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681A -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681A
KR20180134681A KR1020170072744A KR20170072744A KR20180134681A KR 20180134681 A KR20180134681 A KR 20180134681A KR 1020170072744 A KR1020170072744 A KR 1020170072744A KR 20170072744 A KR20170072744 A KR 20170072744A KR 20180134681 A KR20180134681 A KR 2018013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ion coil
processing unit
pad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환
김대현
백종석
유자영
조용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681A/ko
Publication of KR2018013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2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Abstract

무선 충전 시스템의 송신 패드 및 수신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드 또는 상기 수신 패드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코일; 직류 전원과 상기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온(turn on) 및 턴오프(turn off)에 따라 상기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센싱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패드와 상기 수신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Foreign Object Detecto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됨에 따라, 전자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해 많은 업체들이 연구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무선 충전시,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금속 이물질이 존재할 때, 시스템의 온도를 상승시켜 화재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카메라 설치등 다양한 방식의 이물질 검출 방식이 도입되고 있으나, 검출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물질 검출 신뢰도가 높으면서 저가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물질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송신 패드 및 수신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드 또는 상기 수신 패드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코일; 직류 전원과 상기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온(turn on) 및 턴오프(turn off)에 따라 상기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센싱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패드와 상기 수신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설치가 용이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이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검출 민감도가 높아, 작은 크기의 이물질도 검출 가능하고, 이물질 검출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충전 중이나 충전이 아닌 상태에서도, 이물질 검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 코일을 설명하는데 참고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9a의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의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100)은, 전력 송신 장치(10)와 전력 수신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100)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무선 충전, 이동 단말기 배터리의 무선 충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무선 충전에 무선 충전 시스템(100)이 이용되는 경우, 전력 송신 장치(10)는, 충전소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전력 수신 장치(2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배터리의 무선 충전에 무선 충전 시스템(100)이 이용되는 경우, 전력 송신 장치(10)는, 포터블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력 수신 장치(20)는, 이동 단말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전력 송신 장치(10)가 구비되어, 전력 수신 장치(20)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와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장치(10)는, AC/DC 컨버터(11), DA/AC 인버터(12), 공진 탱크(13) 및 송신 패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AC/DC 컨버터(11)는, 계통(1)에서 제공되는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직류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DC/AC 컨버터(12)는,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다. 이때, DC/AC 컨버터(12)는, 수십 내지 수백 kHz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공진 탱크(13)는, 무선 충전에 적합하게 임피던스를 보상한다.
송신 패드(14)는,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송신 패드(14)는, 내부에 송신 코일(15)을 포함한다.
전력 수신 장치(20)는, 수신 패드(21), 공진 탱크(22) 및 정류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패드(23)는,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수신 패드(23)는, 내부에 수신 코일(25)을 포함한다.
송신 패드(14)와 수신 패드(23)는,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을 가지는 코일 세트(송신 코일(15) 및 수신 코일(25))를 포함한다.
송신 패드(14)와 수신 패드(23)는, 고주파 구동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장(magnetic field)를 매개로 물리적인 전극간의 접촉(electrical contact)없이 전기 에너지를 전달한다.
수신 패드(14)와 수신 패드(23) 사이에 금속성의 이물질(Foreign Object)가 존재하는 경우, 와전류 손실이 발생된다. 이경우, 화재가 발생 등의 위험이 있다.
공진 탱크(22)는, 무선 충전에 적합하게 임피던스를 보상한다.
정류기(21)는, 배터리(30)에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다.
배터리(30)는, 차량 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유도 결합 방식 또는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도 결합 방식(Inductive Coupling) 방식은, 인접한 두 개의 코일(coil) 중 1차 코일(coil)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그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변하고, 이로 인하여 2차 코일(coil)을 지나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2차 코일(coil)측에 유도 기전력이 생기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이 방식에 따르면, 두 개 도선을 공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도 두 개 코일(coil)을 근접시킨 채 1차 코일(coil)의 전류만 변화시키면 유도 기전력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주파수 특성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각 코일(coil)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 및 수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에 따라 전력 효율이 영향을 받게 된다.
공진 결합(Resonance Coupling) 방식은, 일정 거리가 떨어진 두 개의 코일(coil) 중 1차 코일(coil)에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ncy)를 인가하여 발생한 자기장 변화량 중 일부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의 2차 코일(coil)에 인가되어 2차 코일(coil)에서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이 방식에 따르면, 송수신 장치가 각각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전자파가 근거리 전자장을 통해 전달되게 되므로, 주파수가 다르면 에너지 전달이 없게 된다. 이 경우, 주파수의 선택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공진 주파수간에는 서로간에 에너지 전달이 없으므로, 공진 주파수 선택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만일, 하나의 공진 주파수에 하나의 기기만이 할당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의 선택은 곧 충전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공진 결합 방식은 유도 결합 방식에 비해, 각 코일(coil)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가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에 덜 영향을 주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검출 코일(210), 스위칭부(220), 전류 감지부(230), 신호 처리부(24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무선 충전 시스템(100)의 송신 패드(14) 및 수신 패드(21)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직류 전원(DC)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검출 코일(210), 스위칭부(220), 전류 감지부(230), 신호 처리부(240) 및 프로세서(27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출 코일(210)은, 송신 패드(14) 또는 수신 패드(2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 코일(210)는, 송신 패드(14) 및 수신 패드(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 코일(210)은, 송신 패드(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 코일(210)는, 수신 패드(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검출 코일(210)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 코일은, 제1 검출 코일 및 제2 검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코일(210)은, 특정된 임피던스를 가진다. 만약,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외부에서 볼 때, 검출 코일(210)의 임피던스에 변화가 발생한다.
스위칭부(220)는, 직류 전원과 검출 코일(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직류 전원과 검출 코일(210)의 연결을 단속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환류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는, 검출 코일(210)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PMW(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검출 코일(210)의 갯수에 대응되는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부(220)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직류 전원과 제1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는, 직류 전원과 제2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부(2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위치는, 동기화되어, 동시에 턴 온되거나 동시에 턴오프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0)는, 스위칭부(220)의 턴온(turn on) 및 턴오프(turn off)에 따라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0)는, 센싱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센싱 저항은, 검출 코일(210)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0)는, 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0)는, 검출 코일(210) 갯수에 대응되는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류 감지부(23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제1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제2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전류 감지부(230)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스위칭에 따라, 검출 코일(210)이 직류 전원에 연결 및 차단이 반복됨에 따라,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신호는, RL 과도 응답 형태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신호는, 제1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적분값으로 정의일 수 있다.
제2 신호는, 제1 신호의 피크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신호는, 제1 신호의 평균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신호처리부는 아날로그 회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사용한 디지털회로 혹은 아날로그회로와 디지털회로의 조합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비교기는, 제1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는, 제1 신호와 기준 신호간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는, 제1 신호와 기준 신호간에 차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제4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는, 제1 신호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는, 제1 신호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4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는. 제1 신호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는, 제1 신호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4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신호는, DC 신호인 하이(high) 신호이고, 제4 신호는, DC 신호인 로우(low) 신호일 수 있다.
제3 신호는, DC 신호인 로우 신호이고, 제4 신호는, DC 신호인 하이 신호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검출 코일(210)의 갯수에 대응되는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240)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제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는, 제1 센서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부는, 제2 센서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물질 검출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물질 검출 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신호 처리부(240)에서 처리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 패드(14)와 수신 패드(21)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송신 패드(14)와 수신 패드(21)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알람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별도의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알람부에서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무선 충전 시스템(100)에 무선 충전 중단을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270)는 신호 처리부(2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비교기에서 제3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송신 패드(14)와 수신 패드(21)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후술하는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는, 프로세서(27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 코일을 설명하는데 참고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 코일(210)은 복수개(210a, ... 210n)일 수 있다.
검출 코일(210)은, 복수의 턴을 가지는 루프 코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검출 코일(21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검출 코일(210a, ... 210n)은, 인쇄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랙서블 재질의 인쇄회로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송신 패드(14) 또는 수신 패드(21)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구부러진 경우에도, 이물질 검출 장치(200)가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검출 코일(210a, ... 210n)은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검출 코일은, 제1 인쇄회로 기판 및 제2 인쇄회로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 기판 및 제2 인쇄회로 기판은 상호 적층되어 송신 패드(14) 또는 수신 패드(21)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검출 코일(210a, ... 210n)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함에 따라, 검출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 감지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제1 그룹의 검출 코일의 권취 방향은, 제2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의 검출 코일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검출 코일의 권취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이물질 검출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인쇄 회로 기판 및 제2 인쇄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검출 코일(210)은, 제1 검출 코일(210a) 및 제2 검출 코일(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출 코일(210a) 및 제2 검출 코일(210b)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제1 검출 코일(210a) 및 제2 검출 코일(210b)의 임피던스는 동일하다.
검출 코일(210)은, 인덕터와 저항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FO)이 위치하는 경우, 외부에서 보는 검출 코일(210)의 임피던스가 변한다.
예를 들면, 제1 검출 코일(210a)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FO)이 위치하는 경우, 제1 검출 코일(210a)의 임피던스는 변한다.
예를 들면, 주변에 위치하는 금속성 이물질(FO)에 의해, 제1 검출 코일(210a)의 인덕턴스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에 위치하는 금속성 이물질(FO)에 의해, 제1 검출 코일(210a)의 저항 성분이 변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직류 전원(610)과 검출 코일(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제1 스위치(220a) 및 제2 스위치(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20a)는, 직류 전원(610)과 제1 검출 코일(21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20b)는, 직류 전원(610)과 제2 검출 코일(2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물질 검출 장치(200)는, 환류 다이오드(D1, 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D1, D2)는, 검출 코일(210)의 갯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1 환류 다이오드(D1)는, 제1 검출 코일(210a)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220a)는, 턴 온 상태에서, 제1 검출 코일(210a)과 직류 전원(610)을 연결한다.
제1 스위치(220a)는, 턴 오프 상태에서, 제1 검출 코일(210a)과 제1 환류 다이오드(D1)를 연결한다.
제2 환류 다이오드(D2)는, 제2 검출 코일(210b)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20b)는, 턴 온상태에서, 제2 검출 코일(210b)과 직류 전원(610)을 연결한다.
제2 스위치(220b)는, 턴 오프 상태에서, 제2 검출 코일(210b)과 제2 환류 다이오드(D2)를 연결한다.
전류 감지부(230)는, 검출 코일(21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0)가 전류 센싱 저항으로 구성되는 경우, 전로 센싱 저항의 양단 전압은, 신호 처리부(240)로 입력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0)는, 제1 센서(230a) 및 제2 센서(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230a)는, 제1 검출 코일(210a)에 흐르는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제1 센서(230a)는, 제1 검출 코일(210a)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센서(230b)는, 제2 검출 코일(210b)에 흐르는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230b)는, 제2 검출 코일(210b)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검출 코일(210)과 전류 감지부(230) 사이의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제1 신호 처리부(240a) 및 제2 신호 처리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240a)는, 제1 센서(230a)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240a)는, 제1 검출 코일(210a) 및 제1 센서(230a) 사이에 형성되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부(240b)는, 제2 센서(230b)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부(240b)는, 제2 검출 코일(210b) 및 제2 센서(230b) 사이에 형성되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제1 센서(230a)에서 생성되는 신호 및 제2 센서(230b)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 발생 여부로,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검출 코일(210)에 직류 전원이 인가된다.
예를 들면, 검출 코일(210)에 구형파의 직류 전원(611)이 인가될 수 있다.
만약,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전류 감지부(230)에서는, 지시부호 621과 같은 파형의 신호가 생성된다.
만약,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류 감지부(230)에서는, 지시부호 622와 같은 파형의 신호가 생성된다.
도 6a에서 제1 검출 코일(210a)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FO)이 위치하므로, 제1 센서(230a)에서는, 도 6b의 621과 같은 파형이 얻어진다.
도 6b에서 제2 검출 코일(210b)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제2 센서(230b)에서는, 도 6b의 622와 같은 파형이 얻어진다.
도 6b의 파형은 특정 상황에 대한 이론적 예시이며, 실제 측정과정 및 검출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물성치에 따라 이물질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파형 특징이 반전될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240)는, 전류 감지부(230)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증폭기(710), 적분기(720) 및 비교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710)는, 제1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기(710)는, 제1 신호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증폭기(710)에 의해 증폭된 제1 신호는, 적분기(720)에 전달될 수 있다.
적분기(720)는, 제1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분할 수 있다.
적분기(720)는, 제1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분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지시 부호 741 및 742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분된 제2 신호를 예시한다.
특히, 지시 부호 741은, 검출 코일(210) 주변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지시 부호 742는 검출 코일(210) 주변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물질의 유무에 따라 검출코일의 전류값이 다르기에 적분기 출력이 기준값에 도달하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이물질을 검출 할 수 있다.
이물질 유무에 따른 적분기 출력신호를 비교해 보면 검출시점(t')에서 이물질이 있는 경우(741) 기준값(740) 이상의 출력전압을 가지는 반면 이물질이 없는 경우(742)에는 검출시점에서 기준값(740) 미만의 출력전압을 가진다. 기준값(740) 및 검출시점을 조정(캘리브레이션 과정)하여 적용환경에 알맞은 이물질 검출회로의 민감도를 조정 가능하다.
도 7b의 파형은 특정 상황에 대한 이론적 예시이며, 실제 측정과정 및 검출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물성치에 따라 이물질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파형 특징이 반전될 수도 있다.
비교기(730)는, 적분기(720)의 출력값(741)과 기준값(740)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적분기(720)의 출력값(741)이 기준값(740) 이상인 경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적분기(720)의 출력값(741)이 기준값(740) 보다 작은 경우, 제4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기준값(740)은,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테스트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기준값(740)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적분한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방식으로 인해, 이물질의 존재로 인해 변하는 전류값의 미세한 차이도 적분을 통해, 검출해 낼 수 있어, 이물질 검출 민감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적분기(720)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10).
적분기(720)를 이용하는 이물질 검출 방식은 적분기(720)의 출력신호가 포화(예,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최대값이 공급전압으로 제한되는 현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검출 전후로 리셋 동작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적분기 리셋(t0)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검출시점(t')에서 비교기(730)는 이물질이 없는 경우는 제4 신호(예를 들면, 로우 신호)를, 이물질이 있는 경우는 제3 신호(예를 들면,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820).
실시예에 따라, 제3 신호가 로우 신호이고, 제4 신호가 하이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비교기(7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830).
수신 신호가 하이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알람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840).
이후에, 프로세서(270)는, 적분기(720)를 리셋하여 반복적인 이물질 검출 작업을 수행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240)는, 전류 감지부(230)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증폭기(710), 피크 디텍터(721) 및 비교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710)는, 제1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기(710)는, 제1 신호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증폭기(710)에 의해 증폭된 제1 신호는, 피크 디텍터(721)에 전달될 수 있다.
피크 디텍터(721)는, 제1 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할 수 있다.
피크 디텍터(721)는, 제1 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지시 부호 941 및 942는, 피크 디텍터(721)에 의해 생성된 제2 신호를 예시한다.
이물질이 있을 경우, 검출 코일(210)의 인덕턴스 변화에 의해, 센싱값 파형의 첨두치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이물질을 검출 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피크 디텍터(721)의 출력값(941, 942)과 기준값(940)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피크 디텍터(721)의 출력값(942)이 기준값(940) 이상인 경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피크 디텍터(721)의 출력값(941)이 기준값(940)보다 작은 경우, 제4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 코일(210)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기준값(940)은,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테스트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기준값(940)은,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도 10는 도 9a의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의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된 이물질 검출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검출 코일(210)은 MOSFET(SW)(220)을 통하여 DC전원(VDC)에 연결 혹은 탈락 가능하다.
SW(220)가 턴오프 시 검출코일의 전류는 환류다이오드(D1)를 통해 흐르게 된다.
전류 센싱저항(Rs)(230)는 검출코일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센싱저항의 양단전압은 신호처리부(240)로 입력된다.
신호처리부(240)는 두 개의 연산증폭기와 하나의 비교기(730)를 포함한다.
증폭기(710)는, 제1 연산증폭기(711), 제1 저항(R1),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산증폭기(711)는 비교적 작은 전류측정값을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비율로 증폭시키며 노이즈가 많을 경우 제1 저항(R1) 혹은 제2 저항(R2) 양단에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피크 디텍터(721)는, 제2 연산 증폭기(726), 다이오드(Dpd)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크 디텍터(721)는, Dpd의 순방향전압으로 인한 신호손실이 무시 가능할 경우(예, 쇼트키다이오드를 사용) 제2 연산 증폭기(726)를 제거하고 커페티터(C1)에 SW(210)의 스위칭 주기보다 충분히 큰 시정수를 가지도록 저항을 병렬로 연결한 일반적인 RCD 피크디텍터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비교기(730)는 +입력에 기준값(Vref)를 입력하여 피크디텍터(721)의 출력과 비교하여 판별신호(Vout)을 생성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240)는, 전류 감지부(230)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0)는, 증폭기(710), 저역 필터(722) 및 비교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710)는, 제1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기(710)는, 제1 신호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증폭기(710)에 의해 증폭된 제1 신호는, 저역 필터(722)에 전달될 수 있다.
저역 필터(722)는, 제1 신호의 평균값을 추출할 수 있다.
저역 필터(722)는, 제1 신호의 평균값을 추출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지시 부호 1141 및 1142는, 저역 필터(722)에 의해 생성된 제2 신호를 예시한다.
이물질이 있는 경우, 검출 코일(210)의 등가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 감지부(230)에서 센싱하는 센싱값 파형의 평균값이, 아래 수학식에 의해 낮아지게 된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비교기(730)는, 저역 필터(722)의 출력값(1141, 1142)과 기준값(1140)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저역 필터(722)의 출력값(1141)이 기준값(1140)보다 큰 경우, 제4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 코일(210)의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저역 필터(722)의 출력값(1142)이 기준값(1140) 이하인 경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 코일(210)의 주변에 금속성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기준값(1140)은,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테스트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기준값(1140)은, 검출 코일(210)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비교기(730)는, 이물질이 없는 경우, 제4 신호(예를 들면, 로우 신호)를, 이물질이 있는 경우, 제3 신호(예를 들면,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210).
실시예에 따라, 제3 신호가 로우 신호이고, 제4 신호가 하이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비교기(7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20).
수신 신호가 하이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알람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1230).
이후에, 프로세서(270)는, 적분기(720)를 리셋하여 반복적인 이물질 검출 작업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무선 충전 시스템
200 : 이물질 검출 장치

Claims (11)

  1. 무선 충전 시스템의 송신 패드 및 수신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드 또는 상기 수신 패드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검출 코일;
    직류 전원과 상기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온(turn on) 및 턴오프(turn off)에 따라 상기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센싱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를 처리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패드와 상기 수신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코일은,
    제1 검출 코일; 및
    제2 검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제1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제2 검출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제1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2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간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제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간에 차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제4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송신 패드와 상기 수신 패드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분하는 적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적분기의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피크 디텍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피크 디텍터의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신호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저역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저역 필터의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이물질 검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코일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검출 코일은,
    제1 인쇄회로 기판 및 제2 인쇄회로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인쇄회로 기판은 상호 적층되어 상기 송신 패드 또는 상기 수신 패드에 배치되는, 이물질 검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제1 그룹의 검출 코일의 권취 방향은
    상기 제2 인쇄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의 검출 코일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인, 이물질 검출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인쇄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이물질 검출 장치.

KR1020170072744A 2017-06-09 2017-06-09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80134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44A KR20180134681A (ko) 2017-06-09 2017-06-09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44A KR20180134681A (ko) 2017-06-09 2017-06-09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681A true KR20180134681A (ko) 2018-12-19

Family

ID=6500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44A KR20180134681A (ko) 2017-06-09 2017-06-09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6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145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145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639A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11719847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erromagnetic foreign objects in a predetermined space
KR102077568B1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11303161B2 (en) Detect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detecting method
EP3241265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reign objects
TWI481144B (zh) 感應式電源供應器之供電模組中電流訊號檢測方法
US9570231B2 (en) Detecting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detecting device control method
US91540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ata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power link
US10571593B2 (en) Method for analysing measurement signal of metal sensor and detecting object via metal sensor
US20170085136A1 (en) Monitoring an apparatus for inductive energy transmission - apparatus and method
US11056925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493154B1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80134681A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20140203822A1 (en) Current signal sensing method for supplying-end module of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KR102077567B1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N111133679B (zh) 感应接近开关
RU23073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переменной составляющей тока в системе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автомобиля
KR20180132355A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