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558A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558A
KR20180135558A KR1020170073701A KR20170073701A KR20180135558A KR 20180135558 A KR20180135558 A KR 20180135558A KR 1020170073701 A KR1020170073701 A KR 1020170073701A KR 20170073701 A KR20170073701 A KR 20170073701A KR 20180135558 A KR20180135558 A KR 20180135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wire
booklet
wires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경
박시영
Original Assignee
이문경
박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경, 박시영 filed Critical 이문경
Priority to KR102017007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5558A/ko
Publication of KR2018013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통한 제작에 의해, 제조단가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지며, 구조적으로 접힘이 가능함에 따라 미사용시 부피 축소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힌지 결합된 책지지부;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책지지부의 전면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힌지 결합된 책받침부; 및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책지지부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책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바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서대{Stand for supporting book}
본 발명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와이어를 통한 제작에 의해, 제조단가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지며, 구조적으로 접힘이 가능함에 따라 미사용시 부피 축소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인쇄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독서는 특정 지성인들의 취미만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교양을 쌓을 수 있는 취미로 발전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독서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책을 읽는 것뿐만 아니라, 얼마나 편안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편안한 자세로 독서를 하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독서대는 책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독서대는 책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대와, 책을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된 고정지지대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독서대는, 독서시 책의 고정에 따른 편의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대부분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책의 고정을 지지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제작됨에 따라, 그 무게와 부피가 상당함에 의한 휴대, 운반 또는 보관 등이 불편함은 물론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제작과정에서 절단가공, 절삭가공 또는 성형 등의 공정이 불가피함에 따른 제작의 번거로움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15호(2014.03.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단가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를 경량화함과 동시에 미사용에 따른 휴대, 운반 또는 보관시 부피의 축소가 가능해 휴대, 운반 또는 보관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독서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힌지 결합된 책지지부;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책지지부의 전면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힌지 결합된 책받침부; 및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책지지부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책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책지지부, 책받침부 및 바닥부의 와이어는, 각각 상기 책지지부, 책받침부 및 바닥부의 둘레를 이루는 둘레와이어와, 상기 둘레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책을 지지하거나 책을 받치거나 독서대의 바닥을 이루는 지지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책지지부는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들의 후면에 이미 설정된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끼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가 상기 바닥부의 와이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끼움부재들이 이루는 간격에 끼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책지지부는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책받침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인접한 와이어의 후면에 돌출된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책받침부는 하부가 상기 책받침부의 와이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책지지부, 책받침부 및 바닥부가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됨과 동시에 책지지부들 상호 간에, 책지지부들과 책받침부 및 바닥부 각각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조단가가 절감됨은 물론 와이어의 절곡 또는 용접만을 필요로 함에 따라 제작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독서대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한 쌍의 책지지부가 상호 접힘이 가능함과 더불어 한 쌍의 책지지부 각각에 결합된 책받침부와 바닥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독서대의 미사용에 따른 휴대, 운반 또는 보관시 부피의 축소를 이루어 휴대, 운반 또는 보관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책받침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부피 축소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폭 방향은 한 쌍의 책지지부가 연결을 이루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길이방향은 세로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전방은 독서시 사용자가 책을 보고자 위치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통한 제작에 의해, 제조단가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지며, 구조적으로 접힘이 가능함에 따라 미사용시 부피 축소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지지부(10), 책받침부(20) 및 바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책지지부(10)는 이미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11)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후술하는 책받침부(20)상에 놓인 책(B)을 지지한다.
이렇게 책지지부(10)가 복수개의 와이어(11)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책(B)의 고정을 지지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독서대가 가지고 있던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와이어(11)를 절곡 또는 용접시키는 것만으로도, 책(B)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이미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책지지부(10)를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독서대 제작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책지지부(10)가 복수개의 와이어(11)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독서대와 비교하여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한 쌍의 책지지부(10)가 상호 접힘이 가능함은 물론 한 쌍의 책지지부(10) 각각에 결합되는 후술할 책받침부(20)와 바닥부(30)가 책지지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또는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독서대의 미사용에 따른 휴대, 운반 또는 보관시 부피의 축소를 이루어 휴대, 운반 또는 보관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책지지부(10)는 상호 접힘이 가능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을 이루는데, 통상의 경첩 등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고, 이는 한 쌍의 책지지부(10)가 상호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면, 통상의 클립, 링 또는 밴드 등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1)를 통한 제작에 의해, 상술한 제조단가의 절감, 제작의 용이, 무게의 경량화, 부피의 축소 등을 구현하면서도, 책지지부(10)들의 연결 또한 간편하게 이룸으로써, 독서대 제작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와이어(11)는 통상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재질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굵기 또는 두께는 와이어(11)의 재질에 따른 자체적인 강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인 독서대 제조단가의 절감과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해, 자체적인 강성은 최대화한 상태에서 그 굵기나 두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책지지부(10)를 이루는 복수개의 와이어(11)는, 책지지부(10)의 둘레를 이루는 둘레와이어(11a)와, 둘레와이어(11a)의 내측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책받침부(20)에 놓인 책(B)을 지지하는 지지와이어(1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책지지부(10)를 이루는 와이어(11)를 둘레와이어(11a)와 지지와이어(11b)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끼움부재(12) 및 체결부재(13)와의 결합관계에 따른 독서대 제작의 정밀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책지지부(10)는, 그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11)들의 후면에 이미 설정된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끼움부재(12)를 구비하고, 이 끼움부재(12)들이 이루는 간격에는 후술하는 바닥부(30)의 지지부재(32)가 선택적으로 끼움 장착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자세로 독서를 하고자 사용자의 시선과 책(B)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책(B)을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책지지부(10)는, 그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11)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체결부재(13)를 구비하는데, 이 체결부재(13)에는 후술할 책받침부(20)의 회동부재(22)가 힌지 결합을 이루어 책지지부(10)에 결합된 책받침부(20)의 회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13)는, 후술하는 회동부재(22)의 회동에 따른, 그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회동부재(22)의 전면 및 후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됨으로써, 회동부재(22)의 회동을 단속하여 책지지부(10)에 결합된 책받침부(20)가 이미 설정된 각도로 회동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책받침부(2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이미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21)로 이루어져 한 쌍의 책지지부(10) 각각의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11)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책(B)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책받침부(20)를 이루는 복수개의 와이어(21)는 상술한 책지지부(10)의 와이어(11)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책받침부(20)가 복수개의 와이어(21)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책(B)을 받치기 위해 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독서대가 가지고 있던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와이어(21)를 절곡 또는 용접시키는 것만으로도, 책(B)을 충분히 받칠 수 있도록 이미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책받침부(20)를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독서대 제작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책받침부(20)가 복수개의 와이어(21)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독서대와 비교하여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책받침부(20)가 한 쌍의 책지지부(10)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함으로써, 독서대의 미사용에 따른 휴대, 운반 또는 보관시 부피의 축소를 이루어 휴대, 운반 또는 보관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와이어(21)는 상술한 책지지부(10)의 와이어(11)와 같이, 통상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재질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굵기 또는 두께는 와이어(21)의 재질에 따른 자체적인 강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인 독서대 제조단가의 절감과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해 자체적인 강성은 최대화한 상태에서 그 굵기나 두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책받침부(20)를 이루는 복수개의 와이어(21)는, 책받침부(20)의 둘레를 이루는 둘레와이어(21a)와, 둘레와이어(21a)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놓인 책(B)을 받치는 지지와이어(2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책받침부(20)를 이루는 와이어(21)를 둘레와이어(21a)와 지지와이어(21b)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회동부재(22) 및 누름부재(23)와의 결합관계에 따른 독서대 제작의 정밀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책받침부(20)는, 그 후방 둘레를 이루면서 상술한 체결부재(13)에 인접한 와이어(21)의 후면에 돌출된 회동부재(22)를 구비하는데, 이 회동부재(22)는 상부가 개방된 체결부재(1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회동부재(22)의 전후방향 회동을 통해, 책받침부(20) 또한 전후방향으로 회동을 이루어, 독서시 전방으로 펼쳐져 와이어(21)들의 상면에 책(B)이 놓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독서대의 미사용시 후방으로 회동되어 책지지부(10)의 와이어(11)들 전면에 밀착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책받침부(20)의 전방 회동시, 회동부재(22)의 전면은 체결부재(13)의 내측면 전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그 회동이 단속되고, 책받침부(20)의 후방 회동시, 회동부재(22)의 후면은 체결부재(13)의 내측면 후단부와 면접촉을 이룸으로써, 그 회동의 단속을 이루게 되어 책받침부(20)는 이미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회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책받침부(20)는 책(B)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누름부재(23)는 책받침부(20)의 전방 둘레를 이루는 와이어(21)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의 회동을 통해 그 상부가 책(B)의 페이지를 가압함으로써, 독서중 책(B)의 페이지가 무단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닥부(30)는,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이미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31)로 이루어져 한 쌍의 책지지부(10) 각각의 하단을 이루는 와이어(1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으로써, 독서대의 바닥을 이루어 책지지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닥부(30)는 통상의 경첩, 클립, 링 또는 밴드 등으로 책지지부(10)의 와이어(11)에 결합을 이룸으로써, 책지지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31)를 통한 제작에 의해, 제조단가의 절감, 제작의 용이, 무게의 경량화, 부피의 축소 등을 구현하면서도, 책지지부(10)들과의 연결 또한 간편하게 이룸으로써, 독서대 제작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닥부(30)를 이루는 복수개의 와이어(31)는 상술한 책지지부(10)의 와이어(11)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바닥부(30)가 복수개의 와이어(31)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독서대의 바닥을 이루면서 책지지부(10)를 지지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독서대가 가지고 있던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와이어(31)를 절곡 또는 용접시키는 것만으로도, 독서대의 바닥을 이루면서 책지지부(1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이미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바닥부(30)를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독서대 제작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부(30)가 복수개의 와이어(31)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독서대와 비교하여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바닥부(30)가 한 쌍의 책지지부(10)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함으로써, 독서대의 미사용에 따른 휴대, 운반 또는 보관시 부피의 축소를 이루어 휴대, 운반 또는 보관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와이어(31)는 상술한 책지지부(10)의 와이어(11)와 같이, 통상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재질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굵기 또는 두께는 와이어(31)의 재질에 따른 자체적인 강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인 독서대 제조단가의 절감과 무게의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해 자체적인 강성은 최대화한 상태에서 그 굵기나 두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부(30)를 이루는 복수개의 와이어(31)는, 책받침부(30)의 둘레를 이루는 둘레와이어(31a)와, 둘레와이어(31a)의 내측에 배치되어 독서대의 바닥을 이루는 지지와이어(3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닥부(30)를 이루는 와이어(31)를 둘레와이어(31a)와 지지와이어(31b)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책지지부(10) 및 후술하는 지지부재(32)와의 결합관계에 따른 독서대 제작의 정밀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닥부(30)는, 상술한 책지지부(10)를 지지하면서 책(B)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부재(32)를 구비하는데, 이 지지부재(32)는 바닥부(30)의 와이어(31)에 그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을 통해 그 상부가 상술한 끼움부재(12)들이 이루는 간격에 선택적으로 끼움 장착됨으로써, 책지지부(10)를 지지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자세로 독서를 하고자 사용자의 시선과 책(B)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책(B)을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22)의 전후방향 회동을 통해, 독서시 전방으로 회동하여 그 상부를 끼움부재(12)들이 이루는 간격에 끼움 장착할 수 있고, 독서대의 미사용시 상부를 끼움부재(12)들의 간격에서 분리시킨 다음,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켜 바닥부(30)의 와이어(31)들 상면에 밀착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독서대의 미사용에 따른 휴대, 운반 또는 보관시, 도 6과 같이, 책받침부(20)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서 누름부재(23)도 전방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끼움부재(12)들의 간격에서 분리시킨 지지부재(3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면서 바닥부(30) 또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킨 채, 책지지부(10)들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접게 됨으로써, 독서대 부피의 축소를 이루어 휴대, 운반 또는 보관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 책지지부 11 : 와이어
11a : 둘레와이어 11b : 지지와이어
12 : 끼움부재 13 : 체결부재
20 : 책받침부 21 : 와이어
21a : 둘레와이어 21b : 지지와이어
22 : 회동부재 23 : 누름부재
30 : 바닥부 31 : 와이어
31a : 둘레와이어 31b : 지지와이어
32 : 지지부재 B : 책

Claims (5)

  1.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11)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상호 폭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힌지 결합된 책지지부(10);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21)로 이루어져 상기 책지지부(10)의 전면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힌지 결합된 책받침부(20); 및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31)로 이루어져 상기 책지지부(10)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책지지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를 구비한 바닥부(30);를 포함하는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지지부(10), 책받침부(20) 및 바닥부(30)의 와이어(11, 21, 31)는,
    각각 상기 책지지부(10), 책받침부(20) 및 바닥부(30)의 둘레를 이루는 둘레와이어(11a, 21a, 31a)와,
    상기 둘레와이어(11a, 21a, 31a)의 내측에 배치되어 책(B)을 지지하거나 책(B)을 받치거나 독서대의 바닥을 이루는 지지와이어(11b, 21b, 31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지지부(10)는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11)들의 후면에 이미 설정된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끼움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32)는 하부가 상기 바닥부(30)의 와이어(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끼움부재(12)들이 이루는 간격에 끼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지지부(10)는 하부를 이루는 와이어(11)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체결부재(13)를 구비하고,
    상기 책받침부(20)는 상기 체결부재(13)에 인접한 와이어(21)의 후면에 돌출된 회동부재(22)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부재(22)가 상기 체결부재(1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13)의 내측면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22)의 회동을 단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부(20)는 하부가 상기 책받침부(20)의 와이어(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책(B)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23)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KR1020170073701A 2017-06-13 2017-06-13 독서대 KR20180135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01A KR20180135558A (ko) 2017-06-13 2017-06-13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01A KR20180135558A (ko) 2017-06-13 2017-06-13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58A true KR20180135558A (ko) 2018-12-21

Family

ID=6496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01A KR20180135558A (ko) 2017-06-13 2017-06-13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55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77B1 (ko) 2019-02-18 2019-11-18 이종문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77B1 (ko) 2019-02-18 2019-11-18 이종문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235352U (zh) 便携式可调节桌子系统
US7731277B2 (en) Seating implement with tablet
US8079553B1 (en) Keyboard supporting tray and arm rests for conventional open arm office chairs
US9743759B1 (en) Traveling tablet
US8162281B2 (en) Presentation pad easel
KR20130104183A (ko) 다기능 거치대
KR20180135558A (ko) 독서대
KR10182936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US20080105811A1 (en) Adjustable reading bookstand
KR102023507B1 (ko) 누운 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
KR101791360B1 (ko) 접이식 독서대
JP3205550U (ja) 移動式卓上設置台
US1051047A (en) Book-holder.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US20140183323A1 (en) Portable desk
CN109068845A (zh) 用于电子装置的平台
KR101912456B1 (ko) 단순 독서대
NL2023260B1 (en) A backrest structure and a buggy, stroller or pushchair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200460680Y1 (ko) 이동식 책 스탠드
KR20210126946A (ko) 각도조절 및 조작이 용이한 독서대를 갖는 테이블
KR101783631B1 (ko)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독서대
JP2016158710A (ja) 椅子
GB1599064A (en) Portable stand for use in studying
CN212185999U (zh) 一种便携可折叠午睡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