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253A -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7253A KR20180127253A KR1020180057641A KR20180057641A KR20180127253A KR 20180127253 A KR20180127253 A KR 20180127253A KR 1020180057641 A KR1020180057641 A KR 1020180057641A KR 20180057641 A KR20180057641 A KR 20180057641A KR 20180127253 A KR20180127253 A KR 201801272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 culture
- safety culture
- factors
- resul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556 factor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136 cultur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6 Bartlett's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13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1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위험시설의 조직원을 대상으로 하되 기설정된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과 관계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통계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의 상관 관계에 따른 인과 지도를 생성하고, 인과 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문화 요인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 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ystem Dynamics Model)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조건을 변화시키는 시나리오를 상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설문 조사의 결과 및 컨설팅 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험시설에 대한 안전문화 진단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험시설은 시설 내의 설비 및 기계 장치와 인간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위험시설에서는 인간의 불안정성 및 불확실성에 의해 수많은 오류 및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시설에 대한 조직의 안전문화 요인과 각 요인 간의 상관 관계 및 구조를 생성하고, 각 요인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안전문화(safety culture) 시뮬레이션 모델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위험시설 종사자에 대한 안전 인식 재고 및 향상을 위해, 평가 방법 또는 평가용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현상을 파악하였다. 이처럼, 기업의 안전문화 진단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평가 방법에 따라 정형화되지 않으며 주관적인 기준에 따른 정성적 분석 결과가 도출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고위험시설 중 하나인 복합발전 플랜트(combined-cycle power plant)는 기존의 석탄화력 발전의 열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복합발전은 가스터빈발전에 사용된 고온의 가스로 증기를 발상시켜 다른 종류의 터빈(예를 들어, 증기 터빈)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가스터빈발전 및 증기터빈발전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발전 플랜트는 다른 발전 플랜트에 비하여 열효율이 높고 건설되는 장소의 제약이 적어, 도심지와 같은 전력이 부족한 인구밀집 지역에 전력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반면에 복합발전 플랜트는 도심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여러 위험 또한 수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합발전 플랜트 등의 고위험시설에서 발생한 사건 및 사고를 분석하고, 조직 및 조직 내의 구성원들이 사건 및 사고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을 통해 위험시설의 조직 및 조직 구성원에 대한 안전문화 진단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위험시설의 조직원을 대상으로 하되 기설정된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과 관계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통계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의 상관 관계에 따른 인과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인과 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문화 요인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 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ystem Dynamics Model)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조건을 변화시키는 시나리오를 상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 및 컨설팅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안전문화 진단 방법은, (a) 위험시설의 조직원을 대상으로 하되 기설정된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과 관계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통계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의 상관 관계에 따른 인과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인과 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문화 요인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 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ystem Dynamics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e) 하나 이상의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조건을 변화시키는 시나리오를 상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 및 컨설팅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합발전 플랜트 등의 고위험시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설문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문화 진단 모델링을 하여 평가 결과를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안전문화 측정과 함께 기업 등의 미래 안전문화 정책에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시설의 조직에 대한 안전문화 의식을 정량화하고, 위험 요소에 대한 안전 향상 방향을 명확하게 정립함에 따라, 조직 내의 구성원의 안전문화 의식 및 관행에 대한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평가 도구로서 체계적인 안전 개선 방법을 제시하며, 평가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평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가 결과에 대한 개선 사항의 추적을 강화할 수 있으며, 관련 조직 구성원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시설에 대한 중장기적으로 안전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 제시할 수 있으며, 조직 및 구성원에 대한 자율적인 안전관리 정착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이슈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 안전지원 대책 도출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영향 관계 분석 모델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 별 상관 관계를 나타낸 인과 지도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 중 중요 요인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관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실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의 결과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영향 관계 분석 모델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 별 상관 관계를 나타낸 인과 지도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 중 중요 요인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관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실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의 결과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칭하는 '위험시설'은 원자력 발전 플랜트, 화력 발전 플랜트 및 복합 발전 플랜트와 같은 발전 플랜트와, 항공기 및 열차와 같은 위험을 수반하는 시설일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문화 진단 장치(100)는 입력모듈(110), 디스플레이모듈(120), 메모리(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입력 모듈(110)은 위험시설의 조직 구성원(예를 들어, 경영자 및 임원 등의 '경영진'과, 직원 등의 '근로자'를 포함함) 및 안전문화 진단 장치 관리자 등의 다양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한다.
이때, 입력 모듈(110)은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입력 모듈(110)은 다양한 입력 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일 경우 디스플레이모듈(120)과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한다.
메모리(130)에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3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50)에 의하여 구동되어, 위험시설의 관리자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안전문화 진단용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통계분석 처리 및 정량화 처리하고,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을 수행하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및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결과 및 컨설팅를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설문 데이터, 복수의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 및 시뮬레이션 결과 별로 매칭된 컨설팅 자료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설문 조사에 필요한 데이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데이터, 및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컨설팅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130)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메모리(130)의 일부 영역에 구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위험시설 내의 조직과 조직 구성원에 대한 위험 요소와 취약점을 도출할 수 있는 안전문화 진단 모델을 생성하고, 위험시설의 조직 구성원(즉, 관리자 및 구성원 모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행하며, 안전문화 진단 모델과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안전문화 진단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안전문화 진단 결과 정보 및 컨설팅 자료를 출력한다.
이러한 프로세서(15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50)가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처리하는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기존의 안전문화 측정의 경우 설문조사를 통한 컨설턴트의 자체 기준으로 결과를 단계별로 도출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설문조사부터 시스템 다이내믹스 시뮬레이팅을 통해 정량화된 결과 및 컨설팅 데이터베이스에서 도출되는 결과까지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ystem Dynamics Model)은, 다층적이고 상호 복합적인 사회적 변수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하여 현실 사회와 매우 유사하게 컴퓨터상에 구현함으로써 현실에서 생각할 수 있는 가설들을 아무런 실제의 손실 없이 시행해 볼 수 있는 기법이다.
이러한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다른 방법론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를 구별하지 않는다. 변수들 간의 상호 영향관계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독립변수로 다루어진 변수들도 종속변수의 영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독립변수들 간의 독립성을 배제하고, 종속변수들의 상호 영향관계를 상정한다.
둘째,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방법론적 위상은 단석적인 인과관계가 아닌 순환적인 인과관계에 기초하고 있으며, 정태적인 분석이 아닌 동태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단선적이고 정태적인 연구방법에 비해 고유한 위상을 갖는다.
셋째,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사건 중심의 기법이 아니라 문제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한 후 처방을 실시한다. 시스템 다이내믹스가 피드백 구조를 찾으려 하는 것도 문제의 구조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병렬적으로 설문 실행 단계(S711),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단계(S731) 및 시나리오 입력 단계(S722)를 수행한다. 즉, 이상의 단계들은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시뮬레이션 단계(S732)를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들로서, 그 순서 및 동작 처리 시간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문 실행 단계(S711)를 포함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설문 조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설문 실행 단계(S711) 이전에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으로 개발된 각종 설문 데이터를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설문 실행 단계(S711)에서는,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설문 데이터를 사용자(즉, 위험시설 조직의 구성원)들이 확인하여 그에 따른 설문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관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실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계정으로 접속하여 설문조사 실시, 평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전에 개발 및 저장된 설문 데이터(예: 설문지)를 경영진용과 근로자용으로 나누어 선별적인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정기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평가일별로 결과를 저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전문화 구성요소로서 ‘의사소통’, ‘직원참여’, ‘교육훈련’, ‘상벌체계’, ‘경영진의 관심’, ‘피드백시스템’을 안전문화 공통요소들로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을 위해서 개발된 설문 데이터는 "안전자원 지원(즉, 인원 및 장비 등), 관리자(예: 팀 및 과의 부장 및 차장 등 포함)의 안전태도, 협력사의 안전참여 및 준수, 안전절차서의 품질 및 활용, 규정 및 절차서 위반행동, 근로자의 안전태도, 근로자의 안전역량, 근로자의 안전동기, 그룹 규범(Group Norm)(예: 팀 단위로 구분 가능), 1차 조사결과에서 활용 불가능한 요인, 조직문화 자문결과 반영, 안전관리 자문결과 반영, 시스템 다이내믹스 자문결과 반영" 등과 같은 다양한 조사 항목의 관점에 따라 개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 조사 실행 단계(S711)에서는 위험시설 조직 구성원의 안전에 대한 인식, 태도를 파악하여 안전문화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은 "안전문화 요인"들을 중심으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표 1>
이때, 각 요인에 대해 관련된 설문을 화면에 나타내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즉, 5점 척도(① 전혀 아니다∼⑤ 매우 그렇다))에서 해당하는 값을 선택하여 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정된 설문 결과는 자동 계산되어 평가 결과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경영진용 설문지에는 "복합화력발전소장, 사업소장의 안전관심", "상사의 안전실천", "교육 훈련", "상벌 규정" 등의 설문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는, 경영진용 설문 데이터 중 "참여행동" 설문에는 4가지 문항이 포함된 것을 나타냈으며, 상세한 설문지의 내용은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표 2>
참고로, 도 9에서는 경영진용 설문지가 선택된 것을 나타냈으나, 사용자는 근로자용 설문지를 선택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근로자용 설문지에는 경영진용 설문지와 동일한 기준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근로자 입장에서의 설문 내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위의 표 2에서는 경영진 입장에서의 "참여행동" 항목의 설문 데이터가 제공된 것을 나타냈다. 이에 대응하여 근로자 입장에서의 "참여행동" 항목의 설문 데이터는 아래 표 3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표 3>
이러한 설문의 문항은, 안전문화 관련 문헌, 논문 등에 대한 연구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의 문항은 영국 보건 안전청 및 미국 원자력 규제기관 등에서 발간한 자료나 DNV 안전문화 진단 체크 리스트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개발될 수 있다. 또한, 설문의 문항은 조직의 안전문화가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건설 근로자의 안전행동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 건설 근로자의 개인 특성 및 안전 행동간의 경로 모델 구축, 및 안전분위기의 선행 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 및 기사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개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설문의 문항은 구성원의 행동 규범의 구성, 사건과 사고, 중요도에 따른 안전 이슈의 관심 보장, 위험이나 사고, 보건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및 조직의 보건과 안전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 결정 등의 기준이 충족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이때, 설문은 해당 위험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해당 위험 시설과 관련된 전문가가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선택한 설문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문은 해당 위험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 및 해당 위험 시설과 관련된 전문가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선택된 설문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조직의 구성원이 직접 안전문화 진단 장치(100)에 접속하여 설문을 진행한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문에 대한 응답은 온라인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프라인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설문 응답은 복수의 사용자가 설문을 작성한 후, 작성된 설문을 조사자가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오프라인 설문 응답은 직접 조사자가 복수의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모듈(110)을 통하여 입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온라인 설문 응답은 통신모듈(미도시)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 설문 문항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 등을 제공하여 응답을 수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150)는 통신모듈(미도시)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설문 조사를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설문 결과 통계 분석을 수행한다(S712).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설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안전문화 진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요인(factor)을 추출한다. 이때, 각 요인 별로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문 문항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 요인에 매칭되는 설문 문항은 하나 이상이 중복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설문지의 질문 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먼저, 요인 별 평균 비교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위의 표 1 에서와 같은 복합발전 플랜트의 안전문화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8가지 요인들에 대해 다음의 표 4와 같은 결과값(즉, 평균값 및 표준 편차값)이 산출된다.
<표 4>
표 4를 참조하면, 8가지 요인들 중 ‘안전참여’의 평균이 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경영층의 안전의지(3.97), 교육훈련(3.8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작업부담 통제’ 요인의 평균은 2.87로 가장 낮게 나타나 직원들이 작업시간과 업무량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 다음, 신뢰도 분석을 수행한다.
신뢰도 분석에는, 둘 이상의 개념이나 예측 변수들의 집합에 대한 신뢰성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Cronbach's α 계수는 Likert scale 형식의 설문, 혹은 그와 비슷한 시험 등의 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Cronbach's α 값이 0.6 이상이면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예를 들어, 위의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발전 플랜트의 안전문화 영향 관계에서는, 다음의 표 5에서와 같은 Cronbach's α 값이 산출된다.
<표 5>
표 5에서와 같이, 경영층의 안전의지(5항목), 안전자원 지원(3항목), 의사소통(3항목), 규정의 품질(6항목), 교육훈련(4항목), 작업부담 통제(5항목), 안전참여(3항목), 준수행동(3항목) 8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 요인들에 대한 설문 항목 수와 그에 따른 신뢰도 분석 결과는, 모든 변수의 Cronbach’s α 계수가 0.6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 변수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수행한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변수들 간의 구조를 조사하고 통계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변수의 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변수와 요인의 관계가 이론상으로 체계화되지 않거나 논리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한다. 즉,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분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사자가 데이터를 분석하기 전까지는 요인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며 요인의 수에 대해서도 알 수 없고, 요인이 어떤 항목으로 묶일지도 예측할 수 없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탐색적 요인분석은 '새로운 구성 개념의 척도 개발'처럼 가설을 세우기에 충분한 증거들이 없을 때 주로 사용된다.
이상의 표 1 내지 표 5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복합발전 플랜트 안전문화 영향관계 모델은, 요인의 복잡성으로 인해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히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별도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 CFA)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복합발전 플랜트 안전문화 설문 문항들이 어떻게 묶이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요인 추출 방법으로서, 여러 변수들의 분산 및 공분산 구조를 소수의 변수들의 선형 결합을 통해 관련성을 설명하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기법을 사용하며, 요인 회전은 베리맥스(varimax)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입력한 자료가 요인 분석을 위해 적절한 자료인가를 검정하기 위해, KMO(Kaiser-Meyer-Olkin) 측도 및 Bartlett의 검정을 처리한다.
이때, KMO 측도값은 각 요인들에 의한 변수들의 분산비율을 나타내며, 그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5 이상이면 적합한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위의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발전 플랜트의 안전문화 영향 관계 모델은, KMO 측정값이 0.869로 나타나 표본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유의확률이 0.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에 적절한 자료의 상관계수행렬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한다.
안전문화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표 6>
표 6에서와 같이, 경영층의 안전의지는, 안전자원 지원(r=.473, p<.01), 의사소통(r=.650, p<.01), 작업부담 통제(r=.360, p<.01), 규정품질(r=.621, p<.01), 준수행동(r=.478, p<.01), 안전참여(r=.159, p<.05), 교육훈련(r=.158, p<.05)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전자원 지원은, 의사소통(r=.416, p<.01), 작업부담 통제(r=.404, p<.01), 규정 품질(r=.477, p<.01), 준수행동(r=.422,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안전참여, 교육훈련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은 작업부담 통제(r=.441, p<.01), 규정품질(r=.546, p<.01), 준수행동(r=.477, p<.01), 안전참여(r=.159, p<.05), 교육훈련(r=.201,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부담 통제는, 규정품질(r=.473, p<.01), 준수행동(r=.497,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안전참여, 교육훈련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정품질은 준수행동(r=.524,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안전참여, 교육훈련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준수행동은 안전참여(r=.155, p<.05)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참여는 교육훈련(r=.155, p<.05)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설문 조사에 기초한 통계 분석의 결과에 따라 각 변수 별 기본값 및 계수값을 산출한다(S713).
이때, 변수는 신뢰도 및 타당성이 확인된 안전문화 요인일 수 있으며, 기본값은 각 변수 별로 설문 조사의 결과에 따라 산출된 평균값 또는 평균값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점수일 수 있다. 또한, 계수값은 앞서 표 1 내지 표 6을 통해 설명한 변수 별 통계 분석의 결과 별로 대응된 계수값을 의미한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단계(S731)에서, 프로세서(150)는 신뢰성 및 타당성이 검증된 요인 간 영향 관계를 분석한 모델 및, 이러한 영향 관계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인과 지도(causal loop)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앞서 표 1에 포함된 8가지 요인들은,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시 초기 설계된 다양한 요인들 중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지 못한 요인들을 제외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영향 관계 분석 모델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 별 상관 관계를 나타낸 인과 지도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문화 요인의 영향 관계 분석 모델은, 각 요인에 대한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ME) 분석을 통해 모델링할 수 있다.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은 실제로 조사되거나 관측될 수 있는 관측 변수를 통하여, 관측 변수에 은닉된 잠재 변수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는 통계 분석 방법이다. 이때, 관측 변수는 사각형으로 도시할 수 있으며, 잠재 변수 및 오차는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도시될 수 있다. 관측 변수는 실제로 관측될 수 있는 변수로서, 예를 들어 설문에 포함된 요인이거나, 위험 시설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잠재 변수는 관측 변수에 은닉된 잠재적인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측 변수 내에 은닉된 조직, 구성원 및 위험 요소에 대한 잠재적인 요인일 수 있다. 오차는 관측 변수로 관측된 값에 대한 구성원의 답변 오차 또는 설문에 포함된 오차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오차는 실제로 관측되는 값이 아니므로 잠재 변수일 수 있다. 그리고 각 변수간의 관계는 화살표를 통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화살표는 변수 간의 상관관계 정도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설문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복합발전 플랜트의 안전문화 요인의 영향 관계와 요인 별 상관 계수, 그리고 주요 변수들을 확정한다.
이러한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은 경로분석(path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잠재성장곡선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ing), 구조회귀모형(structural regression modeling), 조절분석(moderation analysis) 및 매개분석(Mediation analysi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 분석을 통해 요인들 간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7과 같다.
<표 7>
도 2에서 나타낸 안전문화 요인의 영향관계는, 도 3에서와 같은 전체적인 모델의 인과 지도로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이러한 인과 지도에 기반하여 각 주요 변수들에 대한 세부 모델(즉,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생성한다. 프로세서(150)는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에 기초하여 도출된 안전문화 요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에 기반하여, 위험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위험 시설에 대한 조직 및 조직의 구성원들의 안전문화 의식을 정량화하여 안전문화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진단된 안전문화를 통하여, 체계적인 안전 개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은 웹 기반(web base)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화 요인 중 중요 요인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이다.
도 4에서는 각 요인들 간의 전체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인과지도에서 중요 요인 중 하나인 경영자 관심(즉, 경영층 안전의지)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D 모델)을 도시하였다.
경영자 관심에 대한 SD 모델은, 사건 및 사고의 유무, 정도 차이, 시간에 따라 관심의 정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50)는 'p 경영자 관심 증가 사건 사고 계수'를 이용하여 그 영향 정도를 계산하고, 'c switch 사건사고 경영자 관심'과 'c switch 경영자 관심' 변수를 활용하여 모델을 Stock and Flow Diagram(SFD)화 한다.
전체적으로 경영자 관심은 관심증가-관심감소로 계산된다. 이때, 관심증가는 조건문을 이용하여 'c switch 사건사고 경영자 관심'이 0일 때, 'i 사건사고 요인 경영자 관심 증가'로 대치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i 사건사고 요인 경영자 관심증가'와 '사건사고 영향^p경영자관심 증가사건 사고 계수'와의 곱으로 입력된다. 반면, 관심감소는 'IF THEN ELSE(year<dc current time, 경영자관심, IF THEN ELSE(c switch 경영자관심=0, 경영자관심, L 경영자 관심 미래(year/dc 1 year)))'와 같이 구성된다.
도 5에서는 인과지도에서 중요 요인 중 하나인 안전참여 의식에 대한 SD 모델을 도시하였다.
안전참여 의식(즉, 정도) SD 모델은 경영자관심, 교육훈련, 그리고 안전문화강조 요인의 영향을 받아 증가하는 구조이며, 근무만족, 업무부담, 그리고 상벌규정의 영향을 받아 감소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인과 지도에서 중요 요인 중 하나인 시설안전 신뢰에 대한 SD 모델을 도시하였다.
시설안전 신뢰는 경영자 관심과 사건 사고에 영향을 받아 증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신뢰 유지 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신뢰 유지 기간은 위험시설 현장의 유해 위험 인식에 따라 영향을 받는 구조로 설계 되며, 유해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신뢰 유지 기간은 짧아진다.
이상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생성은 다른 중요 요인들에 대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시나리오 입력 단계(S722)의 이전의 시나리오 구상 단계(S721)에서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으로 구상된 복수의 시나리오를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이때, 시나리오란,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를 알기 쉽게 표현하여 이해되도록 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컴퓨터로 연산할 수 있도록, 각 변수들에 대하여 입력값, 출력값, 타 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상관관계를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즉,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기초로 각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의 시간관련 변수인 ‘Time’은 월(Month)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기간은 5년(60개월)으로 하였고, 월 단위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 구상 단계(S721)를 통해 설정된 시나리오는 "경영진의 안전문화에 대한 관심이 현재대비 10% 상승하였을 때, 20% 상승하였을 때, -10% 감소하였을 때, -20% 감소하였을 때, 사건사고 발생 시 경영진의 적극적인 사후복구 참여 vs 그렇지 않을 경우, 경미한 사건사고가 발생하여 3개월간 지속되었을 때, 중대한 사건사고가 발생하여 10개월간 지속되었을 때, 교육훈련을 현재 대비 2배, 4배 증가하였을 때"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상된 시나리오들을 각각 사전에 모델링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입력하여(S722),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S732).
이때, 시뮬레이션 실행 단계(S732)에서는, 앞서 설문 조사를 통해 산출된 각 변수 별 기본값 및 계수값을 입력 받는다(S713).
그런 다음, 시뮬레이션 실행의 결과에 대응하는 컨설팅 자료를 검출한다(S733).
이때,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의 변수 별로 적절한 컨설팅 자료가 매칭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데이터베이스(140)를 참조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별로 설문 조사를 통해 산출된 변수 별 기본값 및 계수값에 대응하는 컨설팅 자료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럼 다음 각 시나리오 별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 및 컨설팅 내용을 제공한다(S734).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의 결과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실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설문 조사의 결과로서 해당 설문조사 결과에 대응하는 점수와, 그에 적절한 컨설팅 데이터가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아래의 표 8에서와 같은 설문 조사의 결과에 대응하는 요인 별 점수를 나타냈다.
<표 8>
또한, 도 10에서는 각 안전문화 요인 별로 점수에 대응하는 컨설팅 내용으로서 코멘트(comment)가 출력된 것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설문 조사 결과로서, 경영자 관심 요인에 대해서는 78.8 점이 산출되었으며, 이에 대응하는 컨설팅 의견으로서 "경영진의 안전 의지가 확고하며 가시적으로 보여지고 있음" 등의 코멘트가 함께 출력된다.
한편, 각각은 시나리오들은 설문조사 실시 시점에서 앞으로 60개월(5년)간의 변화사항을 볼 수 있게 설계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각 시나리오 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해당 요인 대비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받는 변화를 선택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도 11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시나리오 중 시나리오 1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를 나타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나리오 1은 ‘경영자의 안전문화에 대한 관심’을 현재 대비(설문조사 결과) 시나리오에 따라 10%를 상승시켰을 때 향후 5년간의 지표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즉, 표 8에서의 변수 2, 3, 4, 5, 6, 7, 8의 초기값들과 경영자 관심 10% 증가 시의 변수 2, 3, 4, 5, 6, 7, 8 간의 비교를 통한 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그래프를 통해 현재 수준과 쉽게 비교를 할 수 있으며, 다른 요인들을 선택하여 그 변화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 추이에 대응하는 컨설팅 내용으로서 다음의 표 9와 같은 컨설팅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표 9>
또한, 도 12에서는 또 다른 시나리오인 시나리오 2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를 나타냈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전 교육 훈련을 현재 대비 4배로 상승시켰을 경우, 다른 요인들에 주는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이 결과에 의하면, 년 50시간의 교육 훈련 대비 년 200시간의 교육 훈련은 역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한편,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안전문화 요인 별 등급 별 현상에 대한 컨설팅 내용을 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0에서와 같이, 해당 요인에 대한 점수 별로 5 단계의 등급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가장 낮은 등급인 1등급은 "안전문화 결핍단계"이고, 가장 높은 등급인 5 등급은 "상호 협의적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1 등급 안전문화 결핍단계(Lacking Safety Culture)는 안전환경관리가 전무한 상태이고, 2등급 사후반응 단계(Reactive Safety Culture)는 법규와 같은 최소의 요구사항만을 수동적으로 따르고 사고 이후 사후 관리하는 상태이고, 3등급 의존적 단계(Dependent Safety Culture)는 안전환경경영시스템이 도입되고 내재화 되어가는 상태이며, 4등급 독립적 단계(Independent Safety Culture)는 안전환경 활동에 모든 직원들이 자발적/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태이고, 5 등급 상호보완적 단계(Interdependent Safety Culture) 는 모든 구성원들이 서로가 격려하고 계발하여 안전문화를 고도화시켜 나가는 상태를 의미한다.
<표 10>
프로세서(150)는 시나리오 별로 각 문화 요인 별 점수에 대응하는 등급을 산출하여 그에 따른 컨설팅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프로세서(150)는 이상 도 2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설문지 설문 조사, 시스템 다이내믹스(SD) 모델, 그리고 시뮬레이터를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통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험시설 조직의 안전문화 의식을 정량화하여, 구성원의 안전문화 의식 및 관행 개선을 위한 자료 및 위험시설의 리스크(Risk) 요소에 대한 안전 향상 방향을 명확하게 정립할 수 있는 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험시설의 안전평가 도구로서 체계적이며 간편하게 안전 개선 방법 제시가 가능하며, 평가 결과에 대한 체계적 관리로 평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110: 입력모듈
120: 디스플레이모듈
130: 메모리
140: 데이터베이스
150: 프로세서
110: 입력모듈
120: 디스플레이모듈
130: 메모리
140: 데이터베이스
150: 프로세서
Claims (13)
-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에 있어서,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위험시설의 조직원을 대상으로 하되 기설정된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과 관계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통계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의 상관 관계에 따른 인과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인과 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문화 요인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 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ystem Dynamics Model)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조건을 변화시키는 시나리오를 상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 및 컨설팅 데이터를 출력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 중 타당성 및 신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선택하여 제거하고, 남은 요인에 기초하여 상기 인과 지도를 생성하되,
상기 타당성 및 신뢰성은 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및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계수에 기초한 신뢰도 분석에 기초하여 평가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조 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ME) 분석을 통해 상기 안전문화 요인 별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인과 지도를 생성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문화 요인은, 경영층 안전의지, 의사소통수준, 안전자원 지원, 안전문화 강조, 시설안전 신뢰, 근무 만족, 교육 훈련, 안전규정 품질, 작업 부담, 안전 참여 의식, 상벌 규정 및 준수 행동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을 포함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대응하는 안전문화 요인이 경영층 안전의지에 해당하는 경우, 변수로서 경영자 관심 정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하고,
상기 생성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대응하는 안전문화 요인이 안전 참여 의식에 해당하는 경우, 변수로서 경영층 안전의지, 교육 훈련, 안전문화 강조, 근무 만족, 작업 부담 및 상벌 규정 요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며,
상기 생성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대응하는 안전문화 요인이 시설안전 신뢰에 해당하는 경우, 변수로서 경영층 안전의지 요인, 사건 및 사고 발생 여부와, 신뢰 유지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컨설팅 데이터 중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컨설팅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에 대응하는 점수 및 상기 점수에 대응하는 컨설팅 내용,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에 따른 기본값과 상기 시나리오에 따른 변화값들의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 변화값들에 대응하는 변화 추이에 매칭된 컨설팅 내용, 및 안전문화 요인 별로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된 현상에 따른 컨설팅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를 통한 안전문화 진단 방법에 있어서,
(a) 위험시설의 조직원을 대상으로 하되 기설정된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과 관계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통계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들의 상관 관계에 따른 인과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인과 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문화 요인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 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System Dynamics Model)을 생성하는 단계;
(e) 하나 이상의 안전문화 요인에 대한 조건을 변화시키는 시나리오를 상기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 및 컨설팅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안전문화 요인 중 타당성 및 신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선택하여 제거하고, 남은 요인에 기초하여 상기 인과 지도를 생성하되,
상기 타당성 및 신뢰성은 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및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계수에 기초한 신뢰도 분석에 기초하여 평가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구조 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ME) 분석을 통해 상기 안전문화 요인 별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인과 지도를 생성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문화 요인은, 경영층 안전의지, 의사소통수준, 안전자원 지원, 안전문화 강조, 시설안전 신뢰, 근무 만족, 교육 훈련, 안전규정 품질, 작업 부담, 안전 참여 의식, 상벌 규정 및 준수 행동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을 포함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생성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대응하는 안전문화 요인이 경영층 안전의지에 해당하는 경우, 변수로서 경영자 관심 정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하고,
상기 생성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대응하는 안전문화 요인이 안전 참여 의식에 해당하는 경우, 변수로서 경영층 안전의지, 교육 훈련, 안전문화 강조, 근무 만족, 작업 부담 및 상벌 규정 요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며,
상기 생성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 대응하는 안전문화 요인이 시설안전 신뢰에 해당하는 경우, 변수로서 경영층 안전의지 요인, 사건 및 사고 발생 여부와, 신뢰 유지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는,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컨설팅 데이터 중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컨설팅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에 대응하는 점수 및 상기 점수에 대응하는 컨설팅 내용, 상기 설문 조사의 결과에 따른 기본값과 상기 시나리오에 따른 변화값들의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 변화값들에 대응하는 변화 추이에 매칭된 컨설팅 내용, 및 안전문화 요인 별로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된 현상에 따른 컨설팅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뮬레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급은,
결핍 안전문화(Lacking Safety Culture) 등급, 사후반응 안전문화(Reactive Safety Culture) 등급, 의존적 안전문화(Dependent Safety Culture) 등급, 독립적 안전문화(Independent Safety Culture) 등급, 및 상호보완적 안전문화(Interdependent Safety Culture) 등급으로 구분되는 것인,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464 | 2017-05-19 | ||
KR20170062464 | 2017-05-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7253A true KR20180127253A (ko) | 2018-11-28 |
Family
ID=6456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7641A KR20180127253A (ko) | 2017-05-19 | 2018-05-21 |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2725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5429A (ko) * | 2018-12-18 | 2020-06-26 |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수준 평가 방법 |
CN113614654A (zh) * | 2019-03-19 | 2021-11-05 | 西门子股份公司 | 安全相关的诊断消息 |
CN114461925A (zh) * | 2022-02-11 | 2022-05-10 | 广东医科大学 | 特定人群社会支持度分析表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KR102695592B1 (ko) * | 2024-03-08 | 2024-08-16 | 한국준법진흥원 주식회사 |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평가 기반의 스마트 컨설팅 시스템 |
-
2018
- 2018-05-21 KR KR1020180057641A patent/KR2018012725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5429A (ko) * | 2018-12-18 | 2020-06-26 |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수준 평가 방법 |
CN113614654A (zh) * | 2019-03-19 | 2021-11-05 | 西门子股份公司 | 安全相关的诊断消息 |
CN114461925A (zh) * | 2022-02-11 | 2022-05-10 | 广东医科大学 | 特定人群社会支持度分析表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KR102695592B1 (ko) * | 2024-03-08 | 2024-08-16 | 한국준법진흥원 주식회사 |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평가 기반의 스마트 컨설팅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uo et al. | Developing leading indicators to monitor the safety conditions of construction projects | |
Righi et al.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resilience engineering: Research areas and a research agenda proposal | |
Sheikhalishahi et al. | Human factors in maintenance: a review | |
Mohammadi et al. | Modeling the effects of production pressure on safety performance i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ystem dynamics | |
Williams et al. | Toward a framework for evaluating extreme programming | |
Boring et al. | Issues in benchmarking human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 |
KR20180127253A (ko) | 위험시설 안전문화 진단 장치 및 방법 | |
Glebova et al. | Assessment of the efficiency of occupational safety culture management in fuel and energy companies | |
Steward et al. | The role of simulation and modeling in disaster management | |
Ali et al. | The Effect of Activ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on Enhancing Internal Auditing Activities" Field Study | |
Su | The impact of mindful organizing on operational performance: An explorative study | |
Makhtar et al. | Safety culture and its contributing factor in education sector in Malaysia | |
Carhart et al. | The use of system dynamics group model building for analysing event causality within the nuclear industry | |
Trimmer | Decision-making by school principals and education researchers: The dilemma of reverse cod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ts resolution in a study of risk-taking in decision-making for school principals | |
Barroso et al. | How personality traits influences quality of software developed by students | |
Salas et al. | Guideline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 simulation-based training | |
Azarkhil et al. | Dynamic behavior of operating crew in complex systems | |
Lindholm | Economics of Test Automation: Test case selection for automation | |
Kaivosoja | The Role of Usability in Software Validation-Case: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 |
Atagoren et al. | A case study in defect measurement and root cause analysis in a turkish software organization | |
Rafi et al. | Development Of Means Of Engagement (Moe) Concepts For The Use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At The Approval Level | |
Ouma et al. | Influence of risk analysis as a risk management practice on project performance in Kenya commercial banks | |
Rao | Modeling learning behaviour and cognitive bias from web logs | |
Stupina et al. |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ools and process mining methods | |
Becerril et al. | Usability of processes in engineering desig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