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347A -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 Google Patents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347A
KR20180133347A KR1020180149908A KR20180149908A KR20180133347A KR 20180133347 A KR20180133347 A KR 20180133347A KR 1020180149908 A KR1020180149908 A KR 1020180149908A KR 20180149908 A KR20180149908 A KR 20180149908A KR 20180133347 A KR20180133347 A KR 20180133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eccentric
shaft
passiv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087,450 external-priority patent/US20120252613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3/087,453 external-priority patent/US20120252614A1/en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ublication of KR2018013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8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or elliptically-shaped driving or driven wheel; with expansible driving or driven wheel
    • B62M9/085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or elliptically-shaped driving or driven wheel; with expansible driving or driven wheel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driving or drive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운동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본 발명은 사람의 두 발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휠 계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 과정에서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의 특정 구조와 두 발의 페달링 각도에 따른 특정 관계를 결합하여 능동휠이 매회 회전주기 때마다 수동휠에 대하여 두 번의 속도비 변화를 생성하도록 하며, 두 발의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에 맞춰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링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하는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체의 두 발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을 함으로써 움직이는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전동휠 계열은, 두 발의 페달링에 의해 회전 구동이 발생하는 응용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이는 인력에 의한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인력에 의한 페달링과 동시에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전거, 정치형 레저스포츠형 자전거, 페달 보트, 또는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회전식 발전기,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회전식 유체펌프 등과 같은 응용장치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전동휠 계열은, 일반적으로 체인휠에 체인을 덧붙이거나, 벨트 풀이에 벨트 또는 금속 벨트를 덧붙이거나, 타이밍벨트 풀리에 타이밍벨트를 덧붙이거나, 기어에 톱니바퀴형 벨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어셋 등으로 두 발로 페달링하는 원형 능동휠을 구성하여 수동휠이 이에 따라 부하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의 두 발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과 능동휠의 회전운동 간에는 단순조화 운동(simple harmonic motion) 상태의 관계를 가지므로, 페달링하는 과정에서 두 발이 능동휠에 대하여 가하는 힘은 일부 각변위 범위에서 가장 효율적인 페달링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단순조화 운동 관계로 인해 여전히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낮은 각변위 범위가 존재함에 따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두 발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휠 계열을 개량한 것으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하는 과정에서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링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하는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사람의 두 발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휠 계열을 개량한 것으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하는 과정에서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링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하는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바퀴 계열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두 발에 의해 왕복 교차되는 페달링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휠 계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하는 과정에서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의 특정 구조와 두 발의 페달링 각도에 따른 특정 관계를 결합하여 능동휠이 매회 회전주기 때마다 수동휠에 대하여 두 번의 속도비 변화를 생성하도록 하며, 두 발의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에 맞춰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링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하는 페달링으로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원형 전동휠 계열을 가진 두 발의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의 페달축과 능돌휠축에 형성된 기계적 구동 각도와 수동휠의 속도비 관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두 발의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의 페달축과 능동휠축에 형성된 기계적 구동 각도와 수동휠의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의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1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3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2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6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3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4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12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5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15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6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휠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이봉 타워형 수동휠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이봉 타원형 수동휠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이중 타원형 능동휠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전동휠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로 구성되고, 수동휠도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로드휠셋(600)을 직접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중간 전동장치(5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내부 변속기(2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중간 전동장치(5000) 및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내부 변속기(2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외부 변속기(3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인체의 두 발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을 함으로써 움직이는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전동휠 계열은, 두 발의 페달링에 의해 회전 구동이 발생하는 응용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이는 인력에 의한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인력에 의한 페달링과 동시에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전거, 정치형 레저스포츠형 자전거, 페달 보트, 또는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회전식 발전기,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회전식 유체펌프 등과 같은 응용장치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페달 구동 방식에 의한 전동휠 계열은, 일반적으로 체인휠에 체인을 덧붙이거나, 벨트 풀이에 벨트를 덧붙이거나, 타이밍벨트 풀리에 타이밍벨트를 덧붙이거나, 기어에 톱니바퀴형 벨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어셋 등으로 두 발로 페달링하는 원형 능동휠을 구성하여 수동휠이 이에 따라 부하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의 두 발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과 능동휠의 회전운동 간에는 단순조화 운동(simple harmonic motion) 상태의 관계를 가지므로, 페달링을 하는 과정에서 두 발이 능동휠에 대하여 가하는 힘은 일부 각변위 범위에서 가장 효율적인 페달링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단순조화 운동 관계로 인해 여전히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낮은 각변위 범위가 존재함에 따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람의 두 발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휠 계열을 개량한 것으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하는 과정에서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링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하는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바퀴 계열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두 발에 의해 왕복 교차되는 페달링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휠 계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편심 전동휠로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전동벨트를 결합하여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라이더의 발 부위가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하는 과정에서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의 특정 구조와 두 발의 페달링 각도에 따른 특정 관계를 결합하여 능동휠이 매회 회전주기 때마다 수동휠에 대하여 두 번의 속도비 변화를 생성하도록 하며, 두 발의 반복적으로 교차되는 페달링에 맞춰 발 부위가 페달의 페달축에 대하여 크랭크를 통해 능동휠에 결합되는 능동휠 축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상이한 페달링 각도로 힘을 가할 경우 능동휠이 수동휠에 대하여 상이한 전동 속도비를 형성하도록 하는 페달링으로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은 최대 페달링에 따른 힘이 가해지는 각도에 인접한 부근이 최대 전동 속도비일 수 있고, 최대 전동 속도비에 대한 정의는 수동휠에 대한 능동휠의 전체적인 전동 주기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속도 각변위의 수동휠에 대한 능동휠의 전달은 상대적으로 다른 각도보다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의 각변위이며, 이에 따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원형 전동휠 계열을 가진 두 발의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의 페달축과 능돌휠축에 형성된 기계적 구동 각도와 수동휠의 속도비 관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두 발로 페달링할 경우, 오른발 및 왼발 각각의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축은 서로 180°의 각도차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로 움직이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오른발 페달축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왼발 페달축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연속적으로 페달링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 전동휠 계열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두 발의 페달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의 페달축과 능동휠축에 형성된 기계적 구동 각도와 수동휠의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두 발로 페달링할 경우, 오른발 및 왼발 각각의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축은 서로 180°의 차이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로 움직이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제1 페달축(1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제2 페달축(2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교체하면서 연속적으로 페달링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원형 능동휠(113)과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제2 페달축(203)과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에 따른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원형 능동휠(113)이 페달링에 의해 회전할 때마다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속도비가 주기적으로 두 번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의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1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벨트(100)는 원형 능동휠(113) 및 편심 수동휠(413) 및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에 대한 선택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벨트 형상의 구조로서,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형 능동휠(113), 상기 편심 수동휠(413) 및 상기 보조휠(312)이 서로 전동되도록 하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능동휠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능동휠축(111)의 양측은 제1 크랭크(101) 및 제2 크랭크(20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크랭크(101)에는 제1 페달(102) 설치를 위한 제1 페달축(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랭크(201)에는 제2 페달(202) 설치를 위한 제2 페달축(2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편심 수동휠(413)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어 수동휠축(211)에 설치되고, 그 피치원지름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의 2분의 1이고,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편심 수동휠(413) 및 상기 보조휠(312)의 상기 전동벨트(100)에 포함되어 상기 원형 능동휠(113)에 의해 구동됨과 아울어 구동 중인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한 상기 보조휠(312)의 주기적인 풀림과 느슨함 변화에 따라 예압에 따른 조임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c)에 따른 기계적 각도 위치, 즉 상기 전동벨트(100)와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 간에는 특정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동벨트(10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에 따른 커플링 및 변속전환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한 단계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속도비를 가진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이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조휠 프레스 바(301)는 그 일단이 보조휠 프레스 바 스윙샤프트(303)와 기계 본체(800)가 스윙이 가능한 상태로 커플링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휠축(311)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와 상기 기계 본체(800)의 사이에는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휠(312)에 대하여 외부로 열리거나 내부로 압축되는 예압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휠(312)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편심 수동휠(413)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휠축(311)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전동벨트(10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상기 전동벨트(100), 예컨데 체인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체인 등에 매칭되어 작동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에 대한 상기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의 예압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휠축(311) 및 상기 보조휠(312)을 강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하여 조이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한 능동휠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동휠은 상기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하여 구성된 전동휠 계열은, 사람이 자전거에 수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페달링할 경우, 왼발 및 오른발은 단순조화 운동에 따라 서로 180°의 각도차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상기 제2 페달축(2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서로 교차하면서 지속적인 페달링을 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c)에 따른 기계적 각도에 따라 상기 전동벨트(100)와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 간의 기계적 각도의 위치를 통해 설정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매번 페달링에 의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상기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속도비가 주기적으로 두 번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일 예로, 선택적으로 설정된 상기 원형 능동휠(113)과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의 기계적 각도차의 관계는,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할 경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이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을 통과함과 아울러 그 후 지속적으로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 각도가 180°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상기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최대 가속 속도비 또는 최소 감속 속도비 추세를 나타내는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되며, 그 주기적인 속도비의 관계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휠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주지적인 속도비 관계 중의 하나에 속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지향성(b)은 상기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의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반경 r10으로 전동벨트(100)를 구동하여 반경이 r11에 위치한 상기 편심 수동휠(413)을 구동하며, 이에 따라 r10 : r11의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3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2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지향성(b)은 상기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이 회전 방향을 따라 3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반경 r10으로 상기 전동벨트(100)를 구동하여 반경이 r12에 위치한 편심 수동휠(413)이 구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r10 : r12의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6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3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지향성(b)은 상기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이 회전 방향을 따라 6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반경 r10으로 상기 전동벨트(100)를 구동하여 반경이 r13에 위치한 편심 수동휠(413)이 구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r10 : r13의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4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지향성(b)은 상기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이 회전 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반경 r10으로 상기 전동벨트(100)를 구동하여 반경이 r14에 위치한 편심 수동휠(413)이 구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r10 : r14의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12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5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지향성(b)은 상기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이 회전 방향을 따라 12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반경 r10으로 상기 전동벨트(100)를 구동하여 반경이 r15에 위치한 편심 수동휠(413)이 구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r10 : r15의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은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으로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15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원형 능동휠(113)과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 속도비 관계를 나타낸 제6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지향성(b)은 상기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이 회전 방향을 따라 150°의 각도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반경 r10으로 상기 전동벨트(100)를 구동하여 반경이 r16에 위치한 편심 수동휠(413)이 구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r10 : r16의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된다.
제2 페달축(203)의 능동휠축(111)에 대한 구동 및 원형 능동휠(113) 및 전동벨트(100)를 통한 편심 수동휠(413) 및 수동휠축(211)에 대한 연동 상황에 관하여는, 상기 제1 페달축(103)의 능동휠축(111)에 대한 구동 및 원형 능동휠(113) 및 전동벨트(100)를 통한 편심 수동휠(413) 및 수동휠축(211)에 대한 연동 상황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원형 휠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이봉 타워형 수동휠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은 원형 능동휠(113)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로 구성되고, 전동벨트(100)는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에 대한 선택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벨트 형상의 구조로서,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형 능동휠(113),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상기 보조휠(312)이 서로 전동되도록 하며,
상기 전동벨트(100)는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에 대한 선택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벨트 형상의 구조로서,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형 능동휠(113),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상기 보조휠(312)이 서로 전동되도록 하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능동휠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능동휠축(111)의 양측은 제1 크랭크(101) 및 제2 크랭크(20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크랭크(101)에는 제1 페달(102) 설치를 위한 제1 페달축(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랭크(201)에는 제2 페달(202) 설치를 위한 제2 페달축(2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의 둘레와 동일한 이봉 타원형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로 구성되어 수동휠축(211)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의 상기 전동벨트(100)에 포함되어 상기 원형 능동휠(113)에 의해 구동됨과 아울러 구동 중인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한 상기 보조휠(312)의 주기적인 풀림과 느슨함 변화에 따라 예압에 따른 조임을 수행하며,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형태를 가진 이봉과 상기 수동휠축(211) 간의 기계적 각도의 위치와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의 사이에는 특정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동벨트(10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의 전동에 따른 커플링 및 변속전환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한 단계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속도비를 가진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이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조휠 프레스 바(301)는 그 일단이 보조휠 프레스 바 스윙샤프트(303)와 기계 본체(800)가 스윙이 가능한 상태로 커플링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휠축(311)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와 상기 기계 본체(800)의 사이에는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휠(312)에 대하여 외부로 열리거나 내부로 압축되는 예압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휠(312)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휠축(311)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전동벨트(10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원형 능동휠(113)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의 상기 전동벨트(100), 예컨데 체인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체인 등에 매칭되어 작동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에 대한 상기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의 예압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휠축(311) 및 상기 보조휠(312)을 강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하여 조이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한 능동휠은 상기 원형 능동휠(113)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동휠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하여 구성된 전동휠 계열은, 사람이 자전거에 수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페달링할 경우, 왼발 및 오른발은 단순조화 운동에 따라 서로 180°의 각도차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상기 제2 페달축(2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서로 교차하면서 지속적인 페달링을 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타원형 전동휠 계열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동벨트(100)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상기 수동휠축(211)에 설정된 기계적 각도의 위치를 통해 설정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매번 페달링에 의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에 대하여 속도비가 주기적으로 두 번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일 예로, 선택적으로 설정된 상기 원형 능동휠(113)과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의 기계적 각도차의 관계는,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할 경우, 상기 제1 페달축(103) 또는 상기 제2 페달축(203)이 상단 정지점을 통과한 후 지속적으로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 각도가 180°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원형 능동휠(113)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에 대하여 최대 가속 속도비 또는 최소 감속 속도비 추세를 나타내는 전동 속도비 상태가 되며, 그 주기적인 속도비의 관계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휠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도2에 도시된 주지적인 속도비 관계 중의 하나에 속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이봉 타원형 수동휠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로 구성되고, 전동벨트(100)는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에 대한 선택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벨트 형상의 구조로서,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상기 보조휠(312)이 서로 전동되도록 하며,
상기 전동벨트(100)는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에 대한 선택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벨트 형상의 구조로서,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상기 보조휠(312)이 서로 전동되도록 하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능동휠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능동휠축(111)의 양측은 제1 크랭크(101) 및 제2 크랭크(20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크랭크(101)에는 제1 페달(102) 설치를 위한 제1 페달축(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랭크(201)에는 제2 페달(202) 설치를 위한 제2 페달축(2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고, 그 이봉 타원형 형상을 가진 이봉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의 사이에는 특정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이봉 타원형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로 구성되어 수동휠축(211)에 설치되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90°의 기계적 각도차를 가지며, 상기 전동벨트(100)가 전동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에 의해 구동됨과 아울러 구동 중인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한 상기 보조휠(312)의 주기적인 풀림과 느슨함 변화에 따라 예압에 따른 조임을 수행하며,
상기 전동벨트(10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의 전동에 따른 커플링 결합 및 변속전환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한 단계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속도비를 가진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이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조휠 프레스 바(301)는 그 일단이 보조휠 프레스 바 스윙샤프트(303)와 기계 본체(800)가 스윙이 가능한 상태로 커플링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휠축(311)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와 상기 기계 본체(800)의 사이에는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휠(312)에 대하여 외부로 열리거나 내부로 압축되는 예압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휠(312)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휠축(311)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전동벨트(10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의 상기 전동벨트(100), 예컨데 체인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체인 등에 매칭되어 작동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에 대한 상기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의 예압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휠축(311) 및 상기 보조휠(312)을 강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하여 조이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한 능동휠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동휠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하여 구성된 전동휠 계열은, 사람이 자전거에 수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페달링할 경우, 왼발 및 오른발은 단순조화 운동에 따라 서로 180°의 각도차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상기 제2 페달축(2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서로 교차하면서 지속적인 페달링을 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타원형 전동휠 계열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의 위치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전동벨트(100)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 및 상기 수동휠축(211)에 설정된 기계적 각도의 위치를 통해 설정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매번 페달링에 의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에 대하여 속도비가 주기적으로 두 번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일 예로, 선택적으로 설정된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의 기계적 각도차의 관계는,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할 경우, 상기 제1 페달축(103) 또는 상기 제2 페달축(203)이 상단 정지점을 통과한 후 지속적으로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 각도가 90°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휠(213)에 대하여 최대 가속 속도비 또는 최소 감속 속도비 추세를 나타내는 전동 속도비 상태가 되며, 그 주기적인 속도비의 관계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휠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도2에 도시된 주지적인 속도비 관계 중의 하나에 속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이중 타원형 능동휠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전동휠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벨트(100)는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편심 수동휠(413) 및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에 대한 선택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벨트 형상의 구조로서,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상기 편심 수동휠(413) 및 상기 보조휠(312)이 서로 전동되도록 하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능동휠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능동휠축(111)의 양측은 제1 크랭크(101) 및 제2 크랭크(20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크랭크(101)에는 제1 페달(102) 설치를 위한 제1 페달축(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랭크(201)에는 제2 페달(202) 설치를 위한 제2 페달축(2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고, 이봉 타원형의 이봉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의 사이에는 특정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상기 편심 수동휠(413)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기어로 구성되어 수동휠축(211)에 설치되고, 그 피치원지름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의 2분의 1이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편심 수동휠(413) 및 상기 보조휠(312)의 상기 전동벨트(100)에 포함되어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에 의해 구동됨과 아울어 구동 중인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한 상기 보조휠(312)의 주기적인 풀림과 느슨함 변화에 따라 예압에 따른 조임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c)의 기계적 각도는 상기 전동벨트(100)와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의 사이에는 특정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동벨트(10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에 따른 커플링 결합 및 변속전환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한 단계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속도비를 가진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이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조휠 프레스 바(301)의 일단은 보조휠 프레스 바 스윙샤프트(303)와 기계 본체(800)가 스윙이 가능한 상태로 커플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휠축(311)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와 상기 기계 본체(800)의 사이에는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휠(312)에 대하여 외부로 열리거나 내부로 압축되는 예압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휠(312)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편심 수동휠(413)과 동일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휠축(311)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전동벨트(10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및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상기 전동벨트(100), 예컨데 체인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체인 등에 매칭되어 작동되며, 상기 보조휠 프레스 바(301)에 대한 상기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의 예압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휠축(311) 및 상기 보조휠(312)을 강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동벨트(100)에 대하여 조이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한 능동휠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동휠은 상기 편심 수동휠(413)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보조휠(312)을 설치하여 구성된 전동휠 계열은 사람이 자전거에 수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페달링할 경우, 왼발 및 오른발은 단순조화 운동에 따라 서로 180°의 차이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상기 제2 페달축(2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서로 교차하면서 지속적인 페달링을 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상기 편심 수동휠(413)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c)의 기계적 각도에 따라 상기 전동벨트(100)와 상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 간의 기계적 각도의 위치를 통해 설정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매번 페달링에 의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상기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속도비가 주기적으로 두 번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일 예로, 선택적으로 설정된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의 기계적 각도차의 관계는,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할 경우,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b)이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을 통과함과 아울러 그 후 지속적으로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 각도가 180°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상기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최대 가속 속도비 또는 최소 감속 속도비 추세를 나타내는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되며, 그 주기적인 속도비의 관계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휠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주지적인 속도비 관계 중의 하나에 속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능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로 구성되고, 수동휠도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는 능동휠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능동휠축(111)의 양측은 제1 크랭크(101) 및 제2 크랭크(20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크랭크(101)에는 제1 페달(102) 설치를 위한 제1 페달축(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랭크(201)에는 제2 페달(202) 설치를 위한 제2 페달축(2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는 기어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봉 타원형의 이봉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 간에는 특정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214)는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이봉 타원형 기어로 구성된 것으로서, 90°의 기계적 각도차로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에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동벨트(10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214)의 전동에 따른 커플링 및 변속전환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한 단계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속도비를 가진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이 구성되며,
상기한 능동휠은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동휠은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214)로 구성되며, 이 둘이 90°의 기계적 각도차로 맞물려 결합되어 구성된 전동휠 계열은, 사람이 자전거에 수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페달링할 경우, 왼발 및 오른발은 단순조화 운동에 따라 서로 180°의 각도차를 보이는 정현파형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오른발은 상기 제1 페달축(1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고, 왼발은 상기 제2 페달축(203)의 상하 위치 이동에 따른 궤도에 따라 페달링하게 되며, 왼발과 오른발이 서로 교차하면서 지속적인 페달링을 할 경우,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타원형 전동휠 계열에서의 능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와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 위치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과 상기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적 각도의 위치는 설정된 기계적 각도차 관계를 가지며, 매번 페달링에 의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는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214)에 대하여 속도비가 주기적으로 두 번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일 예로, 선택적으로 설정된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와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상기 제2 페달축(203)의 기계적 각도차의 관계는, 페달링 방향을 따라 페달링할 경우, 상기 제1 페달축(103) 및 또는 제2 페달축(203)이 상단 정지점을 통과한 후 지속적으로 페달링 방향을 따라 180°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114)는 상기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214)에 대하여 최대 가속 속도비 또는 최소 감속 속도비 추세를 나타내는 전동 속도비 상태가 형성되며, 그 주기적인 속도비의 관계는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휠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주지적인 속도비 관계 중의 하나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 있어서, 수동휠축(211)과 로드휠셋(600) 간의 전동 방식은,
1)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상기 수동휠축(211)이 직접 상기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방식;
2)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상기 수동휠축(211)이 중간 전동장치(5000)를 통해 상기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방식;
3)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상기 수동휠축(211)이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내부 변속기(2000)를 통해 상기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방식;
4)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상기 수동휠축(211)이 상기 중간 전동장치(5000) 및 상기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상기 내부 변속기(2000)를 통해 상기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방식; 또는
5)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상기 수동휠축(211)이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외부 변속기(3000)를 통해 상기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방식;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로드휠셋(600)을 직접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동휠축(211)은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 출력단의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운동이 가능한 휠축 구조에 결합되어 축 슬리브(601)를 구동하며,
상기 축 슬리브(601)는 속이 빈 회전축 구조로 형성되어 중심축(602)에 결합되며, 상기 수동휠축(211)에 의해 구동되고 이에 따라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상기 로드휠셋(600)은 회전이 가능한 휠셋 구조로서, 상기 축 슬리브(601)를 통해 상기 중심축(602)에서 회전하며, 상기 수동휠축(211)에 의해 구동된다.
도 14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중간 전동장치(5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동휠축(211)은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 입/출력단의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운동이 가능한 휠축 구조에 결합되어 중간 전동장치(5000)의 입/출력단의 원동휠을 구동하며,
상기 중간 전동장치(5000)는 전동벨트 및 풀리세 또는 전동체인 및 체인휠셋 또는 기어셋 또는 전동로드 및 우산형 기어셋으로 구성되고, 그 입력단은 상기 수동휠축(211)에 의해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축 슬리브(601)를 구동하며,
상기 축 슬리브(601)는 속이 빈 회전축 구조로 형성되어 중심축(602)에 결합되며, 상기 중간 전동장치(5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로드휠셋(600)은 회전이 가능한 휠셋 구조로서, 상기 축 슬리브(601)를 통해 상기 중심축(602)에서 회전하며, 상기 축 슬리브(601)가 상기 중간 전동장치(5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따라 구동된다.
도 15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내부 변속기(2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동휠축(211)은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 입/출력단의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운동이 가능한 휠축 구조에 결합되어 내부 변속기(2000)의 입력단을 구동하며,
상기 내부 변속기(2000)는 기어 또는 마찰휠 및 변속 전환 기구로 구성되어 외부에 의해 조작되는 2단 또는 그 이상의 유단 변속 또는 무단 변속 기능을 가진 내부 변속기로서, 그 입력단은 상기 수동휠축(211)에 의해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상기 로드휠셋(600)은 회전이 가능한 휠셋 구조로서, 상기 내부 변속기(2000)의 출력단에 의해 구동된다.
도 16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중간 전동장치(5000) 및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내부 변속기(2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동휠축(211)은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 출력단의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운동이 가능한 휠축 구조에 결합되어 중간 전동장치(5000)를 구동하며,
상기 중간 전동장치(5000)는 전동벨트 및 풀리세 또는 전동체인 및 체인휠셋 또는 기어셋 또는 전동로드 및 우산형 기어셋으로 구성되고, 그 입력단은 상기 수동휠축(211)에 의해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내부 변속기(2000)의 입력단을 구동하며,
상기 내부 변속기(2000)는 기어 또는 마찰휠 및 변속 전환 기구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2단 또는 그 이상의 유단 변속 또는 무단 변속 기능을 가진 내부 변속기로서, 그 입력단은 상기 중간 전동장치(5000)의 출력단에 의해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상기 로드휠셋(600)은 회전이 가능한 휠셋 구조로서, 상기 내부 변속기(2000)의 출력단에 의해 구동된다.
도 17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이 유단 또는 무단으로 구성된 외부 변속기(3000)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구성하는 능동휠 또는 수동휠은 원형 편심바퀴, 비원형 편심바퀴, 이봉 타원형 바퀴, 원형 바퀴로 능동휠 또는 수동휠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여기에 동기 벨트 및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 및 전동체인을 결합하거나 직접 기어셋으로 구성하여 주기적인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동휠축(211)은 상기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 출력단의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운동이 가능한 휠축 구조에 결합되어 외부 변속기(3000)를 구동하며,
상기 외부 변속기(3000)는 체인 및 체인휠셋 또는 벨트 및 풀리셋 또는 기어셋 및 변속 전환 기구 또는 클러치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2단 또는 그 이상의 유단 변속 또는 무단 변속 기능을 가진 외부 변속기로서, 그 입력단은 상기 수동휠축(211)에 의해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축 슬리브(601)를 통해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상기 축 슬리브(601)는 속이 빈 회전축 구조로 형성되어 중심축(602)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변속기(3000)의 수동휠 출력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로드휠셋(600)은 회전이 가능한 휠셋 구조로서, 상기 축 슬리브(601)를 통해 상기 중심축(602)에서 회전하며, 상기 축 슬리브(601)가 상기 외부 변속기(3000)의 수동휠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따라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링으로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의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전동휠 계열은, 한 세트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속도비를 가진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이 병렬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거나, 능동휠 또는 수동휠이 교차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다단 속도비를 얻을 수 있다.
100 : 전동벨트 101 : 제1 크랭크
102 : 제1 페달 103 : 제1 페달축
111 : 능동휠축 112 : 이봉 타원형 능동휠
113 : 원형 능동휠 114 : 이봉 타원형 능동기어
201 : 제2 크랭크 202 : 제2 페달
203 : 제2 페달축 211 : 수동휠축
213 : 이봉 타원형 수동휠 214 : 이봉 타원형 수동기어
301 : 보조휠 프레스 바 302 : 보조휠 예압 스프링
303 : 보조휠 프레스 바 스윙샤프트 311 : 보조휠축
312 : 보조휠 413 : 편심 수동휠
600 : 로드휠셋 601 : 축 슬리브
602 : 중심축 800 : 기계 본체
1000 : 편심 전동휠 계열 2000 : 내부 변속기
3000 : 외부 변속기 5000 : 중간 전동장치
a : b의 상단 정지점 지향성
b : 능동휠축(111)의 기계적 구동 각도에 대한 제1 페달축(103) 또는 제2 페달축(203)의 지향성
c : 편심 수동휠(413)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

Claims (8)

  1. 두 발로 페달링하여 회전운동하는 구동휠 시스템으로서, 수동휠은 편심 전동휠에 의해 구성되고 동기 전동벨트와의 결합에 의해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을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두 발로 페달링할 때, 페달의 페달축에 크랭크를 통하여 결합되는 구동휠의 능동휠축에 대하여 다른 페달링 각도로 힘이 들어가면, 구동휠이 두 발의 페달링 각도에 따라서 수동휠의 전동 속도비를 변동시키며,
    구동휠 및 수동휠을 구비하고,
    구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이고, 수동휠은 편심 전동휠이고,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주된 구성은 하기와 같으며,
    전동벨트(100)는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이나 편심 수동휠(413)이나 보조휠(312)의 휠 형상 구조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불가능한 구조이고,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 또는 톱니바퀴 형상의 벨트에 의해 구성되고,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편심 수동휠(413)과 보조휠(312) 사이에서 전동하고,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능동휠축(111)에 결합되고, 능동휠축(111)의 양측은 각각 제1 크랭크(101) 및 제2 크랭크(201)과 결합되며, 제1 크랭크(101)에 제1 페달(102)을 설치하기 위한 제1 페달축(103)을 설치하고, 제2 크랭크(201)에 제2 페달(202)을 설치하기 위한 제2 페달축(203)을 설치하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슬라이딩 불가능한 체인휠 또는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그 이봉 타원형의 2봉을 지나는 직선과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각도와, 제1 페달축(103) 및 제2 페달축(203)을 지나는 직선과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각도와의 기계각도의 차는 일정 관계이며,
    편심 수동휠(413)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동일하게 체인휠,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수동휠축(211)에 설치되며, 그 피치 원지름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의 1/2이고,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편심 수동휠(413)과 보조휠(312)의 전동벨트(100)에 맞추어,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로 구동되고, 및 보조휠(312)을 통하여 구동하는 전동벨트(100)의 주기적으로 조임 및 느슨함 변화에 대하여 예압에 따른 조임을 수행하며, 편심 수동휠(413)의 수동휠축(211)으로부터, 편심 수동휠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c)을 따른 직선과 수동휠축(211) 간의 기계각도와, 제1 페달축(103)으로부터 능동휠축(111)을 향하는 페탈축 방향(b)에 따른 직선과 능동휠축(111) 간의 기계각도의 기계각도 차는 일정 관계가 있고,
    전동벨트(100)와 1개 이상의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1개 이상의 편심 수동휠(413)의 전동에 따른 커플링 및 변속전환장치의 조작을 통하여, 한 단계 이상 다른 속도비인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구성하고,
    보조휠 프레스 바(301)는 일단이 보조휠 프레스 바 스윙샤프트(303)를 통하여 기계 본체(800)와 스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고, 다른 단에 보조휠축(311)을 설치함으로써, 보조휠(312)을 설치하고, 또한 보조휠 프레스 바(301)와 기계 본체(800) 사이에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을 설치함으로써, 보조휠(312)에 대하여 외부로 열리거나 내부로 압축되는 예압 압력을 형성하며,
    보조휠(312)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이나 편심 수동휠(413)과 동일하게 체인휠,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보조휠축(311)을 회전시키고, 또한 전동벨트(100)로 구동되고,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과 편심 수동휠(413)이 구동하는 체인, 타이밍 톱니바퀴 형상의 풀리 또는 톱니바퀴형 체인으로 이루어진 전동벨트(100)에 당겨져 구동되고, 또한 보조휠 예압 스프링(302)의 예압 압력을 통하여 보조휠 프레스 바(301)는 보조휠축(311)과 보조휠(312)을 강제적으로 움직여, 더욱 전동벨트(100)를 조이며,
    상기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 편심 수동휠(413) 및 보조휠(312)을 배치함으로써 구성되는 전동휠 계열을 통하여, 직립하여 페달을 밟을 때, 우측 발과 좌측 발은 단순조화 운동에 따라 180°다른 정현파 궤적이 나타나고, 우측 발은 제1 페달축(103)을 따라서 상하 이동의 궤적으로 밟고, 좌측 발은 제2 페달축(203)에 따라 상하 이동의 궤적을 그리며, 또한 좌우측 발로 번갈아 밟을 때,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구동휠과 수동휠의 속도비는 수동휠축(211)으로부터, 편심 수동휠의 편심 돌출부 상단의 지향성(c)을 따른 직선과 수동휠축(211) 간의 기계각도와, 제1 페달축(103)으로부터 능동휠축(111)을 향하는 페달축 방향(b)을 따른 직선과, 능동휠축(111)간의 기계각도와의 기계각도 차에 따라, 또한 각 회전에서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이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속도비를 2회 크게 또는 작게 하고, 페달축 지향성(b)은 상단 정지점 지향성(a)을 통과 후, 180°의 범위에서 밟을 때,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은 편심 수동휠(413)에 대하여 최대 가속 속도비 또는 최소 감속 속도비의 전동 속도비를 나타내고, 그 주기적인 속도비의 관계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바퀴형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의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동휠축(211)과 로드휠셋(600) 사이의 전동방식은,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에 의해 직접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전동방식, 또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에 의해 중간 전동장치(5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전동방식, 또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에 의해 유단 또는 무단의 내부 변속기(2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전동방식, 또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에 의해 중간 전동장치(5000) 및 유단 또는 무단의 내부 변속기(2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전동방식, 또는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에 의해 유단 또는 무단의 외부 변속기(3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는 전동방식;
    을 포함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3.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은 직접 로드휠셋(600)을 구동하고,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는 구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에 의해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에 의해 구성되며, 동기 벨트와 전동벨트의 결합, 체인휠과 전동체인의 결합, 또는 직접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고, 주기적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수동휠축(211)은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있는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휠축에 결합되어 축 슬리브(601)를 구동하며,
    축 슬리브(601)는 속이 빈 회전축 구조이고 중심축(602)이 삽입되며, 또한 수동휠축(211)에 구동됨으로써 로드휠셋(600)을 구동하고,
    로드휠셋(600)은 회전 휠셋의 구조이고, 축 슬리브(601)를 거쳐 중심축(602)에서 회전하고, 또한 수동휠축(211)에 구동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의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4.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은 중간 전동장치(5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고,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는 구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에 의해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에 의해 구성되며, 동기 벨트와 전동 벨트의 결합, 또는 체인휠과 전동체인의 결합, 또는 직접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며, 주기적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고,
    수동휠축(211)은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있는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휠축에 결합되고, 중간 전동장치(5000)의 입력단의 원동휠을 구동하며,
    중간 전동장치(5000)는 전동벨트와 풀리휠셋, 전동체인과 체인휠셋, 기어셋, 또는 전동로드와 우산형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며, 그 입력단은 수동휠축(211)에 구동되고, 그 출력단도 구동되며,
    축 슬리브(601)는 속이 빈 회전축 구조이고, 축심(602)이 삽입되며, 또한 중간 전동장치(5000)의 출력단에 구동되고,
    로드휠셋(600)은 회전 휠셋 구조이고, 축 슬리브(601)를 거쳐 중심축(602)에서 회전하고, 또한 축 슬리브(601)를 통하여, 중간 전동장치(5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구동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5.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은 유단 또는 무단의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내부 변속기(2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고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는 구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에 의해 구성되며,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에 의해 구성되고, 동기 벨트와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과 전동체인의 결합, 또는 직접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며, 주기적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수동휠축(211)은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있는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휠축에 결합되어 내부 변속기(2000)의 입력단을 구동하며,
    내부 변속기(2000)는 기어 또는 마찰휠 및 변속 전환 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2단 이상의 유단 또는 무단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변속장치이며, 그 입력단은 수동휠축(211)에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로드휠셋(600)은 회전 휠셋 구조이고 내부 변속기(2000)의 출력단에 구동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의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6.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은 중간 전동장치(5000) 및 유단 또는 무단의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내부 변속기(2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고,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는 구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로 구성되며,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에 의해 구성되고, 동기 벨트와 전동벨트, 또는 체인휠과 전동체인의 결합, 또는 직접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며, 주기적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수동휠축(211)은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있는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휠축에 결합되어, 중간 전동장치(5000)의 입력단의 원동휠을 구동하고,
    중간 전동장치(5000)는 전동벨트와 풀리휠셋, 전동체인과 체인휠셋, 기어셋, 또는 전동로드와 우산형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며, 그 입력단은 수동휠축(211)에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내부 변속기(2000)의 입력단을 구동하며,
    내부 변속기(2000)는 기어 또는 마찰휠 및 변속 전환 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2단 이상의 유단 또는 무단 변속기구를 내장하는 변속장치이며, 그 입력단은 중간 전동장치(5000)의 출력단에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로드휠셋(600)은 회전휠셋 구조이고, 내부 변속기(2000)의 출력단에 구동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의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7.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축(211)은 유단 또는 무단의 변속기구를 갖는 외부 변속기(3000)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고,
    편심 전동휠 계열(1000)에서는 구동휠은 이봉 타원형 능동휠(112)로 구성되고, 수동휠은 편심 수동휠(413)에 의해 구성되며, 동기 벨트와 전동벨트의 결합, 체인휠과 전동체인의 결합, 또는 직접 기어셋에 의해 구성되고, 주기적 속도비 기능을 구비하며,
    수동휠축(211)은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의 수동휠의 출력단에 있는 속이 비거나 속이 찬 회전휠축에 결합되어, 외부 변속기(3000)의 입력단의 원동휠을 구동하며,
    외부 변속기(3000)는 체인 및 체인휠셋, 벨트 및 벨트 풀리셋, 기어셋 및 변속 전환 기구, 또는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2단 이상의 유단 또는 무단 변속기구를 갖는 변속장치이며, 그 입력단은 수동휠축(211)에 구동되고, 그 출력단은 축 슬리브(601)를 거쳐 로드휠셋(600)을 구동하며,
    축 슬리브(601)는 속이 빈 회전축 구조이고, 중심축(602)이 삽입되고, 또한 외부 변속기(3000)의 출력단에 구동되며,
    로드휠셋(600)은 회전 휠셋의 구조이고, 축 슬리브(601)를 거쳐 중심축(602)에서 회전하고, 또한 축 슬리브(601)의 외부 변속기(3000)에 있는 수동휠의 출력단에 구동되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의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8. 제 1 항에 있어서,
    1세트 이상의 다른 속도비의 편심 전동휠 계열(1000)을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거나, 또는 구동휠과 수동휠을 반복하여 전환함으로써 다단 속도비를 얻는, 주기적 속도비를 갖는 페달 구동식의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KR1020180149908A 2011-04-15 2018-11-28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KR20180133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87,450 US20120252613A1 (en) 2011-03-31 2011-04-15 Treadle-drive elliptical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US13/087,453 US20120252614A1 (en) 2011-03-31 2011-04-15 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US13/087,450 2011-04-15
US13/087,453 2011-04-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73A Division KR20120117683A (ko) 2011-04-15 2012-04-13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985A Division KR20190134987A (ko) 2011-04-15 2019-11-25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 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347A true KR20180133347A (ko) 2018-12-14

Family

ID=4728555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73A KR20120117683A (ko) 2011-04-15 2012-04-13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KR1020180149908A KR20180133347A (ko) 2011-04-15 2018-11-28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KR1020190151985A KR20190134987A (ko) 2011-04-15 2019-11-25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 휠 시스템
KR1020210023146A KR102284058B1 (ko) 2011-04-15 2021-02-22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 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73A KR20120117683A (ko) 2011-04-15 2012-04-13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985A KR20190134987A (ko) 2011-04-15 2019-11-25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 휠 시스템
KR1020210023146A KR102284058B1 (ko) 2011-04-15 2021-02-22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 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201176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66B1 (ko) * 2014-01-09 2022-06-08 양태허 에너지 저장/방출을 위한 왕복 변위 보조 풀리 및 주기적인 변속비를 가진 트랜스미션 휠 시스템 시리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399B2 (ja) * 1991-02-21 2000-06-1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膜の製造方法
JP3052399U (ja) * 1998-02-24 1998-09-25 光良 青山 楕円チエンホィール自転車
DE102004031418A1 (de) * 2004-06-29 2006-02-16 Rumpf, Paul Kurbeltriebmomentwandler, zur Drehmomentsteuerung der Drehkraftaufnahme und Drehkraftübertragung von Kurbeltrie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987A (ko) 2019-12-05
KR102284058B1 (ko) 2021-07-30
KR20210022603A (ko) 2021-03-03
KR20120117683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359B2 (en) 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and having inward packing auxiliary wheel
US20150226293A1 (en) 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TWI586579B (zh) 腳踏驅動之周期變速比偏心輪傳動輪系
RU2421366C1 (ru) Педальный привод (варианты)
CN105923100B (zh) 直立骑行自行车传动装置
KR20180133347A (ko) 페달링에 의해 구동되는 주기적인 속도비를 가진 편심바퀴 전동휠 계열
US20130130851A1 (en) 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WO2012171485A1 (zh) 健身康复器材惯性飞轮变速系统
US20120252614A1 (en) 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US9586649B2 (en) Treadle-drive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and having inward packing auxiliary wheel
JP3177593U (ja) 周期的可変速比をもつ足踏み駆動式の偏心伝動輪システム
JP3189618U (ja) 足踏み駆動式伝動輪システム
WO2011162307A1 (ja) 人力駆動装置
TWM596198U (zh) 無段變速往復式原動機及含此無段變速往復式原動機的自行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