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482A -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482A
KR20180132482A KR1020170069401A KR20170069401A KR20180132482A KR 20180132482 A KR20180132482 A KR 20180132482A KR 1020170069401 A KR1020170069401 A KR 1020170069401A KR 20170069401 A KR20170069401 A KR 20170069401A KR 20180132482 A KR20180132482 A KR 2018013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human body
motion
body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민
Original Assignee
안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민 filed Critical 안성민
Priority to KR102017006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482A/ko
Publication of KR2018013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D영화관에서 4D의자의 후면에 간이식탁을 부착하고 4D의자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4D의자에 착석해 영화 관람을 하는 관객들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데이터에 기초하여 4D의자의 움직임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관객들이 신체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4D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4D의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A snack table attached to 4D chair and a system that controls 4D chair based on ergonomic data}
본 발명은 영화관에서의 4D의자에 간이식탁 부착 및 4D의자를 인체 데이터 바탕으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4D의자의 후면에 흔들림이 방지된 간이식탁을 부착하고 4D의자에 착석해 영화 관람을 하는 관객들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4D의자의 움직임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흔들림이 있어도 편안하게 음식을 먹을수 있고 관객들이 신체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4D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간이식탁이 부착된 4D의자 및 인체 데이터 바탕의 4D의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4D 상영관은 다양한 관람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관객들로 하여금 직접 영상과 하나가 된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게 해 주는 4D의자는 최근 4D 상영관의 필수 관람요소라 할 수 있다.
4D의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규칙, 불규칙하게 작동하면서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또한 4D의자는 바닥면, 또는 등받이 부분을 통해 관객들에게 진동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상영관 내 설치되는 대부분 4D의자들의 경우 모두 동일한 강도로 동일한 움직임, 진동세기를 일률적으로 구현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영화를 관람하는 개별 관객들의 경우, 각 개인은 4D의자의 운동에 의해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일부 관객들의 경우에는 4D의자의 다소 격렬한 운동에 심한 공포감까지 느껴 4D 상영관에의 출입 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4D 영화 상영시 관객들의 인체상태에 따라 4D의자의 움직임을 제어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관객들의 인체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운용되는 4D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번호 06000209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100090507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1541220000
본 발명은 4D의자의 후면에 흔들림이 방지된 간이식탁을 부착하여 4D의자의 진동이나 다른 효과가 있더라도 불편함 없이 스낵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 상영 시간 중 실시간으로 관객의 인체상태를 파악하여 적정 수준의 4D의자 움직임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에 의해 누적된 관객들의 인체상태를 분석하여 향후 4D의자의 움직임, 강도, 진동세기 등 다양한 움직임속성을 설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4D의자 제어 시스템은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움직임속성을 제어하는 4D의자 및 4D의자로부터 인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인체데이터를 기초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4D의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인체데이터는 심박수, 맥파, 뇌파, 체온, 체중, 혈압 또는 수분량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4D의자는 관객으로부터 인체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측정부에 의해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움직임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의자통신부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4D의자의 움직임속성을 제어하는 움직임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4D의자 제어 시스템 또는 4D의자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밴드형, 패치형, 집게형 또는 목걸이형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움직임속성은 4D의자의 운동각, 운동속도, 운동방향, 진동세기 또는 진동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서버는 4D의자로부터 인체데이터를 수신하며, 내부적으로 생성된 움직임제어명령을 4D의자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4D의자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와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4D의자에 대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연산부 및 4D의자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흔들림이 방지된 간이식탁을 통해 4D의자에 흔들림이 있더라도 스낵을 흔들림이 방지된 간이식탁에 놔두고 먹을 수 있어 흘리거나 쏟을 걱정없이 스낵을 먹을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관객들에 대한 측정 및 4D의자 제어가 가능하여 관객들의 건강상태, 성별, 연령 등에 따라 각각 적정 수준의 4D의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4D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의 인체데이터를 누적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향후 4D의자 움직임 구현 시 참고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4D의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4D의자 후면의 간이식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D의자 제어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4D의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D의자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4D의자의 후면에 간이식탁을 부착하며 상영 중인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으로 움직이되,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움직임속성을 제어하는 4D의자 및 4D의자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서 수집된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어느 한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며,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4D의자로부터 수신되는 인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기초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4D의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4D의자 제어 시스템이다.
인체데이터는 심박수, 맥파, 뇌파, 체온, 혈압 또는 수분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 제어 시스템이다.
관객으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 인체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가 있으며 측정부에 의해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움직임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의자통신부 및 상영중인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으로 움직이되,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4D의자의 움직임속성을 제어하는 움직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4D의자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서 수집된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어느 한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며,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움직임의자로부터 수신되는 인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기초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이다.
측정부는 밴드형, 패치형, 집게형 또는 목걸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이며
움직임속성은 4D의자의 운동각, 운동속도, 운동방향, 진동세기 또는 진동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이다.
4D의자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수신하며, 내부적으로 생성된 움직임제어명령을 4D의자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부가 있으며 4D의자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 중 어느 한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4D의자로부터 수신되는 인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기초로 상기 4D의자에 대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연산부가 있다.
4D의자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4D의자는 상영 중인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4D의자(10)의 후면(30)에 부착된 간이식탁(33)은 접이부분(31), 볼 조인트(32), 스낵공간(34)과 음료공간(35)을 포함한 간이식탁(33)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접이부분(31)은 평소에는 접혀져있으며 관객이 스낵을 먹거나 음료를 마실경우에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한쪽 끝은 볼 조인트(32)와 연결된다.
볼 조인트(32)는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 있다. 이러한 스프링에 의하여 앞좌석으로부터 오는 진동 또는 충격으로부터 흔들림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이식탁(33)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줄인다.
간이식탁(33)은 관객들이 4D의자(10)의 진동에도 불편함 없이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하는데 활용되며 팝콘이나 나쵸 등의 과자를 놔둘 수 있는 스낵공간(34)과 콜라, 물 등을 놔둘 수 있는 음료공간(35)으로 구성된다.
스낵공간(34)과 음료공간(35)은 스낵과 음료를 좀 더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간이식탁(33)보다 10cm 아래로 움푹 들어가 있다. 이는 간이식탁(34)에 조금 흔들림이 있더라도 음식을 흘리거나 쏟지 않게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성에는 4D의자(10), 서버(20)가 포함되며, 4D의자(10)와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4D의자(10)는 기본적으로 영화 콘텐츠와 하나가 된 움직임을 통해 관객들에게 실감나는 상영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20)에 전송하는 기능, 서버(20)로부터 움직임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4D의자(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서버(20)는 상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운영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4D의자(10)로부터 인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4D의자(10)들에 대한 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4D의자(10)에 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 의하면 하나의 4D의자(10)는 측정부(11), 의자통신부(12), 움직임제어부(13) 및 의자제어부(14)를 포함한다.
측정부(11)는 4D의자(10)에 착석한 관객들의 인체데이터를 측정하고 동시에 인체데이터를 획득한다. 측정부(11)는 밴드형, 패치형, 집게형 또는 목걸이형일 수 있으며 움직임 속성은 4D의자의 운동각, 운동속도, 운동방향, 진동세기 또는 진동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의 인체데이터에는 관객의 심박수, 뇌파, 체중, 체온, 맥파, 혈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집된 다양한 종류의 인체데이터는 현재 관객이 4D 영화를 관람함에 있어 신체적, 심리적으로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에 활용된다.
움직임제어부(13)는, 앞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4D의자(10)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른 속도로 흔들릴지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의자제어부(14)는 측정부(11), 의자통신부(12), 움직임제어부(13)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이 때 의자제어부(14)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또는 반도체 연산장치일 수 있다.
도 5에 의하면 서버(20)는 서버통신부(21), 연산부(22) 및 데이터베이스(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버통신부(21)는 4D의자(10)의 의자통신부(12)와 대응되는 기능부로서, 4D의자(10)로부터 인체데이터를 수신하며, 서버(20) 내에서 생성한 움직임제어명령을 다시 4D의자(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연산부(22)는 서버(20) 내에서 4D의자(10)에 대한 제어여부 판단,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등 실질적으로 상영관 내 4D의자(10)들을 제어하기 위한 핵심 구성이다.
데이터베이스(23)는 4D의자(10)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를 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고부(24)는 4D의자(10)에 앉은 개별사용자의 인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후 위험상황 인지시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기록부(25)는 4D의자(10)의 움직임 종류, 움직임 강도, 진동 세기 등과 해당 움직임속성이 실행될 때의 사용자 신체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매칭되어서 저장된 데이터는 이후 다른 4D 효과를 적용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서버제어부(26)는 서버통신부(21), 연산부(22), 데이터베이스(23), 경고부(24), 참고기록부(25) 등을 제어한다.
도 6에 따르면, 4D의자(10)는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20)로 전송한다.
4D의자(10)로부터 인체데이터를 수신한 서버(20)는 해당 4D의자(10)에 대한 움직임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움직임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20)는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이를 4D의자(1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움직임제어가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20)는 별도 기능 수행 없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서버(20)로부터 움직임제어명령을 수신한 4D의자(10)는 움직임명령어에 따라 각 4D의자(1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9: 종래의 4D의자 10: 인체 데이터 바탕의 4D의자
11: 측정부 12: 의자통신부
13: 움직임제어부 14: 의자제어부
20: 서버 21: 서버통신부
22: 연산부 23: 데이터베이스
24: 경고부 25: 참고기록부
26: 서버제어부 30: 의자 후면
31: 접이 부분 32: 볼 조인트
33: 간이식탁 34: 스낵공간
35: 음료공간

Claims (3)

  1. 4D의자의 후면에 간이식탁을 부착하며 상영 중인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으로 움직이되,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움직임속성을 제어하는 4D의자 및 4D의자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서 수집된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어느 한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며,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4D의자로부터 수신되는 인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기초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4D의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4D의자 제어 시스템
    인체데이터는 심박수, 맥파, 뇌파, 체온, 혈압 또는 수분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 제어 시스템.
  2. 관객으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 인체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측정부에 의해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움직임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의자통신부 및 상영중인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으로 움직이되,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제어명령에 따라 4D의자의 움직임속성을 제어하는 움직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4D의자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서 수집된 관객의 인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어느 한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며,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움직임의자로부터 수신되는 인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기초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
    측정부는 밴드형, 패치형, 집게형 또는 목걸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
    움직임속성은 4D의자의 운동각, 운동속도, 운동방향, 진동세기 또는 진동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의자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3. 4D의자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수신하며, 내부적으로 생성된 움직임제어명령을 4D의자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4D의자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 중 어느 한 시점에 수집된 인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4D의자로부터 수신되는 인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기초로 상기 4D의자에 대한 움직임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움직임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연산부
    4D의자로부터 수신한 인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4D의자는 상영 중인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70069401A 2017-06-03 2017-06-03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KR20180132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01A KR20180132482A (ko) 2017-06-03 2017-06-03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01A KR20180132482A (ko) 2017-06-03 2017-06-03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482A true KR20180132482A (ko) 2018-12-12

Family

ID=6466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401A KR20180132482A (ko) 2017-06-03 2017-06-03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4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68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tactile stimulus to a plurality of tactile stimulus units
CN109643162B (zh) 用现实世界内容增强虚拟现实内容
JP6316387B2 (ja) 広範囲同時遠隔ディジタル提示世界
US116834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Yao et al. Oculus vr best practices guide
US201800964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2140621A (ja) 外部条件に基づくウェ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自動制御
EP33418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AU2016294630B2 (en) Intelligent TV control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enyon et al.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virtual technology as a rehabilitation tool
US10761600B2 (en) Simulation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16541035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ユーザー向けカメラベース安全機構
US202101544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motion sickness
US10356219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mage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70274283A1 (en) Simulation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117095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US202102016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379798B2 (ja) 地震疑似体感装置、地震疑似体感制御プログラム
KR20180132482A (ko) 4d의자의 간이식탁 부착 및 인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d의자 제어 시스템
KR101586853B1 (ko) 관객의 신체데이터에 기초한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712279B1 (ko)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US967935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system with a display device
KR101623812B1 (ko) 관객의 신체데이터에 기초한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230385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JP6919568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