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231A -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 Google Patents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231A
KR20180130231A KR1020170066079A KR20170066079A KR20180130231A KR 20180130231 A KR20180130231 A KR 20180130231A KR 1020170066079 A KR1020170066079 A KR 1020170066079A KR 20170066079 A KR20170066079 A KR 20170066079A KR 20180130231 A KR20180130231 A KR 2018013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tisol
dhea
concentration
molar
precocious pube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7260B1 (en
Inventor
안련섭
Original Assignee
안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련섭 filed Critical 안련섭
Priority to KR102017006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260B1/en
Publication of KR2018013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G01N33/743Steroid horm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8Pediatr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in advance, a result of a central precocious puberty definite diagnosis test (a GnRH stimulation reaction test) of a girl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and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etermining, in advance, whether a girl suspicious of central precocious puberty is likely to obtain a positive or a negative reaction result in the central precocious puberty definite diagnosis test, by measuring concentrations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stradiol-17β, E2 from a saliva sample collected from a girl less than nine years old before performing the central precocious puberty definite diagnosis test and by checking a specific relationship value between the concentration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entral precocious puberty definite diagnosis test, and to a reference therefor.

Description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GnRH 자극 반응 결과의 사전예측 방법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dicting the GnRH stimulation response of a girl with a sexual precocious puberty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본 발명은 여아의 진성성조숙증(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의 확진을 위해 수행되는 GnRH 자극반응 검사의 결과를 GnRH 자극반응 검사 시행 이전에 채취한 시료를 통해 그 결과를 사전에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신피질호르몬 중 코티졸(cortisol) 및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성선호르몬 중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의 농도를 기반으로 한 부신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의 활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이용하여 성조숙증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기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dicting the result of GnRH stimulation test performed to confirm the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of a girl through a sample collected before the GnRH stimulation tes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ticosteroid and a dihydroepiandrosterone (DHEA) among corticosteroids, a adrenal endocrine system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estradiol-17β, E2 in the gonadal horm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criter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gonococci using an indicator that can grasp the activity level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이란 평균치보다 2 표준편차 이상 2차 성지의 출현이 빠른 경우로서, 일반적으로 여아에서 8세 이전 유방 발달, 9세 이전 음모 발달, 9.5세 이전 초경이 생기는 경우를 말하며, 남아에서는 9세 이전에 고환의 용적이 4 mL 이상 또는 직경이 2.5 cm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를 일컫는다.Precocious puberty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secondary sex is more than 2 standard deviations higher than the mean value. Generally, it refers to cases of breast development before 8 years of age, development of puberty before 9 years, and menarche before 9.5 years. Refers to cases in which the volume of testicles increases by more than 4 mL or the diameter increases by more than 2.5 cm before 9 years of age.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 축 활성화의 유무에 따라서 중추성 또는 진성성조숙증(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과 말초성 또는 가성성조숙증(peripheral or pseudoprecocious puberty)으로 나눌 수 있다.It can be divided into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and peripheral or pseudoprecocious puberty, depending on whether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axis activation is present or not.

진성성조숙증의 확인은 생식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자극반응 검사를 통해서만 이뤄진다.Confirmation of intact precocious puberty is only possible throug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stimulation test.

진성성조숙증 확진검사를 위해서는 진성성조숙증의증 여아로 부터 GnRH주사 후, 일정 시간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일반적으로 0, 30, 45, 60, 90, 120분)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한 혈액에서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및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의 농도를 측정하여, LH 최고농도가 5 IU/L 이상으로 나타나거나, LH 농도가 기저에서 최소 2-3배 증가되어 나타나거나, LH/FSH 비율이 이상으로 나타나면 사춘기 반응 (pubertal response), 즉, 진성성조숙증으로 판단한다 (성조숙증 진료지침,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Blood was collected repeatedly (usually at 0, 30, 45, 60, 90, 120 minutes)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GnRH injection from a female patient with intact precocious puberty for confirmation of intrathoracic precocious puberty. The concentrat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was measured. The highest LH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5 IU / L or more, or the LH concentration was increased 2-3 times at baseline Or when the LH / FSH ratio is abnormal, it is judged to be a pubertal response, that is, a sexual precocious puberty (GHG guidelines,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2011).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확진 검사에서 의증 여아의 양성반응(진성성조숙증 확진) 수득률은 33-77%로 제시되어 있다(Kim et al., 2011, Nam et al., 2012, Suh et al., 2013).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national study, the positive rate of the positive test (positive confirmation of the precocious puberty) was 33-77% in the confirmation test (Kim et al., 2011, Nam et al., 2012, Suh et al ., 2013).

진성성조숙증 확진 검사를 위한 장시간(최소 2시간)에 걸친 다회(5-6회)의, 다량의 혈액채취 (총 25-30 mL)는 의증 여아에게 정신적 부담감으로, 의증환자의 높은 음성반응율은 의료진에게 심리적 압박감으로 작용하며(Kim et al., 2011, Nam et al., 2012), 복수의 혈액 시료에서 고가의 LH 및 FSH의 분석비용은 환아 부모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지게 된다.A large number of blood samples (total 25-30 mL) of long-term (at least 2 hours) multiples (5-6 times) for confirmation of intrinsic onset of prematurity were used for mental burden to the surrogate girl, (Kim et al., 2011, Nam et al., 2012), the cost of analyzing expensive LH and FSH in multiple blood samples leads to an economic burden on the child's parents.

확진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한 여아에게는 성조숙증 치료제를 통해 또래 나이로의 초경지연과 최종 키 손실억제를 목적으로 한 의료적 처치가 이뤄지지만, 음성반응을 수득한 여아는 상기의 확진 검사를 2-3개월 후에 반복해야 하기때문에 여아, 의료진, 환아의 부모의 부담을 배가될 것으로 사료된다.A girl who obtained a positive response in the confirmation test has a medical treatment for delaying the cervical cranial period and inhibiting the final key loss through the treatment of sexuality precocious puberty. However, the girl who got the negative reaction, It will be multiplied by the burden of the parents of the girl, the medical staff, and the child because they have to repeat after 3 months.

진성성조숙증 확진 검사에서 높은 음성반응율은 확진 검사를 수행하기 이전에 그 결과를 예비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생화학적 검사 등 객관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그 결과로 보수적으로 확진검사가 이뤄질 수 있고(성조숙증 진료지침,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이로 인하여 진성성조숙증 최선의 치료방법인 조기의료개입이 지연되어 성조숙증 치료효과, 즉 최종 키 손실의 억제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Bouvattier et al., 1999, Willemsen et al., 2014). The high negative rate of response in the diagnosis of intact whole-body precocious puberty is due to the lack of objective methods such as biochemical tests that can be used to make preliminary results before the confirmation test. As a result, a conservative confirmation test can be performed (Bouvattier et al., 1998), the effect of treatment on gynecological symptoms, that is, the inhibition of final key loss, may not be significant. 1999, Willemsen et al., 2014).

한편, 사춘기 개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으로 이어지는 부신내분비계(hypothalamus-piyuitary-adrenal axis, HPA axis)의 활성화에 의존하며, 특히 부신내분비계의 DHEA 생성, 분비의 증가가 사춘기 개시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inyerd et al., 2005).The onset of puberty, on the other hand, depends on the activation of the hypothalamus-piyuitary-adrenal axis (HPA axis) leading to the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gland. Especially, the increase of DHEA production and secretion in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is associated with puberty onset (Pinyerd et al., 2005).

사춘기 발달과정에 나타나는 2차 성징발달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로 이어지는 생식내분비계 (hypothalamus-pituitary-gonad axis, HPG axis)의 활성화에 의존하며, 특히 생식내분비계의 에스트라디올 (estradiol-17β, E2) 농도 증가가 여아의 유방 등 2차 성징발달 및 장골(long bone)의 길이성장과 성장판 닫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uul, 2001).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exual development in puberty development depends on the activation of the hypothalamus-pituitary-gonad axis (HPG axis) leading to the hypothalamus-pituitary gonad, especially estradiol-17β, E2) concentration is known to affect development of secondary males such as breasts in girls and length growth of long bones and growth plate closure (Juul, 2001).

즉, 진성성조숙증은 평균 나이보다 이른 나이에 생식내분비계가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며, 생식내분비계와 별개로 생성 혹은 유입된 에스트로겐(지방조직 혹은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말초성성조숙증(peripheral precocious puberty)과 구별된다 (Mul et al., 2002). In other words, sexual precocious puberty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s activated at an earlier age than the average age, and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induced by estrogen (fat tissue or environmental hormone) produced or introduced separately from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Mul et al., 2002).

따라서 GnRH를 주사를 통한 진성성조숙증 확진 검사는 사춘기 개시 이후 나타나는 HPG axis의 활성화 정도를 파악하는 검사방법으로서, 여아에서 GnRH에 반응할 수 있을 정도로 뇌하수체에 GnRH 수용체가 충분히 발현되었을 때 확진반응검사에서 양성반응 (LH, 5IU/L 이상)의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GnRH-injected intact precocious puberty test is a test to determine the degree of HPG axis activation after puberty initiation. When the GnRH receptor is sufficiently expressed in the pituitary gland to respond to GnRH in the female, (LH, 5 IU / L or more).

뇌하수체의 GnRH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은 난소에서 주로 생성, 분비되는 E2에 의하여 조절되는바 (Turzillo et al., 1998), 여아의 난소 성숙 즉, 난소의 E2 생성능력 (competence)이 확진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GnRH receptor gene expression in the pituitary gland is regulated by E2, which is mainly produced and secreted in the ovary (Turzillo et al., 1998). The ovarian maturity of the ovary, ie, the competence of the ovary to produce E2, It can be assumed that it directly affects the reaction.

여아에서는 사춘기 발달 과정에 성인과 동일한 생식내분비계가 완성되며, 비록 E2의 생성량을 성인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지만 사춘기 중기에 이르러서는 성인과 동일한 형태의 생식내분비계가 완성된다는 사실을 본 발명자는 앞선 연구를 통해 학계에 보고한바 있다(Kang et al., 2014).In girls, the sam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s that of adults is completed during puberty development. Although the production of E2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dult women,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of the same type as adults is completed in the middle of puberty. (Kang et al., 2014).

이에 본 발명자는,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성인 여성과 진성성조숙증 확인 반응 검사(GnRH 자극반응)를 실시하기 이전에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로부터 아침기산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타액을 채취하여, 진성성조숙증 확진 반응 검사(GnRH 자극반응)의 결과에 따라 여아의 시료를 양성반응 및 음성반응자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참가자(성인 여성, 진성성조숙증 확진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의 타액시료에서 부신내분비계의 호르몬 중 코티졸(cortisol),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생식내분비계의 호르몬 중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을 측정한 후, 이들 호르몬의 농도를 기반으로 부신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 E2의 총 분비량, E2의 순수증가 총량)를 각 집단(성인 여성, 진성 성조숙증 확진 검사에서 양성반응 및 음성반응을 나타내는 여아)간 상호 비교를 통하여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가 진성성조숙증 확진 검사에서 수득할 수 있는 결과 (양성 및 음성 반응)를 진성성조숙증 확진 검사 실시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기준을 고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has found that saliva collected from a female subject with a sexual precocious pubert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a morning clinical trial before a confirmation test (a GnRH stimulation reaction) with a female adult having a normal menstrual cycle and confirmed the sexual precocious puberty (GnRH stimulation response), and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responders. In the saliva samples of participants of each group (adult female, positive reaction girl and negative reaction girl in intact premorbid reaction test), adrenal endocrine (Estradiol-17β, E2) among the hormones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mong the hormones of the system, and then,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se hormones,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the molar concentration of cortisol and DHEA) (Total amount of E2, total amount of E2, total amount of E2 increase)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each group (girls, girls who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in adult women, confirmation test of sexual precocious pubert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devising methods and criteria that can confirm the results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test before the confirmation test of the sexual precocious puberty.

1. Bouvattier C, Coste J, Rodrigue D, Teinturier C, Carel JC, Chaussain JL, BougnePF. Lack of effect of GnRH agonists on final height in girls with advanced puberty: a randomized long-term pilot study.J Clin Endocrinol Metab. 1999; 84: 3575-8.1. Bouvattier C, Coste J, Rodrigue D, Teinturier C, Carel JC, Chaussain JL, BougnePF. Lack of effect of GnRH agonists on final height in girls with advanced puberty: a randomized long-term pilot study.J Clin Endocrinol Metab. 1999; 84: 3575-8. 2. Han Kyul Kim, Seung Jung Kee, Ji Yeon Seo, Eun Mi Yang, Hong Jae Chae, Chan Jong Kim.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Precocious Puberty.Korean J Lab Med 2011;31:244-249. Han, Kyung - Hee; Kim, Seung - Jung Kee, Ji Yeon Seo, Eun Mi Yang, Hong Jae Chae, Chan Jong Kim.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Precocious Puberty. Korean J Lab Med 2011; 31: 244-249. 3. Hyo-Kyoung Nam, Young Jun Rhie, Chang Sung Son, Sang Hee Park, Kee-Hyoung Lee. Factors to Predict Positive Resul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in Girls with Suspected Precocious Puberty. J Korean Med Sci 2012; 27: 194-199. 3. Hyo-Kyoung Nam, Young Jun Rhie, Chang Sung Son, Sang Hee Park, Kee-Hyoung Lee. Factors to Predict Positive Resul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in Girls with Suspected Precocious Puberty. J Korean Med Sci 2012; 27: 194-199. 4. Juul A.The effects of oestrogens on linear bone growth. Hum Reprod Update. 2001; 7: 303-13. 4. Juul A. The effects of oestrogens on linear bone growth. Hum Reprod Update. 2001; 7: 303-13. 5. Kang JY, Park JY, Chun SI, Suh HS, Lee K, Ahn RS. Puberty-related changes in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and estradiol-17β secretions within the first hour after waking in premenarcheal girls. Neuroendocrinology. 2014; 99:168-77. 5. Kang JY, Park JY, Chun SI, Suh HS, Lee K, Ahn RS. Puberty-related changes in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and estradiol-17β secretions within the first hour after waking in premenarcheal girls. Neuroendocrinology. 2014; 99: 168-77. 6. Mul D, Oostdijk W, Drop SL. Early puberty in girls.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02; 16:153-63. 6. Mul D, Oostdijk W, Drop SL. Early puberty in girls.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02; 16: 153-63. 7. Pinyerd B, Zipf WB. Puberty-timing is everything! J Pediatr Nurs. 2005; 20:75-82.7. Pinyerd B, Zipf WB. Puberty-timing is everything! J Pediatr Nurs. 2005; 20: 75-82. 8. Suh J, Choi MH, Kwon AR, Kim YJ, Jeong JW, Ahn JM, Chae HW, Kim DH, Kim HS. Factors that predict a positive response o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diagnosing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 girls.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2013;18:202-7. 8. Suh J, Choi MH, Kwon AR, Kim YJ, Jeong JW, Ahn JM, Chae HW, Kim DH, Kim HS. Factors that predict a positive response to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diagnosing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 girls.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2013; 18: 202-7. 9. Turzillo AM, Clapper JA, Moss GE, Nett TM. Regulation of ovine GnRH receptor gene expression by progesterone and oestradiol. J Reprod Fertil. 1998;113: 251-6.9. Turzillo AM, Clapper JA, Moss GE, Nett TM. Regulation of ovine GnRH receptor gene expression by progesterone and oestradiol. J Reprod Fertil. 1998; 113: 251-6. 10. Willemsen RH, Elleri D, Williams RM, Ong KK, Dunger DB. Pros and cons of GnRHa treatment for early puberty in girls. Nat Rev Endocrinol. 2014 ;10:352-63. 10. Willemsen RH, Elleri D, Williams RM, Ong KK, Dunger DB. Pros and cons of GnRHa treatment for early puberty in girls. Nat Rev Endocrinol. 2014; 10: 352-63. 11. 성조숙증 진료지침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al Guidelines), 2011.11. Gynecological examination guidelines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al Guidelines),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만 9세 이하의 여아에서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 코티졸(cortisol),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의 농도를 기반으로 한 부신내분비계 및/또는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판단지표를 이용한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 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stradiol-17β, E2 measured from saliva collected from a girl aged 9 years or young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gonadal glioma using an activation judgment index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 or the gonadal endocrin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부신내분비계 및/또는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판단지표를 이용하여 수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성조숙증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dicting sexual maturity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an activation judgment index of the adrenal and / or germinal endocrine system.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만 9세 이하의 여아에서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 코티졸(cortisol),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의 농도를 기반으로 한 부신내분비계 및/또는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판단지표를 이용한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성조숙증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stradiol-17β (E2), which are measured from saliva collected from a girl aged 9 years or les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gonococci using an activation judgment index of a gonadal endocrine system and / or a gonadotropic system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gonadotropin, and a method of predicting gonadal function.

이때,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 및/또는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 ratio-auc (molar F/D-auc))이며, 상기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E2의 총 분비량(E2auci) 및/또는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determination index is the molar ratio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and / or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molar F / D ratio- / D-auc)), and the reproductive endocrinological activity activation judgment index is a total amount of secretion (E2auci) of E2 and / or a total amount of pure increase (E2Inc%) of E2.

이 때,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로서 At this time, as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judgment index

상기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의 기상 25 ~ 35분 후 값이 69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의 값이 3500 이하인 경우 중 1이상의 경우에When the value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is 25 or less after the gaseous phase is 69 or less; And the value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molar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molar ratio is 3500 or less,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that pubertal development has started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has reached the level of adult.

또한, 상기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로서 Further, as an indicator for determining the germi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의 값이 350 이상인 경우; 및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의 값이 100 이상인 경우중 1이상의 경우에When the value of the total secretion amount E2auci of E2 is 350 or more; And a value of the net increase amount (E2Inc%) of E2 is 100 or more,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breast development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s started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is determined to be at a level at which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test for confirmation of gonadal function.

상기 타액은 만 9세 이하의 여아의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기상 후 5분 미만, 기상 후 25 ~ 35분 및 기상 후 55 ~ 65분에 채취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aliva is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vaporization of a girl aged 9 years or less, particularly, less than 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25 to 3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55 to 6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상기 성조숙증은 중추성조숙증, 진성성조숙증, 말초성성조숙증 또는 가성성조숙증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진성성조숙증 또는 중추성조숙증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abnormaliti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tractable precocious puberty,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or pacific precocious puberty, preferably intact precocious puberty or central precocious puberty.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한 일 구체예로서,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 만 9세 이하의 여아의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DHEA 및 E2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a)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HEA and E2 from the saliva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wake of a girl aged 9 years or less;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해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 값을 구하는 단계로, 이때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 및/또는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 ratio-auc (molar F/D-auc))이며;b) determining the adrenal endocrinological activity activation indicator value using the concentration measured in step a), wherein the adrenal endocrine activity activation indicator is a cortisol / DHEA mole concentration ratio (molar F / D ratio) (Molar F / D ratio-auc (molar F / D-auc))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c)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해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 값을 구하는 단계로, 이때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E2의 총 분비량(E2auci) 및/또는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인 것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erminal endocrinological activity activation indicator comprises a total amount of E2 (E2auci) and / or a total increase in E2 (E2Inc%) of E2, ).

한편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의 기상 25 ~ 35분 후 값이 69 이하인 경우에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tep b), when the value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was 25 to 35 minutes after the gaseous phase was 69 or less, pubertal development started due to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It can be judged that the degree of activation has reached adult level.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의 값이 3500 이하인 경우에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은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step b), when the value of molar ratio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is less than 3500, development of adrenal endocrine system caused puberty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Molar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molar ratio (molar F / D-auc) is an amount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gaseous phase .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의 값이 350 이상인 경우에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은 기저 E2 농도로부터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증가 된 E2의 총량을 의미하고, 상기 기저 E2 농도는 기상 직후 또는 기상 직후 5분 미만에 측정된 E2의 농도를 의미한다.In step c), when the value of the total secretion amount E2auci of E2 is equal to or more than 350, exogenous breast development is start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is positive in the test (E2auci) means the total amount of E2 increased from the basal E2 concentration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gas phase, and the basal E2 concentration is set to a value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or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Means the concentration of E2 measured in less than 5 minutes.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의 값이 100 이상인 경우에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은 기저 E2 농도를 기준으로 기상 후 최초 1시간 안에 증가한 최고치 E2 농도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In step c), when the value of the total increase in E2 (E2Inc%) is 100 or more, exogenous breast development is initiat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is detected in positive (E2Inc%) means the percentage of the maximum E2 concentration increased within the first hour after the start of the meteorological operation based on the basal E2 concentration.

이때, 상기 활성화 판단지표는 GnRH 자극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ivation judgment index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judging whether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GnRH stimulation reaction test.

특히, 상기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진성 성조숙증 확진 검사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수득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edicting the result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intact precocious puberty confirmation test (GnRH stimulation response test) by using the information for diagnosing the above-mentioned gonadal disorders.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 타액 내 코티졸의 농도 증가량이 2.5 nmol/L 미만인 타액을 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xcluding the saliva having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the saliva of less than 2.5 nmol / L for the first hour from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즉, 아침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코티졸의 농도 변화량 확인을 통해 진단 대상에 적합한 시료를 결정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sample suitable for the diagnosis object by checking the change amount of the cortisol concentration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ing.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수득할 수 있는 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대한소아내분비학회에서 제시한 연령기준 (만 9세)에 의하여 만 9세 미만의 여아가 정상적인 나이에 사춘기가 시작되었는지 여부, 여아의 생식내분비축의 성숙 여부 또는 가슴발달 정도의 예측을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that can be usefully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the age standard (age 9 years) propos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Institute and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to determine whether a girl under 9 years old starts puberty at a normal age, Includes prediction of maturity of reproductive endocrine axis or degree of breast development.

또한, 본 발명은 만 9세 미만의 대상 여아의 체내 부신, 생식 내분비적 환경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는 모든 용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성조숙증 진단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n the in-vivo adrenal and reproductive endocrine environment of a girl under the age of 9 years, and includes all uses of such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liosis.

본 발명은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로부터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일정시간 간격으로 채취한 타액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코티졸, 디하이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의 농도 및 이들의 변화를 이용하여 부신내분비계의 활성 정도를 파악하고,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의 증가율과 분비총량을 분석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생식내분비축의 성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ihydroepiandrosterone (DHEA) contained in saliva samples collected at intervals of the first hour The degree of activity of the endocrine system can be determined, and the growth rate and total secretion amount of estradiol (E2) can be analyzed and quantified to grasp the matur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axis.

따라서, 성조숙증 확진 검사(GnRH 자극반응 검사)를 실행하기 이전에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로부터 비침습적으로 채취한 생체시료(타액)를 이용하여 부신 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의 활성 정도를 미리 파악하고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이 수득 되는 특정 값의 범위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확진 검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refore, prior to performing the GnRH stimulation test (GnRH stimulation test), the biological sample (saliva) collected noninvasively from the female sexual precocious puberty is used to determine the activity level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This method can be usefully used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onfirmation test by providing a range of specific value ranges in which a positive reaction is obtained in a reaction test.

도 1은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에서 아침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F/D ratio의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2는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 간의 F/D ratio-auc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에서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E2의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4는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 간의 E2Inc%의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5는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 간의 E2auci의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FIG. 1 shows the change in F / D ratio during the first hour after morning wake in adult female, positive female, and negative female.
FIG. 2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 / D ratio-auc difference between adult female, positive female and negative female.
Figure 3 shows the changes in E2 during the first hour after morning wake in adult female, positive female, and negative female.
Figure 4 shows the difference in E2Inc% between adult female, positive female and negative female.
Figure 5 shows the difference in E2auci between adult female, positive female, and negative femal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하와 같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은 2차 성징이 평균보다 이른 나이에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현행 우리나라의 기준은 여아에서 8세 미만, 남아에서 9세 미만에 2차 성징의 발달이 나타나면 성조숙증이라 한다. 2차 성징은 여아에서는 유방이 발달하며, 남아에서는 고환의 용적이 4 mL 이상 또는 장경이 2.5 cm 이상으로 커지며, 음모 발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성조숙증은 중추성조숙증, 진성성조숙증, 말초성성조숙증 또는 가성성조숙증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진성성조숙증 또는 중추성조숙증일 수 있다."Precocious puberty" is a disease in which secondary sex is present at an earlier age than the average, and the current Korean standard is called "precocious puberty" whe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ex is seen in girls less than 8 years old and boys less than 9 years old. Secondary malformations develop in the breast in girls and in males, the volume of the testicles is greater than 4 mL, or the diameter of the testicles is greater than 2.5 cm, including pubic hair develop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gonococcosis includes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testinal precocious puberty,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or pacer precocious puberty, preferably intact precocious puberty or central precocious puberty.

"진성성조숙증(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로 이어진 생식내분비계가 이른 나이에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성조숙증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의 활성화가 동반되지 않는 경우를 "말초성성조숙증(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PPP)" 혹은 "가성성조숙증(Pseudo-Precocious Puberty)"이라 하고, 2차 성징은 나타나지만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진행하지 않거나 증상이 소실되는 경우로 조기 유방 발육증(Permature thelarche), 조기 음모 발생증(Premature adrenarche), 조기 초경 발생증(Premature menarche)이 나타난 경우에는 불완전 성조숙증이라고 한다.&Quot;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 refers to the precocious puberty in which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leading to the hypothalamus-pituitary-gonads is activated at an early age.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PPP) or pseudo-precocious puberty is defined as a condition in which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activation is not accompanied, It is generally called incomplete precocious puberty when it does not progress or symptoms disappear, such as premature puberty, premature adrenarche, premature menarche.

"진단"은 특정 병리 또는 생리 상태의 존재 또는 활성 등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Quot; Diagnosis " means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ctivity of a particular pathology or physiological condition.

"대상" 또는 "환자"는 인간, 소, 개, 기니아 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한다. 또한, 임의의 질병 임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임상 연구 시험에 참여한 임의의 대상 또는 역학 연구에 참여한 대상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상이 대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였다.&Quot; Subject " or " patient " means any single entity that requires treatment, including human, cow, dog, guinea pig, rabbit, chicken, In addition, any subject who participates in a clinical study test that does not show any disease clinical findings, or who participates in epidemiological studies or used as a control group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humans.

"확진"은 병을 확실하게 진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병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증거가 될 수 있는 생리, 생화학적 검사가 수행된다."Confirmation" means a definite diagnosis of a disease, and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that can be used to jud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ease and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are performed.

"시료" 또는 "샘플"은 대상 또는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얻은 유사한 세포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의 공급원은 신선한, 동결된 및/또는 보존된 장기 또는 조직 샘플 또는 생검 또는 흡인물로부터의 고형 조직; 혈액 또는 임의의 액형 조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액(saliva), 혈액(blood) 또는 소변(urine)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타액을 이용한다.&Quot; Sample " or " sample " refers to a collection of similar cells obtained from a subject or tissue of a patient. The source of the tissue or cell sample may be a solid tissue from fresh, frozen and / or preserved organ or tissue sample or biopsy or aspirate; Blood or any liquid type tissue. In the present invention, saliva, blood or urine can be used, and saliva is preferably used.

"스테로이드호르몬(steroid hormone)"이란 4원자고리 탄화수소인 스테로이드 고리(사이클로펜타노하이드로페난트렌 고리)를 기본 구조로 가진 호르몬으로, 고등동물이나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웅성, 자성의 생식선 호르몬(성선 호르몬)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등이 포함된다."Steroid hormone" is a hormone with a basic structure of a steroid ring (cyclopentanohydrophenanthrene ring) which is a quaternary cyclic hydrocarbon. It is a hormone of male and female gonadal hormones (sex hormones ) And corticosteroids.

"생식선 호르몬" 또는 "성선 호르몬"이란 척추동물의 암컷, 수컷의 생식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생식기의 발육을 촉진 시키고 그 기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웅성의 경우는 정소 중의 간세포(間細胞)이고 자성은 주로 난소(卵巢)의 여포를 구성하고 있는 난구세포 및 협막세포이다."Gonadal hormone" or "sex hormone" is a hormone secreted by the gonads of female and male vertebrates, which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reproductive system and maintains its function. Male cases are hepatocytes (intercellular cells) in the testes, and magnetism is mainly cumulus cells and soma cells constituting the follicles of the ovary.

"생리" 또는 "월경"은 인간의 성인 여성이 주기적으로 난소에서 난자를 만들어 내고 수정되었을 경우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게 하기 위한 자궁 점막이 수정란의 착상이 없을 때 비후된 자궁내막이 출혈과 함께 질을 통해 배출되는 생리 현상을 말한다. 보통 28일 정도의 주기를 가지며 3~5일 정도 지속 된다. 대개 12~15세 정도로 성장하게 되면 처음 월경을 시작하게 되며, 여성은 일생동안 약 400회의 월경을 하게 되고 이후 45~55세가 되면 폐경기가 되어 월경을 멈추게 된다. 월경으로 흘리는 피는 약 35 mL이며 10~80 mL 이내는 정상이다."Menstruation" or "menstruation" means that when a human adult woman periodically produces an egg from the ovary and is fertilized, the uterine mucosa for implantation of the embryo into the uterus is removed And the like. It usually takes about 28 days and lasts about 3 ~ 5 days. Usually, when you grow up to 12 to 15 years old, you start your menstruation for the first time. Women will have about 400 menstrual cycles for the rest of your life, and then menstruation will stop when you are 45 to 55 years old. The blood flow to menstrual flow is about 35 mL, and within 10 to 80 mL is normal.

"생리주기(menstrual cycle)"란 내분비계통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생식기관에 나타나는 규칙적인 변화로 21~35일 사이로 일정치는 않으나, 대개 약 28일을 주기로 반복되며 월경이 시작되는 날부터 다음 월경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자궁내막과 난소는 여성 호르몬의 분비 정도에 의해 주기성을 나타내는데, 자궁내막이 허물어지면서 출혈을 하는 경우를 월경이라 하고, 난소 내의 난포가 성숙하여 난자를 방출할 때를 배란일이라 한다.The "menstrual cycle" is a regular change in the reproductive organs due to the effects of endocrine system hormones. It is not constant between 21 and 35 days, but it is usually repeated about 28 days. From the beginning of menstruation to the next menstrual cycle It refers to the period until it appears. The endometrium and the ovary show the periodicity by the secretion of female hormones. When the endometrium is broken down, the bleeding is called the menstruation. When the ovary follicles mature and the oocyte is released, the ovulation date is called the ovulation date.

"표지" 또는 "라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시약, 예를 들어 핵산 프로브(probe) 또는 항체에 컨쥬게이팅(conjugating) 되거나 융합되고 컨쥬게이팅 되거나 융합된 시약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표지는 그 자체가 검출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또는 형광 표지), 효소 표지의 경우에, 검출 가능한 기질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화학적 변형을 촉매 할 수 있다.&Quot; Label " or " label " refers to a compound or composition that directly or indirectly facilitates the detection of a reagent, such as a nucleic acid probe or a reagent conjugated, conjugated, conjugated, or fused to an antibody do. The label may itself be detected (e. G., A radioactive isotope label or a fluorescent label), in the case of an enzyme label, to catalyze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the detectable substrate compound or composition.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Quot; about " means that the reference quantity,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age,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is 30, 25, 20, 25, 10, 9, 8, 7, ,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that varies from one to three, two, or one percent.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words " comprising " and " comprising ",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include the stated step or element, or group of steps or elements, but not to any other step or element, And that they are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일 태양으로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진성성조숙증의 확진 검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부신내분비계 및/또는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판단지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gonadal ganglia as one aspec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ctivation judgment index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 or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confirmation test of the sexual precocious puberty.

본 발명은 다른 태양으로 성조숙증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수득한 내분비계의 활성화 판단지표 정보를 이용하여 진성성조숙증을 사전에 미리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dicting sexual maturity.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dicting a sexual precocious puberty in advance by using the obtained activation judgment index information of the endocrine system.

본 발명에서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이 평균치의 표준편차보다 빨리 나타나는 증상으로, 성적 성숙 및 수정 능력을 갖추기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으로 이어지는 부신내분비계 및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로 이어지는 생식내분비계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사춘기의 시작을 포함한다. 상기 성조숙증은, 진성성조숙증, 가성 성조숙증 및 불완전형 성조숙증 등의 다양한 유형의 성조숙증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성조숙증의 확 진검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보제공 및 이를 이용한 진성성조숙증 사전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 sexual maturity " is a symptom in which the secondary sex is appeared earlier tha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In order to achieve sexual maturation and fertility, the sex hormone-pituitary- adrenal gland leading to the adrenal gland and the hypothalamus- This includes the onset of puberty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endocrine system is activated. The above disorders include various types of sexual precocious puberty such as sexual precocious puberty, pseudocubic precocious puberty and incomplete sexual precocious puber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dicting a precocious puberty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dicting a precocious puberty using the same.

상기한 진성성조숙증(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로 이어진 생식내분비축의 활성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성조숙증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가 동반되지 않는 경우를 말초성 성조숙증 혹은 가성 성조숙증(peripheral precocious puberty)이라하고, 말초성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은 나타나지만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진행하지 않거나 증상이 소실되는 경우로 조기 유방 발육증, 조기 음모 발생증, 조기 초경 발생증이 나타난 경우에는 불완전형 성조숙증이라한다.The above-mention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refers to the precocious puberty caused by activation of the gonadal endocrine axis leading to the hypothalamus-pituitary-gonad. On the other hand, cases in which the gonadal endocrine system is not accompanied by activation is referred to as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and peripheral sexual precocious puberty is secondary to partial puberty, Breast augmentation, early onset of pubic hair, and premature menarche are called incomplete forms of precocious puberty.

사춘기는 어린이에서 어른이 되는 전이(transition)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2차 성징의 발달 및 성장이 동반된다. 여아에서는 가슴 및 음모 (pubic hair)의 발달 남아에서는 고환 및 생식기의 크기 발달 및 음모의 발달이 2차 성징의 외현 지표로 이용된다.Adolescence is the transition period when a child becomes an adult. This period is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second castle. In girls, developmental development of pubic hair and pubic hair and development of pubic hair and pubic hair are used as external indicators of secondary sex.

여아의 경우 가슴 및 음모의 발달 단계를 각각 5단계로 나눌 수 있고 넓게는 사춘기 이전단계, 초기, 중기, 말기, 성인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한국인 여아의 경우 가슴발달이 11.3 ±1.3세, 음모발달이 12.3 ±1.2세에 시작되고, 초경은 12.0 ±1.0세에 시작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성 성숙 특히, 초경율은 유방발달 2단계에서 18.2%, 3단계에서 66.1%, 4단계에서 91.7%, 5단계에서 100%로 알려져 있고, 음모발달 2단계에서 52%, 음모발달 3단계에서 93.8%로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결과는 가슴발달 및 음모 발달이 초경의 시작과 밀접히 연관은 되어있으나 2차 성징의 발달만으로는 초경의 시작을 쉽게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The developmental stage of chest and conspiracy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 respectively, and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re - pubertal stage, early stage, middle stage, late stage and adult stage. In Korean girls, chest development is 11.3 ± 1.3 years, Is initiated at 12.3 ± 1.2 years, and menarche is reported to begin at 12.0 ± 1.0 years. Sex maturity In particular, the rate of menarche was 18.2% in stage 2, 66.1% in stage 3, 91.7% in stage 4, 100% in stage 5, 52% in stage 2, and 93%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st development and pubic hair development are closely related to the beginning of menarche, but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menarche can not predict the onset of menarche.

초경은 정상적인 성인여성에서 나타나는 생리현상이며, 여아에서 성인 여성과 동일한 체내의 신경내분계(생식내분비계)가 완성되었고 정상적인 생식활동을 할 수 있는 체내환경이 조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menstrual cycle is a physiological phenomenon that occurs in normal adult women, which means that the body's own internal nervous system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has been completed in the same body as the adult female, and that the body environment for normal reproductive activity has been established.

여아의 가슴 및 음모발달은 생식소 및 부신의 호르몬 생성증가와 연관되어 있다. 사춘기의 시작과 함께 생식소 (난소)의 성호르몬 생성증가가 나타나는 현상을 "gonadarche" 부신에서 DHEA 생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adrenarche"라 부르며, "adrenarche"는 "gonadarche" 보다 앞서 나타난다.Girls' breasts and pubic hair development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hormone production in the gonads and adrenals. The adrenarche is called adrenarche, and the adrenarche precedes the gonadarche in the gonadarche adrenal gland, which increases the production of sex hormones in the gonads with the onset of puberty.

성호르몬의 생성증가는 여아의 경우 가슴발달(thelache)을 유도하며 DHEA의 증가는 음모의 발달 (pubarache)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creased production of sex hormones induces breast development in girls and increase in DHEA is known to induce pubarache.

그러나 어느 요인에 의하여 gonadarche 및 adrenarche가 시작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1980년 Wildt등은 GnRH 유도체를 어린 원숭이에 간헐적으로 주사할 경우 성조숙을 유도할 수 있고 사춘기의 시작이 뇌하수체 및 난소발달에 의존하기보다는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GnRH가 방출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Science에 발표하였다. 이는 시상하부의 GnRH 신경세포에 저해요인들이 작용하여 GnRH의 방출을 억제하고 있으며 그 억제요인이 제거되면서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로 이어지는 생식내분비축이 활성화되고 그 축에서 생성, 분비되는 성 호르몬에 의하여 2차성징 (유방)의 발달 및 초경이 유도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However, it is not known which factors cause gonadarche and adrenarche to begin. In 1980, Wildt et al. Reported that the intermittent injection of GnRH derivatives into young monkeys can induce sexual maturation and that the onset of puberty depends on the release of GnRH from neurons in the hypothalamus rather than on the pituitary and ovarian development. Science . This suppresses the release of GnRH by inhibiting factors in the hypothalamus GnRH neurons. As the inhibitory factor is eliminated, the gonadal endocrine axis that leads to the hypothalamus-pituitary gonads is activated, and the sex hormon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ex (breast) and menarche are induced.

본 발명의 코티졸, 디하이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 (dehydroepiandrosterone, DHEA)의 농도 및 이들의 변화를 이용하여 부신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cortisol/DHEA 몰 (mole) 농도 비율,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 E2의 총 분비량, E2의 순수증가 총량)로 수치화를 통해, 성조숙증 확진 검사 (GnRH 자극반응 검사)를 실행하기 이전에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부신 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의 활성 정도를 미리 파악하고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이 수득되는 특정 값의 범위 기준을 제공함으로서 확진검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cortisol / DHEA mole) of the cortisol, DHEA, and DH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adrenal and gonadal endocrine system using the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dihydroepiandrosterone (DHEA) (GnRH stimulation response test) was performed by quantifying the ratio of cortisol and DHEA molar ratio, the total amount of E2 secretion, and the net increase in E2. And GnRH stimulation test can be used as a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nfirmation test by providing a range of specific value range in which a positive reaction is obtained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대상시료Target sample

본 발명의 진성 성조숙증 진단검사의 효율성 제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료는 혈액, 소변, 대변, 타액, 림프액, 뇌척수액, 활액, 낭액, 복수, 흉막, 삼출액 등 일 수 있다.The sample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iagnostic test of the intact precocious pub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ood, urine, feces, saliva, lymph, cerebrospinal fluid, synovial fluid, cystic fluid, ascitic fluid, pleural fluid, exudate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타액, 혈액, 소변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타액(saliva)"일 수 있다.Preferably saliva, blood, urine, and more preferably " saliva ".

지금까지 호르몬의 농도는 혈액에서 주로 측정하였다. 내분비학 관점에서 보면 혈액은 호르몬의 이동매체로서, 대부분의 혈중 단백질계열 호르몬 (성장 호르몬, 인슐린 등)은 물에 잘 용해되며 (친수성, hydrophilic) 혈중에서는 활성화된 형태로 존재하지만 부신피질, 생식소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는 물에 잘 녹지 않기 (소수성, hydrophobic) 때문에 다른 매체 (운반 단백질)와 결합하여 혈중에 존재한다. 스테로이드가 운반매체와 결합되어 있을 때는 표적기관의 호르몬 수용체에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활성 상태'라 하며 생리적인 기작을 유도할 수 없다. 혈중 스테로이드 대부분(95-99%)은 이러한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며 극히 일부 (1-4%)만 운반매체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활성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중 스테로이드의 농도는 활성 상태의 호르몬의 농도라기보다는 대부분 불활성 상태의 농도라 할 수 있다.So far,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has been measured mainly in the blood. From the viewpoint of endocrinology, blood is a transport medium of hormones. Most of blood protein hormones (growth hormone, insulin, etc.) are soluble in water (hydrophilic and hydrophilic) and exist in active form in blood. However, they are produced in adrenocortical and gonadal Because steroids are not well soluble in water (hydrophobic), they bind to other media (transport proteins) and are present in the blood. When steroids are combined with the carrier medium, they are inactive and can not induce a physiological mechanism because they do not act on the hormone receptor of the target organ. Most of the steroids in the blood (95-99%) are present in this inactive state, and only a few (1-4%) are known to be in an unbound state (active state) with the carrier medium.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steroid in the blood can be said to be the most inactive state rather than the active hormone concentration.

이에 반하여,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는 혈액과 달리 모두 운반매체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활성 상태이며 조직외액(extracelluar fluid)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상태의 스테로이드가 단순 확산방식(passive diffusion)에 의해 타액샘으로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농도는 조직 안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상태의 스테로이드로 인식되고 있다.In contrast, the steroids contained in saliva are in an active state that is not bound to the carrier medium, unlike blood, and active steroids contained in the extracellular fluid of the saliva are activated by passive diffusion, .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steroid in saliva is recognized as the active steroid in the tissue.

또한, 타액은 혈액과 달리 의료진의 도움 없이도 개인의 수면주기에 맞추어 일반인이 쉽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호르몬 하루 주기 리듬에 대한 연구를 쉽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타액을 이용할 경우 혈액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활성상태의 스테로이드의 농도와 개인의 호르몬 하루 주기 리듬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unlike blood, saliva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study the daily rhythm of the hormone of the individual because it can be easily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in accordance with the sleep cycle of the individual without the help of the medical staff. In other words, the use of saliva has the advantage of easy access to the concentration of active steroids, which was difficult to access to blood, and to the individual's daily rhythm of hormones.

본 발명은 타액 내 존재하는 호르몬들의 농도를 측정하는바, 상기와 같은 장점을 효과로 발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the hormones present in the saliva, and the above advantages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타액은 기상 후 일정 시간 이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채취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 타액 등의 시료는 적어도 기상 직후, 기상 후 30분 및 기상 후 60분의 3번에 걸쳐서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liv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one obtain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vapor phase. For example, a sample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vapor phase can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Is preferably collected at least three times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6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대상 호르몬Target hormone

본 발명은 생체지표를 활용하여 사춘기가 시작되었는지 여부 및 유방발달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시료, 예를 들어, 타액 내 존재하는 "코티졸(cortisol)",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스트라디올(estraiol-17β, E2)"의 농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biomarker to determine the onset of puberty and the degree of breast development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breast development in the sample, for example,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 and " estraiol-17 [beta], E2 "

"DHEA"는 비교적 약한 안드로겐 스테로이드로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 합성에 필요한 중간단계 물질이다. DHEA는 주로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지만 성선(gonad), 지방조직 그리고 뇌에서도 소량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경우 하루에 DHEA가 약 4 mg 그리고 황산화 형태인 DHEA-s는 약 25 mg 분비되어 혈액 내에서 가장 많은 스테로이드이다."DHEA" is a relatively weak androgen steroid and is an intermediate step in the synthesis of male hormones and female hormones. DHEA is mainly secreted from the adrenal cortex, but it is known to synthesize small amounts in the gonads, adipose tissue and brain. In humans, DHEA is about 4 mg per day and DHEA-s, a sulfated form, is about 25 mg, the most common in the blood.

DHEA의 기능은 아직도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작용 기전을 몇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첫째, 성호르몬의 전구물질로서의 기능이 있어 필요한 조직에서 남성 혹은 여성 호르몬으로 변환되어 사용되고, 둘째, 중추신경계에서는 신경활성화 스테로이드로 작용하여 여러 신경 전달물질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신경 자극을 조절하며, 셋째, 스트레스 상태에서 코티졸의 역할을 완충해 주고, 넷째, 칼슘 관문 칼륨 통로(calcium gated potassium channel)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Although the function of DHEA is not fully understood yet, i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mechanisms. First, it has a function as a precursor of sex hormone, so it is converted into a male or female hormone in necessary tissues. Secondly, It acts as a steroid and controls nerve stimul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various neurotransmitters. Third, it cushions the role of cortisol in the stress state. Fourth, it activates the calcium gated potassium channel .

"에스트라디올(E2)"은 생식소(난소)에서 생성,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특히 여성에서 유선의 발달, 자궁내막의 비후에 관여하고 난소의 난자의 성장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E2는 난소의 스테로이드 생성과정 중 최종산물이며 난자의 성장과 자궁비후의 조절자 역할을 한다."Estradiol (E2)" is a hormone produced and secreted in the gonads (ovaries). It is known to be a hormone that induces the growth of the mammary gland, the thickening of the endometrium, and the growth of the ovary. In particular, E2 is the final product during the steroidogenesis process of the ovary and acts as a regulator of egg growth and uterine thickening.

특히, 본 발명에서 에스트라디올 (estradiol)로서 17번 탄소의 하이드록실 그룹 (OH) 위치가 베타형의 에스트라디올(β-estradi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타 에스트라디올은 축약하여 E2로 표시하며, 척추동물의 암컷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에스트로젠(estrogen)의 한 종류로써, 난소, 태반 등에서 추출, 결정화되는 여포호르몬의 하나이다. 암컷의 생식선을 발달시켜 2차, 3차 성징을 나타내는데, 특히 포유류에서 발정을 일으킨다. 또한, 세포핵에 들어가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고, 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 작용이 있다. 특히, 베타 에스트라디올은 여성의 몸 안에서 심하게 변동하는 생식호르몬으로, 카페인과 비슷한 작용, 즉 아데노신이 원래부터 가지고 있는 억제효과를 상쇄함으로써, 여성들이 월경 주기 중 여포기 후기, 곧 배란 직전에 경험한다는 가벼운 흥분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oxyl group (OH) position of carbon number 17 as estradiol is a beta-estradiol. Beta estradiol is abbreviated as E2, a kind of estrogen, a steroid hormone secreted from the ovaries of vertebrate animals, and is one of the follicle hormones extracted and crystallized from the ovaries, placenta, and the like. The female gonads develop secondary and tertiary constellations, which cause estrus, especially in mammals. In addition, it enters the cell nucleus, promotes the synthesis of new proteins, and has the effect of causing cell proliferation. In particular, beta-estradiol is a reproductive hormone that is highly variable in the female body, which counteracts caffeine-like action, that is, the inhibitory effect of adenosine from the original, so that women experience it shortly after ovulation, It is known to cause mild excitement.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성인 여성에서는 E2의 생성, 분비 또한 일정한 일주기리듬을 나타내며 아침기상 후 최초 한 시간 안에 약 150-200%의 상승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아침기상 후 E2 농도의 변화는 생리기, 여포기, 배란기에 따라 증가폭 및 분비량이 달라지며 폐경기 여성에서는 아침기상 후 E2 농도 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In adult women with a normal menstrual cycle,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E2 also exhibits a constant circadian rhythm, and an increase of about 150-200% within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e has been reported. It is reported that the E2 concentration after morning wake changes with increase in the amount and amount of secretion depending on the menstrual period, the frying period and the ovulation period.

"코티졸(cortisol)"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부신의 코티졸 생성, 분비는 일중 뚜렷한 리듬으로 나타나며, 코티졸의 하루 주기 리듬(circadian rhythm, 一日週期)은 뇌신경, 시상하부(hypothalamus), 뇌하수체(pituitary)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근본적으로는 개인의 수면주기에 의하여 결정되어 진다. 정상적으로 밤에 수면을 취한 후, 아침기상 후 눈을 뜨면 빛의 신호는 시상하부의 시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us, SCN)에 도달하게 되고 시교차상핵에서는 생체시계 유전자(clock gene)가 활성화되며 clock gene의 활성화로 인해 SCN에서는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와 arginine-vasopressin(AVP)가 생성, 분비된다. AVP는 다시 뇌실옆핵(paraventricularnucleus, PVN)에 전달된다. 뇌실옆핵에서는 이 자극에 반응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CRH)을 분비하며, 분비된 분비호르몬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을 생성, 분비하게 된다. 뇌하수체에서 생성, 분비되는 ACTH 농도는 기상 후 15분에 정점(peak)에 이른다. 혈액에 분비된 ACTH는 부신에 작용하여 부신피질에서의 코티졸, DHEA 등 스테로이드 생성, 분비를 증가시키게 된다."Cortisol" is a steroid hormone secreted from the adrenal cortex. The circadian rhythm of cortisol is known to be regulated by cranial nerves, hypothalamus, and pituitary. Basically, the cortisol, Of the sleep period. Normally, after sleeping at night, when the eyes wake up in the morning, light signals reach the suprachiasmatic nucleus (SCN) of the hypothalamus, and the clock gene activates the clock gene ,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and arginine-vasopressin (AVP) are produced and secreted in SCN. AVP is transmitted to the paraventricular nucleus (PVN) again. In the nucleus of the ventricle, the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CRH) secretes in response to this stimulus, and the secreted hormone stimulates the pituitary gland to produce and secrete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 The concentration of ACTH produced and secreted by the pituitary gland reaches its peak at 15 minutes after the gaseous phase. ACTH secreted in the blood acts on the adrenal gland to increase steroid production and secretion in corticosteroids such as cortisol and DHEA.

따라서, 최정상 코티졸 농도는 기상 후 30분 정도에 나타나며 이때의 코티졸 농도가 하루 중 가장 높다. 이와 같이 아침에 잠에서 깨어난 후 30분 정도에 코티졸 농도가 정상에 이르는 현상을 기상에 따른 코티졸 반응(cortisol awakening response, 이하 CAR)이라 한다. CAR은 일반적인 수면 환경, 빛, 수면시간 동안 깨는 현상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건강상태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상 직후 첫 번째 타액 시료채취가 10분 이상 지연된다면 CAR 현상을 관찰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Therefore, the peak cortisol concentration is about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 at that time is the highest in the day. The cortisol awakening response (CAR)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reaches a normal level within 30 minutes after waking up in the morning. It is known that CAR is not affected by general sleeping environment, light, sleeping time, and health condition. However, it is reported that the CAR phenomenon can not be observed if the first saliva sampling is delayed for more than 1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weather.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확한 정보를 수득하기 위해서 아침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 타액 내의 코티졸 농도 변화가 2.5 nmol/L 이상인 경우의 타액을 대상으로 DHEA 및 E2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DHEA 및 E2 농도 측정 전에 적합한 타액 시료의 결정을 위해 코티졸의 농도 변화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아침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동안 타액 내의 코티졸 농도변화 확인은 아침기상 직후, 기상 30분, 기상 60분에 각각 채취한 타액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of gonococc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HEA and E2 concentrations can be measured in saliva whe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the saliva is 2.5 nmol / L or more for the first hour from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ake. That is, a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can be additionally confirmed to determine a suitable saliva sample prior to measuring DHEA and E2 concentrations. At this time, the change in the cortisol concentration in the saliva for the first hour from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akeup can be examined for the saliva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eather, 30 minutes for the weather and 60 minutes for the weather.

이처럼, 본 발명은 진성성조숙증 의증으로 내원하는 여아로부터 GnRH 자극반응 검사를 수행하기 이전에 채취한 타액시료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중 코티졸(cortisol) 및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성선호르몬 중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들 호르몬 농도를 기반으로 한 부신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의 활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 아침기상 후 E2의 증가비,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순수하게 증가한 E2의 총량)를 활용하여, 진성성조숙증 진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inding that, in the saliva samples collected prior to the GnRH stimulation test from the desired female in the intact precocious puberty,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mong the adrenocortical hormones, (Cortisol and DHEA molar concentration ratios, cortisol and DHEA (cortisol and DHEA concentration), and estradiol-17β and E2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nd the level of activity of the endocrine endocrine system , The ratio of the increase in E2 after the morning wake, and the total amount of E2 that increased purely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e) ar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intrathymic precocious puberty.

또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가 진성 성조숙증 확진 검사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수득할 수 있는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법 및 기준을 제공한다.In addition, using the above information, methods and criteria for predicting the results that can be obtained in a sexual precocious puberty confirmation test (GnRH stimulation response test) are provided.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조숙증 예측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Glaucoma and Method of Glaucoma Prediction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만 9세 이하의 여아에서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 코티졸(cortisol),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의 농도를 기반으로 한 부신내분비계 및/또는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 판단지표를 이용한,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성조숙증 예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cortisol, di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stradiol-17β (E2) -dependent adrenal endocrinology, measured from saliva collected from a girl aged 9 years or les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gliosis and / or a method for predicting gliosis can be provided, using an activation judgment index of the system and / or gonadal endocrine system.

이때,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 및/또는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 ratio-auc (molar F/D-auc))이며, 상기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E2의 총 분비량(E2auci) 및/또는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determination index is the molar ratio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and / or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molar F / D ratio- / D-auc)), and the reproductive endocrinological activity activation judgment index is a total amount of secretion (E2auci) of E2 and / or a total amount of pure increase (E2Inc%) of E2.

이 때,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로서 At this time, as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judgment index

상기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의 기상 25 ~ 35분 후 값이 69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의 값이 3500 이하인 경우 중 1이상의 경우에When the value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is 25 or less after the gaseous phase is 69 or less; And the value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molar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molar ratio is 3500 or less,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that pubertal development has started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has reached the level of adult.

또한, 상기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로서 Further, as an indicator for determining the germi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의 값이 350 이상인 경우; 및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의 값이 100 이상인 경우중 1이상의 경우에When the value of the total secretion amount E2auci of E2 is 350 or more; And a value of the net increase amount (E2Inc%) of E2 is 100 or more,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breast development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s started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is determined to be at a level at which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test for confirmation of gonadal function.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embodiment,

a) 만 9세 이하의 여아의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DHEA 및 E2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a)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HEA and E2 from the saliva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wake of a girl aged 9 years or less;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해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 값을 구하는 단계로, 이때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 및/또는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 ratio-auc (molar F/D-auc))이며;b) determining the adrenal endocrinological activity activation indicator value using the concentration measured in step a), wherein the adrenal endocrine activity activation indicator is a cortisol / DHEA mole concentration ratio (molar F / D ratio) (Molar F / D ratio-auc (molar F / D-auc))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c)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해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 값을 구하는 단계로, 이때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E2의 총 분비량(E2auci) 및/또는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인 것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erminal endocrinological activity activation indicator comprises a total amount of E2 (E2auci) and / or a total increase in E2 (E2Inc%) of E2, )

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 RTI >

상기 타액은 만 9세 이하의 여아의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기상 후 5분 미만, 기상 후 25 ~ 35분 및 기상 후 55 ~ 65분에 채취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aliva is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vaporization of a girl aged 9 years or less, particularly, less than 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25 to 3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55 to 6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상기 성조숙증은 중추성조숙증, 진성성조숙증, 말초성성조숙증 또는 가성성조숙증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진성성조숙증 또는 중추성조숙증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abnormaliti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tractable precocious puberty,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or pacific precocious puberty, preferably intact precocious puberty or central precocious puberty.

한편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의 기상 25 ~ 35분 후 값이 69 이하인 경우에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tep b), when the value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was 25 to 35 minutes after the gaseous phase was 69 or less, pubertal development started due to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It can be judged that the degree of activation has reached adult level.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의 값이 3500 이하인 경우에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은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step b), when the value of molar ratio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is less than 3500, development of adrenal endocrine system caused puberty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Molar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molar ratio (molar F / D-auc) is an amount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gaseous phase .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의 값이 350 이상인 경우에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은 기저 E2 농도로부터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증가 된 E2의 총량을 의미하고, 상기 기저 E2 농도는 기상 직후 또는 기상 직후 5분 미만에 측정된 E2의 농도를 의미한다.In step c), when the value of the total secretion amount E2auci of E2 is equal to or more than 350, exogenous breast development is start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is positive in the test (E2auci) means the total amount of E2 increased from the basal E2 concentration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gas phase, and the basal E2 concentration is set to a value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or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Means the concentration of E2 measured in less than 5 minutes.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의 값이 100 이상인 경우에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은 기저 E2 농도를 기준으로 기상 후 최초 1시간 안에 증가한 최고치 E2 농도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In step c), when the value of the total increase in E2 (E2Inc%) is 100 or more, exogenous breast development is initiat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is detected in positive (E2Inc%) means the percentage of the maximum E2 concentration increased within the first hour after the start of the meteorological operation based on the basal E2 concentration.

이때, 상기 활성화 판단지표는 GnRH 자극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ivation judgment index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judging whether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GnRH stimulation reaction test.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 타액 내 코티졸의 농도 증가량이 2.5 nmol/L 미만인 타액을 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xcluding the saliva having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the saliva of less than 2.5 nmol / L for the first hour from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즉, 아침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코티졸의 농도 변화량 확인을 통해 진단 대상에 적합한 시료를 결정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sample suitable for the diagnosis object by checking the change amount of the cortisol concentration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ing.

이하,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대상 여아의 분류(1) Classification of target girl

본 발명을 위한 대상 여아의 분류는 보건심사평가원에서 제시한 기준안에 의거하여 2차 성징의 발달이 역령 8세 354일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에 성조숙증으로 판단하므로, 성조숙증의 기준 나이를 만 9세로 기준으로 하여 만 9세 미만의 진성성조숙증 의증으로 내원하는 여아를 대상으로 삼는다.According to the criteria proposed by the Health Examination and Assessment Agency, the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girl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judged to be gonococcal when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sex occurs before 354 days in the 8th Gyeonggi Dynasty. Therefore, I want to be a girl who wants to be a girl with a birth certificate of less than 9 years of age.

(2) 시료의 준비(2) Preparation of sample

본 발명의 시료는 대상 여아의 혈액, 소변, 대변, 타액, 림프액, 뇌척수액, 활액, 낭액, 복수, 흉막 삼출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액, 혈액, 소변 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타액일 수 있다.The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ood, urine, feces, saliva, lymph, cerebrospinal fluid, synovial fluid, ascitic fluid, ascites, pleural effusion, preferably saliva, blood, urine, .

본 발명의 성조숙증 진단에 사용하는 시료는 규정된 정확한 시간에 채취된 타액으로, 아침 기상 후 5분 미만, 기상 후 25 ~ 35분 및 기상 후 55 ~ 65분에 채취한 타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liva sampled at the precise tim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diagnosis of gonococc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time of less than 5 minutes after the morning wakeup, 25 to 35 minutes after the wakeup and 55 to 65 minutes after the wakeup .

특히, 아침 기상 직후부터 최초 1 시간 동안에 코티졸의 농도가 최소 2.5 nmol/L 이상 증가하는 타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saliva whose cortisol concentration is increased by at least 2.5 nmol / L over the first hour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ake.

정상적인 성인 남, 녀에서 아침기상 후 코티졸의 농도는 50-150%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기상 직후부터 기상 30분 후까지 최소 2.5 nmol/L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남, 여에서 아침 기상 직후 첫 타액시료의 채취가 10분 이상 지연되었을 경우에는 이러한 코티졸 증가 현상을 관찰할 수 없는 것으로 아울러 보고되어 있다. 기상 후 10분 이상 지연되어 채취된 시료에서는 코티졸 농도 증가현상을 볼 수 없고, 이러한 시료들은 본 발명의 검사에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normal adults,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s reported to increase by 50-150% after morning waking, and it is known that the minimum 2.5 nmol / L increases from immediately after waking to 30 minutes after waking. However,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the increase in cortisol levels can not be observed in normal men and women when the first saliva samples are delayed for more than 1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akeup. It is not possible to observe a phenomenon of increase in cortisol concentration in samples taken after 10 minutes or more after the gas phase, and these samples are preferably excluded from the tes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액 등의 시료는 적어도 기상 직후, 기상 후 30분 및 기상 후 60분의 3번에 걸쳐서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검사 대상자가 기상 직후에 바로 시료를 채취했다고 표시하더라도 기상이라는 의미가 개인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아침기상 직후 첫 시료의 채취가 지연되었는지, 규정된 시간에 정확히 채취되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aliva samples can be collected at least three times immediately after the weather, 30 minutes after the weather, and 60 minutes after the weather. Even if the person to be surveyed indicates that the samples wer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weath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nfirm whether the sampling of the first sample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eather is delayed, whether it has been collected at the prescribed time, and so on.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준비된 시료가 분석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코티졸의 농도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u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to determine whether the prepared sample is suitable for analysis.

이는 아침기상 후 코티졸의 농도 변화를 통하여 정확한 시간에 시료가 채취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침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에 코티졸의 농도 증가량이 적어도 2.5 nmol인 경우의 시료로 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 시료 내 코티졸의 농도 증가량이 2.5 nmol 미만인 경우 해당 시료를 배제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sample to be us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ortisol is increased to at least 2.5 nmol in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eup to check whether the sample is taken at the correct time through the change of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after the morning wake . That is, when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the sample is less than 2.5 nmol for the first hour from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the sample can be excluded.

(3) 시료 내 (3) In the sample 코티졸Cortisol , DHEA 및 E2의 농도 측정, DHEA and E2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코티졸, DHEA 및 E2의 농도변화를 수치화하여, 이들 사이의 특정 관계 값을 확인함으로써 사춘기 발달과 관련되어 있는 부신 및 생식내분비선이 성숙되었다고 판단하여 진성성조숙증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s of cortisol, DHEA and E2 are quantified using the sampled samples, 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confirmed. Thus, it is determined that adrenal and reproductive endocrine glands associated with puberty development have matured,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대상 여아에서 일정한 시간의 간격을 기준으로 채취한 시료를 통하여 코티졸, DHEA 및 E2 농도를 측정하여 그 농도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상 후 1시간 내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예를 들어 기상 직후, 기상 후 30분, 기상 후 1시간 때 채취한 시료가 포함하고 있는 코티졸, DHEA 및 E2 농도를 각 해당 시간별로 측정하고, 그 변화를 관찰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HEA and E2 can be measured through a sample taken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 target girl, ,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HEA and E2 contained in the sampl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1 hour after the gas phase can be measured at each time, and the change can be observed.

또한, 아침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에 코티졸의 농도 증가량이 적어도 2.5 nmol인 경우의 타액을 시료로 한 경우에 대하여 DHEA 및 E2 농도를 추가로 분석할 수 있다.Further, DHEA and E2 concentrations can be further analyzed in the case where saliva as a sample is used when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s at least 2.5 nmol in the first hour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akeup.

상기 코티졸, DHEA 및 E2 농도 측정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하지 않는다.The cortisol, DHEA and E2 concentrations can be measured by various known methods and are not limited to specific methods.

즉,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면역 측정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소를 표지자로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EIA), 루미놀(luminol)이나 그 유도체 또는 ABEI(aminobutyl-ethylisoluminol)로 감도를 증가시킨 화학섬광면역측정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IA), 또는 형광물질표지자(fluorescent label)를 이용한 형광면역측정법(fluorescence immunoassay; FIA)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at is,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preferably, a radioimmunoassay method can be used. For example, enzyme immunoassay (EIA) using enzymes as markers,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IA) with increased luminosity with luminol or its derivatives or ABEI (aminobutyl-ethylisoluminol) (fluorescence immunoassay (FIA)) using a fluorescent label can be used.

방사면역측정법은 높은 감도(sensitivity)와 정밀도(precision), 정확도(accuracy)를 나타내며, 반응 후의 분명하고 명백한 검출을 가능케 해주는 등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면역 측정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액상-이중 항체(liquid-phased-double antibody)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radioimmunoassay has many advantages such as high sensitivity, precision, and accuracy and allows clear and clear detection after the reaction. Most preferably, the radioimmunoassay can be used For this, a liquid-phased-double antibody method can be used.

혈액, 소변 또는 타액을 시료로 채취한 경우 방사선 면역측정법을 사용하기 위한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If blood, urine or saliva is sampled, it may be subjected to a pretreatment of the sample to use the radioimmunoassay method.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농도는 혈액의 1/100-1/1000 정도로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소량의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도로 민감한 분석 시스템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액상-이중항체(liquidphased-double antibody)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측정과정은 액상-이중항체 방법을 이용한 호르몬 측정에 관한 논문(Salivary cortisol and DHEA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age-related differences, diurnal, and correlations with serum levels. Yonsei Med J. 2007;48:379-88)을 참조할 수 있다. Since the concentration of steroid contained in saliva is as low as 1 / 100-1 / 1000 of blood, a highly sensitive assay system is required to measure a small amount of hormone contained in saliva. Such a liquid-double antibody (liquidphase-double antibody) method can be usefully used. A more detailed measurement process is a liquid-paper on hormone measurements using a double antibody method (Salivary cortisol and DHEA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Age-related differences, diurnal, and correlations with serum levels Yonsei Med J. 2007; 48: 379-88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요오드 125 (125I)로 표지된 항원과 2차 항체를 이용한 액상-이중 항체(liquid-phased-double antibody)을 이용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phased-double antibody using an antibody labeled with 125 ( 125 I) and a secondary antibody was used.

(4) (4) 시간 별By time 코티졸Cortisol /DHEA 값(/ DHEA value ( 몰농도Molar concentration 비율) 도출 :  Ratio) Derived: 부신내분비계의Adrenal 활성화에 의한 사춘기 발달의  Of puberty development by activation 진행여부Progress 정보 수득 Obtain information

상기 a) 단계에서 각 시간별로 측정된 코티졸 및 DHEA 농도 값을 이용하여, 각 시간의 코티졸 대비 DHEA의 몰 농도 비율 (molar F/D ratio)를 구함으로써, 부신 내분비축의 활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대상 의증 여아에서 사춘기의 발달이 부신내분비계의 활성화에 의해 기인한 결과인지를 대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The activity of the adrenal endocrine axis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molar F / D ratio of cortisol to DHEA at each time using the values of cortisol and DHEA measured at each time in step a). In addi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development of puberty in adolescent girls is the result of activation of adrenal endocrine system can be obtained.

호르몬의 몰 비율(molar ratio)은 동일한 호르몬 생성기관에서 호르몬 (A)와 호르몬 (B)가 생성, 분비되고 두 호르몬의 생성이 상호 연관을 가지거나 호르몬이 상호 반대적인 역할을 수행할 때, 두 호르몬 간의 비율은 호르몬 생성기관의 생성양상의 균형도(balance)를 의미하고 혹은 두 호르몬이 상호반대 작용을 할 경우, 두 호르몬 간의 비율은 호르몬 작용 간의 균형도를 의미 한다.When the hormone (A) and hormone (B) are produced and secreted in the same hormone producing organs and the production of two hormones is interrelated or the hormones play an opposite role, the molar ratio of the hormones The ratio between hormones means the balance of the production patterns of hormone-producing organs, or if two hormones counteract each other, the ratio between the two hormones means a balance between hormone action.

상기 코티졸과 DHEA는 모두 부신피질호르몬으로서, 사춘기의 시작에 반드시 DHEA의 생성증가 현상이 나타나며 이를 "adrenarche" 함. 따라서 사춘기 시작과 발달과정에 코티졸과 DHEA 간의 비율 (molar F/D ratio)가 감소되어 나타나면 "adrenarche" 를 통해 사춘기 시작과 발달이 이뤄짐을 알 수 있다.Both cortisol and DHEA are adrenocorticotropic hormones, which appear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DHEA at the onset of puberty and "adrenarche" it. Thus, when the ratio of cortisol to DHEA (molar F / D ratio) decreases in adolescent onset and development, adrenarche leads to puberty onset and development.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코티졸 및 DHEA의 농도를 이용하여 시간 별로 DHEA의 몰 농도에 대한 코티졸의 몰 농도를 구하여 (molar 코티졸/DHEA ratio)비율을 구함으로써, 코티졸과 DHEA 두 호르몬의 각 시간별 몰 농도 비율을 통해 부신내분비축의 활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ar concentration of cortisol (molar cortisol / DHEA ratio)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molar concentration of cortisol with respect to the molar concentration of DHEA by using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and DHEA measured in step a) in step b) Cortisol and DHEA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ctivity of the adrenal endocrine axis through the hourly molar ratio of the two hormones.

이때, 대상 진성성조숙증 의증여아에서 시간별 코티졸/DHEA 몰 농도 비율의 값이 기상 직후 값이 2.8 내지 33, 기상 30분 후 값이 7 내지 56, 기상 60분 후 값이 3.8 내지 36 경우,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사춘기 발달이 부신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alue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 DHEA per hour is 2.8 to 33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7 to 56 after 30 minutes after the vapor phase, and 3.8 to 36 after 60 minutes from the vapor phase in the subject's precocious puberty,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puberty was initiated by th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was judged to reach adult level.

(5) (5) CARaucCARauc // DaucDauc 값( value( 몰농도Molar concentration 비율) 도출:  Ratio) Derived: 부신내분비계의Adrenal 활성화에 의한 사춘기 발달의  Of puberty development by activation 진행여부Progress 정보 수득  Obtain information

상기 a) 단계에서 각 시간별로 측정된 코티졸 및 DHEA 농도 값을 이용하여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분비된 코티졸 총 분비량에 대한 DHEA 총 분비량의 몰 농도 비율 (molar CARauc/Dauc ratio)을 구함으로써, 부신내분비계의 활성도를 아울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대상 의증 여아에서 부신내분비계의 활성화에 의해 사춘기가 시작되었는지 대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The molar concentration (molar CARauc / Dauc ratio) of the DHEA total secretion amount relative to the total cortisol secretion amount secreted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gas phase was determined using the cortisol and DHEA concentration values measured for each hour in the step a) The activity of the endocrine system can also be judg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whether puberty has been initiated by th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s depressed girl.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코티졸 및 DHEA의 농도를 이용하여 아침기상 직후, 기상 30분 후, 60분 후에 채취한 각각의 타액에서 측정된 코티졸과 DHEA 농도를 각각 적분하여 CARauc 및 Dauc를 각각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molar CARauc/Dauc ratio를 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DHEA measured in step (a) in step (b) are us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DHEA measured in the saliva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30 minutes after, We can obtain the molar CARauc / Dauc ratio using CARauc and Dauc.

이때, 대상 의증여아에서 CARauc/Dauc (몰 농도 비율)의 값이 3500 이하일 경우,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사춘기 발달이 부신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값은, 또한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CARauc/Dauc ratio가 부신피질 기능항진(adrenarche)이 시작 되었는지에 대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value of CARauc / Dauc (molar concentration ratio) was less than 3500 in the subject, the adolescent development of the precocious puberty girl started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reached to the adult level It can be judged. These values can also be used as an indicator of whether the CARauc / Dauc ratio during the first hour following morning wake up the adrenal cortex function.

(6) (6) E2Inc%E2Inc% 값 도출 : 생식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발달 진행되었는지  Derivation of value: whether puberty development progressed due to activation of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여부 및And GnRH자극GnRH stimulation 반응 검사에서  In the reaction test 양성반응을 수득 할To obtain a positive reaction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수득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you can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E2 농도 값을 이용하여, E2 기저농도 (아침기상 직후의 농도)를 기준으로 기상 후 1시간 동안 증가한 E2 농도에 대한 백분율 (%)을 분석함으로써, 대상 의증 여아의 사춘기 발달이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에 기인 된 결과인지 판단할 수 있다.Using the E2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in the step a), the percentage (%) relative to the E2 concentration increased for 1 hour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based on the E2 basal concentration (concentration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wakeup)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development is the result of activation of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이때, E2Inc% 값이 100% 일 경우,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2차 성징의 발달(유방발달의 시작 및 진행)이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시작되었고, 생식내분비계의 활성이 진성성조숙증 확진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 즉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E2Inc% value was 100%,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ex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breast development) of the female sexual precocious puberty girl start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the activity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was confirmed It can be judged that the test has reached a level at which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that is, the level of an adult.

(7) (7) E2auci값E2auci Value 도출 : 생식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발달 진행되었는지 여부 및  Derivation: Whether adolescent development has progress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GnRH자극GnRH stimulation 반응 검사에서  In the reaction test 양성반응을 수득 할To obtain a positive reaction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수득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you can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E2 농도 값을 이용하여, 기상 직후 대비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증가 된 E2의 총량을 분석함으로써, 대상 의증 여아의 사춘기 발달이 생식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한 결과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Using the E2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in step a), the total amount of E2 increased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immediately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wa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pubertal development of the subject's prognosis girl was the result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activation Can be obtained.

이때, E2auc (pmol/L) 값이 350 이상인 경우,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2차 성징의 발달(유방발달의 시작 및 진행)이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시작되었고, 생식내분비계의 활성이 진성성조숙증 확진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 즉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E2auc (pmol / L) value was 350 or more,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sex of the female adult with precocious puberty (onset and progression of breast development) was initiated by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t can be judged that the level of positive test results in the test for the diagnosis of gliosis is reaching the level of adult.

이처럼, 본 발명은 코티졸, 디하이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의 농도와 이들의 변화를 이용하여 특정 값의 범위 기준을 확인함으로써 부신 내분비계의 활성 정도를 파악하고, 생식내분비축의 성숙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GnRH자극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ctivity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by determining the range of specific values using the concentrations of cortisol, di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stradiol (E2)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reproductive endocrine axis is maturing can be obtained. Furthermore, using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GnRH stimulation reaction test.

즉, 본 발명은 코티졸, DHEA 및 E2를 이용하여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분비된 코티졸 총 분비량에 대한 DHEA 총 분비량의 몰 농도 비율 및 기상 후 1시간 동안 기저 농도를 기준으로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순수하게 증가 된 E2의 백분율 및 E2 총량을 대상 의증 여아의 연령과 연관하여 분석함으로써, 여아의 체내 신경내분비적 환경, 부신 및 생식 내분비계에 관한 정보를 GnRH 자극 반응 검사 이전에 알 수 있고, 아울러 이 정보를 이용하여 GnRH자극 반응 검사에서의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GnRH자극 반응 검사(확진 검사)에 동반되는 여아, 의료인, 여아의 부모가 감수해야 할 다양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cortisol, which comprises using cortisol, DHEA and E2, a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total secreted amount of DHEA to cortisol total secreted amount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gas phase and an initial one hour after the metering based on the basal concentration for one hour after the gas phase Information on the neurological endocrine environment, adrenal gland and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of the girl can be known before the GnRH stimulation test by analyzing the percentage of purely increased E2 and the total amount of E2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subject's attending girl, Using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ositive response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can be obtained, thereby reducing the various burdens that the parents of a girl, a medical person, and a girl who accompany the GnRH stimulation test (confirmation test) .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1. 피험자1. Subjects

환경적인 동질성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병원의 소아청소년과에 진성성조숙증 의증으로 내원한 여아와 여아의 어머니로부터 참여에 대한 동의 및 참여자들의 건강과 사춘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았다.In order to ensure environmental homogeneit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onsent of the mother of the girl and the girl who visited the pediatric department of the pediatric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Korea and the health and adolescent status of the participants .

다음 기준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의증 여아들을 제외하였다: 1)초경을 경험함; 2) 지난달 내에 구강 성장 호르몬 치료 또는, 경구 또는 경피 글루코코르티코이드-함유 약 복용; 3) 지난 2주 내에 비행기를 이용한 장거리 여행으로 시차증 가짐; 4) 만성질환 진단.Except for girls with any of the following criteria: 1) experienced menstruation; 2) oral growth hormone therapy or oral or transdermal glucocorticoid-containing medication within the last month; 3) I have a time lag due to long-distance travel by airplane within the past two weeks; 4) Diagnosis of chronic diseases.

또한, 다음 기준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성인 여성들도 제외하였다: 1) 직전 월경 주기는 규칙적이나 본 실험의 시작에 앞서 6개월 내에 불규칙적인 월경 주기가 2회 이상 발생; 2) 지난 6개월 내에 호르몬 대체요법 또는 경구 피임약, 타목시펜, 또는 다른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함유 약 복용; 3) 임신 또는 수유, 불임의 증거 또는 성병 존재, 또는 난소부전 진단; 4) 비정산적인 BMI를 나타냄(BMI 18 이하 또는 25 이상); 또는 5) 항우울제 복용 또는 흡연자. 그러나 경구 피임약 또는 스테로이드 함유 약을 마지막으로 사용한 시기가 본 실험 6개월 이상인 피험자들에 대해서는 자격을 인정하였다.In addition, adult women who meet any of the following criteria were excluded: 1) The previous menstrual cycle is regular, but irregular menstrual cycles occur more than once within 6 months prior to the start of this experiment; 2) taking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r oral contraceptives, tamoxifen, or other estrogen-, progesterone-, or glucocorticoid-containing medications within the past 6 months; 3) pregnancy or lactation, evidence of infertility 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or diagnosis of ovarian failure; 4) Represents non-adjusted BMI (BMI less than or equal to 18 or greater than 25); Or 5) taking antidepressants or smokers. However, subjects who were last using oral contraceptives or steroid-containing drug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eligible.

내원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한 피험자들에게 3개의 타액 채취 튜브가 담긴 지퍼 백(zipper bag), 타액 채취에 대한 설명서를 분배 또는 전달하였다. 의증 여아 및 여아의 어머니 각각 50명으로부터 각자 사전 동의(informed assent and consent)를 얻었으며, 참여하는 모든 의증 여아들은 한국에서 태어나 그들의 생부모(biological parent)와 함께 집에서 자랐다.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distributed or delivered a description of zipper bags and saliva collection containing three saliva sampling tubes. Fifty children from each of the prospective girls and girls' daughters received informed assent and consent, and all participating prospective girls were born in Korea and grew up at home with their biological parents.

본 실험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동탄성심병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고 윤리 권고를 따라 실시되었다.This experiment was approved by the clinical examination committee of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conducted according to ethical recommendations.

2. 타액 채취2. Saliva collection

아침 기상 30분 후의 F/D비율은 목요일에서 일요일까지 안정화 시기와 함께 매일 변화를 나타내므로, 참가자들에게 목요일 ~ 일요일에 기상 후 즉시 그리고 일어난 후 30분 및 60분에 각 시점에서 제공되는 타액의 최소 1.5mL 부피로 그들의 타액 샘플을 채취하도록 요구하였다.Since the F / D ratio after 30 minutes of morning weather changes daily with the stabilization period from Thursday to Sunday, participants should be alerted to the saliva immediately after the weather on Thursday to Sunday and at 30 minutes and 60 minutes They were asked to collect their saliva samples in a minimum volume of 1.5 mL.

또한, 참가자들에게 수면-기상 주기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을 요구하였다.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asked not to change the sleep-wake cycle.

참가자들에게 정해진 시간에 타액 샘플을 채취하고(일어난 후 5분 미만, 일어난 후 25~35분 및 55~65분) 채취 튜브(Simport Inc., QC, Canada)의 표지 영역(marking area)에 각각의 채취 시간을 메모하도록 지시하였다. 외부자극 없이 근육 움직임과 채취 튜브에 타액을 뱉는 것만으로 타액을 채취하였다.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collect saliva samples at defined times (less than 5 minutes after onset, 25 to 35 minutes and 55 to 65 minutes after occurrence), and in the marking area of the sampling tube (Simport Inc., QC, Canada) To take a note of the sampling time. The saliva was collected by spitting the saliva into the tube and the movement of the muscle without any external stimulus.

성인 여성에게는 전날 밤에 음주를 하지 않도록 요구하였다. 샘플 채취 시기동안에, 참가자들은 음식 섬취, 음용, 또는 양치질 및 각 샘플 채취 전에 물로 입을 헹구는 것을 삼가도록 요구하였다. 타액 안에 스테로이드 농도는 -20℃ 또는 -80℃에서 보관 후 최소 1년 동안은 안정적이고, 분석 전에 4회까지 샘플의 냉동 및 해동은 측정된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GnRH 자극반응 검사를 실시하는 날까지(최대 1주일) 참가자들에게 그들의 타액 샘플을 그들 소유의 가정용 냉동실에 보관하도록 요구하였다. 타액 샘플은 GnRH 자극반응 검사가 예정되어 있는 날에 소아청소년과 접수대에 제출되었다. 이때, 육안 검사에 의한 결정으로, 피로 오염된 샘플들은 본 실험에서 제외되었다. 튜브의 표지 영역에 시간 또는 날짜가 없는 샘플들 또한 제외되었다.For an adult woman, she asked not to drink alcohol the night before. During the sampling period, participants were asked to avoid eating, drinking, or brushing the mouth and rinsing the mouth with water before each sampling. Steroid concentration in saliva is stable for at least 1 year after storage at -20 ° C or -80 ° C, and freezing and thawing of the sample up to 4 times before analysis does not affect the measured concentration, so the GnRH stimulation test By the day (up to one week) participants were asked to store their saliva samples in their own freezer. Saliva samples were submitted to pediatric adolescents and receptionist on the day the GnRH stimulation test was scheduled. At this time, as a result of visual inspection, samples with fatigue contamination were excluded from this experiment. Samples without time or date in the labeling area of the tube were also excluded.

전형적인 CAR은 정해진 채취시간을 지키는 순응 피험자 내에서 개인의 기준치를 넘어 코티졸 레벨 내 적어도 2.5 nmol/L 증가로서 정의된다. 건강한 피험자에 있어서, 아침기상 후 10분 이상 지연 후에 첫 타액시료가 채취되면 전형적인 CAR를 관찰할 수 없다.A typical CAR is defined as an increase of at least 2.5 nmol / L in the cortisol level beyond the individual threshold within the adaptation subject to a defined collection time. In healthy subjects, typical CAR can not be observed if the first saliva sample is taken after more than 10 minutes delay after the morning wake.

이러한 경우, 타액 채취 시간을 지키지 않은 불순응 피험자들이라고 생각하였고 불순응 피험자들의 타액 시료는 차후의 분석에서 제외하였다.In this case, the subjects were considered to be non-compliant subjects who did not observe the saliva collection time, and the saliva samples of non-compliance subjects were excluded from the subsequent analysis.

제외 절차 후에, 38명의 2차 성장 발달이 뚜렷한 만 9세 이하의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와 42명의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성인 여성들로부터 채취한 타액 샘플들로 얻어진 데이터를 본 실험에 포함시켰다.After the exclusion procedure, data from saliva samples collected from adult women with intact precocious puberty and 42 normal menstrual cyc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3. 타액 정제3. Saliva Purification

채취된 샘플은 찌꺼기를 제거한 후에 -70℃에서 보관하였다. 뮤신을 타액에서 제거하기 위해, 샘들들을 해동하고 원심분리(10,000g, 15min, 4) 하였다. 상층액을 채취하고 시험을 수행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모든 타액 샘플들은 전남대학교의 호르몬 연구센터에서 분석되었다.The collected samples were stored at -70 ° C after removing the debris. To remove mucin from saliva, the fountains were thawed and centrifuged (10,000 g, 15 min, 4).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stored at -70 ° C until the test was performed. All saliva samples were analyzed at the Hormonal Research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4. 타액 내 호르몬 농도 측정4. Measurement of hormone concentration in saliva

타액 내 코티졸, DHEA 및 E2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HEA and E2 in saliva was determined using radioimmunoassay.

코티졸, DHEA 및 E2에 대한 표준시료는 Sigma-Aldrich 화학 회사(MO, USA)로부터 얻었다. 이들 표준시료로부터 코티졸, DHEA 및 E2의 표준용액(10 mmol/L)을 준비하였고, 상기 표준용액을 50 mmol/L 인산-완충액 세라인(saline)을 함유한 0.1% 겔라틴으로 희석함으로써 상용 표준시료를 제조하였다(pH=7.2).Standard samples for cortisol, DHEA and E2 were obtained from Sigma-Aldrich Chemical Company (MO, USA). Standard solutions of cortisol, DHEA and E2 (10 mmol / L) were prepared from these standard samples and diluted with 0.1% gelatin containing 50 mmol / L phosphoric acid-buffered saline to prepare a standard solution A sample was prepared (pH = 7.2).

요오드 125 (125I)는 PerkinElmer사 (마사스체스,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전에 논문에서 제시한 방사성 스테로이드용 프로토콜을 변형함으로써 Iodine-125-labeled 코티졸 (cortisol -3-(O-carboxymethyl) oximino-(2-[125 I]iodohistamine), DHEA(DHEA-7-(O-carboxymethyl) oximino-(2-[125 I]iodohistamine) 및 에스트라디올 (estradiol-3--(O-carboxymethyl) oximino-(2-[125 I]iodohistamine)를 준비하였다. 코티졸 항혈청을 Accurate Chemical & Scientific Co.(NY, USA)로부터 구입하였고, DHEA 항혈청은 United States Biological (Salem, Mass.,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E2 항혈청을 Meridian Life Science, Inc.(ME,USA)에서 구입하였다.Iodine 125 ( 125 I) was purchased from PerkinElmer (Mass., Ches., USA) and used. (I-125) iodohistamine, DHEA (DHEA-7- (O-cyclodextrin), and the like) by modifying the protocol for radioactive steroids previously presented in the paper. carboxymethyl) oximino- (2- [125 I] iodohistamine) and estradiol-3- (O-carboxymethyl) oximino- (2- [125 I] iodohistamine) were prepared by using Accurate Chemical & Scientific Co DHEA antiserum was purchased from United States Biological (Salem, Mass., USA) and E2 antiserum was purchased from Meridian Life Science, Inc. (ME, USA).

코티졸 항혈청은 코티손(cortisone), 11-데옥시코티졸(11-deoxycortisol),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코티졸-21-글루코시듀로네이트(cortisol-21-glucosiduronate), 티졸-21-설페이트(cortisol-21-sulphate), 및 다른 스테로이드와 각각 1.0%, 8.9%, 31.6%, 1.3%, 0.01% 미만, 및 0.01% 미만의교차 반응 레벨로 교차 반응한다. DHEA 항혈청은 안드로스테네디온(androstenedione), 에피안드로스테론(epiandrosterone),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및 다른 스테로이드와 각각 0.4%, 0.2%, 1.3%, 및 0.01% 미만의 교차 반응 레벨로 교차 반응한다. E2 항혈청은 에스트리올(estriol), 에스트론(estrone)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및 다른 스테로이드와 각각 0.09%, 0.5%, 및 0.01% 미만의 교차 반응 레벨로 교차 반응한다. 3.6 및 10.9 nmol/L의 평균 코티졸 농도를 이용한 품질관리로부터 평가한 Inter-assay 변동계수(CV)는 각각 7.4% 및 8.5% 였다(n=26). 코티졸에 대한 검출 예민도는 0.4 nmol/L 였다. 159.0 및 795.0 pmol/L의 평균 DHEA 농도를 이용한 품질관리로부터 평가한 Inter-assay CV는 각각 12.5% 및 10.1% 였다(n=26). DHEA에 대한 검출 예민도는 0.7 pmol/L였다. 18.4 및 183.6 pmol/L의 평균 E2 농도를 이용한 품질관리로부터 평가한 Inter-assay CV는 각각 11.5% 및 13.2% 였다(n=26). E2에 대한 검출예민도는 3.7 pmol/L였다.The cortisol antisera are cortisone, 11-deoxycortisol, prednisolone, cortisol-21-glucosiduronate, cortisol-21-sulphate -sulphate), and other steroids at a cross-reaction level of 1.0%, 8.9%, 31.6%, 1.3%, less than 0.01%, and less than 0.01%, respectively. DHEA antiserum cross-reacts with androstenedione, epiandrosterone, dihydrotestosterone, and other steroids with cross-reaction levels of less than 0.4%, 0.2%, 1.3%, and 0.01% do. The E2 antiserum cross-reacts with estriol, estrone dihydrotestosterone, and other steroids at a cross-reaction level of less than 0.09%, 0.5%, and 0.01%, respectively. Inter-assay coefficient of variation (CV) estimated from quality control using mean cortisol concentrations of 3.6 and 10.9 nmol / L were 7.4% and 8.5%, respectively (n = 26). The detection sensitivity for cortisol was 0.4 nmol / L. Inter-assay CVs from quality control using mean DHEA concentrations of 159.0 and 795.0 pmol / L were 12.5% and 10.1%, respectively (n = 26). The detection sensitivity for DHEA was 0.7 pmol / L. Inter-assay CVs assessed from quality control using mean E2 concentrations of 18.4 and 183.6 pmol / L were 11.5% and 13.2%, respectively (n = 26). The detection sensitivity for E2 was 3.7 pmol / L.

5. 데이터 분석5. Data Analysis

기상 후(post-awakening) 최초 1시간 동안에 스테로이드 분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보조 지표(auxiliary indices)을 적용하였다.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코티졸, DHEA 및 E2 농도를 결정한 후, 기상 후 1시간 동안에 코티졸, DHEA 및 E2의 총 분비량은 기상 직후부터 기상 후 60분까지 윈도우용 GraphPad Prism 버전 5.00(GraphPad Software,CA, USA)을 사용하여 기저(基底, ground)에 대한 곡선 아래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으로 계산되었다(각각 CARauc, Dauc 및 E2auc). 계산된 CARauc 및 Dauc를 이용하여 기상 후 1시간 동안에 코티졸 총 분비량에 대한 DHEA 총 분비량의 비율 (molar CARauc/Dauc ratio)을 구하였다.Supplementary indic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steroid secretion pattern during the first hour post-awakening.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DHEA and E2 contained in each sample was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and the total amount of cortisol, DHEA and E2 secreted from one hour after the start of the weather was measured by GraphPad Prism version 5.00 (Area under the curve, AUC) (CARauc, Dauc, and E2auc, respectively) using a computer program (GraphPad Software, CA, USA). The calculated ratio (molar CARauc / Dauc ratio) of DHEA total secretion amount to cortisol total secretion amount was calculated by using calculated CARauc and Dauc for 1 hour after the meteorological.

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E2 농도를 결정 한 후, 기상 직후의 E2 농도 (기저농도, basal concentration)를 기준으로 기상 후 순수하게 증가 된 최고치 E2 농도의 백분율 [(30분(혹은 60분) 후의 E2 농도-기상 직후 E2 농도)/기상 직후 E2 농도]*100을 계산하였다(percent of the net increased E2 concentration after awakening period, E2Inc%).Afte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E2 contained in each sample, the percentage of the highest E2 concentration [(30 minutes (or 60 minutes) after E2 concentration (basal concentration) (E2 concentration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 E2 concentration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 100 was calculated (E2 concentration after awakening period, E2Inc%).

6. 통계분석6. Statistical Analysis

Shapiro-Wilk 정규성 검증은 변수들, 즉, 각 검사 시점에 스테로이드 노도 및 보조 지표(auxiliary indices)가 정상적으로 분포되지 않음을 드러냈다. 따라서 모수치 통계 검증을 위한 샘플 분포를 정규화하기 위해 상기 값들을 로그-전환하였다. 그러나 각 수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그림과 표에는 자연수를 사용하여 표시하였고, 로그 전환값들은 통계분석에만 이용하였다. 평균 스테로이드 레벨 및 보조지표에서 집단차이는 5% 유의수준에서 일방향 또는 양방향 ANOVA 검증 또는 양방향 t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방향 ANOVA 검증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때(p < 0.05), 특정 집단차이를 발견하기 위해 Tukey's post-hoc test를 수행하였다. SAS 버전 9.1(SAS Institute Inc., NC, USA)을 이용하여 통계적 계산을 수행하였다. 0.05 미만의 p값을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The Shapiro-Wilk normality test revealed that the variables, ie steroid nodules and auxiliary indices, were not normally distributed at each test. Thus, the values were log-switched to normalize the sample distribution for the parametric statistical validation. However,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each figure, figures and tables are shown using natural numbers, and logarithmic conversion values are used only for statistical analysis. Group differences in mean steroid levels and supplemental indicators were analyzed using one-way or two-way ANOVA validation or bidirectional t-validation at the 5% significance level. When one-way ANOVA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 p <0.05), Tukey's post-hoc test was conducted to find specific group differences. Statistical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NC, USA). A p 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실시예Example 1: molar F/D ratio(molar  1: molar F / D ratio (molar 코티졸Cortisol // DHEA ratioDHEA ratio ) 차이 확인) Confirm difference

정상적인 성인 남녀에서 아침기상 후 코티졸의 농도는 50~150%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Pressner 등 1997), 이는 기상 직후부터 기상 30분 후까지 최소 2.5 nmol/L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ust 등 2000). 특히, 정상적인 남녀에서 기상 직후 첫 타액시료의 채취가 10분 이상 지연되었을 경우 기상 후 코티졸 증가 현상을 관찰할 수 없다(Okun 등 2002). 이러한 시료에서 추가적으로 다른 스테로이드 즉, DHEA나 E2의 정량분석은 의미가 없는 바, 아침 기상 후 호르몬 반응 검사에서 제외되어야 한다.In normal adults,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s estimated to increase by 50 to 150% after the morning wake (Pressner et al. 1997), which is known to increase by at least 2.5 nmol / 2000).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saliva samples were delayed for more than 1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weather, normal cortisol levels were not observed (Okun et al., 2002). Further quantitative analysis of other steroids, DHEA or E2, in these samples is not relevant and should be excluded from the post hoc test for hormone response.

GnRH 자극반응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참여자들로부터 제출받은 타액시료는 GnRH 자극반응 검사를 수득할 때까지 -70℃ 냉동고에 보관하였으며, GnRH 자극반응 검사결과에 따라 보관한 타액시료를 성인 여성(n=42), GnRH 자극반응 검사 후 양성반응(n=16) 혹은 음성반응(n=22) 수득 여아로 구분하여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호르몬을 분석하였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상 직후부터 기상 30분 후까지 전형적인 코티졸의 농도의 증가가 없는(최소 2.5 nmol/L) 시료를 제외하였다.Before the GnRH stimulation test, the saliva samples from the participants were kept in a -70 ° C freezer until the GnRH stimulation test was obtained. The saliva samples were stored in adult female (n = (N = 16) or negative response (n = 22) after GnRH stimulation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shown above, (2.5 nmol / L minimum) without the typical increase in cortisol concentration.

각각의 집단, 성인 여성(n=42),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n=16) 및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음성반응 여아(n=22)의 타액 시료에서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molar F/D ratio를 도 1에 도시하였다.In each group, adult female (n = 42), positive response girl (n = 16) on GnRH stimulation test and saliva sample negative response girl (n = 22) on GnRH stimulation test for the first hour The molar F / D ratio is shown in Fig.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molar F/D ratio는 3개의 집단 간에 그룹간 효과 (group effect) (F2,231 = 29.9, p < 0.0001) 및 타액채취시간의 효과 (collection time effect)(F2, 231 =18.3 p < 0.0001)는 유의성을 보였으며, 그룹 × 타액 채취시간 상호작용 효과 (group × time interaction effect) (F4, 231 =2.6, p = 0.04) 또한 유의하였다 (도 1).The two-way ANOVA analysis showed that the molar F / D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roup effect (F 2,231 = 29.9, p <0.0001) and the collection time effect F 2, 231 = 18.3 p <0.0001) were significant, and group × time interaction effect (F 4, 231 = 2.6, p = 0.04) .

이 결과는 3개의 그룹 간에 유의미하게 molar F/D ratio의 수준 (유의한 그룹효과) 및 양상 (그룹 × 타액채취시간 상호 작용 효과)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molar F / D ratio between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group effect) and aspect (group × saliva collection time interaction effect).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음성반응 여아집단 (negative responded girls) molar F/D ratio 수준은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 (positive responded girls) 및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성인 여성(adult females) 집단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모든 통계분석에서 p < 0.0001) (도 1).The molar F / D ratio level of negative responded girls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than in the positive responded girls and the adult females group with normal menstrual cycle ( P <0.0001 in all statistical analyzes) (Fig. 1).

또한,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의 molar F/D ratio 수준은 성인 여성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group effect; F1,168 = 6.4, p < 0.05) (도 1).In addition, the molar F / D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nRH stimulation group than in the adult group (F 1,168 = 6.4, p <0.05) (Fig. 1).

One-way ANOVA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각 시간별 molar F/D ratio을 적분한 molar F/D-auc는 3개의 집단간에 그룹간 유의한 효과 (group effect) (F2,73 = 12.7, p < 0.0001) 있었으며 (도 2), 추가적인 post-hoc 분석결과,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의 molar F/D-auc는 성인여성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p > 0.05), 음성반응 여아집단의 molar F/D-auc는 양성반응 여아집단 및 성인여성의 molar F/D-auc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모든 통계 분석에서 p < 0.001) (도 2).The analysis of one-way ANOVA showed that the molar F / D-auc, which is the molar F / D ratio integrated over time, had a group effect (F 2,73 = 12.7, p <0.0001 ), And molar F / D-auc of the positive response girl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adult female ( p > 0.05)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Fig. 2) / D-auc was significantly higher ( p <0.001 in all statistical analyzes) than the molar F / D-auc of the positive-reaction girl group and adult female (Fig. 2).

각 집단의 molar F/D-auc에 대한 reference range를 표 1에 정리하였다.Table 1 summarizes the reference ranges for molar F / D-auc in each population.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의 F/D ratio-auc reference rangeF / D ratio-auc reference range of adult female, positive female and negative female 5% Lower Reference Limit5% Lower Reference Limit 95% Upper Reference Limit95% Upper Reference Limit Adult femaleAdult female 390.9390.9 3483.53483.5 Positive responded girlsPositive responded girls 404.9404.9 2725.02725.0 Negative responded girlsNegative responded girls 755.0755.0 4416.24416.2

사춘기 개시와 발달과정에 부신내분비계의 DHEA 생성의 증가(이를 "adrenarche"라 함)가 동반되기 때문에 F/D ratio는 음성반응을 수득한 여아보다 성인 여성과 양성반응 여아에서 낮게 나타나며, molar F/D-auc의 값이 성인 여성의 상위 95 percentile 이하일 경우,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사춘기 발달에 부신내분비계의 활성화가 이뤄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The F / D ratio is lower in adult women and in positive-responders than in girls who received negative responses, because molar F (F) / D-auc is less than the upper 95 percentile of adult women, it can be judged that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has been activated in adolescent development of the latent precocious puberty girl.

실시예Example 2: molar F/D ratio(molar  2: molar F / D ratio (molar 코티졸Cortisol /DHEA ratio) 차이 확인/ DHEA ratio)

각각의 집단, 성인 여성(n=42),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n=16) 및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음성반응 여아(n=22)의 타액 시료에서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E2의 변화를 도 3에 도시하였다.In each group, adult female (n = 42), positive response girl (n = 16) on GnRH stimulation test and saliva sample negative response girl (n = 22) on GnRH stimulation test for the first hour The change in E2 is shown in Fig.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E2는 3개의 집단 간에 그룹간 효과 (group effect) (F2,231 = 26.4, p < 0.0001) 및 타액채취시간의 효과 (collection time effect)(F2, 231 =7.0 p < 0.005)는 유의성을 보였으나, 그룹 × 타액 채취시간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group × time interaction effect) (F4, 231 =1.5, p = 0.2)(도 3).Two-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E2 with the group effect (F 2,231 = 26.4, p <0.0001) and the collection time effect (F 2, 231 ( P <0.001).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 saliva ti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 time interaction effect) (F 4, 231 = 1.5, p = 0.2).

이 결과는 3개의 그룹 간에 유의미하게 E2의 수준 (유의한 그룹효과)에는 차이가 있으나 E2의 분비 양상 (그룹 × 타액채취시간 상호 작용 효과)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E2 secretion pattern (group × saliva collection time interaction effect)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E2 (significant group effect) between the three groups.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음성반응 여아집단 (negative responded girls) E2 수준은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 (positive responded girls) 및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성인 여성(adult females) 집단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모든 통계분석에서 p < 0.0001) (도 3).In the GnRH stimulus test, negative responded girls E2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nRH stimulus test than in the positive responded girls and the adult females group P < 0.0001) (Fig. 3).

또한,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의 E2 수준은 성인여성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group effect; F1,168 = 4.3, p = 0.04) (도 3).In the GnRH stimulation test, the E2 level of the positive femal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adult female group (F 1,168 = 4.3, p = 0.04) (Fig.

One-way ANOVA를 이용한 분석 결과, E2Inc% 는 3개의 집단 간에 그룹간 유의한 효과 (group effect) (F2,73 = 3.6, p = 0.03) 있었으며 (도 4), 추가적인 post-hoc 분석결과,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의 E2Inc%는 성인여성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p > 0.05), 음성반응 여아집단의 E2Inc%는 양성반응 여아집단 및 성인여성의 E2Inc%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모든 통계 분석에서 p < 0.01) (도 5).One-way ANOVA showed that the E2Inc% group had a group effect (F 2,73 = 3.6, p = 0.03) between the three groups (Fig. 4)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the E2Inc% of the positive female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adult female ( p > 0.05), while the E2Inc% of the negative femal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positive female group and the female E2Inc% P < 0.01 in analysis) (Fig. 5).

One-way ANOVA를 이용한 분석 결과, E2auci 는 3개의 집단 간에 그룹간 유의한 효과 (group effect) (F2,73 = 6.2, p = 0.005) 있었으며 (도 5), 추가적인 post-hoc 분석결과,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 여아집단의 E2auci는 성인여성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p > 0.05), 음성반응 여아집단의 E2auci는 양성반응 여아집단 및 성인여성의 E2auci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모든 통계 분석에서 p < 0.01) (도 6).One-way ANOVA showed that E2auci had a group effect (F 2,73 = 6.2, p = 0.005) between the three groups (Figure 5) E2auci of the positive response girl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adult women ( p > 0.05) and E2auci of the negative response gir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positive response girl group and E2auci of the adult female ( p < 0.01) (Fig. 6).

각 집단의 E2Inc% 및 E2auci 에 대한 reference range를 표 2와 표 3에 정리하였다.Table 2 and Table 3 summarize the reference ranges for E2Inc% and E2auci in each group.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의 E2Inc% reference rangeAdult female, positive reaction girl and negative response E2Inc% reference range of girl 5% Lower Reference Limit5% Lower Reference Limit 95% Upper Reference Limit95% Upper Reference Limit Adult femaleAdult female 14.114.1 285.7285.7 Positive responded girlsPositive responded girls 5.55.5 602.6602.6 Negative responded girlsNegative responded girls -7.5-7.5 101.8101.8

성인 여성, 양성반응 여아 및 음성반응 여아의 E2auci reference rangeAdult female, positive reaction girl and negative response E2auci reference range of girl 5% Lower Reference Limit5% Lower Reference Limit 95% Upper Reference Limit95% Upper Reference Limit Adult femaleAdult female 82.082.0 3344.83344.8 Positive responded girlsPositive responded girls 66.866.8 4916.04916.0 Negative responded girlsNegative responded girls 00 333.2333.2

사춘기 발달과정에 E2 생성의 증가 (이를 "gonadarche"라 함)는 생식내분비계를 구성하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모두가 상호신호를 수용할 수 있고 각 기관이 호르몬 생성능력을 획득 (competence)한 결과이다. GnRH 양성반응을 수득한 여아의 아침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E2의 분비수준 및 분비양상은 성인여성의 그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의 생식내분비계의 구성요소의 호르몬 생성능력은 성인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increase in E2 production during puberty development (referred to as "gonadarche") is due to the fact that both the hypothalamus, pituitary gland, and ovary, which constitute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can accommodate mutual signals and that each organ competence Results. Since the secretion level and secretion pattern of E2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e of the GnRH-positive female girl is the same as that of adult female, the hormone production capacity of the components of their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s equal to that of adult .

따라서 E2inc% 및 E2auci의 값이 음성반응 여아의 상위 95 percentile 이상일 경우, 진성성조숙증 의증 여아의 사춘기 발달에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에 기인 된 현상으로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E2inc% and E2auci values are higher than the 95th percentile of the negative response girls, it is believed that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GnRH stimulation test as a phenomenon caused by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n adolescent development of the sexual precocious puberty girl can do.

Claims (14)

만 9세 이하의 여아에서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 코티졸(cortisol), 디히드로에피엔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E2)의 농도를 이용하여 부신내분비계 및 생식내분비계 중 1이상의 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는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 및 상기 코티졸/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 ratio-auc (molar F/D-auc))이고;
상기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는 E2의 총 분비량(E2auci) 및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ing the concentrations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stradiol-17β, E2 measured from saliva collected from a girl aged 9 years or younger,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a sexual precocious puberty comprising providing at least one endocrine activating judgment index among the series,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determination index is a ratio of a cortisol / DHEA mol concentration ratio (molar F / D ratio) and a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the cortisol / DHEA molar F / D ratio-auc (molar F / D- auc));
Wherein the reproductive endocrine activation indicator is a total amount of E2 secretion (E2auci) and a net increase in E2 (E2In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신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로서
상기 코티졸/DHEA 몰 (mole) 농도 비율(molar F/D ratio)의 기상 25 ~ 35분 후 값이 69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의 값이 3500 이하인 경우 중 1이상의 경우에
부신내분비계 활성화로 인해 사춘기 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의 정도가 성인의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ctivation indicator
When the value of the cortisol / DHEA mole ratio (molar F / D ratio) is 25 or less after the gaseous phase is 69 or less; And the value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molar F / D-auc) of the cortisol and DHEA molar ratio is 3500 or les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gubernia, characterized in that pubertal development has been initiated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system and that the level of activation has reached adult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로서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의 값이 350 이상인 경우; 및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의 값이 100 이상인 경우중 1이상의 경우에
생식내분비계의 활성화로 인해 외현한 가슴발달이 시작되었고, 그 활성화 정도가 성조숙증 확진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alue of the total secretion amount E2auci of E2 is 350 or more; And a value of the net increase amount (E2Inc%) of E2 is 100 or mor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gonococcos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exogenous breast development is started due to activation of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gonadotropin has reached a level at which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test for the diagnosis of gonadal diseas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은 만 9세 이하의 여아의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타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liva is saliva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weather of a girl aged 9 years or le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은 기상 후 5분 미만, 기상 후 25 ~ 35분 및 기상 후 55 ~ 65분에 채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aliva is collected in less than 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25 to 3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55 to 65 minutes after the gas phas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molar F/D-auc)은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의 코티졸과 DHEA의 몰농도 비율의 적분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Molar F / D-auc)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is an integral amount of the molar concentration ratio of cortisol and DHEA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gas phase, Wa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2의 총 분비량(E2auci)은 기저 E2 농도로부터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증가된 E2의 총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total secretion amount (E2auci) of E2 is the total amount of E2 increased from the basal E2 concentration for the first hour after the vapor phas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2의 순수증가 총량(E2Inc%)은 기저 E2 농도를 기준으로 기상 후 최초 1시간 안에 증가한 최고치 E2 농도에 대한 백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net increase amount (E2Inc%) of the E2 is a percentage of a maximum value E2 concentration increased within the first hour after the meteorological rise based on the baseline E2 concent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E2 농도는 기상 직후 또는 기상 직후 5분 미만에 측정된 E2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al E2 concentration is a concentration of E2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or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in less than 5 minu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상 직후부터 최초 1시간 동안 타액 내 코티졸의 농도 증가량이 2.5 nmol/L 미만인 타액을 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eliminating saliva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the saliva of less than 2.5 nmol / L for the first hour from immediately after the vapor ph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조숙증은 중추성조숙증, 진성성조숙증, 말초성성조숙증 또는 가성성조숙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xual dysplasia is a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tact premature ejaculation,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or pacer precocious pubert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조숙증은 진성성조숙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laucomatous disorder is a sexual precocious puber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분비계 활성화 판단지표가 GnRH 자극 반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수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ocrine system activation judgment index is used as information for judging whether a positive reaction can be obtained in the GnRH stimulation reaction test.
제1항의 따라 수득한 성조숙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진성 성조숙증 확진 검사 (GnRH 자극반응 검사)에서 수득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A method for predicting the results obtainable in the intact precocious puberty confirmation test (GnRH stimulation test) using the information for diagnosing gonococci obtained according to claim 1.
KR1020170066079A 2017-05-29 2017-05-29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KR102367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79A KR102367260B1 (en) 2017-05-29 2017-05-29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79A KR102367260B1 (en) 2017-05-29 2017-05-29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231A true KR20180130231A (en) 2018-12-07
KR102367260B1 KR102367260B1 (en) 2022-02-24

Family

ID=6466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79A KR102367260B1 (en) 2017-05-29 2017-05-29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2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617A (en) * 2019-02-08 2020-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 for diagnosing precocious puberty or prognosising treatment of precocious puberty, and use thereof
KR102404986B1 (en) * 2022-01-20 2022-06-07 (주) 마인즈에이아이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an andropause diagnosis and use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94A (en) * 2008-12-15 2010-06-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dicator using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in saliva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adrenal gland and the functional evaluation method of adrenal gland using thereof
KR20110068906A (en) * 2009-12-15 2011-06-22 퍼팩트코리아(주) A method of diagnosing a menstrual activation using saliva
KR20150143095A (en) * 2014-06-13 2015-12-23 안련섭 A Method of Diagnosing a Puberty using Saliva in Premenarcheal Gir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94A (en) * 2008-12-15 2010-06-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dicator using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in saliva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adrenal gland and the functional evaluation method of adrenal gland using thereof
KR20110068906A (en) * 2009-12-15 2011-06-22 퍼팩트코리아(주) A method of diagnosing a menstrual activation using saliva
KR20150143095A (en) * 2014-06-13 2015-12-23 안련섭 A Method of Diagnosing a Puberty using Saliva in Premenarcheal Girls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Bouvattier C, Coste J, Rodrigue D, Teinturier C, Carel JC, Chaussain JL, BougnePF. Lack of effect of GnRH agonists on final height in girls with advanced puberty: a randomized long-term pilot study.J Clin Endocrinol Metab. 1999; 84: 3575-8.
10. Willemsen RH, Elleri D, Williams RM, Ong KK, Dunger DB. Pros and cons of GnRHa treatment for early puberty in girls. Nat Rev Endocrinol. 2014 ;10:352-63.
11. 성조숙증 진료지침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al Guidelines), 2011.
2. Han Kyul Kim, Seung Jung Kee, Ji Yeon Seo, Eun Mi Yang, Hong Jae Chae, Chan Jong Kim.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Precocious Puberty.Korean J Lab Med 2011;31:244-249.
3. Hyo-Kyoung Nam, Young Jun Rhie, Chang Sung Son, Sang Hee Park, Kee-Hyoung Lee. Factors to Predict Positive Resul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in Girls with Suspected Precocious Puberty. J Korean Med Sci 2012; 27: 194-199.
4. Juul A.The effects of oestrogens on linear bone growth. Hum Reprod Update. 2001; 7: 303-13.
5. Kang JY, Park JY, Chun SI, Suh HS, Lee K, Ahn RS. Puberty-related changes in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and estradiol-17β secretions within the first hour after waking in premenarcheal girls. Neuroendocrinology. 2014; 99:168-77.
6. Mul D, Oostdijk W, Drop SL. Early puberty in girls.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02; 16:153-63.
7. Pinyerd B, Zipf WB. Puberty-timing is everything! J Pediatr Nurs. 2005; 20:75-82.
8. Suh J, Choi MH, Kwon AR, Kim YJ, Jeong JW, Ahn JM, Chae HW, Kim DH, Kim HS. Factors that predict a positive response o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diagnosing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 girls.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2013;18:202-7.
9. Turzillo AM, Clapper JA, Moss GE, Nett TM. Regulation of ovine GnRH receptor gene expression by progesterone and oestradiol. J Reprod Fertil. 1998;113: 251-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617A (en) * 2019-02-08 2020-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 for diagnosing precocious puberty or prognosising treatment of precocious puberty, and use thereof
KR102404986B1 (en) * 2022-01-20 2022-06-07 (주) 마인즈에이아이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an andropause diagnosi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260B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zias et al. Testing and interpreting measures of ovarian reserve: a committee opinion
Sanders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psychosocial stress and fertility in women.
Nardo et al. Circulating basal anti-Müllerian hormone levels as predictor of ovarian response in women undergoing ovarian stimulation for in vitro fertilization
Klein et al. Assessing fertility in women of advanced reproductive age
Louis et al. Stress reduces conception probabilities across the fertile window: evidence in support of relaxation
Soriano-Guillén et al.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 children living in Spain: incidence, prevalence, and influence of adoption and immigration
Broekmans et al. The antral follicle count: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better standardization
Goedhart et al. Maternal cortisol and offspring birthweight: results from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Almog et al. Age-related normograms of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levels in a population of infertile women: a multicenter study
Nierop et al. Prolonged salivary cortisol recovery in second-trimester pregnant women and attenuated salivary α-amylase responses to psychosocial stress in human pregnancy
Hillman et al. Obesity and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 adolescent girls
de Carvalho et al. Ovarian reserve evaluation: state of the art
CN110491505B (en) System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oocytes obtained during ovarian stimulation of a subject
Li et al. Anti-Müllerian hormone for prediction of ovarian response in Chinese infertile women undergoing IVF/ICSI cycles: a prospective, multi-centre, observational study
Chin et al. Association of urinary concentrations of phthalate metabolites and bisphenol A with early pregnancy endpoints
Pal et al. Characterizing the reproductive hormone milieu in infertile women with diminished ovarian reserve
KR101467372B1 (en) A Method of Diagnosing a Menstrual Activation using Saliva
Abrão et al. Salivary and serum cortisol levels, salivary alpha-amylase and unstimulated whole saliva flow rate in pregnant and non-pregnant
KR20150143095A (en) A Method of Diagnosing a Puberty using Saliva in Premenarcheal Girls
Wen et al. Can inhibin B reflect ovarian reserve of healthy reproductive age women effectively?
Styer et al. Dynamic antimüllerian hormone levels dur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predict in vitro fertilization response and pregnancy outcomes
KR102367260B1 (en) Prediction method for responsiveness of GnRH stimulation in girls with suspected central precocious puberty
Li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linical pregnancy failure prediction model for poor ovarian responders during IVF/ICSI
Balkan et al. Evaluation of the ovarian reser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in relation to healthy controls and different age groups
Albertson et al. The prediction of ovulation and monitoring of the fertile peri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