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249A - Battery assembly - Google Patents

Batter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249A
KR20180125249A KR1020170059870A KR20170059870A KR20180125249A KR 20180125249 A KR20180125249 A KR 20180125249A KR 1020170059870 A KR1020170059870 A KR 1020170059870A KR 20170059870 A KR20170059870 A KR 20170059870A KR 20180125249 A KR20180125249 A KR 20180125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ortion
lower case
longitudinal
c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8114B1 (en
Inventor
김현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1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Abstract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ase includ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and one or more battery cells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The lower case includes one or more cross reinforcing parts exten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a vehicle and one or more longitudinal reinforcing part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height of the battery assembly and improve fuel efficiency.

Description

배터리 조립체{BATTERY ASSEMBLY}Battery assembly {BATTERY ASSEMBLY}

본 발명은 배터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조립체의 전체 높이를 축소함으로써 차량의 실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실내 상품성을 개선하고, 차량의 높이(전고)를 낮출 수 있으며, 연비 개선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assembly which can reduce an overall height of a battery assembly to sufficiently secure an indoor space of a vehicle, thereby improving indoor merchandise, lowering the height of a vehicle (height) To a battery assembly that can be implemented.

최근에 들어서는 환경 및 석유자원 고갈에 대한 위기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연구 개발이 부각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BEV(Battery Electric Vehicle),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Recently, as the awareness of crisis about depletion of environment and petroleum resources has incre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 electric vehicl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obile, has been highlighted. Electric vehicles include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BEV (Battery Electric Vehicle) and 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는 차체에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mount)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는 대략 250~370ℓ의 부피 및 대략 500kg의 중량을 가진다. 이러한 고전압 배터리의 장착을 위해서는 차체에 적절한 장착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부피와 중량이 상당히 큰 배터리를 차체에 장착하는 작업성의 확보 또한 중요한 문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당 업계에서는 배터리의 장착를 위한 차체 설계의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Electric vehicles are mounted on the body of a high voltage battery, which has a volume of approximately 250 to 370 liters and a weight of approximately 500 kilograms. In order to mount such a high-voltage battery, it is important to secure a proper mounting space in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securing the workability of mounting a battery having a considerably large volume and a heavy weight on the vehicle body is also an important problem, and the industry is focusing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vehicle design for mounting the battery.

한편, 고전압 배터리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관련된 전장품과, 배터리 셀 및 전장품이 장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 조립체는 차체의 플로어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는 플로어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gh voltage battery assembly may include one or more battery cells, an electrical component associated with one or more battery cells, and a battery case on which the battery cells and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The high voltage battery assembly is mounted on the floor of the vehicle body. For example, the battery may be mount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floor panel.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플로어(2)의 하부에 배터리 조립체(4)가 설치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 battery assembly 4 is installed under the floor 2 of the vehicle 1.

배터리 조립체(4)는 어퍼 케이스(5, upper case)와, 어퍼 케이스(5)의 하부에 체결구(8)를 통해 결합되는 로워 케이스(6, lower case)와, 어퍼 케이스(5) 및 로워 케이스(6)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7) 및 전장품(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battery assembly 4 includes an upper case 5 and a lower case 6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5 through a fastening hole 8 and an upper case 5,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7 and an electrical componen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case 6 and the battery case.

어퍼 케이스(5)는 차량(1)의 플로어(4)의 하부에 배치되고, 로워 케이스(6)의 하부에는 언더 커버(3)가 배치되며, 언더 커버(3)의 저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차량의 저면을 평탄하게 한다. The upper case 5 is disposed below the floor 4 of the vehicle 1 and the lower case 3 is disposed below the lower case 6. The bottom surface of the under cover 3 is formed flat Flatten the bottom of the vehicle.

로워 케이스(6)에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인너멤버(6a) 및 아웃터 멤버(6b)가 결합된다. An inner member 6a and an outer member 6b, which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re coupled to the lower case 6.

인너멤버(6a)는 로워 케이스(6)의 상면에 결합되고, 아웃터 멤버(6b)는 로워 케이스(6)의 저면에 결합된다. 아웃터 멤버(6b)는 로워 케이스(6)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하부 멤버라 지칭되기도 한다. The inner member 6a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6 and the outer member 6b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6. [ The outer member 6b is disposed below the lower case 6 and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member.

아웃터 멤버(6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사이드멤버(9)에 체결구(9a)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조립체(4)가 차량의 플로어(2)의 하부에 장착된다. The outer member 6b is coupled to the side member 9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astening hole 9a so that the battery assembly 4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or 2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지지구조는, 배터리 조립체(4)가 차량(1)의 플로어(2)의 하부에 장착됨에 따라 플로어(3)의 높이가 높아져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와 루프 사이의 간격(h1)이 줄어 들고, 이로 인해 좌석에 착선한 탑승자가 쪼그려 앉게 되어 탑승자가 매우 불편할 수 있으므로 그 실내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 However, the battery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floor 3 increases as the battery assembly 4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or 2 of the vehicle 1, (h1) of the seat is reduced, which may cause the occupant who sits on the seat to squat, and the occupant may be very uncomfortable, so that the indoor merchandise may be deteriorated.

그리고, 배터리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실내 상품성이 더욱 악화될 수 밖에 없으며, 탑승자의 좌석 높이가 높아져 차량의 높이(전고)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공력성능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전체 차량의 중량이 증가하여 연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었다. Further, as the height of the battery increases, the indoor merchandise becomes worse and the seat height of the passenger increases, so that the height (height) of the vehicle can rise, which not only deteriorates the aerodynamic performance, but also increases the weight of the entire vehicle.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또한, 배터리 조립체(4)의 아웃터 멤버(6b)들이 차체 측에 결합되지만, 배터리 자체의 중량이 크므로 배터리의 지지강성 및 차량의 전체 강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outer members 6b of the battery assembly 4 ar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since the weight of the battery itself is large, the supporting rigidity of the battery and the overall rigidity of the vehicle may be deteriorated.

또한, 차량의 저면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배터리 조립체(4)의 로워 케이스(6)의 저면에 언더커버(3)가 배치되고, 이에 어퍼 케이스(2)와 언더커버(3) 사이의 거리(h3)가 배터리 셀(7)이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7a)의 높이(h2) 보다 길어지고, 이로 인해 배터리 조립체(4)의 하부가 차량(1)의 플로어(2)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의 실내 상품성 저하 내지 차량의 전고가 높아질 수 있었다. An under cover 3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6 of the battery assembly 4 so as to flatte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a distance h3 between the upper case 2 and the under cover 3 is set, The height h2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7a in which the battery cell 7 is accommodated is lon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pace 7a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assembly 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loor 2 of the vehicle 1 So that the indoor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or the height of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터리 조립체의 전체 높이를 축소함으로써 차량의 실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실내 상품성을 개선하고, 차량의 높이(전고)를 낮출 수 있으며, 연비 개선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assembly which can reduce the overall height of a battery assembly to sufficiently secure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the battery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아웃터 멤버(하부멤버) 및 인너멤버가 로워케이스에 단일체로 통합되고, 로워케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는 언더커버를 삭제함으로써 배터리 조립체의 전체 높이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배터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assembly capable of greatly reduc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battery assembly by eliminating the undercover which is integrally incorporated into the lower case and the outer member (low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The purpose is to do.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로워케이스에 횡방향(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크로스 보강부(cross reinforcement portion) 및 종방향(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종방향 보강부(longitudial reinforcement portion)가 동일체로 구성하고, 배터리 케이스의 로워케이스를 차체 측에 동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ase of the battery case includes a plurality of cross reinforcement portion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por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ngitudial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of the same body, and the lower case of the battery case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same body, thereby remarkably strengthening the rigidity of the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조립체로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assem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floor of a vehicle,

로워 케이스 및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케이스; 및 A battery case hav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상기 로워 케이스 및 상기 어퍼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상기 로워 케이스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 및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부를 가질 수 있다. The lower case may have at least one cross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로워 케이스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cross reinforcing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case.

상기 로워 케이스는 바닥 및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The lower case may have a bottom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각 크로스 보강부는 상기 로워 케이스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보강부 및 한 쌍의 제1보강부 사이에 형성된 제2보강부를 가질 수 있다.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a pair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project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상기 제2보강부의 높이가 상기 제1보강부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각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로워 케이스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Each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y be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lower case.

각 종방향 보강부는 제1보강부 및 상기 제1보강부에 단턱지게 연결된 제2보강부를 가질 수 있다.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a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in a stepped manner.

각 크로스 보강부 및 각 종방향 보강부는 그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a cavity formed therein.

상기 로워 케이스의 바닥에는 저부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크로스 보강부의 캐비티 및 상기 종방향 보강부의 캐비티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bottom plat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nd the cavity of the cross reinforcing portion and the cavity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are closed by the bottom plate.

상기 로워 케이스의 양측에는 한 쌍의 종방향 보강부가 대칭적으로 연결되고, 각 종방향 보강부는 차체 측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A pair of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a fastener.

각 종방향 보강부는 차체의 사이드멤버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Each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y be coupled to a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fastener.

각 종방향 보강부는 평탄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Each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y have one or more contact surfaces formed flat.

각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제1보강부의 상면에 평탄하게 형성된 제1접촉면 및 상기 제2보강부의 상면에 평탄하게 형성된 제2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a first contact surface formed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formed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상기 제1접촉면은 차체의 각 사이드멤버의 저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each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상기 제2접촉면은 상기 어퍼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surface may be coupled to an edge of the upper case.

상기 어퍼 케이스는 상부 및 상기 상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복수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The upper case may have an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connected to an edge of the upper portion.

상기 어퍼 케이스의 측벽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측벽에는 평탄한 플랜지가 연결될 수 있다. A flat flange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at least a part of the side walls of the upper case.

본 발명에 의하면, 로워케이스 측에 하나 이상의 보강부를 동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조립체의 전체 높이를 축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실내 상품성을 개선하고, 차량의 높이(전고)를 낮출 수 있으며, 연비 개선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height of the battery assembly can be reduced by constructing one or more reinforcing portions as one body on the lower case side, thereby sufficiently secu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o improve indoor merchandise, Can be lowered, and the fuel economy improvement effect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은 로워케이스에 아웃터 멤버(하부멤버) 및 인너멤버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하고, 특히 로워케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는 언더커버를 삭제함으로써 배터리 조립체의 전체 높이를 대폭 축소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member (low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re integrated into one lower case, and in particular, the entire height of the battery assembly can be greatly reduced by eliminating the under cov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로워케이스에 횡방향(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크로스 보강부(cross reinforcement portion) 및 종방향(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종방향 보강부(longitudial reinforcement portion)가 동일체로 구성하고, 배터리 케이스의 로워케이스를 차체 측에 동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ase of the battery case includes a plurality of cross reinforcement portion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por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ngitudial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of the same body, and the lower case of the battery case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same body, thereby remarkably strengthening the rigidity of the bod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가 차량의 플로어에 설치된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가 차량의 플로어에 설치된 구조를 부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의 로워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의 로워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의 로워케이스가 차체의 플로어에 설치된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F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battery assembly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vehicle.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A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is a view parti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loor of a vehicle.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C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case of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case of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case of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vehicle body.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F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1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과, 배터리 셀(11)이 조립되는 배터리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조립체(10)는 차량의 플로어(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4 to 8, a battery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cell 11 and a battery case 12 in which a battery cell 11 is assembled . The battery assembly 10 may be installed under the floor 2 of the vehicle.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에는 배터리 관리유닛(Battery Management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장품(미도시)이 접속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과 전장품(미도시)은 배터리 케이스(12)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Not shown) such as a battery management unit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battery cells 11 and one or more battery cells 11 and electrical components (not shown) It can be assembled inside.

배터리 케이스(12)는 로워 케이스(13)와, 로워 케이스(13)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case 12 may include a lower case 13 and an upper case 14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3.

로워 케이스(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의 저면을 지지하는 바닥(13a, bottom) 및 바닥(13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측벽(13b)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측벽(13b)은 바닥(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15, cross reinforcement) 및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16, longitudial reinforcement)가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13 may have a bottom 13a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11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13b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13a, And the plurality of side walls 13b may exten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13a. At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one or more cross reinforcements 15 and one or more longitudinal reinforcements 16 may be formed in the same body.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15)는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서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각 크로스 보강부(15)는 채널 단면(channel cross section)을 가짐으로써 각 크로스 보강부(15)의 내부에는 캐비티(15c)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cross reinforcing portions 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15 has a channel cross section so that a cavity 15c can be formed in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15.

그리고,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15)는 차량의 횡방향(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크로스 보강부(15)는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보강부(15a) 및 한 쌍의 제1보강부(15a) 사이에 형성된 제2보강부(15b)를 가질 수 있다. 제2보강부(15b)는 채널 단면(channel cross section)을 가질 수 있고, 제2보강부(15b)의 높이(t2)가 제1보강부(15a)의 높이(t1)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cross reinforcing portions 15 can be elongat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5,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15 includes a pair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15a projecting upward from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and a pair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15a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15b form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5a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5b.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5b may have a channel cross section and the height t2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5b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t1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5a have.

일 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크로스 보강부(15)가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크로스 보강부(15)는 차량의 종방향(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a plurality of cross reinforcing portions 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as illustrated in FIGS. The plurality of cross reinforcing portions 15 can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부(16)는 도 6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로워 케이스(13)의 측벽(13b)에는 연결될 수 있다.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채널 단면(channel cross section)을 가짐으로써 각 종방향 보강부(16)의 내부에는 캐비티(16c)가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longitudinal reinforcement portions 16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wall 13b of the lower case 13, as illustrated in Figs.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has a channel cross section so that a cavity 16c can be formed in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부(16)는 차체의 종방향(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제1보강부(16a) 및 제1보강부(16a)에 단턱지게 연결된 제2보강부(16b)를 가질 수 있다. The at least on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can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6 and 11,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may have a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16b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in a stepped manner .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강부(16b)는 로워 케이스(13)의 측벽(13b)에 연결될 수 있고, 제1보강부(16a)는 제2보강부(16b)에 단턱지게 연결될 수 있고, 제2보강부(16b)의 높이(t4)가 제1보강부(16a)의 높이(t3)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6 and 11,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6b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wall 13b of the lower case 13, an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6b And the height t4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6b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t3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일 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방향 보강부(16)가 로워 케이스(13)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a pair of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may be symmetric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13, as illustrated in Figs.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그 상부에 평탄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면(21, 22)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접촉면(21, 22)은 제1보강부(16a)의 상면에 평탄하게 형성된 제1접촉면(21)과, 제2보강부(16b)의 상면에 평탄하게 형성된 제2접촉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longitudinal reinforcement 16 may have at least one contact surface 21, 22 formed thereon that is flat. 6 and 11, the at least one contact surface 21, 22 has a first contact surface 21 formed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6b.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22 formed to be flat 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22.

제1접촉면(21)은 브라켓(19, 도 6 참조) 또는 사이드멤버(9, 도 1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접촉면(22)은 어퍼 케이스(14)의 플랜지(14d)가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로워 케이스(13)와 어퍼 케이스(14)는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surface 21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19 (see FIG. 6) or the side member 9 (see FIG. 11). The flange 14d of the upper case 14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surface 22 through a fastener or the like and the lower case 13 and the upper case 14 can be coupled very firmly.

각 크로스 보강부(15) 및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 프레스 공정 또는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15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may be formed on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by the same pressing process or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워 케이스(13)의 각 종방향 보강부(16)가 체결구(17)를 통해 차체 측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of the lower case 13 ar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7, so that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can be greatly enhanced.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체결구(17) 및 브라켓(19)에 의해 차체의 각 사이드멤버(9)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종방향 보강부(16)가 차체의 사이드멤버(9)들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 사이드멤버(9)에는 브라켓(19)이 차량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브라켓(19)은 용접 등을 통해 각 사이드멤버(9)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브라켓(19)에 체결구(1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각 종방향 보강부(16)의 제1접촉면(21)과 브라켓(19)는 서로 면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사이드멤버(9)의 브라켓(19)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6,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is coupled to each side member 9 of the vehicle body by means of fasteners 17 and brackets 19 to form a pair of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May b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side members 9 of the vehicle body. The brackets 19 can be coupled to the respective side members 9 through welding or the like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ide members 9 And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19 by means of a fastening tool 17. The first contact surface 21 of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and the bracket 19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is in contact with the bracket 19 of the side member 9,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한 쌍의 종방향 보강부(16)가 한 쌍의 사이드멤버(9)들에 개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로워 케이스(13)는 차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ar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members 9, so that the lower case 13 can form a part of the vehicle body, Can be improved.

그리고,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는 별도의 아웃터 멤버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배터리 조립체(10)의 저면이 평탄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터리 조립체(10)의 높이를 대폭 축소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실내 상품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차량의 높이(전고)를 낮춰 연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Since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outer member,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10 can be made flat and the height of the battery assembly 10 can be greatly reduced Therefore, the indo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o increase the indoor merchandise, and the height (height)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to significantly improve fuel efficiency.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로워 케이스(13)의 바닥(13a)에는 저부플레이트(18, bottom plate)가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한 저부 플레이트(18)에 의해 크로스 보강부(15)의 캐비티(15c) 및 종방향 보강부(15)의 캐비티(16c)들이 모두 폐쇄될 수 있으므로 크로스 보강부(15) 및 종방향 보강부(15)는 저부플레이트(18)에 의해 폐쇄단면을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로워 케이스(13) 및 차체의 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5 and 6, a bottom plate 18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13a of the lower case 13, and the cross reinforcement 15 may be fixed by the bottom plate 18. [ The cavity 15c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and the cavities 16c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5 can be closed so that the cross reinforcing portion 15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5 are constituted by the bottom plate 18 So that the rigidity of the lower case 13 and the vehicle bod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어퍼 케이스(14)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14a, top portion)와 상부(14a)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복수의 측벽(14b)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측벽(14b)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측벽(14b)에는 플랜지(14d)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case 14 may have an upper portion 14a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one or more batteries 11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14b connected to an edge of the upper portion 14a. A flange 14d may be formed flat on the side wall 14b of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ide walls 14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10)의 로워 케이스(13)의 각 종방향 보강부(16)가 차체의 각 사이드멤버(9)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E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F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of the lower case 13 of the battery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side members 9 of the vehicle body,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9,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F in Fig.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로워 케이스(13)의 양측에서 차체의 각 사이드멤버(9)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차체의 각 사이드멤버(9)의 저면과 직접적으로 면접촉(도 11의 K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체결구(17)를 통해 각 사이드멤버(9)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can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13 toward the respective side members 9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respectiv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extend to the respective side members 9 (See K in FIG. 11), so that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each side member 9 through the fastener 17 .

특히, 각 종방향 보강부(16)의 제1보강부(16a)의 제1접촉면(21)이 각 사이드멤버(9)의 저면과 직접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고, 각 종방향 보강부(16)는 체결구(17)에 의해 각 사이드멤버(9)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first contact surface 21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of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can directly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each side member 9,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respective side members 9 by means of fasteners 17.

그리고, 각 종방향 보강부(16)의 캐비티(16c)에는 일정길이로 연장된 원통형 너트(25)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원통형 너트(25)는 제1보강부(16a)의 캐비티(16c)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체결구(17)가 원통형 너트(25)에 체결됨에 따라 각 종방향 보강부(16)가 각 사이드멤버(9)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cylindrical nut 25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vity 16c of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16. [ The cylindrical nut 25 can be positioned in the cavity 16c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a. As the fastener 17 is fastened to the cylindrical nut 25,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respective side members 9.

로워 케이스(13)의 각 종방향 보강부(16)의 제2보강부(16b)에는 어퍼 케이스(14)의 각 가장자리(14b)가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워 케이스(13)와 어프 케이스(14)는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respective edges 14b of the upper case 14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s 16b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16 of the lower case 13 through fasteners or the like. This allows the lower case 13 and the case 14 to be coupled very firm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플로어 9: 사이드멤버
10: 배터리 조립체 11: 배터리 셀
12: 배터리 케이스 13: 로워 케이스
14: 어퍼 케이스 15: 횡방향 보강부
16: 종방향 보강부 17: 체결구
18: 저부 플레이트
2: Floor 9: Side member
10: battery assembly 11: battery cell
12: Battery case 13: Lower case
14: upper case 15: lateral reinforcing portion
16: longitudinal reinforcement portion 17: fastener
18: bottom plate

Claims (17)

차량의 플로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조립체로서,
로워 케이스 및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케이스; 및
상기 로워 케이스 및 상기 어퍼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케이스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 및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부를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A battery assembly (10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floor of a vehicle,
A battery case hav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Wherein the lower case has at least one cross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보강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로워 케이스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cross reinforcement and the at least one longitudinal reinforcement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케이스는 바닥 및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측벽을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case has a bottom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크로스 보강부는 상기 로워 케이스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보강부 및 한 쌍의 제1보강부 사이에 형성된 제2보강부를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has a pair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project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의 높이가 상기 제1보강부의 높이 보다 높은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height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higher than a height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로워 케이스의 측벽에 연결되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종방향 보강부는 제1보강부 및 상기 제1보강부에 단턱지게 연결된 제2보강부를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6,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in a stepped m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크로스 보강부 및 각 종방향 보강부는 그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를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cross reinforcing portion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워 케이스의 바닥에는 저부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크로스 보강부의 캐비티 및 상기 종방향 보강부의 캐비티가 폐쇄되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A bottom plat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nd the cavity of the cross reinforcing portion and the cavity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are closed by the bottom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케이스의 양측에 한 쌍의 종방향 보강부가 대칭적으로 연결되고, 각 종방향 보강부는 차체 측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and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a fastener.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종방향 보강부는 차체의 사이드멤버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a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fastener.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종방향 보강부는 평탄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면을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0,
Each longitudinal reinforcement having at least one contact surface formed flat.
청구항 12에 있어서,
각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제1보강부의 상면에 평탄하게 형성된 제1접촉면 및 상기 제2보강부의 상면에 평탄하게 형성된 제2접촉면을 가진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2,
Each longitudinal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first contact surface formed flat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formed flat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은 차체의 각 사이드멤버의 저면과 면접촉하는 배터리 조립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contact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each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면은 상기 어퍼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배터리 조립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is coupled to an edge of the upper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케이스는 상부 및 상기 상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복수의 측벽을 가지는 배터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ase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connected to an edge of the upper por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어퍼 케이스의 측벽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측벽에는 평탄한 플랜지가 연결되는 배터리 조립체.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flat flange is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side walls of the upper case.
KR1020170059870A 2017-05-15 2017-05-15 Battery assembly KR102348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70A KR102348114B1 (en) 2017-05-15 2017-05-15 Batter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70A KR102348114B1 (en) 2017-05-15 2017-05-15 Battery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49A true KR20180125249A (en) 2018-11-23
KR102348114B1 KR102348114B1 (en) 2022-01-07

Family

ID=6456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70A KR102348114B1 (en) 2017-05-15 2017-05-15 Battery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95A (en) * 2019-04-30 2020-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oad distribution structure for vehicle
WO2023114764A1 (en) * 2021-12-16 2023-06-22 Bridgestone Americas, Inc. Form-locking structural members for battery enclos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823A (en) * 2012-03-23 2013-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attery pack cas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ing p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03483A (en) * 2013-11-27 2015-06-0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Battery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823A (en) * 2012-03-23 2013-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attery pack cas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ing p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03483A (en) * 2013-11-27 2015-06-0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Battery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95A (en) * 2019-04-30 2020-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oad distribution structure for vehicle
WO2023114764A1 (en) * 2021-12-16 2023-06-22 Bridgestone Americas, Inc. Form-locking structural members for battery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114B1 (en)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29362B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automobile
US11208152B2 (en) Vehicle body side section structure
KR102506842B1 (en) Battery support structure of vehicle body
US8813887B2 (en) Battery uni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3996808B (en) Vehicle battery group
US9227665B2 (en) Motor vehicle with modular body
KR102552511B1 (en) Vehicle rear structure
KR20210076430A (en) Vehicle floor system
JP2013147137A (en) Floor structure of electrically driven vehicle
KR20210001334A (en) Vehicle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12606905B (en) Vehicle lower structure
JP5957836B2 (en) Body structure
JP2021095116A (en) Vehicular side sill structure
KR20210155260A (en) Vehicle floor system
CN212751060U (en) Chassis of vehicle and related vehicle
KR20180125249A (en) Battery assembly
CN107554622B (en) A floor assembly and vehicle for vehicle
CN107554621B (en) Floor beam structure for vehicle
JP2017222332A (en) Vehicle floor structure
KR20220072553A (en) Vehicle body
CN107554619B (en) A cabin installation frame structure and vehicle for vehicle
CN101367409A (en) Automobile top cover and rear frame member assembly
CN102390436A (en) Back beam assembly of automobile top cover
US10246133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20230067363A (en) Vehicle flo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