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592A -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 Google Patents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592A
KR20180132592A KR1020180156520A KR20180156520A KR20180132592A KR 20180132592 A KR20180132592 A KR 20180132592A KR 1020180156520 A KR1020180156520 A KR 1020180156520A KR 20180156520 A KR20180156520 A KR 20180156520A KR 20180132592 A KR20180132592 A KR 2018013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ooth
customized implant
customiz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남원
Original Assignee
강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원 filed Critical 강남원
Priority to KR1020180156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592A/en
Publication of KR2018013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5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d for a customized implant. The aid for the implant comprises a contact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a proximal teeth of the customized implant; and a protecting part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act part and forms a concaved side at one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junction part forms a porous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bonding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proximal teeth. Also,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a fixture of the customized implant and the aid, thereby preventing direct stimuli on the implanted customized implant fixture.

Description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sthesis for stability of a customized implant,

본 발명은 맞춤형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식립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 매식체의 안정적인 골유착을 위한 임플란트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mechanism for initial stability of a customized im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lant aiding device for stable osseointegration of a customized implant implant that replicates an object tooth placed in an alveolar bone.

일반적으로 티타늄소재로 만들어지는 치과 임플란트는 자연치가 부족한 환자들에게 치아를 제공하기 위해 인공 치아의 임플란트 매식체를 턱뼈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임플란트 매식체가 잇몸뼈와 완전히 골융합(osseointegration)되면 매식체(fixture)에 지대주(abutment)를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치아형태로 적합한 최종 보철물(crown)을 연결하여 치료를 완료하게 된다. 가장 마지막 단계인 보철물이 정확히 위치되기 위해서는 지대주 및 임플란트 매식체의 위치가 중요한데, 이러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시술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매식체가 치조골과 완전히 융합되기 위한 골유착의 치유 기간이 중요하다. ‘골유착’은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이식된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 매식체인 인공 치아 뿌리가 인체의 뼈세포와 융합되는 것으로, 임플란트 매식체가 치조골에 심어진 후, 저작력(씹는 힘)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완전히 굳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골유착 기간은 3 내지 6개월 동안 뼈세포와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결합 되기를 기다리는 기간을 말하며, 이러한 초기 안정성이 임플란트 수술의 성패를 결정짓는 것으로 알려진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 기간 동안 골유착을 방해하는 행위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 실패 또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Generally, a dental implant made of titanium material is used to fix an implant tooth of an artificial tooth to the jawbone in order to provide teeth to a patient who lacks natural teeth. When the implant body is completely osseointegrated with the gum bone, After the abutmen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a final crown suitable for the tooth shape is connected to complete the treatment. In order to accurately position the prosthesis, the position of the abutment and implant matrix is important. In the initial stage of implantation of such an implant fixture into the alveolar bone, the implant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o be completely fused with the alveolar bone Healing time is important. The 'osseointegration' implies that the artificial tooth root, which is a screw-type implanted implant implanted through an implant procedure, is fused with the bone cells of the human body. After the implants a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y are completely stiffened to withstand the masticatory force It is a phenomenon of losing. This period of osseointegration is a period of waiting for stable binding of bone cells and implants for 3 to 6 months, and this initial stability is known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implant surgery. In particular, experts warn that during this period, interference with osseointegration can result in implant failure or side effects.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9034호(2010. 12. 02)가 있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269034 (December 02, 2010) disclose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allowing a customized implant replicated in a tooth to be extracted to be stably fixed to the alveolar bone.

또한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직접적인 자극을 방지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chanism for preventing direct stimulation of a customized implant replicating a tooth to be extrac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보조 기구(100)에 있어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인접치(200)와 접착되는 접착부(10)와, 상기 접착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는 보호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device (100) of a customized implant replicating a tooth to be extracted, comprising: a bonding portion (10) adhered to an adjacent tooth (200) of a customized implant (300) And a protective portion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portion 10 and having a concave surface 21 at one end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는 치조골(400)의 입체공간(401)을 이미지화 하여 제조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이다. 또한, 상기 보조 기구(100)는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치과용 레진(resin)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접착은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의 화학처리로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부(10)는 다공성 구조체 이며, 상기 보호부(20)는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30)의 표면과 유격을 형성하며 덮어씌우는 것이다.Preferably, the customized implant 300 replicated with the tooth to be extracted is an implant fixture manufactured by imag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of the alveolar bone 400 into which the root of the tooth to be extracted is inserted. In addition, the auxiliary device 100 is made of zirconia or dental resin or metal, and the bonding is performed by chemical treatment of phosphoric acid gel at a concentration of 35%. The adhesive portion 10 is a porous structure, and the protective portion 20 covers and covers the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30 at the upper end of the customized impla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부(10)가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접치(200)와 결합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립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와 보호부(20) 사이에 격을 형성함으로써 식립되어 있는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직접적인 자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작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를 보호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술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nding portion 10 has a porous structur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adjacent teeth 200 i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irect stimulation of the customized implant 300 that is placed by forming a gap between the customized implant 300 replicated with the placed target tooth and the protective portion 2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cessity of additional surgery by protecting the customized implant 300 replicated in the tailored tooth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복된 보호부(20)를 갖는 임플란트 보조 기구(101)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3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최후방 구치인 것으로 적용된 일방형의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2)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최후방 구치인 것으로 적용된 일방형의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2)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형의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3)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전치로 적용된 쌍방형의 임플란트 보조 기구(104)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전치로 적용된 쌍방형의 임플란트 보조 기구(104)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I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ustomized implant aide 10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top view of a customized implant aid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top view of an implant aide 101 having an overlapping guard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customized implan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side view showing a one-piece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102 applied with an adjacent tooth 200 as the last too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one-piece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102 applied with an abutment 200 as the last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side view showing a one-piece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10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ilateral implant assist device 104 in which an adjacent tooth 200 is pre-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top view of an alternative implant assist device 104 with an adjacent tooth 200 pre-appli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규격화되어있는 기존의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는 치조골(400)에 식립한 후, 잇몸뼈 이식술, 상악동 거상술 등의 추가적 수술 또는 시술을 실시하여 치조골(400)과의 골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치주(500)속에 묻어둔 상태로 치유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는 치조골(400)과 골유착(osseointegration)이 이루어지는 기간이 필요하며, 약 3 내지 6 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이 기간은 임플란트 시술의 성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주요한 초기 안정성 단계일 수 있다. 반면,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하여 제조한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치아의 뿌리 부분과 머리 부분이 연결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는 상단의 머리 부분이 자연스럽게 치주(5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골유착 치유 기간의 과도한 하중에 영향을 받을 위험이 클 수 있으므로, 주변의 자극 또는 구강 내에 지속적인 저작력으로 인해 가해지는 자극을 방지하는 보조 기구(100)를 필요로 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standardized screw-type implan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00, and then an additional operation or procedure such as gingival bone grafting or maxillary sinus lift is performed, and the implant is inserted into the periodontal ligament 500 until osseointegration with the alveolar bone 400 is performed. Allow the healing to take place while it is buried. In this way, the period required for osseointegration with the alveolar bone 400 is required, and this period, which may take about 3 to 6 months, is a major initial stability stage for determining success or failure of the implant treatment . On the other hand, the customized implant 300 manufactured by replicating the tooth to be extracted can be manufactured so that the roo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ustomized implant in which the tooth to be extracted is replicated, , There is a need for an auxiliary instrument 100 to prevent irritation due to peripheral stimulation or continuous masticatory force in the oral cavity since the risk of being affected by an excessive load during the osseointegration healing period may be large .

이에,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임플란트(이하 ‘맞춤형 임플란트(300)’이라고 함)의 보조 기구(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는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인접치(200)와 접착되는 접착부(10)와, 상기 접착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는 보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xiliary device 100 of an impl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ustomized implant 300') in which a tooth to be extracted is replicated, and a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bonding portion 10 bonded to the adjacent tooth 200 of the customized implant 300 and a protective portion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bonding portion 10 and having a concave surface 21 at one end .

바람직하게, 상기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는 치조골(periodental alveolar bone)(400)의 입체공간(401)을 이미지화 하여 제조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거대상치아 또는 발거대상치아가 식립되는 치조골(400)의 입체공간(401)을 3차원으로 촬영하여, 발거대상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3차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임플란트의 재료를 3D printing하거나 정밀절삭가공하여 별도의 지대주 및 크라운과 함께 결합하여 인공치아로 완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거대상치아 또는 발거대상치아가 식립되는 치조골(400)의 입체공간(401)을 3차원으로 촬영하여, 발거대상치아의 뿌리 내지 머리에 해당하는 3차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임플란트의 재료를 3D printing하거나 정밀절삭가공하여 별도의 지대주 및 크라운이 결합하지 않는 인공치아로 완성되는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타이트한 고정(식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뿌리 부분의 크기가 입체공간(401)보다 약간 클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30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ustomized implant 300 may be an implant fixture manufactured by imag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of the periodical alveolar bone 400 into which the root of the tooth to be extracted is inserted. More preferably,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of the alveolar bone 400 on which the tooth to be extracted or the tooth to be extracted is placed is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ed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root of the tooth to be extracted, May be 3D printed or precision cut and combined with a separate abutment and crown to complete an artificial tooth.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of the alveolar bone 400 on which the tooth to be extracted or the tooth to be extracted is placed is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ed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root or head of the tooth to be extracted, May be 3D printed or precisely cut to complete artificial teeth in which no abutment and crown are combined. Most preferably, the size of the root portion of the tailored implant 300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and the surface of the tailored implant 301 may have irregularities 301 so that a tight fixation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보조 기구(100)는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치과용 레진(resin)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은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의 화학처리로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device 100 may be made of zirconia or dental resin or metal, and the bonding may be performed by chemical treatment of a phosphoric acid gel at a concentration of 35% .

또한, 상기 접착부(10)는 다공성 구조체이며, 상기 보호부(20)는 맞춤형 임플란트(300) 상단의 노출 부위(30)의 표면과 유격을 형성하며 덮어씌우는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유격은 25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portion 10 may be a porous structure and the protective portion 20 may be formed to cover and cover the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30 at the upper end of the customized implant 300, 25 to 100 [mu] 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100)는 환자의 구강에서 채득된 3차원 이미지 자료와 인상 자료로 만든 치아 모델을 바탕으로 3D CAD/CAM 또는 3D 프린팅 기술에 의해 맞춤형 제작될 수 있으며, 각 치아 부위에 맞게 최후방 구치(어금니), 일반 구치(대구치, 소구치), 전치(앞니)에 각각 맞는 기본 디자인을 기초로 맞춤형 제작을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기호, 외관의 심미성 또는 인접치(200)의 개수 따라 쌍방형의 보조 기구(100) 또는 일방형의 보조기구(103)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3차원 이미지는 치과용 구강 3D 스캐너(scanner) 또는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기(CT)로 촬영할 수 있으며, 발거대상치아의 뿌리 길이와 두께 등의 형태를 치수로 표현되어 3차원 이미지를 형상화할 수 있고, 제거한 경우에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어 있던 입체공간(401)의 깊이와 폭 등이 치수로 표현되어 3차원 이미지를 형상화 할 수 있으나,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비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ancilla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stomized by 3D CAD / CAM or 3D printing technology on the basis of a tooth model made of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nd impression data obtained from a patient's mouth, It can be customized based on the basic design that matches the last molar teeth (molar teeth), general molars (molar, premolars), and anterior teeth (front teeth) according to each tooth area. And can also be made of a bilateral auxiliary instrument 100 or a one-piece auxiliary instrument 103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individual,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r the number of the adjacent teeth 200. Preferably, the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taken with a dental mouth-bone 3D scanner or a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and the shape of the root length and thickness of the tooth to be extracted can be represented by dimensions, The depth and width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in which the roots of the teeth to be extracted are inserted can be expressed by dimensions to form a three-dimensional image. However, a device capable of obtaining a three- Not limi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와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를 도시한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 기구(100)는 접착부(10)와 보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구(100)는 인접치(200)와의 크기, 모양, 색에 의해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접치(200)의 색과 유사할 수 있으며, 접착이 가능한 재료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니아(zirconia), 치과용 레진(resin)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치아 또는 뼈와 접촉할 수 있는 생물학적 호환이 가능한 금속(metal)으로 제작 될 수 있다. FIGS. 1A and 1B are a side view and a top view showing a customized implant aid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ancillary instru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nding portion 10 and a protective portion 20. The auxiliary mechanism 100 can be manufactured to be customized by the size, shape and color of the adjacent tooth 200, preferably similar to the color of the adjacent tooth 200, More preferably, it can be made of zirconia or dental resin, and can be made of a biocompatible metal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eeth or bones.

접착부(10)는 보조 기구(100)에 있어서, 식립된 맞춤형 임플란트(300)에 인접한 인접치(200)와 접착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접치(200)와의 결합 강도 또는 접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홀(11)을 형성하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로 접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접착은 인접치(200)의 표면을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로 15 내지 30초 동안 부식시키는 화학적 처리 후, 치과용 레진(resin) 또는 접착제(dental cement)로 인접치(200)와 보조 기구(100)의 접착을 완료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접착부(10)는 인접치(200)의 양면에 접착될 수 있는 보조 기구(100)로 제조 될 수 있으며, 인접치(200)의 일면에 접착 될 수 있는 보조 기구(104)와 같이 제조 될 수 있다. 이는 개개인의 기호 또는 외관의 심미성에 따라 선택이 가능 할 수 있다.The adhesive portion 10 may be adhered to the adjacent tooth 200 adjacent to the placed customized implant 300 in the auxiliary device 100 and preferably is increased in bonding strength or adhesion efficiency with the adjacent tooth 200. [ And may be adhered by a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More preferably, the bonding is carried out by chemical treatment in which the surface of the adjacent tooth 200 is corroded with phosphoric acid gel of 35% concentration for 15 to 30 seconds, followed by dental resin or adhesive (dental cement) Thereby completing the bonding of the teeth 200 and the auxiliary instrument 100. The adhesive 10 may be made of an ancillary device 100 that can be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adjacent tooth 200 and may be manufactured as an auxiliary device 104 that may be adhered to one side of the adjacent tooth 200 . Thi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taste or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보호부(20)는 접착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여 식립된 맞춤형 임플란트(300)에 직접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오목면(21)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맞춤형 임플란트(300) 상단의 노출 부위(30)와 보조 기구(100)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도록 하여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기 위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주(500)의 밖으로 돌출된 노출 부위(30)의 표면을 완전히 덮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격을 형성하며 덮는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μm의 유격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인접치(200)가 교합력을 받을 때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약 25 내지 100μm일 수 있으며, 이는 보조 기구(100)가 접착된 인접치(200)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하방의 임플란트를 보호하는 완충 거리가 될 수 있다.The protector 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portion 10 and may have a concave surface 21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protect the inserted customized implant 300 from direct force. The formation of the concave surface 21 forms a gap between the exposed portion 30 at the upper end of the customized implant 300 and the auxiliary instrument 100 to prevent the direct impact of the customized implant 300 For example. It may be to completely cover the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30 protruding out of the periodontal surface 500, more preferably to form and cover the opening, and most preferably to form a clearance of 25 to 100 mu m Lt; / RTI > The range in which the adjacent tooth 200 can move downward when receiving the occlusal force may be about 25 to 100 μm so that when the occlusal force is applied to the adjoining tooth 200 to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100 is bonded, As shown in FIG.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보호부(20)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1)의 상면도이다. 보조 기구(101)의 보호부(20)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맞춤형 임플란트(300) 또는 복수개의 맞춤형 임플란트(300)가 연속되는 위치로 식립된 경우에 제조될 수 있다. 1C is a top view of a customized implant aide 101 having two protections 20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ortion 20 of the auxiliary instrument 101 may b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may be manufactured when a plurality of the customized implants 300 or a plurality of the customized implants 300 are placed at successive positions.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3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발거대상치아, 발거대상치아가 식립되어 있거나 또는 식립되어진 치조골의 입체공간(401)과 동일하게 제조되는 맞춤형 임플란트(300)가 입체공간(401)에 식립될 경우, 타이트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없으므로, 입체공간(401)보다 약간 크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뿌리부분에 해당되는 측면에 요철(301)을 형성하게 하여 타이트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30)는 별도의 지대주 및 크라운과 연결되는 기능의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거대상치아의 머리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2 is a side view showing a customized implan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ght fixation can not be performed when the tailored implant 300 is plac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which i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of the alveolar bone on which the tooth to be extracted, the tooth to be extracted, Or may be made slightly larger than the three-dimensional space 401, or the concavities 301 may be formed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root portion of the customized implant 300 as shown in FIG. The exposed portion 3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stomized implant may be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 function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abutment and a crown, and may preferabl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head of the tooth to be extract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최후방 구치에 적용된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3)의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0)는 인접치(200)의 개수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보호부(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쌍방형 보조 기구(100) 또는 일측에만 형성되는 일방형 보조 기구(103)와 같이 접착부(1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3c는 접촉부와 동일한 재료의 보호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3)로, 인접치(200)에 접착하지 않은 도 3a에 도시된 보조 기구(102)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재료로 일체되어 제조될 수 있는 보조 기구(103)이므로, 다공성 구조에 따른 홀(11)의 형성은 재료에 따라 보조 기구(103)와 같이 전체적으로 형성 될 수 있다.Figures 3a and 3b are side and top views of a customized implant aide 103 applied to a posterior mola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adhering portion 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portion 20 or on one side only by the number of the adjacent teeth 200 or the user's preference The number of the adhesive portions 10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3C is a tailored implant aiding device 103 having a protective portion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tact portion and may be the auxiliary device 102 shown in Fig. 3A not bonded to the adjacent tooth 200, The formation of the holes 11 according to the porous structure can be formed entirely like the auxiliary mechanism 103 depending on the material.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전치인 윗니에 적용되도록 제작된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4)의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0)는 보조 기구(100)의 인접치(200)의 양단면을 포함하여 접착되는 양면형 접착부(20)일 수 있으나, 외관상의 심미성을 위해 입 안쪽, 입 천장 쪽 또는 혀 쪽으로 인접치(200)의 일단면만 접착되는 단면형의 접착부(20)가 될 수 있다.4A and 4B are a side view and a top view of a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104 adapted to be applied to a transposition upper tee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onding portion 20 may be a double-sided bonding portion 20 including both end faces of the adjacent teeth 200 of the auxiliary mechanism 100, but for the sake of apparent aesthetics Sectional shape of the adhesive portion 20 to which only one end face of the adjacent tooth 200 is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the ceiling of the mouth, or the tongue.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Having described specific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se specific embodiment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접착부
11 : 홀
20 : 보호부
21 : 오목면
30 :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
100 :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1 : 복수개의 보호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2 : 일방형 접착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3 : 접촉부와 동일한 재료의 보호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4 : 일면형 접착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200 : 인접치
300 : 맞춤형 임플란트
301 : 요철
400 : 치조골
401 : 치조골의 입체공간
500 : 치주
10:
11: Hall
20: Protection section
21: concave surface
30: exposed area on top of customized implant
100: Customized implant aids
101: Customized implant aids hav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portions
102: a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having a one-
103: Customized implant aiding device having a protective portion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tact portion
104: Customized implant aids with one side adhesive
200: adjacent value
300: Customized Implant
301: unevenness
400: alveolar bone
401: Three-dimensional space of alveolar bone
500: periodontal

Claims (7)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인접치와 접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부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맞춤형 임플란트에 직접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의 표면과 유격을 형성하며 덮어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A bonding portion adhered to an adjacent tooth of a customized implant replicating a tooth to be extracted; And
And a protective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adhesive portion and disposed to cover an exposed portion of the top of the customized implant so as to protect the customized implant from direct force,
Wherein the protector covers and covers the surface of the exposed area of the top of the customized implant. ≪ RTI ID = 0.0 > 18.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보호부는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면을 포함하고, 오목면은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부위와 보조 기구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여 맞춤형 임플란트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or includes a concave surface formed at one end and the concave surface form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exposed portion of the top of the customized implant and the auxiliary device to prevent direct impact on the customized implant. Instrument.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기구는 보호부 양측에 접착부가 형성된 쌍방형 보조 기구 및 보호부 일측에 접착부가 형성된 일방형 보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mechanism includes a bilateral auxiliary mechanism having a bond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ection portion and a one-dimensional auxiliary mechanism having a bond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부는 외관상의 심미성을 위해 인접치의 입 안쪽 일단면에만 접착되는 단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a cross-sectional shape adhered to only one end face of the adjacent tooth in the mouth for the sake of appearance aesthet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인접치와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a porous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ith adjacent teeth.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부는 인산 겔(phosphoric aacid gel)을 통해 화학처리되어 부식된 인접치의 표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chemically treated through a phosphoric acid gel and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orroded adjacent too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25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p is 25 to 100 占 퐉.
KR1020180156520A 2018-12-07 2018-12-07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KR201801325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20A KR20180132592A (en) 2018-12-07 2018-12-07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20A KR20180132592A (en) 2018-12-07 2018-12-07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00A Division KR101928738B1 (en) 2017-02-06 2017-02-06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592A true KR20180132592A (en) 2018-12-12

Family

ID=6467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520A KR20180132592A (en) 2018-12-07 2018-12-07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5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5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patial gingival soft tissue relationship to implant placement within alveolar bone for immediate-implant placement
US7429175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20080057467A1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8425231B1 (en) Soft-tissue preservation temporary (shell) immediate-implant abutment method and device
US5772438A (en) Method for installing a permanent bridge between a pair of abutment teeth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EP3272304B1 (en) Soft-tissue preservation arrangement
KR101675503B1 (en) reference wire attached in mou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thereof for dental implant
KR101928738B1 (en)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KR10154477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20180132592A (en)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KR20210080199A (en) Bone-bonded artificial tooth structure
Ahmed et al. Emergence profile in anterior implant region by gingival recontouring–2 year follow up
Bhanu Chander et al. Attachment Retained Gingival Prosthesis
KR20230089463A (en) Assembly for animal implants
Zeighami et al. Case Report Full Mouth Reconstruction of a Bruxer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 Clinical Report
Marder et al. An Accurate, Single, Platform-Level Impression Technique for the Fabrication of Prosthetic Restorations on Dental Implants.
Jaysa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patient with Telescopic Overdenture
de Mattias SOUZA et al. Resources to achieve esthetics in anterior teeth
JP2004344321A (en) Denture fixing frame for dental implant
CA2199532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permanent bridge between a pair of abutment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