 270 and the extension part 270 and the fixing part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all joint means 255 so that the attachment part 21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art 270 And the extension portion 27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220 '.

연장부(270)는 고정부(220')에 볼조인트 수단(225')으로 연결되는 제1 몸체(271)와, 제1 몸체(271)에서 인출 가능하며 부착부(210)에 볼조인트 수단(225)으로 연결되는 제2 몸체(273)와, 제2 몸체(273)를 제1 몸체(271)에 대해 인출시키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275)을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 The extended portion 270 includes a first body 271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220 'by a ball joint means 225', a second body 271 which is withdrawable from the first body 271, A second body 273 connected to the first body 271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275 for pulling the second body 273 to the first body 271 and fixing the drawn state to the first body 271 8).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270)는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여 스마트폰 고정의 자유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ength adjustable extension 270 facilitates securing the smartphone in a position that matches the driver's field of visio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securing the smartphone.

고정부(220')는 차량에 흡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흡착판(223)을 포함한다. 흡착판(223)은 진공 흡착을 통해 차량의 유리, 대시보드 등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220 'includes a suction plate 223 fixed to the vehicle by an attraction force. The attracting plate 223 can be fixed to glass, dashboard, etc. of the vehicle through vacuum adsorption.

이하에서는 길이조절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ength adjusting means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길이조절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길이조절수단(275)은 제2 몸체(273)에 연결된 랙기어(276)와 랙기어(276)와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랙기어(276)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277)와 피니언기어(277)를 회전시키는 조작다이얼(278)을 포함할 수 있다. 8, the length adjusting means 275 engages the rack gear 276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73 and the rack gear 276 and rotates the rack gear 27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ration dial 278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277 and the pinion gear 277. [

조작다이얼(278)은 제1 몸체(271)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조작다이얼(278)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dial 278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271 to make it easy for a user to operate. And a stopper 279 for preventing any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278. [

스토퍼(279)는 조작다이얼(278)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조작다이얼(278)의 임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연장부(270)가 길이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topper 279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serrated groove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ration dial 278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operation dial 278 and thereby maintain the extension 270 in a length-adjusted state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r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크래들(100)에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고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에 접촉시키는 것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 고정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a method of simply fixing the smartphone to the car cradle 10 by fixing the smart phone to the cradle 100 and bringing the cradle 100 into contact with the attachment portion 210 of the cradle body 200 Can be fixed.

스마트폰을 크래들(10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제1 파지부(113)의 버튼을 눌러 제1 파지부(113)와 제2 파지부(115)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안착면(111)에 스마트폰의 후면을 접촉시키고 버튼(130)을 누른 힘을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A method of fixing the smartphone to the cradle 100 is to press the button of the first gripper 113 and press the button of the first gripper 113 on the seating surface 111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gripper 113 and the second gripper 115 is widened A simple operation of touching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removing the pushing force of the button 130 may be performed.

버튼(130)을 누른 힘을 제거하면 스마트폰은 후면이 안착면(1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 단부가 제1 파지부(113)와 제2 파지부(11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button 130 is remove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martphone can be firmly fixed by the first gripping part 113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115 in a state where the back surface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11 have.

차량용 거치대(10)는 고정부(220)의 결합핀(221)을 차량의 송풍구(P)에 끼움 결합함에 의해 송풍구(P)와 완전히 밀착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vehicle mount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air outlet P by tightly fitting the coupling pin 221 of the fixing portion 220 into the air outlet P of the vehicle.

이 상태에서 차량용 거치대(10)는 부착부(210)와 고정부(220)가 볼조인트 수단(22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맞춰 스마트폰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In this state, since the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fixing portion 220 of the vehicle mount 10 are connected by the ball joint means 225, various angles of the smartphon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field of view.

그 과정은 조작부재(263)를 회전시켜 상하이동부재(261)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하이동부재(261)의 양측 경사면에 제1 볼(230)과 제2 볼(240)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제1 볼(230)과 제2 볼(240)을 각 개구부(253,255)에 밀착시켜 두 개의 볼(230,24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process moves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261 upward by rotating the operating member 263 so that the first ball 230 and the second ball 24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261 The first ball 230 and the second ball 24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spective openings 253 and 255 to fix the two balls 230 and 240 in a rotated state (see FIG. 5).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ar cradle 10 during operation, the smart phone can be separated from the cradle main body 200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smart phone by hand and pulling it toward the user.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 거치할 때에는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에 접촉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스마트폰의 거치가 완료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car cradle 10, the mounting of the smart phone can be complet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contacting the cradle 100 with the cradle main body 200.

그 과정은 스마트폰이 고정된 크래들(100)의 후면 부착홈(120)에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가 삽입되게 크래들(100)을 부착부(210)에 접촉시키면 자력에 의해 크래들(100)이 부착부(210)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면서 부착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부착부(210)의 방사형인 고정홈(211)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크래들(100)이 거치대 본체(20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도 3 참조).The process is performed by the magnetic force when the cradle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ttachment portion 210 so that the attachment portion 210 of the cradl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rear attachment groove 120 of the fixed cradle 100 The cradle 100 is natural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10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21 of the attachment groove 12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radial fixing grooves 211 of the attachment portion 210, Is firmly and stably fixed to the base 200 (see Fig. 3).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크래들(100)에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고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에 접촉시키는 것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200')에 고정하는 것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7 can be used to simply secure the smartphone to the car cradle 200 'by fixing the smartphone to the cradle 100 and contacting the cradle 100 to the attachment portion 210 of the cradle body 200' )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는 고정부(220')의 흡착판(223)을 차량의 대시보드, 유리 등에 진공 흡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The vehicle mount 10 'of another embodiment can fix the attracting plate 223 of the fixing portion 220' by vacuum suction to a vehicle dashboard, glass, or the like.

이 상태에서 차량용 거치대(10')는 부착부(210)와 연장부(270), 연장부(270)와 고정부(220)가 볼조인트 수단(22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맞춰 스마트폰의 다양한 각도 조절과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In this state, since the attachment part 210, the extension part 270, the extension part 270 and the fixing part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all joint means 225 in the vehicle mount 10 ' It is possible to adjust various angles and position of the phone.

또한, 연장부(270)가 길이조절 가능하므로 스마트폰을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거리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extension portion 270 can be adjusted in length, it is easy to position the smart phone at a position in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field of view.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ar cradle 10 'during operation, the smartphone can be separated from the cradle main body 200' by a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smart phone by hand and pulling it toward the user.

또한,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할 때에는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에 접촉시키는 것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의 거치가 완료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cradle body 200 ', the mounting of the smartphone can be completed simply by bringing the cradle 100 into contact with the cradle body 200'.

상기한 본 발명은 크래들과 거치대 본체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에 고정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므로 스마트폰 고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홈과 돌기 구조를 채용하여 고정시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 cradle and a cradle body are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so that it is easy to fix and separate a smartphone to and from a cradle main body, thereby improving the freedom of fixing a smartphone, Time stability can also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 본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볼조인트 수단(225)을 포함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상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거치대 본체(200')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270)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rotated by including one or two ball joint means (225) in the base of the base, so that the angl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adjusted, It is easy to fix the smart phone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user's sight.

상기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거치대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핸드폰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제작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tructures of one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he car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o accommodate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as well as mobile phone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 이외에, 탁상용 등 다양한 용도 및 위치에서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ount a smartphone in various applications and locations, such as a desktop, in addition to a car mount.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f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차량용 거치대 100: 크래들
110: 홀더부 111: 안착면
113: 제1 파지부 115: 제2 파지부
120: 부착홈 121: 고정돌기
130: 버튼 140: 탄성부재
200, 200': 거치대 본체 210: 부착부
211: 고정홈 220,220': 고정부
221: 결합핀 223: 흡착판
225, 225': 볼조인트 수단 230: 제1 볼
240: 제2 볼 231,241: 암
250: 볼하우징 251: 내부공간
253,255: 개구부 260: 볼고정수단
261: 상하이동부재 263: 조작부재
265: 볼트 270: 연장부
271: 제1 몸체 273: 제2 몸체
275: 길이조절수단 276: 랙기어
277: 피니언기어 278: 조작다이얼
279: 스토퍼
10: vehicle mount 100: cradle
110: holder part 111: seat face
113: first grip portion 115: second grip portion
120: attachment groove 121: fixing projection
130: Button 140: Elastic member
200, 200 ': Cradle body 210:
211: fixing grooves 220, 220 ': fixing portion
221: engaging pin 223: attracting plate
225, 225 ': ball joint means 230: first ball
240: second ball 231,241: arm
250: ball housing 251: inner space
253, 255: opening 260: ball fixing means
261: Shanghai East member 263: Operation member
265: Bolt 270: Extension
271: first body 273: second body
275: length adjusting means 276: rack gear
277: Pinion gear 278: Operation dial
279: Stopper

Claims (8)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크래들; 및
일측에 상기 크래들이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 또는 흡착력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거치대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회전에 의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몸체가 볼조인트 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A cradle having a holder portion capable of holding and fixing a smartphone; And
A cradle main body having an attachment portion to which the cradle is selectively attached to one side and a fixing portion to be fitted to or engage with the vehicle on the opposite side;
Lt; / RTI >
Wherein at least two bodies are connected via ball joint means so that the cradle body can be angularly adjusted by r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 수단은
두 개의 볼;
상기 두 개의 볼이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볼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일측과 반대편 타측에 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볼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각 볼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볼의 회전축이 되며 상기 각 몸체에 연결되는 암; 및
상기 두 개의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볼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joint means
Two balls;
A ball housing in which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wo balls are inserted is formed and a circular open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so that the two ball portio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 arm connected to each of the balls through the opening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odies as rotation axes of the balls; And
And ball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wo balls in a rotated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고정수단은
상기 두 개의 볼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두 볼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이동부재; 및
상기 볼하우징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조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ball fixing means
An upper and lower easel member disposed between the two balls and having both inclined surfaces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wo balls by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An operating member coupled to the ball housing in a threaded manner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to move the movable member upward and downward by rotation;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vehic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측 경사면은 상기 두 개의 볼이 밀착되면서 상기 두 볼을 각 개구부에 밀착시켜 상기 두 개의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wo inclined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pective openings while the two ball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ixing the two balls in a rotated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두 개의 볼을 삽입할 수 있도록 두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두 몸체는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ll housing comprises two bodies for inserting the two balls therein, and the two bodies are fixed by bol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과 상기 부착부는 자석과 자석,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adle and the attachment portion are attached by a magnet, a magnet, a magnet and a metal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부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adle body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that is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볼조인트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서 인출 가능하며 상기 부착부에 볼조인트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제1 몸체에 대해 인출시키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nsion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via ball joint means;
A second body that can be drawn out from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via ball joint means; And
Length adjusting means for pulling out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nd fixing the drawn state;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vehicle.
KR1020170073876A 2017-06-13 2017-06-13 Holder for vehicles KR101976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76A KR101976645B1 (en) 2017-06-13 2017-06-13 Holder for vehicles
PCT/KR2018/000792 WO2018230802A1 (en) 2017-06-13 2018-01-17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76A KR101976645B1 (en) 2017-06-13 2017-06-13 Holder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624A true KR20180135624A (en) 2018-12-21
KR101976645B1 KR101976645B1 (en) 2019-05-10

Family

ID=6495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876A KR101976645B1 (en) 2017-06-13 2017-06-13 Holder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2824A (en) * 2019-11-28 2020-02-28 衡阳市和仲通讯科技有限公司 Mutual integrative screen clamping device of communication
KR20230129822A (en) * 2022-03-02 2023-09-11 (주)디피니스 Smart phone hold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45U (en)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Car Cell Phone Holder
KR100404248B1 (en) 2001-02-01 2003-11-03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Underfill apparatus for semiconductor
KR200403065Y1 (en) * 2005-09-23 2005-12-07 설정수 Hanging support of cellular phone for cars
KR200439994Y1 (en) * 2007-08-21 2008-05-16 한진복 A monitor supporter for car
US20090136290A1 (en) * 2007-11-23 2009-05-28 Zirkona Sweden Ab Ball joint device
KR20170053820A (en) 2015-11-07 2017-05-17 강준혁 detachable smart r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45U (en)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Car Cell Phone Holder
KR100404248B1 (en) 2001-02-01 2003-11-03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Underfill apparatus for semiconductor
KR200403065Y1 (en) * 2005-09-23 2005-12-07 설정수 Hanging support of cellular phone for cars
KR200439994Y1 (en) * 2007-08-21 2008-05-16 한진복 A monitor supporter for car
US20090136290A1 (en) * 2007-11-23 2009-05-28 Zirkona Sweden Ab Ball joint device
KR20170053820A (en) 2015-11-07 2017-05-17 강준혁 detachable smart 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2824A (en) * 2019-11-28 2020-02-28 衡阳市和仲通讯科技有限公司 Mutual integrative screen clamping device of communication
KR20230129822A (en) * 2022-03-02 2023-09-11 (주)디피니스 Smart phon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45B1 (en)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4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8120895B2 (en) Mounting assembly having a base with an inner ball positioned within a hollow outer ball
US2020036613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976645B1 (en) Holder for vehicles
CN211617588U (en) Vehicle-mounted mobile phone support
KR20210092827A (en) Portable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WO2017186152A1 (en) Clamping device and clamping mechanism
KR101954704B1 (en) Holder for vehicles
CN210118598U (en) Mute support for electronic product
US9341202B2 (en) Support device
KR102123453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190026703A (en) Holder for vehicles
KR102064280B1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s
CN210912146U (en) Cup fix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cup stand
CN205424356U (en) On -vehicle fixing device
CN204992691U (en) Mobile phone wireless charger
KR102536053B1 (en) Potable Holder
CN214823008U (en) Multifunctional support for vehicle-mounted rear pillow
CN212811776U (en) Mobile phone support structure
CN210670197U (en) Novel mobile phone support
CN205402169U (en) Universal electronic equipment lift kits
CN210694044U (en) Mobile phone support
CN216231879U (en) Saucer clamping structure, car saucer and car
CN110067915B (en) Mute support for electronic product
CN210694042U (en) Mobile phon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