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185A -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185A
KR20180132185A KR1020170068159A KR20170068159A KR20180132185A KR 20180132185 A KR20180132185 A KR 20180132185A KR 1020170068159 A KR1020170068159 A KR 1020170068159A KR 20170068159 A KR20170068159 A KR 20170068159A KR 20180132185 A KR20180132185 A KR 20180132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real
time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17006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185A/ko
Publication of KR2018013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Abstract

실시간으로 공연자를 여러 방면에서 각각촬영 및 동영상 생성의 동영상 콘텐츠를 전달하도록 하되, 운영자의 지정가격 지급으로 소비자가 공연장에 입장 무대의 거리에 구애없이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으로 선택수신 및 제어할 수 있으며, 통상의 AR재생 또는 AR 및 VR재생 또는 MR재생을 통하여 다수가 실시간 공연을 시청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Live performance baseContent Delivery base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연자를 실시간 동영상 촬영인 수집체 및 공급단말의 공연 동영상 전달을
시청자인 소비자가 관리자의 지정가격 지불로 콘텐츠 생성 단말에서 생성된 AR,VR,MR 등의 가상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콘텐츠 소비 단말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과 카메라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개발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상용화되면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학습정보도 2D 뿐만 아니라, 3D로 생성하여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저장메체 가공의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등록특허 10-1270780, 공연자의 포즈저장 및 학습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등록특허 10-1536140, 운동기구인 실시간 가상 현실 스포츠 플랫폼 장치 등록특허 10-1094858, 단합된 운동 동작에 기초한 다참여자 운동 게임 시스템 등록특허 10-1283181 들은 학습목적의 학습정보을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VR 콘텐츠를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멀티캐스트 채널에 VR,AR 콘텐츠가 브라우징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670815는 학습정보를 VR 콘텐츠를 저장하고, VR 콘텐츠를 생성, 기존의 2D 또는 3D와 같이 실시간 스트리밍 생성된 콘텐츠를 재생 학습자는 실시간으로 강의자와 소통 및 강의자는 자신의 시선에서 설명하는 객체를 자동으로 팔로우(Follow)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피사체를 여러 측면에서 여러대의 카메라가 제각기 동시에 실시간 공연 동영상을 촬영 및 수집과 저장 및 실시간 동영상 생성 및 컨텐츠 가공 동영상 생성 컨텐츠를 돈을 받고 소비단말에 공급하는 한정시간적 공연을 실시간으로 공급하는 구성이 아니며, 돈을 받고 소비단말에 공급하는 한정시간적 공연을 실시간으로 공급하는 요구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공연자 공연을 적어도 이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적어도 360도 동영상 수집체로 동영상 수집정보화와 동영상 생성 및 적어도 한명이상의 소비자가 연결되어 지정가격을 지불한 소비자에게 공연장 입장 및 콘텐츠 소비 단말지급 및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의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 및 콘텐츠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또는 상기 지정가격을 지급한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다비이스)에 공급 단말의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을 선택 및 제어 또는 검색하는 통상의 선택부구비 또는 통상의 송수신부구비 및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 콘텐츠를 전달 및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또는 VR및 AR생성을 통하여 집중도를 높이면서도, 이면이상 촬영된 콘텐츠를 선택수신함으로써 무대거리에 상관없이 현장감을 더하는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피사체 실시간 지식 공유 VR가상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인 적어도 한명의 공연자가 실시간 공연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무대; 상기 무대를 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소비자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석 구비의 공연장; 상기 공연자 공연 시청을 위해 공연장에 입장되는 시청자인 적어도 한명이상의 소비자가 관리자에게 지불하는 입장금; 상기 입장금 지불로 상기 소비자에게 지급 또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소비단말(600); 상기 입장금 지불로 통상의 동영상 생성 콘텐츠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자의 소비단말(600); 상기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 동영상 수집 및 생성과 전달하는 적어도 이면이상의 카메라 또는 360도 동영상 카메라인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수집체(500): 상기 동영상 수집체(500)의 통상의 동영상 생성 및 통상의 기저장의 피사체정보 및 상기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 및 관리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 단말(600) 및 소비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 단말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를 전달되는 관리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콘텐츠 공급 단말(300): 상기 가격지불로 상기 동영상 생선 콘텐츠 수신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집체(5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급 단말(300)을 선택 및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 또는 상기 동영상 생성 콘텐츠를 선택검색 및 상기 동영상 생성할 수 있는 통상의 유선연결 또는 통상의 무선연결되는 상기 소비 단말(600) 및 상기 소비 단말(100)의 선택부; 및 상기 소비 단말(600) 및 상기 소비 단말(100)의 VR 또는 VR및 AR 또는 MR 동영상 생성되는 통상의 화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입장가격지불로 공연장에 입장된 소비 단말(6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의 단말(100)에,로 상기 수집체(500) 및 상기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 전달 및 동영상 생성과 선택된다.
본 발명은 실시간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 동영상 수집 및 생성과 전달하는 적어도 이면이상의 카메라 또는 360도 동영상 카메라인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수집체(500): 상기 동영상 수집체(500)의 통상의 동영상 생성 및 통상의 기저장의 피사체정보 및 상기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 및 통상의 소비 단말(600) 및 소비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 단말(100)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를 전달되는 관리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콘텐츠 공급 단말(300): 상기 소비 단말(600) 또는 소비자의 단말(100)에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를 전달되는 적어도 한명이상의 소비자가 통상의 관리자의 통상의 지정가격을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오프라인 지불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로 지급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 단말(6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의 단말(100)로 지정 가격지불; 상기 가격지불로 상기 공연장에 입장 및 상기 동영상 생선 콘텐츠 공급 및 상기 수집체(500)와 상기 공급 단말(300)을 선택 및 상기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을 선택 및 상기 동영상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비자의 상기 소비단말 및 소qql자에게 지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비 단말(600); 및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집체(500)을 선택 및 통상의 제어 또는 통상의 검색하는 통상의 선택부구비 또는 통상의 선택부(420)에 연결 또는 통상의 통신 연결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6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 콘텐츠를 전달 및 소비 단말(600) 및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또는 VR및 AR생성을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은 피사체인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으로 동영상 촬영과 동영상 생성 및 동영상 저장되며, 피사체 적어도 이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360도 동영상 카메라인 수집체: 상기 동영상 수집체의 동영상 수집정보화와 동영상 생성과 기저장의 피사체정보 및 컨텐츠, 상기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 및 동영상 생성과 소비 단말에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를 전달되는 콘텐츠 공급 단말: 상기 소비 단말에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를 전달되는 적어도 한명이상의 소비자가 연결되어 관리자의 지정가격을 지불 및 공연장 입장의 소비자에게 콘텐츠 소비 단말지급 및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의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 및 콘텐츠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또는 상기 지정가격을 지급한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다비이스)에 공급 단말의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을 선택 및 제어 또는 검색하는 통상의 선택부구비 또는 통상의 송수신부구비 및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 콘텐츠를 전달 및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할 수있다.
본 발명의 수집체(500)와 공급 단말(400)과 콘텐츠 소비 단말(600) 및 소지자의 소비 단말(100) 또는 상기 소비 단말(600)의 통상의 선택부(420) 또는 상기 소비 단말(100)의 통상의 선택부는 통상의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주파수 송수신의 통상의 상호 전달(송수신) 또는 상호 통신(송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집체(500)는 동영상 생성 또는 생성 컨텐츠 또는 통상의 기저장정보 또는 통상의 가공 컨텐츠를 구비 및 통상의 AR생성 또는 통상의 VR생성 또는 통상의 MR생성 또는 통상의 홀로그램생성을 생성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급단말(3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6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100)에 전달 또는 공급전달 상기 공급단말(400) 상기 공급단말(300) 상기 콘텐츠 소비 단말(600) 상기 콘텐츠 소비 단말(100)의 통상의 동영상 생성되는 화면에 상기 동영상 생성 또는 상기 생성 컨텐츠 또는 상기 기저장정보 또는 통상의 가공 컨텐츠 또는 상기 AR생성 또는 상기 VR생성 또는 상기 MR생성 또는 상기 홀로그램생성을 생성할 수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집체(500), 적어도 하나의 공급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600), 적어도 하나의 소지자의 소비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동영상 수집 및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동영상 생성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기저장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가공 컨텐츠를 구비할 수있고, 통상의 AR생성 또는 통상의 VR생성 또는 통상의 MR생성 또는 통상의 홀로그램생성을 통상의 생성 또는 통상의 가공 통상의 전달할 수있고 상기 전달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집체(500),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600), 적어도 하나의 소지자의 소비 단말(100)의 동영상 생성되는 통상의 화면에 상기 AR생성 또는 상기 VR생성 또는 상기 MR생성 또는 상기 홀로그램을 통상의 및 전달 또는 통상의 상호 전달 및 통상의 생성 또는 통상의 상호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소비 단말(600)의 선택부(420) 또는 상기 콘텐츠 소비 단말(600)의 유선 또는 무선 전달되는 통상의 선택부 및 소지자의 소비 단말(100)의 선택부 또는 상기 콘텐츠 소비 단말(100)의 유선 또는 무선 전달되는 통상의 선텍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집체(5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단말(300)을 선택 또는 제어할 수있다.
단말(400)과 콘텐츠 소비 단말(600), 소비 단말(100)에 전달 또는 통신할 수있다.
수집체(500)는 동영상 생성 또는 생성 컨텐츠 또는 통상의 기저장정보 또는 통상의 가공 컨텐츠를 구비 및 수신할 수있고, 공급 단말(400)과 콘텐츠 소비 단말(600), 소비 단말(100)에 전달 또는 통신할 수있다.
본 발명의 전달 또는 통신은 수집체(500)와 공급 단말(400) 및 콘텐츠 입장료지불의 공연장 입장의 소비 단말(600),(100) 또는 소비 단말(600)의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는 통상의 선택부(420) 또는 소지자의 단말(100) 또는 소지자의 단말(100)에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는 통상의 선택부에 유선 또는 무선되는 주파수 수신 및 발신되는 장치 및 기기를 통칭할 수 있고, 주파수 이동 및 연결의 전달 또는 통신되는 네트웨크, 인테넷, 와이파이,위성,Iot, B~LTA ~GPP~TPP 이상의 라인 통칭할 수있고, 통신되는 것을 통칭할 수 있다.
소비 단말(100)은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을 전달받아 동영상생성 또는 통상의 AR생성 또는 통상의 VR생성 또는 통상의 MR생성되는 상기 소비 단말(100)의 통상의 버튼을 선택 또는 소비 단말(100)에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는 통상의 버튼을 선택 상기 수집체(500) 또는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300)을 선택하고 상기 수집체(500) 의 동영상 생성을 선택 및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 공급 또는 일예로 공연자의 신상 등 기저장정보 공급 또는 가공 정보 공급을 통상의 선택할 수 있다.
수집체(500)는 피사체인 공연자의 전면측,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상의 위치에 구비되며,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으로 동영상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카메라 또는 통상의 360도 동영상 카메라인 또는 VR및 AR생성 카메라, 렌즈장치, 렌즈구비 기기, 렌즈구비디바이스를 통칭 할 수 있다. :
수집체(500)는 피사체인 공연자의 전면측,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상의 위치에 구비 또는 드론 등 이동체에 구비될 수 있고,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으로 동영상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카메라 또는 통상의 360도 동영상 카메라인 또는 VR및 AR생성 카메라 또는 통상의 동영상 촬영 및 동영상 생성및 저장 또는 동영상 가공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 가공되며 상기 동영상 콘텐츠 가공이 생성되는 통상의 단말구비의 통신되는 통상의 디바이스를 통칭할 수 있다.
수집체(500)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 및 소비 단말(600)을 구비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 단말(300)은 수집체(500)의 송신의 실시간으로 동영상 수집정보를 수신 및 적어도 하나의 소비 단말(600) 또는 소비자의 단말(100)에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 공급 및 소비 단말(600) 또는 소비자의 단말(100)에서 선택요구되는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 공급 또는 일예로 공연자의 신상 등 기저장정보 공급 또는 가공 정보 공급되는 통상의 휴대폰 또는 통상의 디바이스을 통칭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 단말(300)은 수집체(500) 및 소비 단말(600)을 구비할 수 있다.
소비 단말(600)은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공급의 또는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을 선택하고 상기 수집체(500) 의 동영상 생성을 선택 및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 공급 또는 일예로 공연자의 신상 등 기저장정보 공급 또는 가공 정보 공급을 통칭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 단말(300)은 통상의 관리자의 통상의 지정가격을 통상의 오프라인 지불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 지급 또는 통상의 소비 단말(600) 또는 소비자의 단말(100)로 지정가격 지급으로 공연장에 입장한 소비자가 일정위치의 것을 사용, 또는 일정위치의 소비자에게 일정시간 임대의 지급 또는 일정위치의 소비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소비자의 소비 단말(100)은 통상의 관리자의 통상의 지정가격을 통상의 오프라인 지불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 지급 또는 소비자의 단말(100)로 지정가격 지급으로 공연장에 입장되며 소비 단말(100)에 콘텐츠 공급 단말(300)로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되는 콘텐츠 공급, 또는 일예로 공연자의 신상 등 기저장정보 공급 또는 가공 정보를 공급할 수있다.
본 발명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통상의 공연장에 적어도 하나의 관람자인 소비자의 돈을 관리자가 받고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가 공연장에 입장되며, 공연장은 내부에 통상의 공연자가 공연하는 무대 및 통상의 소비자가 위치하는 통상의 객석구비되고, 상기 공연자가 공연하는 무대의 전면측, 좌측,우측,후측 상측 배측 중에 적어도 둘이상의 통상의 수집체(500)가 통상의 구비되며, 상기 수집체(500) 및 콘텐츠 공급 단말(300)과 콘텐츠 소비 단말(600) 및 입장소비자의 소비 단말(100)과 통상의 송수신되며, 통상의 전달되며, 상기 전달이 수집체(500)의 실시간 공연 동영상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실시간 공연 동영상 콘텐츠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기저장 정보 및 실시간 공연 동영상 가공 콘텐츠이고 콘텐츠 소비 단말(600) 및 소비 단말(100)에 상기 수집체(500)의 통상의 화면에 실시간 공연 동영상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실시간 콘텐츠의 공연 동영상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콘텐츠가공의 기저장 정보 및 실시간 공연 동영상 생성되며, 상기 콘텐츠 소비 단말(600) 및 소비 단말(100)로 상기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을 선택 및 제어하고 상기 소비 단말(600)및 소비 단말(100)로 상기 수집체(500)의 동영상 전달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수집체(500)의 동영상 콘텐츠 전달 또는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기저장된 정보 가공 콘텐츠를 동영상 생성되며 이를 시청할 수 있다.
소비 단말(600)은 소비자의 지정가격 지급으로 공연장에 입장한 소비자에게 지급되며, 수집체(500) 의 실시간 동영상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실시간 동영상의 컨텐츠 생성되며, 또한 소비 단말(600)의 선택부 또는 소비 단말(600)네 연결한 선택부 또는 소비 단말(600)에 유선 또는 무선 공급되는 선택부 선택의 수집체(500)의 실시간 동영상 선택 및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실시간 동영상의 컨텐츠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저장정보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콘텐츠 가공을 공급받아 동영상 생성 등 생성할 수 있다.
소비 단말(600),(100)은 수집체(500) 및 콘텐츠 공급 단말(300)과 통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상의 수신공급 및 생성 및 선택제어의 통상의 수신생성되는 눈앞에 위치 및 착용되는 통상의 헤드헬스 또는 휴대폰 또는 통상의 디바이스을 통칭할 수 있다.
소비자의 소비 단말(100)은 소비자의 지정가격 지급으로 공연장에 입장 소비자의 소비 단말(100)에 동영상 등 생성되는 수집체(500)의 실시간 동영상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실시간 동영상의 컨텐츠가 공급되며, 또한 소비 단말(100)의 선택부 또는 소비 단말(100)네 연결한 선택부 또는 소비 단말(100)에 유선 또는 무선 공급되는 선택부 선택의 수집체(500)의 실시간 동영상 선택 및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실시간 동영상의 컨텐츠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저장정보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콘텐츠 가공을 공급받아 동영상 생성 등 생성할 수 있다.
소비 단말(100)은 수집체(500) 및 콘텐츠 공급 단말(300)과 통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상의 수신공급 및 생성 및 선택제어의 통상의 수신생성되는 눈앞에 위치 및 착용되는 통상의 헤드헬스 또는 휴대폰 또는 통상의 디바이스을 통칭할 수 있다.
소비자의 소비 단말(100)은 통상의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이 통상의 선택되는 소비 단말(100)의 버튼을 선택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을 선택하고 상기 수집체(500) 의 동영상 생성을 선택 및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 공급 또는 일예로 공연자의 신상 등 기저장정보 공급 또는 가공 정보 공급을 선택할 수 있다.
소비 단말(100)은 수집체(500)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을 전달받아 동영상생성 또는 소비 단말(100)의 버튼을 선택 또는 소비 단말(100)에 유선 또는 무선연결의 버튼을 선택 수집체(500)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을 선택하고 상기 수집체(500) 의 동영상 생성을 선택 및 생성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300)의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 공급 또는 일예로 공연자의 신상 등 기저장정보 공급 또는 가공 정보 공급을 통상의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공연자 공연을 적어도 이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360도 동영상 콘텐츠 공급 단말로 동영상 수집정보화와 동영상 생성 및 적어도 한명이상의 소비자가 연결되어 지정가격을 지불한 공연장에 입장 소비자에게 콘텐츠 소비 단말지급 및 콘텐츠 소비 단말에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의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 및 콘텐츠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또는 상기 지정가격을 지불한 공연장에 입장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다비이스)에 공급 단말의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을 선택 및 제어 또는 검색하는 통상의 선택부구비 또는 통상의 송수신부구비 및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의 다비이스에 콘텐츠를 전달 및 소비 단말에 VR동영상 생성 또는 VR및 AR을 통하여 집중도를 높이면서도, 이면이상 촬영된 콘텐츠를 선택수신함으로써 소비자는 직접현장참여 또는 원격지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단말(디바이스)로 촬영된 콘텐츠를 선택수신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과 연결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동영상 생성된 콘텐츠가 VR재생 또는 AR 및 VR재생 또는 AR 및 MR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콘텐츠 공급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과 연결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상기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은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촬영 단말과 연동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단말은 피사체의 적어도 이면이상 되도록 설치되어 적어도 이면이상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듀얼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의 상기 듀얼 촬영 모듈의 카메라는, 통상의 카메라 또는 360도 카메라 또는 통상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카메라이고, 상기 생성되는 콘텐츠는, 실시간 현실 또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이며,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의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의 네트워크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이 상기 요구되는 자원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을 가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콘텐츠 품질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트랜스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코딩된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콘텐츠 소비자를 촬영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과 연결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상기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 소비자를 촬영한 자가 촬영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자가 촬영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의 콘텐츠를 원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의 지정가격을 통상의 지불과 동시에 공연장에 입장 상기 콘텐츠 공급 단말에 생성되는 공급 컨텐츠에 대한 공급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공연장에 입장 콘텐츠 소비 단말에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송신하는 단계; 검색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공급 데이터를 매칭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검색 및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알고리즘은 검색 이벤트와 공급 데이터의 매칭률이 기설정된 매칭률을 통상의 충분조건으로 매칭하는 것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공연자를 여러 방면에서 각각촬영 및 동영상 생성의 동영상 콘텐츠를 전달하도록 하되, 운영자의 지정가격 지급으로 공연장에 입장 및 소비자는 실시간으로 선택수신 및 제어할 수 있으며, 통상의 AR재생 또는 AR 및 VR재생 또는 MR재생을 통하여 무대 거리에 구애 없이 다수가 실시간 공연을 시청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이는 K팝 등의 공연장에 입장에서 공연자의 위치를 실시간 선택 및 제어와 공연자의 근원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동영상 생성된 콘텐츠를 콘텐츠 소비 단말과 연결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동영상 생성된 콘텐츠가 VR재생 또는 AR 및 VR재생되는 효과와 오프라인 수익 및 BM특허 수익 창출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단말에서 촬영을 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
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자, 등록특허 10-1670815는 컴퓨터등 디바이스에 저장된 지식 및 저장지식(비 시간 구애적)을 전달과 습득목적의 강연 및 강연소비자로 구성 비시간 구애적이다.
본 발명은 존재 변함의 유한시간 속의 시간소모성 즉 시간 구속 적의 일정무대에서 지정시간의 공연은 한계성을 실시간 동영상 촬영 및 동영상생성 및 돈을 받고 원격공급 및 원격지의 소비 단말에 생성하는 시간 구속적이다.
즉 공연중에는 실시간 동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하지만 공연끝 시간 이후는 없다. 이는 녹화저장정보로만 존재 및 녹화저장정보로만 재생하는 한계성 이다.
즉 등록특허,실용들이 동일명칭 동일발명자의 일예시예 PVR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장치 및 그 방법등록특허 10-0970641, 등록특허 10-0469263은 동일발명자로 특허 10-0970641는 촬영 동영상을 파일분류저장 목적이고 이는 kbs,mbc,abc 방송국의 수십~수백년의 동영상 파일저장과 동일하고 등록특허 10-0469263은 ibm,애플,kbs,mbc,abc 방송국의 수십~수백년의 영상, 동영상 파일저장과 동일한 데도 등록특허이다. 이런 부류는 수백이상의 제시 통상기술자?도 이해가 어려우며, 이점에 유의하여 본 발명의 차이 및 목적의 공평한 평가가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은 통상의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기술된 동작, 기능이며 이들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서버에서 대신 수행 및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통상의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통상의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VR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서비스 제공시스템(1)은, 콘텐츠 공급 단말(100),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 촬영 단말(500) 및 HMD(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VR서비스 제공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촬영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공급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HMD(6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활용한 5G 서비스, 통상의 '센스','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보안 기술' 연동의 통상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도래 네트웨크(5GPP~1tgpp~10-13~), WIMAX(World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공급 단말(100),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 촬영 단말(500) 및 HMD(6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촬영 단말(500)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고, 피드백에 대한 응답을 콘텐츠로 생성하여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공급자는 공연운영자 또는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콘텐츠 공급 단말(100)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촬영 단말(500)과 연동되어 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폰 등인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Iot, 5gpp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에서 촬영 단말(500)을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HMD(6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공연 공유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 및 구분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정의하고,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을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 정의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콘텐츠 공급 단말(100)을 중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연 동영상 콘텐츠 및 적어도 하나의 공연자의 기저장정보와 통상의 AR 또는 VR 또는 AR 및 VR, 통상의 맵핑 및 통상의 가공 콘텐츠와 유선 또는 무선의 송수신기가 구비되며,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통상의 선택부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공급 단말(100)을 통상의 중개 및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부터 동영상 공연 공급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류 및 정렬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검색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공연 공급 데이터 연결, 기저장의 정보연결, AR 또는 AR 및 VR 컨테츠 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칭된 실시간 공연 동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공급 단말(100) 또는 기저장의 정보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벤트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연 공급 데이터 연결, 적어도 하나의 기저장의 정보연결, 또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이 공연 동영상을 생성 진행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공연에 대한 시청료를 지불하는 결제 수단으로서 통상의 디바이스결재 또는 상품권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권이란, 일정 금액을 충전할 수 있고, 고유의 정보값을 통하여 실시간 정보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거래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폰 또는 3D구현 헤드헬스 또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이 소비자가 되는 경우에는, HMD(600)와 연동되어 콘텐츠 공급 단말(100)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폰 또는 3D구현 헤드헬스 또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단말(500)은,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연동되어 촬영된 콘텐츠를 콘텐츠 공급 단말(100)을 경유하여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HMD(600)는,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HMD(600)는, 휴대하면서 영상물을 대형화면으로 보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는데, HMD(600)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단말에서 촬영을 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전송부(320), 제어부(330), 시야 확보부(340), 맞춤형부(360), 관리부(370) 및 재현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콘텐츠 공급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실시간 공연 공유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콘텐츠 공급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실시간 공연 공유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콘텐츠 공급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유튜브,트위트 주소 등 동영상 구현 컨텐츠 또는 HTML(hyper text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콘텐츠 공급 단말(100),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 촬영 단말(500) 및 HMD(6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촬영 단말(500)과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공급 단말(100)은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촬영 단말(500)과 연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촬영 단말(500)은 피사체 또는 공연자의 적어도 하나의 전면 측면, 후면, 상측, 하측 중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공연자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촬영 또는 360도 촬영 또는 듀얼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듀얼 촬영 모듈의 카메라는, 카메라 또는 360도 촬영 카메라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카메라이고, 생성되는 콘텐츠는,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콘텐츠일 수 있다.
전송부(320)는, 수신된 콘텐츠를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부(320)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컴퓨팅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을 파악하고,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에 대응되는 컨텐츠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품질에 기초하여 트랜스코딩이 되도록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자원은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운영체제(OS), 메모리 가용량, CPU, 화면 크기 등의 하드웨어 자원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킹 자원은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네트워크 대역폭, 혼잡도 등의 네트워크 자원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픽셀의 화면을 동시에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송신하는 것은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다른 단말에서의 트랜스코딩을 어렵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송 지연(Delay)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송부(320)는 각각의 자원량을 파악하여 이에 맞도록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전송부(320)는, 수신된 콘텐츠를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자원을 파악하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단말(400)의 자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320)는, 파악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네트워크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이 요구되는 자원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콘텐츠 품질에 대응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트랜스코딩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20)는, 트랜스코딩된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된 HMD(600)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듀얼 촬영 모듈의 카메라는, 촬영 객체를 수평 초점 방식으로 촬영하는 제 1 방식의 카메라와, 촬영 객체의 이동에 따라 각도 및 초점이 자동 설정되어 촬영하는 제 2 방식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 2 방식의 카메라는, 깊이 카메라(Depth Camera), 초음파 거리 측정 카메라 및 소나 센서(Sonar Sensor)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공급 단말(100)에서의 관점 및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HMD(600)는 콘텐츠 소비자의 시야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HMD(600)를 벗지 않고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면을 촬영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야확보부(340)는, 제어부(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된 HMD(600)(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한 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HMD(600)의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을 경유하여 HMD(600)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야 확보부(340)는, HMD(600)에서 콘텐츠의 재생이 중지되는 경우, HMD(600)의 촬영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HMD(600)에서 콘텐츠 소비자의 시야를 촬영한 화면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34] 알람부(350)는, 제어부(330)에서 HMD(600)에서 콘텐츠 소비자의 시야를 촬영한 화면이 재생되도록 제어한 후, 콘텐츠 소비자의 시야를 재생한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수신하여 스트리밍받고, 스트리밍된 화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시간 및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람부(350)는, 분석된 시간 및 이미지가 기 설정된 시간 및 이미지와 일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경고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맞춤형부(360)는, 제어부(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된 HMD(600)(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한 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하는 입력 신호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데이터와 대응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지의 여부
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데이터와 대응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데이터가 존재함을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맞춤형부(360)는, 입력된 데이터가 존재했을 때의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공급콘텐츠의 프레임을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 전송하고, 콘텐츠 공급 단말(100)에서 프레임을 설명하는 설명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조건 데이터를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선택적으로 생성된 설명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부(370)는, 제어부(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된 HMD(600)(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한 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콘텐츠 소비자에게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계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계
정 정보에 접근하는 신호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370)는, 모니터링 결과,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계정 정보에 접근하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접근 신호를 인터셉트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계정으로 접근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콘텐츠 소비자를 촬영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현부(380)는 제어부(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결된 HMD(600)(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콘텐츠를 원하는 경우, 가격 결재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 공연 동영상 콘텐츠를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덧붙여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부터 공급 컨텐츠에 대한 공급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공급 컨텐츠는 예를 들어 공급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공연 컨텐츠일 수 있고, 공급데이터는 공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자료표시 또는 설명하는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서 분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급 컨텐츠를 등록 및 분류한다. 이때, 분류부(320)는 컨텐츠 자체를 등록 또는 공급 컨텐츠를 설명하는 공급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공급 단말(100)을 분류할 수 있다.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공급 데이터에 대한 검색 이벤트를 수신한다. 이때, 검색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공연자을 검색하는 이벤트일 수도 있다. 검색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사용자에게 설문 조사나 질문 형식의 데이터를 송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색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공급 데이터를 매칭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검색 및 정렬한다. 이때, 검색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사용자 선택의 촬영 단말(500)의 공연 동영상,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기저장의 공연자의 정보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기저장의 공연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 데이터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제공하는 공연 동영상 공급 기저장정보 컨텐츠 가공의 정보공급, 관심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칭부(330)의 매칭 알고리즘은 검색 이벤트와 공급 데이터의 매칭률이 기설정된 매칭률을 초과하는
경우, 콘텐츠 공급 단말(100)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공급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을 매칭할 수 있다.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로 검색 및 정렬된 공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공급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선택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을 실시간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5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선택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을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부터 공급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멀티 컨트롤 유닛(Multi-point Control Unit)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선택된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운영체제를 파악하고, 운영체제에 대응되는 실시간의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선택된 콘텐츠 공급 단말(100)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VR 또는 AR(가상 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통한 시청자와 공연자가 실시간으로 VR 또는 AR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원거리 인터뷰 테스트, 원격 의료 상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의 공급자는, 콘텐츠를 생성할 때, 촬영 단말을 착용 또는 드론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 즉 콘텐츠 소비자의 단말인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HMD(600)와 연동되어 HMD(600)에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b) HMD(6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가상 현실에 더하여 증강 현실까지 더하여질 수 있는데, 증강 현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증강 현실을 구현할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도록 가상 현실 화면에 오버레이될 수 있고, 해당 증강 현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거나 선택하는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에 집중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소비자의 생체 리듬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생체 리듬이 수면시의 리듬과 유사하거나 동일해지는 경우, 콘텐츠 소비 단말(400)과 연동된 모든 단말을 웨이크업(Wakeup)시켜 사용자가 각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생체 리듬을 감지하는 센서는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HMD(600)에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HMD(600)에 설치되는 경우, 해당 감지 데이터를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단말(500)은, 수평 초점 방식 및 피사체 초점 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데, (a) 수평초점 방식은 사물을 촬영할 때 피사체와 관계없이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촬영하게 된다. 반면, (b) 자동 초점촬영 방식은, 피사체를 추적하는 기능으로 카메라와 촬영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특정 위치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하고 초점을 설정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공급자가 머리를 숙이거나 하는 등의 각도가 객체와 달라지는 경우일지라도, 촬영 객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단말(500)은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고(S5100), 촬영된 콘텐츠는 콘텐츠 공급 단말(100)로 전송되어(S5200),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된다(S5300).
그리고 나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소비 단말(400)의 자원을 파악하고(S5400),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지연(Delay)없이 전송할 수 있는 품질을 결정하고(S5500), 결정된 품질에 따라 콘텐츠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기 시작한다(S5600).
그리고 나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소비 단말(400)로 콘텐츠를 전송하고(S5700),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HMD(600)로 콘텐츠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5800).
여기서, HMD(600)는 콘텐츠 공급자의 콘텐츠를 출력하기 시작하는데(S5900),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HMD(600)가 정지되는 경우(S5910), HMD(600)를 벗지 않고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HMD(600)에서 촬영을 시작하도록 할 수있다(S5920).
그리고 나서, HMD(600)를 벗지 않고도 촬영된 콘텐츠가 재생되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S5930).
한편, 콘텐츠 소비 단말(400)은, 피드백을 전송하여(S5940), 촬영 단말(500)에서 피드백에 응답하는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며(S5950), 촬영 단말(500)에서 콘텐츠가 생성된 경우(S5960),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S5970), 콘텐츠 소비 단말(400)에서 HMD(60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5980).
상술한 단계들(S5100~S598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8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콘텐츠 공급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나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콘텐츠를 콘텐츠 공급 단말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로 전송한다(S6200).
여기서,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비 단말과 연결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S6300).
이와 같은 도 6의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실시간 공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
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선행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94858,
등록특허 10-128318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270780,등록특허 10-1536140

Claims (1)

  1. 피사체 실시간 지식 공유 VR가상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인 적어도 한명의 공연자가 실시간 공연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무대;
    상기 무대를 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소비자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석 구비의 공연장;
    상기 공연자 공연 시청을 위해 공연장에 입장되는 시청자인 적어도 한명이상의 소비자가 관리자에게 지불하는 입장금;
    상기 입장금 지불로 상기 소비자에게 지급 또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소비단말(600);
    상기 입장금 지불로 통상의 동영상 생성 콘텐츠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자의 소비단말(600);
    상기 공연자 공연을 실시간 동영상 수집 및 생성과 전달하는 적어도 이면이상의 카메라 또는 360도 동영상 카메라인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수집체(500):
    상기 동영상 수집체(500)의 통상의 동영상 생성 및 통상의 기저장의 피사체정보 및 상기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 및 관리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 단말(600) 및 소비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소비 단말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생성인 콘텐츠를 전달되는 관리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상의 콘텐츠 공급 단말(300):
    상기 가격지불로 상기 동영상 생선 콘텐츠 수신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집체(5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급 단말(300)을 선택 및 저장정보의 콘텐츠 가공 또는 상기 동영상 생성 콘텐츠를 선택검색 및 상기 동영상 생성할 수 있는 통상의 유선연결 또는 통상의 무선연결되는 상기 소비 단말(600) 및 상기 소비 단말(100)의 선택부; 및
    상기 소비 단말(600) 및 상기 소비 단말(100)의 VR 또는 VR및 AR 또는 MR 동영상 생성되는 통상의 화면을 포함하는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170068159A 2017-06-01 2017-06-01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80132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159A KR20180132185A (ko) 2017-06-01 2017-06-01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159A KR20180132185A (ko) 2017-06-01 2017-06-01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185A true KR20180132185A (ko) 2018-12-12

Family

ID=6467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159A KR20180132185A (ko) 2017-06-01 2017-06-01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1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815B1 (ko) Vr 및 ar 기반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US8767081B2 (en) Sharing video data associated with the same event
US20150222815A1 (en) Aligning videos representing different viewpoints
CN103765417B (zh) 视频内容注释和/或推荐的方法和设备
US20160191591A1 (en) Live crowdsourced media streaming
CN105829995A (zh) 根据观看者表情捕捉媒体内容
US201401767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and metadata management
JP2017507557A (ja) 高解像度の動画ストリームを自身の端末で視聴するユーザの体感品質を向上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20220031894A (ko) 데이터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197172A (zh) 视频直播方法、装置和系统
KR20120108501A (ko)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701957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video stream for an object of interest
US201602619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usage information between device and server
CN107592549A (zh) 基于双向通信的全景视频播放拍照系统
US11605030B1 (en) Viewing segments of event media
KR20180131687A (ko)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US9152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edia objects in a navigable environment
US20150341541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mote acquisition of digital images or models
US1069424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ame enhancement using cross-augmentation
CN107707830A (zh) 基于单向通信的全景视频播放拍照系统
US10701462B2 (en) Generating video montage of an event
KR20200060035A (ko) Vr 영상 기반의 여행 가이드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32185A (ko)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US11363110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s
KR20180133571A (ko) 실시간 가족행사기반 및 컨텐츠 기반 공유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