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120A -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120A
KR20180128120A KR1020170063111A KR20170063111A KR20180128120A KR 20180128120 A KR20180128120 A KR 20180128120A KR 1020170063111 A KR1020170063111 A KR 1020170063111A KR 20170063111 A KR20170063111 A KR 20170063111A KR 20180128120 A KR20180128120 A KR 20180128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ork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경
신지원
이의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7006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8120A/ko
Publication of KR2018012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안전 통합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의 환경 및 안전사항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개선안을 도출하는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경 안전 자가 진단 및 관리를 통한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협력사 환경 안전 평가를 통한 공급망 환경 안전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장 환경 안정 평가를 통한 보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고 신 서비스 발굴 및 미래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ENVIRONMENT AND SAF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환경 안전 통합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의 환경 및 안전사항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개선안을 도출하는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3년 화학물질 관련 사고의 발생률이 전년 대비 9배가 증가하였고, 환경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 64.4%가 중소기업 재직자였다. 이후 환경 안전 규제의 신설 및 개정으로 기업 부담을 증가하였다. 또한, 잇따른 신 환경 규제 도입과 사회적으로 안전 이슈가 부각됨에 따라 우리 중소기업은 기존의 소재 부품뿐만 아니라, 제조사업장에 대한 관리 체계를 증명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즉, 중소 사업장의 환경 제재가 급증하고 있고, 몇 몇 대기업을 중심으로 협력사의 환경 안전 역량을 기존의 권고 중심에서 거래조건으로 반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90331 (2015년 8월 6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중소사업장의 환경 안전 대응 서비스에 대한 자가진단 및 개선유도, 제3자 진단 평가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평가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규제 내 물질 및 설비에 대한 내용을 별도 정리하고 DB화 및 코드화하여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규제 준수 의무에 대한 내용과 매핑하여 연결 로직을 만들어 사업장 현황에 따른 자가진단 프로토콜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환경 안전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업장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매체, 물질 및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사항에 따라 매핑되는 진단 프로토콜에 의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경 안전 자가 진단 및 관리를 통한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협력사 환경 안전 평가를 통한 공급망 환경 안전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장 환경 안정 평가를 통한 보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고 신 서비스 발굴 및 미래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입력부(100), 진단 프로토콜 매핑부(200), 환경 안전 분석부(300) 및 진단 평가부(4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업장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100)는 진단 프로토콜에 상응하여 답변 정보를 입력한다.
진단 프로토콜 매핑부(200)는 입력한 사업장 기본 정보에 의해 매체 정보, 물질 정보 및 설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고, 선정된 매체 정보, 물질 정보 및 설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업장 의무가 연결되는 진단 프로토콜을 출력한다.
환경 안전 분석부(300)는 진단 프로토콜에 상응하여 입력된 사항에 기초하여 환경 및 안전 사항을 분석한다. 여기서, 분석은 진단 프로토콜에 포함된 각 항목별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중요도 분석 및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한다.
진단 평가부(400)는 환경 및 안전 사항을 분석한 결과, 사업장 규제이행 진단 및 환경 안전 관리 역량 진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진단 평가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21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기본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사업자 기본 정보는 설비 정보, 설비 개수 정보, 규모 정보, 단위 정보, 최초 설치일 정보 및 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업장 기본 정보 입력 화면은 입력 정보에 따라 사업장이 보유하거나 사용중인 설비, 물질, 공정에 대한 내용이 규제분석 내용과 매핑되어 국내 관련 환경 안전 규제 내 사업자 의무사항 프로토콜이 자동 필터링 될 수 있고, 각각의 설비, 물질, 공정 및 규제 내 사업자 의무내용은 코드화 되어 프로토콜 매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입력한 사업장 기본 정보에 포함된 매체 정보, 물질 정보 및 설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설 및 물질 법령 규제 진단 프로토콜을 매핑하고, 시설 및 물질 별 환경 안전 진단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진단 프로세스는 환경 및 안전 규제 준수 항목, 이외의 관리 항목뿐만 아니라 사업장과 관련된 관련 고시 및 관련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프로토콜 내용에는 규제 자가진단 툴을 포함할 수 있고, 사업장 기본정보 기입한 내용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국내 환경안전 규제 범위가 필터링되고, 해당 사업장 특성에 따른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적자원 절감이 가능하다.
단계 S23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진단 프로세스 상응하여 답변 사항들을 입력한다.
단계 S24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입력된 답변 사항에 기초하여 환경 및 안전 사항을 분석하고, 진단 및 평가한다. 여기서, 분석은 진단 프로토콜에 포함된 각 항목별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중요도 분석 및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한다.
여기서, 중요도 분석은 예를 들면, AHP 분석 기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단 및 평가 방식은 전체 기업 풀의 최상위, 최하위 점수 대비 특정 기업 점수를 비교하고 표준화한 표준 점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표준 점수를 기준으로 구간별 등급을 배분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시설 관련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한다. 진단 결과 보고서는 사업장 규제이행 진단 보고서 및 환경 안전 관리 역량 진단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업장 규제이행 진단 보고서는 사업장에서 운영되는 설비에 대한 규제 이행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보고서로 사업장 규제 이행 현황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사고 시 법률상 배상책임 또는 과실여부 발생 근거에 대한 소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규제이행 진단 보고서는 기업 일반 정보 및 설비 정보, 분야별 규제 이행 현황, 규제 준수율 등을 확인 가능하다.
환경 안전 관리 역량 진단 보고서는 사업장 환경 안전 관리 역량 및 수준을 보여주는 보고서로 사고 위험도를 고려한 가중치 반영으로 환경 및 안전 분야의 등급을 점수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시설 및 물질 관련 지침, 서식 등의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필요한 법령 대처 방법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기본정보 기입한 내용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국내 환경 안전 규제 범위가 필터링 되고, 해당 사업장 특성에 따른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적자원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에서 운영되는 설비에 대한 규제 이행 평가 결과를 보여줄 수 있고, 사업장 규제 이행 현황 판단 자료로 활용하고, 사고 시 법률상 배상책임 발생 근거에 대한 소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환경 및 안전 관리 역량 및 수준을 보여주되, 사고 위험도를 고려한 가중치 반영으로 환경 및 안전 분야의 등급을 점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관리 시스템의 진단 평가 방법은 다양한 서버 등의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안전 관리 시스템의 진단 평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수단에 설치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입력부(100), 진단 프로토콜 매핑부(200), 환경 안전 분석부(300) 및 진단 평가부(4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업장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100)는 진단 프로토콜에 상응하여 답변 정보를 입력한다.
    진단 프로토콜 매핑부(200)는 입력한 사업장 기본 정보에 의해 매체 정보, 물질 정보 및 설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고, 선정된 매체 정보, 물질 정보 및 설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업장 의무가 연결되는 진단 프로토콜을 출력한다.
    환경 안전 분석부(300)는 진단 프로토콜에 상응하여 입력된 사항에 기초하여 환경 및 안전 사항을 분석한다. 여기서, 분석은 진단 프로토콜에 포함된 각 항목별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중요도 분석 및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한다.
    진단 평가부(400)는 환경 및 안전 사항을 분석한 결과, 사업장 규제이행 진단 및 환경 안전 관리 역량 진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진단 평가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21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기본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사업자 기본 정보는 설비 정보, 설비 개수 정보, 규모 정보, 단위 정보, 최초 설치일 정보 및 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업장 기본 정보 입력 화면은 입력 정보에 따라 사업장이 보유하거나 사용중인 설비, 물질, 공정에 대한 내용이 규제분석 내용과 매핑되어 국내 관련 환경 안전 규제 내 사업자 의무사항 프로토콜이 자동 필터링 될 수 있고, 각각의 설비, 물질, 공정 및 규제 내 사업자 의무내용은 코드화 되어 프로토콜 매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입력한 사업장 기본 정보에 포함된 매체 정보, 물질 정보 및 설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설 및 물질 법령 규제 진단 프로토콜을 매핑하고, 시설 및 물질 별 환경 안전 진단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진단 프로세스는 환경 및 안전 규제 준수 항목, 이외의 관리 항목뿐만 아니라 사업장과 관련된 관련 고시 및 관련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프로토콜 내용에는 규제 자가진단 툴을 포함할 수 있고, 사업장 기본정보 기입한 내용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국내 환경안전 규제 범위가 필터링되고, 해당 사업장 특성에 따른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적자원 절감이 가능하다.
    단계 S23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진단 프로세스 상응하여 답변 사항들을 입력한다.
    단계 S24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입력된 답변 사항에 기초하여 환경 및 안전 사항을 분석하고, 진단 및 평가한다. 여기서, 분석은 진단 프로토콜에 포함된 각 항목별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중요도 분석 및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한다.
    여기서, 중요도 분석은 예를 들면, AHP 분석 기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단 및 평가 방식은 전체 기업 풀의 최상위, 최하위 점수 대비 특정 기업 점수를 비교하고 표준화한 표준 점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표준 점수를 기준으로 구간별 등급을 배분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시설 관련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한다. 진단 결과 보고서는 사업장 규제이행 진단 보고서 및 환경 안전 관리 역량 진단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업장 규제이행 진단 보고서는 사업장에서 운영되는 설비에 대한 규제 이행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보고서로 사업장 규제 이행 현황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사고 시 법률상 배상책임 또는 과실여부 발생 근거에 대한 소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규제이행 진단 보고서는 기업 일반 정보 및 설비 정보, 분야별 규제 이행 현황, 규제 준수율 등을 확인 가능하다.
    환경 안전 관리 역량 진단 보고서는 사업장 환경 안전 관리 역량 및 수준을 보여주는 보고서로 사고 위험도를 고려한 가중치 반영으로 환경 및 안전 분야의 등급을 점수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시설 및 물질 관련 지침, 서식 등의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필요한 법령 대처 방법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기본정보 기입한 내용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국내 환경 안전 규제 범위가 필터링 되고, 해당 사업장 특성에 따른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적자원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에서 운영되는 설비에 대한 규제 이행 평가 결과를 보여줄 수 있고, 사업장 규제 이행 현황 판단 자료로 활용하고, 사고 시 법률상 배상책임 발생 근거에 대한 소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 환경 및 안전 관리 역량 및 수준을 보여주되, 사고 위험도를 고려한 가중치 반영으로 환경 및 안전 분야의 등급을 점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안전 관리 시스템의 진단 평가 방법은 다양한 서버 등의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안전 관리 시스템의 진단 평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수단에 설치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KR1020170063111A 2017-05-22 2017-05-22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KR20180128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11A KR20180128120A (ko) 2017-05-22 2017-05-22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11A KR20180128120A (ko) 2017-05-22 2017-05-22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120A true KR20180128120A (ko) 2018-12-03

Family

ID=6474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11A KR20180128120A (ko) 2017-05-22 2017-05-22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81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9100A (zh) * 2020-11-25 2021-02-26 江苏集萃未来城市应用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和区块链的智慧工地监管系统
CN113570852A (zh) * 2021-06-17 2021-10-29 长安大学 基于安全替代评价指标的高风险路段风险防控手段评估
KR20220070958A (ko) * 2020-11-23 2022-05-31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958A (ko) * 2020-11-23 2022-05-31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6410A (ko) * 2020-11-23 2022-08-23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7187A (ko) * 2020-11-23 2022-08-23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6411A (ko) * 2020-11-23 2022-08-23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7189A (ko) * 2020-11-23 2022-08-23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7188A (ko) * 2020-11-23 2022-08-23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7866A (ko) * 2020-11-23 2022-08-24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KR20220117865A (ko) * 2020-11-23 2022-08-24 한국전력공사 보안 규제 준수 자동화 장치
CN112419100A (zh) * 2020-11-25 2021-02-26 江苏集萃未来城市应用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和区块链的智慧工地监管系统
CN113570852A (zh) * 2021-06-17 2021-10-29 长安大学 基于安全替代评价指标的高风险路段风险防控手段评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030B2 (en) Dynamic routing and load balancing packet distribution with a software factory
US8140367B2 (en) Open marketplace for distributed service arbitrage with integrated risk management
US8527329B2 (en) Configuring design centers, assembly lines and job shops of a global delivery network into “on demand” factories
US201000581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nagement of compliance of a target asset to predetermined requirements
US20100017252A1 (en) Work packet enabled active project schedule maintenance
US84125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n analysis of a business project
Perrenoud et al. Using best-value procurement to measure the impact of initial risk-management capability on qualitative construction performance
Sydow et al. Labor, risk, and uncertainty in global supply networks—exploratory insights
Alberts et al. Risk management framework
Abotaleb et al. Causes, early warning signs, and impacts of out-of-sequence construction: Expert-based survey analysis
Oltean-Dumbrava et al. “Top-down-bottom-up” methodology as a common approach to defining bespoke sets of sustaina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built environment
KR20180128120A (ko) 환경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진단 평가 방법
Charkhakan et al. Risk manageability assessment to improve risk response plan: Case study of construction projects in Iran
Dokuchaev et al. Analysis of Data Risk Management Methods for Personal Data Information Systems
Divya Sankar et al. Risk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Felländer et al. Achieving a data-drive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ethical AI
Seo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cy and performance in the claim management process for construction projects
Naji et al. The effect of change-order management factors on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US9292808B2 (en) Data management for top-down risk based audit approach
Rubino et al. IT governance, Risk Management and Internal Control System: the role of the COBIT framework
Hung Data workers in India: A case for labour standards in the governance of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10600124B2 (en) Hybrid electronic record ordering system
Famadico et al. Comparative Study on Change Orders in Building Projects
Fröhlich Gender perspectives across the global supply chain
Ivanyos et al. ECQA Governance SPICE assessor skills for evaluating integrated risk management scen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