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753A - Slim Enclosure Assembly - Google Patents

Slim Enclosur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753A
KR20180128753A KR1020170064258A KR20170064258A KR20180128753A KR 20180128753 A KR20180128753 A KR 20180128753A KR 1020170064258 A KR1020170064258 A KR 1020170064258A KR 20170064258 A KR20170064258 A KR 20170064258A KR 20180128753 A KR20180128753 A KR 20180128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assembly
speaker
slim
slim enclosu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슬리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슬리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슬리비스
Priority to KR102017006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8753A/en
Publication of KR2018012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7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enclosure assembly. The slim enclosure assembly, of which the maximum area of a first longitudinal section is more than five times that of the maximum area of a second longitudinal section, includes: a speaker combination part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nd combined with a speaker device to have a vibrating surface plac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ssembly; and a cover part combined with the front sid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to form an air passage for directing a sound generated from the vibrating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to an output por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assembly. The cover part more includes an outlet formed in a position at a distance from the output port and having an area which is at least 70%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utput port.

Description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Slim Enclosure Assembly}[0001] Slim Enclosure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음향장치와 결합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음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enclosure assembly coupled with an acous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m enclosure assembly capable of enhancing treble performance.

TV, 모니터, 노트북 PC,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등의 전자제품은 디자인 성능과 사용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점점 슬림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은 음향재생을 위해 내부에 스피커 장치를 장착하는데, 스피커 장치 역시 제품의 슬림화에 따라 슬림화가 요구된다.Electronics such as TVs, monitors, notebook PC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are becoming increasingly slim to enhance design performance and ease of use. Such an electronic device is equipped with a speaker device for sound reproduction, and the speaker device is also required to be made slimmer as the product becomes slimmer.

종래의 두꺼운 브라운관 TV는 내부에 스피커 장치 및 인클로저를 장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었으나, LCD, PDP, OLED 등의 평판 TV로 발전하면서 스피커 장치 및 인클로저의 장착공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자제품의 경우 스피커가 디스플레이 전면을 향해 노출되어 장착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테두리인 베젤(bezel)을 최소화하는 디자인 추세에 따라 스피커가 디스플레이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 thick-walled CRT TVs have a sufficient space for mounting a speaker device and an enclosure therein, but the space for installing speaker devices and enclosures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flat panel TVs such as LCDs, PDPs, and OLED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product, a speaker is ex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In recent years, however, it is common that the speaker is located behind the display according to a design trend that minimizes a bezel as a display frame.

이러한 슬림화 디자인 추세 및 베젤리스(bezeless) 디자인 추세에 따라 스피커 장치의 진동판의 면적을 최소화하거나 스피커 장치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스피커의 음향성능을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increase the acoustic performance of the speaker while minimizing the area of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device or lowering the height of the speaker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lim design trend and bezeless design trend.

FOSTER ELECTRIC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251838호 "스피커의 설치구조"는 평면형 TV에서 TV의 저면을 향해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가 유사하게 형성되는 원형 또는 정방형의 일반 스피커와 달리 협폭 스피커를 디스플레이 베젤의 하단부를 향해 설치하기 때문에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스피커 시스템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좁은 진동판 면적을 사용하고, 인클로저를 통한 저역확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중저역대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251838, "FOSTER ELECTRIC INSTALLATION STRUCTURE OF SPEAKERS", discloses a speaker installation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a TV in a flat type TV.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narrow speaker is install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bezel,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system is simplified and the cost of the speaker system is reduced, unlike the circular speaker or the square speaker which has a similar length and length. However, since the narrow diaphragm area is used and the low-frequency expansion through the enclosure is impossib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low-frequency band is deteriorated.

Wistron Corporation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95636호 "Speaker module and thi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및 한국토프톤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8671호 "스피커유니트가 장착된 슬림화된 박스"는 협폭 스피커를 장착하는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인클로저 없이 협폭 스피커를 장착하는 구조에 비해 인클로저를 통한 저역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역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진동판의 면적이 적은 협폭 스피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전히 저역성능이 개선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Speaker module and thi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of Wistron Corporatio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5-0195636,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118671, "Slimmed Box with speaker unit" Disclosed is a bottom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incorporating a narrow speak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low-frequency expans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nclosure as compar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narrow speaker is mounted without an enclosure.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the improvement of the low-frequency performance is required because the narrow speaker having a small diaphragm area is used.

WUXI JIEFU ELECTROACOUSTIC의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4/082368호 "Thin double-cone phase-inverted loudspeaker enclosure"는 원형 또는 정방형의 일반 스피커를 장착한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인클로저의 후면을 통해 넓은 진동판의 면적이 넓은 일반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고, 인클로저를 통해 저역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역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결합하는 구조상 TV 후면을 통해 방사된 음압이 벽체를 통해 반사되어 TV 전면의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회절성이 떨어지는 고역은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고역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TV 설치시 벽체와 TV 후면 간의 거리에 따라 해당하는 파장의 주파수 대역에서 정상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의 SPL(Sound Pressure Level)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중저역 딥(dip)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WO 2014/082368 " Thin double-cone phase-inverted loudspeaker enclosure " of WUXI JIEFU ELECTROACOUSTIC discloses a rear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with circular or square loudspeaker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general speaker having a wide diaphragm area can be us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low-frequency expansion is possible through the enclosure, thereby improving low-frequency performance. However, since the sound pressure radiated through the back of the TV is reflected through the wall and transmitted to the user on the front side of the TV, the high frequency which is not diffracted is not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a standing wave is generated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corresponding wave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 and the back surface of the TV during the TV installation, so that a mid- and low-level dip in which the SPL (sound pressure level) There is a problem.

WUXI JIEFU ELECTROACOUSTIC의 국제특허공보 WO 2014/194446호 "Horn type multi-point excitation loudspeaker enclosure"는 후면 방사형 저역 스피커와 저면 방사형 고역 스피커를 포함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저역 스피커의 넓은 진동판 면적과 인클로저로 인해 저역성능이 개선되고, 추가로 설치된 협폭의 고역 스피커로 인해 고역성능 역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다수의 스피커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스피커 시스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2014/194446 to WUXI JIEFU ELECTROACOUSTIC, entitled " Horn type multi-point excitation loudspeaker enclosure " discloses a slim enclosure assembly including a rear radial low-pass speaker and a bottom radial high-pass speak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wide diaphragm area of the low-frequency speaker and the enclosure improves the low-frequency performance and the high-frequency performance is also improved by the additionally installed narrow-band high-frequency speaker.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speaker units are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aker system cost increases.

AmTran Technology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46991호 "Audio output device and video/audio output device using the same", 삼성전자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369533호 "Electronic device with side acoustic emission type speaker device", 및 EM-TECH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301587호 "Slim enclosure speaker with side acoustic emission structure"는 일반 스피커가 장착된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일반 스피커 장치의 진동면 위에 부가된 커버를 통해 음압의 방향을 후면에서 저면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넓은 진동판 면적의 일반 스피커를 사용하고 인클로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저역 성능이 개선되는 한편, 저역, 중역, 고역이 모두 저면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고역성능도 일정 수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진동판과 커버 간의 거리에 따라 중고역의 일부 주파수에서 정상파(standing wave)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고역의 일부 영역에서 SPL(Sound Pressure Level)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중고역 딥(dip)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Amtran Technology US Patent Publication No. 2014-0146991 entitled " Audio output device and video / audio output device using the same ", Samsung Electronics US Patent Publication No. 2014-0369533 entitled " Electronic device with side acoustic emission type speaker device " And US-A-2014-0301587, entitled " Slim enclosure speaker with side acoustic emission structure ", by EM-TECH, discloses a bottom emission type slim enclosure assembly with a conventional speaker.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is configured to switch the direction of sound pressure from the back to the bottom through a cover that is added over the vibrational surface of a conventional speaker devic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general speaker of wide diaphragm area is used and the enclosure is used, the low-frequency performance is improved while the low-frequency, mid-frequency and high frequency are radiated to the bottom. However, since a standing wave occurs at a certain frequency in the middle and high frequencie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co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id-high dip where SPL (Sound Pressure Level)

JPJP 2013-2518382013-251838 AA USUS 2015-01956362015-0195636 A1A1 KRKR 10-2016-011867110-2016-0118671 AA WOWO 2014-0823682014-082368 A1A1 WOWO 2014-1944462014-194446 A1A1 USUS 2014-01469912014-0146991 A1A1 USUS 2014-03695332014-0369533 A1A1 USUS 2014-03015872014-0301587 A1A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커버부에 외기와 연결되는 유출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판과 커버부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여 중고역에서 발생하는 정상파를 억제함으로써 중고역에서의 음향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which is capable of suppressing standing waves generated in a high and middle range by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cover, And aims to improve the acoustic performance in the mid-highwa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종단면의 최대면적이 제2 종단면의 최대면적의 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후방을 향해 진동면이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가 결합하는 스피커 결합부; 및 상기 스피커 장치의 진동면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저면에 형성된 출력포트로 유도하는 공기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출력포트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출력포트의 면적보다 적어도 70% 이하의 면적을 갖는 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aximum area of the first longitudinal section is formed at least five times the maximum area of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 speaker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speaker unit such that the vibration plane is disposed rearward; And a cover unit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so as to form an air path to guide sound generated from a vibration surface of the speaker unit to an output po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nd the cov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hole spaced apart from the output port and having an area of at least 70% or less of the area of the output 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커버부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단에서 2/5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hole is formed between the two-fifths point from the top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넓이 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hole is formed as a slit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슬릿을 커버하는 메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hole may further include a mesh covering the sl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복수의 홀 어레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holes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 array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커버부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단에서 2/5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넓이 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hole may be formed as a slit in a width direction formed between two fifth points from the top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부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스피커 결합부 및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는 커버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스피커 장치의 하부와 결합하여 공명 공간을 정의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includes the speaker coupling portion including the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peaker device, and the cover coupling portion engaged with the cover portion A first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peaker unit to define a resonance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결합에 의해 저주파 대역의 공명을 위한 공기경로 및 외기와 연결되는 저음포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path for resonating in a low frequency band and a bass port connected to an outside air are formed by the coupling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출력포트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port is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제2 본체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저면이 전면으로 노출되는 노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n exposure hole through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is exp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항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lim enclosure assembly of claim 1.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장치는, 제1항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lim enclosure assembly of claim 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커버부에 외기와 연결되는 유출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판과 커버부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여 중고역에서 발생하는 정상파를 억제함으로써 중고역에서의 음향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which is capable of suppressing standing waves generated in a high and middle range by controlling the pressur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cover, And aims to improve the acoustic performance in the mid-high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도시하는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부품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품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체결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외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하는 제2 종단면도.
도 7은 커버부가 제거된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를 도시하는 외형도.
도 8은 커버부가 제거된 종래의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의 후면부에서 측정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
도 9는 커버부가 제거된 종래의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의 전면부에서 측정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
도 10은 유출공을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를 도시하는 외형도.
도 11은 유출공을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의 전면부에서 측정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전면부에서 측정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
1 is an exterior view illustrating a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showing a state of parts of a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engagement of a slim enclosure assembly and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irst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econd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rear radial slim enclosure with the cover removed.
8 is a graph of the frequency response measured at the rear of a conventional rear radial slim enclosure with the cover removed.
Figure 9 is a graph of the frequency response measured at the front of a conventional rear radial slim enclosure with the cover removed.
Fig. 10 is an outlin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radial slim enclosure that does not include a spout; Fig.
11 is a graph of the frequency response measured at the front side of a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radial slim enclosure that does not include outflow holes.
12 is a graph of the frequency response measured at the front of a slim enclos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e meaning and the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명세서 전반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기재는, 이에 대해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pecification that " comprises " any element in any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후면, 전면, 저면 등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스피커 장치(110)의 진동판이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칭하는 것이며, 이는 상대적 방향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정보 단말장치에 결합하는 실시예에 따라서 동일한 상대적 방향관계를 유지하면서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3 and 6, the rear surf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like used herein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phragm of the loudspeaker apparatus 110 is mounted so as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may be modified differently while maintaining the same relative direc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coupling to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or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제1 종단면의 최대면적이 제2 종단면의 최대면적의 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인클로저 조립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제1 종단면"은 도 2의 스피커 장치(110)가 결합하는 면과 동일한 방향의 면을 의미하고, "제2 종단면"은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출력포트(150)가 형성된 면과 수직하고, 제1 종단면과 수직한 면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 slim enclosure assembly " means an enclosure assembly wherein the maximum area of the first longitudinal section is formed at least five times the maximum area of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The term " first longitudinal section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rface to which the speaker device 110 of FIG. 2 is coupled, and the " second longitudinal section &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ngitudinal s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ngitudinal section.

예컨대 TV, 모니터,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스피커에 사용되기 위한 인클로저 조립체로서, 최근 슬림화되는 전자장치의 디자인 경향에 따라 전자장치의 두께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디자인된 인클로저 조립체를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로 지칭한다.An enclosure assembly for use in a speaker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V, a monitor, a notebook PC, a tablet PC, a smart phone, etc., and is designed to minimize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Lt; RTI ID = 0.0 > 100 < / RTI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일반 스피커" 또는 "일반 스피커 장치"는 진동판의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스피커로서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 상면에 결합하여 진동판 평면의 넓이가 인클로저 조립체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스피커 장치(110)의 높이가 인클로저 조립체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스피커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general speaker " or " general speaker device " refers to a speaker in which the diaphragm has a planar shape close to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so that the width of the diaphragm plane affects the thickness of the enclosure assembly And the height of the speaker device 110 affects the thickness of the enclosure assemb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협폭 스피커" 또는 "협폭 스피커 장치"는 진동판의 평면 형상이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트랙형에 가까운 스피커로서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 저면에 결합하여 스피커 장치(110)의 높이가 인클로저 조립체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진동판 장축의 폭이 인클로저 조립체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스피커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narrow speaker " or " narrow speaker apparatus " refers to a rectangular speaker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or a track-like speaker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Refers to a speaker in which the height of the device 110 does not affect the enclosure assembly thickness and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iaphragm affects the enclosure assembly thickness.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후면에 1개의 일반 스피커가 장착되고 저면에 1개의 트위터(180)가 장착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일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후면에 단일 또는 복수의 일반 스피커만 장착되거나, 고역성능 강화를 위해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에 추가로 단일 또는 복수의 트위터가 장착되거나 중역성능 강화를 위해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저면에 추가적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협폭 스피커가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Although the drawings herein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one general speaker is mounted on the rear 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nd one tweeter 180 is mounted on the bottom face,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nly one or a plurality of general speakers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ngl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or a single or a plurality of And a single or a plurality of narrow speakers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for enhancing the midrange performance.

또한, 단일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가 단일의 전자장치에 장착되거나, 좌측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및 우측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와 같이 2개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들이 단일의 전자장치에 장착되거나, 좌측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우측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및 중앙 저역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들이 단일의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It is also contemplated that a singl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may be mounted to a single electronic device or two slim enclosure assemblies 100 may be mounted to a sing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left slim enclosure assembly and a right slim enclosure assembly, Three or more slim enclosure assemblies, such as an assembly, a right slim enclosure assembly, and a central low slim slim enclosure assembly, may be mounted in a single electronic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클로저 조립체는 제1 종단면의 최대면적이 제2 종단면의 최대면적이 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이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종단면의 최대면적은 스피커 결합부(121)가 형성되는 후면의 면적이 될 수 있고, 제2 종단면의 최대면적은 도 6에 도시된 단면의 면적이 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제1 종단면의 최대면적이 제2 종단면의 최대면적의 약 12배 이다.Hereinafter, a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nclosure assembl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lim enclosure assembly 100 in which the maximum area of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greater than five times the maximum area of the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maximum area of the first longitudinal section may be the area of the rear surface where the speaker coupling section 121 is formed, and the maximum area of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may be the area of the section shown in FIG. 6 1, the maximum area of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about 12 times the maximum area of the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rea.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스피커 결합부(121)와 커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갈이 스피커 결합부(121)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 후면에 설치되고,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 후방을 향해 진동면이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110)가 결합한다. 스피커 결합부(121)에 결합하는 스피커 장치(11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장착구조상 진동판 넓이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협폭 스피커보다는 일반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음향특성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이 장착공간이 극히 제약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의 마이크로스피커를 스피커 장치(11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coupling part 121 and a cover part 140. 2 and 4, the speaker coupling part 121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nd the speaker device 110 is coupled such that the vibration surface is disposed toward the rear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 The speaker device 110 to be coupled to the speaker coupling part 1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coustic characteristics to use a general speaker rather than a narrow speaker because the restriction of the diaphragm width is small due to the mounting structure. However, in an embodiment in which a mounting space is extremely limited, such as a smart phone, a micro speaker having a shape having a major axis and a minor axis may be used as the speaker device 110. [

커버부(140)는 스피커 장치(110)의 진동면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 저면에 형성된 출력포트(150)로 유도하는 공기경로를 형성하도록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전면에 결합하여 스피커 장치(110)의 상면을 커버한다. 커버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본체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cover 14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to form an air path for guid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110 to the output port 1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110. [ The cover 14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s shown in FIG. 2,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of the slim enclos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한편, 커버부(140)를 자성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자화된 커버부(140)가 스피커 장치(110) 자기 갭에서의 자계 방향을 변경시켜 보이스코일에 유도되는 자기력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커버부(140)는 스피커 자석에 의해 자화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동, 플라스틱 등과 같은 비자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ver part 140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he magnetized cover part 140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magnetic gap of the speaker device 110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orce induced in the voice coil do. Therefore, the cover 140 is preferably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plastic or the like so as not to be magnetized by the speaker magnet.

그리고 커버부(140) 자체의 강성이 부족한 경우 커버부(140) 하부에 위치한 진동판의 진동압에 따라 커버부(140)가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처럼 진동하여 음향특성을 왜곡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40)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형상 또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rigidity of the cover 140 is insufficient, the cover 140 vibrates like a passive radiator according to the vibration pressure of the diaphragm located under the cover 140, thereby distort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ortion 140 is formed of a shape or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커버부(140)는 진동판에서 발생된 음향이 후면 방사되지 않고 저면 방사되도록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진동판과 커버부(1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정상파(standing wave)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정상파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SPL이 급격히 떨어지는 딥(dip)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진동판과 커버부(14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파장이 짧은 고역 쪽에 딥이 발생한다.The cover 140 functions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ound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diaphragm is radiated to the bottom without being radiated to the rear.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cover 140, a standing wave wave. Such a standing wave causes the SPL to drop rapidly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cover 140 becomes shorter, dips occur in the higher frequency band where the wavelength is shorter.

이러한 정상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140)는 외기(外氣)와 압력평형을 위한 유출공(160)을 더 포함한다. 유출공(160)은 출력포트(150)와 이격된 위치에 출력포트(150)의 면적의 적어도 70% 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과 같은 장착 예에서 유출공(160)은 커버부(140)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단에서 2/5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넓이 방향의 슬릿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standing wave, the cover unit 140 further includes an outflow hole 160 for pressure balance with the outside ai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hole 160 is formed to have an area of at least 70% of the area of the output port 15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put port 150. In the mounting example shown in FIG. 6, May be formed as a slit in the width direction formed between the point 2/5 of the uppermost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140.

유출공(160)의 형상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유출공(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이 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출공(160)이 음향 출력포트로 기능을 하지 않도록 유출공(160)은 슬릿을 커버하는 메시(mesh) 또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출공(160)은 단일의 홀 또는 복수의 홀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outflow hole 1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outflow hole 160 may be formed as a slit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outlet hole 160 may further include a mesh or nonwoven fabric covering the slit so that the outlet hole 160 does not function as an acoustic output 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utflow hole 160 may be formed as a single hole or a plurality of hole arrays.

유출공(160)의 면적에 있어서, 면적이 넓을수록 딥의 감소에 도움이 되지만, 지나치게 면적이 넓게 형성하면 후면 방사되는 음향이 많아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고음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출공(160)의 면적은 출력포트(150) 면적의 70% 이하일 때 전체적인 고음의 감소가 최소화되면서 딥의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공(160)의 면적은 출력포트(150) 면적의 60%로 형성되었다.As the area of the outflow hole 160 is larger, it is helpful to reduce the dip. However, if the area is excessively large, the sound emitted from the backside increases, so that the problem that the overall high- Occurs. Thus, it has been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when the area of the outlet hole 160 is 70% or less of the area of the output port 150, the reduction of the overall high-frequency sound is minimized and effective for removing the dip.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area of the outflow hole 160 is 60% of the area of the output port 150.

유출공(160)의 위치에 있어서, 출력포트(150)와 멀어질수록 딥 제거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출력포트(150)에 근접한 커버부(140) 가장자리는 인클로저 조립체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유출공(160)이 출력포트(150)에 근접하면 커버부(140) 강성저하로 인한 진동판과 동반진동이 발생하여 음향특성을 왜곡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6의 장착 예에서 유출공(160)은 커버부(140)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단에서 2/5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단에 근접하도록 유출공(160)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outflow hole 160 contributes to the removal of the dope as the distance from the output port 150 increases. Since the edge of the cover portion 140 adjacent to the output port 150 is not fixed to the enclosure assembly, when the outflow hole 160 comes close to the output port 150,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due to the lowering of the rigidity of the cover portion 140 occurs Thereby distort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6,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hole 160 is formed between the uppermost two-fifths of the cover portion 140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cover portion 140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outlet hole 160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most end.

한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제1 본체부(120)와 도 5에 도시된 제2 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본체부(120)는 스피커 장치(110)의 상부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피커 결합부(121) 및 커버부(140)와 결합하는 커버 결합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출력포트(15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20)와 커버부(14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may include the first body portion 120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30 shown in FIG. The first body part 120 includes a speaker coupling part 121 including a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an upper part of the speaker device 110 and a cover coupling part 122 coupling with the cover part 140 . At this time, the output port 15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body part 120 and the cover part 140 as shown in FIGS. 1 and 6.

제2 본체부(130)는 스피커 장치(110)의 하부와 결합하여 공명공간을 정의하는 제2 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본체부(130)는 스피커 장치(110)의 저면이 전면으로 노출되는 노출공(131)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30)에 형성된 노출공(131)은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스피커 장치(110)의 자기회로를 노출함으로써 노출된 자기회로로 인한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second body part 130 includes a second body part 13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peaker device 110 to define a resonance space. The second body part 130 may further include an exposure hole 131 through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110 is exposed. The exposure hole 131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130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nd increase the heat radiation effect due to the exposed magnetic circuit by exposing the magnetic circuit of the speaker device 110 have.

한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20) 및 제2 본체부(130)의 결합에 의해 저주파 대역의 공명을 위한 공기경로 및 외기와 연결되는 저음포트(170)를 포함함으로써 헬름홀츠 공명(Helmholtz resonance)을 통한 저역확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and 6,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is connected to the air path for resonance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outside air by the coupling of the first body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part 130, The low-frequency port 170 is preferably a low-frequency extension through Helmholtz resonance.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는 모니터, TV 등과 같은 영상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사용되거나,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카메라,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의 정보 단말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The sli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3, and the slim enclos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200, or may be used in information terminal devices such as a notebook PC, a tablet PC, a smart phone, a camera, and a car navigation system.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음향특성을 종래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와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스피커 장치(110)와 동일한 형상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이용하였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를 제거하여 종래의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300)의 음향 특성을 측정하고,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160)이 없는 커버부를 사용하여 종래의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400)의 음향특성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출공(160)이 있는 커버부(140)를 사용한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음향특성을 측정하였다.Hereinafter,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slim enclosure assembly. A slim enclosure assembly of the same shape as the same speaker device 110 was used for comparison. 7, the cover 140 is removed to measur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backside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300, and then the outflow hole 160, as shown in FIG. 10, And then finally measuring the acoustic properties of the conventional bottom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400 using the cover portion without the cover portion 140 having the outlet hole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acoustic properties of the bottom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100 were measured.

도 8의 주파수 응답 그래프는 도 7의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300)의 후면 방향에서 측정한 것이다. 이는 스피커 장치(110) 및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300)의 기본적인 음향특성을 나타내는 기준 그래프이다.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300)는 TV의 후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300)의 후면에서 음향을 듣지 못하고 디스플레이부에 가려진 전면에서 듣게 된다. 따라서 도 8의 주파수 응답 그래프는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이상적인 기준 그래프이다.The frequency response graph of FIG. 8 is measur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rear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300 of FIG. This is a reference graph showing the basic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device 110 and the slim enclosure assembly 300. Since the slim enclosure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TV, the actual user can not hear the sound from the rear sid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300, and is heard on the front surface covered with the display portion. Therefore, the frequency response graph of FIG. 8 is an ideal reference graph that does not consider the actual use environment.

도 9의 주파수 응답 그래프는 도 7의 후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300)의 전면 방향에서 측정한 것이다. 도 8과 비교하여 저역대는 유사한 특성을 갖지만 중고역대인 500Hz 이상에서 SPL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직진성이 강한 중고역대 진동은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회절되지 못하여 중고역의 전체적인 특성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The frequency response graph of FIG. 9 is measured in the frontal direction of the rear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300 of FIG. Compared with FIG. 8, the low frequency band has similar characteristics, but it is confirmed that SPL is generally lower than 500 Hz above the used frequency band. This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strong vibration of the used stationary vibration is not diffused from the rear direction to the front direction.

도 11의 주파수 응답 그래프는 도 10의 종래의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400)의 전면 방향에서 측정한 것이다. 도 8과 비교하여 고역대의 SPL 감소는 줄어들었지만, 도 8 및 도 9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그래프의 평탄성이 떨어지고, 2kHz에서 3kHz 부근에서 깊은 딥(dip)이 확인된다. 이는 전술한 스피커 진동막과 커버 간의 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에서의 정현파(standing wave)에 기인한 것이다.The frequency response graph of FIG. 11 is measured in the frontal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400 of FIG. Compared with FIG. 8, the reduction of the SPL of the high frequency band is reduced, but the overall flatness of the graph is lowered compared to FIG. 8 and FIG. 9, and a deep dip is observed at around 2 kHz at 3 kHz. This is due to a standing wave at a specific frequency that occur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udspeaker diaphragm and the cover.

도 12의 주파수 그래프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 방사형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전면 방향에서 측정한 것이다. 도 9와 비교하여 고역대의 SPL 감소는 줄어들었고, 도 11에서 발생한 중고역 딥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 확인된다. 이는 커버부(140)에 형성된 유출공(160)으로 인한 정현파(standing wave) 감소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출공(160)을 포함하는 커버부(140)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100)의 중고역대 음향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frequency graph of FIG. 12 is measured in the frontal direction of the bottom radial slim enclosur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f FIG. Compared with FIG. 9, the reduction of the SPL of the high frequency band is reduce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 and middle dip occurred in FIG. 11 does not occur. This i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standing wave due to the outflow hole 160 formed in the cover part 140. Accordingly, the cover portion 140 including the outlet hol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drasticall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100.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모두 포함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0 :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110 : 스피커 장치
120 : 제1 본체부 121 : 스피커 결합부
122 : 커버 결합부 130 : 제2 본체부
131 : 노출공 140 : 커버부
150 : 출력포트 160 : 유출공
170 : 저음포트 180 : 트위터
200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0: Slim enclosure assembly 110: Speaker device
120: first main body 121: speaker coupling part
122: cover coupling part 130: second main body part
131: Exposure hole 140: Cover part
150: output port 160: outflow hole
170: Bass port 180: Twitter
200: image display device

Claims (12)

제1 종단면의 최대면적이 제2 종단면의 최대면적의 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후방을 향해 진동면이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가 결합되는 스피커 결합부; 및
상기 스피커 장치의 진동면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저면에 형성된 출력포트로 유도하는 공기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출력포트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출력포트의 면적보다 적어도 70% 이하의 면적을 갖는 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Wherein a maximum area of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formed at least five times the maximum area of the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
A speaker coupling uni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speaker unit such that a vibration surface is disposed toward the rear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And
And a cover unit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so as to form an air path to guide sound generated from a vibration surface of the speaker unit to an output po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lim enclosure assembly Respectively,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outlet hole spaced apart from the output port and having an area of at least 70% less than the area of the outpu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커버부의 높이 방향으로 최상단에서 2/5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flow hole is formed between the point 2/5 of the uppermost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넓이 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utlet hole is formed as a slit in the width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슬릿을 커버하는 메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let hole further comprises a mesh covering the slit.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복수의 홀 어레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let hol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 arr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부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스피커 결합부 및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는 커버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스피커 장치의 하부와 결합하여 공명 공간을 정의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m enclosure assembly includes a first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speaker coupling portion including the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peaker device and the cover coupl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cover portion;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peaker device to define a resonance space.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결합에 의해 저주파 대역의 공명을 위한 공기경로 및 외기와 연결되는 저음포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forms an air path for resonance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a bass port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포트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utput port is formed by engagement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제2 본체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저면이 전면으로 노출되는 노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body part further comprises an exposure hole through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peaker device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m enclosure assembly is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제1항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lim enclosure assembly of claim 1. 제1항의 슬림 인클로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A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the slim enclosure assembly of claim 1.
KR1020170064258A 2017-05-24 2017-05-24 Slim Enclosure Assembly KR201801287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58A KR20180128753A (en) 2017-05-24 2017-05-24 Slim Enclosur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58A KR20180128753A (en) 2017-05-24 2017-05-24 Slim Enclosur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53A true KR20180128753A (en) 2018-12-04

Family

ID=6466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58A KR20180128753A (en) 2017-05-24 2017-05-24 Slim Enclosur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87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102B1 (en)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US93135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reproduction
CN109391883B (en) Display device
US7764803B2 (en) Speaker apparatus using display window
KR20220034079A (en) Display apparatus
EP2282553B1 (en) Bass sound amplifying enclosure, woofer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woofer
KR20190034063A (en) Mobile terminal
KR102455490B1 (en) Display apparatus
KR101470984B1 (en) Micro speaker
KR20220032030A (en) Display apparatus
US20120163644A1 (en) Speak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KR20220141263A (en) Display apparatus
JP5987820B2 (en) Speaker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019968B (en) Display device
KR20180131248A (en) Display apparatus
CN103248988A (en) Speaker apparatus with N-divided magnet structure
US9769559B2 (en) Sound transducer acoustic back cavity system
KR101423841B1 (en) Microspeaker with inner resonance chamber
CN212278462U (en) Audio module and terminal
KR20180128753A (en) Slim Enclosure Assembly
US11856362B2 (en) Loudspeaker apparatus, loudspeaker, and structure
KR101045613B1 (en) Micro speaker
CN111385723B (en) Sound generating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device
JP2012249331A (en) Display device
CN114071337A (en) Audio modu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