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95A -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95A
KR20180130995A KR1020170067409A KR20170067409A KR20180130995A KR 20180130995 A KR20180130995 A KR 20180130995A KR 1020170067409 A KR1020170067409 A KR 1020170067409A KR 20170067409 A KR20170067409 A KR 20170067409A KR 20180130995 A KR20180130995 A KR 20180130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consumption
electronic device
contrac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187B1 (ko
Inventor
이효섭
최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17006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187B1/ko
Priority to KR1020170180626A priority patent/KR1025482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전력 사용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사용 용도별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전력 공급 회사(이하 '전력 회사'라 칭함)와 여러 가지 계약 종류별 전기요금 중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계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전력은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의 6가지 계약 종류로 구분하여 전기를 공급하고 있고, 소비자는 이 중 자신의 용도에 맞는 전기 요금 종류를 선택하여 계약한다.
그런데, 한국 전력이 공급하는 주택용 전기 요금은 산업용 전기요금 및 농업용 전기요금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비싸다. 이는 전기 요금 누진제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주택용 전기에만 적용되고, 산업용 전기와 농업용 전기 등에는 적용되지 않음에 주로 기인한다.
제 3자가 상대적으로 요금이 싼 농업용 또는 가로등 전선을 끌어다가 전기를 사용하여 전력 사용이 많이 발생한 경우, 전력 회사는 전기 누설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전력 회사는 계약 종류에 따른 계약 위반 사용을 상세히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즉, 전력 회사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기초해, 계약 위반 사용이 있는지 여부, 위반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위반 사용 장소 등을 판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전력 사용 용도별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 및 관리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 관리 방법은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단계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약 종류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전자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소비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는 최대 사용 전력, 최소 사용 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단계는 계약 위반 코드 및 계약 위반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 관리 장치는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 관리 장치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인입점으로부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로부터 전력 변화의 정상 또는 과도 상태를 구분하여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을 추출하는 동작 상태 추출부;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징에 따른 신호 상관 관계를 통하여 상기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과 매칭되는 전자 기기별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데이터 세트 생성부; 상기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시간영역에 따라 매핑하여 재조합하는 재조합부; 및 상기 재조합된 데이터 세트를 레이블링하는 레이블링부;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레이블링된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전자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전력 사용 용도별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기초하여,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리하는 등의 전력 사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기초해, 계약 종류에 따른 계약 위반 사용이 있는지 여부, 위반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위반 사용 장소 등을 판단하는 전력 사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반 사용 점검을 위한 별도의 인적 자원 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농업용 또는 가로등과 같은 전선을 끌어다가 전기를 사용하는 계약 종류별 위반 사용을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단속 및 관리할 수 있어 전기 상거래 질서를 유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용도별 계약종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방법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용도별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력 회사는 전기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른 계약 종류별로 구분하여 해당되는 요금을 적용한다. 이를 용도별 차등요금제라 하는데, 전력 회사는 용도별 차등요금제를 통해 용도별 전기 사용 패턴에 따라 공급원가 차이가 발생하는데 따른 전기 공급 비용을 반영하고, 저소득층 및 농어민 보호, 에너지 절약, 산업경쟁력 제고 등 국가의 각종 정책 요인을 반영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기 계약 종류 중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전기 사용을 계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한다.
도 1의 예시에서, 전력 회사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의 6가지 계약 종류별로 구분하여 요금을 적용한다. 소비자는 이 중 자신의 용도에 맞는 전기 요금 종류를 선택하여 계약한다.
주택용 전력(110)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의 전력이다. 아파트 및 주거용 오피스텔을 포함한 주거용 고객은 주택용 전력을 선택하여 계약한다. 농사용 전력(160)은 양곡 생산을 위한 양수, 배수 펌프 및 수문 조작에 사용하는 전력, 농작물 재배에 사용하는 전력, 농수산물 저온보관시설, 농수산물 건조시설, 수산물 냉동시설 및 해충 유인용 전등 등에 사용하는 전력이다. 가로등 전력(150)은 일반 공중의 편익을 위하여 도로, 교량, 공원 등에 조명용으로 설치한 전등이나 교통신호등, 도로표시등, 해공로 표시등 및 기타 이에 준하는 전등에 적용하는 전력이다. 산업용 전력(130)은 표준산업분류상 광업 및 제조업에 적용하는 전력이다. 교육용 전력(140)은 학교, 도서관, 박물관 및 미술관 등에 적용하는 전력이고, 일반용 전력(120)은 상기 요금종별 이외의 고객에게 적용하는 전력이다.
2015년 한국 전력의 용도별 전력 판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산업용 전력 판매 비중이 54.4%로 압도적으로 높고, 일반용 25.1%, 주택용 15%, 교육용 1.6%, 농사용 1.4% 및 가로등 0.7% 순으로 전력 판매 비중이 높다.
전력 소비자는 자신의 전력 사용 용도에 맞게 전력 회사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계약 종류별 전기요금 중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계약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 전력이 공급하는 주택용 전기 요금은 산업용 전기요금 및 농업용 전기요금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비싸다. 이는 전기요금 누진제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주택용 전기에만 적용되고, 산업용 전기와 농업용 전기 등에는 적용되지 않음에 주로 기인한다.
이러한 계약 종류별 전기요금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농업용 또는 가로등 전선을 끌어다가 전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계약 종류별 계약 위반 사용을 전력 회사는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방법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계약자 측에 위치한 추가 전력량계(2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약 종류의 전력 사용 범위를 벗어난 계약 위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기초해 계약 위반 사용이 있는지 여부, 위반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위반 사용 장소 등을 판단한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240)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전력량계(22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계량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전력 회사의 전력량계와 물리적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계량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3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가입자의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계약 종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약 종류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33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계약자 측에 위치한 추가 전력량계(2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입자가 계약 종류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계약자는 전력 회사와 농사용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계약자가 농사용으로 허용되지 않은 TV,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데이터를 통해 판단한다. 다른 예로, 계약자가 심야 빙축열 전자 기기만의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을 경우, 계약자가 빙축열 전자 기기만을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데이터를 통해 판단한다.
단계 35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240)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한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계약 위반 코드 및 계약 위반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를 서버(240)에게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4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추가 전력량계(220)로부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 전력량계(22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인입점에서 소정의 샘플링 레이트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추가 전력량계(220)는 초당 1에서 999번의 샘플링 레이트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한다.
단계 43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상기 추출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징에 따른 신호 상관 관계를 통하여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과 매칭되는 개별 전자 기기별 데이터 세트를 상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특성에 따라 데이터 세트를 재분류하고, 시간영역에 따라 매핑하여 재조합하고, 재조합된 데이터 세트를 레이블링함으로써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한다. 만약 상기 계약 종류가 하나의 전자 기기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은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로 대체할 수 있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가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방법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기 출원된 특허인 '전력 인입점 에너지 계측 장치 및 이를 통한 에너지 계측 정보 레이블링 시스템' (출원번호: PCT/KR2015/007234, 출원일: 2015.07.13)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는 본 명세서 내에 참조용으로 포함된다.
단계 45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추정된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가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가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계약자는 전력 회사와 농사용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계약자가 농사용으로 허용되지 않은 TV,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추정된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단계 47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240)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510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DB(620)에서 계약 종류의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계약자가 전력 회사와 농사용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을 경우, 소정의 전자 기기는 양곡 생산을 위한 양수 기기, 배수 펌프, 수문 조작 기기, 농작물 재배 관련 전자 기기, 농수산물 저온 보관 기기, 농수산물 건조 기기, 농수산물 냉동 기기 및 해충 유인용 전등을 포함한다.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는 전자 기기 별로 최대 사용 전력, 최소 사용 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53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추가 전력량계(220)로부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는 초당 1에서 999번의 샘플링 레이트로 추가 전력량계(220)에서 추출된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상기 추출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한다. 만약 상기 계약 종류가 하나의 전자 기기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은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로 대체할 수 있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추정된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는 전자 기기 별로 최대 사용 전력, 최소 사용 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55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상기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계약자는 전력 회사와 가로등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계약자가 가로등용으로 허용되지 않은 TV,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상기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단계 570에서, 전력 사용 관리 장치(230)는 허용치를 초과하여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240)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전력 사용 관리 장치(600)는 수신부(610), DB(620), 판단부(630) 및 통지부(640)를 포함한다.
수신부(610)는 계약자 측에 위치한 추가 전력량계(2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는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포함한다. 추가 전력량계(22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인입점에서 소정의 샘플링 레이트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추가 전력량계(220)는 초당 1에서 999번의 샘플링 레이트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600)는 동작상태 추출부, 데이터 세트 생성부, 재조합부 및 레이블링부를 더 포함한다.
동작상태 추출부는 상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로부터 전력 변화의 정상 또는 과도 상태를 구분하여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을 추출한다. 데이터 세트 생성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징에 따른 신호 상관 관계를 통하여 상기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과 매칭되는 전자 기기별 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 재조합부는 상기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시간영역에 따라 매핑하여 재조합한다. 레이블링부는 상기 재조합된 데이터 세트를 레이블링한다.
판단부(630)는 가입자의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계약 종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약 종류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판단부(630)는 수신부(610)가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입자가 계약 종류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630)는 레이블링부가 레이블링한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한다. 만약 상기 계약 종류가 하나의 전자 기기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판단부(630)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대입할 수 있다.
판단부(630)는 추정된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가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가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계약자는 전력 회사와 농사용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계약자가 농사용으로 허용되지 않은 TV,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데이터를 통해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630)는 DB(620)에서 계약 종류의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계약자가 전력 회사와 농사용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을 경우, 소정의 전자 기기는 양곡 생산을 위한 양수 기기, 배수 펌프, 수문 조작 기기, 농작물 재배 관련 전자 기기, 농수산물 저온 보관 기기, 농수산물 건조 기기, 농수산물 냉동 기기 및 해충 유인용 전등을 포함한다.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는 전자 기기별로 최대 사용 전력, 최소 사용 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630)는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판단부(630)는 수신부(610)가 수신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한다. 만약 상기 계약 종류가 하나의 전자 기기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판단부(630)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대입할 수 있다. 판단부(630)는 추정된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는 전자 기기별로 최대 사용 전력, 최소 사용 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630)는 상기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계약자는 전력 회사와 가로등 전력 사용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계약자가 가로등용으로 허용되지 않은 TV,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부(630)는 상기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판단부(630)가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통지부(640)는 서버(240)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한다. 통지부(640)는 계약 위반 코드 및 계약 위반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를 서버(240)에게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 관리 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8)

  1.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종류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전자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는 최대 사용 전력, 최소 사용 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단계는
    계약 위반 코드 및 계약 위반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종류는 소정의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금지하거나, 소정의 전자 기기들만의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종류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및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전자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것은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력 소비 특성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자 기기의 특성 데이터는 최대 사용전력, 최소 사용전력 및 1회 사용 시 사용 시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계약 위반 코드 및 계약 위반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18.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인입점으로부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총 전력 소비량 데이터로부터 전력 변화의 정상 또는 과도 상태를 구분하여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을 추출하는 동작 상태 추출부;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특징에 따른 신호 상관 관계를 통하여 상기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의 변화 패턴과 매칭되는 전자 기기별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데이터 세트 생성부;
    상기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시간영역에 따라 매핑하여 재조합하는 재조합부; 및
    상기 재조합된 데이터 세트를 레이블링하는 레이블링부;
    전력 사용 용도에 따른 가입자의 계약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레이블링된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계약 종류의 용도를 위반한 전자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계약 종류에 따른 전력 사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게 계약 위반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관리 장치.

KR1020170067409A 2017-05-31 2017-05-31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7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09A KR101970187B1 (ko) 2017-05-31 2017-05-31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170180626A KR102548221B1 (ko) 2017-05-31 2017-12-27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09A KR101970187B1 (ko) 2017-05-31 2017-05-31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26A Division KR102548221B1 (ko) 2017-05-31 2017-12-27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95A true KR20180130995A (ko) 2018-12-10
KR101970187B1 KR101970187B1 (ko) 2019-04-18

Family

ID=6467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09A KR101970187B1 (ko) 2017-05-31 2017-05-31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1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710A (ja) * 2004-12-21 2006-07-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器具別消費電力量管理システム
KR20120007297A (ko) * 2010-07-14 2012-01-20 한국전력공사 자동 검침 시스템의 위약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20068328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710A (ja) * 2004-12-21 2006-07-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器具別消費電力量管理システム
KR20120007297A (ko) * 2010-07-14 2012-01-20 한국전력공사 자동 검침 시스템의 위약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20068328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187B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3580A1 (en) Management of a power-distribution system
US8319658B2 (en) Process, device and system for mapping transformers to meters and locating non-technical line losses
Maliszewski et al. Factors in the resilience of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infrastructures
McKenna et al. Smart meter data: Balancing consumer privacy concerns with legitimate applications
Dike et al. Minimizing household electricity theft in Nigeria using GSM based prepaid meter
Anas et al. Minimizing electricity theft using smart meters in AMI
EP2503344B1 (en)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US10908198B2 (en) Determining meter phase using interval voltage measurements
CN103003829A (zh) 能源服务交付平台
KR102150775B1 (ko) 에너지 소비 경보 시스템, 플랫폼 및 방법
Blaauwbroek et al.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Interaction between EU legal conditions and state estimation accuracy
US20130138367A1 (en) Remote power outage notification
Campbell et al. Smart meters to monitor power quality at consumer premises
KR101970187B1 (ko)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31349A (ko) 전력 사용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60223601A1 (en) Energy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Glass et al. Underground power lines can be the least cost option when study biases are corrected
Bahatskyi et al. Smart Home Subsystem for Calculating the Quality of Public Utilities
Babu et al. Operation and control of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ith extra voltage to minimize the losses
Gangopadhyay Demand Forecasting of Electricity and Optimal Locationing of Transformer Locations Using Geo-Spatial Techniques: A Case Study of Districts of Bihar, India
Gaunt et al. Informal Electrification in South Africa
Gernhardt et al. A Novel Method for Cyber-Maintenance Prioritisation of Ageing Distributed Power Sources
Jacob et al. IOT Based Last Meter Smart Grid With Energy Theft Detection
Sariri et al. Real-time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utility customer’s power usage for improved demand response control
Konstantinos Department of Electronic and Computer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