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879A -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 Google Patents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879A
KR20180127879A KR1020170063202A KR20170063202A KR20180127879A KR 20180127879 A KR20180127879 A KR 20180127879A KR 1020170063202 A KR1020170063202 A KR 1020170063202A KR 20170063202 A KR20170063202 A KR 20170063202A KR 20180127879 A KR20180127879 A KR 2018012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layer
layer
present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3433B1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7006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33B1/en
Publication of KR2018012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8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More specifically, grid-like electrically open patterns are formed on a first conductive layer which is a lower conductive film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in the lateral direction on a second conductive layer which is an upper conductive film. When a user touches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on a touch panel of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by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wood or rubber gloves, the correct point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corresponding smart device is touched, and a touch signal is correctly input.

Description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하부의 도전성 필름인 제 1 도전성층상에는 격자형의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된 패턴을 형성하고, 상부의 도전성 필름인 제 2 도전성층상에는 좌우로 다수개의 일자형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턴을 형성하여, 나무 또는 고무장갑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 위에 부착된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터치하는 경우에 해당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 표면의 정확한 지점이 터치되어 터치신호가 정확히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by a nonconductive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A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s a conductive film on the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When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touch points of the touch panel surface of the smart device are touched and the touch signal is input correctly. To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종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특히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Capacitive Overlay) 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보호필름과 관련된 기술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기능에 치중하거나, 터치 감도를 높이는 기술 개발에 주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technology related to a protective film for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articularly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of a capacitive overlay type, is focused on a function of protect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Most of them focused on technology development.

최근에는 장갑을 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로 장갑을 낀 손가락으로 휴대폰 및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정보 입력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필름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였다.In recent years, it has been necessary to develop a protective film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wearing a glove to input information by operat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with gloved fingers while wearing gloves.

휴대용 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이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휴대용 통신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의 커버 (뚜껑) 를 비정전 물체에 의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투명한 보호필름으로 구현한다면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상품성이 증대되어 새로운 시장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ouch screen protec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If the cover (lid) of the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film or shock or contaminant is realized as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by the non-jamming object, Is expected to create new market demand.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고자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보호필름 기술이 특허등록 10-1537659-0000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및 특허출원 10-2013-103345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에 개시되었다. In order to meet such a demand, a laminated protective film technology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capacitive touch input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37659-0000 (the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a non- Protection case) and a patent application 10-2013-103345 (the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invasive capacitive touch input, a mobile device and a protective case using the laminated film).

다만,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발명으로 제품을 구현해 보면, 사용자가 종래의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눌러서 스마트폰상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정확한 부분이 터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가끔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ㄱ' 을 터치하고자 하더라도 'ㄱ' 부분이 터치되지 못하고 옆에 위치한 부분이 터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uch screen on the smartphone by pressing the laminated film for the touch screen, which enables the user to input the touch screen of the conventional non-recurrent capacity type touch, the accurate part of the touch screen Sometimes a problem that can not be touched occurred.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tries to touch 'A', the 'A' portion can not be touched and the side portion is touched.

또한, 제 1 도전성 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로 인하여 서포트가 설치된 부분은 터치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due to the support for shielding the sensing of the first conductive thin film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installed is not properly recognized.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과 유사한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등록 10-1537659-0000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및 특허출원 10-2013-103345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이 있다.A patent document similar to a protective film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ent document 10-1537659-0000 (the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a non- And 10-2013-103345 (the name of the invention: a laminated film for a touch screen capable of non-invasive capacitive touch input, a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and a protective cas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플럭스(FLUX) 를 제 1 도전성층 필름을 패턴화하여 각각의 도전성부가 서로 오픈이 되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도전성부에 전자플럭스를 모아두었다가, 사용자가 비도전성 물체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상단 중 일점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제 2 도전성층 필름이 제 1 도전성층에서 접촉되는 특정한 도전성부 눌러서 터치입력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터치되도록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atterning a first conductive layer film of an electronic flux FLUX emitted from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electromagnetic flux is collected in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and when the user presses one of the upper ends of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nonconductive object,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ilm is pressed to a specific conductive part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which allows a touch input portion to be accurately touched.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는 제품의 생산시에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 등 터치패널을 누르는 부분 (예를 들어 손가락의 닿는 부분의 크기) 을 감안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때문에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를 누를 때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이 인식되는 부분의 크기를 제품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도전성부의 가로 세로 길이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제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에 대한 터치입력시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은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통한 터치입력을 오작동 없이 인식을 할 수 있다.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develop softwar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rt of the touch panel that touches the touch panel (for example, the size of the touching area of the finger), such as the finger size of the user, The size of the portion where the consonant or vowel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recognized can be manufactured by referr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or the like and by referring to the size and the lik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can recognize the touch input through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malfun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로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으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display panel on which information is input by a capacitive touch;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제 1 보강층; 상기 제 1 보강층 위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성층; 상기 제 1 도전성층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전성층; 및A first reinforcing layer; A first conductive layer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overly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2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마주보는 안쪽 테두리는 테두리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And a second reinforcing layer coupled to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a facing inner rim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bonded by a rim bonding layer,

상기 제 1 도전성층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이 형성되고, 각각의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비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도전성부인 경계선을 제외한 부분에는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a grid pattern in which a rectangle or a square is disposed, and a boundary line of each grid pattern forms a non-conductive portion that can not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ductive portions are electrically opened to each other,

상기 제 2 도전성층은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로 연장된 선모양의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부의 테두리영역에는 도전성물질이 구성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상기 테두리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s a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extend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ar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in a rim portion of the conductive portion, Wherein the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dge region,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도전성층의 각각의 도전성부의 세로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And the length between each linear conductive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상기 테두리 접착층에는 2 개의 개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wo openings are vertically or horizontally formed in the edg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의 전면에 설치하고,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을 가압하여 서로 접촉되게 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게 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제 1 도전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에 터치스크린의 입력버튼 또는 어플리케이션 버튼의 면적과 같거나 큰 각각의 오픈되어 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식의 셀을 구성하고, 서로 오픈된 셀의 간격은 1um (마이크로 미터) ~ 100um 로 하여, 전자 플럭스 (flux) 의 민감도를 상승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서로 오픈된 셀을 통과한 전자 플럭스는 민감도가 상승하여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되는 각각의 입력 버튼 또는 어플리케이션 버튼의 영역에 전달됨으로써 터치입력이 정확하게 전달되고, 스마트기기의 정전용량 터치윈도우의 방식에서 비전도성 물질이 접촉되는 경우에 정확하게 전기적 터치신호가 전달되어 터치입력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a capacitive touch screen of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presses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ilm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open square or rectangular shapes having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input button or the application button of the touch screen, Type cell and the gap between the open cells is 1um (micrometer) to 100um,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the electromagnetic flux, and the electro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open cell is the sensitivity Is transmitted to the area of each input button or applic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device When the non-conductive materi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mit an electrical touch signal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ouch inp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에는 좌우로 연장되게 구성된 선모양의 도전성부를 통하여 제 1 도전성층과 접촉되는 부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제 2 도전성층을 폭이 얇은 다수개의 선모양으로 구성하고, 선의 폭은 30um (마이크로 미터)~ 300um로 하여야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정확하게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a portion contacting wi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rough a linear conductive part formed to extend laterally,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thin lines having a small width, The width of the line must be between 30um (micrometer) and 300um, so that the input of the electrical signal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device.

그리고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 사이의 간격은 0.5mm ~ 4mm 로 구성한다. 또한, 제 2 도전성층의 외곽 부분에 접지가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이 되도록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배젤쪽에 큰 면적의 접지를 형성한다.And the spacing between each line-shaped conductive part is 0.5 mm to 4 mm. Also, a large area ground is formed on the bubble side of th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o that the ground is formed to have a large area on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좌우로 연장된 선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도전성부가 외곽 도전성부에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접지 면적은 최대한 넓게 형성하여 접지로써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외곽도전성부의 면적이 증가할 수록 스마트기기에 터치입력을 전달하였을때 터치입력의 정확도 및 입력신호 전달의 신속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formed in a line shape extending left and righ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ive parts as a whole and the ground area may be maximized to maximize the use of the ground. As the area of the outer conductive part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touch input and the speed of transmission of the input signal can be greatly improved when the touch inpu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과 제 1 도전성층 사이의 공기층이 사용자가 제 2 도전성층을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가압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과 제 1 도전성층 사이가 이격되도록 공기가 신속하게 공기층으로 유입이 되도록 테두리 접착부의 상 하 및/또는 좌 우쪽에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시킬수 있다. If the air layer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es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by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the gap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form openings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the upper and lower and /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dge bonding portion so that the air quickly flows into the air layer so as to be spaced apart.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과 제 1 도전성층 사이는 50um(마이크로 미터)~200um(마이크로 미터)의 공기층을 구비하여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제 2 도전성층을 누른 경우에 공기가 빠르게 공기층으로 유입이 되어 제 2 도전성층이 눌려지기 전 상태로 빠르게 복귀가 되고,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충전시 열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공기층 내의 공기가 빠지는 경우에도 개구를 통하여 공기층내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이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ir layer of 50um (micrometer) to 200um (micrometer) to form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can flow.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pressed Even if the air in the air layer is discharged due to the heat generated when charging th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air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air layer through the opening,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inflow is fast.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설치하여 되면 고무장갑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잉요 하여 정확하게 전기적으로 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Whe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isplay unit of a smart device, a remarkable effect that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rubber glove can be used to precisely touch an object have.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으로 인하여 미세한 비전도성 물체 즉, 명함, 볼펜, 젓가락 등으로 터치가 가능해 짐에 따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개선하고 향상시켰다.Since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ouched by a minute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business card, a ballpoint pen, a chopstick, etc.,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and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의 도전성부를 선모양으로 형성하고 외곽부분 즉, 스마트 기기의 터치입력이 되지 않는 외곽부분에눈 접지층을 형성시키고, 접지층의 면적이 클수록 터치입력에 대한 센싱 감도가 향상되도록 한다.The conductive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line shape and the eye grounding layer is formed at the outer part, that is, the outer part where the touch input of the smart device does not become. The larger the area of the grounding layer,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이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부착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절단된 적층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절단된 적층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을 포함하는 각각의 필름 층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제 1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퀴티자판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의 테두리를 서로 부착되는 테두리 접착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테두리접착층의 개구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테두리접착층으로 인하여 터치신호가 입력되기 어려운 부분을 아이들영역으로 제 1 도전성층에 형성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실제 생산공정에서 제작된 제 1 도전성층이 증착된 제 1 보강층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의도하지 않게 도전성물질이 증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 은 도 7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다른 실시예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이 비전도성 물체로 눌렸을때 실제적으로 눌리는 모양을 이상적으로 눌리는 모양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on a display panel of a smart device.
2 is a sectional view of a cut laminated structure of a cut laminated structure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each film lay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constitut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first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quasi-plate portion of a smart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smart phone.
7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which are attached to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frame,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of opening of the border adhesive layer in Fig.
11 is a plan view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rtion where a touch signal is difficult to input due to a border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s an idle region.
1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conductive material is inadvertently deposi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layer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deposited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deposited.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14 is a diagram comparing the actually pressed shape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7 is pressed with a nonconductive object to an ideal pressed shap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적층된 각각의 층들의 두께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두껍게 또는 얇게 표현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laminated layers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thickly or thinly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이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부착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on a display panel of a smart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이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100) 상에서 터치입력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상기 터치로 입력되는 신호가 전달이 되어 스마트기기 (10) 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이 가능하고 또는 스마트기기 (110) 상에서 인터넷서핑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When a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a display portion 118 of a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When touch input is per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non-conductive tip such as a hand or a ballpoint pen, the touch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So that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10 can be operated or operations such as surfing the Internet can be performed on the smart device 110. [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는 정전방식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다.An electrostatic touch panel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표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 후 사용한다.1, a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display portion 118 of a smart device 110 on which a touch panel such as a smart phone is installed Use it after placing it in close contact.

본 발명에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 (110) 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정면커버로 사용이 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rotective case front cover for a mobile phone used for protecting a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와 달리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커버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을 열지 않더라도, 즉 스마트폰 케이스의 커버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낀 상태에서 또는 볼펜 등으로 보호필름 (100) 을 터치하여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터치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smartphone case,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open the protective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nctions as a cover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Even if the protective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the user can touch the protective film 100 with a rubber glove or with a ballpoint pen or the like so that the touch input can be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can do.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절단된 적층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절단된 적층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을 포함하는 각각의 필름 층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of a cut laminated structure of a cut laminated structure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each film lay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constituting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여, 도 1 의 A-B 부분을 절단한 단면으로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위에 구성되는 패턴화된 제 2 도전성층 (2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과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의 마주보는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테두리 접착층 (3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의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착되는 제 1 보강층 (18),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의 위에서 제 2 도전성층 (20) 과 접착되는 제 2 보강층 (28) 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ine AB of FIG. 1, includes a patterned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patterned second conductive layer 20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 first reinforcing layer 18 adhered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und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 second conductive layer 20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nd a second reinforcing layer 28 adhered to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및 제 2 도전성층 (20) 은 투명한 도전성 박막층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ITO (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공지의 제품으로 PET 소재 또는 PP 등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필름 또는 박막의 유리층으로 구성된 보강층 (18, 28) 과 함께 합지되어 판매되고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layer, and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ITO (Indium Tin Oxide) transparent electrodes may be used. In addition, conventionally known products are laminated together with reinforcing layers 18 and 28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such as PET material or PP or a glass layer of a thin film.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은 양면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의 안쪽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폭이 1.5 ~ 1.8 mm 로 되게 구성된 양면테이프가 테두리 접착층 (30) 으로 설치된다.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ouble-sided tape. A double-sided tape having a width of 1.5 to 1.8 mm is provided as the edge adhesive layer 30 over the entire inner edge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에 의해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안쪽 부분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The edge portions of the edge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facing each other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by 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개방된 개구 (3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개구 (34) 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의 공기층 (25) 으로 유입된다.Openings 34 are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ner air layer 25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34.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의 아래부분에 부착된 보강층 (18) 의 밑면에는 점착력을 보유한 점착층 (19) 이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19) 은 스마트기기 (110) 에 직접 부착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으로 점착층 (19) 을 구성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dhesive layer 19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layer 18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1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directly attaching to the smart device 110 and can constitute the adhesive layer 19 with silicon.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의 아래면이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낀 상태의 손가락 또는 볼펜 등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연장되게 선 모양으로 구성되고, ITO 필름으로 구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부 (21) 가 형성된 제 2 도전성층 (20) 를 눌러서,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에칭되지 않아 돌출된 제 1 도전성층 (10) 의 일정 지점의 도전성부 (11) 를 터치하게 되면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의 대응하는 영역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In the state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the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portion 118 of the smart device 11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formed of an ITO film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by press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20 having a linear shap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finger or a ballpoint pen, If the conductive part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not etched and touches the conductive part 11 at a certain point of the protruded first conductive layer 10,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corresponding region of the memory cell array.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제 1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first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도 4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은 제 1 보강층 (18) 위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도전성부의 경계선이 에칭처리되어 패턴화되게 구성된다. 도전성층 (10) 을 에칭하는 방식외에도 인쇄기법에 의해 도전성부 (11) 를 제 1 보강층 (18) 위에 인쇄할 수도 있다.4 to 5,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oundary line of the conductive portion is etched and patterned on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in a lattice pattern. In addition to etching the conductive layer 10, the conductive portion 11 may be printed on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by a printing technique.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와 제 1 보강층 (18) 은 스마트기기 (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다. The patterned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rtions directly contacting the display portion 118 of the smart device 10.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은 격자무늬 모양으로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경계가 에칭 또는 인쇄로서 패턴화되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의 도전성부 (11) 와 각각의 도전성부 (11) 사이는 ITO 투명전극필름 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도록 하는 비도전부 (13) 로서 구성된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atterning the boundary of each conductive portion 11 in a lattice pattern as etching or printing and forming a rectangular or square conductive portion 11 and each conductive portion 11 Is formed as a non-conductive portion 13 in which the ITO transparent electrode film material is removed and each conductive portion 11 is electrically open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비도전부 (13) 의 폭은 최대한 좁게 구성될수록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오작동 없이 동작한다.As the width of the non-conductive par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s narrow as possible, the touch input of the user operates without mal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들 (11) 이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고 격자무늬 패턴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도전성부 (11) 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부 (118) 가 신호를 입력받는데 정확성이 높게 된다.Since the conductive parts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having a lattice pattern, The accuracy is high.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11 arranged at a minute interval from each other in a lattice pattern form an electrically opened pattern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부 (10) 및 제 1 보강층 (18) 이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상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배치된 상태가 되면, 해당 스마트기기 (110) 는 외부의 도전성 필름이 닿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기기 (110) 의 정전용량 터치 판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118) 와 일체화되어 있다고, 스마트기기 (110) 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인식을 한다. When the first conductive part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lac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play par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The software built in the smart device 110 recognizes that it is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118 constituted by the capacitive touch panel of the smart device 110 rather than recognizing that the conductive film of the smart device 110 is touching.

따라서 격자무늬 모양으로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들중 일정 지역의 도전성부 (11) 가 눌려지는 경우에 터치되어 입력되는 정보의 인식이 잘못되는 오작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lectroconductive part 11 of the conductive part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patterned in a lattice pattern is pressed, there is almost no malfunc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ouching is wrongly recognized .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처럼 서로 오픈된 도전성부 (11) 로 패턴화되지 않은 도전성 박막 필름으로 구성되었던 종래의 도전성층에서는 비전도성 물체로 눌려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118) 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부분까지 터치입력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 1 도전성층 (10) 을 도 4 와 같이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도록 패턴화하여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onductive layer formed of the conductive thin film which is not patterned with the conductive portions 11 mutually opened lik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pressed with a nonconductive objec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touch input is applied to a portion that was not intended.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conventional problem by pattern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so that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11 is electrically open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은 알파벳을 입력하는 자판부와 맞닿는 자판영역 (130) 와 입력된 알파벳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영역 (110) 으로 분리된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keyboard region 130 which is in contact with a keyboard portion for inputting an alphabet and a display region 110 in which an input alphabet is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110) 은 비도전부 (13) 가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구성이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자판영역 (130) 은 비도전부 (13) 가 가로방향으로는 일직선으로 구성이 되나 세로방향으로는 일직선으로 구성되지 않게 구성이 된다. 즉 가로방향으로 도전성부 (11) 의 갯수가 다르게 구성이 된다. The display area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non-conductive parts 13 are connected linear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keyboard area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non-conductive part 13, But is structured such that it is not constituted by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number of conductive parts 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different.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의 제 1 도전성부 (10) 의 자판영역 (130) 이 퀴티자판부의 구성과 대응되도록 제작을 하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keyboard region 130 of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0 of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the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도 6 은 종래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퀴티자판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quasi-plate portion of a smart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smart phone.

도 6 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마트기기 (110) 의 퀴티자판부 (132) 는 맨 위쪽이 10개의 단위자판 (133) 으로 구성되고, 두번째는 9개의 단위자판 (133) 3번째는 9개의 단위자판 (133) 으로 구성이 되고, 맨 아래부분은 7개의 단위자판 (133) 으로 구성이 된다.6, the quartz plate portion 132 of the conventional smart device 110 is composed of ten unit keyboards 133 at the top, nine unit keyboards 133 in the second, nine units in the third in the unit And a bottom portion is constituted by seven unit keyboards 133. As shown in FIG.

종래의 스마트기기의 퀴티자판부 (132) 의 단위자판 (133) 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위치에 자판영역 (130) 에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매칭되도록 자판영역 (130) 의 도전성부 (11) 의 패턴모양이 구성이 된다.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rts (not shown) of the keyboard board area 130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rts 11 are matched to the keyboard board area 130 at positions where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unit keyboard 133 of the quartz plate 132 of the conventional smart device are input 11 have a pattern configuration.

종래의 space 단위자판 및 return 단위자판의 경우에는 2 개의 gif 파일로 구성이 되어, 이중 하나의 파일만 터치가 되면 space 또는 return 을 요청하는 신호가 스마트폰에 입력이 되게 된다. Conventional space unit keyboard and return unit keyboard are composed of two gif files. When only one of them is touched, a signal requesting space or return is input to the smartphon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판영역 (130) 에서도 종래의 space 단위자판 및 return 단위자판에 매칭되는 부분에는 도전성부가 2 개로 분리되게 구성을 한다.Therefore, in the keyboard region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ortion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space unit keyboard and the return unit keyboar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에 의하면, 제 1 도전성 층의 자판영역 (130) 의 각각의 도전성부 (11) 셀의 면적을 서로 대응하는 퀴티자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알파벳 버튼 (133) 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을 하여야 터치입력이 오작동 없이 제대로 작동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film which can be touch-inputted by the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each conductive portion (11) of the keyboard region (130)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area of each alphabet button 133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each alphabet button 133 to constitute the touch input to operate properly without malfunction.

예를 들어, 알파벳 y 의 버튼 (133) 과 대응하는 도전성부 (11) 셀의 면적은 y 버튼 (133) 의 gif 파일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된다.For example, the area of the cell of the conductive part 11 corresponding to the button 133 of the alphabet y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if file of the y button 133.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 일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은 제 2 보강층 (28)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의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세로 길이보다 간격이 더 좁은 좌우로 연장된 다수개의 일직선 모양으로 도전성부 (21) 가 패턴화되게 구성된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laterally extending straight lines extending below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with a narrower interval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So that the conductive portion 21 is pattern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은 좌우로 일자의 선으로 연결되고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와 좌우로 연장되는 선 모양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외의 부분에 대해 도전성 ITO 투명전극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비도전성부 (23) 로 구성된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laminating a conductive portion 21 having a line shape and a conductive portion 21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traight line, Conductive portion 23 to which no conductive ITO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선 모양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는 ITO 투명전극필름으로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선 모양의 각각의 도전성부 (21) 의 간격은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에 형성된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세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구성된다.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s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n ITO transparent electrode film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11) formed 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에서 제 1 도전성부 (10) 와 접촉하는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에서 각각의 도전성부 (21) 의 선 (line) 의 두께를 1mm 이하로 형성되게 한다. The thickness of the line of each conductive portion 21 in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21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0 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be 1 mm or less do.

본 발명의 사용자가 비전도성 물체로 제 2 보강층 (28) 을 누르지 않는다면 선의 두께가 극히 얇은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하는 면적이 극히 좁기 때문에 접촉이 신속하게 해제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If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ess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with a nonconductive object then the conductive portion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with a very thin line thickness will contact the conductive portion 11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contact area can be quickly released.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선형태의 도전성부 (21) 의 선의 폭이 넓게 구성된다면, 본 발명의 사용자가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보강층 (28) 의 누름을 중지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이 전기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의 접촉을 신속하게 실시간적으로 해제하지 못하고 미세한 시간차이를 두고 전기적으로 접촉이 해제되는 시간 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If the line width of the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p pressing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by using a non- The time for which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A problem of delay may occu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좌우 외곽에는 외곽 도전성부 (121) 이 형성되어 있고, 모든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는 외곽도전성부 (121) 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다.The outer conductive part 121 is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outer side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he linear conductive parts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ive part 121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상부와 하부에는 비도전성부 (23) 를 포함하도록 패턴화되지 않는 넓은 면적의 상부 및 하부 도전성부 (123, 125) 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제 2 도전성층 (20) 에서 선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가 좁은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충분한 전기적 신호를 제 1 도전성층 (10) 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ITO 도전성물질이 넓게 증착되거나 인쇄된 넓은 면적의 상부 및 하부 도전성부 (123, 125) 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include a large area upper and lower conductive portions 123 and 125 that are not patterned to include the nonconductive portion 23. This is because in order to transmit a sufficient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he ITO conductive material is widely deposited or printed so that a large area And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nductive parts 123 and 125. [

만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선으로만 구성된 도전성부 (21) 로만 구성이 된다면, 제 2 도전성층 (20) 의 ITO 도전성물질의 양이 적기 때문에 제 2 도전성층 (20) 이 눌려서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촉을 한 경우에 제대로된 터치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I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composed only of the conductive parts 21 composed only of wir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pressed down because the amount of the ITO conductive material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roper touch signal can not be transmitted when the conductive layer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ayer 10.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도전성부 (123, 125) 는 ITO 물질의 증착 및 인쇄에 의해 두께가 두껍게 도전성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conductive parts 123 and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with a thick conductive material by deposition and printing of the ITO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층 (10, 20) 은 박막의 ITO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된 것으로, ITO, 증착, 메탈 인쇄, UV성형 등으로 패턴모양을 구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s 10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 thin ITO conductive film and can be patterned by ITO, vapor deposition, metal printing, UV molding, or the like.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전성층 (10, 20) 인 도전성 필름에 대한 패턴화 공정은 도전성 필름 제작 업체에서 구매 또는 내 스크래치성을 가지고 있는 자재 (PET, PC 등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자재) 및 유리패널 등을 구매하여 상기 도전성 필름에 코팅, 인쇄, 도포 (ITO, 증착, 메탈인쇄, 성형) 를 한 후 제 1 도전성부 (11) 및 제 2 도전성부 (21) 와 같은 패턴을 형성한다.The patterning process for the conductive film as the conductive layers 10 and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purchasing or scratch resistance (material having similarity with PET, PC, etc.) and a glass panel (ITO, vapor deposition, metal printing, molding), and patterns such as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1 and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21 are formed on the conductive film by coating, printing, and coating.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층 (10, 20) 에 대한 도전성부 (11, 21) 및 비도전성부 (13, 23) 로 패턴형성은 레이져, 식각, 인쇄, 성형, 사출 등 현재 공지되어 있는 모든 작업방식으로 가능하다.The pattern formation by the conductive portions 11 and 21 and the nonconductive portions 13 and 23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layers 10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ll currently known working methods such as laser etching, .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의 테두리를 서로 부착하는 테두리 접착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테두리접착층의 개구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rame adhesive layer for attaching the rim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o each oth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of opening of the border adhesive layer in Fig.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안쪽 외곽을 따라서 테두리 접착층 (30) 이 설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테두리 접착층 (30) 에 의해 서로 부착되게 구성된다. 9 and 10, the edge bonding layer 30 is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facing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edge bonding layer 30.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볼펜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보강층 (28) 을 눌러서 제 2 도전성층 (20) 의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돌출된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를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시킨다.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28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ballpoint pen to press the protruding linear conductive portions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의 상하부분에 개방된 개구 (34) 를 형성하여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사이의 공기층 (25) 으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도 10 의 도면 번호 32 과 같은 테두리 접착층 (30) 와 근접한 영역까지도 제 2 도전성층 (10) 이 제 1 도전성층 (10) 과 눌리기 쉽게 되고, 공기층 (25) 의 외부로 빠진 공기가 상하 개부 (34) 를 통하여 재 유입되기가 쉽게 되는 구성이다.The openings 34 open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dge adhesive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o that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air layer 25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 1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0 is easily pressed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even in the region close to the edge adhesive layer 30, and the air that has fallen outside the air layer 25 Is easily re-introduced through the vertical part (34).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테두리접착층으로 인하여 터치신호가 입력되기 어려운 부분을 아이들영역으로 제 1 도전성층에 형성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실제 생산공정에서 제작된 제 1 도전성층이 증착된 제 1 보강층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의도하지 않게 도전성물질이 증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rtion where a touch signal is hardly inputted due to a border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s an idle region. 1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conductive material is inadvertently deposi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irst reinforcing layer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deposited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deposited.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의 외곽부분에는 각각의 도전성부 (11) 보다 전도성 영역의 면적이 더 적은 아이들 (idle) 영역 (117) 을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11, an outer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dle region 117 having a smaller conductive area than the conductive regions 11.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영역 (117) 에 제 2 도전성층 (20) 이 터치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신호가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아이들영역 (117) 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충분한 전기적 플럭스가 저장이 되지 못하여 터치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118) 에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Even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touches the idle region 117 formed on the rim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portion 118 of the smart device 110 . This is because the area of each idle region 117 is narrow, so that sufficient electrical flux can not be stored and the touch input signal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8.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영역 (117) 을 구성한 이유는, 도 12 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실제 생산공정에서 제작된 제 1 도전성층 (10) 이 증착된 제 1 보강층 (18) 의 제품을 살펴보면 제 1 도전성층 (10) 외각 테두리를 따라 의도하지 않게 ITO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게 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부 (11) 가 되기 때문에 아이들 영역 (117) 을 구성하여 아이들 영역 (117) 에 이웃하는 제 1 도전성층 (10) 의 내부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도전성부 (10) 의 셀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게 하기 위해서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idle region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roduct of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fabricated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deposited, The ITO conductive material is deposited unintentionall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to form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rtion 11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 constituting the idle region 117 forms the first conductive So that the cells of the conductive portion 10 having the shape of a rectangle or a square inside the layer 10 are each electrically opened.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을 제작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제 1 도전성층 (10) 만을 별도로 제작을 하기는 극히 힘이 들고, 실제적으로는 미세한 두께를 가지는 유리 또는 PET 필름으로 구성된 제 1 보강층 (18) 을 가지고 보호필름의 형상을 재단하고, 그 위에 ITO 물질을 증착시켜서 제 1 도전성층 (10) 이 증착된 제 1 보강층 (18) 을 함께 생산하게 된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manufacture on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separately. Actual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s made of glass or PET film having a minute thickness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wi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deposited thereon is produced by cutting the shape of the protective film with the first reinforcing layer 18 and depositing ITO material thereon.

도전성의 ITO 물질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제 1 도전성층 (10) 외각 테두리의 측면부분에 도전성의 ITO 물질이 의도하지 않게 증착이 되고, 이로 인하여 도 4 의 제 1 도전성층 (10) 의 외곽테두리 부분이 전기적으로 단락이 되게 제작이 된다.A conductive ITO material is unintentionally deposi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the conductive ITO material. As a result,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s electrically short-circui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영역 (117) 을 제작하여 상기 아이들 영역 (117) 과 근접한 제 1 도전성층 (10) 의 내부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도전성부 (10) 의 셀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오픈이 되게 하기 위해서다.Therefore, the idle region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so that the cells of the conductive portion 10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insid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close to the idle region 117 are electrically opened To be.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영역 (117) 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제 1 도전성층 (10) 의 외측 테두리부분과 이웃하고 있는 도전성부 (11) 는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단락이 되어 터치입력시 제대로된 터치입력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을 하기 쉽다.If the idle region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the conductive portion 11 adjacent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0 is electrically short-circuited unintentionally, There is a tendency that a problem of not being transmitted.

도 13 은 도 7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다른 실시예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a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3 을 참조하면,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Referring to FIG. 13, this i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4 는 도 7 에 도시된 제 2 도전성층이 비전도성 물체로 눌렸을때 실제적으로 눌리는 모양을 이상적으로 눌리는 모양과 비교한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comparing the actually pressed shape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hown in FIG. 7 is pressed with a nonconductive object to an ideal pressed shape.

도 14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볼펜 등의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제 2 도전성층 (20) 을 누르게 되면, (b) 와 같이 제 2 도전성층 (20) 의 특정 지점만 움푹들어가게 눌리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a) 와 같이 제 2 도전성층 (20) 이 곡선형으로 넓은 면적이 눌리게 된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using a nonconductive object such as a ballpoint pen, the conductive layer 20 is not depressed only at a specific poin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tually,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has a curved shape and a large area is pressed as shown in (a).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만 구성되도록 제작한 한 경우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위를 눌렸을 경우에 정확하게 터치입력을 스마트기기의 터치패널이 전달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part 2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whe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Can be transmitted by the touch panel.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이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는 비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휴대용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tective film 100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even when the user uses a non-conductive capacitive touch input and operation using a non-conductive tip such as a gloved hand or a ball- So that information can be input or manipulated to a display unit constituted by a touch screen of the touch scree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별도의 악세서리 제품으로 제작되어 스마트폰 등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되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 위에 원천적으로 탑재되게 하여 스마트폰을 제작할 수도 있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eparate accessory product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display unit 118 of the smart device 110 on which a touch panel such as a smart phone is installed, In manufacturing the panel, the smartphone can be manufactured by being mounted on the touch panel of th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외에도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밥솥, TV, 모니터, 사물인터넷 기기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refrigerator, a rice cooker, a TV, a monitor, a stuff Internet device, etc., in which a touch panel is installed in addition to a smart phone.

이외에도 본 발명에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 (110) 의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열고 닫는 커버로 사용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phone case used for protecting a smart device 110 such as a smart phone.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효과가 있고 미세한 물체로도 터치할 수 있도록 강화시킨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용 악세서리로써 이를 휴대용 기기의 터치스크린 전면에 구비하였을때 모바일 기기의 전자파를 효과적으로(30%) 감소시켜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essory for a capacitive touch screen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and enhanced to touch even a minute object, and it is effectively (30%) reduced in electromagnetic waves of a mobile device when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on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device It has effect.

10: 제 1 도전성층 11, 21: 도전성부
13, 23: 비도전성부 18: 제 1 보강층
20: 제 2 도전성층 28: 제 2 보강층
30: 테두리 접착층
100: 보호필름
110: 스마트기기 118: 디스플레이부
10: first conductive layer 11, 21: conductive part
13, 23: non-conductive portion 18: first reinforcing layer
20: second conductive layer 28: second reinforcing layer
30:
100: protective film
110: smart device 118: display unit

Claims (4)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로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으로,
제 1 보강층;
상기 제 1 보강층 위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성층;
상기 제 1 도전성층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전성층; 및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2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마주보는 안쪽 테두리는 테두리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이 형성되고, 각각의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비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도전성부인 경계선을 제외한 부분에는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1. A protective film capable of touch input with a nonconductive object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nonvolatile capacity type touch method to a display panel on which information is inputted by a touch of a capacitive touch type,
A first reinforcing layer;
A first conductive layer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overly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And a second reinforcing layer coupled to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opposing inner rim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bonded by a rim adhesive laye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a grid pattern in which a rectangle or a square is disposed, and a boundary line of each grid pattern forms a non-conductive portion that can not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Wherei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rts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ductive parts are electrically open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층은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로 연장된 선모양의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부의 테두리영역에는 도전성물질이 구성되고, 상기 선모양의 도전성부는 상기 테두리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s a line-shaped conductive portion extend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ar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in a rim portion of the conductive portion, Wherein the conductive part of the conductive fil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im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각각의 선모양의 도전성부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도전성층의 각각의 도전성부의 세로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length between each linear conductive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shorter than a vertical length of each conductiv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접착층에는 2 개의 개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adhesive layer is formed with two openings vertically or horizontally.
KR1020170063202A 2017-05-22 2017-05-22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102393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02A KR102393433B1 (en) 2017-05-22 2017-05-22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02A KR102393433B1 (en) 2017-05-22 2017-05-22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79A true KR20180127879A (en) 2018-11-30
KR102393433B1 KR102393433B1 (en) 2022-05-03

Family

ID=6456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02A KR102393433B1 (en) 2017-05-22 2017-05-22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3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137A (en) * 2008-07-31 2010-02-1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KR20100116549A (en) * 2009-04-22 2010-11-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052680A (en) * 2010-11-16 2012-05-2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otecting oxidation film for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having the same
KR20140093765A (en) * 2012-01-31 2014-07-28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537659B1 (en) 2013-01-29 2015-07-22 오영호 Laminated film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KR20170011954A (en) * 2015-07-24 2017-02-02 이영수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137A (en) * 2008-07-31 2010-02-1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KR20100116549A (en) * 2009-04-22 2010-11-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052680A (en) * 2010-11-16 2012-05-2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otecting oxidation film for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having the same
KR20140093765A (en) * 2012-01-31 2014-07-28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537659B1 (en) 2013-01-29 2015-07-22 오영호 Laminated film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KR20170011954A (en) * 2015-07-24 2017-02-02 이영수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433B1 (en)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903B2 (en) Touch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CN103713742B (en) capacitive touch keyboard
US20120050165A1 (en)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US20090315853A1 (en) Multi-induced touchpad
US20130314347A1 (en) Touch panel and input device using same
CN104679371A (en)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US20150234486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09456A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KR101274945B1 (en)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175235A1 (en) Touch panel
US8674249B2 (en) Capacitive touch pad
KR20170085408A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KR10146214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having mesh patterned electrode including sub-electrode line
KR102070588B1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CN105159493B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touch-screen and mobile terminal
KR102393433B1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101191145B1 (en) Touch film for capacitive type touchscreen, touchscreen comprising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4808855A (en) Touch panel structure
KR101721336B1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20200138936A (en) 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by Non-Conductive Material
KR101720140B1 (en) 2 way sprotective film for touch screen
TWI545483B (en) Touch panel with a func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US20150169098A1 (en) Touch panel, touch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panel
CN104978067A (en)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