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404A - 구성형 장난감 - Google Patents

구성형 장난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404A
KR20180133404A KR1020187028547A KR20187028547A KR20180133404A KR 20180133404 A KR20180133404 A KR 20180133404A KR 1020187028547 A KR1020187028547 A KR 1020187028547A KR 20187028547 A KR20187028547 A KR 20187028547A KR 20180133404 A KR20180133404 A KR 2018013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ting
engaging
ma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던컨 시몬즈
제임스 캠프벨 던컨 시몬즈
Original Assignee
치스윅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스윅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스윅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된다. 그 요소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를 포함한다. 벽은 블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을 갖는 수형 짝이룸 측을 규정한다. 벽은 또한 공동부를 규정하는 암형 짝이룸 측을 규정하며, 그 공동부는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구성형 장난감
본 개시는 구성형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입 가능한 많은 어린이용 구성형 장난감이 있다. 이들 구성형 장난감은, 오락용이든 교육용이든, 어린이의 개발 요구 및 능력을 만족하기 위해 일정 범위의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 구성형 장난감은 조화의 기술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창의성을 고양시키고 또한 기본적인 기계 역학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데에 도움을 준다.
나이가 더 적은 어린이를 위한 구성형 장난감은 간단하여, 구성 요소를 단부에서(즉, 일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나이가 더 많은 어린이를 위한 구성형 장난감은 더 복잡한 구조체(예컨대, 복수의 방향으로 확장되는)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데, 하지만, 나이가 더 적은 어린이의 능력을 넘는 손재주와 이해를 요구하므로, 나이가 더 적은 어린이에게는 부적합하다.
어린 어린이는 더 간단한 구성형 장난감의 가능성을 빨리 보일 수 있지만, 더 발전된 구성 시스템의 복잡성에 의해 좌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린이는 그러한 놀이에 흥미를 잃을 수 있고 그래서 공학 대상 전체에 대한 이해를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성장 단계의 어린이에게 사용될 수 있고 창의성 개발 매체를 재공하고, 기계적 기술 및 이해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구성형 장난감이 매우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제시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종속 청구항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벽은,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2개의 정사각형 측(정사각형 측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을 갖는 수형 짝이룸 측으로서 제공됨); 및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복수의 벽에 의해 규정되며, 정사각형 측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면에서 만입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공동부는 각 벽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정사각형 주변을 가지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결합 부분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하고 구성되어 있어, 상기 구성형 장난감의 요소들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입방형 블럭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벽은,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 및 상기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복수의 벽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입방형 블럭의 상기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의 상기 암형 및 수형 결합 부분에 대해 각각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결합 부분을 갖는다.
상기 입방형 블럭 요소는 입방체이고, 그의 복수의 벽은,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의 짝이룸 측과 동일한 길이의 가장자리를 갖는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을 규정한다.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 및 2개의 수형 짝이룸 측을 포함한다.
입방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 및 하나 이상 5개 이하의 수형 짝이룸 측을 포함하고, 수형 짝이룸 측도 암형 짝이룸 측도 아닌 상기 블럭의 측은 평평하다.
수형 짝이룸 측은 블럭의 일 측을 규정하는 평평한 벽을 포함하고, 이 평평한 벽으로부터 스터드(stud)가 연장되어 있어 수형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스터드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형 짝이룸 측의 각 코너 쪽에 제공되어 있다.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블럭의 벽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을 더 포함하고, 이 관은 축 부재 요소 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암형 짝이룸 측에서 개방되어 있다.
관은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규정한다.
관은 이 관이 상기 블럭의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상기 관은 상기 블럭의 평평한 벽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스플라인(spline)이 상기 관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관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은 각각의 스터드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떨어져 제공되어 있다.
구성형 장난감은 축 부재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부재 요소는 축의 길이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플라인을 포함한다.
축은 상기 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 1 및 2 결합 돌출부가 상기 블럭 요소의 코너 영역에 제공되어 있고, 코너 영역에서 상기 블럭 요소의 벽들이 만나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의 코너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각각은, 다른 벽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블럭 요소의 코너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 끝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각각은 인접하는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축 부재 요소와 결합하여 이를 유지한다.
상기 쌍의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중의 하나는 상기 만입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3 결합 돌출부가 상기 블럭 요소 코너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또한 자유 단부에서 끝나며,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제 1, 2 및 3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는 상기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결합 돌출부는, 상기 블럭 요소 코너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자유 단부를 규정하는 평평한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제 3 결합 돌출부는 "T" 형이다.
제 4 결합 돌출부 및 제 5 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의 양 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4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3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5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2 및 3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4 결합 돌출부와 제 5 결합 돌출부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 끝나고, 상기 제 1, 2, 3, 4 및 5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 3 및 4 결합 돌출부는 상기 코너의 양 측에서 서로 상이한 벽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자유 단부에서 끝나며,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블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을 갖는 수형 짝이룸 측; 및 공동부를 규정하는 암형 짝이룸 측을 포함하고, 공동부는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성형 장난감의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며, 짝이룸 측은 정사각형이다.
구성형 장난감은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입방형 블럭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벽은 삼각 프리즘형 블럭의 짝이룸 측과 동일한 길이의 가장자리를 갖는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을 규정하고, 입방형 블럭의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의 상기 암형 및 수형 결합 부분에 대해 각각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결합 부분을 갖는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 및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 또는 2개의 수형 짝이룸 측을 포함한다.
입방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 및 적어도 하나의 하지만 5개 이하의 수형 짝이룸 측을 포함한다.
수형 짝이룸 측도 암형 짝이룸 측도 아닌 상기 블럭(들)의 측은 평평하다.
수형 짝이룸 측은 블럭의 일 측을 규정하는 평평한 벽을 포함하고, 이 평평한 벽으로부터 스터드가 연장되어 있어 수형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스터드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형 짝이룸 측의 각 코너 쪽에 제공되어 있다.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블럭의 벽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을 더 포함하고, 이 관은 축 부재 요소 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암형 짝이룸 측에서 개방되어 있다.
구성형 장난감은, 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축 부재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부재 요소는, 축이 두 블럭 요소의 관에 들어가 그 블럭 요소들을 결합하고 또한 한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이 다른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관은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규정한다.
관은 이 관이 상기 블럭의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상기 관은 상기 블럭의 평평한 벽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스플라인이 상기 관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관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은 상기 각 스터드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떨어져 제공되어 있다.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를 포함하고,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블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을 갖는 정사각형 수형 짝이룸 측; 및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부는 각 벽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정사각형 주변을 가지며, 또한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성형 장난감의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며,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블럭의 벽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을 포함하고, 이 관은 축 부재 요소 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암형 짝이룸 측에서 개방되어 있고, 구성형 장난감은, 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축 부재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부재 요소는, 축이 두 블럭 요소의 관에 들어가 그 블럭 요소들을 결합하고 또한 한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이 다른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입방형 블럭 요소를 포함하고, 입방형 블럭 요소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블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을 갖는 정사각형 수형 짝이룸 측; 및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부는 각 벽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정사각형 주변을 가지며, 또한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성형 장난감의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며,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블럭의 벽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을 포함하고, 이 관은 축 부재 요소 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암형 짝이룸 측에서 개방되어 있고, 구성형 장난감은, 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축 부재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부재 요소는, 축이 두 블럭 요소의 관에 들어가 그 블럭 요소들을 결합하고 또한 한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이 다른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축 길이는 수형 및/또는 암형 짝이룸 측의 가장자리의 길이의 2배의 90% 내지 99% 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으로서, 어린이에게 기계 역학, 인간 공학에 대해 교육하고 또한 어린이의 지적 및 신체적 발달을 자극하기 위한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된다.
이제, 본 개시의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5는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블럭의 일 예에 대한 복수의 도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9는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블럭 요소에 사용되는 추가 요소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 내지 5의 블럭 요소의 예에 대한 추가 도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14는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블럭 요소의 제 2 예에 대한 도를 나타낸다.
도 15a, 15b 및 15c는 도 11 내지 14의 블럭 요소의 조립을 나타낸다.
도 16 내지 19는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블럭 요소의 제 3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6 내지 19의 예와 유사한 블럭 요소의 제 4 예를 나타낸다.
도 21 및 22는 본 개시에 따른 블럭 요소의 제 5 예를 나타낸다.
도 23 내지 26은 본 개시에 따른 블럭 요소의 제 6 예를 나타낸다.
도 27 및 28은, 도 23 내지 26의 예와 유사한, 본 개시에 따른 블럭 요소의 제 6 예를 나타낸다.
도 29 내지 33은 본 개시에 따른 블럭 요소의 제 7 예를 나타낸다.
도 34 및 35는, 도 29 내지 33의 예와 유사한, 본 개시에 따른 블럭 요소의 제 8 예를 나타낸다.
도 36 내지 38은 블럭 요소의 내벽 부분의 예, 및 도 6, 7 등의 축 요소와 조립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9 내지 41은 블럭 요소 내벽의 기하학적 구조의 추가 대안 예, 및 그것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2 내지 44는 블럭 요소 내벽의 기하학적 구조의 다른 대안 예, 및 그것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5 내지 47은 블럭 요소 내벽의 기하학적 구조의 추가 대안 예, 및 그것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8 내지 50은 도 46의 블럭과 축 조립의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51 내지 53은 본 개시에 따른 블럭 요소의 제 9 예를 나타낸다.
도 54 내지 65는 본 개시의 블럭의 조립 구조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6 및 67은 본 개시에 따른 구성 요소의 조립의 서로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68은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에 따른 블럭 요소의 조립의 추가 예를 나타낸다.
본 개시는,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5 및 10은 본 개시에 따른 장난감 블럭의 제 1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블럭(10)은 삼각 프리즘 요소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블럭(10)은 블럭(10)의 짝이룸 측 및 평펑한 측을 규정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한다. 이들 벽은 수형 짝이룸 측(20)을 가지며, 이 측은 블럭(1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22)을 갖는다. 수형 짝이룸 측(20)은 평평한 벽(24)을 포함하고, 이 벽은, 스터드(stud)(26)가 연장되어 수형 결합 부분(26)을 제공하는 블럭(10)의 측을 규정한다. 수형 짝이룸 측은 정사각형인데, 즉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갖는 다각형이다. 스터드(26)는 실질적으로 수형 짝이룸 측(20)의 각 코너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블럭(10)에는 암형 짝이룸 측(30)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블럭의 벽에 의해 규정되는 공동부(32)를 규정한다. 그래서, 공동부(32)의 벽은 수형 짝이룸 측(20)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같은 동일한 구성의 수형 결합 부분(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규정하고, 공동부(32)를 규정하는 벽은 이 공동부(32) 안에 들어가는 수형 결합 부분(22)과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그러한 수형 및 암형 결합 부분을 갖는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요소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암형 짝이룸 측(30)은 정사각형인데, 즉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갖는 다각형이다. 다시 말해, 블럭의 벽은 정사각형 주변을 갖는 공동부를 규정한다.
즉,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10)는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는 2개의 정사각형 측(20, 54)을 규정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그들 측 중의 적어도 하나는, 블럭 요소(1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요소(22)(스터드(26)로 나타나 있음)를 갖는 수형 짝이룸 측(20)으로서 제공된다. 벽들은 또한 각 벽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정사각형 주변을 갖는 암형 짝이룸 측(30)을 게공하는 공동부(32)를 규정한다.
도 4 및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그의 내면에서 만입 영역(31)을 갖는다.
공동부(32)는 수형 짝이룸 측(20)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같은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22)(예컨대, 스터드(2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만입 영역은 스터드(26)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부분적으로 아치형일 수 있다. 뒤에서 도 15a, 15b 및 15c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만입 영역(31)은 결합 부분(22)(예컨대, 스터드(26))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고 구성되어 있어, 스터드(26)가 공동부(32) 안으로 더 끼워져, 블럭 요소들 사이에 더 양호한 결합을 제공한다.
암형 짝이룸 측(30)은 블럭(10)의 벽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34)을 더 포함하고, 이 관은 축 부재 등(아래에서 논의됨)을 수용하기 위해 암형 짝이룸 측(30)에서 개방되어 있다. 즉, 통로 또는 관(34)은 블럭 구조체(10)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들)의 내측(즉, 공동부(32) 내부)으로부터 그 통로 또는 관이 끝나는 암형 짝이룸 측(30)의 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34)은 암형 짝이룸 측(30)의 면에서 또는 그 면 가까이에서 개구(36)를 갖는다. 이 개구(36)는 관(34)의 벽에 의해 규정된다. 관은 중공이고, 도 4 및 5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어 축 부재 등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원통형 관을 규정한다. 도 4 및 5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 스플라인(37)이 관(34)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스플라인(37)은 관(34)의 내경(즉, 폭)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일 대안적인 예에서, 관(34)의 내면은 평평하다(즉, 스플라인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관(34)의 내면은 원형 단면을 가짐).
도 6 내지 8은 블럭(10)의 관(34)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축 요소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 및 8에 나타나 있는 축(40, 46)의 길이 도중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축(40)은 스플라인(spline) 가공되어 있는데, 즉 축의 중심 원통형 코어(44)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스플라인(42)을 갖는다. 즉, 스플라인은 축의 길이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축(46)도 마찬가지로 스플라인 가공되어 있고 플랜지(48)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는 축(46)의 일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스탑퍼 부재를 제공한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휠 부재 요소(50)가 또한 구성형 장난감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축(40, 46)의 사용으로 블럭에 결합된다. 그러한 조립의 일 예를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축(40, 46)은 블럭(10)의 관(36) 안에 들어갈 수 있다. 즉, 축(40, 46)은 관(36)에 수용되록 구성되어 있다. 블럭이 평평한(즉, 스플라인을 갖지 않는) 관(36)을 가지고 있는 예에서, 축(40, 46)은 관(36)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다. 관(36)이 스플라인을 갖는 예에서는, 축(40, 46)의 스플라인(42)이 관(34)의 스플라인(36)과 맞물려, 축과 블럭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은, 도 1 내지 5 및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30) 및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측도 암형 측도 아닌 블럭(10)의 측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의 삼각형 측(52)은 평평하고, 어떤 종류의 스터드 또는 결합 부분도 제공되어 있지 않다. 추가로, 암형 짝이룸 측(30) 및 수형 짝이룸 측(20)의 반대 편에 있는 나머지 정사각형 면(54)도 마찬가지로 평형하고 매끄럽다. 그래서, 이 예에서, 블럭(1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30),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20) 및 3개의 평평한 측(52, 54)을 포함한다. 관(34)은 수형 측(20)과 평평한 측(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리지(ridge)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 11 내지 14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60)의 제 2 예를 나타낸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의 제 1 예와 공통적인 삼각 프리즘형 블럭(60)의 제 2 예의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해 나타나 있다.
제 2 예의 블럭(60)은 하나가 아닌 2개의 수형 짝이룸 측(20)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블럭(10, 60)은 동일하다. 그래서, 스터드(26)가 블럭(60)의 평평한 두 벽에 제공되어 있어, 한쌍의 수형 결합 부분(22)을 형성한다. 그래서, 이 예에서, 블럭(1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30), 2개의 수형 짝이룸 측(20) 및 2개의 평평한 측(52)을 포함한다.
짝이룸 측, 즉 수형 짝이룸 측(20) 및 암형 짝이룸 측(30)은 정사각형이고, 동일한 길의 변을 갖는다. 다시 말해, 수형 짝이룸 측은 암형 짝이룸 측과 동일한 길이 및 배향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는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30)을 포함한다. 암형 짝이룸 측(30)은 블럭(10)의 벽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34)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관은 축 부재 등을 수용하기 위해 암형 짝이룸 측(30)에서 개방되어 있다. 삼각 프리즘 요소에는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20)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삼각 프리즘 요소에는 2개의 수형 짝이 측(2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15b 및 15c는 본 발명의 삼각 프리즘 요소가 함께 결합될 수 있는 방법 및 스터드(26)가 만입부(31)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 내부에 끼워지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이는 입방형 블럭 요소의 수형 결합 부분(20)(즉, 스터드(26))이 삼각 프리즘 요소(10, 60)의 공동부(32)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에도 동등하게 해당된다. 도 15a 및 15b는 서로 떨어져 있는 요소를 나타내고, 도 15c는 조립되어 있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만입 영역(31)은 결합 부분(20)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고 구성되어 있다. 즉, 만입 영역(31)은, 삼각 프리즘의 공동부(32)에 맞는 수형 결합 부분(20)의 일부분이 삼각 프리즘형 블럭(10, 60)의 내벽에 있는 만입 영역(3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고, 크기 결정되어 있으며 또한 성형되어 있다.
만입부(31)는 더 긴 결합 부분(20)(스터드(26))이 공동부(32)에 들어갈 수 있게 해주어, 삼각 프리즘형 블럭의 공동부(32)의 테이퍼형 측벽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결합을 가능하게 해준다. 만입부(31)가 없으면, 결합 스터드(26)는 약간 더 짧아야 되는데, 이러면 덜 확고한 끼워맞춤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만입부(31)는 스터드(26)가 인접 블럭의 공동부(32) 내부에 끼워지기 위한 여분의 공간을 제공하여, 블럭 요소 사이의 결합을 개선시켜 준다. 도 16 내지 3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형 장난감은 입방형 발럭 요소를 더 포함한다. 앞 예의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와 비슷하게, 입방형 요소는,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수형 및 암평 짝이룸 측을 규정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한다. 그 공동부는 복수의 벽에 의해 규정된다. 입방형 블럭 요소의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은,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10, 60)의 암형 및 수형 결합 부분의 형상에 대해 각각 상보적인 결합 부분을 갖는다.
입방형 블럭 요소는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을 규정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입방형 블럭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고,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은 삼각 프리즘형 블럭(10, 60)의 짝이룸 측과 동일한 길이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그래서, 입방형 블럭의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에는 또한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10, 60)의 암형 및 수형 결합 부분의 형상에 대해 각각 상보적인 결합 부분이 제공된다. 즉, 수형 짝이룸 측(74)은, 스터드(26) 또는 복수의 스터드(26)가 연장되어 수형 결합 부분(22)을 형성하는 입방형 블럭의 측을 규정하는 평평한 벽을 포함한다. 입방형 블럭에는, 블럭의 벽에 의해 규정되는 공동부(32)를 규정하는 암형 짝이룸 측(72)이 제공되어 있다. 그래서, 공동부(32)의 벽은 수형 짝이룸 측(74)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같은 동일한 구성의 수형 결합 부분(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규정하고, 공동부(32)를 형성하는 벽은 이 공동부(32) 안에 들어가는 수형 결합 부분(22)과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그러한 수형 및 암형 결합 부분을 갖는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요소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암형 짝이룸 측(72)은 정사각형인데, 즉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갖는 다각형이다. 다시 말해, 블럭의 벽은 정사각형 주변을 갖는 공동부를 규정한다.
도 16 내지 19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10, 60)의 암형 짝이룸 측(30)과 동일한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을 포함하는 입방형 블럭(70)을 나타낸다. 이 입방형 블럭(70)에는 또한, 삼각 프리즘형 블럭(10, 60)의 수형 짝이룸 측(2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수형 짝이룸 측(74)이 제공되어 잇다. 마찬가지로, 블럭(70)의 평평한 측(76), 즉 블럭(70)의 나머지 모든 측은 평평하고, 삼각 프리즘형 블럭(10, 60)의 평평한 측(54)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입방형 블럭(70)에는, 블럭의 벽들 중의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78)이 제공되어 있고, 이 관은 전술한 바와 같은 축 부재(40, 46)를 수용하기 위해 암형 짝이룸 측(72)에서 개방되어 있다. 관(78)은 이 관이 블럭(70)의 벽과 만나는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도 17 및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럭 요소의 벽들이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72)의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 만나는 블럭 요소의 코너 영역에는 한쌍의 제 1 및 2 돌출부(82, 84)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82, 84)는 도 4, 5 및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에도 제공되어 있다. 어떤 예에서, 돌출부(82, 84)는 다른 블럭 요소의 스터드(26) 및/또는 예컨대 도 6, 7 및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축 부재 요소(40, 46)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어떤 예에서, 제 1 및 2 돌출부(82, 84)는 축 결합 돌출부이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터드 결합 돌출부로서 구성되고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 각각은 각각의 벽들이 만나는 코너의 양쪽에서 블럭 요소의 다른 벽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 각각은 블럭 요소의 내부 코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다. 결합 돌출부(82, 84)는 얇은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들 돌출부가 연장되어 있는 벽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 각각은 자유 단부(86)에서 끝난다.
삼각 프리즘형 요소에 대해 도 4 및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 중의 하나는 만입 영역(3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모든 블럭 요소에서,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예컨대 도 1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블럭 요소의 수형 짝이룸 측의 수형 결합 부분(20)(예컨대, 스터드(26))의 측면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할 수 있다. 자유 단부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축 부재 요소(40, 46)의 스플라인(42)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6 내지 38, 39 내지 41, 42 내지 44, 45 내지 47, 48 내지 50 및 51 내지 53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추가 예에서, 입방형 블럭의 제 2 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관(78)이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규정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 내지 19의 블럭의 예와 동일하다. 즉, 수형 짝이룸 측(74)에 있는 구멍(79)이 관(78)에 의해 규정된 통로 안으로 들어가는 개구를 제공하고, 그 통로는 암형 짝이룸 측(72)의 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관(78)은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74)의 외면으로부타 통로를 규정한다. 그래서, 축 부재(40, 46)는 블럭을 통과하여 수형 짝이룸 측(74) 또는 암형 짝이룸 측(72) 또는 이들 모두에서 돌출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6 내지 20의 예에서, 입방형 블럭(70, 8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및 수형 짝이룸 측(74)을 포함한다. 블럭의 나머지 외부 측(76), 즉 수형 짝이룸 측도 암형 짝이룸 측도 아닌 측은 평평하다. 즉, 블럭의 나머지 외부 측(76)은 매끄럽고 평평하다. 다시 말해, 블럭(70, 8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74) 및 4개의 평평한 측(76)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블럭의 추가 예가 도 21 및 22에 나타나 있다. 암형 짝이룸 측(72)의 한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벽에 수형 짝이룸 측(74)이 제공되어 있고 암형 짝이룸 측(72)의 반대편에 있는 블럭(90)의 벽에 관(78)이 제공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나타나 있는 블럭(90)은 도 20의 예와 유사하다. 그래서, 이 예에서, 입방형 블럭(9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74), 및 관(78)에 이어져 있는 구멍(79)을 갖는 평평한 측(77)을 포함하고, 그 관은 암형 짝이룸 측(72)까지 연장될 것이다. 즉, 이 예에서, 블럭(7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74), 3개의 연속적인 평평한 측(76), 및 관(78)은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77)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규정하도록 구멍(79)이 제공되어 있는 하나의 평평한 측(77)을 포함한다.
입방형 블럭(100)의 다른 예가 도 23 내지 26에 나타나 있다. 암형 짝이룸 측(72)의 한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벽에 추가 수형 짝이룸 측(74)이 제공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 예는 도 16 내지 19의 블럭(70)과 동일하다. 다른 모든 점에서, 블럭(100)은 블럭(70)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 블럭(100)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2개의 수형 짝이룸 측(74), 및 3개의 평평한 측(76)을 포함하고, 관(78)은 이 관이 블럭(70)의 벽(74)과 만나는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다른 예의 블럭(110)이 도 27 및 28에 나타나 있다. 관(78)은 동일한 블럭의 암형 짝이룸 면(72)의 반대편에 있는 블럭(110)의 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는 도 23 내지 26의 블럭(100)의 예와 동일하다. 즉, 수형 짝이룸 측(74) 중의 하나에는 구멍(79)이 제공되어 있고, 이 구멍은 관(78) 안으로 열려 있어, 관(78)은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74)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형성한다. 다른 모든 점에서는 블럭(110)은 블럭(100)과 동일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입방형 블럭의 추가 예가 도 29 내지 33에 나타나 있다. 수형 짝이룸 면(74)이 암형 짝이룸 측(72)의 반대편에 있는 블럭(120)의 벽을 포함하여 블럭(120)의 벽 중의 3개에 제공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추가 예는 도 23 내지 26의 블럭(100)과 동일하다. 그래서, 이 예에서, 입방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3개의 수형 짝이룸 측(74), 및 하나 평평한 측(76)을 포함하고, 관(78)은 이 관이 블럭(70)의 벽(74)과 만나는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입방형 블럭(130)의 추가 예가 도 34 및 35에 나타나 있다. 관(78)은 암형 짝이룸 측(72)의 반대편에 있는 수형 짝이룸 측(74)의 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 예는 도 29 내지 33에 나타나 있는 예의 블럭(120)과 동일하다. 그래서, 이 예에서, 입방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 3개의 수형 짝이룸 측(74), 및 하나의 평평한 측(76)을 포함하고, 수형 짝이룸 측(74) 중의 하나에는 구멍(79)이 제공되어 있고, 이 구멍은 관(78) 안으로 열려 있어, 관(78)은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74)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규정한다.
위의 모든 예에서, 수형 짝이룸 측도 암형 짝이룸 측도 아닌 블럭(들)의 측벽은 평평하다.
수형 결합 부분으로서 스터드가 제공되어 있는 예 각각에서, 스터드는 실질적으로 수형 짝이룸 측의 각 코너 쪽에 제공된다.
관(78)은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각 스터드로부터 실질적으로 동거리로 떨어져 제공될 수 있다. 즉, 관(78)이 블럭의 벽을 통해 연장되어 있든, 또는 관이 이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에서 폐쇄되어 있든, 관(78)은 각 스터드로부터 실질적으로 동거리로 떨어져 제공될 수 있는데, 즉 그 관이 연장되어 있는 벽의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관(78)이 평평한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예에서, 관은 그 평평한 벽의 중심 쪽에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입방형 블럭 요소는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72)을 포함한다. 이 암형 짝이룸 측(72)은 블럭의 벽 중의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78)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관은 축 부재 등을 수용하기 위해 암형 짝이룸 측(72)에서 개방되어 있다. 입방형 블럭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짝이룸 측(74)(하지만, 5개 이하의 수형 짝이룸 측(74))이 제공될 수 있다.
수형 짝이룸 측도 암형 짝이룸 측도 아닌 본 개시의 블럭 요소의 측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도 4, 5, 14, 15a-15c, 17 및 1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가, 블럭 요소의 벽들이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30, 72)의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 만나는 각 블럭 요소의 코너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결합 돌출부(82, 84)의 여러 다른 예가 본 개시에 나타나 있지만,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두에 공통적인 점은,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한 축 부재 요소 스플라인(42) 사이에 끼워져 블럭 요소의 축 부재 요소(40)와 결합하여 이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즉, 스플라인(42) 및 결합 돌출부(82, 84)는, 결합 돌출부(82, 84)에 의해 규정된 영역 안으로 스플라인(42)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 필요에 따라 위치 유지되고 또한 원하는 경우에는 다시 밖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 및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84)은, 결합 돌출부(82, 84)의 자유 단부(86)가 다른 쌍의 스플라인(4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가 스플라인(42)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축이(40)이 블럭 요소의 코너 안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가 위치 유지되고 블럭 요소의 코너 밖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대 치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5, 14, 15a-15c, 17 및 19의 예에서, 제 1 및 2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다른 블럭 요소의 수형 결합 부분(20)(예컨대,스터드(26))을 수용하여 이와 결합하게 된다.
도 36 내지 38의 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결합 돌출부(88)가 블럭 요소의 코너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자유 단부(86)에서 끝난다. 제 3 결합 돌출부(88)는 얇은 벽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 3 결합 돌출부(88)는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다. 추가로,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축(40)과 결합될 때, 제 3 결합 돌출부(88)의 자유 단부(86)는 축 부재 요소(40)의 스플라인(42)의 단부와 대향하게 된다. 제 3 결합 돌출부(88)는 축 부재 요소(40)의 스플라인(42)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어(즉, 그 단부를 지지하거나 그와 결합할 수 있음), 축 부재 요소(40)를 블럭 요소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데에 도움을 준다. 이 예에서, 제 1, 2 및 3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다른 블럭 요소의 수형 결합 부분(20)(예컨대, 스터드(26))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9 내지 41에 나타나 있는 대안적인 예에서, 제 3 결합 돌출부(88)는 블럭 요소 코너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지지부(89), 및 이 지지부(89)의 자유 단부(86)를 규정하는 평평한 단부(92)를 포함한다. 평평한 단부(92)는 지지부(88)의 양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제 3 결합 돌출부(88)는 "T" 형이다. 도 4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축 요소 부재(40)와 결합될 때, 제 3 결합 돌출부(88)의 자유 단부(86)(평평한 단부(92))는 축 부재 요소(40)의 스플라인(42)의 단부와 접촉하여, 축 부재 요소(40)를 블럭 요소와 결합된 상태로 위치 유지시키는데에 도움을 준다. 이 예에서, 제 1, 2 및 3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다른 블럭 요소의 수형 결합 부분(20)(예컨대, 스터드(26))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2 내지 44에 나타나 있는 대안적인 예에서, 제 4 결합 돌출부(94) 및 제 5 결합 돌출부(96)가 제 3 결합 돌출부(88)의 양 측에 제공되어 있다. 제 4 결합 돌출부(94) 및 제 5 결합 돌출부(96)는 얇은 벽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 4 결합 돌출부(94)는 제 1 및 3 결합 돌출부(82, 88)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다. 제 5 결합 돌출부(96)는 제 2 및 3 결합 돌출부(84, 88)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다. 제 4 결합 돌출부(94) 및 제 5 결합 돌출부(96) 각각은 자유 단부(86)에서 끝난다. 제 4 결합 돌출부(94) 및 제 5 결합 돌출부(96) 각각은 제 1, 2 또는 3 결합 돌출부 보다 짧다. 제 1, 2, 3, 4 및 5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다른 블럭 요소의 수형 결합 부분(20)(예컨대, 스터드(26))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4 결합 돌출부(94) 및 제 5 결합 돌출부(96)는 또한, 축 요소 부재(40)와 결합될 때 그의 자유 단부가 축 부재 요소(40)의 스플라인(4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5 내지 48에 나타나 있는 대안적인 예에서, 블럭 요소의 코너의 양 측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 3 및 4 결합 돌출부(98, 99)(앞에서 언급한 "제 3 및 4 결합 돌출부"와는 다른 구성을 가짐)가 제공되어 있다. 즉, 제 3 및 4 결합 돌출부(98, 99)는 코너의 양 측에 있는 다른 벽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3 및 4 결합 돌출부(98, 99)는 얇은 벽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의 제 3 및 4 결합 돌출부(98, 99)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각기 자유 단부(86)에서 끝난다. 제 3 및 4 결합 돌출부(98, 99)는 제 1 및 2 결합 돌출부(82, 84)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다. 도 46 및 4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및 4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통로(97)를 규정하고, 이 통로는 축 요소 부재(40)의 스플라인(42)의 단부와 결합하거나 그 단부를 수용하거나 잡거나 또는 그 단부와 정렬된다. 이 예에서,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8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다른 블럭 요소의 수형 결합 부분(20)(예컨대, 스터드(26))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모든 예에서, 결합 돌출부는 본 개시의 블럭 요소의 각 코너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9 및 50은 본 개시의 예의 블럭에 대해 축 요소(40)가 블럭 요소 안으로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 예컨대 축이 블럭 요소의 코너 중의 일부 또는 모든 코너에 어떻게 들어가 유지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도 51 내지 53은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입방형 블럭 요소의 예를 나타내는데, 이는 입방형 블럭 요소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입방형 및 삼각형 블럭 요소가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방형 블럭 요소 및 삼각형 블럭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점은, 본 입방형 블럭 요소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정사각형 단부 벽, 직사각형 측벽 및 정상부, 그리고 암형 짝이룸 측을 규정하는 직사각형 공동부 개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도 51 내지 53에는 도 45 내지 47의 입방형 블럭 요소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결합 돌출부가 나타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본 개시의 다른 예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 및 입방형 블럭의 다양한 예의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과 결합 부분은 상보적인 크기 및 형상을 가지므로, 삼각 프리즘형 블럭 또는 입방형 블럭의 암형 짝이룸 측과 수형 짝이룸 측은, 본 개시의 다른 삼각 프리즘형 블럭 또는 입방형 블럭의 상보적인 측과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4 및 5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삼각 프리즘형 블럭(70)은 입방향 블럭(74)의 수형 짝이룸 측(74)과 결합되는 암형 짝이룸 측(3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것들이 정확히 정렬된다면, 도 55에 나타나 있는 형상이 얻어질 수 있다. 수형 결합 부분(즉, 스터드(22)) 및 암형 결합 부분(즉, 전술한 바와 같이, 블럭 등의 벽에 의해 규정되는 공동부(32)의 부분)은 서로 마찰 결합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되어 있으며 또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및 암형 결합 부분이 함께 결합될 때, 그것들을 결합시키는데에는 단지 작은 힘만 필요하다. 블럭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작은 힘이 사용될 때까지 블럭들은 함께 있을 것이다. 필요한 힘의 크기는 미리 결정되고, 어린이가 낼 수 있는 범위의 값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 부재 요소(40)는 블럭 요소의 관(36, 78)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예에서, 축 부재 요소(40)는, 축이 두 블럭 요소의 관에 들어가 그 블럭 요소들을 결합시키도록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축 부재 요소는 한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72)이 다른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72)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길이를 갖는다.
그래서, 도 5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 입방형 블럭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축 부재 요소(40)는 입방형 블럭 요소의 수형 및/또는 암형 짝이룸 측의 가장자리의 길이의 2배 이하인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그의 미리 결정된 길이는 수형 및/또는 암형 짝이룸 측의 가장자리의 길이의 2배의 90% 내지 99% 일 수 있다. 관(78) 및 축(40)은 내부 요소이므로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동일한 규약이 나머지 도에서도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도 5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 부재(40)는 두 삼각 프리즘 블럭 요소의 관(34) 안으로 들어가 그들 블럭 요소를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한 삼각형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30)이 다른 삼각형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30)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이 예의 축(40)은 도 56의 예의 축과는 다른 길이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도 5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 부재(40)는 삼각 프리즘 블럭 요소의 관(34) 및 입방형 블럭 요소의 관(78) 안으로 들어가 그들 블럭 요소를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삼각형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30)이 입방형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72)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축(40)이 제공되어 있어, 결합된 블럭은 그 축(40)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즉, 블럭 요소의 측들은 정렬될 수 있고(도 56, 57, 5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또는 블럭의 측들은 서로에 대해 어떤 범위의 각도로있을 수 있다(이의 일 예가 도 40에 나타나 있으며, 이 도는 도 56의 배치의 평면도로, 상측 블럭은 축(40) 주위로 하측 블럭에 대해 회전되어 있음).
축(40) 및 관(34, 78)이 스플라인 가공되어 있는(앞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에서는, 한 블럭 요소가 축(40)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다른 블럭 요소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축(40)은 도 6 및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고, 12개의 스플라인을 가짐), 블럭 요소들은 축(40)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서로에 대해 30도 증분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6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블럭 요소가 축 결합된 요소의 측에 추가될 수 있어, 축(40)의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축을 확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삼각 프리즘 블럭 요소는 배면 대향 방식으로 축 요소 부재(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도 61 참조) 또는 삼각 프리즘 요소는 배면 대향 방식으로 축 요소 부재(40)에 의해 입방향 블럭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도 62 참조). 요소들은 정렬되거나 이들 요소를 결합하는 축 부재의 축선 주위로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축 스플라인 및 블럭 결합 부분은 블럭 요소의 상대 각도 및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방형 블럭 요소들은, 블럭의 암형 짝이룸 측이 폐쇄되도록 코너 결합 돌출부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예컨대, 도 36 내지 47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축 요소(40)에 의해 배면 대향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6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방형 블럭 요소들은, 블럭들이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며 암형 짝이룸 측을 부분적으로만 폐쇄하도록 양 블럭 요소의 한 코너의 결합 돌출부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예컨대, 도 36 내지 47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축 요소(40)에 의해 배면 대향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6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방형 블럭 요소들은, 블럭들이 서로 오프셋되어 있고 암형 짝이룸 측을 부분적으로만 폐쇄하도록 하나 또는 2개의 코너의 결합 돌출부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 요소(40)에 의해 배면 대향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 및 입방형 블럭의 조립의 추가 예가 도 66 및 67에 나타나 있다. 도 66에 나타나 있는 조립은 위쪽에서 본 것이고, 도 67의 도는 도 6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66 및 67에서, 블럭의 결합 부분의 상세는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고, 그래서, 수형 결합 부분을 형성하는 스터드, 각 블럭의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 및 암형 결합 부분의 상세는 나타나 있지 않다. 블럭 요소 사이의 틈이 나타나 있는데, 하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틈은 존재할 필요가 없음을 알 것이다. 도 66 및 67에 나타나 있는 틈은 단지 개별 블럭 요소의 가장자리의 윤곽을 나타내는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 예에서, 그리고, 페이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의 정상부에 시작하여, 제 1 입방형 블럭(70)의 수형 결합 부분(74)은 제 2 입방형 블럭(70)의 암형 결합 부분(72)에 결합된다. 제 2 입방형 요소(70)는 수형 결합 부분(74)을 통해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의 암형 결합 부분(30)에 결합된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의 수형 결합 부분(20)은 다른 입방형 블럭(80)의 암형 결합 부분과 결합되고,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의 평평한 측(52)은 그 형상의 외부 만곡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남아 있다. 블럭(80)은 추가 삼각형 블럭(60)에 마찬가지로 결합되고 다른 삼각 프리즘형 블럭(60)이 그에 부착된다.
그래서, 뾰족한 단부를 갖는 "J" 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구조체는, 스터드가 연장되어 있거나 암형 결합 짝이룸 측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멀어지게 확장될 수 있다.
삼각 프리즘형 블럭, 입방형 블럭 및 도 6 내지 9에 나타나 있는 추가적인 요소, 즉 축과 휠을 사용하여 추가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일 에가 도 68에 나타나 있다. 이 구조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일 군의 입방형 블럭을 포함하고, 여기서 블럭들 사이의 연결부는 블럭들 사이의 접속부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해 약간의 간격을 두고 나타나 있다. 구축물의 정확한 특성은 본 개시의 구성형 장난감의 관점에서는 중요하지 않고, 단지 일 예로서만 나타나 있다. 연결부가 나타나 있는 경우 수형 결합 부분은 암형 결합 부분과 결합된다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휠(50)이 블럭에 부착되는 경우, 이는, 휠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어 입방형 블럭의 관(78) 안으로 들어가는 축(46)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우측에서, 삼각 프리즘형 블럭이 입방형 블럭에 부착되는 경우, 이는, 입방형 블럭과 삼각 프리즘형 블럭 모두의 관 통로 안으로 연장되는 축(46)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중앙 삼각 프리즘형 블럭(10)은 블럭을 그의 양측에 결합시키는 입방형 블럭 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체가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그 구조체는 어린이가 만들기에 만족스럽고 재미있다.
물론, 많은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각 조합은 사용자가 본 개시의 블럭 시스템의 다른 특징을 탐구할 수 있게 해준다. 각 구성은 사용자가 다른 기계적 이슈를 알고 또한 형태적 개념 및 심미적 개념을 탐구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이 제공된다.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구성이 만들어질 수 있고 실험될 수 있다. 시스템의 유연성으로 인해, 구조화되지 않은 창조적 놀이 및 주도식 교육 수업이 가능하고, 그리하여 어린이가 구조체를 구성하고, 더 발전된 학습을 위한 기초를 세팅하는 최선의 방법과 최악의 방법을 배우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출원과 관련된 본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출원되었고 또한 본 명세서와 함께 공적 조사를 받는 모든 논문과 문헌에 주의를 하며, 그러한 모든 논문과 문헌의 내용은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하는)에 개시된 모든 특징적 사항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는, 그러한 특징적 사항 및/또는 단계 중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 어떤 조합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하는)에 개시된 각 특징적 사항은, 다른 명확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한, 동등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대안적인 특징적 사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명확한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각 특징적 사항은 일반적인 일련의 동등한 또는 유사한 특징적 사항의 일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들)의 상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하는)에 개시된 특징적 사항 중의 어떤 신규한 것 또는 신규한 조합으로도 확장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 중의 어떤 신규한 것 또는 신규한 조합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

Claims (22)

  1. 함께 조립되어 다양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으로서,
    상기 요소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삼각 프리즘형 블럭(brick)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벽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2개의 정사각형 측 - 정사각형 측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럭 요소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수형 결합 부분을 갖는 수형 짝이룸 측으로서 제공됨 -; 및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복수의 벽에 의해 규정되며,
    정사각형 벽 측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면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만입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공동부는 각 벽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정사각형 주변을 가지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수형 짝이룸 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결합 부분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하고 구성되어 있어, 상기 구성형 장난감의 블럭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형 장난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형 장난감은 복수의 벽을 포함하는 입방형 블럭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은,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 및
    상기 암형 짝이룸 측을 제공하는 공동부를 규정하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복수의 벽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입방형 블럭의 상기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 요소의 상기 암형 및 수형 결합 부분에 대해 각각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결합 부분을 갖는, 구성형 장난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형 블럭 요소는 입방체이고,
    상기 입방형 블럭 요소의 복수의 벽은,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의 짝이룸 측과 동일한 길이의 가장자리를 갖는 수형 및 암형 짝이룸 측을 규정하는, 구성형 장난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프리즘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 및 2개의 수형 짝이룸 측을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형 블럭은,
    하나의 암형 짝이룸 측; 및
    하나 이상 5개 이하의 수형 짝이룸 측을 포함하고,
    수형 짝이룸 측도 암형 짝이룸 측도 아닌 상기 블럭의 측은 평평한, 구성형 장난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짝이룸 측은 블럭의 일 측을 규정하는 평평한 벽을 포함하고, 평평한 벽으로부터 스터드(stud)가 연장되어 있어 수형 결합 부분을 제공하는, 구성형 장난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형 짝이룸 측의 각 코너 쪽에 제공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짝이룸 측은 상기 블럭의 벽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관을 더 포함하고, 관은 축 부재 요소 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암형 짝이룸 측에서 개방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관이 연장되어 있는 블럭의 벽의 외면으로부터 통로를 규정하는, 구성형 장난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관이 상기 블럭의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상기 입방형 블럭 요소의 평평한 벽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플라인(spline)이 상기 관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관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3. 제 7 항을 인용하는 경우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각각의 상기 스터드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떨어져 제공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형 장난감은 축 부재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부재 요소는 축의 길이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구성형 장난감.
  15. 제 8 항을 인용하는 경우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 1 및 2 결합 돌출부가 상기 블럭 요소의 코너 영역에 제공되어 있고, 코너 영역에서 상기 블럭 요소의 벽들이 만나 블럭 요소의 암형 짝이룸 측의 코너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각각은,
    다른 벽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블럭 요소의 코너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 끝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을 수용하여 그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각각은 인접하는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축 부재 요소와 결합하여 이를 유지하는, 구성형 장난감.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요소가 제 1 항에 따른 삼각 프리즘형 요소일 때,
    상기 한쌍의 제 1 및 2 결합 돌출부 중의 하나는 상기 만입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결합 돌출부가 상기 블럭 요소 코너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또한 자유 단부에서 끝나며,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또한 제 1 결합 돌출부와 제 2 결합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제 1, 2 및 3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는 상기 축 부재 요소의 스플라인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는,
    상기 블럭 요소 코너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자유 단부를 규정하는 평평한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제 3 결합 돌출부는 "T" 형인, 구성형 장난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제 4 결합 돌출부 및 제 5 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3 결합 돌출부의 양 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4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3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또한 제 1 결합 돌출부와 제 3 결합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5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2 및 3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또한 제 2 결합 돌출부와 제 3 결합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제 4 결합 돌출부와 제 5 결합 돌출부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 끝나고,
    상기 제 1, 2, 3, 4 및 5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22.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는 상기 코너의 양 측에서 서로 상이한 벽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자유 단부에서 각각 끝나며,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2 결합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또한 제 1 결합 돌출부와 제 2 결합 돌출부 사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제 3 및 4 결합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형 장난감.
KR1020187028547A 2016-04-18 2017-03-10 구성형 장난감 KR20180133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06722.5 2016-04-18
GB201606722 2016-04-18
PCT/GB2017/050668 WO2017182767A1 (en) 2016-04-18 2017-03-10 Constructional t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404A true KR20180133404A (ko) 2018-12-14

Family

ID=5834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547A KR20180133404A (ko) 2016-04-18 2017-03-10 구성형 장난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2582B2 (ko)
EP (1) EP3445465B1 (ko)
KR (1) KR20180133404A (ko)
WO (1) WO2017182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908A1 (en) * 2016-09-28 2018-04-05 Bodak Blocks Limited Building block and building block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239Y2 (ko) * 1978-05-18 1980-10-29
USD285813S (en) * 1984-05-30 1986-09-23 Kawada Co. Ltd. Toy interconnecting adaptor block or the like
USD313437S (en) * 1989-05-09 1991-01-01 Interlego A.G. Toy building element
USD324084S (en) * 1989-11-29 1992-02-18 Interlego A.G. Toy building element
US5788555A (en) * 1994-08-03 1998-08-04 Glynn; Kenneth P. Small angle interconnecting toy blocks
ATE184208T1 (de) * 1995-06-26 1999-09-15 Morphun Research Ltd Bauspielzeuge
JPH10175022A (ja) 1996-12-13 1998-06-30 Exedy Corp 金属板等の形状成形方法
TW443939B (en) * 1999-08-27 2001-07-01 Interlego Ag A toy building set
US6648715B2 (en) * 2001-10-25 2003-11-18 Benjamin I. Wiens Snap-fit construction system
US6679780B1 (en) * 2002-10-18 2004-01-20 Sywan-Min Shih Polyomino piece for games
US7044825B2 (en) * 2004-07-27 2006-05-16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Panel and girder system for construction toy
US7063587B1 (en) * 2005-02-04 2006-06-20 Youth Toy Enterprise Co., Ltd. Building block
US20060185308A1 (en) * 2005-02-22 2006-08-24 Youth Toy Enterprise Co., Ltd. Building block
USD545923S1 (en) * 2005-06-17 2007-07-03 Youth Toy Enterprise Co. Ltd. Building block
USD573203S1 (en) * 2007-02-21 2008-07-15 Sun Woo Chun Toy block
US8905812B2 (en) * 2013-02-11 2014-12-09 Cheng Pai-Chen Toy block
US9737826B2 (en) * 2013-03-10 2017-08-22 Pai-Chen Cheng Pairing block set and toy block thereof
CN104190092B (zh) * 2014-09-28 2017-04-26 雷雨 一种积木
USD734820S1 (en) * 2014-11-29 2015-07-21 Kikkerland Design, Inc. Set of toy blocks
CN208018155U (zh) * 2018-02-08 2018-10-30 广州星原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连接的等腰直角三棱柱玩具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5465A1 (en) 2019-02-27
US10682582B2 (en) 2020-06-16
EP3445465B1 (en) 2020-02-19
WO2017182767A1 (en) 2017-10-26
US20190118109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968B2 (en) Building blocks
EP1015084B1 (en) A toy building set
JP6167247B2 (ja) 積み木及び積み木ユニット
KR10107950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US5518434A (en) Snap fit and twistable toy construction modules
US6558222B1 (en) Panelling and supports for interconnected toy blocks
US10159905B2 (en) Construction toy set of connectable and positionable elements
US110206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agnetic building tiles
US20130084767A1 (en) Expandable Toy Building Element
KR20170137589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180133404A (ko) 구성형 장난감
WO2008051046A1 (en) Assembly toy block set
KR20170013078A (ko) 조립 유닛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KR20150100572A (ko) 구성형 장난감
KR101898337B1 (ko) 조립식 블럭
KR20190001186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927035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927034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CN112272582A (zh) 构造型玩具的立方体元件及其形成方法
KR101410674B1 (ko) 일체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US20180345162A1 (en) Kit of construction elements
KR10091551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