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040A -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040A
KR20180127040A KR1020170062341A KR20170062341A KR20180127040A KR 20180127040 A KR20180127040 A KR 20180127040A KR 1020170062341 A KR1020170062341 A KR 1020170062341A KR 20170062341 A KR20170062341 A KR 20170062341A KR 20180127040 A KR20180127040 A KR 2018012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communication
main body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연
최준호
박규태
김가영
연주현
Original Assignee
유성연
연주현
김가영
최준호
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연, 연주현, 김가영, 최준호, 박규태 filed Critical 유성연
Priority to KR102017006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7040A/ko
Publication of KR2018012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05B37/0236
    • H05B37/0245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제1무선통신으로 전달된 상기 센서부의 생체신호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고, 상기 감정에 대응하여 빛을 출력하는 본체, 및 제2무선통신으로 상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SMART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람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조명의 색상을 조절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술의 발전과 함께, 조명시장은 백열등, 형광등과 같은 전통조명 환경에서 LED 조명 환경으로 급속히 재편하고 있다. 특히, LED 조명은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전통적인 조명기구가 미처 제공하지 못했던 기능감성기능, 고효율 및 친환경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LED 조명 응용기술의 일 예로서, 감성 조명분야가 부각되고 있다. 감성 조명이란, 사용환경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신체리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빛의 색상을 제어하여, 조명에 대한 사용자의 기증적인 만족도에서 더욱 나아가 감성적인 측면의 만족도까지 높이는 조명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성 조명은 우울증 치료는 물론 불면증과 수면장애, 학습장애까지 치유범위를 확대하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심리적인 상태나 건강상태, 스트레스 상태를 측정하거나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조명등의 색상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어 자신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조명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동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조명을 제어하기 쉽고 편리한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신호 센서를 통하여, 사람의 감성상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감성상태에 기반하여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제1무선통신으로 전달된 상기 센서부의 생체신호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고, 상기 감정에 대응하여 빛을 출력하는 본체, 및 제2무선통신으로 상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무선통신으로 전달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복수의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상기 인터넷에서 전송된 날씨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 상기 발광부, 상기 제1통신부, 상기 제2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감지하는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가 출력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색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Laser Diode), 네오픽셀(Neopixel) 및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생체신호 값을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충전부, 상기 본체와 상기 제1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3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심전도센서(ECG),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센서(PPG),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센서(EEG) 및 거짓말 탐지기 센서(GS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상기 제2통신부 또는 상기 제3통신부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Wi-Fi), 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시리얼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감성조명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생체신호 센서를 통하여, 사람의 감성상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감성상태에 기반하여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본체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센서부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본체를 제어하는 무선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100)는 본체(110), 센서부(120) 및 무선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10)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100)에서 가장 중앙에 위치하여, 센서부(120)와 제1무선통신(140)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는 무선단말기(130)와 제2무선통신(141)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체(110)는 제3무선통신(141)으로 인터넷과 연결되어, 인터넷의 날씨 및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올 수 있다.
본체(110)는 제1무선통신(140)으로 전달된 센서부(120)의 생체신호 값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고, 감정에 대응하여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본체(110)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2를 통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무선단말기(1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하지 않고, 본체(110)와 제1무선통신(141)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체(110)가 생체신호 감지 값을 원하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20)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무선단말기(130)는 제2무선통신(141)으로 본체(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13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몸에 부착하거나, 입거나 착용하는 형태로 손목 착용형, 팬던트형, 암밴드형 및 부착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선통신(140), 제2무선통신(14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및 시리얼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무선통신(142)은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의 정보를 받아오는 것으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본체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의 본체(210)는 디스플레이부(211), 발광부(212), 사운드 출력부(213), 제어부(214), 제1통신부(215) 및 제2통신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의 본체는 도 1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발광부(2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laser diode), 네오픽셀(Neopixel) 및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는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소자 중 네오픽셀(Neopixel)은 한 개당 최대로 소비되는 전력이 60mA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광소자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회로 변경을 통하여 병렬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는 R, G, B 각각을 8비트로 제어하여 색상의 값을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센서부(도 3의 320)의 생체신호 감지부(도 3의 321)에서 구체적인 예로 ECG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심박 수에 대응되는 발광부(212)의 색상을 나타낸다. 생체신호 감지부(도 3의 321)의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Figure pat00001
조명의 색상마다 존재하는 효능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심박수가 높은 분노, 긴장의 상태일 경우, 파랑색상이 증가하여 심박수를 낮춰줄 수 있다. 또한, 심박수가 낮은 우울, 슬픔의 상태일 경우, 붉은색 성분이 증가하여 심박수를 높여줄 수 있다.
제1통신부(215)는 본체(210)와 센서부(120 및 무선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통신부(215)는 도 1에 도시된 제1무선통신(140) 및 제2무선통신(141)의 근거리 통신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통신부(215)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및 시리얼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215)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심전도센서(ECG), 맥파 센서(PPG), 뇌파 센서(EEG) 및 거짓말 탐지기 센서(GS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몸에 부착하거나, 입거나 착용하는 형태로 손목 착용형, 팬던트형, 암밴드형 및 부착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216)는 본체(210)와 인터넷(15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통신부(216)는 도 1에 도시된 본체(210)와 인터넷(150) 사이의 제3무선통신(142)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통신부(216)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의 정보를 받아오는 것으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디스플레이부(211), 발광부(212), 사운드 출력부(213), 제1통신부(215) 및 제2통신부(21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1)는 제2통신부(216)를 통하여, 인터넷(150)에서 전송된 날씨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1)는 도트매트릭스, LED전광판 및 LCD전광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4)를 구성하는 일 예로 라즈베리파이3, 아두이노 우노 및 아두이노 메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두이노 우노는 제2통신부(216)을 통하여 받아온 날씨 및 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 메가는 무선단말기(130)로부터 받은 명령어대로 발광부(212)를 제어할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3은 초소형 컴퓨터로서, 아두이노 메가 및 아두이노 우노를 제어할 수 있고, 아두이노 메가 및 아두이노 우노의 제어를 통하여 본체(21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214)에서 디스플레이부(211)를 구동시키는 구체적인 예로 라즈베리파이3가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14)에 해당하는 라즈베리파이3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Openweather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날씨를 파싱하고, 60초마다 파싱 정보를 갱신하여 날씨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올 수 있다. 날씨정보를 숫자로 설정하여,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에 표현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날씨파싱에 따른 숫자와 아이콘이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사운드 출력부(213)는 제2통신부(216)로 전달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의 도시된 제2무선통신(141)으로 전달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센서(217)는 사운드 출력부(213)에서 출력된 음악의 크기 값에 대응되어 발광부(212)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사운드 센서(217)에서 출력된 음악의 크기 값에 따른 색상의 비트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센서부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의 센서부(320)는 생체신호 감지부(321), 충전부(322), 제어부(323) 및 제3통신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감지부(321)는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생체신호 값을 본체(도 2의 210)에 전송할 수 있다.
생체신호 감지부(321)는 심전도센서(ECG), 맥파 센서(PPG), 뇌파 센서(EEG) 및 거짓말 탐지기 센서(GS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센서를 구비한 생체신호 감지부(321)의 일부에 신체를 접촉하여, 생체신호 값(예를 들어, 심전도 값, 혈류량 값, 뇌파 값, 심박수 값)을 감지할 수 있다.
충전부(322)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충전기 모듈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기 모듈은 일반 스마트폰 충전기인 5핀 충전기, C형 충전기 및 라이트닝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부(324)는 본체와 제1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통신부(324)는 도 1에 도시된 제1무선통신(140) 및 제2무선통신(141)의 근거리 통신과 동일하다.
제3통신부(324)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및 시리얼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3)은 구체적으로, 아두이노 미니를 사용하여, 생체신호 감지부(321)를 통하여 측정된, 생체신호를 본체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에서 본체를 제어하는 무선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의 무선단말기의 일 예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4a는 무선단말기에서 센서모드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단말기(130)에서 센서모드를 선택할 경우, 무선단말기(130)는 제2무선통신(141)을 통하여 본체(11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를 전달 받은 본체(110)는 센서부(120)가 생체신호 감지부(211)를 작동시키도록 제1무선통신(140)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센서부(120)의 생체신호 감지부(211)는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 값을 본체(110)로 송신하게 되고, 본체(110)는 생체신호 정보를 통하여 발광부(212)가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b는 무선단말기에서 본체의 조명을 온(on)/오프(off) 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단말기(130)에서 오프(off) 부분을 터치하면, 오프(off)가 온(on)으로 바뀌고, 상부에 상단바(460)가 생성될 수 있다. 상단바(460)는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130) 화면은 상단바(460) 우측에 무선통신을 활성화 시키는 버튼(461)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461)은 무선통신을 활성화 시켜, 본체(110)를 포함한 기기들의 목록을 받아올 수 있다. 대표적으로, 본체(110)와 연결되어, 본체(110)의 온/오프와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c는 무선단말기(130)에서 음악모드를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단말기(130)에서 음악모드를 선택할 경우, 무선단말기(130)는 사운드센서(217)를 통해 사운드의 크기 값을 측정하고, 발광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발광부(212)는 표 3의 음악 크기 값에 해당하는 전달된 값에 따라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d는 무선단말기에서 본체의 조명 색상을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단말기(130)에서 조명제어모드를 선택할 경우, 무선단말기(130)의 화면 중앙에 색상표(463)가 나타날 수 있다. 색상표(463)에서 색상을 선택하는 경우, 발광부(212)의 색상이 통제되어 선택된 색상의 빛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체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센서부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의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체(510)는 디스플레이부(511), 사운드 출력부(513) 및 발광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511)를 배치하여, 날씨 및 시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날씨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시간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시간 정보에서 오후(p) 및 오전(a) 중 하나를 나타내는 소문자는 시간의 상단부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510)의 측면에는 사운드 출력부(513)를 배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운드 출력부(513)는 무선단말기(130)에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신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본체(510)의 후면에는 발광부(512)를 배치하여,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32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값에 따른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생체신호 감지부(521) 및 충전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상부에 생체신호 감지부(521)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통하여 생체신호 값을 감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로는 심전도센서(ECG), 맥파 센서(PPG), 뇌파 센서(EEG) 및 거짓말 탐지기 센서(GS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측면에 충전부(522)를 배치하고,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기 모듈을 통하여,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고, 일반 스마트폰 충전기인 5핀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110, 210 : 본체
120, 320 : 센서부
130 : 무선단말기
140 : 제1무선통신
141 : 제2무선통신
142 : 제3무선통신
150 : 인터넷
211, 511 : 디스플레이부
212, 512 : 발광부
213, 513 : 사운드 출력부
214 : 제어부
215 : 제1통신부
216 : 제2통신부
321, 521 : 생체신호 감지부
322, 522 : 충전부
323 : 제어부
324 : 제3통신부
460 : 상단바
461 : 버튼
462 : 색상표

Claims (9)

  1.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제1무선통신으로 전달된 상기 센서부의 생체신호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고, 상기 감정에 대응하여 빛을 출력하는 본체; 및
    제2무선통신으로 상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무선통신으로 전달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복수의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상기 인터넷에서 전송된 날씨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 상기 발광부, 상기 제1통신부, 상기 제2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감지하는 사운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운드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가 출력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색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Laser Diode), 네오픽셀(Neopixel) 및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생체신호 값을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충전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제1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3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심전도센서(ECG),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센서(PPG),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센서(EEG) 및 거짓말 탐지기 센서(GS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8.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상기 제2통신부 또는 상기 제3통신부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Wi-Fi), 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시리얼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을 포함하는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KR1020170062341A 2017-05-19 2017-05-19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KR20180127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41A KR20180127040A (ko) 2017-05-19 2017-05-19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41A KR20180127040A (ko) 2017-05-19 2017-05-19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40A true KR20180127040A (ko) 2018-11-28

Family

ID=6456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341A KR20180127040A (ko) 2017-05-19 2017-05-19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70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136A (ko) *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에스디아이컴퍼니 원단
CN111671930A (zh) * 2020-05-25 2020-09-18 深圳金茂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式可感应开启的智能led消毒灯
KR20200134986A (ko) * 2019-05-24 2020-12-02 윤성민 스마트 조명시스템
KR20210074890A (ko)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조인트리 생체인식정보 및 감성정보 기반 지능형 스마트 에어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136A (ko) *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에스디아이컴퍼니 원단
KR20200134986A (ko) * 2019-05-24 2020-12-02 윤성민 스마트 조명시스템
KR20210074890A (ko)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조인트리 생체인식정보 및 감성정보 기반 지능형 스마트 에어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671930A (zh) * 2020-05-25 2020-09-18 深圳金茂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式可感应开启的智能led消毒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7040A (ko) 스마트 감성 조명장치
US10200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battery life of wireless earpiece
Grosse-Puppendahl et al. Capacitive near-field communication for ubiquitous interaction and perception
CN103234145A (zh) 一种多功能智能led护眼灯
Lin et al. A wireless BCI-controlled integration system in smart living space for patients
Adochiei et al. A wireless low-power pulse oximetry system for patient telemonitoring
CN110114741A (zh) 穿戴式终端及其操作方法
CN105656679B (zh)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智能家居设备
TW201443816A (zh) 依據生理訊號進行裝置控制的系統及其方法
EP2934071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321870A1 (en) Recov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spitalized patient, and storage medium
CN105511750A (zh) 一种切换方法及电子设备
US20180178009A1 (en)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CN20450064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个人健康管理装置
WO2019165972A1 (en) Wearable gesture recognition device and associated operation method and system
CN104739424A (zh) 一种无线可穿戴式血氧监护系统
WO2013183915A1 (ko) 뇌파를 이용한 감성조명 디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4851A (ko)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활용하는 제어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CN204683611U (zh) 一种无线可穿戴式血氧监护仪
Trivedi et al. Brainwave enabled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controlling and speech signal generating system
CN203914959U (zh) 胎心仪
CN104433012A (zh) 一种具有健康参数测量功能的可佩戴胸前的装置
Petrellis et al. The Front End Design of a Health Monitoring System.
KR20160053279A (ko) 뇌파 및 심전도를 이용한 감성 조명 장치
CN208973840U (zh) 一种具有生理检测功能的移动充电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