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668A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668A
KR20180130668A KR1020170066524A KR20170066524A KR20180130668A KR 20180130668 A KR20180130668 A KR 20180130668A KR 1020170066524 A KR1020170066524 A KR 1020170066524A KR 20170066524 A KR20170066524 A KR 20170066524A KR 20180130668 A KR20180130668 A KR 20180130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il
power supply
power
dumm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차현
이종희
김성중
황호원
Original Assignee
(주) 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스 filed Critical (주) 세스
Priority to KR102017006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668A/en
Publication of KR2018013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6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mproved in a transmission distance to transmit power while constantly maintaining a value of an inductance by extending a gap between a transformer unit and a pickup unit and canceling a change amount of the inductance due to changes of a length of a transmission line between a power supply unit and a primary coil.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mproved in a transmiss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wer supply unit; the transformer unit having the primary coil to transmit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the pickup unit having a secondary coil to receiv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transformer unit; a gap exten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transformer unit and the pickup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coil and capacitor;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received by the pickup unit to an external device.

Description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부와 픽업부 사이의 공극을 연장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와 1차 코일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생기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상쇄시켜서 인덕턴스의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extending a gap between a transducer and a pickup unit, and capable of measuring a change in inductance caused by a change in length of a transmission line between a power supply unit and a primary c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by maintaining a constant inductance value by canceling the inductance.

종래의 모터나 전동기의 브레이크 시스템, 혹은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등을 보면 종래에 유접점 회로를 채용한 유접점 전원 전달장치가 대부분 채용된 것을 알 수 있다.Conventional motor, electric motor brake system, battery charging system, and the like show that most of the conventional contact-point power transmission devices employing a contact circuit are employed.

이러한 유접점 전원 전달장치는 비교적 단순하고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 수명에 한계가 있고 제어 환경의 변화시 모든 회로를 다시 만들어야 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점차 그 사용이 축소되고 있다.Such a contact point power transmission device has a relatively simple and inexpensive advantage, but its lifetime is limited and the use thereof is being gradually reduced due to a disadvantage that all circuits must be re-created when the control environment changes.

더욱이, 최근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자동화를 위한 시퀀스 제어를 무접점 회로를 갖는 무접점 전원 전달장치로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Furthermore, as semiconductor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so far, sequence control for automation has been adopted as a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non-contact circuit.

그러나, 이와 같은 무접점 전원 전달장치는, 현장의 기계에 연결하여 동작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프로그램의 확정이 어려우며 이로 인한 현장에서의 수정 변경이 많아지게 되었고, 다품종 소량생산 및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시스템의 변경이 빈번해 짐에 따라 전송 선로의 변경이나 시스템 전체의 재제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구조적 결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such a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rogram until it is connected to a machine in the field and confirmed its operation. As a result, a lot of modifications have been made on the spot due to this,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As the system changes frequently, it has a structural defect that the transmission line must be changed or the entire system must be rebuilt.

한편, 전송 선로의 길이가 변경되면, 전송 선로에 의해 생기는 인덕턴스(Inductance) 값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 f(=2π*1/√LC)의 값이 변경되어 전력 수신측의 공진 주파수와 공명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 이 경우, 전력 수신측의 인덕턴스 값을 조절하여 다시 공명을 이루게 할 수는 있으나, 이미 구축된 시스템의 재제작이 필요하여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is changed, the inductance value caused by the transmission line is changed, and the value of the resonance frequency f (= 2 pi * 1 / Resonance can not be achieved and trans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gain the resonance by adjusting the inductance value of the power receiving side, but it requires a lot of cost and time because the already constructed system needs to be rebuilt.

한편, 한국공개특허 10-2004-0106763호에는, 장치본체와; 주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와, 복수의 직류 컨버터를 갖는 스위칭회로와, 1차트랜스를 가지고 상기 장치본체 내의 일측에 배치되는 1차측 회로부와; 상기 장치본체 내에서 상기 1차측 회로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상기 1차트랜스에 의한 전원을 무접점으로 공급받는 2차트랜스와, 제공된 상기 전원을 필터링한 후 정류하는 주변회로와, 정류된 전원을 소정의 컨트롤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2차측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접점 전원 전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106763 discloses an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 switching circuit having a plurality of DC converters, a primary circuit portion having a primary transformer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 secondary transform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imary side circuit unit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rimary transformer at a contactless point, a peripheral circuit for filtering and rectifying the provided power source, And a secondary side circuit portion having a power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control system to a predetermined control system.

상기 특허에 의하면, 무접점 방식으로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결합계수가 낮고 누설 인덕턴스가 큰 상태에서 효과적인 전원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이 길고 작동불량이 전혀 발생치 않으며 부하측 전원의 컨트롤 시스템을 보다 다양화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전송 선로의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 기 구축된 시스템의 재제작없이는 적절한 효율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According to the patent, since the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ntactless method, effective power can be transmitt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coefficient is low and the leakage inductance is large, and the service life is long and no malfunction occurs. However, when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per efficiency can not be obtained without re-manufacturing a pre-built system.

이에 본 출원인은 전송 선로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기 구축된 시스템의 재제작없이 송신측과 수신측의 공진 주파수가 공명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트랜스부와 픽업부 사이의 공극을 연장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안한다.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side and the reception side resonate without re-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system, even if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is change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proposed.

한국공개특허 10-2004-010676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6763

본 발명은 트랜스부와 픽업부 사이의 공극을 연장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와 1차 코일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생기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상쇄시켜서 인덕턴스의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gap between the transformer and the pickup and compensate for the variation of the inductanc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primary coil so that the value of the inductance is kept consta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that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전원 공급부; 1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부; 2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부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부; 상기 트랜스부와 상기 픽업부 사이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코일과 커패시터를 구비한 공극 연장부; 및, 상기 픽업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외부 디바이스로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wer supply; A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coil and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 pickup unit having a secondary coil an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ducer; A gap extending between the transducer and the pick-up section, the gap extension including at least one coil and a capacito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ceived by the pickup unit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트랜스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트랜스부를 연결하는 선로에 의한 인덕턴스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선로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생기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상쇄시키는 더미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that is form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transformer unit, And a dummy coil part for canceling a change amount of the inductan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더미 코일부는, 시스템 세팅에 필요한 선로의 길이값을 입력하는 선로 길이 입력 모듈과, 입력한 선로 길이값으로부터 변경된 인덕턴스 값을 산출하는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과, 더미 코일을 삽입하여 변경된 인덕턴스 값을 보충하는 더미 코일 결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coil unit includes a line length input module for inputting a length value of a line required for system setting, an induc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n inductance value changed from the input line length value, And a dummy coil coupling module that replaces the inductance value with the modified inductance valu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더미 코일부는, 상기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에 의해 산출된 인덕턴스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coil unit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nductance value calculated by the inductance value calculat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더미 코일 결합 모듈은, 단위 더미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더미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coil coupling module includes a unit dummy coil, and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unit dummy coil is inserted.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embodiments of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트랜스부와 픽업부 사이의 공극을 연장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와 1차 코일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생기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상쇄시켜서 인덕턴스의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air gap between the transformer and the pickup, cancel the variation of the inductanc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primary coil, And a transmission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더미 코일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더미 코일부의 더미 코일 결합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ummy coil uni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ummy coil coupling module of a dummy coil por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the specific embodiments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are us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더미 코일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더미 코일부의 더미 코일 결합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ummy coil uni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ummy coil coupling module of a dummy coil por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원 공급부(100)와,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와, 전원부(400)와, 더미 코일부(500)와 공극 연장부(600)를 포함한다.2,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0, a transformer unit 200, a pickup unit 300, a power unit 400, And includes a coil portion 500 and a gap extension portion 600.

전원 공급부(100)은 소정 크기의 전압 전원, 또는 전류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125A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00)은 외부에서의 전원을 끌어오기 위해 별도의 전원 입력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0 supplies a voltage power source or a current power source of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 current of 125 A is supplied.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00 may include a separate power input line (not shown) to draw power from the outside.

트랜스부(200)은 상기 전원 공급부(100)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자기유도 또는 자기공명 방식으로 픽업부(300)로 전송하기 위해 1차 코일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저항(R)과, 커패시터(C)가 마련되어 있다.The transducer 200 includes a primary coil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100 to the pickup unit 300 in a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manner. Further, although not shown, a resistor R and a capacitor C are provided.

픽업부(300)은 상기 트랜스부(200)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1차 코일과 커플링되는 2차 코일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필터, 정류회로 및 평활회로 등을 포함한다.The pickup unit 300 includes a secondary coil coupled to the primary coil to receiv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former 200. [ It also includes a filter, a rectifying circuit, a smoothing circuit and the like which are not shown.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자기유도 현상 또는 자기공명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1차측인 트랜스부(200)과 2차측인 픽업부(300)은 공간적으로 상호 분리되어 형성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r 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and the transformer unit 200 as a primary side and the pickup unit 300 as a secondary side are spa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동작원리는 1차측 트랜스부(200)에 형성된 1차 코일에 전류를 흘릴 경우 발생되는 자계에 의해서 2차측 픽업부(300)의 2차 코일에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는 원리로 일반 트랜스포머와 동일하기는 하나, 공극을 분리시킴으로써 결합계수가 낮고 누설 인덕턴스가 큰 상태에서 효과적인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inciple of operation is that a current is induced and flows in the secondary coil of the secondary side pickup part 300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formed i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200, By separating the pore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ffective power with a low coupling coefficient and a large leakage inductance.

전원부(400)는 상기 픽업부(300)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외부 디바이스로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400 supplies the power received by the pickup unit 300 to the external device.

더미 코일부(500)는 상기 전원 공급부(100)과 상기 트랜스부(200)을 연결하는 선로에 의한 인덕턴스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선로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생기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상쇄한다.The dummy coil part 500 cancels the change amount of the inductanc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line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uctance due to the line connecting the power supply part 100 and the transformer part 200 is kept constant .

예를 들어, 규모가 큰 작업 공간에서 작은 작업 공간으로의 변경, 현장에서 요구되는 설계 변경 등에 의해 전원 공급부(100)과 트랜스부(200) 사이의 선로 길이가 짧아지면 이에 따라 선로에 의해 생기는 인덕턴스 값이 줄어들게 된다. 인덕턴스 값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진 주파수 f(=2π*1/√LC)의 값이 변경되어 픽업부(300)측의 공진 주파수와 공명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For example, when the line length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transformer 200 is shortened due to a change from a large work space to a small work space, a design change required in the field, or the like, the inductance The value is reduced. The value of the resonance frequency f (= 2? * 1 /? LC) is changed and the resonance frequency does not coincide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ickup unit 300,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더미 코일부(500)는 줄어든 인덕턴스 값을 가지는 더미 코일을 전원 공급부(100)과 트랜스부(200) 사이에 추가하여 전체적으로 원래의 공진 주파수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변경, 수정 등의 재제작을 하지 않아도 최적의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dummy coil part 500 adds a dummy coil having a reduced inductance value between the power supply part 100 and the transformer part 200 so that the original resonance frequency is maintained as a w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optimum transmission efficiency without re-manufacturing such as modification, modification or the like of a system already built.

더미 코일부(500)는 시스템 세팅 결과 줄어든 선로 길이에 해당하는 인덕턴스 값을 가지는 더미 코일 그 자체일 수 있으며, 더미 코일을 수동으로 선로에 연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The dummy coil portion 500 may be a dummy coil itself having an induct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line length reduced as a result of the system setting, and the dummy coil may be manually connected to the line to connect the radio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also be implement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더미 코일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 길이 입력 모듈(510),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520), 더미 코일 결합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ummy coil portion 500 may include a line length input module 510, an induc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520, and a dummy coil coupling module 530, as shown in FIG. 3 .

선로 길이 입력 모듈(510)은 작업자가 시스템 세팅에 필요한 선로의 길이를 입력하는 모듈이다. 픽업부(300) 측의 공진 주파수가 고정된 상태에서, 트랜스부(200)측의 선로가 변경되는 경우, 작업자는 원래의 선로 길이에서 변경될 선로 길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선로 길이가 100m이고, 시스템 세팅에 의해 선로 길이가 50m로 줄어들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기존 선로 길이와 변경 후 선로 길이를 입력한다. 한편, 길이 이외에 인덕턴스에 영향을 주는 다른 파라미터 값들을 입력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파라미터의 변경없이 선로 길이만 변경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물론, 선로 길이 변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ne length input module 510 is a module in which an operator inputs the length of a line necessary for system setting. When the line on the side of the transformer 200 is changed whil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ickup 300 is fixed, the operator inputs the line length to be changed in the original line length. For example, if the existing line length is 100m and the line length needs to be reduced to 50m by the system setting, the operator inputs the existing line length and the changed line length. Meanwhile, other parameter values that affect the inductance other than the length may be inpu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only the line length is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other parameters.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e line length change.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520)은 작업자가 입력한 선로 길이 변경값으로부터 변경된 인덕턴스 값을 산출하고, 이를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예에서 줄어든 50m에 대응하는 인덕턱스값을 산출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선로 길이와 이에 대응하는 인덕턴스값은 실험 또는 계산에 의해 미리 획득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520)은 이러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변경된 인덕턴스값을 산출한다. 이때,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520)은 변경된 인덕턴스값이 아니라, 보충이 필요한 인덕턴스값도 함께 산출할 수 있다. 즉, 줄어든 인덕턴스값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nduc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520 calculates a changed inductance value from the line length change value input by the operator and displays a separate display. For example, the inductance value corresponding to 50 m reduced in the above example is calculated and displayed. Here, the line length and the corresponding inductance value may be data obtained in advance by experiment or calculation, and the induc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520 calculates the changed inductance value with reference to such data. At this time, the induc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520 can calculate not only the changed inductance value but also the inductance value that needs to be supplemented. That is, the reduced inductance value can be calculated and displayed.

더미 코일 결합 모듈(530)은 더미 코일을 삽입하여 줄어든 인덕턴스값을 보충하도록 한다. 더미 코일 결합 모듈(5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형태의 삽입구(531)를 구비한다. 더미 코일 결합 모듈(530)은 부속품으로 단위 용량을 갖는 다수의 더미 코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H(헨리), 100mH, 10mH 등 일정 크기의 값을 갖는 다수의 단위 더미 코일을 포함하며,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520)에 의해 산출된 값을 보충하도록 필요한 개수의 단위 더미 코일을 삽입구(531)에 삽입할 수 있다.The dummy coil coupling module 530 inserts the dummy coil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inductance value. The dummy coil coupling module 530 has a slotted insertion hole 531 as shown in FIG. The dummy coil coupling module 530 includes a plurality of dummy coils having a unit capacity as an accessory. For example, a plurality of unit dummy coils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such as 1H (Henry), 100mH, 10mH, and the like, and the number of unit dummy coils required to supplement the value calculated by the inductance value calculating module 52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531.

공극 연장부(600)는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 사이의 공극을 연장한다. 공극 연장부(600)는 하나 이상의 코일과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공극 연장부(600)는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 사이의 공극이 커짐에 따라 변화하는 임피던스값을 보상하여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이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공극 연장부(600)가 없는 경우,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 사이에는 10mm의 공극이 형성되어 전력을 전송하나, 공극 연장부(600)가 추가되면 트랜스부(200)와 픽업부(300) 사이의 공극이 30mm로 연장되어도 전력 전송이 가능해진다.The cavity extension part 600 is formed between the transducer 200 and the pickup part 300 to extend the gap between the transducer 200 and the pickup part 300. The void extension 600 includes one or more coils and a capacitor. The gap extension unit 600 compensates for the impedance value that changes as the gap between the transducer 200 and the pickup unit 300 increases so that the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transducer 200 and the pickup unit 300 is maintained. do. For example, if there is no gap extension part 600, a space of 10 mm is formed between the transformer part 200 and the pickup part 300 to transmit electric power. When the void extension part 600 is added, 200 and the pickup unit 300 is extended to 30 mm, power transmission becomes possibl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원 공급부 200 : 트랜스부
300 : 픽업부 400 : 전원부
500 : 더미 코일부 600 : 공극 연장부
100: power supply unit 200:
300: Pickup unit 400: Power supply unit
500: dummy coil part 600: void extension part

Claims (5)

전원 공급부;
1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부;
2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부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픽업부;
상기 트랜스부와 상기 픽업부 사이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코일과 커패시터를 구비한 공극 연장부; 및,
상기 픽업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외부 디바이스로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ower supply;
A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coil and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 pickup unit having a secondary coil an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ducer;
A gap extending between the transducer and the pick-up section, the gap extension including at least one coil and a capacito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ceived by the pickup unit to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increa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트랜스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트랜스부를 연결하는 선로에 의한 인덕턴스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선로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생기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상쇄시키는 더미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ummy coil which is form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transformer and which compensates for a change in inductance caused by a change in length of the line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uctance due to the line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transformer unit is constant, And a part of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improv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더미 코일부는,
시스템 세팅에 필요한 선로의 길이값을 입력하는 선로 길이 입력 모듈과, 입력한 선로 길이값으로부터 변경된 인덕턴스 값을 산출하는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과, 더미 코일을 삽입하여 변경된 인덕턴스 값을 보충하는 더미 코일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The dummy coil unit according to claim 2,
A line length input module for inputting a length value of a line required for system setting, an inductance value calculating module for calculating an inductance value changed from the input line length value, and a dummy coil coupling module for inserting a dummy coil to supplement the changed inductance value Wherei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improv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더미 코일부는,
상기 인덕턴스값 산출 모듈에 의해 산출된 인덕턴스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The dummy coil unit according to claim 3,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nductance value calculated by the inductance value calculating modu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더미 코일 결합 모듈은,
단위 더미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더미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거리가 향상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The dummy coil coupling modu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nit dummy coil inclu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unit dummy coil is inserted.
KR1020170066524A 2017-05-30 2017-05-3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KR201801306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524A KR20180130668A (en) 2017-05-30 2017-05-3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524A KR20180130668A (en) 2017-05-30 2017-05-3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668A true KR20180130668A (en) 2018-12-10

Family

ID=6467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524A KR20180130668A (en) 2017-05-30 2017-05-3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6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077B2 (en) Feed unit, fee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JP6009043B2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3930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energy and / or data between a source device and at least one target device
CN107257167B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EP2894764B1 (en)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and contactless extension plug
KR20160106002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10025132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49104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P2590335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10090710B2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resonance coils
US20130038282A1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method
KR20160022911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upply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160254701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forming magnetic field space, and magnetic field space formation method
KR20150032570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14162766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supplied-power control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wireless-power-transfer-device manufacturing method
WO2015015901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659183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WO2014199827A1 (en) Electricity supply module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supply method of electricity supply module
WO2014199830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60106077A (en) Wireless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70130956A (en) Non-contact power transferring device
KR20180130668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distance
JP5996753B2 (en) Discovery method and program thereof
CN103563264B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system
JPH11178248A (en) Power circuit for non-contact power su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