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681A - Ofdma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 Google Patents

Ofdma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681A
KR20180132681A KR1020187029231A KR20187029231A KR20180132681A KR 20180132681 A KR20180132681 A KR 20180132681A KR 1020187029231 A KR1020187029231 A KR 1020187029231A KR 20187029231 A KR20187029231 A KR 20187029231A KR 20180132681 A KR20180132681 A KR 20180132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units
wireless device
frequency hopping
sequence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185B1 (ko
Inventor
라자 바네르지
마이클 리처드 그린
빈 티안
빈센트 놀즈 존스 4세
빈센트 놀즈 존스 4세
유한 김
사미어 베르마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AP(access point)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한다. AP는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OFDMA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0001]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2]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또는 스테이션들(STA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유된 무선 매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AP들(access point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BSS(Basic Service Set)에 대응할 수 있는 각각의 AP는 비콘 프레임들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여, AP의 무선 범위 내의 임의의 STA들이 WLAN과의 통신 링크를 설정 및 유지할 수 있게 한다. IEEE 802.11 표준군들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은 Wi-Fi 네트워크들로 지칭될 수 있고, IEEE 802.11 표준군들에 의해 특정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신호들을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은 Wi-Fi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
[0003] Wi-Fi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는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레벨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전력 레벨들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은 더 낮은 전력 레벨들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보다 통상적으로 더 멀리 이동한다. 많은 정부 규제들은 무선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에 대해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을 부과한다. 이러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은 Wi-Fi 디바이스들의 범위를 바람직하지 않게 제한할 수 있다.
[0004]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각각은 몇몇 혁신적인 양상들을 가지며, 그 양상들 중 어떠한 단일 양상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담당하지 않는다.
[0005] 본 개시에 설명된 요지의 하나의 혁신적인 양상은, 정부 규제들에 의해 부과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Wi-Fi 디바이스들의 무선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Wi-Fi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도록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많은 정부 규제들이 Wi-Fi 디바이스들에 대한 것보다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덜 엄격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부과하기 때문에, OFDMA 송신들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더 높은 전력 레벨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의 양상들은 정부 규제들에 의해 부과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Wi-Fi 디바이스들의 무선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0006] 일부 구현들에서, AP(access point)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AP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고;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고 ―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0007] 본 개시에 설명된 요지의 다른 혁신적인 양상은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8] 본 개시에 설명된 요지의 다른 혁신적인 양상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AP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AP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것;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것 ―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09] 본 개시에 설명된 요지의 다른 혁신적인 양상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 ―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0] 본 개시에 설명된 요지의 다른 혁신적인 양상은 무선 스테이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무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주파수 홉핑 패턴을 수신하고;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할당을 수신하고 ―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 송신들을 송신함으로써,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스테이션은, 무선 스테이션에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고 무선 스테이션이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또한, 무선 스테이션이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본 개시에 설명된 요지의 하나 또는 이상의 구현들의 세부사항들은 첨부한 도면들 및 아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특징들, 양상들 및 이점들은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 도면들의 상대적 치수들은 실제대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주목한다.
[0012]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13] 도 2는 예시적인 무선 스테이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14] 도 3은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15] 도 4는 협대역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캐리어 할당 도면을 도시한다.
[0016] 도 5는 업링크 송신들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예시적인 할당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을 도시한다.
[0017] 도 6a는 주파수 홉핑에 기초한 자원 유닛들의 예시적인 할당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을 도시한다.
[0018] 도 6b는 주파수 홉핑에 기초한 자원 유닛들의 다른 예시적인 할당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을 도시한다.
[0019] 도 7a는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유닛들의 예시적인 시퀀스들을 도시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0020] 도 7b는 도 7a의 자원 유닛 시퀀스들 중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표를 도시한다.
[0021] 도 8은 예시적인 트리거 프레임을 도시한다.
[0022] 도 9a는 예시적인 공통 정보 필드를 도시한다.
[0023] 도 9b는 예시적인 사용자별 정보 필드를 도시한다.
[0024] 도 10은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5] 도 11은 무선 디바이스에 자원 유닛들을 할당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6] 도 12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기초하여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스테이션에 대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7]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도시된 도면들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칭한다.
[0028] 다음의 설명은 본 개시의 혁신적인 양상들을 설명하려는 목적들을 위한 특정 구현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교시들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적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설명된 구현들은, 임의의 IEEE 16.11 표준들 또는 임의의 IEEE 802.11 표준들, Bluetooth® 표준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W-CDMA(Wideband-CDMA),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1xEV-DO, EV-DO Rev A, EV-DO Rev B,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Evolved 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AMPS에 따른 RF 신호들 또는 무선, 셀룰러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 예를 들어, 3G, 4G 또는 5G 또는 이들의 추가적인 구현 기술을 활용하는 시스템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공지된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29] 무선 디바이스의 범위는 이의 송신 전력 및 송신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전력 레벨들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은 통상적으로 더 낮은 전력 레벨들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보다 더 멀리 이동하며, 비교적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보다 더 멀리 이동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부과하는 정부 규제들은 무선 디바이스들의 범위를 바람직하지 않게 제한할 수 있다. 세계의 많은 지역들에서,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은 Wi-Fi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보다 덜 엄격하다. 예를 들어,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는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들을 사용하는 2 MHz RU(resource unit)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Wi-Fi 디바이스들에 대해 14 dBm 전력 제한을 부과하고, 2 MHz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20 dBm 전력 제한을 부과한다. 즉,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는 20 dBm까지의 전력 레벨들에서 2 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한편, 2 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Wi-Fi 디바이스는 14 dBm으로 제한된다.
[0030] 본 개시에서 설명된 요지의 구현들은, Wi-Fi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함으로써 Wi-Fi 디바이스가 더 높은 전력 레벨들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Wi-Fi 디바이스는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access point)는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된 적용가능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준수하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결정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AP와 연관된 다수의 Wi-Fi 디바이스들에 통지 또는 달리 표시할 수 있다. AP는 또한 결정된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기초하여 업링크(UL)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다수의 Wi-Fi 디바이스들에게 RU들(resource units)을 할당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들은 결정된 주파수 홉핑 스케줄 및 RU들의 할당을 수신할 수 있고, 그 후 결정된 주파수 홉핑 스케줄 및 할당된 RU들에 기초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3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관된 AP"라는 용어는, 주어진 STA가 연관된 AP를 지칭한다(예를 들어, AP와 주어진 STA 사이에 설정된 통신 채널 또는 링크가 존재한다). "연관되지 않은 AP"라는 용어는 주어진 STA가 연관되지 않은 AP를 지칭한다(예를 들어, AP와 주어진 STA 사이에 설정된 통신 채널 또는 링크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AP 및 주어진 STA는 아직 데이터 프레임들을 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연관된 STA"라는 용어는 주어진 AP와 연관된 STA를 지칭하고, "연관되지 않은 STA"라는 용어는 주어진 AP와 연관되지 않은 STA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협대역"이라는 용어는 20 MHz 미만인 대역폭(예를 들어, 2 MHz 대역폭, 4 MHz 대역폭, 8 MHz 대역폭 및 16 MHz 대역폭)을 지칭할 수 있고, "광대역"이라는 용어는 20 MHz보다 크거나 그와 동일한 대역폭(예를 들어, 1차 20 MHz 채널, 2차 20 MHz 채널, 2차 40 MHz 채널, 2차 80 MHz 채널 등)을 지칭할 수 있다.
[0032]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시스템(100)은 4개의 무선 스테이션들 STA1-STA4, 무선 AP(access point)(110)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WLAN(120)은 IEEE 802.11 표준군들에 따라(또는 다른 적절한 무선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Wi-Fi AP들(access point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화를 위해 오직 하나의 AP(1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WLAN(120)은 AP(110)와 같은 임의의 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AP(110)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의 제조자에 의해 그에 프로그래밍된 고유의 MAC 어드레스를 할당받는다. 유사하게,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또한 고유의 MAC 어드레스를 할당받는다. 일부 양상들에서, AP(110)는 예를 들어,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AID(association identification) 값을 할당할 수 있어서, AP(110)는 스테이션들의 할당된 AID 값들을 사용하여 스테이션들 STA1-STA4를 식별할 수 있다.
[0033] 일부 구현들에서, WLAN(120)은 AP(110)와 스테이션들 STA1-STA4 사이의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통신들을 허용할 수 있다. MIMO 통신들은 SU-MIMO(single-user MIMO) 및 MU-MIMO(multi-user MIMO)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WLAN(120)은 예를 들어,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메커니즘과 같은 다중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다. WLAN(120)이 인프라구조 BSS(basic service set)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WLAN(120)은 I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애드혹 네트워크 또는 피어-투-피어(P2P)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다이렉트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함)일 수 있다.
[0034]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예를 들어, 셀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또한 사용자 장비(UE),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자원들,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자원들 및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자원들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과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035] AP(11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및 셀룰러 통신들과 같은 무선 통신들을 사용하여 AP(110)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110)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자원들,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자원들 및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자원들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과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036] 스테이션들 STA1-STA4 및 AP(110)에 대해,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은 무선 통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Wi-Fi 트랜시버들, 블루투스 트랜시버들, 셀룰러 트랜시버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RF(radio frequency) 트랜시버들(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는 별개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에서, 별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또는 둘 모두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트랜시버는 IEEE 802.11 표준들에 따라 900 MHz 주파수 대역, 2.4 GHz 주파수 대역, 5 GHz 주파수 대역 및 60 MHz 주파수 대역 내에서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트랜시버는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제공된 표준들에 따라, IEEE 802.15 표준들에 따라 또는 둘 모두에 따라 2.4 GHz 주파수 대역 내에서 통신할 수 있다. 셀룰러 트랜시버는 임의의 적절한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다양한 RF 주파수 대역들 내에서 통신할 수 있다.
[0037] 도 2는 예시적인 무선 스테이션(STA)(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200)는 도 1의 무선 스테이션들 STA1-STA4 중 하나 이상의 일례일 수 있다. STA(200)는 디스플레이(202), 입력/출력(I/O) 컴포넌트들(204), 물리-계층 디바이스(PHY)(210), MAC(220), 프로세서(230), 메모리(240) 및 다수의 안테나들(250(1)-250(n))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아이템들이 (예를 들어, 뷰잉, 판독 또는 시청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 또는 화면일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디스플레이(202)는, STA(20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STA(200)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제어하도록 허용하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I/O 컴포넌트들(204)은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들과 같은)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 인터페이스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컴포넌트들(204)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피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38] PHY(210)는 적어도 다수의 트랜시버들(211)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11)은 직접적으로 또는 안테나 선택 회로(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안테나들(250(1)-250(n))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트랜시버들(211)은 AP(110) 및 다른 STA들(또한 도 1 참조)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그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TA(200)의 무선 범위 내의) 인근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다른 STA들을 검출 및 식별하기 위해 주변 환경을 스캐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트랜시버들(211)은 안테나들(250(1)-250(n))을 통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의 신호들을 프로세싱 및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송신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들(250(1)-250(n))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수신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200)는 MIMO 동작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MIMO 동작들은 SU-MIMO 동작들 및 MU-MIMO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STA(200)는 또한 OFDMA 통신들 및 예를 들어, IEEE 802.11ax 규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다른 적절한 다중 액세스 메커니즘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0039] 기저대역 프로세서(212)는 프로세서(230) 또는 메모리(240)(또는 둘 모두)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250(1)-250(n))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트랜시버들(211)에 포워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212)는 또한 트랜시버들(211)을 통해 안테나들(250(1)-250(n))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프로세서(230) 또는 메모리(240)(또는 둘 모두)에 포워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40] MAC(220)는 적어도 다수의 경합 엔진들(221) 및 프레임 포맷팅 회로(222)를 포함할 수 있다. 경합 엔진들(221)은 공유된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합할 수 있고(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합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들을 사용하여) 공유된 무선 매체를 통한 송신을 위해 패킷들을 저장할 수 있다. STA(200)는 복수의 상이한 액세스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합 엔진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경합 엔진들(221)은 MAC(220)와 별개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들에서, 경합 엔진들(221)은, 프로세서(23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경합 엔진들(221)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메모리(240)에 저장된 또는 MAC(220) 내에 제공된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41] 프레임 포맷팅 회로(222)는 프로세서(23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에 의해 제공된 PDU들에 MAC 헤더들을 추가함으로써) 생성 및 포맷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PHY(2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를 들어, PHY(2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로부터 MAC 헤더들을 스트립핑함으로써) 리-포맷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예는 프로세서(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커플링된 MAC(220)를 도시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PHY(210), MAC(220), 프로세서(230) 및 메모리(240)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0042] 프로세서(230)는 STA(200)에 (예를 들어, 메모리(24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스크립트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230)는 프로세서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프로세서(230)는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단일 칩에 집적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갖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프로세서(230)는 하나 이상의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PLD들(Programmable Logic Devices)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0043] 메모리(240)는 STA(200) 및 다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AP들 및 다른 STA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241)를 포함할 수 있다. STA(200)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STA의 MAC 어드레스, STA(200)가 속한 기본 서비스 세트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 STA의 대역폭 능력들, STA의 지원되는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들, STA의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AP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AP의 BSSID, MAC 어드레스, 채널 정보, 주파수 홉핑 스케줄,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들, 굿풋(goodput) 값들,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들, STA(200)와의 접속 이력, (AP의 위치에 대한 신뢰도 레벨 등을 표시하는 것과 같은) AP의 신용 값 및 AP의 동작과 관련되거나 이를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44] 메모리(240)는 또한 주파수 홉핑 데이터베이스(24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홉핑 데이터베이스(242)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 주파수 홉핑 스케줄(예를 들어, AP에 의해 제공됨), 자원 유닛들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예를 들어,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기초하여 할당됨), 최대 자원 유닛 체류 시간, 누적된 시퀀스 기간 체류 시간 또는 STA(200)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홉핑 기술들과 관련되거나 이를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0045] 메모리(240)는 또한 적어도 다음 소프트웨어(SW)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STA(2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임의의 적절한 프레임들(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들, 액션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및 관리 프레임들)의 생성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팅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243);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트리거 프레임들이 STA(200)에 RU들(resource units)을 할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트리거 프레임들이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트리거 프레임 수신 소프트웨어 모듈(244); 및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존재하는 경우) 어느 RU들이 STA(200)에 할당되는지 결정하고, STA(200)에 대한 주파수 홉핑 스케줄들 및 RU 시퀀스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자원 유닛 및 주파수 홉핑 디코딩 소프트웨어 모듈(245).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세서(23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STA(200)로 하여금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240)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도 10 내지 도 12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46] 프로세서(230)는 STA(2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임의의 적절한 프레임들(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들, 액션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및 관리 프레임들)의 생성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팅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243)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트리거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트리거 프레임들이 STA(200)에 RU들(resource units)을 할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트리거 프레임들이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트리거 프레임 수신 소프트웨어 모듈(244)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존재하는 경우) 어느 RU들이 STA(200)에 할당되는지 결정하고, STA(200)에 대한 주파수 홉핑 스케줄들 및 RU 시퀀스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자원 유닛 및 주파수 홉핑 디코딩 소프트웨어 모듈(245)을 실행할 수 있다.
[0047] 도 3은 예시적인 AP(access point)(3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AP(300)는 도 1의 AP(110)의 일례일 수 있다. AP(300)는 PHY(310), MAC(320), 프로세서(330), 메모리(3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0) 및 다수의 안테나들(360(1)-360(n))을 포함할 수 있다. PHY(310)는 적어도 다수의 트랜시버들(311)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311)은 직접적으로 또는 안테나 선택 회로(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안테나들(360(1)-360(n))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트랜시버들(311)은 하나 이상의 STA들과, 하나 이상의 다른 AP들과, 그리고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트랜시버들(311)은 안테나들(360(1)-360(n))을 통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의 신호들을 프로세싱 및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송신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들(360(1)-360(n))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수신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300)는 SU-MIMO 동작들 및 MU-MIMO 동작들과 같은 MIMO 동작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AP(300)는 또한 OFDMA 통신들 및 예를 들어, IEEE 802.11ax 규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다른 적절한 다중 액세스 메커니즘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0048] 기저대역 프로세서(312)는 프로세서(330) 또는 메모리(340)(또는 둘 모두)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360(1)-360(n))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트랜시버들(311)에 포워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312)는 또한 트랜시버들(311)을 통해 안테나들(360(1)-360(n))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프로세서(330) 또는 메모리(340)(또는 둘 모두)에 포워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49]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0)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개입 네트워크들을 통해 WLAN 서버(단순화를 위해 미도시)와 통신하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50] MAC(320)는 적어도 다수의 경합 엔진들(321) 및 프레임 포맷팅 회로(322)를 포함할 수 있다. 경합 엔진들(321)은 공유된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합할 수 있고, 또한 공유된 무선 매체를 통한 송신을 위해 패킷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300)는 복수의 상이한 액세스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합 엔진들(3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경합 엔진들(321)은 MAC(320)와 별개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들에서, 경합 엔진들(321)은,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경합 엔진들(321)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메모리(340)에 저장된 또는 MAC(320) 내에 제공된 메모리 내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51] 프레임 포맷팅 회로(322)는 프로세서(33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에 의해 제공된 PDU들에 MAC 헤더들을 추가함으로써) 생성 및 포맷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PHY(3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를 들어, PHY(3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로부터 MAC 헤더들을 스트립핑함으로써) 리-포맷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예는 프로세서(330)를 통해 메모리(340)에 커플링된 MAC(320)를 도시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PHY(310), MAC(320), 프로세서(330) 및 메모리(340)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0052] 프로세서(330)는 AP(300)에 (예를 들어, 메모리(34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스크립트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330)는 프로세서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프로세서(330)는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단일 칩에 집적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갖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프로세서(330)는 하나 이상의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PLD들(Programmable Logic Devices)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0053] 메모리(340)는 복수의 STA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341)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STA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STA의 MAC 어드레스,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들, AP(300)와의 접속 이력, STA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RU들, STA의 주파수 홉핑 패턴, STA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RU 시퀀스들 및 STA의 동작과 관련되거나 이를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54] 메모리(340)는 또한 적어도 다음 소프트웨어(SW)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AP(3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임의의 적절한 프레임들(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들, 액션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및 관리 프레임들)의 생성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팅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342);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선택하고,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결정 또는 선택하기 위한 주파수 홉핑 패턴 및 스케줄링 SW 모듈(343);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파수 홉핑 스케줄들 또는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을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하기 위한 RU(resource unit) 할당 소프트웨어 모듈(344); 및
·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홉핑 패턴들, 주파수 홉핑 스케줄 및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의 할당을 무선 디바이스들에 통지 또는 달리 표시하기 위한 통지 소프트웨어 모듈(345).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AP(300)로 하여금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340)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도 10 내지 도 12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55] 프로세서(330)는 AP(3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임의의 적절한 프레임들(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들, 액션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및 관리 프레임들)의 생성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팅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342)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선택하고,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결정 또는 선택하도록 주파수 홉핑 패턴 및 스케줄링 SW 모듈(343)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들이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사용하여 UL OFDMA 통신들을 송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파수 홉핑 스케줄들 또는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에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을 할당하도록 자원 유닛 할당 소프트웨어 모듈(344)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주파수 홉핑 패턴들, 주파수 홉핑 스케줄 및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의 할당을 무선 디바이스들에 통지 또는 달리 표시하도록 통지 소프트웨어 모듈(345)을 실행할 수 있다.
[0056]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IEEE 802.11ax 규격은, 다수의 STA들이 공유된 무선 매체 상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 및 수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메커니즘과 같은 다수의 액세스 메커니즘들을 도입할 수 있다. OFDMA를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이용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은 다수의 상이한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RU들(resource units)로 분할될 수 있고, 상이한 RU들은 주어진 시점에 (STA들과 같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 또는 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이들에게 할당된 RU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하여 무선 매체 상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RU는 무선 매체의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보다 훨씬 작은 이용가능한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IEEE 802.11ax 규격은 무선 디바이스들이 (예를 들어, 1차 20 MHz 채널 및 가변 대역폭들의 하나 이상의 2차 채널들에 비해) 2 MHz, 4 MHz, 8 MHz 및 16 MHz의 더 작은 채널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0057] 도 4는 협대역 송신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80 MHz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캐리어 할당 도면(400)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협대역 송신들"이라는 용어는 20 MHz 미만의 주파수 대역폭들을 사용하는 송신들을 지칭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무선 채널은 다수의 RU들(resource units)로 분할될 수 있고, RU들 각각은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캐리어 할당(410)은 26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자원 유닛들 RU1-RU37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캐리어 할당(420)은 5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자원 유닛들 RU1-RU16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서브캐리어 할당(430)은 106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자원 유닛들 RU1-RU8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서브캐리어 할당(440)은 24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자원 유닛들 RU1-RU4를 포함할 수 있고, 제5 서브캐리어 할당(450)은 484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자원 유닛들 RU1-RU2를 포함할 수 있고, 제6 서브캐리어 할당(460)은 996개의 서브캐리어들(SU(single-user) 동작들에 대한 채널의 좌측 절반을 가짐)을 포함하는 하나의 R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서브캐리어 할당들(410, 420, 430, 440, 450, 및 460) 각각에 대해, 인접한 RU들은 예를 들어, 인접한 RU들 사이의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해 널 서브캐리어(예를 들어, DC 서브캐리어)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서브캐리어 할당 도면(400)의 수들(26, 52, 106, 242, 484 및 996)은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할당에 대한 자원 유닛들 각각에서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표현함을 주목한다.
[0058]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특정 또는 전용 RU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AP와 연관된 다수의 STA들을 식별할 수 있고, 이들의 할당된 RU들을 사용하여 업링크(UL) MU(multi-user) 데이터 송신들을 식별된 STA들로부터 신청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어느 STA들이 UL 데이터를 AP에 송신할지를 식별하기 위해, AP에 의해 이의 연관된 STA들에 할당된 AID(association identification) 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RU 크기 및 위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및 트리거 프레임에서 식별된 STA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UL 송신들에 대한 전력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RU 크기는 RU의 대역폭을 표시할 수 있고, RU 위치는 어느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이 RU에 할당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0059] 도 5는 업링크(UL) 송신들에 대한 RU들(resource units)의 예시적인 할당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500)을 도시한다. 도 5의 AP는 예를 들어, 도 1의 AP(110) 또는 도 3의 AP(300)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AP일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들 STA1-STAn 각각은 예를 들어, 도 1의 스테이션들 STA1-STA4 또는 도 2의 STA(200)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스테이션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는 백오프 기간 또는 PIFS(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 지속기간(예를 들어, 시간들 t1과 t2 사이) 동안 매체 액세스에 대해 경합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다른 적절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매체 액세스에 대해 경합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예를 들어, 다수의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고, 매체 액세스에 대해 경합하지 않을 수 있다.
[0060] AP는 시간 t2에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고, 다운링크(DL) 채널 상에서 스테이션들 STA1-STAn에 트리거 프레임(502)을 송신할 수 있다. 시간 t2는 TXOP(transmit opportunity)(508)의 시작을 표시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502)은 트리거 프레임(502)에 의해 식별된 다수의 스테이션들 STA1-STAn 각각에 전용 RU를 할당할 수 있고, 식별된 스테이션들 STA1-STAn으로부터 UL MU 데이터 송신들을 신청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 프레임(502)에 의해 할당된 전용 RU들은 예를 들어 고유할 수 있어서, 스테이션들 STA1-STAn은 UL 데이터를 AP에 동시에(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0061] 스테이션들 STA1-STAn은 시간 t3에(또는 그 근처에서) 트리거 프레임(502)을 수신할 수 있다. 식별된 스테이션들 STA1-STAn 각각은 트리거 프레임(502)에 의해 할당된 전용 RU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트리거 프레임(502)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 프레임(502)은 예를 들어, 도 5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프레임(502)의 수신으로부터 특정되지 않은 인터프레임 간격(xIFS) 지속기간 이후에 시작하도록 식별된 스테이션들 STA1-STAn으로부터의 UL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0062] 시간 t4에, 식별된 스테이션들 STA1-STAn은 이들 각각의 전용 RU들 상에서 UL MU 데이터(504)를 송신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식별된 스테이션들 STA1-STAn 각각은, AP에 UL MU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자신의 할당된 RU와 연관된 주파수 대역이 (PIFS 지속기간과 같은) 지속기간 동안 유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0063] AP는, 시간 t5에 식별된 스테이션들 STA1-STAn으로부터 UL MU 데이터(504)를 수신할 수 있고, 시간 t6에 멀티-스테이션 블록 확인응답(M-BA) 프레임(506)을 스테이션들 STA1-STAn에 송신함으로써 UL MU 데이터(504)의 수신을 확인응답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는 스테이션들 STA1-STAn으로부터 UL MU 데이터(504)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지속기간 이후 M-BA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다른 적절한 지속기간 이후 M-BA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0064] 비교적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은 비교적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짧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협대역 통신들은 (이득이 모든 주파수들에 대해 비교적 일정하도록) 채널의 주파수 응답이 비교적 평탄한 주파수 범위들을 지칭할 수 있고, 광대역 통신들은 (주파수 응답이 평탄하지 않도록) 협대역 통신들보다 큰 주파수 범위들을 지칭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매체는 통상적으로 1차 채널 및 하나 이상의 2차 채널들로 분할된다. 1차 및 2차 채널들은 다양한 대역폭들일 수 있고, 40 MHz 채널들, 80 MHz 채널들 또는 160 MHz 채널들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20 MHz 채널들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80 MHz 주파수 스펙트럼은 1차 20 MHz 채널, 2차 20 MHz 채널 및 2차 40 MHz 채널로 분할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80 MHz 주파수 스펙트럼은 1차 40 MHz 채널 및 2차 40 MHz 채널로 분할될 수 있다.
[0065] 80 MHz 주파수 스펙트럼을 활용하는 OFDMA-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AP는 20 MHz보다 작은 RU들을 UL 송신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는 2 MHz, 4 MHz, 8 MHz 및 16 MHz와 같은 크기들을 갖는 비교적 작은 RU들을 UL 송신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할 수 있다. 정부 규제들에 의해 부과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은 통상적으로 전력 대 주파수 대역폭의 함수로서 표현되기 때문에, 주어진 RU에 대한 송신 전력 제한들은 통상적으로 RU의 크기에 비례한다. 더 구체적으로, 정부 규제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통상적으로 비교적 작은 RU(예를 들어, 2 MHz 폭) 상에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보다는 비교적 큰 RU(예를 들어, 20 MHz 폭) 상에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더 높은 전력 레벨들을 사용하도록 허용한다.
[0066]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Ntot)를 갖는 80 MHz 채널을 활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NRU)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 RU를 할당받으면, (할당된 RU에 비해) 더 작은 RU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의 PSD(power spectral density) 이득(GPSD)은 GPSD = 10log10(Ntot/NRU)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MHz RU를 사용한 송신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의 PSD 이득은 GPSD = 10log10(37) = 15.6 dB로서 표현될 수 있다. 15.6 dB의 PSD 이득이 ETSI에 의해 Wi-Fi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된 11dBm/MHz PSD 제한을 초과하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는 Wi-Fi 디바이스들에 대한 ETSI의 PSD 제한들을 준수하기 위해 자신의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고, 이는 결국 바람직하지 않게 무선 디바이스의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0067]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도록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은 주어진 송신 대역폭에 대해 Wi-Fi 디바이스들보다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들을 허용받기 때문에,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능력은 Wi-Fi 디바이스들이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능할 것보다 더 높은 전력 레벨들로 OFDMA 통신들을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는 예를 들어, 다수의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선택할 수 있어서,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될 수 있다. AP는 다수의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을 주파수 홉핑 스케줄로 결합할 수 있고,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따라 RU들을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는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미리 정의된 주파수 홉핑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AP는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사설 주파수 홉핑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0068] AP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 및 할당된 RU들을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통지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 및 할당된 RU들을 하나 이상의 트리거 프레임들에서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AP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비콘 프레임에서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통지할 수 있고,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기초한 RU들을 하나 이상의 트리거 프레임들에서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들에서, AP는 임의의 적절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프레임 또는 패킷을 사용하여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통지할 수 있다.
[0069]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을 (Wi-Fi 디바이스보다는)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함으로써, 본 개시의 양상들은 무선 디바이스들이 OFDMA 송신들에 대해 부과된 PSD 제한들보다 큰 전력 레벨들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2 MHz 채널 상에서 OFDMA 송신들에 대한 14 dBm의 ETSI들의 제한에 비해) 최대 20 dBm의 전력 레벨들을 사용하여 2 MHz RU 상에서 OFDMA 통신들을 송신할 수 있다.
[0070] AP는 예를 들어, 자신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 패턴들을 선택 또는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AP 및 선택된 무선 디바이스들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적용가능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준수할 수 있다. 일례로, 일본은, 무선 디바이스가 15개 이상의 채널들에 걸쳐 홉핑하고 채널들 각각에서 400 밀리초(ms) 미만인 체류 시간을 가지면, 무선 디바이스를 2.4 GHz 대역의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 고려한다. 다른 예를 들어, 유럽은, 무선 디바이스가 15개 이상의 채널들에 걸쳐 홉핑하고 각각의 채널의 누적된 체류 시간이 주파수 홉핑 지속기간에 걸쳐 15 ms보다 작으면, 무선 디바이스를 2.4 GHz 대역의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 고려한다.
[0071] 일부 구현들에서, AP는 적어도 15개의 연속적인 송신들에 대해 동일한 무선 디바이스에 동일한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지 않는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을 선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AP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유럽 및 일본의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하기 위해,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결정하고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을 자신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하여,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은 예를 들어, 적어도 15개의 상이한 RU들(또는 채널들)에 걸쳐 홉핑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는,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일본의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도록 주어진 RU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400 ms 미만을 소모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주파수 홉핑 패턴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AP는 예를 들어, 유럽의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되도록, 할당된 RU들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누적된 체류 시간이 주파수 홉핑 시퀀스에 걸쳐 15 ms 미만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주파수 홉핑 패턴들을 선택할 수 있다.
[0072] 도 6a는 주파수 홉핑에 기초한 RU들(resource units)의 예시적인 할당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600A)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논의의 목적들로, 도 6a는 다수의 연관된 무선 스테이션들 STA1-STA4에 RU들을 할당하는 AP(access point)를 도시한다. AP는 예를 들어, 도 1의 AP(110) 또는 도 3의 AP(300)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AP일 수 있다.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예를 들어, 도 1의 스테이션들 STA1-STA4 또는 도 2의 STA(200)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스테이션일 수 있다.
[0073] AP는 자신의 연관된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주파수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UL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 홉핑 패턴들은 AP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AP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 홉핑 패턴들은 또한 이용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가능한 RU들의 수 및 RU들 각각에 대한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0074] 일부 구현들에서, AP는 백오프 기간 또는 PIFS 지속기간(예를 들어, 시간들 t1과 t2 사이) 동안 매체 액세스에 대해 경합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다른 적절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매체 액세스에 대해 경합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예를 들어, 다수의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고, 매체 액세스에 대해 경합하지 않을 수 있다.
[0075] AP는 제1 TXOP(601)의 시작일 수 있는 시간 t2에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다. AP는 DL 채널 상의 스테이션들 STA1-STA4에 트리거 프레임(610)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트리거 프레임(610)은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통지할 수 있고, AP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 프레임(610)은 할당된 RU들을 사용한 UL 송신들에 대해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의해 사용될 RU 크기들 및 위치들, MCS들 및 전력 레벨들을 표시할 수 있다.
[0076]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프레임(610)은 시퀀스 기간 동안 주파수 홉핑을 위해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이 사용할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을 할당한다. 시퀀스 기간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가 그 사이에서 홉핑해야 하는 상이한 RU들의 수를 포함하거나 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부 규제들이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를 15개의 상이한 채널들에 걸쳐 홉핑하는 디바이스로서 정의하는 곳에 AP가 위치된 경우, 시퀀스 기간은, 스테이션들 STA1-STA4가 15개의 상이한 RU들 사이에서 홉핑하는 시간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0077] 일부 구현들에서, 트리거 프레임(610)은 RU의 할당이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기초함을 표시할 수 있고, AP가 UL OFDMA 송신들에 대해 주파수 홉핑 기술들을 이용하도록 자신의 연관된 디바이스들에 명령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도 6a의 스테이션들 STA1-STA4에 할당된 RU들은 상이한 크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적은 양의 UL 데이터를 갖는 스테이션들은 비교적 작은 RU들(예를 들어, 2 MHz)을 할당받을 수 있고, 비교적 많은 양의 UL 데이터를 갖는 스테이션들은 비교적 큰 RU들(예를 들어, 4 MHz, 8 MHz 또는 16 MHz)을 할당받을 수 있다.
[0078] 스테이션들 STA1-STA4는 시간 t3에(또는 그 근처에서) 트리거 프레임(610)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610)을 수신하면,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추출할 수 있고 AP에 의해 할당된 자신의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은 할당된 RU들 각각에 대한 지속기간 미만 동안(예를 들어, AP가 일본에 위치된 경우 RU당 400 ms미만 동안) 체류하도록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명령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은, (예를 들어, AP가 유럽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누적된 체류 시간이 시퀀스 기간에 걸쳐 15 ms 미만이 되도록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명령할 수 있다.
[0079] 시간 t4에,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자신의 고유의 RU 상에서 UL MU 데이터(612)를 송신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도 6a의 예에 대해, 제1 스테이션 STA1은 자원 유닛 RU1 상에서 UL MU 데이터(612)를 송신하고, 제2 스테이션 STA2는 자원 유닛 RU16 상에서 UL MU 데이터(612)를 송신하고, 제3 스테이션 STA3은 자원 유닛 RU21 상에서 UL MU 데이터(612)를 송신하고, 제4 스테이션 STA4는 자원 유닛 RU26 상에서 UL MU 데이터(612)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상이한 RU들을 사용하여 UL MU 데이터를 AP에 동시에(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0080] 트리거 프레임(610)은 트리거 프레임(610)의 수신으로부터 특정되지 않은 인터프레임 간격(xIFS) 지속기간 이후에 시작하도록 스테이션들 STA1-STA4로부터의 UL 데이터 송신들을 신청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 프레임(610)은 스테이션들 STA1-STA4가 UL MU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채널을 감지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CS(channel sense)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 CS 비트가 어서팅되면(asserted),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AP에 UL MU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자신의 할당된 RU의 주파수 대역이 (PIFS 지속기간과 같은) 지속기간 동안 유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CS 비트가 어서팅되지 않으면, 스테이션들 STA1-STA4는 xIFS 지속기간의 만료 시에 UL 송신들을 시작할 수 있다.
[0081] AP는, 시간 t5에 스테이션들 STA1-STA4로부터 UL MU 데이터(612)를 수신할 수 있고, 시간 t6에 멀티-스테이션 블록 확인응답(M-BA) 프레임(616)을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송신함으로써 UL MU 데이터(612)의 수신을 확인응답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는 스테이션들 STA1-STA4로부터 UL MU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지속기간 이후 M-BA 프레임(616)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다른 적절한 지속기간 이후 M-BA 프레임(616)을 송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 STA1-STA4는 시간 t7에 M-BA 프레임(616)을 수신하고, 이는 제1 TXOP(601)의 종료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0082] 소정의 지속기간 이후, AP는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제2 트리거 프레임(620)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TXOP(602)의 시작을 시그널링할 수 있는 제2 트리거 프레임(620)은 스테이션들 STA1-STA4로부터 스테이션들의 할당된 RU들 상에서 UL 송신들을 신청할 수 있다. 도 6a의 예에 대해, 제1 스테이션 STA1은 자원 유닛 RU2 상에서 UL MU 데이터(622)를 송신하고, 제2 스테이션 STA2는 자원 유닛 RU17 상에서 UL MU 데이터(622)를 송신하고, 제3 스테이션 STA3은 자원 유닛 RU22 상에서 UL MU 데이터(622)를 송신하고, 제4 스테이션 STA4는 자원 유닛 RU27 상에서 UL MU 데이터(622)를 송신한다. 제1 트리거 프레임(610)이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이미 통지했고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을 시퀀스 기간 동안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에 이미 할당했기 때문에, 제2 트리거 프레임(620)은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트리거 프레임(620)의 크기 및 송신 지속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RU들을 스테이션들 STA1-STA4에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0083] AP는 제2 M-BA 프레임(626)을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송신함으로써 UL MU 데이터(622)의 수신을 확인응답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의한 제2 M-BA 프레임(626)의 수신은 제2 TXOP(602)의 종료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 STA1-STA4는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AP에 UL MU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어서, (1) 임의의 주어진 TXOP 동안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상이한 RU를 할당받고, (2)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임의의 주어진 시퀀스 기간(예를 들어, 15 TXOP들)에 동일한 RU 상에서 UL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0084] 도 6b는 주파수 홉핑에 기초한 RU들(resource units)의 다른 예시적인 할당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600B)을 도시한다. 도 6b의 시퀀스 도면(600B)은,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통지하고 전체 시퀀스 기간 동안 RU들의 고유의 시퀀스들을 할당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 대신에, AP가 대응하는 TXOP(601) 동안 스테이션들 STA1-STA4에 RU들을 할당하는 시간 t2에 트리거 프레임(611)을 송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a의 시퀀스 도면(600A)과 유사하다.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트리거 프레임(611)을 수신하고, 자신의 할당된 RU를 식별하고, 그 다음 자신의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AP에 UL MU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1 TXOP(601)가 종료된 후, AP는 제2 TXOP(602) 동안 스테이션들 STA1-STA4에 RU들을 할당하는 제2 트리거 프레임(621)을 송신한다.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제2 트리거 프레임(621)을 수신하고, 자신의 할당된 RU를 식별하고, 그 다음 자신의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AP에 UL MU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테이션들 STA1-STA4는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AP에 UL MU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어서, (1) 각각의 TXOP의 시작에서, AP는 스테이션들 STA1-STA4에 고유의 RU들을 할당하기 위한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고, (2)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임의의 주어진 시퀀스 기간(예를 들어, 15 TXOP들)에 동일한 RU 상에서 UL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0085] 도 7a는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에 사용될 수 있는 RU들의 예시적인 시퀀스들을 도시하는 예시(700)를 도시한다. 본원에 논의된 목적들로, 예시(700)에 도시된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은 UL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도 6a 및 도 6b의 각각의 스테이션들 STA1-STA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되기 위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이 사용될 수 있고, 도 6a 및 도 6b의 스테이션들 STA1-STA4는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되기 위해 RU들의 다른 적절한 시퀀스들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86]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 각각은 시퀀스 기간(710) 동안 OFDMA 통신들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스테이션들 STA1-STA4의 각각의 하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15개의 상이한 RU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은 동일한 RU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지만,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 각각은 임의의 주어진 RU의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동일한 RU는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 중 하나 초과에 동시에 할당되지 않는다.
[0087] 일부 구현들에서,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 내의 RU들 각각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특정된 채널 체류 시간과 동일한(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속기간 동안 대응하는 스테이션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일본에 위치된 경우,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 중 주어진 하나 내의 RU들 각각은 400 ms 이하에 대한 대응하는 스테이션에 할당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각각의 RU의 누적된 체류 시간은 시퀀스 기간(710)의 지속기간에 걸친 양보다 작다. 예를 들어, AP가 유럽에 위치된 경우, 각각의 RU의 누적된 체류 시간은 시퀀스 기간(710)의 지속기간에 걸쳐 15 ms보다 작다.
[0088]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 중 주어진 하나 내의 RU들 각각은 TXOP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a의 예에 대해, 제1 스테이션 STA1은 제1 TXOP 동안 RU1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TXOP 동안 RU2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3 TXOP 동안 RU3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식이고, 그 다음, 제15 TXOP 동안 RU15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 STA2는 제1 TXOP 동안 RU16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TXOP 동안 RU17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3 TXOP 동안 RU18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식이고, 그 다음, 제15 TXOP 동안 RU10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스테이션 STA3은 제1 TXOP 동안 RU21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TXOP 동안 RU22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3 TXOP 동안 RU23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식이고, 그 다음, 제15 TXOP 동안 RU5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4 스테이션 STA4는 제1 TXOP 동안 RU26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TXOP 동안 RU27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3 TXOP 동안 RU28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식이고, 그 다음, 제15 TXOP 동안 RU20을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89] OFDMA 송신들 동안 주파수 홉핑하기 위해 고유의 RU 시퀀스들(701-704)을 사용함으로써, 스테이션들 STA1-STA4 각각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될 수 있고, 따라서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된 송신 전력 레벨들을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정부 규제들이 OFDMA 통신들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것보다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들을 허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능력은 스테이션들 STA1-STA4가 PSD 제한들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자신들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증가시키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들 STA1-STA4가 유럽에 위치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고 있으면,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능력은 스테이션들 STA1-STA4가 대략 14 dBm(예를 들어 OFDMA 송신들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됨)부터 대략 20 dBm(예를 들어,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에 대해 부과됨)까지 자신들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증가시키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의 양상들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스테이션들 STA1-STA4의 무선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0090] 도 7b는 도 7a의 고유의 RU 시퀀스(701)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표(720)를 도시한다. 고유의 RU 시퀀스(701)의 예시적인 구성은 80 MHz Wi-Fi 네트워크의 상황에서 아래에 설명된다. 고유의 RU 시퀀스(701) 또는 이의 파생물들의 예시적인 구성은 또한 다른 주파수 대역폭들(예를 들어, 40 MHz 대역폭)을 활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91]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IEEE 802.11ax 규격은 80 MHz 채널이 37개의 2 MHz RU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AP는 37개의 RU들(도 7b에서 RU1-RU37로 표시됨) 각각에 "0"의 초기 카운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0"의 카운트 값을 갖는 RU는 다음 TXOP 동안 UL OFDMA 송신들에 대한 AP의 연관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의 할당을 위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0092] AP가 초기에 UL OFDMA 송신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에 RU를 할당하는 경우, AP는 RU의 카운트 값을 "15"의 최대 카운트 값으로 리셋할 수 있다. 각각의 후속 TXOP에 대해, AP는 "0"의 카운트 값을 갖는 RU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에 이전에 할당된 모든 RU들의 카운트 값들을 "1"의 값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고유의 RU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이러한 프로세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15개의 상이한 RU들(이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시퀀스 기간에 대응할 수 있음) 상에서 UL MU 데이터를 송신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UL 송신들에 대해 식별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유사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P는 자신의 무선 디바이스들 중 어떤 것도 적어도 15개의 TXOP들에 대해 동일한 RU 상에서 UL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0093] 일부 양상들에서, 최대 카운트 값은,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될 수 있는 연속적인 채널 홉핑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 및 유럽과 같은 위치들에서, RU가 초기에 UL OFDMA 송신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경우, AP는 자신의 카운트 값을 예를 들어, "15"의 최대 카운트 값으로 리셋할 수 있는데, 이는 일본 및 유럽 둘 모두에서 주어진 시퀀스 기간 내의 15개의 상이한 채널들(또는 RU들) 사이에서 홉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인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다른 위치들의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적용가능한 정부 규제들에 따라 다른 적절한 수로 설정될 수 있다.
[0094] 도 7b의 예의 경우, AP는 제1 TXOP 동안 RU1을 STA1에 할당하고, RU1의 카운트 값을 15로 리셋한다. 제2 TXOP의 경우, AP는 RU2를 STA1에 할당하고, RU2의 카운트 값을 15로 리셋하고, RU1의 카운트 값을 14로 감소시킨다. 제3 TXOP의 경우, AP는 RU3을 STA1에 할당하고, RU3의 카운트 값을 15로 리셋하고, RU2의 카운트 값을 14로 감소시키고, RU1의 카운트 값을 13으로 감소시킨다. 제4 TXOP의 경우, AP는 RU4를 STA1에 할당하고, RU4의 카운트 값을 15로 리셋하고, RU3의 카운트 값을 14로 감소시키고, RU2의 카운트 값을 13으로 감소시키고, RU1의 카운트 값을 12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AP가 예를 들어, 15개의 RU들에 걸쳐 있는 시퀀스 기간 동안 15개의 상이한 RU들을 STA1에 할당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5 TXOP의 경우, AP는 RU15를 STA1에 할당할 수 있고, 자신의 카운트 값을 15로 리셋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7b의 표(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에 할당된 자원 유닛들 RU1-RU14의 카운트 값들 각각을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0095] AP는 예를 들어, 동일한 RU가 주어진 TXOP에서 하나 초과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RU들의 할당을 스태거링함으로써,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고유의 RU 시퀀스들을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도 7a의 각각의 스테이션들 STA2-STA4에 대해 고유의 RU 시퀀스들(702-704)을 구성하기 위해 예시적인 표(720)를 사용할 수 있다.
[0096]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이전에 사용된 RU들이 무선 디바이스들로의 할당을 위해 언제 다시 이용가능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양수들보다는) 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TXOP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RU를 할당하는 경우, AP는 RU의 카운트 값을 "-15"의 최소 가중치 값(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기 위한 연속적인 채널 홉핑들의 수에 기초한 다른 수)으로 리셋할 수 있다. 그 다음, AP는 이전에 할당된 RU들에 대한 카운트 값을 각각의 후속 TXOP 동안 "1"만큼(예를 들어, 더 양의 수로) 증가시킬 수 있다. 주어진 RU에 대한 카운트 값이 "0"의 이의 초기 카운트 값으로 증가된 경우, 주어진 RU는 AP에 의해 UL OFDMA 송신들에 대한 AP의 무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다시 한번 할당될 수 있다.
[0097] 도 8은 예시적인 트리거 프레임(800)을 도시한다. 트리거 프레임(800)은 도 6a의 트리거 프레임(610) 또는 도 6b의 트리거 프레임(62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800)은 프레임 제어 필드(801), 지속기간 필드(802), 수신기 어드레스(RA) 필드(803), 송신기 어드레스(TA) 필드(804), 공통 정보 필드(805), 다수의 사용자별 정보 필드들(806(1)-806(n)) 및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807)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0098] 프레임 제어 필드(801)는 타입 필드(801A) 및 서브-타입 필드(801B)를 포함한다. 타입 필드(801A)는 트리거 프레임(800)이 제어 프레임인 것을 표시하기 위한 값을 저장할 수 있고, 서브-타입 필드(801B)는 트리거 프레임(800)의 타입을 표시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지속기간 필드(802)는 트리거 프레임(800)의 지속기간 또는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RA 필드(803)는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의 무선 스테이션들 STA1-STA4 중 하나)의 어드레스를 저장할 수 있다. TA 필드(804)는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의 AP)의 어드레스를 저장할 수 있다. 공통 정보 필드(805)는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별 정보 필드들(806(1)-806(n)) 각각은 도 9b에 대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FCS 필드(807)는 프레임 체크 시퀀스를 (예를 들어, 에러 검출을 위해) 저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공통 정보 필드(805)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은 트리거 프레임(800) 내에 포함되거나 그에 첨부된 IE(information element) 또는 VSIE(vendor-specific information element)에 저장될 수 있다(IE 및 VSIE는 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은 트리거 프레임(800)에 첨부된 패킷 확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패킷 확장부는 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
[0099] 도 9a는 예시적인 공통 정보 필드(900)를 도시한다. 공통 정보 필드(900)는 도 8의 트리거 프레임(800)의 공통 정보 필드(805)의 일 구현일 수 있다. 공통 정보 필드(900)는 길이 서브필드(901), 캐스케이드 표시 서브필드(902), HE-SIG-A(high-efficiency signaling A) 정보 서브필드(903), CP(cyclic prefix) 및 LTF(legacy training field) 타입 서브필드(904), 트리거 타입 서브필드(905) 및 트리거-의존 공통 정보 서브필드(90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길이 서브필드(901)는 트리거 프레임(800)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될 UL 데이터 프레임들의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캐스케이드 표시 서브필드(902)는 후속 트리거 프레임이 현재 트리거 프레임을 따르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트리거 프레임(611)의 캐스케이드 표시 서브필드(902)는 트리거 프레임(621)이 트리거 프레임(611)을 따를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0100] HE-SIG-A 정보 서브필드(903)는 트리거 프레임(800)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될 UL 데이터 프레임들의 HE-SIG-A 필드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CP 및 LTF 타입 서브필드(904)는 트리거 프레임(600)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될 UL 데이터 프레임들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및 HE-LTF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트리거 타입 서브필드(905)는 트리거 프레임의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트리거-의존 공통 정보 서브필드(906)는 트리거-의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의존 공통 정보 서브필드(906)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저장할 수 있다.
[00101] 도 9b는 예시적인 사용자별 정보 필드(910)를 도시한다. 사용자별 정보 필드(910)는 도 8의 트리거 프레임(800)의 사용자별 정보 필드들(806(1)-806(n))의 일 구현일 수 있다. 사용자별 정보 필드(910)는 사용자 식별자 서브필드(911), RU 할당 서브필드(912), 코딩 타입 서브필드(913), MCS 서브필드(914), DCM(dual-carrier modulation) 서브필드(915), SS(spatial stream) 할당 서브필드(916) 및 트리거-의존 사용자별 정보 서브필드(917)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식별자 서브필드(911)는, UL MU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전용 RU가 할당되는 STA의 AID(association identification)를 표시할 수 있다. RU 할당 서브필드(912)는 대응하는 STA(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자 서브필드(911)에 의해 식별된 STA)에 할당된 전용 RU를 식별할 수 있다. 코딩 타입 서브필드(913)는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대응하는 STA에 의해 사용될 코딩의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MCS 서브필드(914)는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대응하는 STA에 의해 사용될 MCS를 표시할 수 있다. DCM 서브필드(915)는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대응하는 STA에 의해 사용될 듀얼 캐리어 변조를 표시할 수 있다. SS 할당 서브필드(916)는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UL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대응하는 STA에 의해 사용될 공간 스트림들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00102] 트리거-의존 사용자별 정보 서브필드(917)는, 사용자 식별자 서브필드(911)에 의해 식별된 STA에 대해, 트리거 프레임의 타입에 의존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이 MU-BAR(multi-user block acknowledgement request) 프레임이면, 트리거-의존 사용자별 정보 서브필드(917)는 BAR 제어 파라미터들 및 BAR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의존 사용자별 정보 서브필드(917)는 대응하는 STA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00103] 도 10은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10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동작(1000)은 아래에서 자원 유닛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AP의 상황에서 설명되지만, 임의의 적절한 무선 디바이스가 도 10의 동작(1000)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는 도 1의 스테이션들 STA1-STA4 중 하나 또는 도 2의 STA(200)의 예일 수 있고, AP는 도 1 의 AP(110) 또는 도 3의 AP(300)의 예일 수 있다.
[00104] AP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1002). 일부 구현들에서, 주파수 홉핑 패턴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고려될 적격성들을 표시하는 정부 규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주파수 홉핑 패턴은, 무선 디바이스가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15개 이상의 고유의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서 홉핑할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주파수 홉핑 패턴은 또한 고유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 상에서의 최대 체류 시간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고유의 주파수 대역들의 누적된 체류 시간이 주파수 홉핑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0105] AP는 무선 디바이스에 주파수 홉핑 패턴을 통지할 수 있다(1004). 일부 구현들에서, AP는 비콘 프레임에서 주파수 홉핑 패턴을 통지할 수 있다. 비콘 프레임은 또한 AP와 연관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은 AP와 연관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주파수 홉핑 패턴들을 포함하거나 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AP는 트리거 프레임에서 주파수 홉핑 패턴을 통지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또한 AP와 연관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할 수 있다.
[00106] AP는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할 수 있다(1006).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예를 들어,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일련의 송신 기회들(TXOP들) 중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00107] 일부 구현들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무선 디바이스에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할 수 있다(1006A). 트리거 프레임은, 무선 디바이스가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트리거 프레임은 무선 디바이스가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체류 시간은 400 밀리초이고, 시간 기간은 15 밀리초이고, 시퀀스는 적어도 15개의 고유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한다.
[00108] 다른 구현들에서, 각각의 트리거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도 6b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TXOP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자원 유닛들을 할당할 수 있다.
[00109] AP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1008).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AP에 일련의 OFDMA 송신들을 전송하면서 상이한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스위칭 또는 "홉핑"하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될 수 있고,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더 높은 전력 레벨들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의 양상들은 무선 디바이스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00110] 도 11은 무선 디바이스에 자원 유닛들을 할당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11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동작(1100)은 아래에서 자원 유닛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AP의 상황에서 설명되지만, 임의의 적절한 무선 디바이스가 도 11의 동작(1100)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는 도 1의 스테이션들 STA1-STA4 또는 도 2의 STA(200)의 예일 수 있고, AP는 도 1 의 AP(110) 또는 도 3의 AP(300)의 예일 수 있다.
[00111] AP는 제로와 동일한 카운트 값을 복수의 자원 유닛들 각각에 할당할 수 있다(1102). 예를 들어, 도 7b를 또한 참조하면, AP는 자원 유닛들 RU1-RU37 각각에 "0"의 초기 카운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0"의 카운트 값을 갖는 RU(resource unit)는 다음 TXOP 동안 UL OFDMA 송신들에 대한 AP의 연관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의 할당을 위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00112] AP는 제1 송신 기회(TXOP) 동안 복수의 자원 유닛들 중 제1 자원 유닛을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고(1104), 그 다음,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이의 할당에 기초하여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최대 값으로 리셋할 수 있다(1106). 일부 구현들에서, 최대 카운트 값은 예를 들어, "15"일 수 있는데, 이는 일본 및 유럽 둘 모두에서 주어진 시퀀스 기간 내의 15개의 상이한 채널들(또는 RU들) 사이에서 홉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인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00113] AP는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다음 TXOP 동안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1108). 최대 카운트 값이 "15"인 구현들에서, AP는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14"로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15개의 상이한 RU들 상에서 UL MU 데이터를 송신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고, 그 후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은 제로로 리턴할 것이다. 그 후, AP는 또한 제1 자원 유닛을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00114] 도 12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에 기초하여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스테이션에 대한 예시적인 동작(12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들의 경우, 무선 스테이션은 도 1의 스테이션들 STA1-STA4 중 하나 또는 도 2의 STA(200)의 예일 수 있다.
[00115] 무선 스테이션은 주파수 홉핑 패턴을 수신할 수 있고(1202),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할당을 수신할 수 있고,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한다(1204). 주파수 홉핑 패턴은 무선 스테이션이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고려될 적격성들을 표시하는 정부 규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주파수 홉핑 패턴은, 무선 스테이션이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15개 이상의 고유의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서 홉핑할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주파수 홉핑 패턴은 또한 고유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 상에서의 최대 체류 시간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고유의 주파수 대역들의 누적된 체류 시간이 주파수 홉핑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0116]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스테이션은, AP(access point)로부터, 무선 스테이션에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고 무선 스테이션이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또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주파수 홉핑 패턴은 비콘 프레임에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00117]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트리거 프레임은 무선 스테이션이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체류 시간은 400 밀리초이고, 시간 기간은 15 밀리초이고, 시퀀스는 적어도 15개의 고유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한다.
[00118] 무선 스테이션은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 송신들을 송신할 수 있다(1206).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예를 들어,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다수의 무선 스테이션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일련의 송신 기회들(TXOP들) 중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이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AP에) 일련의 OFDMA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하면서 상이한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스위칭 또는 "홉핑"하기 때문에, 무선 스테이션은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될 수 있고,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더 높은 전력 레벨들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의 양상들은 무선 스테이션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00119]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지칭되는 구문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00120]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프로세스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둘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가능성은 기능의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으며,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프로세스들에서 예시된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00121]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하드웨어 및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범용 단일-칩 또는 멀티-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특정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정한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22]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들 및 이들의 구조적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디지털 전자 회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요지의 구현들은 또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저장 매체들 상에서 인코딩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즉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123]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달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들을 포함한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통합될 수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124] 본 개시에서 설명된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Claims (30)

  1.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시퀀스 기간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주파수 홉핑하게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일련의 송신 기회들(TXOP들) 중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시간은 400 밀리초이고, 상기 시간 기간은 15 밀리초이고, 상기 시퀀스는 적어도 15개의 고유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하는,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OFDMA 통신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표시하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제로와 동일한 카운트 값을 복수의 자원 유닛들 각각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자원 유닛들 중 제1 자원 유닛을 제1 TXOP(transmit opportunity)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할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최대 값으로 리셋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다음 TXOP 동안 1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값의 최대 값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는 것과 연관된 다수의 연속적 주파수 홉들에 기초하는, 방법.
  10. AP(access point)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AP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고 ―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를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하게 하는, AP.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시퀀스 기간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주파수 홉핑하게 하는, AP.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일련의 송신 기회들(TXOP들) 중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되는, AP.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AP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는, AP.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는, AP.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시간은 400 밀리초이고, 상기 시간 기간은 15 밀리초이고, 상기 시퀀스는 적어도 15개의 고유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하는, AP.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OFDMA 통신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표시하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하는, AP.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AP로 하여금,
    제로와 동일한 카운트 값을 복수의 자원 유닛들 각각에 할당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자원 유닛들 중 제1 자원 유닛을 제1 TXOP(transmit opportunity)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게 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할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최대 값으로 리셋하게 하고;
    상기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다음 TXOP 동안 1만큼 감소시키게 하는, AP.
  18.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AP(access point)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AP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시퀀스 기간 동안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업링크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시퀀스 기간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주파수 홉핑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AP로 하여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시간은 400 밀리초이고, 상기 시간 기간은 15 밀리초이고, 상기 시퀀스는 적어도 15개의 고유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OFDMA 통신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표시하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AP로 하여금,
    제로와 동일한 카운트 값을 복수의 자원 유닛들 각각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자원 유닛들 중 제1 자원 유닛을 제1 TXOP(transmit opportunity)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할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최대 값으로 리셋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 유닛의 카운트 값을 다음 TXOP 동안 1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무선 스테이션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주파수 홉핑 패턴을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할당을 수신하고 ―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상이한 세트의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함 ―;
    시퀀스 기간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된 시퀀스 상에서 일련의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 송신들을 송신함으로써, 주파수 홉핑 디바이스로서 적격화되게 하는, 무선 스테이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무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무선 스테이션에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를 할당하고 상기 무선 스테이션이 특정 수보다 많은 고유의 자원 유닛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주파수 홉핑할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게 하는, 무선 스테이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무선 스테이션이 소정의 지속기간 미만 동안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 상에 체류할 것이라는 표시 및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에서 누적된 체류 시간이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의 시퀀스의 지속기간보다 큰 소정의 시간 기간 이하일 것이라는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스테이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시간은 400 밀리초이고, 상기 시간 기간은 15 밀리초이고, 상기 시퀀스는 적어도 15개의 고유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하는, 무선 스테이션.
  29.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OFDMA 통신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고유의 주파수 홉핑 패턴을 표시하는 주파수 홉핑 스케줄을 포함하는, 무선 스테이션.
  30.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자원 유닛들 각각은 일련의 송신 기회들(TXOP들) 중 대응하는 하나와 연관되는, 무선 스테이션.
KR1020187029231A 2016-04-13 2017-04-13 Ofdma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KR102103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1930P 2016-04-13 2016-04-13
US62/321,930 2016-04-13
US15/486,083 US10356777B2 (en) 2016-04-13 2017-04-12 Frequency hopping in OFDMA wireless networks
US15/486,083 2017-04-12
PCT/US2017/027376 WO2017180845A1 (en) 2016-04-13 2017-04-13 Frequency hopping in ofdma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681A true KR20180132681A (ko) 2018-12-12
KR102103185B1 KR102103185B1 (ko) 2020-04-22

Family

ID=6003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231A KR102103185B1 (ko) 2016-04-13 2017-04-13 Ofdma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56777B2 (ko)
EP (1) EP3443681B1 (ko)
JP (1) JP6640379B2 (ko)
KR (1) KR102103185B1 (ko)
CN (1) CN109075812B (ko)
BR (1) BR112018070888A2 (ko)
CA (1) CA3017629C (ko)
TW (1) TW201737635A (ko)
WO (1) WO2017180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3033B (zh) * 2017-03-24 2023-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资源确定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10485001B2 (en) * 2017-08-17 2019-11-19 Mediatek Singapore Pte. Lt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grant-free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s
KR102362899B1 (ko) * 2017-10-31 2022-02-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퍼런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대역폭 조절 방법
US10879954B2 (en) * 2017-11-14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Logical channel hopping sequence design
CN108366385B (zh) * 2018-02-07 2022-04-01 成都泰格微电子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频点分组的同步跳频正交组网方法
US20220225344A1 (en) * 2019-05-06 2022-07-14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11632766B2 (en) 2019-06-17 2023-04-1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llocating portions of channels to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EP3876469A1 (en) 2020-03-03 2021-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multi-resource unit for user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210289500A1 (en) * 2020-03-13 2021-09-16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phy) packet design for power spectral density (psd) limits
US11888770B2 (en) 2020-03-13 2024-01-3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ransmissions using distributed tones
US11736232B2 (en) * 2020-09-21 2023-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 block size
US11622379B2 (en) * 2021-02-10 2023-04-0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Enhancing triggered single user transmissions in WLAN networ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156A (ko) * 2010-02-02 2012-12-04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약 특성
US20160029389A1 (en) * 2014-07-24 2016-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on and bandwidth selection for downlink and uplink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US20160113034A1 (en) * 2014-10-16 2016-04-21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hannel acces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6538B2 (en) *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10084627B2 (en) * 2006-07-10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in an SC-FDMA environment
GB2446197A (en) * 2007-02-05 2008-08-06 Nec Corp Frequency-hopp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0519850A (ja) * 2007-02-23 2010-06-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Ofdmaシステム用の周波数ホッピング方式
WO2012164531A1 (en) * 2011-06-02 2012-12-06 Renesas Mobile Corporation Frequency hopping in license-exempt/shared ba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156A (ko) * 2010-02-02 2012-12-04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약 특성
US20160029389A1 (en) * 2014-07-24 2016-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on and bandwidth selection for downlink and uplink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US20160113034A1 (en) * 2014-10-16 2016-04-21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hannel acces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3681A1 (en) 2019-02-20
US10356777B2 (en) 2019-07-16
US20170303275A1 (en) 2017-10-19
CA3017629C (en) 2021-03-23
KR102103185B1 (ko) 2020-04-22
CN109075812A (zh) 2018-12-21
JP6640379B2 (ja) 2020-02-05
BR112018070888A2 (pt) 2019-02-05
WO2017180845A1 (en) 2017-10-19
CA3017629A1 (en) 2017-10-19
TW201737635A (zh) 2017-10-16
CN109075812B (zh) 2020-08-14
EP3443681B1 (en) 2023-03-08
JP2019516303A (ja)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185B1 (ko) Ofdma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홉핑
US11405953B2 (en) Trigger-based random access in a multiple BSSID network
US11696338B2 (en) Random access resource unit allocation for a multiple BSSID network
CN109076531B (zh) 用于多bssid网络的随机接入资源单元分配
EP3841818B1 (en) Random access resource unit allocation for a multiple bssid network
WO2019040258A1 (en) PREDICTING RESOURCE UNIT ASSIGNMENTS IN A WIRELESS NETWORK
US20190068350A1 (en) Resource unit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