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11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411A
KR20180131411A KR1020180058399A KR20180058399A KR20180131411A KR 20180131411 A KR20180131411 A KR 20180131411A KR 1020180058399 A KR1020180058399 A KR 1020180058399A KR 20180058399 A KR20180058399 A KR 20180058399A KR 20180131411 A KR20180131411 A KR 2018013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lc
layer
data
pd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996B1 (ko
Inventor
박현서
김은경
김태중
이안석
이유로
이현
이희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994,02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352601A1/en
Publication of KR2018013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 PDCCH의 물리계층 out-of-sync 발생시 T310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T310 타이머의 만료 시까지 상기 하향링크 PDCCH의 물리계층 in-sync 상태가 되지 않으면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함을 확인하는 단계,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에 대한 PDCP 계층 및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정지하는 단계, 셀 선택 수행을 통해 선택된 제2 기지국으로의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과의 RRC 연결 재설정이 성공하면 모든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MMUNICAT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저지연 데이터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제4 세대 이동통신보다 최소한 10~100배의 데이터 전송율인 Gbps(Giga bps) 급 지원을 목표로 하는 제5 세대 이동통신은 기존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수십 GHz(Giga Her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제5 세대 이동 통신은 초고속 데이터 전송율 지원을 위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뿐만아니라 사물 인터넷 지원을 위한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과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또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URLLC 지원을 위해 종래보다 짧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활용 및 전송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법 등이 필요하고, 높은 신뢰성 달성을 위해 주파수/시간/공간 차원 다이버시티(diversity)를 활용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지연 최소화 및 향상된 데이터 전송 신뢰성 확보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물리계층 out-of-sync 발생시 T310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T310 타이머의 만료 시까지 상기 하향링크 PDCCH의 물리계층 in-sync 상태가 되지 않으면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함을 확인하는 단계, SRB0(signaling radio bearer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에 대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및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정지(suspend)하는 단계, 셀 선택 수행을 통해 선택된 제2 기지국으로의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과의 RRC 연결 재설정이 성공하면 모든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resume)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의 제어를 통해 결정된 시점에 RLC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선택적으로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에게로의 소정의 기준에 따른 재전송 요청에도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RLC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선택적으로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과의 RLF 발생시,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상기 RLF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선택을 통해 선택된 제2 기지국에 대한 ID(identifier)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셀 반송파(secondary cell carrier)를 통해 상기 RLF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반송파 집합(carrier aggregation)의 마스터 기지국일수 있다.
여기서, 제2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을 통해 상기 RLF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의 마스터(master) 기지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과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에 대한 PDCP 계층 및 RLC 계층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정지(suspend)하지 않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의 제1 RLC 송신부와 제2 RLC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일한 데이터를 제1 RLC 수신부와 제2 RLC 수신부가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RLC 수신부와 제2 RLC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제1 RLC 송신부에 정상 수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수신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상기 제1 RLC 송신부 및 제2 RLC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폐기된 RLC PDU의 순차 번호를 포함하는 RLC PDU를 상기 제1 RLC 수신부 및 제2 RLC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상 수신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상기 제1 RLC 송신부 및 제2 RLC 송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RLC 헤더(header)만으로 구성되는 RLC PDU를 상기 정상 수신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제1 RLC 수신부 및 제2 RLC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상기 PDCP 계층의 PDCP PDU가 중복(duplication)되었음을 상기 제1 RLC 송신부와 제2 RLC 송신부에게 알리고, 상기 PDCP PDU를 포함하는 RLC PDU에 폴링(polling) 비트를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IP(internet protocol) 패킷(packet)별 중요도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PDCP PDU(protocol data unit)를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IP 패킷별 중요도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RLC PDU를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허여 받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허여를 통해 할당 받은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하려는 상기 PDCP PDU가 소정의 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하면, 상기 IP 패킷의 중요도에 따른 소정의 기준으로 상기 RLC PDU의 폐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IP 패킷별 중요도 판별 정보에 따라 QoS(quality of service)를 차등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AC 계층은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즉시 트리거(trigger)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DCP 계층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에 대해서 ACK(acknowledgement) 패킷(packet)이 복수 개가 있는 경우, 가장 최근에 생성된 ACK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ACK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 패킷별 중요도 판별 정보에 따라 차등적으로 QoS가 부여된 상기 IP 패킷에 대한 논리채널에 대해 상기 QoS별로 서브채널(subchannel)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채널마다 서로 다른 우선 순위(priority) 및 폐기 타이머(timer)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복 전송의 효율적 관리 및 데이터 전송 우선 순위 설정을 반영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3GPP LTE 및 LTE-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간 무선 인터페이스(interface) 프로토콜(protocol)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RRC 상태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연결 지원 단말의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파 집성 지원 단말의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PDCP PDU 중복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P PDU 중복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IP 흐름별 QoS 설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흐름별 QoS 설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a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니슬롯이 적용된 경우의 PDCCH 모니터링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슬롯 기반 PDCCH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저지연 데이터 전송 기술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3GPP LTE 및 LTE-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interface) 프로토콜(protocol)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과 기지국(코어망 포함)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 계층(L1: 1ayer 1), 제2 계층(L2: layer 2) 및 제3 계층(L3: 1ayer 3)으로 구분되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과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구분될 수 있고, 수직적으로는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인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사용자 데이터 또는 트래픽이라고도 함) 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인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L1은 물리 계층(PHY: physical layer)(310)이다. 물리 계층(310)은 물리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에 정보(데이터 및 제어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310)은 상위 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320)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된다(즉, 물리채널은 전송채널에 맵핑된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320)과 물리 계층(310) 사이로 데이터 및 제어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 장치의 물리 계층(310/370)과 수신 장치의 물리 계층(370/310) 간의 데이터 및 제어정보는 물리채널을 통해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물리 계층(310)에서는 데이터 외에도 제어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물리 제어 채널(physical control channel)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에 관한 정보, DL-SCH와 관련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PDCCH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에 관한 정보인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포함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은 PDCCH를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벌의 개수를 단말에 전달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대한 HARQ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 스케줄링 요청 및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와 같은 UL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물리채널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과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복수의 심벌(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벌들로 구성됨)들과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 전송을 위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벌들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이 PDCCH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 계층(310)은 상위 계층인 MAC 계층(320)과 전송채널을 통해 연결된다. 전송채널은 채널이 공유되는지 여부에 따라 공통 전송채널(common transport channel) 및 전용 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로 분류된다. 하향링크 전송채널(downlink transport channel)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DL-SCH 등을 포함한다. DL-SCH는 HARQ, 전송 전력의 변화, 잠재적인 변조 및 코딩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과 동적/반정적 자원 할당을 지원한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의 트래픽 또는 제어정보는 MCH(multicast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상향링크 전송채널(uplink transport channel)은 초기 제어 메시지(initial control message) 전송 및 셀로의 초기 접속에 사용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UL-SCH 등을 포함한다. UL-SCH는 HARQ, 전송 전력의 변화, 잠재적인 변조 및 코딩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을 지원한다. RACH는 일반적으로 셀로의 초기 접속에 사용된다.
L2(layer 2)에 해당하는 MAC 계층(320)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MAC 계층(320)은 복수의 논리채널에서 복수의 전송채널로의 맵핑 기능을 제공한다(즉, 논리채널은 전송채널의 상위에 위치하고 전송채널에 맵핑된다). 또한, MAC 계층(320)은 복수의 논리채널에서 하나의 전송채널로의 맵핑에 의한 논리채널 다중화 기능을 제공한다. 논리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정보 전달을 위한 제어 논리채널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정보 전달을 위한 트래픽 논리채널로 나눌 수 있다. 즉, 논리채널의 종류는 MAC 계층(320)에 의해 제공되는 전송 서비스별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제어 논리채널은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3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논리채널은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및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BCCH는 시스템 제어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논리채널이다. PCCH는 페이징 정보의 전송 및 셀 단위의 위치가 기지국에 알려지지 않은 단말을 페이징 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채널이다. CCCH는 단말이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갖지 않을 때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MCCH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MBMS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일대다 하향링크 논리채널이다. DCCH는 RRC 연결 상태에서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전용 제어정보 전송을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일대일 양방향 논리채널이다.
트래픽 논리채널은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310)에 의하여 제공되는 트래픽 논리채널은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 및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을 포함한다. DTCH는 일대일 채널로 하나의 단말의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MTCH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데이터(트래픽)를 전송하기 위한 일대다 하향링크 논리채널이다.
RLC 계층(330)은 L2에 속한다. RLC 계층(330)의 기능은 하위 계층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할(segmentation)/연접(concatenation)에 의한 데이터의 크기 조정을 포함한다.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330)은 투명 모드(TM; transparent mode), 비 확인 모드(UM; unacknowledged mode) 및 확인 모드(AM; 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재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RLC 계층(330)의 기능은 MAC 계층(310)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RLC 계층(330)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340) 또한 L2 계층에 속한다. PDCP 계층(340)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와 같은 IP(internet protocol) 패킷(packet)을 도입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이는 헤더 압축 기능을 제공한다. 헤더 압축은 데이터의 헤더에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채널 구간에서의 전송 효율을 높인다. 또한, PDCP 계층(340)은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기능은 제3자의 검사를 방지하는 암호화 및 제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를 포함한다.
RRC 계층(350)은 L3에 속한다. L3의 가장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RRC 계층(350)은 오직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350)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는 RRC 계층(350)을 통해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RRC 계층(350)은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L1 및 L2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이다. 즉, RB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L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결정함을 의미한다. RB는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350)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360)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평면의 RLC 계층(330) 및 MAC 계층(320)은 스케줄링, ARQ 및 HARQ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RC 계층(350)은 방송, 페이징, RRC 연결 관리, RB 제어, 이동성 기능 및 단말 측정 보고/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AS 계층(360)의 NAS 제어 프로토콜은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베어러 관리, 인증, LTE_IDLE 이동성 핸들링, LTE_IDLE에서 페이징 개시 및 단말과 게이트웨이(gateway)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보안 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평면의 RLC 계층 및 MA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3의 경우 제어 평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임). PDCP 계층은 헤더 압축,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와 같은 사용자 평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의 RRC 상태(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RRC 상태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전원의 켜짐(410)에 따른 RRC 상태 변화를 나타낸다.
RRC 상태는 단말의 RRC 계층이 기지국(코어망 포함)의 RRC 계층과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430) 및 RRC 휴지 상태(RRC_IDLE)(420)와 같이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의 RRC 계층과 기지국의 RRC 계층 간의 RRC 연결이 설정되어 있을 때, 단말은 RRC 연결 상태(430)에 있게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은 RRC 휴지 상태(420)에 있게 된다. RRC 연결 상태(430)의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지국은 RRC 연결 상태(430)의 단말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고,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RRC 휴지 상태(420)의 단말을 파악할 수 없으며, 코어망(CN; core network)이 셀보다 더 큰 영역인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을 관리한다. 즉, RRC 휴지 상태(420)의 단말은 더 큰 영역의 단위로 존재만 파악되며,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상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단말은 RRC 연결 상태(430)로 천이해야 한다.
RRC 휴지 상태(420)에서, 단말이 NAS에 의해 설정된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지정하는 동안에, 단말은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정보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트래킹 영역에서 단말을 고유하게 지정하는 ID(identification)를 할당 받고,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및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RRC 연결 상태(430)에서, 단말은 기지국에서 기지국 RRC 연결 및 RRC 컨텍스트(context)를 가져와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으로 채널 품질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RRC 연결 상태(430)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속한 셀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RC 휴지 상태(420)에서 단말은 페이징 DRX(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단말 특정 페이징 DRX 주기마다의 특정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동안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한다. 페이징 기회는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의 시간 간격이다. 단말은 자신만의 페이징 기회를 가지고 있다.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에 속하는 모든 셀에 걸쳐 전송된다.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최초로 키면(410),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휴지 상태에 머무른다(410).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RRC 휴지 상태에 머무르던 단말은 RRC 연결 절차를 통해 기지국의 RRC 계층과 RRC 연결을 맺고 RRC 연결 상태(430)로 천이할 수 있다. RRC 휴지 상태(420)에 머무르던 단말은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이 필요할 때 등에 기지국과 RRC 연결을 맺기 위한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440)을 수행하여 RRC 휴지 상태(420)에서 RRC 연결 상태(430)으로 전환한다. 반대로 연결 해제(connection release)(450)을 수행하여 RRC 연결 상태(430)에서 RRC 휴지 상태(420)로 전환한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 전송의 기본이 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RRC 상태 변화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물리 계층 오류 등으로 인한 무선 링크 실패(RLF: radio link failure) 시 이를 극복하기 위한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DCCH BLER이 특정 기준 이상이 되면 RLF 타이머인 T310을 가동하여서 T310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PDCCH BLER(block error rate)가 일정 기준치를 충족하지 않으면 RLF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RRC 재설정 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과 소스 기지국간에 이미 무선 링크가 설정(S505)된 상황에서 무선 링크실패(RLF) 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기지국(또는 단말) RLC가 특정 PDU에 대해서 RLC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최대 재전송 횟수 동안 RLC PDU 재전송을 수행하여도 단말(또는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RLC PDU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RLC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RLF가 발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RRC 재설정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하향링크 RLF의 판단은 단말의 무선 링크 모니터(RLM: radio link monitor)에 의해 수행된다. 단말의 RLM는 Qout 상태가 되면 physical layer problem out-of-sync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T310 타이머를 구동한다(일반적으로 Qout은 PDCCH BLER 10% 이상의 상태를 의미함). 이때,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 준비(S510)를 하여 추후 단말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도중 하향링크 RLF 발생을 판단할 시,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해서 RLF 복구 절차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말에서 T310 타이머 구동 후 Qin 상태가 되면 physical layer problem이 해소된 in-sync 상태로 판단하여 T310 타이머를 멈춘다(일반적으로 Qin은 PDCCH BLER 2% 미만의 상태를 의미함).
반면에, 기설정된 T310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Qin 상태가 되지 않으면, 단말의 RLM은 RLF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515)(RLF 검출이라고도 함).
RLF가 검출되면, SRB0(signaling radio bearer 0)를 제외한 모든 RB(radio bearer)를 정지(suspend)한다(S520). SRB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와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 전달(transfer)에 사용된다. RRC 메시지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시그널링(signaling)에 사용되고 NAS 메시지는 단말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간 시그널링에 사용된다.
SRB0를 제외한 모든 RB(radio bearer)를 정지한 단말은 이후 최적의 셀을 찾기 위한 셀 탐색을 시도한 후 셀 선택을 한다(S525). 셀 선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단말은 새로 선택한 셀(타겟 기지국)로부터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수신한 MIB 및 SIB를 이용하여 새로운 셀과의 임의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S530). 그리고 단말은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Request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35). 이후 타겟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또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이 기지국으로부터 거절된 경우는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Reject)를 수신한다(S540).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를 수신한 단말은 SRB1을 위한 PDCP 계층 및 RLC 계층을 재설정(re-establishment)하면서 무선 자원 설정 절차를 수행 및 SRB1를 재개(resume)한다(S545). 다음으로 단말은 integrity protection 및 ciphering을 활성화하기 위해 하위 계층을 구성하고 AS(access stratum) security를 재활성화한다(S550). 이후 단말은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Complete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S555)하고,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cectionReconfiguration을 수신한다(S560). 다음으로 단말은 SRB2 및 DRB(data radio bearer)를 재설정하고 재개(resume)한다(S565).
반면에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Reject(도면에 미도시)를 수신하면, RRC_CONNECTED 상태를 떠나면서 MAC(medium access control)을 리셋(reset)한다. 이와 함께 단말은 T320, T325, T330을 제외한 모든 동작중인 타이머를 정지한 후 RLC entity와 MAC 설정 및 모든 수립된(established) RB들에 대한 연관된 PDCP entity를 포함하는 모든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고 RRC_IDLE 상태로 진입한다.
한편, 3GPP LTE 및 LTE-A에서의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단절시간은 일반적으로(), T310 타이머를 시작(Qout이 발생)한 시점부터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성공 후 DRB가 재개(resume)된 시점까지이다(일반적으로 T310 타이머는 1초로 설정함).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시 데이터 송수신 단절시간은 약 0.8초(800ms) 내외로 알려져 있으며, 이 시간 동안 수신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지 못해 수신된 데이터가 쓸모 없어질 수 있어 이로 인한 데이터 전송 지연이 커질 수 있다.
이 때, DRB가 재설정(re-establish)되어 단말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도 PDCP 계층에서 순서에 맞지 않게 전달된 데이터는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단말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모두 쓸모 없게 되어 버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DRB가 재설정되어 재개되는 경우 순서에 맞지 않는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의 PDCP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PDCP 계층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데이터 송수신 단절시간은 거의 줄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러한 장시간 데이터 송수신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RLF 발생 인지 타이머 T310가 만료되어 RLF 상태가 되면, SRB0를 제외한 모든 RB의 PDCP 계층과 RLC 계층을 재설정 (re-establishment) 하고 정지(suspend)하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의 RLM은 하향링크 PDCCH의 Qout 발생을 확인하면 physical layer problem out-of-sync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T310 타이머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T310이 구동되는 동안 수신되는 데이터가 비록 전송 순서에 맞지 않아도 해당 데이터를 단말의 상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과 소스 기지국(제1 기지국)간에 이미 무선 링크가 설정(S605)된 상황에서 무선 링크 실패(RLF)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또는 단말) RLC가 특정 PDU에 대해서 RLC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최대 재전송 횟수 동안 RLC PDU 재전송을 수행하여도 단말(또는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RLC PDU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RLC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RLF가 발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RRC 재설정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단말의 RLM는 Qout 상태가 되면 physical layer problem out-of-sync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T310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때,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 준비(S610)를 하여 추후 단말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도중 하향링크 RLF 발생을 판단할 시,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해서 RLF 복구 절차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RLF가 검출되면, SRB0(signaling radio bearer 0)를 제외한 모든 RB(radio bearer)를 정지(suspend)한다(S620-1). 또한 모든 RB에 대해 재설정 (re-establishment)을 수행할 수 있다(S620-2).
SRB0를 제외한 모든 RB(radio bearer)를 정지한 단말은 이후 최적의 셀을 찾기 위한 셀 탐색을 시도한 후 셀 선택을 한다(S625). 셀 선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단말은 새로 선택한 셀(타겟 기지국)로부터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수신한 MIB 및 SIB를 이용하여 새로운 셀과의 임의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S630). 그리고 단말은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Request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35). 이후 타겟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또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이 기지국으로부터 거절된 경우는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Reject)를 수신한다(S640).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를 수신한 단말은 SRB1을 위한 PDCP 계층 및 RLC 계층을 재설정(re-establishment)하면서 무선 자원 설정 절차를 수행 및 SRB1를 재개(resume)한다(S645). 다음으로 단말은 integrity protection 및 ciphering을 활성화하기 위해 하위 계층을 구성하고 AS(access stratum) security를 재활성화한다(S650). 이후 단말은 RRCConncectionReestablishmentComplete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S655)하고,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cectionReconfiguration을 수신한다(S660). 단말은 SRB2 및 DRB(data radio bearer)를 재개(resume)한다(S665).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을 이용한 경우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통신 단절시간은 T310 타이머가 만료되어 DRB의 PDCP 계층과 RLC 계층을 재설정 (re-establishment) 하고 정지한 시점부터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성공 후 DRB가 재개된 시점까지이다. T310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수신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데이터 통신 단절 시간을 줄여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의 RRC 계층은 하위 PDCP 계층이나 RLC 계층에게 순서에 맞지 않는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시점을 알려 줄 수 있다. 즉,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달된 데이터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의 제어를 통해 결정된 시점에 RLC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PDCP 상위 계층으로도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지연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빠르게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전송한 RLC PDU가 무선 채널 구간에서 손실되거나 일정시간 동안 단말에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동일한 순서번호를 가지는 RLC PDU에 대해서 사전 설정된 횟수 이상 기지국에게 재전송을 요청한 이후에도 RLC PDU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해당 순서번호의 RLC PDU에 대해서는 수신 불가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측(송신측이란 기지국 또는 단말을 의미) RLC가 특정 PDU에 대해서 RLC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최대 재전송 횟수 동안 RLC PDU 재전송을 수행하여도 수신 측(단말 또는 기지국을 의미)에서 정상적으로 RLC PDU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RLC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RLF가 발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RRC 재설정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소스 기지국으로 소정의 기준에 따른 재전송 요청을 함에도 정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RLC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PDCP 상위 계층으로도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지연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빠르게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중복(또는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는 경우에서의 RRC 연결 재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연결 지원 단말의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30)이 중복 연결(DC: 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는경우 마스터 셀그룹(MCG: master cell group)의 셀(710)(제1 기지국)에서 RLF가 발생하고, 세컨더리 셀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의 셀(720) (제2 기지국)의 무선 링크 상태가 좋은 경우 단말(730)이 SCG 셀(720)로 MCG RLF가 발생되었음을 보고함을 나타낸다.
MCG 셀(710)과 무선 링크 설정된 단말(730)에서 RLF가 발생하면, 주변의 SCG 셀(720) 중 RLF가 발생하지 않은 무선 링크가 있는 경우 단말(730)은 모든 RB의 PDCP 계층과 RLC 계층을 재설정할 수 있고, 모든 RB를 정지(suspend) 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730)이 DC를 지원하는 경우, MCG 셀인 MeNB(master eNode B)(제1 기지국)(710)와 단말 간 무선 링크에서 RLF가 발생하면, 단말은 SCG 셀인 SeNB(secondary eNode B) (제2 기지국) (720) 연결(740)을 통해 RLF가 발생되었음을 MeNB에게 알릴 수 있다(이 때 MeNB와 SeNB 간은 X2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MeNB(710)는 단말(730)로 전송할 데이터를 X2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SeNB(720)를 통해 전달하고, SeNB(720)은 해당 데이터를 단말(7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C를 지원하는 단말이므로, MeNB(710)와의 무선 링크처리 프로토콜 경로(730-1)이 아닌, 부가 무선 링크처리 프로토콜 경로(730-2)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및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730)은 SRB0를 제외한 모든 RB의 PDCP 계층 및 RLC 계층을 재설정할 수 있고 또는 모든 RB를 정지하지 않고 단말과 SeNB 간에 데이터를 계속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730)은 PDCP 상태 보고(status report)를 SeNB(720)를 통해 MeNB(710)에게 전송하고, MeNB(710)는 수신한 PDCP 상태 보고를 검토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PDCP SDU(service data unit)를 단말(730)에게 재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이 RLF 검출(detection)을 하거나, 또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에서 셀 선택을 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할 셀(제2 기지국)을 결정한 후 RLF가 발생한 MeNB(제1 기지국)(710)과의 무선 링크가 아닌 상태가 좋은 무선 링크를 통해 RLF가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RLF가 발생함을 보고받은 소스 기지국인 MeNB(710)은 RLF가 발생하지 않은 무선 링크(SeNB(720)를 통한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과 데이터를 계속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송수신 단절시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단말(730)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에서 셀 선택 단계에서 재설정을 수행할 셀 결정 후 RLF 발생 및 재설정을 수행할 셀 SeNB(720)의 셀 ID(identifier)를 MeNB(710)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MeNB(710)은 보고받은 셀 ID에 해당하는 타겟 기지국인 SeNB(720)으로 SN Status Transfer와 데이터 포워딩(forwarding)을 더 빨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재설정을 통해 데이터 단절 시간을 줄여 단말이 데이터를 더 빨리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경우에서의 RRC 연결 재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파 집성 지원 단말의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CA를 지원하는 단말(840)과 기지국(810)의 프라이머리(primary) 셀(820)과의 사이에서 RLF 발생한 경우, 단말(840)이 기지국(810)의 세컨더리(secondary) 셀(830)을 통해 해당 RLF의 발생을 알림을 나타낸다. 기지국(910)은 단말(840)로 전송될 데이터를 세컨더리 셀(83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CA를 지원하는 단말의 RRC 연결 재설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첫 번째 방법으로, 단말(840)과 기지국의 세컨더리 셀(830)로의 RRC 연결 재설정 성공 후 모든 DRB에 대해서 PDCP 계층과 RLC 계층을 재설정(re-establish)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단말(840)과 기지국의 세컨더리 셀(830)은 SRB와 DRB를 포함하는 모든 RB의 PDCP 계층과 RLC 계층을 재설정(re-establish)하면서 모든 RB를 정지(suspend) 하지 않고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으로 단말(840)과 기지국의 세컨더리 셀(830)은 SRB0를 제외한 나머지 SRB를 재설정하고, 모든 DRB에 대해서는 PDCP 계층과 RLC 계층을 재설정하지 않고 계속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840)은 기지국(810)에게 PDCP 상태 보고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810)은 해당 PDCP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PDCP SDU를 단말(840)에게 재전송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P PDU 중복(duplication)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PDCP PDU 중복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에 단말로 PDCP PDU를 중복 전송하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RRC 계층에 의해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중복 전송이 설정되면, 중복되는 PDCP PDU를 조정하기 위해 또 다른 RLC 엔티티(entity) 및 논리채널이 해당 무선 베어러에게 부가된다. 그러므로 PDCP 계층에서의 중복은 동일한 PDCP PDU를 두 번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첫 번째는 원래 RLC 엔티티를 통해 보내지고 두 번째는 부가된 RLC 엔티티에 의해 보내짐을 의미). 이와 같은 서로 독립적인 전송 경로를 통해, 패킷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패킷 전송에서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켜 URLLC 기능 구현에 큰 역할을 한다.
PDCP 중복 전송을 하게 되면, PDCP PDU 및 중복된 PDCP PDU는 동일한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논리채널이 동일한 하나의 MAC 엔티티에 속하거나 또는 다른 MAC 엔티티에 속할 수 있다. DC를 지원하는 단말(930)의 경우, PDCP PDU 중복 전송 시 서로 다른 기지국(920-1,920-2)을 통해 PDCP PDU를 중복 전송 받을 수 있고, CA를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서로 다른 반송파(910-1,910-2)를 통해 PDCP PDU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URLLC 구현에 필요한 신뢰성(reliability)과 지연(latency)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PDCP PDU 중복 전송의 경우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데이터가 단말에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다른 RLC 엔티티를 통해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는 것은 무선 자원의 낭비 및 데이터 전송 지연을 유발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데이터 중복 전송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P PDU 중복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P PDU 중복 전송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단말로 PDCP PDU를 중복 전송할 때 무선 자원 낭비 및 데이터 전송지연을 줄이기 위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P PDU 중복 전송은 기지국의 PDCP 송신부에서 PDCP PDU를 제1 RLC 송신부와 제2 RLC 송신부로 중복하여 전송하는 상황에 대한 것이다(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기지국의 제1 RLC 송신부는 PDCP PDU 중 순차번호(SN: sequential number) 1번부터 4번에 해당하는 PDCP PDU를 단말의 제1 RLC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RLC PDU의 형태로 전송되며 이하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됨)(S1010-1).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제1 RLC 송신부로부터 단말의 제1 RLC 수신부로 전송된 4개의 RLC PDU 형태로 전송되는 PDCP PDU(SN 1 ~ SN 4)가 성공적으로 단말의 제1 RLC 수신부 로 수신되었다 가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의 제2 RLC 송신부도 단말의 제2 RLC 수신부로 순차번호(SN: sequential number) 1번부터 4번에 해당하는 PDCP PDU를 전송할 수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RLC PDU의 형태로 전송됨)(S1010-2).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제2 RLC 송신부로부터 단말의 제2 RLC 수신부로 전송된 4개의 PDCP PDU(SN 1 ~ SN 4)(전술한 바와 같이 RLC PDU 형태로 전송됨)는 무선 채널 상태 등의 이유로 단말의 제2 RLC 수신부로 수신되지 않았고 누락되었음을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의 PDCP 송신부는 PDCP PDU가 중복 전송되는 경우 하위 계층 RLC(제1 RLC 계층 및 제2 RLC 계층)에 중복 전송을 알릴 수 있고, RLC 계층은 중복 전송되는 RLC PDU에 대해서 폴링(polling) 설정을 하여 단말의 RLC 수신부가 상태(Status) PDU를 기지국으로 빠르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속하는 4개의 순차번호에 해당하는 PDCP PDU(전술한 바와 같이 RLC PDU 형태로 전송됨)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단말의 제1 RLC 수신부는 상태(status) PDU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제1 RLC 송신부에게 PDCP PDU(SN 1~ SN 4)(전술한 바와 같이 RLC PDU 형태로 전송됨)가 제1 RLC 수신부로 정상 전달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1020).
단말로부터 상태 PDU를 수신한 기지국의 제1 RLC 송신부는 PDCP PDU(SN 1~ SN 4)(전술한 바와 같이 RLC PDU 형태로 수신됨)가 제1 RLC 수신부에게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음을 기지국의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PDCP 송신부에 알릴 수 있다(S1030). 기지국의 PDCP 송신부는 이를 통해 PDCP PDU(SN 1~ SN 4)(전술한 바와 같이 RLC PDU 형태로 전송됨)를 제2 RLC 송신부를 통해 중복 전송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으므로, PDCP Tx는 제2 RLC 송신부에게 PDCP PDU (SN 1 ~ SN 4)를 폐기(discard)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1040). 이때 제2 RLC 송신부가 아직 해당 RLC PDU(전술한 바와 같이 SN 1부터 SN 4에 이르는 PDCP PDU에 해당하는 RLC PDU임)를 단말로 전송하지 않은 경우, 해당 RLC PDU에 대한 RLC SDU(service data unit)는 폐기된다.
반면에 기지국은 SN 1부터 SN 4에 이르는 PDCP PDU에 해당하는 RLC PDU를 단말로 전송했더라도 관련 RLC SDU를 폐기하고, RLC PDU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측 단말에서 out-of-order sequence가 발생되어 재정렬(reordering)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 상위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달이 지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RLC PDU 전송을 하도록 하기 위해 관련 RLC SDU를 폐기하고, RLC PDU를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 없이 전송할 수 있다(여기서 페이로드는 RLC SDU일 수 있다). 또는, RLC PDU가 폐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RLC 제어(control) PDU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RLC 제어 PDU는 폐기된 PDU의 S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RLC 송신부는 페이로드 데이터 없이 RLC 헤더만으로 구성된 RLC PDU를 단말의 제2 RLC 수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S1050). 이와 같은 페이로드 데이터 없이 RLC 헤더만으로 구성된 RLC PDU를 수신한 제2 RLC 수신부는 해당 RLC SDU가 폐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등 QoS(quality of service) 설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IP 흐름별 QoS 설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10)이 기지국(1120)과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1130)을 거쳐 PDN 게이트웨이(PDN-GW)(public data network gateway)(1140)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동일한 송신/수신 IP 주소, 전송 프로토콜, 송신/수신 포트를 갖는 IP 패킷(internet protocol packet)의 모음을 하나의 IP 흐름(flow)라 한다.
각 IP flow는 하나의 베어러(bearer)에 매핑되고, 하나의 베어러에는 하나 이상의 IP flow가 매핑된다. 베어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의 개념으로서 단말의 데이터 및 시그날링(signaling)이 네트워크를 거쳐 송수신되는 동안 어떻게 취급되는 지를 정의한다. 네트워크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그에 맞게 데이터를 취급하게 된다. RB는 SRB(signaling radio bearer)와 DRB(data radio bearer)로 나뉘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SRB는 RRC 시그날링 메시지 및 NAS 메시지와 같은 제어평면 트래픽(traffic)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DRB는 사용자 평면 트래픽(traffic)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라고도 한다). DRB는 IP 패킷(packet)을 전달 하는데 사용된다.
IP flow는 RRC 계층에서 하나의 베어러에 매핑되고, 하나의 베어러는 RLC/MAC 계층에서 하나의 논리채널에 매핑된다. 이때 하나의 IP flow와 연관된 베어러 및 논리채널의 모든 IP 패킷에는 동일한 QoS가 적용된다. 3GPP LTE 및 LTE-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AC 계층은 논리채널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 우선순위와 전송 데이터 양을 결정한다. 단말의 상향링크 TFT(traffic flow template)와 PDN-GW의 하향링크 TFT는 패킷 필터(filter)를 통해 IP 패킷을 IP flow 별로 분리하여 베어러의 형태로 상대 통신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이때 베어러는 단말(1110)과 기지국(1120)간에는 RB의 형태로, 기지국(1120)과 SGW(1130)간에는 S1 베어러의 형태로, SGW(1130)와 PDN-GW(1140)간에는 S5/S8 베어러의 형태로 전달된다).
도 11의 경우 제1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집합(uplink traffic flow aggregate)(1105-1)은 단말 상향링크 TFT와 연관된 패킷 필터(1110-1)를 거쳐 RB(1150) 형태로 PDN-GW(1140)에 전달된다(기지국(1120)과 SGW(1130)간의 S1 베어러의 형태이고 SGW(1130)과 PDN-GW(1140)간은 S5/S8 베어러의 형태임). 제2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집합(uplink traffic flow aggregate)(1105-2)는 단말 상향링크 TFT와 연관된 패킷 필터(1110-2)를 거쳐 RB(1160) 형태로 PDN-GW(1140)에 전달된다(기지국(1120)과 SGW(1130)간의 S1 베어러의 형태이고 SGW(1130)과 PDN-GW(1140)간은 S5/S8 베어러의 형태임).
종래 상향링크 TFT 및 하향링크 TFT에서 사용하는 TFT 규칙(rule)은 IP flow상의 IP 패킷을 (소스(source) IP 주소, 목적지(destination) IP 주소, 전송(transport) 프로토콜, 소스 전송 포트(source transport port), 목적지 전송 포트(destination transport port)의 5 튜플(tuple)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이때 하나의 IP flow 내의 모든 IP 패킷은 동일한 QoS를 적용 받고, IP flow 중 전송 정체(congestion)가 발생하면 시간상으로 생성 시간이 가장 빠른(즉, 오래된) IP 패킷부터 RLC 계층에 의해 폐기된다(이는 PDCP 계층의 요청에 의한 것임).
그러나 하나의 IP flow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IP 패킷이 폐기되는 경우, 전체 성능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 정체가 발생되어 IP 패킷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IP 패킷을 폐기하는 경우, 전체 통신 서비스 품질의 저하 및 데이터 전송 지연이 커질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등 QoS 설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흐름별 QoS 설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의 IP flow 내에서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IP 패킷의 경우, 하나의 베어러 내에서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IP 패킷을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IP flow 내에서 IP 패킷을 서로 다른 베어러와 논리채널에 매핑하는 경우 데이터 순서가 맞지 않은 상태로 상대 통신 노드의 상위계층에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IP flow 내에서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IP 패킷에 대해서는, 한 베어러 내의 IP 패킷에 대해서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상위 계층에서 하위 PDCP 계층으로 전달된 IP 패킷에 대해, 미리 설정된 중요도 판별 기준에 따라 전달된 IP 패킷의 중요도를 판별할 수 있다. PDCP계층은 중요도 판별 기준에 따라 해당 기준에 맞는 판별 정보를 포함하여 RLC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S1210). 일례로 2단계 중요도 판별 기준(중요 데이터 여부 플래그 비트 설정 등으로 중요 데이터 여부 구별)을 가진 경우라면, 중요 IP 패킷에 대해 중요 데이터(critical data)임을 표시(mark)하여 PDCP PDU를 RLC 계층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RLC 계층은 중요도 판별 정보가 포함된 RLC PDU를 MAC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S1220). 일례로 전술한 2단계 중요도 판별 기준을 가진 경우라면 중요 데이터(critical data)임을 표시(mark)하여 RLC PDU가 RLC 버퍼(buffer)에 전송 대기 중임을 MAC 계층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의 MAC 계층은 전송할 중요도 판별 정보에 따라 중요 데이터로 표시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경우, 별도의 처리 기준에 따른 신속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S1230)(중요 데이터인 경우 BSR을 즉시 트리거(trigger) 할 수 있음). 단말로부터 BSR을 수신한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허여하여 상향링크 중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1240).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 받아 기지국으로 PDCP PDU를 전송을 하게 되는데 사전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한 PDCP PDU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한 PDCP PDU에 대해 그 중요도에 따라 PDCP 계층은 RLC 계층에게 관련된 RLC SDU 폐기를 요청할 수 있다(S1250). 즉, 중요하지 않은 IP 패킷에 대해 RLC 계층에게 그와 관련된 RLC SDU 폐기를 요청하여 전송 정체가 발생된 IP 패킷을 폐기하더라도, IP 패킷의 중요도에 따라 중요한 IP 패킷은 폐기하지 않도록 하여 중요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줄이고 통신 서비스 제공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중요도 판별 기준은 사전에 설정되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제공되거나, 단말이 스스로 결정을 할 수 있다.
하나의 IP flow 내에서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IP 패킷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킷별로 서로 다른 베어러 및 논리채널에 매핑하여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TFT 규칙인 (소스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전송 프로토콜, 소스 전송 포트, 목적지 전송 포트)의 5 튜플 외에 별도의 프로토콜 헤더 필드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header)의 TCP 플래그(flag)에 ACK(acknowledgement) 비트(bit)이 설정되어 있는 IP 패킷을 우선 순위(priority)가 높은 논리채널에 매핑할 수 있다.
하나의 IP flow 내에서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IP 패킷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논리채널 내에서 복수의 서브채널(sub-channel)을 두어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패킷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QoS 별로 연계되는 논리 채널에 대한 서브채널을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MAC 계층은 RLC 버퍼에 있는 데이터 중 우선순위가 높은 패킷이 할당된 서브채널의 데이터부터 전송을 할 수 있다.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는 단말 내부 동작으로 기지국에서 별도로 해당 정보를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관련하여 서로 다른 QoS를 적용해야 하는 패킷에 대해서 QoS 차이에 따른 IP 패킷별 우선 순위와 폐기 타이머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즉, QoS 파라미터를 차등 적용함). 일례로, 논리채널에 대한 서브채널 별로 서로 다른 우선순위와 서로 다른 폐기 타이머를 설정하여 서브채널에 할당된 IP 패킷에 적용할 수 있다(이때 QoS 파라미터의 설정은 RRC 계층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
구체적으로는 TCP 패킷의 경우, 전송할 ACK 패킷이 복수 개가 있는 경우,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늦게) 생성된 ACK 패킷을 제외한 이전의 ACK 패킷들은 폐기하고, 새로운 ACK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TCP 성능을 높일 수 있다. PDCP 계층은 필요에 따라 폐기 타이머 만료 전에 RLC 계층에게 RLC SDU 폐기를 요청하여 오래된 TCP ACK 패킷을 폐기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슬롯(mini-slot) PDCCH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1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니슬롯이 적용된 경우의 PDCCH 모니터링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3a와 도 13b를 참조하면, 종래 하나의 슬롯(slot) 기반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과 달리 심볼 단위의 미니 슬롯 기반 전송 시간 구간을 통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할 시의 증대된 PDCCH 후보(candidate)의 증가로 인한 PDCCH 모니터링(monitoring) 횟수의 증대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종래 20MHz 최대 대역폭과 15kHz 단일 부반송파 간격과 달리 5MHz부터 400MHz까지의 광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만으로는 전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주파수 대역폭 별로 부반송파 간격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관련하여 부반송파 간격에 따른 슬롯 및 미니 슬롯을 적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넓은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면 한 슬롯의 길이가 반비례적으로 짧아지게 되어 무선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URLLC 구현에 필수적이어서 종래 슬롯 단위의 스케줄링(scheduling)외에도 미니 슬롯(2 OFDM 심볼, 4 OFDM 심볼, 7 OFDM 심볼로 이루어진 슬롯) 단위 스케줄링이 연구되고 있다.
도 13a와 도 13b를 참조하면, 미니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은 종래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슬롯 당 하나의 PDCCH(1310)이 한 개 이상의 자원 블록(1320,1330)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함)과 달리 하나 이상의 미니 슬롯용 PDCCH(1340, 1360)을 사용하므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PDCCH occasion이 더 자주 발생되고, 그로 인해 단말은 더 자주 PDCCH 모니터링을 하게 된다(제1 미니 슬롯 PDCCH(1340)은 제1 자원 블록(1350)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제2 미니 슬롯 PDCCH(1360)은 제2 자원 블록(1370)과 제3 자원 블록(1380)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함).
미니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을 하므로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으나 단말의 PDCCH 모니터링 횟수의 증가로 인해 단말 전력 소모가 커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종래 대비 수십 배에 이르는 주파수 대역폭을 지원해야 하므로 주파수 도메인(domain) 상에서 PDCCH 후보 또한 증대하게 되어 단말의 블라인드(blind) 복호(decoding) 시행 횟수도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니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 슬롯 기반 PDCCH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미니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PDCCH occasion 패턴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PDCCH occasion의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사전에 PDCCH occasion이 할당될 제어 자원 집합(CORESET: control resource set) 패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CORESET 패턴은 주파수 도메인으로 N개의 자원 집합(resource set)에 대한 정보와 시간 도메인으로 M개의 자원 집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PDCCH occasion 할당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CORESET 패턴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PDCCH occasion을 전체 PDCCH 할당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영역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를 하지 않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에게 CORESET 패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410).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 할당된 CORESET 패턴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S1420)(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에게 F1, F2 주파수 도메인과 T1, T2 시간 영역으로 이루어진 CORESET 패턴이 할당된 경우를 가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CORESET 패턴 요청 정보와 CORESET Pattern 정보는 RRC 시그날링 메시지 및/또는 MAC CE(ontrol Element)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CORESET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후 해당 CORESET에 해당하는 PDCCH occasion만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기지국이 CORESET 패턴을 정해서 단말에게 전송할 수도 있으나, 단말이 기지국에게 단말이 원하는 CORESET 패턴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청을 받은 기지국은 그대로 단말에게 CORESET 패턴을 할당해 줄 수도 있고, 다른 단말에의 CORESET 패턴 할당 상황 등을 고려하여 그에 기반한 CORESET 패턴을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은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영역에서의 미니 슬롯 기반 PDCCH occasion을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를 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미니 슬롯 기반 PDCCH occasion 모니터링을 비활성화(off)하고 관련 정보를 단말에 알릴 수 있다(관련하여 단말이 수신한 CORESET 패턴 정보에서 모든 주파수 도메인 및 시간 도메인 상의 할당 정보가 비활성화(off)된 경우, 단말은 미니 슬롯 기반 PDCCH occasion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또한 단말은 필요에 따라 기지국에게 미니 슬롯 기반 PDCCH occasion 비활성화(off)를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요청을 받은 기지국은 미니 슬롯 기반 PDCCH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하고 그 결과를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별도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도 PDCCH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원 집합(resource set)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요청에 의해 PDSCH 및/또는 PUSCH 자원 집합 패턴을 할당하여, 특정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상의 PDSCH 및/또는 특정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상의 PUSCH Resource를 사용하여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미니 슬롯 기반 TTI 동작에서 슬롯 기반 TTI 동작으로 스위칭(switching)이 될 수 있고, 역으로 슬롯 기반 TTI 동작에서 미니 슬롯 기반 TTI 동작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미니 슬롯 기반 TTI 동작에서 슬롯 기반 TTI 동작으로 스위칭 될 때, 미니 슬롯 기반 TTI 동작에서 수행 중인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개수가 슬롯 기반 TTI의 HARQ 프로세스 개수보다 더 많을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HARQ 재전송이 필요함에도 슬롯 기반 TTI 동작에서의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HARQ 재전송을 하지 못 하게 되어 데이터 통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스위칭시 기 수행 중이던 미니 슬롯 기반 TTI 동작의 HARQ 프로세스 개수가 슬롯 기반 TTI 동작에서의 HARQ 프로세스 개수보다 더 많은 경우에는, 스위칭 전에 HARQ 재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스위칭 된 후의 슬롯 기반 TTI 동작의 HARQ 프로세스가 이용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를 이용하여 최초 전송의 형태로 HARQ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물리계층 out-of-sync 발생시 T310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T310 타이머의 만료 시까지 상기 하향링크 PDCCH의 물리계층 in-sync 상태가 되지 않으면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함을 확인하는 단계;
    SRB0(signaling radio bearer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에 대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및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정지(suspend)하는 단계;
    셀 선택 수행을 통해 선택된 제2 기지국으로의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과의 RRC 연결 재설정이 성공하면 모든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resum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의 제어를 통해 결정된 시점에 RLC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선택적으로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게로의 소정의 기준에 따른 재전송 요청에도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RLC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선택적으로 PDCP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과의 RLF 발생시,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상기 RLF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을 통해 선택된 제2 기지국에 대한 ID(identifier)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셀 반송파(secondary cell carrier)를 통해 상기 RLF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반송파 집합(carrier aggregation)의 마스터 기지국인,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을 통해 상기 RLF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의 마스터(master) 기지국인,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과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에 대한 PDCP 계층 및 RLC 계층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SRB0를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정지(suspend)하지 않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의 제1 RLC 송신부와 제2 RLC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일한 데이터를 제1 RLC 수신부와 제2 RLC 수신부가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RLC 수신부와 제2 RLC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제1 RLC 송신부에 정상 수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수신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상기 제1 RLC 송신부 및 제2 RLC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폐기된 RLC PDU의 순차 번호를 포함하는 RLC PDU를 상기 제1 RLC 수신부 및 제2 RLC 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상 수신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상기 제1 RLC 송신부 및 제2 RLC 송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RLC 헤더(header)만으로 구성되는 RLC PDU를 상기 정상 수신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제1 RLC 수신부 및 제2 RLC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상기 PDCP 계층의 PDCP PDU가 중복(duplication)되었음을 상기 제1 RLC 송신부와 제2 RLC 송신부에게 알리고, 상기 PDCP PDU를 포함하는 RLC PDU에 폴링(polling) 비트를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IP(internet protocol) 패킷(packet)별 중요도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PDCP PDU(protocol data unit)를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IP 패킷별 중요도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RLC PDU를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허여 받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허여를 통해 할당 받은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하려는 상기 PDCP PDU가 소정의 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하면, 상기 IP 패킷의 중요도에 따른 소정의 기준으로 상기 RLC PDU의 폐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IP 패킷별 중요도 판별 정보에 따라 QoS(quality of service)를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MAC 계층은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즉시 트리거(trigger)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DCP 계층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에 대해서 ACK(acknowledgement) 패킷(packet)이 복수 개가 있는 경우, 가장 최근에 생성된 ACK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ACK 패킷을 폐기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IP 패킷별 중요도 판별 정보에 따라 차등적으로 QoS가 부여된 상기 IP 패킷에 대한 논리채널에 대해 상기 QoS별로 서브채널(subchannel)을 할당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브채널마다 서로 다른 우선 순위(priority) 및 폐기 타이머(timer)를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180058399A 2017-05-31 2018-05-2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4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94,027 US20180352601A1 (en) 2017-05-31 2018-05-31 Method for communicat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7972 2017-05-31
KR1020170067972 2017-05-31
KR20170080532 2017-06-26
KR1020170080532 201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11A true KR20180131411A (ko) 2018-12-10
KR102041996B1 KR102041996B1 (ko) 2019-11-07

Family

ID=6467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399A KR102041996B1 (ko) 2017-05-31 2018-05-2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955A1 (ko) *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13301657A (zh) * 2020-02-21 2021-08-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增强型调度请求处理过程
CN113412643A (zh) * 2019-02-12 2021-09-17 高通股份有限公司 经由无线电资源控制信令进行单播链路管理
CN113498618A (zh) * 2019-03-01 2021-10-12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
US11432358B2 (en) 2019-03-28 2022-08-30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sidelink TX UE for transmitting Rrc message related to RLF after RRC re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255824A1 (ko) * 2021-06-04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기지국의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992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 계층 최적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126206A1 (en) * 2013-11-07 2015-05-07 Motorola Mobility Llc Radio-Link Establishment for Multi-State Cells
KR20150099471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3072A (ko) * 2013-07-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재송신 실패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019945A1 (en) * 2014-03-21 2017-01-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ual Connectivity Re-Establish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992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 계층 최적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33072A (ko) * 2013-07-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재송신 실패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126206A1 (en) * 2013-11-07 2015-05-07 Motorola Mobility Llc Radio-Link Establishment for Multi-State Cells
KR20150099471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19945A1 (en) * 2014-03-21 2017-01-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ual Connectivity Re-Establish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2643A (zh) * 2019-02-12 2021-09-17 高通股份有限公司 经由无线电资源控制信令进行单播链路管理
US11832321B2 (en) 2019-02-12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Unicast link management via radio resource control signaling
CN113412643B (zh) * 2019-02-12 2024-05-28 高通股份有限公司 经由无线电资源控制信令进行单播链路管理
WO2020175955A1 (ko) * 2019-02-28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13498618A (zh) * 2019-03-01 2021-10-12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
US11432358B2 (en) 2019-03-28 2022-08-30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sidelink TX UE for transmitting Rrc message related to RLF after RRC re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301657A (zh) * 2020-02-21 2021-08-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增强型调度请求处理过程
CN113301657B (zh) * 2020-02-21 2024-04-0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增强型调度请求处理过程
WO2022255824A1 (ko) * 2021-06-04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기지국의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96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2601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0869215B2 (en) Method for reporting a radio link problem and a device therefor
CN112088575B (zh) 用于在拒绝时处置周期性无线电接入网络通知区域(rna)更新配置的方法
KR10204199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0419261B (zh) 用于在cu-du切分场景下修改无线电承载的方法和设备
RU2640397C2 (ru) Способ для сообщ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лин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US11792635B2 (en) Methods for handling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update configuration upon reject
US1020016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xed HARQ feedback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10999382B (zh) 用于控制分组复制的方法及设备
JP7378569B2 (ja) 非認識応答モード(um)データ無線ベアラ(drb)のためのロスレス送信
US11190977B2 (en) Method for handling data lossless in a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80108391A (ko)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366306A1 (en) Method for selecting pucch transmission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50073467A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765555B1 (e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hancement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US20230188950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23106315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CN117223329A (zh) 关于活动多播广播会话的切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