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800A -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800A
KR20180133800A KR1020180064119A KR20180064119A KR20180133800A KR 20180133800 A KR20180133800 A KR 20180133800A KR 1020180064119 A KR1020180064119 A KR 1020180064119A KR 20180064119 A KR20180064119 A KR 20180064119A KR 20180133800 A KR20180133800 A KR 20180133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hermoelectric element
gel
cool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중
김지인
박창병
김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신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신라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80133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29Arm or parts thereof
    • A61F2007/003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15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liquids other than water
    • A61F2007/0219G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6Coo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패드 부재; 상기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 부재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쿨링시키는 젤 부재; 및 상기 젤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판;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또는 전류량의 조절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COOLING COVER UNIT AND SYSTEM FOR ADJUSTING BODY TEMPERATUE}
본 발명은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 선수 및 아마추어 야구 선수들은 어깨 보호 및 운동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이싱을 착용한다.
따라서 어깨를 많이 사용하거나 근육을 사용하여 근육 손상을 막기 위한 쿨링 숄더 커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KR10-2010-0093040에는 '개선된 국소 통증 완화 제품'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젤 및 열전 소자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어깨 등)를 쿨링시켜 근육 및 심부 체온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근육 회복 및 온도 회복을 통해 근육 회복 및 아이스 패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근육의 빠른 회복을 통해 운동 효과의 극대화, 체내의 에너지 대사 기능 회복 및 심폐 기능 정상화를 유도하여 스포츠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어깨를 많이 사용하거나 근육을 사용하여 근육 손상을 막기 위한 다양한 생활 레포츠에서 응용이 가능한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 의류용 쿨링 소재보다 쿨링 기능이 뛰어나며 오랜 시간 냉각 효과를 지속할 수 있으며 온도 조절이 가능한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패드 부재; 상기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 부재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쿨링시키는 젤 부재; 및 상기 젤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판;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또는 전류량의 조절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젤 부재는 물 및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젤을 포함하고, 상기 물 및 에틸렌글리콜의 혼합 비율은 5:5 내지 7:3로 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젤 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젤이 내부에 수용된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의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된 전도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판 상에 상기 열전 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열전 소자 또는 상기 방열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 또는 상기 방열판에서 방출 또는 발산된 열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열전 소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부재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가 상기 열전 소자의 정상 작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열전 소자에 전류가 비인가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조절 시스템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 또는 온열시키는 젤 부재 및 상기 젤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쿨링 커버 유닛;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수집 유닛;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에 대한 온도 정보 또는 상기 정보 수집 유닛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보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유닛은 상기 온도 조절 부재에 대한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에 대한 온도 정보가 이전에 획득된 온도 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냉각 이상 또는 온열 이상을 판단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생체 정보는 체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는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가 제공되며, 상기 정보 처리 유닛은 상기 체온 정보 및 상기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해서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또는 전류량의 조절되어 상기 젤 부재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젤 및 열전 소자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어깨 등)를 쿨링시켜 근육 및 심부 체온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근육 회복 및 온도 회복을 통해 근육 회복 및 아이스 패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근육의 빠른 회복을 통해 운동 효과의 극대화, 체내의 에너지 대사 기능 회복 및 심폐 기능 정상화를 유도하여 스포츠 산업에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어깨를 많이 사용하거나 근육을 사용하여 근육 손상을 막기 위한 다양한 생활 레포츠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의류용 쿨링 소재보다 쿨링 기능이 뛰어나며 오랜 시간 냉각 효과를 지속할 수 있으며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쿨링 커버 유닛을 도시한다.
도 3은 젤 부재에 열전 소자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 4b 및 4c는 신체 부위별 쿨링 온도에 따른 신체 회복 능력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조절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는 쿨링 커버 유닛을 도시하고, 도 3은 젤 부재에 열전 소자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a, 4b 및 4c는 신체 부위별 쿨링 온도에 따른 신체 회복 능력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조절 시스템(10)은 쿨링 커버 유닛(100), 정보 수집 유닛(200) 및 정보 처리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여, 상기 쿨링 커버 유닛(100)은 패드 부재(110), 젤 부재(120), 온도 조절 부재(130) 및 온도 감지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부재(110)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부재(110)는 어깨, 목, 팔, 다리 등을 감싸기에 적절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패드 부재(110)의 양단에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부착 부분(112)이 구비될 수 있고, 탈부착 부분(112)은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 등과 같이 의복 또는 신체에 탈부착 가능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젤 부재(120)는 패드 부재(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 부재(120)는 패드 부재(110)의 일면 또는 패드 부재(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젤 부재(120)는 패드 부재(11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쿨링시킬 수 있다.
이때, 젤 부재(120)의 온도 조절을 통해서 패드 부재(11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온열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젤 부재(120)는 젤(122), 파우치(124) 및 전도체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122)은 예를 들어 물 및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도성 융합소재의 열전도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여 젤(122)의 재질을 결정하였다. 이때, 열전도성 물질로는 물, 에틸렌글리콜, 아이스팩 냉매(글리세린 화합물), 써멀컴파운드를 선장하여 열전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때, 열전 소자(132)의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전도체판(126)에 열전 소자를 접촉시킨 다음 3, 7, 15분 간격으로 파우치(124)의 온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시료 0분 3분 7분 15분
18 23 25 28
에틸렌글리콜 18 23 27 30
아이스팩 냉매 18 24 25 30
써멀컴파운드 18 29 31 34
물의 경우, 초기 온도 18℃에서 10℃ 이상 상승에 필요한 시간은 15분이었다. 다른 시료 대비 물 전체로의 열전달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의 경우 물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물 대비 열전달이 다소 지연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아이스팩 냉매의 경우 열전도성은 에틸렌글리콜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열전달이 지연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써멀컴파운드는 초기 온도 18℃에서 10℃ 이상 상승에 필요한 시간은 3분이었으나 컴파운드 전체로 열전달은 미약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열전도성은 물 = 에틸렌글리콜 = 아이스팩 냉매 < 써멀컴파운드 순으로 나타났으며, 복합소재 전체로의 열전도성은 물 = 에틸렌글리콜 = 아이스팩 냉매 > 써멀컴파운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 아이스팩 냉매는 -10℃의 냉동고에서 24시간 방치할 경우 모두 얼어버리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써멀컴파운드는 얼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이들을 쿨링 커버 유닛(100)에 장착하였을 경우 추운 겨울에 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액체로의 열전도성을 고려하면 점성이 낮은 액체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써멀컴파운드의 경우 파우치(124)에 넣는 작업이 다소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100% 에틸렌글리콜은 어느점이 -12℃이나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할 경우 어는점을 -50℃까지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에틸렌글리콜과 물을 혼합하여 50% 에틸렌글리콜 용액을 제조할 경우 어는점은 -30℃로 내릴 수 있다.
이는 에틸렌글리콜이 물과 섞이면서 물 분자끼리의 규칙적인 수소결합으로 결정(얼음)을 이루지 못하게 물 분자 사이에 에틸렌글리콜 분자들이 위치함으로써 물분자의 규칙적인 수소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합소재 전체로의 열전도성이 다른 시료 대비 우수한 물과 에틸렌그리콜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어는점을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열전도성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쿨링 커버 유닛(100)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때, 물 및 에틸렌글리콜의 혼합 비율은 5:5 내지 7: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젤(122)은 파우치(12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124)는 예를 들어 물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파우치(124)의 실링은 초음파를 통한 열압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체판(126)은 파우치(12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도체판(126)의 재질은 예를 들어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도체판(126)의 일부는 파우치(124) 내에 삽입되고, 전도체판(126)의 나머지 일부는 파우치(124)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전도체판(126)의 파우치(124) 내 삽입 길이는 파우치(124) 내에 채워져 있는 젤(122)에 열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도체판(126)을 최대한 파우치(124) 안쪽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전도체판(126)의 파우치(124)로부터 돌출 길이는 전도체판(126) 상에 장착되는 열전 소자(132)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해서 열전도 효율을 높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파우치(124)의 일측에는 전도체판(126) 또는 전도체판(126) 상에 장착된 열전 소자(132)의 파우치(124) 내 삽입을 위한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는 전도체판(126)과 동일하게 구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파우치(124)에 대한 열전 소자(132)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우치(124)와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일체화될 수 있다.
우선, 케이스의 표면을 밀링 가공하고 이어서 부여된 홈 부위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적용한 다음 약간의 두께를 갖는 양면 테이프에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를 적용하여 파우치(124)에 케이스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스와 파우치(124)를 일체화시켰을 경우에 파우치(124) 내에서 열전 소자(132)에 젤(122)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파우치(124)가 일체화된 후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젤(122)을 파우치(124)에 주입하고, 주사기가 적용된 부위는 젤(122)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TPU 필름으로 접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파우치(124)에 케이스가 일체화되고, 케이스 내에 열전 소자(132)가 장착된 전도체판(126)이 삽입됨으로써 열전 소자(132)에 의해서 젤(122)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 부재(130)는 젤 부재(120)의 온도, 특히 젤(12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 부재(130)는 열전 소자(132), 냉각판(134) 및 방열판(1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132)는 젤 부재(12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젤 부재(120)의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 소자(132)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소자 양단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한쪽 면에서는 흡열하고, 반대 면에서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때, 열전 소자(132)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또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젤 부재(120)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 소자(132)에 제1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 소자(132)가 장착되고 파우치(124) 내에 삽입된 전도체판(126)을 통해서 젤 부재(120)의 열, 특히 젤(122)의 열을 흡수하여, 패드 부재(10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쿨링시킬 수 있다.
또는, 열전 소자(132)에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 소자(132)가 장착되고 파우치(124) 내에 삽입된 전도체판(126)을 통해서 젤 부재(120), 특히 젤(122)에 열이 공급되어, 패드 부재(10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흡열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132)에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 소자(132)가 장착되고 파우치(124) 내에 삽입된 전도체판(126)을 통해서 젤 부재(120)의 열, 특히 젤(122)의 열을 상대적으로 많이 흡수하여, 패드 부재(10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더 낮은 온도로 쿨링시킬 수 있다.
또는, 열전 소자(132)에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 소자(132)가 장착되고 파우치(124) 내에 삽입된 전도체판(126)을 통해서 젤 부재(120)의 열, 특히 젤(122)의 열을 상대적으로 적게 흡수하여, 패드 부재(10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덜 낮은 온도로 쿨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판(134)은 열전 소자(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열전 소자(132)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판(134)은 열전 소자(132)를 사이에 두고 젤 부재(1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냉각판(134)의 배치 및 구성은 열전 소자(132)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상기 방열판(136)은 열전 소자(132)의 타측에 배치되어, 열전 소자(132)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발산시킬 수 있다.
이때, 방열판(136)은 클수록 성능이 뛰어나므로, 효과적인 열전 소자(132)의 냉각을 위해서 넓은 방열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 소자(132)에 인접하게 냉각판(134) 및 방열판(136)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열전 소자(132)에서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전 소자(132)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전 소자(132) 또는 방열판(136)과 인접하게 냉각 팬이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냉각 팬의 배치는 열전 소자(132) 또는 방열판(136)에서 방출 또는 발산된 열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냉각 팬은 효율 개선을 위하여 볼 베어링 형태로 구동되는 팬이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열전 소자(132)에 인접하게 냉각판(134), 방열판(136) 및 냉각 팬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열전 소자(132)에 인접하게 냉각판(134) 및 냉각 팬이 배치되거나 방열판(136) 및 냉각 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냉각 팬은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직접 on/off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 소자(132)가 쿨링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냉각 팬이 동작하도록 사용자가 스위치를 on으로 조작하고, 열전 소자(132)가 온열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냉각 팬이 동작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스위치를 off로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온도 감지 부재(140)는 온도 조절 부재(1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부재(140)는 열전 소자(132)에 부착되어, 열전 소자(132)의 온도를 실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온도 감지 부재(140)에서 획득된 열전 소자(132)의 온도가 직전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예를 들어 ±3℃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경우, 직후 두 번의 측정값과 비교를 한다.
온도 감지 부재(140) 자체의 오작동으로 인한 측정값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측정값이 3회 이상 지속될 경우, 외부 단말기(7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push 메시지를 통해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132)의 정상 작동 범위(30-38℃)를 벗어난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7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push 메시지를 통해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이상 또는 온열 이상의 경우 신체의 손상을 입힐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므로 정보 처리 유닛(300)에 미리 상한 임계값 또는 하한 임계값을 제공하여, 상한 임계값 또는 하한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 열전 소자(132)에 전류를 비인가하여서 열전 소자(13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정보 수집 유닛(200)을 통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유닛(200)은 예를 들어 9축 모션 센서, 심박, 산소 포화도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9축 모션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지자기 센서가 모두 합쳐진 것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심박, 산소 포화도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수를 검출해 내고, 운동할 때 위험 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산소 포화도 센서는 PPG 센서로 마련되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온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열전 소자(132)에 전류를 인가하여 젤(122)의 열을 흡수하여, 패드 부재(10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쿨링시킬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온이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열전 소자(132)에 전류를 인가하여 젤(122)에 열을 공급하여, 패드 부재(100)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온열시킬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 유닛(200)은 정보 처리 유닛(300)과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정보 수집 유닛(200)은 신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정보 처리 유닛(3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 및 심박, 산소 포화도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 유닛(20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와 직전 체온 및 평균 심박수를 비교한다.
체온의 경우, 1℃ 이상 차이가 있는 경우, 직후 두 번의 측정값과 비교하고, 심박수의 경우 평균 심박수와 비교하여 10회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직후 두 번의 측정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계속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일 경우, 외부 단말기(7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push 메시지를 통해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쿨링 커버 유닛(100) 및 정보 수집 유닛(200) 사이에는 정보 처리 유닛(3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유닛(300)은 중앙 처리 부재(310), 온도 정보 입력 부재(320), 생체 정보 입력 부재(330), 통신 부재(340) 및 배터리 정보 입력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 부재(310)는 정보 처리 유닛(300)의 핵심 구성으로서, 쿨링 커버 유닛(100) 및 정보 수집 유닛(200)에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중앙 처리 부재(310)는 온도 감지 부재(140)에서 획득된 온도 조절 부재(130), 특히 열전 소자(132)에 대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132)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열전 소자(132)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는 전압 제어 유닛(4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부재(310)는 열전 소자(132)에 대한 온도 정보를 온도 정보 입력 부재(32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열전 소자(132)에 대한 온도 정보가 이전에 획득된 온도 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냉각 이상 또는 온열 이상을 판단하여 전압 제어 유닛(400)에서 열전 소자(132)에 전류가 비인가되게 하여 열전 소자(13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부재(310)는 정보 수집 유닛(200)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132)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열전 소자(132)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는 전압 제어 유닛(4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 유닛(200)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는 생체 정보 입력 부재(330)를 통해서 중앙 처리 부재(31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는 체온 정보를 포함하고, 중앙 처리 부재(310)에는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가 제어되어, 체온 정보 및 신체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열전 소자(132)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온 정보가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보다 높은 경우, 전압 제어 유닛(400)에서 열전 소자(132)에 전류를 인가해서 신체를 쿨링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는 다음과 같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여, 발(발바닥)의 경우, 쿨링 온도가 20℃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3.67%가 되었고, 쿨링 온도가 25℃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4.64%가 되었으며, 쿨링 온도가 30℃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4.40%가 되었다. 이와 같이, 쿨링 온도가 25℃일 때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손(손바닥)의 경우, 쿨링 온도가 20℃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4.24%가 되었고, 쿨링 온도가 25℃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4.85%가 되었으며, 쿨링 온도가 30℃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4.52%가 되었다. 이와 같이, 쿨링 온도가 25℃일 때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여, 목의 경우, 쿨링 온도가 20℃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2.79%가 되었고, 쿨링 온도가 25℃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3.80%가 되었으며, 쿨링 온도가 30℃일 때 운동 종료 60분 후 평균 감소율이 3.54%가 되었다. 이와 같이, 쿨링 온도가 25℃일 때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는 20℃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온도, 예를 들어 25℃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부재(310)는 통신 부재(340)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7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부재(340)를 통해서 중앙 처리 부재(310)에 전달된 열전 소자(132)의 온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이 외부 단말기(700)에 전달되거나, 통신 부재(340)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700)에서 송신된 정보가 온도 조절 부재(13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도 조절 부재(130)의 작동이 외부 단말기(700)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중앙 처리 부재(310)는 배터리 정보 입력 부재(350)를 통해서 배터리(500)의 잔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500)는 열전 소자(13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선충전 유닛(600)을 통해서 배터리(500)가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500)가 USB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정보 처리 유닛(300) 및 온도 조절 부재(130), 특히 열전 소자(132) 사이에는 전압 제어 유닛(4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제어 유닛(400)은 펄스폭 변조(PWM) 및 전류 증폭(CURRENT AMP)를 사용하여 열전 소자(132)에 전달되는 전압을 조절하여서 젤(122)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열전 소자(132)의 냉각 정도는 전압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고, 이는 배터리 소모량과도 연관이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은, 젤 및 열전 소자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어깨 등)를 쿨링시켜 근육 및 심부 체온 회복을 유도할 수 있고, 근육의 빠른 회복을 통해 운동 효과의 극대화, 체내의 에너지 대사 기능 회복 및 심폐 기능 정상화를 유도하여 스포츠 산업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체온 조절 시스템
100: 쿨링 커버 유닛
110: 패드 부재
120: 젤 부재
122: 젤
124: 파우치
126: 전도체판
130: 온도 조절 부재
132: 열전 소자
134: 냉각판
136: 방열판
140: 온도 감지 부재
200: 정보 수집 유닛
300: 정보 처리 유닛
310: 중앙 처리 부재
320: 온도 정보 입력 부재
330: 생체 정보 입력 부재
340: 통신 부재
350: 배터리 정보 입력 부재
400: 전압 제어 유닛
500: 배터리
600: 무선충전 유닛
700: 외부 단말기

Claims (8)

  1.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패드 부재;
    상기 패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 부재에 의해서 감싸진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쿨링시키는 젤 부재; 및
    상기 젤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판;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판;
    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또는 전류량의 조절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온도가 조절되는 쿨링 커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 부재는 물 및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젤을 포함하고,
    상기 물 및 에틸렌글리콜의 혼합 비율은 5:5 내지 7:3인, 쿨링 커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젤 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젤이 내부에 수용된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의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된 전도체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판 상에 상기 열전 소자가 장착되는, 쿨링 커버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열전 소자 또는 상기 방열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 또는 상기 방열판에서 방출 또는 발산된 열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쿨링 커버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부재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가 상기 열전 소자의 정상 작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열전 소자에 전류가 비인가되는 쿨링 커버 유닛.
  6. 신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 또는 온열시키는 젤 부재 및 상기 젤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쿨링 커버 유닛;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수집 유닛;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에 대한 온도 정보 또는 상기 정보 수집 유닛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보 처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유닛은 상기 온도 조절 부재에 대한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에 대한 온도 정보가 이전에 획득된 온도 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냉각 이상 또는 온열 이상을 판단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체온 조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체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는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가 제공되며,
    상기 정보 처리 유닛은 상기 체온 정보 및 상기 신체 부위별 최적 쿨링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조절 부재의 작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체온 조절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젤 부재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소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해서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또는 전류량의 조절되어 상기 젤 부재의 온도가 조절되는 체온 조절 시스템.
KR1020180064119A 2017-06-07 2018-06-04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 KR20180133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0822 2017-06-07
KR1020170070822 2017-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800A true KR20180133800A (ko) 2018-12-17

Family

ID=6500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119A KR20180133800A (ko) 2017-06-07 2018-06-04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8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51A (ko) * 2020-01-03 2021-07-14 구본철 피부 미백 마스크, 피부 미백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피부 미백 방법
KR20210145526A (ko) * 2020-05-25 2021-12-02 브이메이커(주) 열전소자를 이용한 체온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51A (ko) * 2020-01-03 2021-07-14 구본철 피부 미백 마스크, 피부 미백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피부 미백 방법
KR20210145526A (ko) * 2020-05-25 2021-12-02 브이메이커(주) 열전소자를 이용한 체온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991B2 (en)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thermoelectric transducer and controller
JP3378336B2 (ja) 美容器具
US9029736B2 (en) Electronic personal thermal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US20080046047A1 (en) Hot and cold therapy device
US20080264464A1 (en)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Integrated Thermoelectric Sensing and Heat Pump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20080168775A1 (en)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Integrated Thermoelectric Temperature Sensing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WO2008058266A2 (en) A portable device cooling system
KR20180133800A (ko) 쿨링 커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 조절 시스템
CN107647965A (zh) 半导体人体物理温度调节仪
WO2015058605A1 (zh) 一种佩戴在人体头部无水囊式微型半导体物理降温冰带
CN113856052A (zh) 主动吸热型电极、肿瘤电场治疗系统及温度控制方法
CN111000630A (zh) 一种手持式半导体激光美容器
US10675177B2 (en) Cooling mat comprising expandable elements for cooling a body or body part for medical or performance-enhancing purposes (COOL APP)
KR101193935B1 (ko) 공랭식 냉온 자극 생성 장치
CN106923795A (zh) 用于监测和控制体温的装置
CN107224024B (zh) 一种半导体智能降温头盔
CN208823132U (zh) 电子降温仪
KR20130109422A (ko) 피부밀착형 냉온자극장치
KR200217013Y1 (ko) 열전소자를 사용한 목 주름 제거용 미용장치
KR101437732B1 (ko) 냉, 온각 검사 기능을 가지는 의료기기
CN107927936A (zh) 一种温度调节服装的电源
CN215181616U (zh) 一种双模电子温控单元
KR20190105323A (ko) 쿨링 넥 밴드
CN211300617U (zh) 一种可持续制冷的便携式退热头带
CN207306183U (zh) 一种半导体智能降温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