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162A -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162A
KR20180133162A KR1020170069789A KR20170069789A KR20180133162A KR 20180133162 A KR20180133162 A KR 20180133162A KR 1020170069789 A KR1020170069789 A KR 1020170069789A KR 20170069789 A KR20170069789 A KR 20170069789A KR 20180133162 A KR20180133162 A KR 2018013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in
coupling
iot
polyhe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재광
Original Assignee
신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광 filed Critical 신재광
Priority to KR102017006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162A/en
Publication of KR2018013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ing structure for a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which comprises: a plurality protruding units arrange to protrude at a constant system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yhedral block; a plurality of cylindrical units having a groove to be coup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otruding units of the polyhedral block; and a connection block in which an edge containing the cylindrical units therein is formed on both edges. A coupling pin is more provided to the connection block, and a pi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in is inserted is more formed on a surface on which a protruding portion of the polyhedral block. The coupling pin is formed with a separable coupling pin, and a handle unit is more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with a coupling structure. Therefore, a coupling force is improved, and can be easily separated.

Description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robotics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핀결합을 추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손잡이부를 추가하여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which can improve coupling force and pin attachment by adding pin coupling.

어린이, 학생용 장난감으로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복수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여러 형태로 조립 가능한 장난감 타입은 예전부터 어린이, 학생들 사이에서 선호되어 왔다. 이러한 복수개의 조립 가능한 블록 형태의 장난감으로 유명한 것은 레고(LEGO)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이다.There are many kinds of toys for children and students, but toy types that can be assembled in many forms composed of plural blocks have been preferred among children and students. Famous for these multiple assemblable block shaped toys are products sold by LEGO.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란,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 홈, 스마트 카등 생활 속의 다양한 분야의 기기, 사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근래에 이러한 IoT 기술의 대폭적인 보급과 어린이, 학생들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딩 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어린이, 학생용 장난감에도 이러한 기술의 결합을 시도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for sharing information by connecting devices and objects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remote meter reading, smart home, and smart phone, as well as electronic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widespread use of IoT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students' computer programming coding,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o combine these technologies with children's and children's toys.

이러한 연구에 따라, 근래에, 복수개의 블록들 간에 무선으로 통신, 제어가 가능한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어린이, 학생들이 직접 코딩한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제품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프로그램의 입력절차가 까다롭고, 프로그램모드에서 자동모드로의 전환을 블록 자체에서 수행할 수 없는 등의 불편함 및 난해함이 있어, 어린이,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 유발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se studies, a product capable of communicating and controlling wirelessly among a plurality of blocks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and a product capable of inputting a program directly coded by children and students has been developed. However, such a product has drawbacks such as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that the input procedure of the program is difficult, and the switching from the program mode to the automatic mode can not be performed in the block itself, .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한국등록특허 10-1696151호,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이 출원되어 특허등록되었다. 이 선행특허에 의하면, 슬레이브블록이 동작하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마스터블록에 프로그램모드에서 자동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기능버튼을 설치하여, 마스터블록에서 자동모드의 실행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6151,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was filed and patented by the present inventor. According to this prior patent, a function block for changing a mode from a program mode to an automatic mode is installed in a master block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o that a slave block operates, and an IoT-based A modular robotics system is disclosed.

그런데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및 중간블록을 포함하는 다면체 블록들을 연결하는 블록 연결구조로서, 다면체 블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홈이 형성된 복수의 홈가이드와 테두리가 양면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블록을 구비하고, 연결블록의 양면에 다면체블록의 돌출부를 끼워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즉, 다면체블록의 한 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연결블록의 테두리와 복수의 홈가이드 사이에 끼워져 결합 되는 연결구조이다. 물론 홈에 돌출부가 직접 끼워지는 결합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with grooves, and a rim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olyhedron block is fit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lock. That is,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is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between a rim of the connection block and a plurality of groove guide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join the projections directly into the groove.

이와 같이 블록 연결구조는, 다면체블록에 복수의 돌출부를 배열 형성해 연결블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블록 제품(예; 레고)들과 연결 시킬 수 있는 즉, 타제품의 블록들과 연결이 호환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block connection structure is struct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 polyhedron block to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block, which can be connected to generally known block products (e.g., legos), that is, So as to provide a compatible connection structure.

그런데 타제품 블록들과 연결호환이 될 수 있도록 돌출부와 연결블록의 홈가이드를 형성하다 보니, 돌출되는 높이나 크기가 널리 알려진 규격으로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수의 다면체 블록들을 연결하여 블록 조립체를 만드는 경우, 연결부분의 결합력이 떨어져 쉽게 분리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forming the groove gu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block so as to be compatible with other product blocks, the protruding height or size is limited to a widely known standard. Accordingly, when a large number of polyhedron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lock assembly,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detached and easily separated and separated.

또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에서는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모두 내부에 전기회로기판 및 각각의 기능 모듈들이 설치되는 블록들이 포함되므로, 통상의 레고 블록들보다 중량이 많이 나가고, 특히나 액츄에이터 블록을 구동시키면 움직임이 발생 되면서 블록의 연결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블록 조립체가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the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the IoT, since the electric circuit board and the blocks in which the respective functional modules are installed are included in both the master block and the slave block, the weight is larger than that of ordinary lego block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block is easily separated and the block assembly is collapsed.

한국등록특허공보 10-1696151호(2017.01.0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6151 (Feb.

본 발명의 목적은, 다면체 블록의 연결에서 핀 결합을 더 포함시켜 연결된 블록들의 중량에 의해 분리 또는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결합구조가 향상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in which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a stable connection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by the weight of connected blocks by further including pin coupling in connection of polyhedral blocks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면체 블록의 연결에서 핀 결합을 더 포함시켜 연결된 블록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블록에 손잡이를 형성한 결합구조가 향상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having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block is formed with a handle so as to easily separate connected blocks by further including pin coupling in connection of polyhedral blocks .

본 발명의 목적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에 있어서,In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중간블록을 포함하는 다면체블록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등간격으로 배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와;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master block, a slave block, and a polyhedral block including an intermediate block;

상기 다면체블록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결합 될 수 있는 홈을 갖는 복수의 원통부 및 복수의 원통부를 안쪽에 포함시키는 테두리가 양면에 형성된 연결블록; 을 포함하되,A connecting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having grooves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of the polyhedron block and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 RTI >

상기 연결블록에는 상기 원통부보다 더 높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이 형성되고,At least one coupling pin protruding higher than the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상기 다면체블록의 돌출부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연결블록의 결합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공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i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gagement pin of the connection block is inserted is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o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블록에 결합핀을 고정 형성하지 않고, 상기 연결블록에는 결합핀이 관통 삽입되는 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핀관통공에 관통 삽입되고, 돌출된 단부가 상기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의 핀삽입공에 삽입되는 분리형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upling block, wherein a coupling pin is not fixedly formed on the coupling block, a pin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so that the coupling pin is inserted therethrough, And a detachable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slave block.

또한, 상기 결합핀은, 원형 보스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다각형 형상, 십자형 형상 등 그 형상은 다양한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engaging pi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oss shape, and a shape such as a polygonal shape or a cross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상기 연결블록의 중앙에 하나의 결합핀이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복수의 결합핀이 연결블록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의 돌출부가 형성된 면에도 복수의 핀삽입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e coupling pi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are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and the master block and the protrusion of the slave block are formed But also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in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surface.

또한,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및 중간블록의 핀삽입공은, 단순한 관통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핀삽입공의 내측에 결합핀의 삽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핀 홀더를 더 부착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master block, the slave block, and the intermediate block may be formed as a simple through hole, or a pin holder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coupling pin into the inside of the pin insertion hole, And can be formed by attaching.

또한, 상기 연결블록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블록에는,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facilitating the detachment of the connecting block, the connecting block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one side surface thereof.

또한, 손잡이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단부에 단턱이 있는 구성이거나, 중간부가 개구된 중간 개구형이거나, 두 개 이상의 측면에 복수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r may have a configuration with a step at the tip, an intermediate opening with the middle portion opened, a plurality of the at least two sides, or various embodim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에 있어서, 돌출부와 홈 가이드 및 테두리에 의한 결합에 결합핀을 이용한 핀결합을 추가시킴으로써, 연결상태가 분리되거나 조립체가 쉽게 무너지지 않고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ock coupling structure of the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by adding the pin coupling using the coupling pin to the coupling by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groove guide and the frame, the coupling state is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to be improved.

또한, 연결력이 강해지는 대신에 분해시 연결블록의 폭이 좁아서 쉽게 잡아당기기 어려우므로, 연결블록에 손잡이부를 일체로 더 형성해줌으로써,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stead of making the connection force stronger,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lock is small during the disassembly, so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pull out. Thus, by integrally forming the handle portion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block, the handle portion can be easily pulled off and pulled out.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력은 향상되고, 분리는 쉽게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bonding force and facilitates the separ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개별 블록의 종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조립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다면체 블록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의 분리형 결합핀 구조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individual blocks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block assembly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llustration of a polyhedron block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chable coupling pin structure of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연결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lock connection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100)은, 마스터블록(110)과, 슬레이브블록(120)과, 연결블록(130)과, 중간블록(m)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를 위한 단말부(PC)(140) 및 모바일 단말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100 includes a master block 110, a slave block 120, a connection block 130, an intermediate block m, A terminal unit (PC) 140 for control and a mobile terminal 150.

마스터 블록(110)과 슬레이브 블록(120)은, 연결블록(130)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시켜 블록 조립체를 구성하며, 마스터블록(110)과 슬레이브블록(120)은 무선통신방식으로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고, 프로그램모드에서는 단말부(140) 및 모바일 단말기(150)를 이용해 편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동모드에서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프로그램모드와 자동모드는 기능버튼(110a)에 의해 선택한다. 프로그램모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의 앱과 사용자 UI를 이용해 동작을 변경하여 구동시킬 수 있어서, 프로그램 교육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master block 110 and the slave block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block 130 to constitute a block assembly. The master block 110 and the slave block 120 transmit / In the program mode, the program edited using the terminal unit 140 and the mobile terminal 150 is executed. In the automatic mode, the preset program is executed. The program mode and the automatic mode are selected by the function button 110a . In the program mode, the operation can be changed and operated by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UI, so that the program can be utilized for educa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블록(110)은 복수개의 면을 구비하는 다면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복수개의 제1돌출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부(110b)는 연결블록(130)의 일면에 형성된 홈(g)에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aster block 110 may be formed as a polyhedron having a plurality of surfaces,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10b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have. The first protrusion 110b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130. [

한편, 연결블록(130)의 타면에 형성된 홈(g)에는 슬레이브블록(120)의 일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120b)가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에 의해서, 마스터블록(110)과 슬레이브블록(120)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간블록(m)도 마스터블록(110)이나 슬레이브블록(120)과 대응되는 다면체로 구성되고 각 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연결블록(130)을 이용해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second protrusion 120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ave block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g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130. By this coupling, (12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he intermediate block m may be formed of a polyhedron corresponding to the master block 110 or the slave block 120 and may have protrusions formed on the respective surfaces thereof to be connected using the connection block 130.

상기 마스터블록(110)과 슬레이브블록(120)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110b) 및 제2돌출부(120a)와 중간블록(m)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연결블록(130)에 형성되는 홈(g)에도 끼워질 수 있지만, 홈 가이드와 가장자리 테두리 사이 공간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는 통상의 레고 블록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홈과 같은 규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반 레고 블록과의 연결이 호환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블록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first protrusions 110b and the second protrusions 120a formed in the master block 110 and the slave block 120 and the protrusions formed in the intermediate block m are formed in the groove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130 g, but it is fitted in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guide and the edge rim. It is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dimensions as protrusions and grooves formed in a conventional lugo block, so that connection with a general lEGO block can be compatible, so that various blocks can be assembl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조립체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블록(110)이나 슬레이브 블록(120)을 연결블록(130)을 통해 중간블록(m)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블록조립체를 구성한 것을 보인 것이다. 이는 연결되는 블록들이 수개 내지 수십개의 블록들을 연결블록과의 결합에 의해 연결조립하기 때문에 연결부분이 감당해야 할 중량이 커지면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특히나 액츄에이터 블록을 이용한 움직임이 있는 블록조립체를 만들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조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구동되는 것이므로, 액츄에이터 작동에 의한 움직임이 발생 될 때 연결부분이 쉽게 이탈 분리되어 블록 조립체가 무너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 된다. 3 is an illustration of a block assembly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ster block 110 and the slave block 120 ar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block m through the connection block 130 to form a desired block assembly. This is because the connected blocks are assembled by coupling several to several tens of blocks with the connecting block,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easily separated while the weight to be handled is increased. Particularly, since a block assembly with motion using an actuator block is made, and a program is set and adjusted in a mobile terminal or is driven by a preset program, when a motion by an actuator operation occurs, Often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각 블록들을 일반 레고블록 들과 호환시켜 연결하여 블록조립체를 만들 수 있도록 레고 연결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액츄에이터 작동시 연결부분의 분리 이탈로 인한 조립체가 무너지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연결구조를 개선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robotics system in which each block of the modular robotic system based on IoT is interchangeably connected with general LEGO blocks to maintain a LEGO connection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solve the collapse of the assembly due to separation and separa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를 보인 개요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다면체 블록의 예시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ombin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illustration of a polyhedron block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 modular robotic system based on IoT,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마스터블록(110)과, 슬레이브블록(120) 및 중간블록(m)을 포함하는 다면체블록(300)의 어느 한 면 또는 복수면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돌출부(301)가 배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30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블록(200)을 구성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301 are equally spaced on one or a plurality of faces of the master block 110 of the IoT-based modular robotic system and the polyhedral block 300 including the slave block 120 and the intermediate block m Respectively. The connection block 2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301.

연결블록(200)은, 상기 다면체블록(300)의 돌출부(301)와 대응되어 결합 될 수 있는 홈(201)을 갖는 복수의 원통부(202) 및 복수의 원통부(202)를 안쪽에 포함시키는 테두리(203)가 양면에 형성된다.The connecting block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202 and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202 having grooves 201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s 301 of the polyhedron block 300, A frame 203 is formed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이 다면체블록(300)에 돌출부(301)가 형성되고, 연결블록(200)에 홈(201)이 형성된 홈가이드(202)와 테두리(203)가 형성되어 돌출부(301)가 홈(201) 또는 홈가이드(202)와 테두리(203)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다.The protrusion 301 is formed in the polyhedron block 300 and the groove 202 having the groove 201 formed in the connecting block 200 and the rim 203 are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301 is formed in the groove 201 Or between the groove guide 202 and the rim 203. In this case,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블록(200)에는 상기 원통부(202) 및 테두리(203)보다 더 높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210)이 형성되고, 상기 다면체 블록(300)의 돌출부(301)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연결블록(200)의 결합핀(201)이 삽입되는 핀삽입공(310)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at least one coupling pin 210 protruding higher than the cylindrical portion 202 and the rim 203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lock 200, and the polyhedral block 300 A pin insertion hole 310 into which the coupling pin 201 of the connection block 200 is inserted is furth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200 on which the protrusion 301 is formed.

상기 다면체 블록(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블록, 슬레이브블록으로는 액츄에이터블록과 센서 블록을 포함하는데, 그 일예로서, (b)DC 모터블록, (c)부저블록, (d)가변저항블록, (e)중간블록, (f)LED블록을 포함하고, 그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터치센서블록, 조명블록,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다면체블록(300)의 예시로서 중간블록(m)을 다면체블록(300)으로 도시하여 연결구조를 설명한다.As shown in FIG. 5, the polyhedron block 300 includes an actuator block and a sensor block as a master block and a slave block. For example, (b) a DC motor block, (c) a buzzer block, (d) a variable resistor block, (e) an intermediate block, (f) an LED block, and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block, a lighting block, However, as an example of the polyhedron block 300 for convenience, the connect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y showing the middle block m as a polyhedron block 300. FIG.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다면체 블록(300)에는 적어도 한 면 이상에 복수의 돌출부(301)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면에 연결블록(200)의 결합핀(210)에 대응된 핀 삽입공(310)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301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various polyhedral blocks 300 and pin insertion holes 3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ins 210 of the connection block 200 are formed on the protrusions. Is formed.

본 발명의 예로서, 다면체 블록(30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9개의 돌출부(301)가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구조에 대응해서 연결블록(200)에는 4개의 홈가이드(202)가 형성되며, 4개의 홈가이드 정중앙에 결합핀(210)이 돌출 형성되고, 다면체블록(300)에는 정중앙의 돌출부 대신에 핀 삽입공(310)을 형성한 것이다.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groove guides 202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200 corresponding to a structure in which nine projections 30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300 And a pin insertion hole 310 is formed in the polyhedron block 300 in place of the protrusion in the center.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핀(210)이 돌출형성된 연결블록(20)의 한 면을 다면체블록(300)의 돌출부가 형성된 면에 결합하게 되면, 정중앙의 결합핀(210)이 핀 삽입공(310)에 삽입되고, 돌출부(301) 8개는 4개의 홈가이드(202)와 테두리(203) 사이의 각각의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20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in 210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300 o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the coupling pin 210 in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310 And eight protrusions 301 are inserted and joined to the respective spaces between the four groove guides 202 and the rim 203.

따라서 돌출부(301)가 홈가이드(202) 및 테두리(203) 사이의 각 공간에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정중앙의 결합핀(201)이 핀삽입공(310)에 삽입되므로, 직접 수평으로 당겨서 빼지 않는 한 수평하중에 의해 연결부분이 분리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protrusion 301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guide 202 and the rim 203, and the coupling pin 201 in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310. Therefore, Connection part is not separated by horizontal load.

연결블록(200)의 어느 한쪽 면에만 결합핀(210)이 돌출 형성된 연결블록과, 양쪽면에 결합핀이 모두 돌출 형성된 연결블록을 각기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따라 연결블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 connecting block having a coupling pin 210 protruding from only one side of the connecting block 200 and a connecting block having both coupling pi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lock 200, .

한편, 상기 결합핀(210)은, 그 단면이 원형형상이나, 다각형 형상 또는 십자형 형상등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며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각형 또는 십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upling pin 210 may have any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or a cross shape,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or a cross shape to prevent twisting.

상기와 같이 결합핀(210)을 핀 삽입공(310)에 삽입하고, 돌출부(301)들과 연결블록(200)의 홈가이드(202) 및 테두리(203) 사이의 삽입 결합으로 결합력이 향상되는데, 연결블록(200)을 다면체블록(3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연결블록(200)을 잡아 당겨야 한다. 그런데 연결블록(200)은 폭이 좁은 블록으로서 손으로 잡아당기기 어려워 쉽게 분리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The coupling force is improved by inserting the coupling pin 210 into the pin insertion hole 310 and inserting the protrusion 301 between the groove guide 202 and the rim 203 of the coupling block 200 , The connection block 200 must be pulled out in order to separate the connection block 200 from the polyhedron block 300. However, since the connecting block 200 is a narrow block, it is hard to pull it by hand,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easily separate it.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결블록(200)에 손잡이부(220)를 더 형성한다. 손잡이부(220)는 연결블록(200)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시킨다. 손잡이부(220)를 크게 키우면 손으로 잡기 쉬우나 다면체블록(300)들의 결합시 다른 블록들과의 간섭이나 시각적으로 걸리적거리게 보일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andle 220 is further formed on the connecting bloc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2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200. If the knob 220 is enlarged, it is easy to hold the knob 220 by hand. However, when the polygonal blocks 300 are coupled, interference with other blocks or visually distracting can be seen.

따라서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정도로 작은 사이드로 형성하되, 도 7의 손잡이부와 같이 손가락이 걸리는 걸림턱이 있는 구조나, 도 4 및 도 6의 손잡이부와 같이 중간부가 개구된 개구부가 구비된 손잡이부(220)로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잡아 당길때 미끄러지지 않고 잡아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having a side with a small enough size to be pulled by a hand,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a hook is caught by a finger like the handle of Fig. 7 or a handle having an opening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like the handle of Figs. (220). Because it has an opening, it can apply pulling force without slipping when pulling with your finger.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요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의 분리형 결합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structure of a detachable coupling pin of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조에서 상기 다면체블록(300)에 형성되는 핀 삽입공(3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구멍만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6과 같이 핀삽입공(310)의 내측에 핀홀더(32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4 and 5, the pin insertion hole 310 formed in the polyhedron block 300 in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holes are formed, The pin holder 320 can be further formed inside the pin insertion hole 310.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연결블록(200)에는 핀관통공(211)을 형성하고, 핀관통공(211)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분리형 결합핀(20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핀관통공(211)이 형성된 연결블록(200을 다면체블록(300)에 결합하고, 연결블록(200)의 타측면에서 분리형결합핀(210')을 핀관통공(211)을 통해 다면체블록(200)의 핀삽입공(310) 속으로 끼워서 결합하고, 연결블록 타측면에 다른 다면체 블록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분리형 결합핀(210')에는 중간에서 연결블록(200)의 핀관통공의 두께만큼 편심된 위치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어느 한쪽에서 분리형 결합핀(201')을 핀관통공(211)에 끼웠을 때 양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같아지도록 구성하고, 끼워지는 접촉감이 있도록 하여 흘러내리거나 걸림턱이 있는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the connecting block 200 is formed with a pin through hole 211 and a detachable coupling pin 201 'inserted through the pin through hole 211 can do. In this case, the connecting block 200 having the pin through hole 211 is coupled to the polyhedral block 300 and the detachable connecting pin 210 'is connected to the pin through hole 211 at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lock 200 And the other polyhedron block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200. At this time, the separable coupling pin 21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lock 200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310 of the polyhedron block 200, The engagement protrusions are formed at positions eccentric by the thickness of the fin through holes so that the protruding lengths on both sides become equal when the separable engagement pin 201 'is fitted to the pin through hole 211 on either side, It is preferable to keep it down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or slip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ing jaw.

분리형 결합핀(210')인 경우에는, 연결블록(200)을 다면체블록(300)에 결합한후, 연결블록(200)의 타측면에 다른 제품의 블록(예; 레고블록)을 결합할수 있다. 즉, 다른 제품 블록에는 핀 삽입공이 없는 것일 것이므로, 분리형 결합핀으로 구성하게 되면 다른 제품 블록과의 결합에 이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in 210 ', after coupling the connection block 200 to the polyhedron block 300, another block of product (eg, a legacy block) can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200. That is, other product blocks may have no pin insertion holes,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coupling with other product blocks if they are constructed as detachable coupling pins.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블록(300)의 핀삽입공(310)의 내측에 핀홀더(320)를 더 형성하게게 되면, 결합핀(210)이 핀삽입공(310)을 통해 핀홀더(3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러므로 수평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 결합핀(310)이 핀홀더(320)에 접하여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서, 핀삽입공(3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홀더(320)를 포함시킨 구조는, 도 7과 같이 결합핀을 분리형 결합핀(210')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분리형 결합핀(210')을 핀삽입공(310)을 통해 핀홀더(320)에 끼우면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되어 적정한 깊이로 끼워질 수 있다. 이에따라 중간에 걸림턱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어느 한쪽으로 분리형 결합핀이 치우치게 끼워지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6, when the pin holder 320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pin insertion hole 310 of the polyhedron block 300, the coupling pin 210 is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310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in holder 320. Therefore, the force of the engagement pin 310 in contact with the pin holder 320 can be dispersed with respect to the force applied horizontally, so that the pin insertion hole 3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7, the separable coupling pin 210 'may be connected to the pin holder 310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310. In this case, The length to be inserted is limited and it can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depth.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form a stopping jaw in the midd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ble coupling pin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립식 블록(예; 레고 블록)과는 다르게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즉, 액츄에이터 블록이나, 센서블록등에는 전기회로기판과, 배터리, 통신모듈등의 부품들이 삽입되고, 연결 포트등이 설치된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lock coupling structure of the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the master block and the slave block, that is, the actuator block, the sensor block, and the like, unlike the general prefabricated block (e.g., Lego block) A battery,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and a connection port, etc. are installed.

즉, 본 발명의 블록의 중량이 속이 빈 타 제품블록에 비해 더 무겁다. 특히 액츄에이터 블록을 사용하게 되면 조립된 블록 조립체가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회전이나 움직임 등이 발생되어도 결합핀을 이용한 핀결합을 추가시킴으로써, 연결상태가 분리되거나 조립체가 무너지지 않는다.That is, the weight of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vier than other hollow product blocks. Particularly, when the actuator block is used, even if the assembled block assembly rotates or moves due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the coupling state is separated or the assembly is not broken by adding the pin coupling using the coupling pin.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핀을 이용한 핀결합을 추가함으로써 연결력이 강해지는 대신에 분해시 연결블록의 폭이 좁아서 쉽게 잡아당기기 어려우므로, 연결블록에 손잡이부를 일체로 더 형성해줌으로써,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쉽게 분리할 수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결합력은 향상되고, 분리는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force is not strengthened by adding the pin coupling using the coupling pin, it is difficult to easily pull the coupling block because the width of the coupling block is small at the time of disassembly. Therefore, by integrally forming the handle portion in the coupling block,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fore, the bonding force is improved and separation can be made easily.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200 : 연결블록 201 : 홈
202 : 홈가이드 203 : 테두리
210 : 결합핀 201' : 분리형 결합핀
211 : 핀관통공 220 : 손잡이부
300 : 다면체블록 301 : 돌기부
310 : 핀삽입공 320 : 핀홀더
200: connection block 201: home
202: Home guide 203: Rim
210: coupling pin 201 ': detachable coupling pin
211: pin through hole 220: handle portion
300: polyhedron block 301: protrusion
310: pin insertion hole 320: pin holder

Claims (6)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에 있어서,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및 중간블록을 포함하는 다면체블록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등간격으로 배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다면체블록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결합 될 수 있는 홈을 갖는 복수의 원통부 및 복수의 원통부를 안쪽에 포함시키는 테두리가 양면에 형성된 연결블록;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블록에는 상기 원통부보다 더 높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이 형성되고,
상기 다면체블록의 돌출부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연결블록의 결합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공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
In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master block, a polyhedron block including a slave block and an intermediate block;
A connecting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having grooves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of the polyhedron block and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 RTI >
At least one coupling pin protruding higher than the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And a pi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n engaging pin of the connecting block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o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에 있어서,
마스터블록과, 슬레이브블록 및 중간블록을 포함하는 다면체블록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등간격으로 배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다면체블록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결합 될 수 있는 홈을 갖는 복수의 원통부 및 복수의 원통부를 안쪽에 포함시키는 테두리가 양면에 형성된 연결블록;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블록에는 결합핀이 관통 삽입되는 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면체블록의 돌출부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연결블록의 핀관통공과 대응되는 핀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핀관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연결블록의 양면에 결합되는 다면체 블록의 핀삽입공에 양단이 삽입되는 분리형 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
In a block coupling structure of an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master block, a polyhedron block including a slave block and an intermediate block;
A connecting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having grooves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of the polyhedron block and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 RTI >
Wherein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with a pin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in is inserted,
A pi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pin through-hole of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hedron block o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And a detachable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pin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block and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polyhedral block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lock.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에는 연결블록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on block further includes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 RTI ID = 0.0 > 11. < / RTI >
제 3 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
In the third aspect,
And a locking jaw is form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or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oT-based modular robotics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결합핀의 단면이 원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형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upling pi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 polygonal cross section or a cross s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블록의 핀삽입공은,
핀삽입공의 내측에 결합핀의 삽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핀 홀더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의 블록 결합구조.
The polyhedral blo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pin holder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coupling pin into the inside of the pin insertion hole and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is furth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in insertion hole.
KR1020170069789A 2017-06-05 2017-06-05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KR201801331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89A KR20180133162A (en) 2017-06-05 2017-06-05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89A KR20180133162A (en) 2017-06-05 2017-06-05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62A true KR20180133162A (en) 2018-12-13

Family

ID=6467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89A KR20180133162A (en) 2017-06-05 2017-06-05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1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390A (en) * 2018-12-21 2020-06-30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Programming building b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390A (en) * 2018-12-21 2020-06-30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Programming building block
CN111346390B (en) * 2018-12-21 2020-12-25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Programming building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568B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18203907B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44630B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696151B1 (en)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DK2918320T3 (en) Toy construction system
US1182430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elements for a modular construction element and/or system
KR101202391B1 (en) Assembly block for toy
KR200480780Y1 (en) A sensor robot for student
KR101683022B1 (en)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US11330714B2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831334B1 (en)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KR20180133162A (en) STRUCTURE FOR ASSEMBLING OF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KR20170028802A (en) Toy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