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725A -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 Google Patents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725A
KR20180125725A KR1020170060376A KR20170060376A KR20180125725A KR 20180125725 A KR20180125725 A KR 20180125725A KR 1020170060376 A KR1020170060376 A KR 1020170060376A KR 20170060376 A KR20170060376 A KR 20170060376A KR 20180125725 A KR20180125725 A KR 2018012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akage
leak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3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1144B1 (en
Inventor
김만호
이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씨테크
이기종
김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씨테크, 이기종, 김만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씨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4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7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senso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fault diagnosis module to diagnose a fault or a defect of a leak sensor and a self-diagnostic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can distinguish and determine a leak state, a normal state, an operation fault state, or a defect state of the leak sensor by outputting a leak detection signal with a contact point when a leak is determined, and outputting a periodic signal with the contact point through a period signal output unit when the leak is not determined.

Description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ensor and a leakage detection sensor module,

본 발명은 누수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또는 결함을 진단할 수 있는 이상 진단 모듈 및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capable of diagnosing an abnormality or a defect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a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액상 물질이 배관이나 용기 외부로 누수 됨으로써 작업자나 주변에 있는 사람 또는 물건들이 위험한 상황에 처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누수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만일의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고, 누수 감지 센서의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In various industrial sites, the liquid material leaks to the outside of the piping or vessel, which can cause danger to the operator or people around him or her. Therefore, we install leakage sensor at industrial site to prepare for safety accident and regularly check leak sensor.

현재는 점검자가 현장에 설치된 누수 감지 센서에 점검 기기를 연결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데, 누수 감지 센서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점검자가 누수 감지 센서에 점검 기기를 연결하기가 어려우며 연결을 시도할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 At present, the inspector is connected to the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iel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f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a narrow space or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the inspector may connect the check device to the leak detection sensor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when trying to connect.

또한, 점검자는 센서가 설치된 장소마다 점검 기기를 들고 다니면서 센서를 점검하고 있으므로 설치된 모든 센서를 점검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고, 센서제품의 단자를 풀어야 하므로 회로의 쇼트(short)로 인한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pector carries the inspection device every time the sensor is installed and checks the sensor, it takes a lot of time to check all installed sensors, and since the terminal of the sensor product must be released, Accidents can also occur.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센서 장치 자체의 접점 방식(Normal Open과 Normal Close)을 이용하여 센서의 결함을 점검할 수 있다. Due to the above problem, the defect of the sensor can be checked using the contact method (Normal Open and Normal Close) of the sensor device itself.

예를 들어, Normal Open 방식(누수가 감지되면 접점이 off에서 on되는 방식)에서는 센서에 결함이 발생했을 때도 접점은 항시 off로 유지하므로,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알 수 없어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누수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다시 말해서, 누수가 감지되지 않아서 off인지 센서에 결함이 발생해서 off인지 판단할 수 없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ormal open method (in which the contact is turned off when a leak is detected), when the sensor is defective, the contact is kept off at all times.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does not detect the leakage.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sensor is faulty because the leak is not detected or off.

그리고 Normal Close 방식(누수가 감지되면 접점이 on에서 off되는 방식)에서는 센서에 결함이 발생하여 접점이 off된 것인지 누수로 인하여 off된 것인지 판단할 수 없다.In case of Normal Close method (when the contact is turned on and off when a leak is detected), it is im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contact is off due to a fault in the sensor or whether the contact has been turned off due to leakage.

따라서 Normal Open 접점은 누수 감지 접점으로 사용하고 Normal Close접점은 센서 결함 감지 접점으로 사용하는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케이블 수 및 접점이 늘어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한다.Therefore, although the normal open contact is used as a leakage detection contact and the normal close contact is used as a sensor fault detection contac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number of cables and contacts are increased.

(KR) 한국등록특허 제10-1470308 호(KR) Korea Patent No. 10-1470308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누수 센서 장치의 동작 이상 유무 및 결선 상태 등의 센서 장치의 결함을 누수 센서 장치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누수 감지 센서 및 자기 진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leakage detection sensor hav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a leakage of a sensor device such as an operation abnormality and a wiring state of the leakage sensor device itself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elf diagnosis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접점으로 누수 센서 장치의 이상 진단이 가능하고, 누수 감지 센서에 결합될 수 있는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iagnosing an abnormality of a water leakage sensor device with a single contact and being able to be coupled to a leakage senso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는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기준과 상기 센싱 신호를 비교하여 누수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누수검출부 및 상기 누수검출부로부터 누수대기신호를 수신하면 주기신호를 접점으로 출력하는 주기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검출부는 누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기신호 출력부로 상기 누수대기신호를 출력하고,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감지신호를 상기 접점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kage det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unit that detects a leakage and compares the sensed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etect the leakage, And outputs a leakage signal to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age signal is not a leakage signal. If the leakage signal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leakage signal is a leakage signal, A leakage detection signal can be output to the contact poi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는 상기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신호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내의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와 다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상기 누수감지신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누수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결함상태로 판단하는 진단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and when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periodic signal or a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And when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equal to the leak detection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in the leakage state. If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equal to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if the contact output signal does not exis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in a defect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는 상기 정상상태, 상기 이상상태, 상기 누수상태 및 상기 결함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빛으로 나타내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displays the state of any one of the steady state, the abnormal state, the leakage state, and the defective state as l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는 상기 정상상태, 상기 이상상태, 상기 누수상태 및 상기 결함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tate of the steady state, the abnormal state, the leakage state, and the defective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는 상기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원격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point can be transmitted to a remot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은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기준과 상기 센싱 신호를 비교하여 누수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누수검출부 및 상기 누수검출부로부터 누수대기신호를 수신하면 주기신호를 접점으로 출력하는 주기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kage det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unit that detects a leakage and compares the sensed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etect the leakage, And a periodic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eriodic signal to the contact when the leakage wait signal is rece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검출부는 누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기신호 출력부로 상기 누수대기신호를 출력하고,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감지신호를 상기 접점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leakag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leakage wait signal to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age is not a leakage, and outputs a leakag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act when it is judged to be a leak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은 누수검출부 및 주기신호 출력부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leakage detection unit and a cyclic signal output unit module and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은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신호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내의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와 다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상기 누수감지신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누수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결함상태로 판단하는 진단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and when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periodic signal or a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And determines that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in a leakage state when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the same as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And a diagnostic processor for determining a defect state when there is no contact output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발광부는 빛이 360°로 퍼질 수 있도록 등(Lamp)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lamp so that light can be spread at 360 degre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수 감지 센서 모듈이 누수 감지여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센서 모듈의 결함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 sensor module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leak water is sensed, and may determine a defect of the sensor module itself and notify the user of the defect.

따라서, 점검자가 점검 기기를 들고 다니면서 모든 누수 감지 센서를 점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동으로 누수 감지 센서를 점검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manually checking the leak detection sensor can be solved, sinc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inspector to carry out the inspection device and to check all leak detection senso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검자가 수동으로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을 진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inspector manually diagnoses an abnormality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접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또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manufacture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or a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one contac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또는 센서)은 커넥터 타입(Connector Type)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의 교체가 용이하다. Since the module (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connector type, it is easy to replace the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또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에 의하면, 작업자가 현장에 직접 가서 누수 감지 센서를 점검하지 않고도, 원격서버가 위치한 관리실에서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or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worker directly going to the site to check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The operation state can be moni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아날로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를 커넥터 타입으로 구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가 원격서버와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leak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s output from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nalog circuit diagram of a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n operation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municate with a remote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singular forms herein may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text.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명세서 전체에서, "센서"라 함은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도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sensor" may refer to a device that also includes a sensor section for receiving reflected infrared radiation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sensed data from the sensor 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에 의하면, 누수검출부(100)로부터 누수대기신호(1) 및 누수감지신호(2)가 출력되고, 누수대기신호(1)가 출력되면 주기신호출력부(200)에서 주기신호를 출력하는데, 주기신호출력부(200)에서 출력된 주기신호와 상기 누수검출부(100)에서 출력된 누수감지신호가 접점(50)으로 합해짐으로써, 접점(50)에서 출력되는 신호(3)는 누수감지신호(2)뿐만 아니라, 누수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센서의 동작 이상 상태 또는 결함 상태에 의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kage waiting signal 1 and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2 are outputted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nd the leakage waiting signal 1 is outputted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outputs a periodic signal. The periodic signal output from the periodical signal output unit 200 and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re added to the contact 50, The signal 3 outputted from the sensor 50 may include not only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2 but also a signal due to an operation abnormal state or a defect state of the sensor even when no leakage is detected.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액체가 관통하는 배관(40)에 위치해 있는 센서부(30)는 적외선 발신부(31)를 통해 적외선을 발신하여 적외선 수신부(32)를 통해 적외선을 수신한다. 1, the sensor unit 30 located in the pipe 40 through which the liquid penetrates transmits infrared rays through the infrared ray transmitter 31 and receives infrared rays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32 do.

배관(40)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으면, 즉 정상상태인 경우에는, 적외선 수신부(32)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양은 적외선 발신부(31)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양과 비슷하나, 배관(40)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적외선 수신부(32)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양은 적외선 발신부(31)에서 발신된 적외선 양보다 적다. The amount of infrared rays received by the infrared ray receiver 32 is similar to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transmitter 31 but the water level in the pipeline 40 is low, The amount of infrared rays received by the infrared ray receiver 32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transmitter 3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검출부(100)는 적외선 수신부(32)에서 수신된 센싱 신호가 3[V] 이하이면,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고, 센싱 신호가 7.0[V] 내지 9.8[V] 인 경우에는 누수가 아닌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leakage signal is less than 3 [V] and the sensing signal is 7.0 [V] to 9.8 [V] whe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by the infrared receiver 32 is less than 3 [V] , It can be judged that it is normal, not the leak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검출부(100)가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접점(50)으로 누수감지신호(2)를 출력하고, 누수검출부(10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주기신호출력부(200)로 누수대기신호(1)를 출력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ignal 2 is output to the contact 50 when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leakage is leaked. When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is normal, 200 to output the leak waiting signal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출력부(200)는 누수검출부(100)로부터 누수대기신호(1)를 수신하면 접점(50)으로 주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periodic signal to the contact point 50 upon receipt of the leakage waiting signal 1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출력부(200)는 펄스발생기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ulse generato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generate a signal having a constant perio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leak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부(10)로부터 입력된 전원은 전압 조절부(20)를 거쳐 센서부(30), 누수검출부(100) 및 주기신호출력부(200)로 공급되며(S1), 적외선 발신부(31)에서 발신된(S2) 적외선은 적외선 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S3).The power input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is supplied to the sensor unit 30,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nd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via the voltage regulating unit 20 (S1), and the infrared The transmitted infrared ray (S2) may be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32 (S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는 수신된 센싱 신호와 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하여(S4), 센싱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작으면 누수감지신호를 접점으로 출력하고(S5), 그렇지 않으면, 주기신호(예컨대, 펄스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6).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received sensing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S4). If the voltage level of the sensing signal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leak detection sensor outputs (S5). Otherwise, a periodic signal (e.g., a pulse signal) may be generated (S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에는 펄스신호 또는 누수감지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S7).A pulse signal or a leakage detection signal may be output to the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7).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s output from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에 의 하면, 누수검출부(100)가 누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정상상태 a), 주기신호출력부(200)에서 출력하는 펄스와 같은 파형의 신호가 접점(50)에서 출력될 수 있다.I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is not leaking (normal state a), the same signal as the pulse output from the period signal output unit 200 A signal of a waveform can be output at the contact point 50. [

그러나, 센서부(30)로부터 누수검출부(100)에 이상 신호가 입력되면(이상상태 b), 주기신호출력부(200)로 입력되는 누수대기신호(1)가 불안정하거나 기준(예컨대, 9[V])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점(50)에서 출력되는 신호(3)는 주기신호출력부(200)에서 출력하는 펄스와 다른 파형의 신호가 접점(5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주기신호출력부(200)에서 출력하는 펄스의 주기(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0.5회/s)와 다른 주기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However, when an abnorma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ensor unit 30 to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bnormal state b), the leakage waiting signal 1 inputted to the period signal output unit 200 is unstable or the reference (for example, 9 [ V]). In this case, the signal (3) output from the contact (50) may be output from the contact (50) with a signal of a waveform different from the pulse output from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For example, a signal having a period different from the period of the pulses output from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0.5 times /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utput.

그리고, 누수검출부(100)가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면(누수상태 c), 누수검출부(100)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 누수감지신호(2)를 접점(50)으로 출력하므로, 접점(50)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예컨대, 1[V])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is a leak (leakage state c),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outputs the leak detection signal 2 having a constant value to the contact 50, (For example, 1 [V]) may be out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1000)의 회로에 결선이 생기는 등 결함이 발생하면(결함상태 d), 누수검출부(100)는 누수대기신호(1) 및 누수감지신호(2)를 출력할 수 없으므로, 접점(50)에서는 0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If a fault occurs in the circuit of the water leakage senso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ect state d),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detects the leakage wait signal 1 and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2 can not be output, so that a signal of 0 can be output at the contact 50. [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누수 감지 센서는 정상상태 또는 누수상태뿐만 아니라, 센서의 이상상태 및 결함상태도 구분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As a result, the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unction of notifying a steady state or a leakage state as well as an abnormal state and a fault state of the senso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아날로그 회로도이다.4 is an analog circuit diagram of a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회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주요한 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표현되었다.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4 has been expressed using the main circuit elements of the leakag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검출부(100)는 센싱 신호 비교부(110)와 누수대기신호 발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ing signal comparison unit 110 and a leak waiting signal generation unit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신호 비교부(110)는 센서부(30)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의 전압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작거나 큰 경우(누수상태), 0이 아닌 값을 가지는 누수감지신호(2)가 접점(50)으로 출력되고, 그 반대의 경우(정상상태)에는 누수감지신호(2)가 0의 값을 가지는 데, 누수대기신호 발생부(120)에서 반전되어 0이 아닌 누수대기신호(1)가 출력될 수 있다.The sensing signal comparator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 leakage value having a non-zero value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0 is smaller or larger than a preset reference The detection signal 2 is output to the contact 50 and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2 has a value of 0 in the reverse case (steady state) A non-leak waiting signal 1 can be outpu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대기신호 발생부(120)는 인버터(Invertor)에 해당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eakage waiting signal generato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n inver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대기신호(1)가 주기신호출력부(200)에 입력되면 펄스가 접점(50)으로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leakage wait sig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to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a pulse may be output to the contact 5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는 도 4에 도시된 아날로그 회로뿐만 아니라, 누수검출부(100) 및 주기신호출력부(200)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 디지털 회로로도 설계될 수 있다.The leakag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igned not only as the analog circuit shown in FIG. 4 but also as a digital circuit in which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nd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are implemented by a microprocessor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수검출부(100) 및 주기신호출력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블록(60)으로 구성됨으로써 모듈화 하여 누수 감지 센서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치된 누수 감지 센서(10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또는 결함을 진단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detection unit 100 and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200 may be configured as a diagnosis block 60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modularized and coupled to a leakage detection sen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agnose an abnormality or defect of the leak sensor by further combining th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eak sensor 1000 already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는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3)를 수신하여, 센서의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프로세서는 수신한 접점출력신호(3)가 기 설정된 주기신호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내의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3)가 기 설정된 주기와 다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접점출력신호(3)가 상기 누수감지신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누수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접점출력신호(3)가 없는 경우에는 결함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The water leakage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agnostic processor for receiving the signal 3 output from the contact and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ensor. The diagnosis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3 is in a normal state when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3 is a predetermined periodic signal or a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3) is equal to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age output signal (3) is in the leakage state, and the contact output signal (3) It can be judged as a defect stat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n operation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프로세서가 접점출력신호(3)를 기초로 정상상태, 이상상태, 누수상태 및 결함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판단하면 각각의 상태에 따라 발광부(400)에서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400)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diagnostic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tate of any one of the normal state, the abnormal state, the leaked state, and the defective state based on the contact output signal 3, It is possible to gener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LED.

한편, 상기 발광부(400)로부터 발생된 빛을 상, 하, 좌, 우 어느 방향에서도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400)는 하나의 등(Lamp)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누수 감지 센서 관측시 사각 지대가 없으므로, 상기 발광부(400)에서 발생되는 빛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400 may have a lamp shape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00 can be observed in any direction from up, down, left, and right. That is, since there is no dead zone at the time of observing the leakage senso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00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상상태, 상기 이상상태, 상기 누수상태 또는 상기 결함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소리로 출력하는 음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unit for outputting sounds of different kinds according to the steady state, the abnormal state, the leakage state, or the defect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에 의하면,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n be easily confi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를 커넥터 타입으로 구현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1000)에 연장된 케이블(2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누수 감지 센서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커넥터(3000) 부분을 케이블(2000)에서 분리하여 누수 감지 센서(10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cable 2000 extended to the leak sensor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nnector type as shown in FIG. 6, when a defect occurs in the leak sensor, And the water leakage sensor 1000 can be easily re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0) 부분은 4개의 핀이 형성된 잭커넥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퓨즈(Fuse)가 내장되어 있어 쇼트(short) 및 과전류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The connector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jack connector having four pins and a fuse is built in the connector 3000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a short or an overcurrent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부분에는 방수캡(4000)을 씌워서 누수로 인한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In addition, a waterproof cap 4000 is placed on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water leakag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가 원격서버와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f-diagnosing leak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municate with a remot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상태는 케이블(2000)에 연결되어 원격서버(5000)로 전송되거나, 무선 또는 이더넷(Ethernet) 통신에 의하여 원격서버(50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operation state of the leak sensor sen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able 2000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server 5000 or transmitted to the remote server 5000 by wireless or Ethernet communica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1000)는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격서버(5000)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000 capable of self-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00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remote server 50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현장에 직접 가서 누수 감지 센서를 점검하지 않고도, 원격서버(5000)가 위치한 관리실에서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leak sensor in the management room where the remote server 5000 is located, without directly going to the site and checking the leak sensor.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not from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누수대기신호 2: 누수감지신호 3: 접점출력신호
10 : 전원부 20 : 전압 조절부 30 : 센서부
31: 적외선 발신부 32: 적외선 수신부
40 : 배관
50 : 접점
60 : 진단블록
100 : 누수검출부 110 : 센싱 신호 비교부 120 : 누수대기신호 발생부
200 : 주기신호출력부
300 : 통신부
400 : 발광부
1000 : 누수 감지 센서
2000 : 케이블
3000 : 커넥터
4000 : 방수캡
5000 : 원격서버
1: Leak waiting signal 2: Leak detection signal 3: Contact output signal
10: power supply unit 20: voltage regulating unit 30: sensor unit
31: Infrared ray emitting part 32: Infrared ray receiving part
40: Piping
50: Contact point
60: Diagnostic block
100: leakage detector 110: sensing signal comparator 120: leakage waiting signal generator
200: Periodic signal output section
300:
400:
1000: Leak detection sensor
2000: Cable
3000: Connector
4000: Waterproof cap
5000: Remote server

Claims (8)

누수 감지 센서에 있어서,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기준과 상기 센싱 신호를 비교하여 누수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누수검출부; 및
상기 누수검출부로부터 누수대기신호를 수신하면 주기신호를 접점으로 출력하는 주기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검출부는 누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기신호출력부로 상기 누수대기신호를 출력하고,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감지신호를 상기 접점으로 출력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I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 leak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unit for detecting leakage and comparing the sensed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etect leakage; And
And a periodic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eriodic signal as a contact upon receipt of a leakage waiting signal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Wherein the leakage detection unit outputs the leakage wait signal to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when the leakag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leakage is not a leak, and outputs a leakag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a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age is a leak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신호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내의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와 다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상기 누수감지신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누수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결함상태로 판단하는 진단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If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periodic signal or a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If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is different from a predetermined period or is out of a preset period,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state,
When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equal to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And a diagnosis processor for determining a defect state when the contact output signal does not ex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상태, 상기 이상상태, 상기 누수상태 및 상기 결함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빛으로 나타내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in a state of any one of the normal state, the abnormal state, the leakage state, and the defect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상태, 상기 이상상태, 상기 누수상태 및 상기 결함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향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coustic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tate of any one of the steady state, the abnormal state, the leakage state, and the fault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원격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point to a remote server.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기준과 상기 센싱 신호를 비교하여 누수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누수검출부 및
상기 누수검출부로부터 누수대기신호를 수신하면 주기신호를 접점으로 출력하는 주기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검출부는 누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주기신호출력부로 상기 누수대기신호를 출력하고, 누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감지신호를 상기 접점으로 출력하며,
상기 누수검출부 및 상기 주기신호출력부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A leak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leak and comparing the sensed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etect the leak;
And a periodic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eriodic signal as a contact upon receipt of a leakage waiting signal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The leak detection unit outputs the leak wait signal to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 is not a leak, and outputs a leak detection signal to the conta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 is a leak,
And the leakage detection unit and the periodic signal output unit are coupled to the sensor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신호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내의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주기와 다르거나 기 설정된 주기범위 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상기 누수감지신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누수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접점출력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결함상태로 판단하는 진단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If the received contact out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periodic signal or a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If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period or is out of the preset perio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abnormal.
When the contact output signal is equal to the leakage detection signal,
And if the contact output signal does not exist, a faulty state is determin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빛이 360°로 퍼질 수 있도록 등(Lamp)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formed in a lamp shape so that light can be spread through 360 degrees.















KR1020170060376A 2017-05-16 2017-05-16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KR101981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76A KR101981144B1 (en) 2017-05-16 2017-05-16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76A KR101981144B1 (en) 2017-05-16 2017-05-16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725A true KR20180125725A (en) 2018-11-26
KR101981144B1 KR101981144B1 (en) 2019-05-22

Family

ID=6460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376A KR101981144B1 (en) 2017-05-16 2017-05-16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4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80B1 (en) * 2005-12-13 2007-06-21 이계영 Water leakage and cut-off apparatus
JP2009129309A (en) * 2007-11-27 2009-06-11 Yamatake Corp Contact output device for use with emergency report system
KR101293190B1 (en) * 2011-09-1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System and method monitoring a water leak
KR101470308B1 (en) 2013-10-29 2014-12-08 (주)유민에쓰티 Leak sensing apparatus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80B1 (en) * 2005-12-13 2007-06-21 이계영 Water leakage and cut-off apparatus
JP2009129309A (en) * 2007-11-27 2009-06-11 Yamatake Corp Contact output device for use with emergency report system
KR101293190B1 (en) * 2011-09-1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System and method monitoring a water leak
KR101470308B1 (en) 2013-10-29 2014-12-08 (주)유민에쓰티 Leak sensing apparatus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44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8793C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line resistance of control lines in alarm and management systems
US73822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power condition at a notification appliance
US8847773B2 (en) Combination CO/smoke detector with reverse compatible initiating circuit
JP6363356B2 (en)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 method, sensitivity test apparatus, and smoke detector
US6339373B1 (en) Sensor device providing indication of device health
US201302417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mproper wiring or configuration in a monitoring system
KR101981144B1 (en) The self-diagnostic leak sensor and the fault diagnosis module for leak sensor
JP4510071B2 (en) Seismic system
KR101264591B1 (en) Fire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1924854B1 (en) A multi-functional fire alarm receiver
US20070157705A1 (en) Leak detection system with addressable sensors
CA2512498C (en) Hazard detector
KR100191643B1 (en) Control method and its apparatus of communication hole
KR1010456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truder
KR100355656B1 (en) Electric leakage detector and its displaying device possible for fabric analysis
KR200307562Y1 (en) Tester for gas leak alarm card of power plant
KR101644157B1 (en) Gas and flame detector
JP2015022417A (en) Circuit part, detector and war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045479B1 (en) Measuring system with multi-sensor
JP2004126826A (en) Fire alarm facility
US11676477B2 (en) Fire alarm system
KR200450493Y1 (en) Digital signal logic interface
JP6692251B2 (en) Criticality warning device and criticality warning method
KR2017011046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rona discharge using ozone measurement
JPH11281514A (en) Gas leak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